[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15553A -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 및 제조 - Google Patents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 및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553A
KR20200115553A KR1020207024187A KR20207024187A KR20200115553A KR 20200115553 A KR20200115553 A KR 20200115553A KR 1020207024187 A KR1020207024187 A KR 1020207024187A KR 20207024187 A KR20207024187 A KR 20207024187A KR 20200115553 A KR20200115553 A KR 20200115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ing
electrically controllable
plastic strip
laminated
controllabl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55585B1 (ko
Inventor
파스칼 보엘르
슈테판 길레센
졍 쟈크 브리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0011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55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41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or a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7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 B32B17/10385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for ohmic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32B17/10504Liquid crys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32B17/10513Electrochromic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71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in combination with particular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32B17/10935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as a preformed layer, e.g. formed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09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using vacuum and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1Double glazing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8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generating luminous strips, e.g. for marking trim component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32B2305/34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55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6PVB, i.e. polyinylbuty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0/00Signboards, advertising panels, road sig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6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8Ligh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5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relation to the windshield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10Electro- or photo- luminescent surfaces, e.g. signalling by way of electroluminescent strips 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 및 얇은 플라스틱 스트립을 갖는 사전 조립 동작을 포함하는 그 제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 및 제조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 및 그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글레이징은 무기 발광 다이오드들에 의해 광 신호 또는 조명 기능을 점차 통합하고 있다.
문헌 WO2016079459은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는 발광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 인쇄 회로 기판(PCB)에 다이오드들을 통합해서 자동차의 윈드쉴드(windshield)를 형성하는 발광 적층 글레이징을 기술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 문헌의 도 5를 참조하여 기술된 실시예에서 발광 윈드쉴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 다음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
- F1 및 F2로 지칭되는 제1 및 제2 주면들(main faces)을 갖는,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제1 글레이징;
- 폴리(비닐부티랄)(PVB)로 만든 적층 중간층
- F3 및 F4로 지칭되는 제3 및 제4 주면들을 갖는,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제2 글레이징,
제2 및 제3 면들은 적층 글레이징의 내면들이다 ;
- 인쇄 회로 기판(PCB) 위의 다이오드들의 세트 - 상기 다이오드들은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적색 신호등(signaling light)을 방출할 수 있고, 각 다이오드는 내부 유리 방향으로 PCB의 전면으로 지칭되는 것 위에 방출하는 방출면을 갖는다-.
- PCB의 뒷면에, 두께가 0.05 mm 미만이고 글레이징과 PCB 사이를 연결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양면 테이프에 기포가 형성된다거나 또는 (투명) 접착 테이프의 탁도(haze)가 흐려져 외관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은 공정 관점에서도 더욱 제한적이고 그것은 윕게 오염되고 테이핑 먼지가 생기기 쉽다.
자동차 또는 다른 용도 (내부 또는 외부 구조, 장비 등)를 위한 이러한 발광 적층 글레이징의 제조가 개선 될 수 있다. 보다 광범위하게, (이산, 표면 등)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층 글레이징의 제조가 개선 될 수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주제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특히 다음과 같은 곡면의 적층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특히 차량용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다:
- 제1 투명 글레이징: 특히 곡면이고, 선택적으로 투명, 매우 투명 또는 착색되고, 특히 회색 또는 녹색이며 및 바람직하게는 곡면의 미네랄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각각 F1 및 F2로 지칭되는 제1 및 제2 주면들을 갖는 외부 글레이징을 종종 형성하며, 각각의 면은 코팅되지 않거나 또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특히 미네랄 층 (기능 층, 단일 층 또는 복수 층 등, 특히 최대 50 ㎛ 또는 심지어 미크론 이하의 크기의 두께를 갖는 층)으로 코팅되고, 글레이징의 두께는, 자동차의 글레이징의 경우, 특히 2.5 mm 및 심지어 최대 2.2 mm,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또는 심지어 최대 1.3 mm 또는 최대 1 mm 이다;
- 제2 투명 글레이징: 특히 곡면이고, 바람직하게는 투명, 매우 투명 또는 심지어 착색된 미네랄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각각 F3 및 F4로 지칭되는 제3 및 제4 주면들을 갖는 내부 글레이징을 종종 형성하며, 특히 F3 및 F4 각각은 코팅되지 않거나 또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특히 미네랄 층 (기능 층, 단일 층 또는 복수 층 등, 특히 최대 50 ㎛ 또는 심지어 미크론 이하의 크기의 두께를 갖는 층)으로 코팅되고, 글레이징의 두께는, 자동차의 글레이징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글레이징의 두께보다 작고, 심지어 최대 최대 2.2 mm,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또는 심지어 최대 1.3 mm 또는 최대 1 mm 이고,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의 총 두께는 엄격하게 4 mm 미만 또는 심지어 3.7 mm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유리로 만들어진 제1 및 제2 글레이징의 적어도 하나는, 특히 F1, F2, F3 및 F4 각각은 코팅되지 않거나 또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특히 미네랄 층 (기능 층, 단일 층 또는 복수 층 등, 특히 최대 50 ㎛ 또는 심지어 미크론 이하의 크기의 두께를 갖는 층)으로 코팅되고;
-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진 적층 중간층: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트들로 만들어지고, 특히 (코팅되지 않았았거나 코팅된) 제2 면 F2와 접착제 접촉하는 주면 FA 및 (코팅되지 않았았거나 코팅된) F3와 접착제 접촉하는 주면 FB를가지며, 특히 센티미터 크기 이하의 두께(e1)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면(F2) 및 면(F3)의 대부분은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고, 자동차 글레이징의 경우 e1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1.8 mm, 최대 1.2 mm 및 심지어 최대 0.9 mm (및 적어도 0.3 mm 및 심지어 적어도 0.5 mm) 이고, 특히 제1 글레이징의 에지로부터 최대 2 mm 만큼 및 제2 글레이징의 에지로부터 최대 2 mm 만큼 뒤로 설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 중 적어도 하나는 미네랄 유리로 만들어지고, 적층 글레이징은 면들 F2 및 F3 사이에 포함된다;
-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특히 지지대를 포함하는, (길게 늘어진,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L 형, T 형, 빗형 등) 스트립, 특히 최대 1 m 또는 최대 40 cm 및 심지어 최대 20 cm, 10 cm 또는 5 cm의 폭(W2)를 자지며, 전면, 후면 및 에지면을 갖는, 특히 1 밀리미터 이하 및 심지어 최대 0.15mm 의 두께(e2)를 가지며, 전면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의 기능 구역으로 지칭되는 구역에서 바람직하게는 밀리미터 이하의 두께(e')를 가지며, 특히 최대 5 cm 또는 밀리미터이하의 크기 (이산 부품 등) 또는 실질적으로 W2와 동일한 (표면 시스템) 폭(W'2)을 가지며, 전면은 선택적으로 기능 구역에 인접하여 전력 공급 구역을 포함하고, 특히 제 1 또는 제 2 글레이징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연장부 또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는 적층 중간층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따라서 글레이징의 (특히 주변)영역에 있다;
및 글레이징은 다음을 포함한다:
- 후면에, 특히 이산 (광)전자부품들 또는 표면 시스템이 제공되는 기능 구역 반대편에, 최대 0.3 mm, 0.25 mm 및 심지어 최대 0.15 mm, 특히 25 내지 100 ㎛, 40 내지 70 ㎛ 및 심지어 최대 50 ㎛의 두께(e3)를 가지며, 후면 및 접촉면(코팅이 되지 않았거나 전기한 상기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라고 칭하는 F2 및 F3 면들 중의 한 면과 접착제 접촉하며, 특히 적어도 0.8 W2 또는 0.9 W2 및/또는 최대 1 m 또는 최대 40 cm 및 심지어 최대 20 cm, 10 cm 또는 5 cm 의 폭(W3)을 갖는 폴리머 연결 요소(polymenr connecting element) - 상기 연결 요소 (connecting element)는 바람직하게는 적층 중간층 밑의 표면 위에 있다 - ;
- 및/또는 전면측, 전방 표면 및/또는 전면에, 특히 이산 (광)전자 부품 또는 표면 시스템이 제공되는 특히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측에, 또 다른 폴리머 연결 요소는 두께(e'3)가 최대 0.3 mm, 0.25 mm 및 심지어 최대 0.15 mm, 특히 25 내지 100 ㎛, 40 내지 70 ㎛ 및 심지어 최대 50 ㎛ 이고,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및 스트립이 두개인 경우 접촉면과 반대에, (전기한 상기 층으로 코팅되었거나 되지 않을 수 있는) 접촉면이라고 칭하는 F2 및 F3 면들 중의 하나와 접착제 접촉하며, 다른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층 중간층 아래 표면에 있고, 특히 적어도 0.8 W2 또는 0.9 W2 및/또는 최대 1 m 또는 최대 40 cm 및 심지어 최대 20 cm의 폭(W'3)을 가지며,
프로세스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적층 전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상기 연결 요소 및/또는 다른 연결 요소 및/또는 선택적으로 조립 시트라고 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층 중간층 시트를 포함하는 예비 조립 요소를 제공하고, 연결 요소는 연결면(FL)이라고 칭하는 주면을 갖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스트립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구역 및/또는 전력 공급 구역에서 지지체의 후면를 향하고, 특히 (주로) 후면을 덮으며, 플라스틱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의 에지면으로부터 최대 5 mm, 2 mm 또는 1 mm만큼 뒤로 들어와 있거나 또는 지지체의 에지면과 동일한 평면에 있거나 또는 지지체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바람직하게는 제한된 구역 위에), 플라스틱 스트립은 연결면(FL)의 반대편에 자유로운(접착되어 있지 않은) 주면(F')을 가지며;
- 연결면(FL)은 후면과 접착제 접촉하든지 후면에 접착되어 있고(연결면(FL)은 지지체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었거나 돌출되지 않는다)
및/또는
- 연결면(FL)은 적어도 일측 위의 지지체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특히 문제의 기능성 및/또는 전력 공급 구역에서), 조립 시트의 주면들 중의 하나의 구역(ZA)를 향하는 돌출 구역(ZD)를 정의하고, 돌출 구역(ZD)은 구역ZA과 접착제 접촉하거나 또는 거기에 접착되어 있고, ZA는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의 에지면으로부터 최대 10 cm, 5 cm 또는 1 cm에 있고, 심지어 두개의 바람직하게는 대면하는 면들, 세개의 면들 위에서, 기능성 구역 등의 주변부에서 돌출되어 있고, 특히 또 하나의 돌출 구역(ZE)은 조립 시트의 주면들 중의 하나 구역(ZB)를 향하고, 예를 들어 ZD 및 ZE는 지지체의 두개의 대향하는 측면들로부터 돌출되고, ZA 및 ZB는 바람직하게는 지지체 에지면으로부터 최대 10 cm, 5 cm 또는 1 cm에 있고;
및/또는
- 다른 연결 요소는 장치의 전방 표면을 향하는 다른 연결면(F'L)로 지칭되는 주면을 갖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스트립을 포함하고, 플라스틱 스트립은 다른 연결면(F'L)에 대향하는 자유로운(접착되어 있지 않은) 주면(F'')를 가지며;
- 다른 연결면(F'L)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와 접착제 접촉하거나 거기에 접착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및/또는 전면과 접촉하거나 거기에 접착되어 있고), 다른 연결면(F'L)은 지지체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거나 돌출되어 있지 않고;
- 다른 연결면(F'L)은 조립 시트의 주면들 중의 하나의 다른 구역(Z'A)을 향하는 또 다른 돌출 구역(Z'D)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위에 (지지체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에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돌출 구역(Z'D)은 구역 Z'A와 접착제 접촉하거나 거기에 접착되어 있고, Z'A는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의 에지면으로부터 10 cm, 5 cm 또는 1 cm에 있고 두개의 바람직하게는 대향하는 면들, 세개의 면들 위에, 기능성 구역 등의 주변부 주위에 돌출되고, 특히 또 다른 돌출 구역(Z'E)는 조립 시트의 주면들 중의 하나의 구역 ZB를 향하고, Z'A 및 Z'B는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의 에지면으로부터 10 cm, 5 cm 또는 1 cm에 있고;
- 사전 조립된 요소를 적층 중간층이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의 사이에 배치되기 전에, 후에 또는 동시에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의 사이에 배치하고;
- 및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를 적층하는 단계는 진공 하에 배치하는 동작 또는 압력하에 배치하는 동작 및 가열 동작을 포함하고, 적층으로 다음의 결과에 이른다:
- (코팅되지 않은) 자유면(FL)은, 특히 코팅되지 않았거나 코팅된, 접촉면(contact face)과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접착제 접촉하게 되고 (자유면(FL)의 전체 면이 접촉면와 접착제 접촉하게 한다) 및/또는 (코팅되지 않은) 자유면(F'L)은 특히 코팅되지 않았거나 코팅된, 접착면(bonding face)과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접착제 접촉하게 되고 (다른 자유면(FL)의 전체 면이 접착면와 접착제 접촉하게 한다);
- 및 특히 적층 중간층, 특히 조립 시트(적용 가능하다면)가 면들 F2 및 F3와 접착제 접촉한다(특히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구역에 인접한 별개의 구역에서).
종래 기술의 발광 적층 지붕에 사용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는 보호 필름(라이너, liner)를 제거해야 한다. 또한, 표면은 끈적거려서 위치를 잡기 전에 필요할 경우 지지체를 쉽게 재조정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더구나 라이너(liner)의 잔류물이 버블링(bubbling)이나 혼탁(haze)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레이징의 제작을 단순화해서 신속하게 하기 위해서 적층 라인의 밖에서 접착 또는 접착제 접촉에 의해 사전에 조립되는 요소를 사용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스트립은 (전체 표면 걸쳐 또는 표면의 점들에서) 장치 및/또는 조립 시트에 이미 연결되어 있다. 후자의 경우, 스트립이 돌출되어 (장치보다 큼), 스트립과 시트 사이의 연결이 장치 자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후면 및 플라스틱 스트립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플라스틱 스트립은 적층을 통해 글레이징의 면에 접착될 수 있다. 양면 접착 테이프와 달리, 열가소성 스트립의 자유면은 접착되어 있지 않아서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라인 시간 낭비없이 정확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최적화되어 자동화와 더욱 양립된다.
(열) 플라스틱 스트립은 또한 탈기 (건조 오븐에서 탈기 사이클에서 발생하는 미세 기포의 탈출)를 가능하게하며, 진공은 스트립의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물질)을 접촉면에 접착하는데 필요한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열) 플라스틱 스트립은 양면 테이프보다 더 투명 할 수 있다.
따라서 열가소성 스트립은 지지체가 큰 경우에 보다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제공 할 수 있다.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플라스틱 스트립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하나의 플라스틱 스트립과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을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선택적으로 천공된 단일 시트 (PVB, PVB/기능성 PET/PVB, 복합재)인 적층 중간층 상에 돌출하는 스트립과 조합할 수 있다.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이산 (광)전자 부품들과 직각으로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후면에 연결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으로 지칭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전면(front face)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으로 지칭된다. 접촉면이 연결 요소에 대해서 코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연결 요소 (따라서 플라스틱 스트립)는 접촉면과 직접 접착제 접촉한다.
접촉면(contact face)이 층 (단일 또는 다층), 특히 기능성 층 (마스킹, 전기 전도성, 저 방사율, 가열 등의 층)으로 코팅되고 연결 요소를 향하는 경우, 연결 요소 (플라스틱 스트립)는 접촉면과 간접적인 접착제 접촉한다. 미네랄 층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증착 (스크린 인쇄, 인쇄 등), 물리적 기상 증착 (음극 스퍼터링) 또는 심지어 화학 증착에 의해 얻어지는 증착 층이다.
특히, 자유 주면(F')과 접촉면 사이에 적층 중간층(PVB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이한 경우는 자유 주면(F')와 접촉면 사이에 또 다른 장치를 삽입하는 것이며, 이는 그 자체가 적층 중간층에 의해 덮히거나 사전 조립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접착면이 다른 연결 요소에 대해 코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른 연결 요서(따라서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접착면과 직접적인 접착제 접촉을 한다.
접착면(bonding face)이 층 (단일 또는 다층), 특히 기능성 층 (마스킹, 전기 전도성, 저 방사율, 가열 등의 층)으로 코팅되고 다른 연결 요소를 향하는 경우, 다른 연결 요소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는 접착면과 간접적인 접착제 접촉한다. 미네랄 층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증착 (스크린 인쇄, 인쇄 등), 물리적 기상 증착 (음극 스퍼터링) 또는 심지어 화학 증착에 의해 얻어지는 증착 층이다.
특히, 자유 주면(F'')과 접착면 사이에 적층 중간층(PVB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이한 경우는 자유 주면(F'')와 접착면 사이에 또 다른 장치를 삽입하는 것이며, 이는 그 자체가 적층 중간층에 의해 덮히거나 사전 조립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플라스틱 스트립 (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의 형상을 조정해서, 단순화 하기 위해, 직사각형, 정사각형, L, F, E 또는 빗 모양, 특히 지지체와 비슷한 형상의 스트립을 적절히 사용한다.
미리 조립된 요소와 적층 중간층 (특히, 가능한 경우, 조립 시트)을 위치시킨 후 그것을 진공 하에 배치하기 전에 그것을 제자리에 잡아두기 위해서 상기의 미리 조립된 요소를 접촉면과 점접착시키고 및/또는 상기의 적층 중간층 (특히, 가능한 경우, 조립 시트)을 접촉면과 점접착 접촉시키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국지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는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최대 50 %, 40 % 또는 30 %, 또는 최대 20 % 또는 10 %까지 적층 글레이징을 덮을 수 있다. 또한, (국지의) (열) 플라스틱 스트립은 적층 글레이징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50 %, 40 % 또는 30 %, 또는 최대 20 % 또는 10 %). 스트립이 덮는 정도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가 덮는 정도와 동일하거나 약간 클 수 있다.
적층 중간층 (조립 시트 등)의 면적은 (전방 또는 후방) 플라스틱 스트립의 면적보다 훨씬 크며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의 적어도 70 %, 80 %, 90 % 또는 95 %를 덮을 수 있다. 적층 중간층 (조립 시트 등)은 제1 글레이징 (및/또는 제 2 글레이징)의 에지면으로부터, 특히 최대 2 mm만큼 뒤로 설정될 수 있다. 지지체 (및 스트립)가 제1 또는 제2 글레이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때, 적층 중간층이 지지체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간층이 지지체와 가장 가까운 적층 글레이징 에지면 사이에 존재함).
따라서 중간층 보다 (조립시트 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얇은 (전방 또는 후방) 플라스틱 스트립은 얇기 때문에 비용을 최적화하고 제조하는 동안 더 나은 조작을 위해라도 선호된다.
(전방 또는 후방)(열) 플라스틱 스트립은 적층 중간층을 갖는 적층 글레이징 에서, 특히 배치를 (접힘 등이 없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특히 후면과 (후방) 플라스틱 스트립 사이에서 조립된 경우, 지지체의 에지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cm, 10 cm 또는 5 cm 및 심지어 1 cm구역 만큼 돌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최대 X, Y 또는 Z"라는 표현은 "최대 X, (심지어) 최대 Y 및 (또는 심지어) 최대 Z"를 의미한다.
한 구성에 따르면,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은 투명하고 (결함이 없고) 및/또는 다른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은 투명하고, 지지체는 투명하고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적어도 전체적으로 투명하다), 제1 및 제2 글레이징 사이에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는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의 투명 영역 (코팅되어 있지 않거나 투명 층으로 코팅될 수 있는 면 F2 및/또는 F3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기능성 구역의 반대쪽 및/또는 다른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의 반대쪽 후면을 덮는 투명 스트립은 투명하고 상기 기능성 구역을 덮는다.
하나의 구성에서, 프로세스는 다음 구성들 (a) 또는 b) 또는 a) + b))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의 형성을 포함한다 :
a) 지지체와 함께 연결 요소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를 조립하고, 연결면 (FL)은 후면과 접착 접촉하거나 후면에 접착되며, 연결면(FL)의 전체 표면 또는 표면의 점들이 이격된 점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에 의해서 후면과 접착 접촉하게 되고 또는 연결면(FL)의 전체 표면 또는 표면의 점들이 이격된 점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를 통해 또는 주변부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는 접착 프레임(접착제 비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특히 최대 100 μm 두께)에 의해서 또는 예를 들어 두개의 주변 스트립들인 접착 스트립(접착제 비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후면에 접착된다;
a') 다른 연결 요소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를 조립하고, 다른 연결면(F'L)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및/또는 전면)와 접착 접촉하거나 또는 접착되고, 다른 연결면(F'L)의 전체 표면 또는 표면의 점들이 이격된 점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에 접착 접촉하거나, 다른 연결면(F'L)의 전체 표면 또는 표면의 점들이 이격된 접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를 통해 또는 주변부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는 접착 프레임(접착제 비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특히 최대 100 μm 두께)에 의해서 또는 예를 들어 두개의 주변 스트립들인 접착 스트립(접착제 비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접착된다;
b) 및/또는 적층 중간층과 함께 연결 요소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를 조립하고, 돌출 구역 ZD 표면의 점들 또는 전체 표면이 이격된 점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에 의해 구역 ZA와 접착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연결면이 특히 점 접착 구역들의 어레이 또는 전체 면을 통해 구역 ZA에 접착된다;
b') 적층 중간층과 함께 다른 연결 요소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을 조립하고, 다른 돌출 영역 Z'D의 표면의 점들 또는 전체 표면이 이격된 점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에 의해 구역 Z'A와 접착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다른 연결면이 점 접착 구역들의 어레이 또는 전체 면을 통해 구역 Z'A에 접착된다;
모든 조합들, 특히 a)+b); a')+b'); a)+b'); a')+b); a)+a'); b)+b'); a)+a')+b)+b')가 고려된다. 이번에는 작업이 적층 라인 밖에 있기 때문에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 물질의 첨가없이 접착 접촉은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으로 만들어진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 및/또는 다른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을 연화해서 달성되며, 이로써 면 사이의 접착 접촉하게 한다.
특히 그리고 유리하게는, 접착 접촉은 가열에 의해 그리고 선택적으로 또한 압력에 의해, 특히 유도 가열에 의해, 뜨거운 공기에 의해, 또는 (레이저) 복사에 의해 또는 알코올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특히 그리고 유리하게는, 접착 접촉은 점 접촉이고 국부 가열에 의해 그리고 선택적으로 또한 압력, 특히 유도 가열에 의해, 열풍에 의해, 또는 (레이저) 복사에 의해 달성된다. 그렇지 않으면 알코올과 같은 용제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각 점 접착 접점의 폭은 최대 15 mm이다.
예를 들어 각 점 접착 본드는 너비가 최대 15mm이다.
가열 도구, 특히 국부 또는 다중 국부 가열 (그리고 압력을 가하는 것이 더 좋음)용으로는, 금속 스타일러스(stylus), 평평한 끝단 피팅(end-fitting)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테플론, PTFE 엘라스토머 등을 갖는) 열을 통과시킬 수 있는 붙지 않는 코팅을 갖는) "납땜 다리미", 하나 이상의 가열 핑거(heating fingers) 또는 열풍 총(hot air gun)이 사용될 수 있다.
점 접착 접촉은 모든 접촉들에 대해 한 번의 작업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한 번의 작업으로 다양한 점 접착 스폿들을 만들 수 있는 가열 도구가 선택될 수 있다.
국소 가열은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과 후면 지지체 사이뿐만 아니라 장치와 중간층의 시트 사이에서도 국소 접착 접촉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국소 가열은 후면 및/또는 전면에 가열 도구를 적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후면이 선호된다.
연결 요소와 함께 또는 상기 다른 연결 요소와 함께 사전 조립하는 상기 작업 동안,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각각 후면 또는 전면)는 예를 들어 적층 중간층의 제1 시트에 있다. 제1 시트의 면은 상기 연결 요소 또는 상기 다른 연결 요소와 반대편에 있고, 적층 중간층 (특히 조립 시트)의 제2 시트가 제1 시트 상에 있고, 국부 가열로 인해 제1 시트가 제2 시트와 점 접촉한다.
연결 요소와 함께 사전 조립하는 상기 작업 동안,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전면은 라미네이션 중간층의 제1 시트, 특히 조립 시트에 있으며, 국부 가열로 인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전면이 적층 중간층의 상기 제 1 시트와 점 접촉한다.
하나의 구성에서, (열) 플라스틱 스트립과 상기 적층 중간층은 적층 전에, 예를 들어 최대 5 mm 또는 1 mm만큼 이격되어 있고, 적층 후에(리프로우(reflow)에 의해) (열) 플라스틱 스트립과 상기 적층 중간층이 후면과 접촉면 사이에 공간을 남기지 않고서 연속 접촉하고 및/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과 상기 적층 중간층은 적층 전에 및 적층 후에 이격되어 있고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과 상기 적층 중간층은 장치의 전면과 접착면 사이에 공간을 남기지 않고 연속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은 열가소성 물질이고, 15 중량 % 미만의 가소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 중량 % 미만을 함유하는 및 특히 가소제가 없는 폴리(비닐 부티랄)(PVB)을 기반으로 하며, 특히 최대 0.15 mm, 특히 25 내지 100 ㎛, 40 내지 70 ㎛ 및 심지어 최대 50 ㎛의 두께(e3)를 갖는다. 더욱이, 상기 적층 중간층은 특히 15 중량 % 초과의 기존 가소제를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고, 특히 두께가 최대 0.3 mm 또는 최대 0.6 mm이고, 및/또는 다른 스트립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이고 15 중량 % 미만의 가소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 미만을 함유하는 및 특히 가소제가 없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며, 상기 적층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15 중량 % 초과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는 구부러지기 쉽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더 투명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되거나 또는 폴리이미드로 제조되며, 특히 두께는 25 내지 150 ㎛, 및 심지어는 50 내지 100 ㎛이다. 보다 광범위하게는, 지지체는 플라스틱 재료 (특히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폴리에틸렌 P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또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지지체에 국부적으로 하나 이상의 절단부(cut-out)가 만들어지면 열가소성 스트립 (다른 열가소성 스트립)은 일체/전체일 수 있고 또는 국부 절단부와 함께 있을 수 있다.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가 있는 글레이징은 하나 이상의 다른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치들은 이격되어 있고, 각각은 예를 들면 적층 글레이징의 부분을 따라 혹은 가장자리를 따라 끝까지 하나의 플라스틱 스트립 (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을 갖거나 또는 공통 플라스틱 스트립 (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을 갖는다.
지지체가 L 자 모양을 취하거나 도그 레그 (doglegged) 등의 형태인 경우, 플라스틱 스트립 (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의 모양은 그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간단하게 하기 위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모양의 스트립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스트립과 제1의 L, F, E 또는 빗 모양 지지체를 갖는 이러한 구성에서, 플라스틱 스트립 (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제1 지지체의 가장자리면에서 제1 글레이징의 가장 가까운 모서리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체는 충분히 유연해서 (펴 늘일 수 있어서) 곡면 적층 글레이징의 곡률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다.
지지체는 글레이징의 가장자리면까지 연장되고 심지어 상기 가장자리면 너머로 연장되는 평평한 커넥터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PEN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여 글레이징의 곡률에 적응할 수 있는 유연한 커넥터가 선호된다. 평평한 커넥터의 폭 (가장자리면을 따라 있는 치수)은 특히 가장자리면을 따라 있는 (다이오드) 지지체의 치수 이하일 수 있다.
(유연한) 지지체는 국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윈드 쉴드의) 적층 글레이징의 주변 영역에서 적층 글레이징 표면의 10 % 미만을 덮을 수 있다.
적층 후,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지지체는 적층 글레이징의 모서리면까지 연장되고 글레이징의 모서리면에서 돌출되고 심지어 면 F4 (또는 F1) 위로 접혀진 외부 전력 공급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 중의 하나의 가장자리면에서 돌출되어 면 F4 (또는 F1) 위로 접힌다.
따라서 적층 전에 (전면 또는 후면) (열) 플라스틱 스트립이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 중 하나의 가장자리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접착 테이프에 의해 면 F4 또는 F1에 미리 부착되어 면 F4 또는 F1 위로 접히고, 적층 후에는 제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를 다른 연결 요소와 함께 배치하기 전에, 적층 중간층은 후면 시트라고 하는 시트를 포함하며, 그것은 선택적으로 상기 어셈블리 시트로서 지지체의 후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주면(F'x)을 가지며, 주면(F'x)은 상기 구역 (Z'A)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이라고 하는데, 전면에 대향하여 있고, 이산적 및 얇은 부품들의 셋트를 포함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상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e'2 <0.15 mm이고,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은 선택적으로 이산 부품들과 수직으로 관통 홀들 (through-holes)이 있으며, 적층 후에는 후면 시트는 후면인 면 F2 및 F3 면(장치 구역의 외부)과 접착 접촉하고 바림직하게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전면 스트립)과 접촉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를 연결 요소 및 선택적으로 다른 연결 요소와 함께 배치하기 전에(사전 조립 전 또는 후에), 적층 중간층은 전면 시트라고 하는 (착색된, 쐐기형, 방음 다층, 유선, PVB/PET/PVB 복합 어셈블리)시트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조립 시트로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전면 표면, 특히 지지체의 전면(특히 (광) 전자 부품과 같은 이산 시스템을 갖는)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주면(Fx) 및 선택적으로 상기 구역(ZA)을 포함하는 주면(Fx)를 갖는다. 적층 후, 전면 (특히 단일) 시트 (면 Fx)은 전기 회로 등을 갖는 장치의 전면과, 특히 지지체의 코팅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코팅된 전면과 접착제 접촉한다.
적층 중간층이 단일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 전면 시트는 (대부분의) 다른 면들(F2 또는 F3) 및 접촉면 (대부분)과 접착제 접촉을 할 수 있다.
적층 중간층이 Fx면 측에 제2 시트 (특히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이 있는 천공된 시트)를 포함 할 때, 제2 (천공된) 시트는 (대부분의) 접촉면과 접착제 접촉할 수 있고 전면 시트는 (대부분의) 다른 면들(F2 또는 F3)과 접착 접촉할 수 있다. 전면 시트는 제2 (천공된) 시트의 슬롯을 연장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구역에 막힌(blind) 슬롯을 가질 수 있다.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이 너무 두껍지만 이산적인 (점 장치(pont device)) 경우,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선행 기술에서의 다이오드용 처럼 또는 더욱 광범위하게는 다른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광) 전자 부품 등)용으로 설명한 바와 같은, 전면 시트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전용 구멍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성에서, 전면 시트의 주면(Fx)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또는 막힌 구멍을 포함하며, 그 폭(W1)은 최대 20 mm, 15 mm, 10 mm, 5 mm 또는 2 mm이고, 그 길이는 최대 10 mm, 5 mm 또는 2 mm이며, 이산형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특히 포토 다이오드 또는 무기 다이오드와 같은 (광) 전자 부품을 수용하고, 여기서 e'2 > 0.15 mm (중간층이 절단되어야 함) 및 특히 서브 밀리미터 크기이고, 최대 0.5 mm 이고, 폭(W'2)이 최대 20 mm, 10 mm, 5 mm 또는 2 mm이고 그 길이는 최대 10 mm, 5 mm 또는 2 mm이고 e2 <0.15 mm 및 e3 <0.15 mm이다.
전면 시트는 지지체의 전면과 접착 접촉한다. 특히, 구멍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광전자 부품)의 면적보다 넓으며, 바람직하게는 최대 0.5mm 또는 심지어 최대 0.1mm까지 더 넓다. 선택적으로, 구멍은 관통 구멍이고 접착면과 전면 시트 사이의 선택적인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관통 구멍의 각 부품을 덮는다.
물론, 전면 시트의 주면(Fx)은 지지체 상에 있는 부품 수만큼의 구멍들 또는 지지체 상에 인접한 복수의 부품들에 공통인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 또는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 (전면 표면 상의)은 천공 된 시트 (천공된 구멍)와 접촉면 사이에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그 이상의 (광전자) 부품들의 전면을 보호하기 위해 시트가 지지체의 가장자리면을 넘어 확장될 수 있다.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만을 갖는 일 실시예에서, 중간층의 시트는 후면 쪽에서 후면과 접착제 접촉한다.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은 전면과 부품 상에 있거나 인터페이스 수를 제한하기 위해 부품과 수직인 구멍을 포함한다.
얇은 플라스틱 스트립을 사용하면 글레이징의 부품들(센서 등)이 서로 더 가까워져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이 너무 두껍지만 표면 시스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짐)인 경우, 적층 중간층 시트의 관통 구멍 또는 막힌 구멍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2 구성에서, 상기 연결 요소 및/또는 다른 연결 요소를 갖는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를 배치하기 전에(사전 조립 전 또는 후), 적층 중간층은 천공된 시트 (단일 시트, 복합 시트 등)를 포함하고, 그럼으로써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와 지지체의 (글레이징들 사이의 전부 또는 일부, 적어도 기능성 구역, 및 글레이징들 사이의 전력 공급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 바람직하게는 오목부, 즉 돌출된 주변 구멍과 구별되는)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는 (막힌 또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가장자리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싸고, 구멍이 있는 시트는 자유로운 주면(Fx)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구역(ZA)(배치 후 접촉면(contact face)으로 향하는) 또는 F'x (배치 후 접착면(bonding face)으로 향하는)을 포함하며 및 선택적으로 Z'A 구역을 포함하며, (열) 플라스틱 스트립은 구멍을 향하며 면 Fx와 플라스틱 스트립의 자유면 사이의 높이의 차이(H1)가 최대 0.3 mm, 0.2 mm 또는 0.15 mm 이고 및/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구멍을 향하고, 면 F'x 와 다른 플라스틱의 자유면(F'L) 높이의 차이(H'1)는 최대 0.3 mm이다.
특히, 플라스틱 스트립의 자유면은 최대 0.3mm, 0.2mm 또는 0.15mm까지면과 같은 높이 이하, Fx 또는 최대 0.3mm, 0.2mm 또는 0.15mm의 돌출 (과도한 두께 표시)과 같은 높이입니다. .
특히,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의 자유면은 최대 0.3 mm, 0.2 mm 또는 0.1 5mm만큼 면 높이 아래에 있고, Fx면과 같은 높이이거나 또는 최대 0.3 mm, 0.2 mm 또는 0.15 mm만큼 돌출된다(과도한 두께 표시).
특히, 연결 요소 및/또는 다른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사전 조립된 요소로 적층하기 전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가 천공된 시트 (지지체의 후면 또는 전면)로부터 돌출되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및 주면 Fx는 e2보다 크고 (e2+e'2보다 작은) 0이 아닌 높이 H2만큼 이격되어 있고, H2는 최대 0.3 mm, 0.2 mm 또는 0.15 mm이며, 후면은 천공된 시트에서 돌출된다. 이 공정은 추가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및 후면에 상기 플라스틱 스트립과 동일한 플라스틱)을 배치하고, 지지체의 가장자리면의 전체 또는 일부 위에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스트립의 두께(Ex)는 최대 0.15 mm이고 H2 이하이고, 지지체의 가장자리면에 대향하고 또는 그로부터 최대 1/0.5 mm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천공된 시트의 구역을 향한다.
추가 플라스틱 스트립은 연결면(FC) 반대편에 자유 주면(F')을 가지며, 추가 플라스틱 스트립은 선택적으로 단일 스트립 또는 복수의 계단식 플라스틱 스트립을 포함하며 Ex는 플라스틱 스트립의 총 두께이고, 적층 단계에 의해,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의 상기 자유면이 접촉면과 접착 접촉하게 된다.
특히, 연결면(FC)은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가 제1 및 제2 글레이징 사이에 배치되기 전에 천공된 시트와 접착제 접촉을 할 수 있으며, 이 접착제 접촉은 사전 조립 (연화, 국부 가열 등)을 위해 앞서 이미 언급한 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구멍 또는 슬롯은 제1 또는 제2 PVB에서 막혀있다.
일 구성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 또는 건물 창문 또는 가구 문 (장비 등)의 경우, 제1 글레이징은 외부 글레이징이고 제1 면은 종종 면 F1이라고 하며 제2 면은 종종 면 F2로 불리고, 제2 글레이징은 내부 글레이징이고, 제3 면은 종종 F3면으로, 제4 면은 종종 F4면으로 불린다.
대체적인 일 구성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 또는 건물 창문 또는 기타 가구 도어 (장비 등)의 경우, 제1 글레이징은 외부 글레이징이고, 제1 면은 종종 면 F4라고하며 제2 면은 종종 F3로 불리며, 제2 글레이징은 내부 글레이징이고, 제3 면이 종종 면 F2로, 제4 면이 종종 면 F1로 불린다.
일 구성에서 :
- 제1 및 제2 글레이징은 미네랄 유리로 만들어진다;
- 제1 글레이징은 미네랄 유리로 만들어지고 제2 글레이징은 예를 들어 PC, PMMA 또는 PET로 만들어진 더 얇은 (필름) 등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 제2 글레이징은 미네랄 유리로 만들어지고 제1 글레이징은 예를 들어 PC, PMMA 또는 PET로 만들어진 더 얇은 (필름) 등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은 이중 글레이징의 일부 (건물 외부의 글레이징 또는 건물 내부의 글레이징) 또는 심지어 삼중 글레이징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건물의 경우 적층 글레이징은 칸막이, 장비 문, 창 또는 지붕의 일부를 형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 공정에 따라 얻어진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으로서, 다음을 갖는 적층 글레이징을 포함한다:
- 제1 투명 글레이징: 특히 곡면이고, 선택적으로 투명하고, 매우 투명(extra-clear)하며 또는 특히 회색 또는 녹색으로 착색되었으며, 바람직하게는 곡면의 미네랄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종종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며, 각각 면 F1 및 면 F2라고 하는 제1 및 제2 주면을 가지며, 각각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특히 미네랄 층(기능성 층, 단일 또는 다층 등, 특히 두께가 최대 50 ㎛ 또는 심지어 서브마이크론의 크기인 층)으로 코팅되어 있거나 또는 코팅되어 있지 않고, 글레이징의 두께는 자동차 글레이징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mm, 심지어 최대 2.2 mm,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또는 최대 1.3 m 또는 최대 1 mm이다;
- 제2 투명 글레이징: 특히 곡면이고,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 매우 투명하거나 심지어 착색된 광물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종종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며, 각각 면 F3 및 면 F4로 불리는 제3 및 제4 주면, 특히 F3 및 F4는 각각 층(기능성 층, 단일 또는 다층 등, 특히 두께가 최대 50 ㎛ 또는 심지어 서브마이크론의 크기인 층)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코팅되어 있지 않고, 글레이징의 두께는 자동차 글레이징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글레이징의 두께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 2.2 mm,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또는 심지어 최대 1.3 mm 또는 최대 1 mm이고, 제1 및 제2 글레이징의 총 두께는 절대로 4mm 미만, 또는 심지어 3.7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글레이징 중 적어도 하나는 미네랄 유리로 제조되고, 특히 F1, F2, F3 및 F4는 각각 특히 광물 층 (기능성 층, 단일 또는 다층 등, 특히 두께가 최대 50 ㎛ 또는 심지어 서브마이크론의 크기인 층)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코팅되어 있지 않다;
-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만든 적층 중간층: 특히 하나 이상의 시트들로 제조되며, 특히 제2 면 F2와 접착제 접촉하는 주면(FA) 및 면 F3과 접착제 접촉하는 주면(FB)을 갖고, 특히 서브 센티미터 크기의 두께(e1)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면 F2 및 면 F3의 대부분이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고, 자동차 글레이징의 경우 은 e1이 바람직하게는 최대 1.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1.2 mm, 심지어 최대 0.9 mm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0.3mm 이상, 심지어 최소 0.5mm 이상)이고, 특히 제1 글레이징의 가장자리에서 최대 2 mm 뒤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글레이징의 가장자리에서 최대 2mm 뒤로 설정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유리로 만들어진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적층 글레이징은 면 F2 및 F3사이에 포함된다;
-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특히 (늘어진 형상, 예를 들면 정사각형, 직사각형, L자형, T자형,빗 모양 등) 스트립 모양이고, 지지체 (늘어진 형상, 예를 들면 정사각형, 직사각형, L자형, T자형,빗 모양 등)를 포함하며, 특히 폭(W2)이 최대 1 m 또는 최대 40 cm 및 심지어 최대 20 cm, 10 cm 또는 5 cm이고, 두께(e2)는 특히 서브밀리미터 크기이고 심지어 최대 0.15 mm 이고 전면, 후면 및 가장자리면을 가지며, 전면은 기능성 구역이라는 구역에서 바람직하게는 두께(e'2)가 서브밀리미터 크기이고, 특히 폭(W'2)가 특히 최대 5 cm 또는 서브밀리미터 크기(이산형 부품 등) 또는 실질적으로 W2와 동일한(표면 시스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항 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전면은 선택적으로 기능성 구역에 인접한 전력 공급 구역을 포함하며, 특히 제1 또는 제2 글레이징의 가장자리에서 돌출하는 연장부와 함께 개방되고,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는 적층 중간층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가지며, 따라서 장치는 글레이징의 (특히 주변) 영역에 있다;
- 후면에 중합체 연결 요소: 두께(e3)가 최대 0.3 mm, 0.25 mm, 심지어 최대 0.15 mm, 특히 25 내지 100 μm, 40 내지 70 μm 및 심지어 최대 50 μm인 플라스틱 스트립으로서 후면 및 접촉면이라고 하는 F2 및 F3면들 중 하나와 접착 접촉하고, 연결 요소의 면적은 적층 중간층의 면적보다 작으며, 특히 폭(W3)이 적어도 0.8 W2 또는 0.9 W2 및/또는 최대 1 m 또는 최대 40 cm 및 심지어 최대 20 cm, 10 cm 또는 5 cm이며, 연결 요소는 적층 중간층 아래의 표면에 있다;
- 및/또는 전면 표면 상에 또 다른 중합체 연결 요소: 두께(e'3)가 최대 0.3 mm, 0.25 mm 및 심지어 최대 0.15 mm, 특히 25 내지 100μm, 40 내지 70 μm 및 심지어 최대 50 μm인 또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으로서, 전면 표면 및 접착면 이라고 불리는 F2 또는 F3면들 중 하나와 접착제 접촉하고, 특히 폭(W'3)은 적어도 0.8 W2 또는 0.9 W2 및/또는 최대 1m 또는 최대 40cm, 심지어 최대 20cm를 갖는다;
- 다른 연결 요소는 적층 중간층 아래의 표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다음 특징들이 제공된다:
- 플라스틱 스트립은 열가소성이고, 즉 15 중량 % 미만의 가소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훨씬 미만을 함유하고 및 특히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며, 상기 적층 중간층은 특히 15 중량 % 이상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한다;
- 및/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열가소성이고, 즉 15 중량 % 미만의 가소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훨씬 미만을 함유하고 및 특히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며, 상기 적층 중간층은 특히 15 중량 % 이상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한다;
- 투명 (열) 플라스틱 스트립은 5 % 미만의 헤이즈를 나타내며 기포 결함들 (크기 0.1mm 미만)이 없고 LT가 적어도 70 %, 80 % 또는 90 % 이며, 투명 지지체 및 열가소성 스트립 어셈블리는 LT가 적어도 70 %이고 헤이즈가 5 % 미만이고 및/또는 다른 투명 (열) 플라스틱 스트립은 헤이즈가 5 % 미만이고 기포 결함들 (크기 0.1mm 미만)이 없고, LT가 적어도 70 %, 80 % 또는 90 %이고, 투명 지지체 및 열가소성 스트립 어셈블리는 LT가 적어도 70 %이며 헤이즈가 5 % 미만이다;
- 상기 플라스틱 스트립은 적어도 한 면 및 심지어 두 면에서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최대 10cm) 및/또는 상기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적어도 한 면 및 심지어 두 면에서 전면으로 부터 돌출되고 (최대 10 cm), 및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한다;
- 적층 중간층은 폴리(비닐 부티랄)(PVB), 특히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구멍 또는 슬롯이 있는 PVB로 만들어지며, 선택적으로 다음과 같다:
- 특히 차량 앞유리(windshield) 또는 지붕 용으로는 방음이고 및/또는 특히 앞 유리용으로는 쐐기형 이다;
- 선택적으로 (가열 등) 금속 와이어를 갖는다;
- 또는 복합 PVB/기능성 플라스틱 필름 요소 또는 제1 PVB/기능성 플라스틱 필름/제2 PVB 복합체 요소를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 또는 PET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기능성 플라스틱 필름은 특히 전기 전도성인 기능성 층, 특히 제1 PVB에 막힌 구멍 또는 슬롯을 갖는 PVB를 포함한다.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은 특히 다음에서 선택될 수 있다:
- 정전용량성 또는 유도성 제어 스위치, 안테나;
- 하나 이상의, 특히 이산의, 이산의(discrete) (광) 전자 부품들 (상기 지지체의 전면에 표면 장착됨), 특히 폭 W2 <20 mm 이고, 특히 센서, 카메라, 포토 다이오드 또는 마이크로 LED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
- I) 플라스틱 스트립과 적층 중간층은 지지체의 전면과 접착 접촉하고, 특히 적층 중간층은 하나 이상의 (광) 전자 부품을 수용하고, 특히 e'2> 0.15 mm 및 e2 <0.15 mm 및 심지어 e3 <0.15 mm이고, 관통 또는 블라인드 개구, 바람직하게는 (광) 전자 부품 당 하나의 전용 개구에서, 선택적인 다른 연결 요소는 중간층과 접착면 사이에 있고 하나 이상의 개구를 덮고;
- 또는 m)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플라스틱 스트립없이 장치 위에 단독으로 있고, 선택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광) 전자 부품과 수직으로 천공되고, 특히 e'2 <0.15 mm 및 e2 <0.15 mm 및 심지어 e3 <0.15 mm이고 e3은 e2 이상, 특히 (광) 전자 부품 당 하나의 구멍이고, 적층 중간층 (바람직하게는 PVB)은 후면과 접착제 접촉한다.
특히 폭(W'2)이 최대 10 mm 및/또는 폭이 최대 2 mm 또는 1 mm 인 적층 글레이징의 센서는 예를 들어 다음 센서들 중의 하나 이상에서 선택된다:
- 일반적으로 100 mm²에서 600 mm²크기의 빗물 감지기 (바람직하게는 와이퍼 구역에서);
- 가시 스펙트럼의 카메라 (충돌 방지 탐지기, 이동 중이든 아니든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탐지기) 또는 적외선 카메라 (야간 투시, 이동 중이든 아니든 물체 또는 사람에 대한 충돌 방지 탐지기, 예를 들어 사다리꼴 모양, 또는 심지어 입체 영상을 위한 동일한 유형의 복수의 카메라, 특히 CCD (charge-coupled device) 및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영상 센서;
- 일반적으로 1.2 x 1.4 mm²내지 1.4 x 1.8 mm²크기 또는 최대 0.7 mm 및 심지어 0.7 mm의 두께(e'2) 및/또는 최대 2 mm의 폭(W'2)을 갖는, 광 다이오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일반적으로 6 개) 광 센서들, 예를 들어 AVAGO TECHNOLOGIES사의 APDS-9005;
- 온도계, 열전대, 일반적으로 두께가 0.5 mm 이하인 와이어;
- 일반적으로 직경 12 내지 150 μm 크기의 전도성 와이어 또는 전기 전도층 (F2 또는 F3면 상에)에 의한 경보 센서 (글레이징의 무결성 결함 감지 등);
- 예를 들어 빗물 감지기에 통합된 일반적으로 크기가 100 내지 200cm²인 김서림 방지, 결로 방지 또는 서리 방지 장치로서 (저항성 등) 가열 요소에 연결된 결로 감지기;
- 특히 적층 내부에 또는 중합체 재료 (필름 등)에 내장되어 있는, 전자기 (라디오, TV, 특히 Bluetooth, Wi-Fi, WLAN과 같은 로컬 통신 네트워크)파를 수신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두께가 12 μm 내지 0.5 mm 인 전도성 와이어인 안테나 형성 센서;
- 방음 센서 (압전 소자 기반);
- 바람직하게는 면 F2 상에 있는 (예를 들어 압전 소자에 기초함) 초음파 신호 검출기;
-(전체 표면) 전기 전도층에 기초한 진단 센서 (차량 적층 글레이징, 특히 윈드쉴드 또는 측면 글레이징 결함);
- 예를 들어 IR 제어 또는 음성 (압전) 제어등 (와이퍼 등) 제어 감지기.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은 특히 적어도 20 mm 및 심지어 50 mm의 폭( W2)을 갖는 표면 시스템일 수 있으며, 특히 다음에서 선택된다:
- OLED 유기 발광 시스템 (픽토그램 등을 형성할 수 있음), TFEL (thin film electroluminescent element, 박막 전계 발광 소자) 또는 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표면 조명 시스템;
- 예를 들어 AMOLED 기술과 같은 모든 기술을 사용하는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시스템 (스크린)
-(가변 산란) 액정 시스템, 특히 PDLC 시스템 (윈드 실드, 사무실 파티션 등의 상단 밴드), 라이트 밸브, 전기변색(electrochromic) 시스템 - 특히 적층 중간층은 장치를 (슬롯을 통해) 수용한다 - ;
및 / 또는 :
i) 상기 플라스틱 스트립은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 없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상에 있으며, 특히 상기 플라스틱 스트립은 돌출되어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고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의 전면과 접착제 접촉한다;
또는 j)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이 플라스틱 스트립 없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상에 있고, 특히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이 돌출되어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고 적층 중간층은 지지체의 후면과 접착제 접촉하고;
또는 k) 상기 플라스틱 스트립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상에 있고, 특히 돌출되어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고,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상에 있으며, 특히 돌출되어 적층 중간층 (시트)과 접착제 접촉한다.
AMOLED 스크린에 대해서는 특허 WO2017/115040, WO2017/115041, WO2017/115042 및 WO2017/115043에 기술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픽토그램을 형성하고 또는 픽토그램 (에나멜 등)을 백라이팅(backlighting) 하는 OLED 경우, 특허 WO2017103425 및 WO2017103426에 설명된 것들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거용 파티션과 같은 액정 시스템의 경우, 특허 WO2011/161391 및 WO2012/045973에 설명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액정 시스템, 예를 들어 윈드실드의 태양 보호 밴드 또는 라이트 밸브(light valve) (SPD)의 경우, 특허 DE 102013001334 A1, DE 102005049081 B3, DE 102005007427 A1, DE 102007027296 A1 및 US-2015-0331296에 설명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발광 터치 스위치에 대해서는 특허 WO2018/002707 또는 WO2018/002723에 설명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선택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광원 (LED, OLED, TFEL, QLED 등)의 전면에는 콜리메이션 광학 장치 (collimation optic) (프레넬 렌즈, 프리즘 필름, 교차 프리즘 필름, 2D 패턴 네트워크가 있는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콜리메이션 광학 장치와 접촉하는 유리면 사이에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 또는 적층 중간층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 창의 경우, 광원과 콜리메이션 광학 장치로 구성된 어셈블리는 (제3의) 정지등 또는 표시등 (사이드 리피터, side repeater), 위치등 또는 측면등을 형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창 또는 전면 윈드쉴드의 경우)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MV) 적색으로 방출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및 주변의 수평인 발광 스트립이고; 예를 들어 (후면 창 또는 전면 윈드쉴드의 경우) 광원은 바람직하게 (MV) 노란색으로 방출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및 주변이고 수평, 특히 창의 하단 또는 측면 경계에서 수평인 발광 스트립이다.
바람직하게는, 발광 시스템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바람직하게 누적된 특징이 선호된다:
- 발광 시스템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즉 소위 OLED, 특히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 (TOLED) 또는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 즉 소위 QLED이고;
- 발광 시스템은, 특히 OLED 또는 QLED로서, 투명하고 광 투과율이 적어도 20 %, 심지어는 적어도 50 %이다.
- 발광 시스템은 지지체 (투명 또는 불투명 또는 불투명 층을 갖는)를 포함하는 후면 발광 OLED이며, 지지체에서 시작하여 전면 측에 다음 순서로 포함한다: 선택적 기능성 하부층, 투명 양극, 유기 발광 시스템 또는 반사 음극.
OLED는 또한 어셈블리 (활성 영역)를 덮는 캡슐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투명하거나 심지어 접착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인 수지, 전기 전도성 구역이 제공된 이 플라스틱 필름은 전기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발광 시스템은 면 F1 또는 F2상의 마스킹 층 (에나멜 등)에 의해 외부로부터 마스킹될 수 있다.
적층 중간층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시트로 형성된다. Solutia 또는 Eastman의 RC41과 같은 기존 PVB가 선택될 수 있다.
적층 중간층은 특히 폴리비닐 부티랄 (PVB) 및 가소제를 기반으로 하는 진동-음향 감쇠 특성을 갖는, 점탄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중앙 층이라고 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및 중간층을 포함하고, 표준 PVB로 만들어진 두 개의 외부 층들을 더 포함하며, 중앙 층은 두 외부 층들 사이에 있다. 방음 시트의 예로서, 특허 EP 0 844 075가 언급될 수 있다. 특허 출원 WO2012/025685, WO2013/175101에 설명 된 방음 PVB, 특히 WO2015079159에서와 같이 착색된 음향 PVB를 언급할 수 있다.
적층 중간층은 방음 PVB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착색된 PVB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적층 중간층은 그 두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PVB이다. 착색된 부분은 적어도 (심지어 기껏해야) 발광 소자 (OLED, QLED 등)와 면 F2 사이에 있다.
특히 얇고 두께가 1.1mm 미만인 유리, 바람직하게는 적층 글레이징의 내부 유리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적으로 강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특허 출원 WO2015/031594 및 WO2015066201의 예를 언급할 수 있다.
객실 난방을 제한하거나 에어컨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제1 글레이징 또는 글레이징들 중의 하나 (바람직하게는 외부 글레이징)는 착색된다. 더욱이, 특히 적층 글레이징은 또한 태양 복사를 반사 또는 흡수하는 층, 바람직하게는 면 F4 또는면 F2 또는 F3, 특히 투명한 전기 전도성 산화물 층, 즉 TCO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심지어 적어도 하나의 TCO 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들의 스택(stack),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은 층을 (바람직하게는 적층 글레이징의 경우 F2 또는 F3 상에) 포함하는 얇은 층들의 스택, 또는 각각의 은 층은 유전체 층들 사이에 위치한다.
F2 및/또는 F3면에 (은 함유) 층을, F4면에 TCO 층을 동시에 갖는 것이 가능하다.
(투명한 전기 전도성 산화물의) TCO 층은 바람직하게는 불소 도핑된 주석 산화물 (SnO2 : F) 층 또는 혼합된 인듐 주석 산화물 (ITO) 층이다.
다른 층들도 가능하며, 그중에서 혼합 인듐 아연 산화물들 ("IZOs”라고 함)을 기초로 하는, 갈륨 도핑 또는 알루미늄 도핑 산화 아연을 기초로 하는, 니오븀 도핑 산화 티타늄을 기초로 하는, 카드뮴 또는 아연 주석산 염을 기초로 하는, 또는 안티몬 도핑된 주석 산화물에 기초한 얇은 층들이 가능하다. 알루미늄 도핑 산화 아연의 경우, 도핑 레벨 (즉, 총 중량에 대한 산화 알루미늄의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3 % 미만이다. 갈륨의 경우, 도핑 레벨은 더 높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5 내지 6 % 범위 내에 있다.
ITO의 경우, Sn의 원자 백분율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 특히 10 내지 60 % 범위 내에 있다. 불소 도핑된 산화 주석을 기반으로 하는 층의 경우, 불소의 원자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5 %, 일반적으로 1 내지 2 %이다.
ITO는 특히 SnO2 : F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전기 전도도가 높을수록 동일한 방사율 수준을 얻기 위해 그 두께가 더 작아질 수 있다. 캐소드 스퍼터링 공정, 특히 마그네트론 캐소드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쉽게 증착되는 이러한 층들은더 낮은 거칠기와 따라서 더 낮은 오염 경향을 특징으로 한다.
불소 도핑 산화 주석의 장점 중 하나는 화학 기상 증착 (CVD)에 의한 증착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이는 음극 스퍼터링 공정과 달리 후속 열처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플로트 평면 유리 생산 라인에 구현될 수 있다.
용어 "방사율"은 표준 EN12898의 의미 내에서 283 K에서의 정상 방사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낮은 방사율 (TCO 등) 층의 두께는 원하는 열 성능 품질에 따라 원하는 방사율을 얻기 위해 층의 특성에 따라 조정된다. 낮은 방사율 층의 방사율은 예를 들어 0.3 이하, 특히 0.25 이하 또는 0.2 이하이다. ITO로 만들어진 층들의 경우, 두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40 nm 또는 적어도 50 nm, 심지어 적어도 70 nm, 종종 최대 150 nm 또는 최대 200 nm이다. 불소 도핑된 산화 주석으로 만들어진 층들의 경우, 두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120 nm, 또는 심지어 적어도 200 nm 및 종종 최대 500 nm이다.
예를 들어, 저 방사율 층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된다: 고 굴절률 하부층/저 굴절률 하부층/TCO 층/선택적 유전체 상부층.
낮은 방사율 층의 바람직한 예를 (템퍼링 동안 보호되고, 고 굴절률 하부층(<40nm)/저 굴절률 하부층(<30nm)/ITO 층/고 굴절률 상부층(5))의 바람직한 예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15 nm))/저 굴절률 배리어 상부층(<90 nm)/최종 층 (<10 nm) 선택할 수 있다.
저 방사율 층으로서, 특허 US2015/0146286, 면 F4에 대해, 특히 실시예 1 내지 3에 기재된 것들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
-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이 착색되고 및/또는 적층 중간층이 그 두께의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 착색된다;
- 및/또는 지붕 글레이징의 F2 면 또는 F3 면 또는 F4 면 - 바람직하게는 F4 면 - 은 저 방사율 층, 특히 투명한 전기 전도성 산화물 층 (즉, TCO 층이라고 함)을 포함하는 층으로 코팅되고 특히 TCO 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들의 스택(stack) 또는 하나 이상의 은 층들을 포함하는 얇은 층들의 스택으로 코팅된다;
- 및/또는 지붕 글레이징의 F2 면 또는 F3 면 또는 F4 면 - 바람직하게는 F3 면 - 이 태양광 제어층, 특히 투명한 전기 전도성 산화물 층 (즉, TCO 층이라고 함)을 포함하는 층으로 코팅되고 특히 TCO 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들의 스택 또는 하나 이상의 은 층들을 포함하는 얇은 층들의 스택으로 코팅된다;
- 및/또는 추가 착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등과 같은 중합체) 필름이 F2와 F3면 사이에 또는 F4면에서 (접착된) 실제로 면 F1에서도 존재한다.
특히, 면(F4)은 바람직하게는 터치 버튼 (제1 발광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을 형성하는 구역 (전기가 공급되므로, 하나의 전극임)을 포함하는 TCO 층을 포함하는 투명한 기능성, 특히 저 방사율 층으로 코팅된다.
기능성 층 F2 면 (또는 변형으로 F3 면) 측을 포함하는 투명 (PET 등) 필름은 정전 용량성 터치 스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보호막의 문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물론 임의의 차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다이오드는 칩 온 보드 타입이거나 또는 심지어 매우 바람직하게는 주변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면 실장 장치 (SMD)일 수 있다.
(칩 온 보드 또는 SMD) 다이오드는 소형화를 촉진하기 위해 광학 요소 (반도체 칩 (재료에 내장되어 있거나 있지 않는) 위에)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는 에폭시로 만들어집니다. 중합체 패키지는 적층 중에 선택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적층 후 최종 두께는 초기 두께 미만일 수 있다). (폴리머) 패키지는 불투명 할 수 있다.
무기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인화 갈륨, 질화 갈륨 또는 질화 알루미늄 갈륨을 기반으로 한다.
Osram에서 판매하는 Oslon Black Flat 제품군을 다이오드로 언급할 수 있다. 적색광의 경우 Osram에서 판매하는 다이오드로서 Oslon Black Flat Lx H9PP를 언급 할 수 있다. 주황색 (황색) 조명의 경우 오스람에서 판매하는 다이오드로서 LCY H9PP를 언급할 수 있다. 백색광의 경우 Osram에서 판매하는 다이오드로 LUW H9QP 또는 KW HxL531.TE를 언급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x = 다이오드 내의 칩 수 (예 : 4 또는 5)이다.
Krempel의 Akaflex® 제품군 (특히 PCL FW)에 대해 유연한 PCB로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들 및 OLED들에 의한 내부 발광 신호를 포함하는 도로상의 자동차의 적층 윈드쉴드의 정면도이다.
도 1bis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다이오드들 및 OLED들에 의한 내부 발광 신호를 포함하는 도로상의 자동차의 적층 윈드쉴드의 정면도이다.
도 1a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다이오드들 및 OLED들에 의한 내부 발광 신호를 포함하는 도로상의 자동차의 적층 윈드쉴드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발광 신호를 갖는 적층 후방 창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 발광 신호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a는 내부 디스플레이용 콜리메이션 광학 장치 (collimation optic)를 갖는 도 2의 변형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를 갖는 발광 적층 글레이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콜리메이션 광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콜리메이션 광학 장치의 개요이다.
도 2bis는 도 2의 변형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를 갖는 발광 적층 글레이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c는 다이오드 지지대에 장착된 표면 실장 다이오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전자부품를 통합한 적층 글레이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다이오드 지지체를 갖는 다이오드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적층 중간층을 사용하고 점 접착제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사전 조립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적층 중간층을 사용하고 점 접착제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사전 조립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플라스틱 스트립 및 점 접착식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사전 조립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는 플라스틱 스트립 및 점 접착식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사전 조립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b는 플라스틱 스트립 및 점 접착식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사전 조립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유리 시트와 적층 사이에 배치하기 전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후방 플라스틱 스트립 및 중간층 사전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유리 시트와 적층 사이에 배치되기 전의 장치, 후방 플라스틱 스트립 및 적층 중간층 사전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예를 들어 표면의, 장치, 가령 광 기능 (선택적으로 픽토그램을 형성하는)용 OLED 또는 OLED 스크린과 같은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의 F1 측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9b는 이 글레이징을 단면으로 보여준다.
도 9c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예를 들어 표면의, 장치, 가령 광 기능 (선택적으로 픽토그램을 형성하는)용 OLED 또는 OLED 스크린과 같은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의 F1 측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9d는 이 글레이징을 단면으로 보여준다.
도 10은 도 9d의 글레이징을 형성하기 위해 유리 시트와 라미네이션 사이에 배치되기 전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플라스틱 스트립 및 중간층 사전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유리 시트와 라미네이션 사이에 배치하기 전의 도 9d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플라스틱 스트립 및 중간층 사전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요소들은 축척에 맞지 않으며 도면들은 개략적이다.
도 1은 전방에 차량 한대가 있는 3 차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윈드쉴드(1000)를 (차량 내부에서 볼 때) 도시한다.
윈드 실드는 내부 발광 신호를 포함한 적층 글레이징이며 다음을 포함한다:
- 적층 글레이징의 외부 글레이징과 내부 글레이징(1') 사이에 통합된, PCB (3)로 지칭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의 전면(30)상의 6 개의 다이오드들(4)의 제1 세트: 일렬로 된 다이오드들은 하부 길이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윈드쉴드의 가장자리 구역의 투명 유리 구역에, 선택적으로는 외부 글레이징의 주변 마스킹 구역 (불투명 에나멜 등) 내에 또는 그 부근에, 또는 심지어, 변형예에서, 외부 및/또는 내부 글레이징의 마스킹 영역 (불투명 에나멜과 같은 불투명한 층) 및 투명 영역 (다이오드를 향한)이 교대된 영역에 배치된다;
- 적층 글레이징의 외부 글레이징과 내부 글레이징(1') 사이에 통합된, PCB (3)로 지칭되는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전면(30)상의 6 개의 다이오드들(4)의 제2 세트: 일렬로 된 다이오드들은 (왼쪽)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윈드쉴드의 가장자리 구역의 투명 유리 구역에, 특히 운전자 쪽에, 선택적으로는 외부 글레이징의 주변 마스킹 구역 (불투명 에나멜 등) 내에 또는 그 부근에, 또는 심지어, 변형예에서, 외부 및/또는 내부 글레이징의 마스킹 영역 (불투명 에나멜과 같은 불투명한 층) 및 투명 영역 (다이오드를 향한)이 교대된 영역에 배치된다;
- 적층 글레이징의 외부 글레이징과 내부 글레이징(1') 사이에 통합된, PCB (3)로 지칭되는 제3 인쇄 회로 기판의 전면(30)상의 6 개의 다이오드들(4)의 제3 세트: 일렬로 된 다이오드들은 (오른쪽)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윈드쉴드의 가장자리 구역의 투명 유리 구역에, 특히 탑승자 쪽에, 선택적으로는 외부 글레이징의 주변 마스킹 구역 (불투명 에나멜 등) 내에 또는 그 부근에, 또는 심지어, 변형예에서, 외부 및/또는 내부 글레이징의 마스킹 영역 (불투명 에나멜과 같은 불투명한 층) 및 투명 영역 (다이오드를 향한)이 교대된 영역에 배치된다;
이 다이오드들, 특히 제1 어셈블리는 빨간색 빛을 발산하여 앞 차 (또는 다른 동력 수단 또는 동물)가 너무 가까이 감지되면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앞 차가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으면 (안전 거리 준수), 다이오드들이 꺼진다.
이 다이오드들, 특히 제2 어셈블리는 자동차 (또는 다른 동력 수단 또는 동물)가 자동차의 좌측에 너무 가까이 감지될 때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적색광을 방출 할 수 있다. 신호등은 차량이 위험한 거리에 있을 때의 하나의 색(예를 들어 주황색 또는 황색)에서 더 짧은 거리에 있을 때 및 심지어 더 위험한 거리에 있을 때 다른 색, 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필요한 수 만큼 많은 수의 다이오드들이 제공되고, 예를 들어 적색 다이오드와 주황색 다이오드가 교대로 있는 일련의 다이오들들 또는 한 색깔 당 일렬의 다이오드들이 제공된다. 또한 적어도 3 가지 시그널링 레벨 (3 가지 컬러)을 가질 수 있다.
차량은 이러한 위험한 상황들 (안전 거리 미준수 등)을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바람직하게는 다이오드 세트당 하나)와 다이오드들을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를 통합한다.
다이오드들은 반드시 일렬로 있을 필요는 없고, 특히 글레이징의 가장자리와 평행하다. 다이오드들(4)을 갖는 PCB들(3)은 예를 들어 드라이버 측 하부 사분면에있다.
필요한 경우 전면 윈드쉴드에 거의 보이지 않는, 예를 들어 두께가 50 μm 인 금속 와이어 세트가 포함되어 있고, 그것은 예를 들어 적층 중간층 (그 전체 면적에 걸쳐서)의 면 F3 쪽의 면에 위치하고 선택적으로 직선인 선들의 형태이다.
그것들이 투명한 유리 구역에 있으므로 PCB들(3)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PCB(3)는 얇고 투명한 (후면) 열가소성 스트립으로 접착되며, 그 두께(e3)는 최대 0.15 mm이고 100 μm 보다 더 작고 PCB와 크기가 동일하며, 스트립은 (면 F2를 향하여 있는) 보드의 후면 측에 접착되고 그 전체 표면은 접촉면이라고 불리는 면 F2와 접착제 접촉한다.
적층 전에, 각각의 PCB(3) 및 후면 투명 열가소성 스트립으로 지칭되는 것이 사전 조립된 요소를 형성한다. 사전 조립된 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변형예로서, 얇고 투명한 열가소성 스트립은 최대 0.15 mm 및 100 μm 미만의 두께(e3)을 가지며 PCB 크기와 동일하며, 이 스트립은 전면 스트립으로 지칭되고 (면 F3를 향하는) 보드의 전면(30)에 접착되고, 그것의 전체 표면은 접착면이라고 지칭되는 면(F3)과 접착제 접촉한다. 그 후, 전면 스트립은 다이오드들 또는 다른 대안적인 이산 (광) 전자 부품들 (센서 등) 또는 추가로, 예를 들어 두께 e'2 < 0.15 mm를 갖는 초박형 부품에 수직으로 천공될 수 있다. 적층 전에, 전면 투명 열가소성 스트립은 사전 조립된 요소를 형성한다. 사전 조립된 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윈드쉴드는 2 개의 다른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표면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그 모양은 직사각형(4', 4"), 예를 들어 윈드쉴드의 중간에 및 하부 및 상부 길이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OLED 스크린들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스크린들은 예를 들어 투명하며, 투명한 유리 영역에 있다.
일 구성에서, 투명하거나 투명하지 않을 수 있는, 전면 스트립으로 지칭되는, 얇은 열가소성 스트립은 최대 0.15 mm이고 더더욱 최대 100 μm의 두께(e3)를 가지며, OLED 크기와 동일하다. 그 스트립은 OLED 스크린의 전면 (발광 시스템 측)에 접착되고, 그 전체 표면이 (코팅되지 않았거나 코팅될 수 있는) 접착면으로 지칭되는 면 (F3)과 접착제 접촉한다. 적층 전에, OLED 스크린 및 전면 투명 열가소성 스트립은 사전 조립된 요소를 형성한다. 사전 조립된 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나의 추가 또는 대안적인 구성에서, 후면 스트립으로 지칭되는 얇은 투명 열가소성 스트립으로서, 그 두께(e'3)는 최대 0.15 mm이고 더더욱 최대 100 μm이며, 크기는 OLED와 동일하다. 이 스트립은 OLED 지지체 표면 (그의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 PET이다)에 접착되고, 그 표면 전체가 (코팅되지 않을 수 있거나 코팅될 수 있는) 접촉면이라고 지칭되는 면(12) (F2)과 접착 접촉한다. 적층 전에, OLED 스크린 및 후면 투명 열가소성 스트립은 사전 조립 된 요소를 형성한다. 사전 조립된 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적층 전에, 각각의 장치(4, 4') 및 전면 및/또는 후면 투명 열가소성 스트립은 사전 조립된 요소를 형성한다. 사전 조립된 요소를 제조하는 것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OLED 스크린들 또는 다른 장치들 등을 제어하기 위해 적층 글레이징에 발광성 터치 버튼을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이 정전 용량성 스위치는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전면 및/또는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으로 사전 조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다이오드 및/또는 OLED, QLEDS 또는 TFEL을 갖는 발광 적층 지붕을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변등, 장식등 또는 면 (F4)을 향하는 독서등을 제공한다.
전면 표면에, 바람직하게는 콜리메이션 광학 장치와 유리 접촉면 사이의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 또는 적층 중간층 없이 콜리메이션 광학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bis는 자동차의 또 다른 윈드쉴드를 도시하고, 윈드실드(1000)는 제1 실시예의 변형에서 발광 신호를 포함한다.
(불투명한 지지체 및/또는 불투명한 전도성 트랙과 같은) 불투명한 3 개의 PCB(3)의 더 많은 주변 위치에서 도 1의 윈드실드와 다르다. 면(12) F2는 바람직하게는 블랙 에나멜로 제조된 전체 마스킹 프레임을 포함하고, 면 F4(14) (또는 면 (13) F3)는 다이오드들(4)와 정렬된 개구들(70)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블랙 에나멜로 만든 마스킹 프레임(72)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면 또는 후면 열가소성 어셈블리 스트립(5)은 투명 (착색등)이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이 스트립(5)은 마스킹 층(71)과 접착제 접촉한다.
또한, 윈드실드의 바닥에 있는 OLED 스크린(4')은 에나멜링 구역에 있으며, 스크린(4')의 구멍(70)이 스크린(4')와 수직으로 만들어져 있다.
도 1a는 도로상의 자동차의 윈드쉴드의 정면도이며, 윈드쉴드(1000')는 제1 실시예의 변형에서 다이오드들에 의한 내부 또는 외부 발광 신호를 포함한다.
신호의 위치와 타입이 도 1의 그것과 다르다.
PCB형 지지체(30C)상의 다오드들의 제1 세트(4c)는 가능하면 중앙 느낌표가있는 삼각형을 형성한다. 따라서 위험 신호를 형성한다.
각각의 PCB형 지지체(30a 및 30b) 상에 있는 다이오드들(4a 및 4b)의 제2 및 제3 세트는 (각각 왼쪽 또는 오른쪽) 표시기가 작동될 때를 나타내는 화살표를 형성한다.
이러한 측면 리피터(side repeaters)의 표시기(indicator)는 외부에서 볼 수 있다 (외부 신호). 왼쪽 표시기를 최대한 왼쪽으로 이동하거나 (다이오드들과 수직인 구멍을 갖는 면 F2위 마스킹 구역에 있을 경우) 또는 그것을 둘로 나누고 및 오른쪽 표시기를 최대한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다이오드들과 수직인 구멍을 갖는 면 F2위 마스킹 구역에 있을 경우) 또는 둘로 나눈다.
각각의 PCB(30a, 30b 및 30c)는 얇은 열가소성 스트립과 접착되며, 그 두께 (e3)는 최대 0.15 mm이고 PCB의 크기와 동일하며, 스트립은 (면 F2를 향하는) 보드의 후면 쪽에 접착되고 그 전체 표면은 접촉면이라고 지칭되는 면(F2)과 접착제 접촉한다.
적층 전에 각 PCB(30a, 30b 및 30c)와 열가소성 스트립은 사전 조립된 요소를 형성한다.
투명 유리 영역에 있다면, PCB들(30a, 30b, 30c)과 열가소성 스트립들은 바람직하게는 얇고 투명하다. 도 1bis와 유사한 방식으로 주변 마스킹 프레임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또한, 윈드쉴드 중앙 상부 주변 위치에 있는 OLED 스크린(4")은 중앙에서 넓어지는 에나멜링 구역(72)에 있으며, 개구 (70)는 스크린과 수직으로 형성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발광 신호(100")를 갖는 후면 창의 개략적인 정면도(면 F1 또는 면 12측)이다.
중앙 구역 (13')에서, 제 3 정지등(101)은 예를 들어 상부 길이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PCB(3) 상에 6 개의 적색 다이오드들(4)로 형성된다.
각각의 측면 구역(14')에서, 표시기(102)가 예를 들어 바로 그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PCB(3)상에 황색으로 방출하는 6 개의 다이오드들(4)로 형성되고, 또는 예를 들어 바로 그 하단 길이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PCB(3)상의 6 개의 다이오드들(4)로 신호등(103)이 형성된다.
각 PCB(3)는 두께(e3)가 최대 0.15mm이고 크기가 PCB와 동일한 얇은 열가소성 스트립으로 접착되며, 스트립은 (면 F3로 향하는)보드의 뒷면 쪽에 접착된다. 그 전체 표면은 접촉면이라고 하는 면 F3와 접착제 접촉한다.
적층 전에 각 PCB(3)와 열가소성 스트립은 사전 조립된 요소를 형성한다.
투명 유리 영역에 있는 경우 PCB들(3) 및 열가소성 스트립들은 바람직하게는 얇고 투명하다. 도 1bis와 유사한 방식으로 그것들은 주변 마스킹 프레임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후면창은 예를 들어 윈드 실드의 중간에 및 하부 길이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OLED와 같은 직사각형(4') 형상인 또 다른 표면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OLED는 투명하고 투명한 유리 영역에 있다.
일 구성에서, 전면 스트립(front strip)으로 지칭되는, 투명하거나 투명하지 않을 수 있는 얇은 열가소성 스트립은 두께(e3)가 최대 0.15mm이고 더더욱 최대 100μm이고 크기가 OLED와 동일하다. 그 스트립은 OLED의 전면 표면(발광계 쪽)에 접착되고, 그 전체 표면이 접착면으로 불리는 면 F3와 접착제 접촉한다. 적층 전에 OLED와 전면의 투명한 열가소성 스트립이 사전 조립된 요소를 형성한다.
하나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구성에서, 후면 스트립이라고 지칭되는 얇고 투명한 열가소성 스트립은 두께(e'3)는 최대 0.15 mm 이고 더더욱 최대 100 μm이고 OLED와 크기가 동일하고, OLED 지지체의 표면(이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 PET이다) 및 그 전체 표면이 접촉면으로 지칭되는 면 F2와 접착제 접촉을 형성한다. 적층 전에 OLED 및 후면의 투명 열가소성 스트립이 사전 조립된 요소를 형성한다. 적층 전에, 장치(4)와 전면 및/또는 후면의 투명 열가소성 스트립은 미리 조립된 요소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사이드 리피터(side repeater) 지시기 또는 예를 들어 광고, 정보 또는 장식 디스플레이와 같은 외부 발광 신호를 갖는 (고정 또는 개방) 측면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적층 글레이징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발광 신호(100)를 갖는 내부 전면 윈드 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곡선 적층 글레이징을 포함한다 :
- 제1 글레이징(1): 예를 들어, TSA 유리로 만들어지고 두께가 2.1mm 이며, 바람직하게는 착색되고, 각각 면 F1 및 면 F2라고 하는 제1 및 제2 주면들(11, 12) 및 가장자리면(10)을 갖는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한다;
-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재료로, 여기서는 PVB로, 만든 투명한 적층 중간층(2): 그것은 두께(e1)가 서브 밀리미터 크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1 m, 통상적으로 약 0.38 mm인 PVB이고, 예를 들어 두께 약 0.76 mm인 PVB 시트 (Solutia 또는 Eastman의 RC41) 또는 변형으로서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두께가 0.81 mm인 (3 층 또는 4 층) 방음 PVB이고, 면 F3측 FB면은 선택적으로 특히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를 향하는 표면을 (실질적으로) 커버하는 금속 와이어 세트를 포함한다;
- 제2 글레이징(1'): 예를 들어 TSA 또는 투명 또는 초 투명 유리 및 2.1 mm 또는 심지어 1.6 mm 또는 심지어 더 작은 두께의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며, 각각 면 F3 및 면 F4라고 불리는 제3 및 제4 주면들(13, 14)을 가지며,면 F4는 선택적으로 기능성 층 (low-E 층 등)으로 코팅되고, 면 F2 및 면 F3는 적층 글레이징의 내부면(12, 13)이다;
- 한 셋트의 무기발광다이오드들(4): 표면 실장 장치(SMD)이고, 예를 들어 가장자리면(34)이 있는 PCB(3)와 같은 지지체 위에서 빨간색을 방출하고, PCB + 다이오드 어셈블리는 총 두께가 et2 ≤ e1이고 e1-et2가 최대 0.5 mm,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0.2 mm 이고, 다이오드는 종종 0.15 mm보다 큰 서브 밀리미터 크기의 두께(e2)를 갖고 PCB(3)는 두께(e'2)가 최대 0.15 mm, 예를 들어 50 내지 100 μm이고, 면 F3을 향하는 전면(front face)(30)이라 불리는 면과 면 F2 즉 면(12)에 대향하는 후면(back face)(30')을 갖고 있으며, 각 다이오드는 내부 글레이징(1') 방향으로 방출하는 방출면을 가지며 각 다이오드는 가장자리면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다이오드에 대해, 적층 중간층은 다이오드의 에지면을 둘러싸고 에지면과 접촉하는 개구 (여기서는 관통 개구)를 포함하는 영역(21)이다. 적층 전에 단일 PVB 시트에 스루 홀(through-hole)들이 만들어지며, 그 폭은 다이오드들(4) 측면에서 약간 더 크다. 리플로우(reflow)에 의한 적층 동안 PVB는 전면과 면 F3사이에 사이에 오지 않고 다이오드들(4)과 접촉할 수 있다.
변형으로서 막힌 홀(blind hole)이 있는 PVB가 사용되거나 관통 홀이 있는 이 시트가 유지되고 전체 표면 PVB 또는 PVB/기능성 PET/PVB 후면 시트(다른 기능 등을 위한 다른 두꺼운 요소들을 삽입하기 위해)가 추가된다(F3와 전면 시트라고 하는 천공 시트 사이). 적층 후, 다이오드는 막힌 홀 안에 있고 전면은 바람직하게는 홀의 바닥과 접촉하거나 그로부터 최대 0.2 mm 또는 최대 0.1 mm만큼 이격된다.
다이오드들(4)(여기서는 단일 반도체 칩을 갖는)은 정사각형 모양이고 폭이 약 5 mm 이하이다. 다이오드는 칩 온 보드 유형이거나 심지어 매우 바람직하게는 주변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면 실장 장치(SMD)일 수 있다.
여기에서, 투명 유리 영역에서, 예를 들어 PET, PEN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과 같은 투명 필름을 포함하는 가능한 가장 얇고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가장 이산적이인 플렉시블(flexible) PCB(3) (최소의 폭 또는 심지어 투명한)이 선택될 것이고, 심지어 인쇄 회로의 경우에도 투명한 연결 트랙들이 선택될 수 있다(그것들이 충분히 얇게 만들어지지 않는 한 구리로 만들어진 트랙 대신). PCB는 적층 글레이징의 가장자리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적층 중간층(2)은 다이오드를 제외한 PCB의 전면(front face) 전체에 걸쳐 면(F3)와 PCB(3)의 전면 사이의 적층 글레이징에 존재한다. 적층 중간층(2)은 후면(30')에 존재하지 않는다.
적층 전에 PCB(3)를 얇은 열가소성 스트립(5)에 접착하는데, 스트립의 두께(e3)는 최대 0.15 mm, 특히 25 내지 100 μm, 40 내지 70 μm, 심지어 최대 50 μm이며,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와 크기가 같고 또는 가장자리 면(34), (면 F3로 향하는) 보드의 후면(30')에 스트립이 접착되는 전면(front face)(50) 및 접촉면이라고 불리는 면 F2(12)와 접착제 접촉하는 후면(back face)(50')의 전체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적층 전에, 각각의 PCB(3) 및 열가소성 스트립(5)은 사전 조립된 요소를 형성한다.
열가소성 스트립은 15 중량% 미만의 가소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 특히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비닐 부티랄) (PVB)를 기반으로 한다. 적층 중간층은 기존의 폴리(비닐 부티랄) (PVB)로 만들어진다.
특히, 가소제가 없고 원하는 두께(e3)를 갖는 PVB 스트립용으로 KURARAY의 "MOWITAL LP BF"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변형에서, 다이오드를 보호하기 위해, PVB의 면(13) F3 및 면(20) 사이에 유사한 크기, 성질 및 두께(e'3) 인 또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이 추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41)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이고, 전자 부품의 가장자리 면을 캡슐화하고 (다이오드의 가장자리 면을 정의하는) 폴리머 또는 세라믹 주변 패키지(42)가 제공되며, 상기 패키지는 반도체 칩을 둘러싼다.
패키지는 다이오드의 최대 두께 (높이)(e2)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는 에폭시로 만든다. 폴리머 패키지는 적층 중에 선택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적층 후 최종 두께는 초기 두께보다 작을 수 있음). (폴리머) 패키지는 불투명할 수 있다.
패키지 (모놀리식이거나 두 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됨)는 칩을 운반하는 지지체를 형성하는 부분(42)과 칩보다 높은 지지체로부터 거리에 따라 넓어지는 반사기를 형성하고, 색상 변환 기능이 있는 보호 수지 및/또는 재료를 함유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표면(40)은 뒤로 물러져 있는 칩을 덮는 재료의 표면으로서 또는 반사기의 "전면" 표면의 높이로서 정의될 수 있다.
다이오드는 반도체 칩 바로 위에서 보호용 수지 또는 색 변환 기능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은 재료 (수지 등)에 매립될 수 있다.
도 2aa는 콜리메이션 광학장치(collimation optic)(8)을 추가한 도 2의 변형예에서 다이오드들을 사용한 발광 적층 글레이징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콜리메이션 광학장치는 출력면(80) 측에 인접한 프리즘을 갖고 PVB의 홀(hole)(21)에 다이오에 수용되어 있는 다이오드(4)의 전면 표면 측에 후면(80')을 갖는 프리즘 필름(81)이고, 필름은 러그(lug)(82)에 의해서 PCB 지지체(3)의 전면(front face)에 고정되어 있다. 도 2a는 인접한 프리즘들(80)과 가장자리 면(85)을 갖는 프리즘 필름인 콜리메이션 광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인접한 프리즘들(80)을 갖는 프리즘 필름의 개요이다.
프레넬 렌즈 또는 프리즘 필름과 같은 콜리메이션 광학 장치의 예들은 출원 WO2017203171에 기재되어 있다 (예 : 도 3a 및 도 2'a 내지 2'c). 2 개의 교차 프리즘 필름 또는 2 차원 어레이와 같은 콜리메이션 광학장치의 예들은 출원 WO2017/203175 (예 : 도 2'a 내지 2'c 및 도 1'a 내지 1'z)에 기재되어 있다.
도 2bis는 도 2의 변형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발광 적층 글레이징(200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플라스틱 스트립 (5)이 면 F2 (12)상의 마스킹 에나멜 상에 있고 다이오드들과 수직인 개구(72')가 면 F4(14)상의 마스킹 에나멜(72)에 만들어진다는 점이 다르다.
예를 들어, 전면은 적층 전에 접착제(6')의 스폿(spot)으로 PVB에 접착된다.
본 발명은 다이오드들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센서들(광 다이오드들, 카메라, 등)과 같은 다른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이산형 장치들에 적절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로서 (광)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3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지지체(3)는 이전 도면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얇고 투명한 PVB와 같은 열가소성 스트립에 의해 면 F3인 접촉면(13)에 접착된다.
특히, 지지체는 부분(51)을 통해 가장자리면을 따라 PVB를 넘어 연장되고 면 F4(14)에서 부분(52)에 의해 접혀지고 스트립(5)은 가장자리면 및 면 F4에 접착된다. 커넥터(53)는 부분(52)의 단부에 연결된다.
도 4는 도 2의 변형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발광 적층 글레이징(4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그것은 지지체(3)가 L 자형이고, 다이오드 구역(31) 및 연장부(33)가 와이어(9, 9')에 연결되고 부분적으로 에나멜(7)에 의해 마스킹되어 있는 글레이징 (1')의 가장자리면 (10')에서 돌출된 전력 공급 구역(32)을 갖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5) (설명 목적으로 표시됨)은 동일한, 즉 L 모양을 ㅊㅟ한다. 예를 들어 PVB는 가장자리면(10')에서 뒤로 들어와 있다.
도 5는 적층 중간층을 사용하고 점 접착 접촉(point adhesive contact)에 의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500)의 사전 조립체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바람직하게는 투명,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국소 얇은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5)의 전면(50)의 점 접착 접촉을 도시하며, 점 접착 접촉은 글레이징의 접촉면 F2(12)(도시된 가장자리면(10)) 또는 접착면 F3와 접촉하는 PVB 후면 시트(2)의 연결면(20')과 연결된다. 다이오드들(4)을 위한 지지체(3)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가장자리면(10)으로부터 돌출한다. 플라스틱 스트립(5)의 전면(50)은 다이오드 지지체의 후면에 대향하고 플라스틱 스트립(5)은 가장자리면(34)으로부터 돌출된다.
점 접착 접촉은 PVB와 돌출 스트립(5) 사이의 다이오드 구역(31)의 양쪽에 있는 점 접촉들(60)의 어레이에 의해 달성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PVB 및/또는 플라스틱 스트립(5)은 점 국소 가열에 의해 또는 알코올과 같은 용매에 의해 연화된다.
도 6은 적층 중간층을 사용하고 점 접착 접촉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600)의 사전 조립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상기 사전 조립은 지지체(3)가 바람직하게는 얇고 투명한 후면 프라스틱 스트립(5)와 같이 L자형 이라는 점에서 도 5와 다르다.
도 7은 프라스틱 스트립과 함께 및 점 접착 접촉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700)의 사전 조립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상기 사전 조립은 스트립(5)가 가장자리 면(34)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6과 다르다.
점 접착 접촉은 PCB(3)의 후면(30')과 스트립(5) 사이의 다이오드 구역(31)의 양측에 있는 다이오드 구역(31)의 반대쪽에 있는 점 접촉부(60)의 어레이에 의해 달성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스트립(5)은 점 국부 가열에 의해 연화된다.
도 7a는 플라스틱 스트립(5)과 점 접착 접촉에 의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700a)의 사전 조립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상기 사전 조립은 지지체가 T 자형이고 국부적인 얇은 플라스틱 스트립(5)이 동일하게 T 자형이라는 점에서도 도 7과 다르다.
도 7b는 플라스틱 스트립과 점 접착 접촉에 의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700b)의 사전 조립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상기 사전 조립은 지지체가 U 자형이므로 글레이징(33, 33')에서 두 개의 돌출 확장이 있고 국부적으로 얇은 플라스틱 스트립(5)이 동일하게 U 자형이라는 점에서 도 7과 다르다.
도 8은 유리 시트와 적층 사이에 배치되기 전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국소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5) 및 적층 중간층(2) 사전 조립(800)의 단면도이다.
얇고 투명한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5)의 전면(50)은 국부 가열(7)에 기인하는 접점 어레이(60)를 통해 다이오드(4)용 지지체(3)의 후면(30')과 점 접착 접촉하게 된다.
다이오드 지지체의 전면(30)은 국부 가열(7)로 인한 접점(60)의 어레이를 통해 PVB(2)의 면(20')과 점 접착 접촉하게 된다. 상기 PVB에는 다이오드(4)를 수용하는 개별 관통 구멍(21)이 제공된다.
변형으로서 블라인드 홀일 수 있으며 PVB는 PCB/PET/PVB 어셈블리일 수도 ㅇ있다.
도 8a는 유리 시트와 적층 사이에 배치되기 전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 및 적층 중간층 사전 조립(800')의 단면도이다.
얇고 투명한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5)의 전면(50)은 국부 가열로 인한 접점 (60a)의 어레이를 통해 PVB(2)의 연결면으로 지칭되는 면(20')과 점 접착 접촉하게 된다.
얇고 투명한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5)의 전면(50)은 국부 가열로 인한 접점(6)의 어레이를 통해 다이오드용 지지체(3)의 후면(30')과 선택적으로 점 접착 접촉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다이오드용 지지체의 전면(30)은 국부 가열로 인한 접점(6')의 어레이를 통해 PVB(2)의 면(20')과 점 접착 접촉하게 되며, 상기 PVB(2)에는 다이오드(4)를 수용하는 개별 관통 홀이 제공된다.
도 9a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조명 기능을 위한 OLED (선택적으로 픽토그램을 형성) 또는 OLED 스크린과 같은, 예를 들어 표면 장치(900)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의 F1 측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이 글레이징의 단면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픽토그램 형태의 OLED가 있는 윈드쉴드(windshield), OLED 화면(4) 또는 OLED가 있는 지붕이다. 이것은 건물 글레이징일 수 있다.
발광 적층 글레이징은 곡선이고 다음을 포함한다:
- 제1 적층 글레이징(1): 예를 들어 TSA 유리로 만들어지고 두께가 2.1 mm이고, 외부 글레이징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착색되고, 각각 면 F1 및 면 F2라고 불리는 제1 및 제2 주면(11, 12) 및 가장자리면(10)을 갖고 있으며, 면 F2는 선택적으로 기능성 층 (마스킹 층 등)으로 코팅된다;
- 제2 글레이징(1'): 내부 글레이징을 형성하고, 예를 들어 TSA (또는 투명 또는 초 투명)유리로 만들어지고 두께가 2.1 mm 또는 심지어 1.6 mm 또는 심지어 더 작으며, 각각 면 F3 및 면 F4라고 불리는 제3 및 제4 주면(13, 14)을 갖고, 면 F4는 선택적으로 기능성 층 (로우이(low-E) 층 등)으로 코팅되고 및/또는 면 F3은 선택적으로 기능성 층(마스킹 층, 가열 층, 저방사 층 등)으로 코팅된다;
- F2와 F3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적층 중간층(2): 폴리머 재료, 여기서는 PVB로, 두께(e1)는 서브 밀리미터 크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1 mm, 통상적으로 약 0.38mm으로 만들어지고, 예를 들어 적층 후 면 F3(13)와 접착제 접촉을 하는 제1 시트(2a) 전체 및 슬롯(25)이 있고 제2의 천공된 PVB 시트(2b) 및 적층 후 면 F2(12) 및 제1 시트와 접착제 접촉을 하는 제1 시트 상에 형성되고, 면 F2 및 면 F3은 적층 글레이징의 내부면들(12, 13)이다;
- 지지체(3)를 포함하는 OLED(4) 및 슬롯(25)에 수용된 전면의 발광 시스템: 두께(e2 + e'2)는 천공 시트(2b)의 두께보다 작다.
- 열가소성 수지, 특히 가소제가 없는 PVB, 스트립: 두께(e3)가 최대 0.3 mm이고 크기가 OLED와 동일하고 스트립이 OLED에 접착되고(지지체 측면 또는 발광 시스템의 전면 표면에). 스트립 후면의 전체 표면이 면 F2(12)와 접착제 접촉한다.
열가소성 스트립은 15 중량 %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중량 % 미만, 특히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비닐 부티랄) (PVB)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필요에 따른 두께(e3)의 가소제 없는 PVB 스트립용으로 KURARAY사의 "MOWITAL LP BF"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적층 중간층은 기존의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만들어진다. 적층 중간층은 방음, 쐐기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용), PVB/기능성 PET /PVB 복합체일 수 있다. 전체 시트는 특히 방음, 쐐기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용), PVB/기능성 PET/PVB 복합체일 수 있다. 천공된 시트는 특히 착색될 수 있다. 변형으로 막힌 홀(blind hole)이 있는 단일 PVB가 사용된다
적층 전 (및 두 개의 글레이징 사이에 배치하기 전에), 플라스틱 스트립(5)은 점 접착 접촉을 해주는 국소 가열에 의해서 또는 접착(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서 OLED(4)와 함께 조립되며, 선택적으로 OLED(4)는 예를 들어 국소 가열에 의해 전체 시트(2a)와 함께 조립된다.
여기서, OLED(4)는 면 F4 방향으로 발광하고(내부 광), OLED는 OLED 지지체(3)를 통해 발광한다(바닥 발광). 플라스틱 스트립(5)은 OLED의 전면 표면 위에, 발광 시스템 (폴리머 캡슐화를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음)위에 있다.
여기서, OLED(4)는 면 F4 방향으로 발광하고(내부 광) OLED는 상부 발광(top-emitting)한다. 플라스틱 스트립은 지지체(3)의 뒷면에 있고, 따라서 발광 시스템 (폴리머 캡슐화를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음) 반대편에 있다.
도 9c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조명 기능을 위한 OLED (선택적으로 픽토그램을 형성) 또는 액티브 매트릭스 OLED (active-matrix OLED, AMOLED) 스크린과 같은, 예를 들어 표면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의 F1 측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d는 이 글레이징을 단면으로 보여준다.
이 글레이징(900')은 도 9의 글레이징과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 빛이 면 F1(11)에서 방출된다는 점: 예를 들어, 후면 창, 측면 창 또는 심지어 윈드쉴드(windshield) 발광 신호 (표시기 측면 리피터 등)용;
- 및 OLED(4)가 F2(12) 측의 천공된 시트(2b)에서 벗어난다는 점.
따라서, PVB(2b)와 OLED(4) F2 측 사이의 두께(H)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플라스틱 스트립(5)과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PVB 프레임(5a)이 OLED의 주변에 있다.
H가 큰 경우 (예 : 적어도 0.15mm), 여러 개의 계단식 플라스틱 프레임 스트립을 사용할 수 있다.
변형으로서, H <0.15 mm 인 경우, 플라스틱 스트립(5)은 PVB 위로 돌출되도록 선택되고, 예를 들어 국소 가열에 의해 PVB (2b)와 함께 사전 조립된다.
변형으로서 막힌 홀이 있는 단일 PVB가 사용된다.
적층 중간층은 기존의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만들어진다. 그것은 방음, 쐐기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용), PVB/기능성 PET/PVB 복합체일 수 있다. 전체 시트는 특히 착색, 방음, 쐐기형(헤드업 디스플레이 용), PVB/기능성 PET/PVB 복합체일 수 있다. 천공된 시트는 특히 착색될 수 있다.
도 10은 예를 들어 도 9d의 글레이징(900')을 형성하기 위해 유리 시트들과 적층 사이에 배치되기 전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플라스틱 스트립 및 적층 중간층 사전 조립(900)의 단면도이다.
얇고 투명한 플라스틱 스트립(5)의 전면(50)은 연화 및 접착을 야기하는 국부 가열(7)에 기인한 접점들(60) 어레이를 통해 다이오드들 지지체(3)의 후면과 점 접착 접촉하게 된다.
OLED(4)의 전면(30)은 선택적으로 동일한 국부 가열(7)에 기인한 접점들(60b) 어레이를 통해 전체 PVB 시트(2a)의 면(20)과 점 접착 접촉하게 된다.
스트립(5)과 유사한 재료의 플라스틱 프레임(5a)의 전면(50a)은 국부 가열(7)에 기인한 접점들(60a) 어레이를 통해 전체 PVB 시트(2a)의 면과 접착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전 조립된 요소는 두 개의 글레이징 사이에 배치되고, 두 시트(2a 및 2b)의 자유면들은 적층 후 면 F2 및 F3 (코팅이 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층으로 코팅될 수 있음)와 접착 접촉하고, 플라스틱 스트립들(5, 5a)의 자유면들은 은 적층 후에도 필요에 따라 (코팅이 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층으로 코팅될 수 있음) 면들 F2 또는 F3들 중 하나와 접착 접촉한다.
도 10a는 예를 들어 도 9d의 글레이징(900')의 변형을 형성하기 위해 유리 시트들과 적층 사이에 배치되기 전의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플라스틱 스트립 및 적층 중간층 사전 조립(900')의 단면도이다. 두 개의 플라스틱 스트립들 중 하나는 후면 스트립(5)이라고 하며 지지대의 후면 측에 있고 다른 하나는 전면 스트립(5')이라고 하며 (OLED등) 장치(4)의 전면 측에 있는 두 개의 플라스틱 스트립들은 사전 조립되고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4)을 수용하는 슬롯(25)이 있는 (PVB복합체, PVB) 적층 중간층 시트(2b) 위로 돌출된다.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5)의 전면은 연화 및 접착을 야기하는 국부 가열(7)에 기인한 점 접촉부들(60b)의 어레이를 통해 다이오드 지지체(3)의 후면(30')과 선택적으로 점 접착 접촉하게 된다.
후면 플라스틱 스트립(5)의 전면(50)은 연화 및 접착을 야기하는 국부 가열(7)에 기인한 점 접촉부들(60a)의 어레이를 통해 PVB(2b)의 면(20)과 점 접착 접촉하게 된다.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5')의 전면은 연화 및 접착을 야기하는 국부 가열(7)에 기인한 점 접촉부들(60")의 어레이를 통해 PVB(2b)의 다른 면(20')과 점 접착 접촉하게 된다. 동일한 가열 면(20) 측이 면(20') 측으로 충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전 조립된 요소가 두 개의 글레이징들 사이에 배치되고, 면들(20'및 20')은 적층 후 면들 F2 및 F3 (코팅이 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층으로 코팅될 수 있음)과 접착 접촉을 하고, 플라스틱 스트립들(5, 5')의 자유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Claims (23)

  1.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특히 자동차 글레이징(100 내지 900') 제조 공정으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을 포함한다:
    - 제1 투명 글레이징(1): 면 F1 및 면 F2(11, 12)라고 불리는 제1 및 제 주면들을 갖는다;
    - 제2 투명 글레이징(1'): 면 F3 및 면 F4(13, 14)라고 각각 불리는 제3 및 제4 주면들(13, 14)을 갖는다;
    - 적층 중간층(2, 2a, 2b):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F2면 및 대부분의 F3면이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미네랄 유리로 만들어지고 적층 글레이징은 면 F2 및 면 F3사이에 다음을 포함한다:
    -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4, 4', 4"): 지지체(3)을 포함하고, 폭(W2)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1m, 두께(e2)는 특히 서브밀리미터 크기이고, 지지체는 전면(30), 후면(30') 및 가장자리면(34)을 가지며, 두께 e2를 가지며, 전면은 기능성 구역(31)이라고 불리는 구역에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을 가지며, 그 두께(e'2)는 바람직하게는 서브밀리미터 크기이고, 전면은 선택적으로 기능성 구역에 인접한 전력 공급 구역(32, 33)을 포함하며,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는 적층 중간층 아래의 표면에 있고,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측에 전면을 가지며 및 글레이징은 다음을 포함한다:
    - 후면(30')에 중합체 연결 요소(5): 두께(e3)가 최대 0.3 mm이고, 후면 및 접촉면이라고 하는 F2 및 F3면들 중 하나와 접착 접촉하고, 접촉면은 코팅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층(71)으로 코팅되었고, 연결 요소는 적층 중간층 아래의 표면에 있다;
    - 및/또는 전면 측, 전면 표면 상에 또 다른 중합체 연결 요소(5'): 두께(e'3)가 최대 0.3 mm이고,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및 특히 두개의 스트립들의 경우 접촉면에 대향하는 접착면(bonding face)이라고 불리는 면 F2 또는 면 F3 중의 하나와 접착 접촉하고, 접착면은 코팅되어 있지 않거나 층으로 코팅되고, 다른 연결 요소는 적층 중간층 아래의 표면에 있다;
    공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적층 전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상기 연결 요소 및/또는 다른 연결 요소 및/또는 선택적으로 조립 시트라고 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층 중간층 시트를 포함하는 예비 조립 요소를 제공하고,
    연결 요소는 지지체의 후면를 향하는, 연결면(FL)이라고 칭하는 주면을 갖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스트립을 포함하고, 플라스틱 스트립은 연결면(FL)의 반대편에 자유로운 주면(F')을 가지며;
    - 연결면(FL)은 후면과 접착제 접촉하든지 후면에 접착되어 있고;
    및/또는
    - 연결면(FL)은 조립 시트의 주면들 중의 하나의 구역(ZA)를 향하는 돌출 구역(ZD)를 정의하는 적어도 일측 위의 지지체의 에지면을 넘어 돌출되어 있고, 돌출 구역(ZD)은 구역 ZA와 접착제 접촉하거나 또는 거기에 접착되어 있고;
    및/또는
    - 다른 연결 요소는 장치의 전방 표면을 향하는 다른 연결면(F'L)으로 지칭되는 주면을 갖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스트립을 포함하고, 플라스틱 스트립은 다른 연결면(F'L)에 대향하는 자유로운 주면(F'')를 가지며;
    - 다른 연결면(F'L)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와 접착제 접촉하거나 거기에 접착되어 있고;
    - 및/또는 다른 연결면(F'L)은 조립 시트의 주면들 중의 하나의 또 다른 구역(Z'A)을 향하는 또 다른 돌출 구역(Z'D)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위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에지면을 넘어 돌출되고, 다른 돌출 구역(ZD)은 구역 Z'A와 접착제 접촉하거나 거기에 접착되어 있고;
    - 사전 조립된 요소를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의 사이에 배치하고;
    - 및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를 적층하는 단계는 진공 하에 배치하는 동작 또는 압력하에 배치하는 동작 및 가열 동작을 포함하고, 적층으로 자유면(FL)은, 특히 코팅되지 않았거나 코팅된, 접촉면(contact face)과 접착제 접촉하게 되고 및/또는 자유면(F'L)은 특히 코팅되지 않았거나 코팅된 접착면(bonding face)과 접착제 접촉하게 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스트립은 투명하고 및/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투명하고, 지지체는 투명하며,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 사이에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의 배치는 제1 및 제2 글레이징의 투명 구역에 있고,투명 스트립은 적어도 상기 기능성 구역 반대편의 후면을 덮으며 및/또는 다른 투명 스트립은 적어도 상기 기능성 구역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의 제조 공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정은 다음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의 형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의 제조 공정:
    a) 지지체와 함께 연결 요소를 조립하고, 연결면(FL)은 후면과 접착 접촉하거나 후면에 접착되며, 연결면(FL)의 전체 표면 또는 표면의 점들이 이격된 점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에 의해서 후면(30')과 접착 접촉하게 되고 또는 연결면(FL)의 전체 표면 또는 표면의 점들이 이격된 점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를 통해 후면에 접착되고;
    및/또는
    a') 다른 연결 요소를 조립하고, 다른 연결면(F'L)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및/또는 전면)와 접착 접촉하거나 또는 접착되고, 다른 연결면(F'L)의 전체 표면 또는 표면의 점들이 이격된 점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에 접착 접촉하거나 또는 연결면(F'L)의 전체 표면 또는 표면의 점들이 이격된 점 접착 구역들의 어레이에 의해서 접착되고;
    및/또는
    b) 적층 중간층과 함께 연결 요소를 조립하고, 돌출 구역 ZD 표면의 점들 또는 전체 표면이 이격된 점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에 의해 구역 ZA와 접착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연결면이 특히 점 접착 구역들의 어레이 또는 전체 면을 통해 구역 ZA에 접착된다;
    및/또는
    b') 적층 중간층과 함께 다른 연결 요소를 조립하고, 다른 돌출 영역 Z'D의 표면의 점들 또는 전체 표면이 이격된 점 접착 접점들의 어레이에 의해 구역 Z'A와 접착 접촉하게 되거나 또는 다른 연결면이 점 접착 구역들의 어레이 또는 전체 면을 통해 구역 Z'A에 접착된다.
  4. 제3항에 있어서,
    접착 접촉은 플라스틱 스트립(5) 및/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5')을 연화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5. 제4항에 있어서,
    접착 접촉은 점 접촉이고 국부 가열(7)에 의해 그리고 선택적으로 또한 압력, 유도 가열, 뜨거운 공기 또는 복사 (레이저)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와 함께 또는 상기 다른 연결 요소와 함께 사전 조립하는 상기 작업 동안,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는 적층 중간층의 제1 시트 상에 있고, 적층 중간층의 제2 시트, 특히 조립 시트는 제1 시트 상에 있고, 국부 가열(7)은 제1 시트가 제2 시트와 점 접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 (5)와 함께 사전 조립하는 상기 작업 동안,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전면 표면이 적층 중간층(2, 2a)의 제1 시트, 특히 조립 시트 상에 있고, 국부 가열(7)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전면 표면이 적층 중간층의 상기 제1 시트와 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스트립(5)과 상기 적층 중간층(2)은 적층 전에 및 적층 후에 이격되어 있고 플라스틱 스트립과 상기 적층 중간층이 후면과 접촉면 사이에 공간을 남기지 않고서 연속 접촉하고 및/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5')과 상기 적층 중간층(2)은 적층 전에 및 적층 후에 이격되어 있고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과 상기 적층 중간층은 장치의 전면과 접착면 사이에 공간을 남기지 않고 연속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5)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이고, 15 중량 % 미만의 가소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 중량 % 미만을 함유하는 및 특히 가소제가 없는 폴리(비닐 부티랄)(PVB)을 기반으로 하며, 상기 적층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15 중량 % 를 초과하는 가소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고 및/또는 다른 스트립(5')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이고 15 중량 % 미만의 가소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 미만을 함유하는 및 특히 가소제가 없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며, 상기 적층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15 중량 % 초과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전에 플라스틱 스트립(5)이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 중 하나의 가장자리면에서 돌출되고 면 F4 또는 F1 위로 접히고 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5')은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 중 하나의 가장자리면에서 돌출되고 면 F4 또는 F1 위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연결 요소(5')를 포함하는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를 배치하기 전에, 적층 중간층은 후면 시트라고 하는 시트를 포함하며, 그것은 선택적으로 상기 조립 시트로서 지지체의 후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주면(F'x)을 가지며, 주면(F'x)은 상기 구역(Z'A)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전면 플라스틱 스트립이라고 하는데, 전면에 대향하여 있고, 이산적 및 얇은 부품들의 셋트를 포함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상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e'2 <0.15 mm이고, 적층 후에는 후면 시트는 후면(30')과 접착 접촉하고, 면 F2 및 F3 면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 및 선택적으로 다른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를 배치하기 전에, 적층 중간층(2)은 전면 시트라고 하는 시트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조립 시트로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전면 표면, 특히 지지체의 전면(30)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주면(Fx)(20')을 가지며, 주면(Fx)(20')은 선택적으로 상기 구역(ZA)을 포함하고, 적층 후, 전면 시트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전면 표면, 특히 지지체의 전면과 접착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13. 제12항에 있어서,
    전면 시트(20)의 주면(Fx)는 적어도 하나의 막힌 구멍 또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며, 그 폭(W1)은 최대 20 mm이고, 이산형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특히 포토다이오드 또는 무기 다이오드와 같은 (광) 전자 부품을 수용하고, 폭(W'2)이 최대 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e'2>0.15 mm, e2 <0.15 mm 및 e3 <0.15 mm이고, 전면 시트는 지지체의 전면과 접착 접촉하고, 구멍은 선택적으로 관통 구멍이고 접착면과 전면 시트 사이의 선택적인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관통 구멍의 각 부품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 및/또는 다른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사전 조립된 요소를 배치하기 전에, 적층 중간층은 천공된 시트를 포함하고, 따라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및 지지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천공시트는 자유로운 주면(Fx)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구역 ZA 또는 F'x을 포함하고 및 선택적으로 구역 Z'A 를 포함하며, 플라스틱 스트립(5)은 구멍(25)을 향하며 면(Fx)와 플라스틱 스트립의 자유면(FL)사이의 높이의 차이(H1)가 최대 0.3 mm이고 및/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구멍(25)을 향하고, 면(F'x)와 다른 플라스틱의 자유면(F'L) 높이의 차이(H'1)는 최대 0.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15. 제14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사전 조립된 요소로 적층하기 전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가 천공된 시트로부터 돌출되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4) 및 주면(Fx)은 e2보다 큰 0이 아닌 높이 H2만큼 이격되어 있고, H2는 최대 0.3 mm이며, 이 공정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가장자리 면위에 프레임을 형성하는 추가 플라스틱 스트립(5a)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 스트립의 두께(Ex)는 최대 0.15 mm이고 H2 이하이고, 천공된 시트의 구역을 향하고, 추가 플라스틱 스트립은 연결면(FC) 반대편에 주면(F")을 가지며, 추가 플라스틱 스트립은 선택적으로 단일 스트립 또는 복수의 계단식 플라스틱 스트립을 포함하며 Ex는 플라스틱 스트립의 총 두께이고, 적층 단계에 의해, 추가 플라스틱 스트립(5a)의 상기 다른 자유면이 접촉면(12)과 접착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제조 공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얻어진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으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
    - 제1 투명 글레이징(1): 면 F1 및 면 F2(11, 12)라고 불리는 제1 및 제 주면들을 갖는다;
    - 제2 투명 글레이징(1'): 면 F3 및 면 F4(13, 14)라고 각각 불리는 제3 및 제4 주면들(13, 14)을 갖는다;
    - 적층 중간층(2):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F2면 및 대부분의 F3면이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글레이징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미네랄 유리로 만들어지고 적층 글레이징은 면 F2 및 면 F3 사이에 다음을 포함한다:
    -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4): 지지체(3)을 포함하고, 특히 폭(W2)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1m, 두께(e2)는 특히 서브밀리미터 크기이고, 지지체는 전면(30), 후면(30') 및 가장자리면(34)을 가지며, 전면은 기능성 구역(31)이라고 불리는 구역에서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4)을 가지며, 그 두께(e'2)는 바람직하게는 서브밀리미터 크기이고, 전면은 선택적으로 기능성 구역에 인접한 전력 공급 구역(32, 33)을 포함하며,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는 적층 중간층 아래의 표면에 있고;
    - 후면(30')에 중합체 연결 요소(5): 최대 0.3 mm의 두께(e3)를 갖는 플라스틱 스트립이고, 후면 및 접촉면이라고 하는 F2 및 F3면들 중 하나와 접착 접촉하고, 연결 요소는 적층 중간층 아래의 표면에 있고, 따라서 장치는 글레이징 영역에 있고;
    - 및/또는 전면 표면(30) 상에 또 다른 중합체 연결 요소(5'): 최대 0.3 mm의 두께(e'3)를 갖는 또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이고 전면 표면 및 접착면(bonding face)이라고 불리는 면 F2 또는 면 F3 중의 하나와 접착제 접촉하고, 다른 연결 요소는 적층 중간층 아래의 표면에 있다.
  17. 제16항에 있어서,
    특히 차량용의 경우, 플라스틱 스트립(5)은 열가소성이고, 즉 15 중량 % 미만의 가소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미만 및 10 중량 % 훨씬 미만을 함유하는 및 특히 가소제가 없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며, 상기 적층 중간층(2)은 특히 15 중량 % 이상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며 및/또는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5')은 열가소성이고, 즉 15 중량 % 미만의 가소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 미만 및 10 중량 % 훨씬 미만을 함유하고 및 특히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며, 상기 적층 중간층(2)은 특히 15 중량 % 초과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특히 차량용의 경우, 접촉면(12)이 코팅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층의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 또는 심지어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층으로 코팅되고, 특히 마스킹 층(71), 투명 층, 전기 전도층, 가열 층, 저 방사율 층 (태양광 제어를 위한)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층과 접착제 접촉되고 및/또는 접착면(13)이 코팅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층의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 또는 심지어 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층으로 코팅되고, 특히 마스킹 층, 투명 층, 전기 전도층, 가열 층, 저 방사율 층 (태양광 제어를 위한)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층과 접착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차량용의 경우, 상기 플라스틱 스트립(5)은 적어도 한 면 및 심지어 두 면에서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적층 중간층(2)와 접착제 접촉하고 및/또는 상기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5')는 전면으로 부터 돌출되고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차량용의 경우,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은,
    - 정전용량성 또는 유도성 제어 스위치, 안테나;
    - 하나 이상의 (광) 전자 부품, 특히 이산 부품들, 특히 센서, 카메라, 포토 다이오드 또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4);
    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 i) 플라스틱 스트립과 적층 중간층은 지지체의 전면과 접착제 접촉하고, 선택적인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중간층과 접착면 사이에 있고 하나 이상의 개구를 덮고;
    - 또는 m)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은 플라스틱 스트립없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위에 있고, 적층 중간층은 후면과 접착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차량용의 경우,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은 표면에 있고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 OLED 유기 발광 시스템, TFEL 또는 QLED라 불리는 퀀텀 도트 발광 다이오드(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표면 조명 시스템;
    -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시스템;
    - 액정 시스템, 라이트 밸브(light valve), 전기변색(electrochromic) 시스템 및 특히 적층 중간층은 장치를 수용하고 ;

    i) 상기 플라스틱 스트립은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 없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상에 있으며, 특히 상기 플라스틱 스트립은 돌출되어 적층 중간층과 접착제 접촉하고;
    또는 j) 다른 플라스틱 스트립이 플라스틱 스트립 없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상에 있고;
    또는 k) 상기 플라스틱 스트립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 상에 있다.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차량용의 경우, 적층 중간층(2)은 폴리(비닐 부티랄)(PVB), 특히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구멍 또는 슬롯이 있는 PVB로 만들어지며, 선택적으로,
    - 특히 차량 앞유리(windshield) 또는 지붕 용으로는 방음이고 및/또는 특히 앞 유리용으로는 쐐기형 이고;
    - 선택적으로 금속 와이어를 갖고;
    - 또는 복합 PVB/기능성 플라스틱 필름 요소 또는 제1 PVB/기능성 플라스틱 필름/제2 PVB 복합체 요소를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 또는 PET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기능성 플라스틱 필름은 특히 전기 전도성인 기능성 층, 특히 제1 PVB에 막힌 구멍 또는 슬롯을 갖는 PV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글레이징.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특히 윈드쉴드, 지붕, 측면 창 또는 후면 창을 위한 글레이징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207024187A 2018-01-31 2019-01-29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 및 제조 Active KR102755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0775 2018-01-31
FR1850775A FR3077219B1 (fr) 2018-01-31 2018-01-31 Vitrage feuillete a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et fabrication
PCT/FR2019/050197 WO2019150037A1 (fr) 2018-01-31 2019-01-29 Vitrage feuillete a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et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553A true KR20200115553A (ko) 2020-10-07
KR102755585B1 KR102755585B1 (ko) 2025-01-16

Family

ID=6363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187A Active KR102755585B1 (ko) 2018-01-31 2019-01-29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 및 제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407204B2 (ko)
EP (1) EP3746296A1 (ko)
JP (1) JP7621118B2 (ko)
KR (1) KR102755585B1 (ko)
CN (1) CN110325359B (ko)
AR (1) AR114744A1 (ko)
BR (1) BR112020014076A2 (ko)
FR (1) FR3077219B1 (ko)
MX (1) MX2020008003A (ko)
PE (1) PE20210309A1 (ko)
RU (1) RU2764164C1 (ko)
WO (1) WO2019150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O2017007456A1 (es) * 2017-03-30 2018-01-31 Agp America Sa Proceso para la fabricación de laminado automotriz con circuito de alambres integrado
GB2580045A (en) * 2018-12-20 2020-07-15 Airbus Operations Ltd Aircraft glazing unit
US12122125B2 (en) 2019-08-26 2024-10-22 Saint-Gobain Glass France Laminated glass pane comprising an electronic functional module
WO2021211768A1 (en) * 2020-04-15 2021-10-21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DE102020112221A1 (de) * 2020-05-06 2021-11-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EP4043255B1 (en) * 2021-02-11 2024-11-27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Transparent roof panel having an isolated centre unit
JP2022126240A (ja) * 2021-02-18 2022-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7524112B2 (ja) * 2021-03-09 2024-07-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車体構造
CN113408059B (zh) * 2021-06-30 2022-06-07 吉林大学 一种汽车复合材料保险杠防撞梁厚度的多目标优化方法
EP4373668A1 (en) * 2021-09-09 2024-05-29 Apple Inc. Windows with laminated glass layers
US12136691B2 (en) * 2022-01-18 2024-11-05 Apple Inc. System with one-way filter over light-emitting elements
GB202207366D0 (en) * 2022-05-19 2022-07-06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pane comprising an electrical element
WO2024118844A1 (en) 2022-11-30 2024-06-06 Yanfeng International Automotive Technology Co., Ltd. Component for vehicle interior
JP7456586B2 (ja) * 2023-05-29 2024-03-27 昭三郎 丸山 車両表示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655A (ja) * 1998-09-30 2000-04-11 Nippon Mitsubishi Oil Corp 反射型ディスプレイ用積層ガラス
KR20170088897A (ko) * 2014-11-21 2017-08-0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광-시그널링 유리 패널,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및 제조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6525A (en) * 1989-01-25 1991-11-19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Laminated glass panel incorporating hologram sheet
JPH02124712U (ko) * 1989-03-23 1990-10-15
US5137954A (en) * 1991-09-30 1992-08-11 Monsanto Company Polyvinyl butyral sheet
EP0844075B2 (fr) 1996-11-26 2016-05-25 Saint-Gobain Glass France Utilisation d'un vitrage feuilleté pour l'amortissement des vibrations d'origine solidienne dans un véhicule
JPH1135893A (ja) * 1997-05-22 1999-02-09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シート状ホットメルト接着剤、および半導体装置
DE102005007427A1 (de) 2005-02-18 2006-08-31 Volkswagen Ag Elektrische Sonnenblend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49081B3 (de) 2005-10-13 2007-06-06 Webasto Ag Schichtanordnung zur Abdunklung einer transparenten Scheibe
GB0600215D0 (en) * 2006-01-06 2006-02-15 Pilkington Automotive D Gmbh Vehicle glazing
DE102007027296A1 (de) 2007-06-11 2008-12-18 Volkswagen Ag Automatische Sonnenblende für ein Kraftfahrzeug
WO2010091742A1 (en) * 2009-02-12 2010-08-19 Agc Glass Europe Panel of laminated substrates with barrier layer
JP2010256560A (ja) * 2009-04-23 2010-11-11 Bridgestone Corp カラー表示用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表示用ディスプレイパネル
FR2961916B1 (fr) 2010-06-25 2013-04-12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a diffusion variable par cristaux liquides,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dispositif pour sa fabrication
FR2964100B1 (fr) 2010-08-24 2015-10-16 Saint Gobain Procede de selection d'un intercalaire pour un 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intercalaire et vitrage comprenant un tel intercalaire
FR2965641B1 (fr) 2010-10-04 2013-10-11 Saint Gobain Vitrage multiple a diffusion variable par cristaux liquides, son procede de fabrication
MX358614B (es) 2012-03-05 2018-08-29 Saint Gobain Cristal con revestimiento que refleja radiación térmica.
FR2990948B1 (fr) 2012-05-22 2019-08-30 Saint-Gobain Glass France Intercalaire plastique viscoelastique pour un 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et vitrage comprenant un tel intercalaire
CA2881175C (en) 2012-08-21 2019-06-25 Saint-Gobain Glass France Composite pane with electrically switchable optical properties
DE102013001334A1 (de) 2013-01-26 2014-07-31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Fensterscheibe eines Kraftwagens sowie Kraftwagen mit einer solchen Fensterscheibe
GB201307495D0 (en) * 2013-04-25 2013-06-12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glazing
US20160207290A1 (en) 2013-08-29 2016-07-21 Corning Incorporated Thin glass laminate structures
WO2015066201A1 (en) 2013-10-29 2015-05-07 Fernco, Inc. Apparatus for repairing a pipe
FR3013631B1 (fr) 2013-11-27 2017-04-28 Saint Gobain Intercalaire plastique viscoelastique pour un 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et vitrage comprenant un tel intercalaire
EP2942192B1 (de) * 2014-05-07 2020-10-14 Kuraray Europe GmbH Fluoreszenz-display
FR3044971B1 (fr) 2015-12-14 2017-12-22 Saint Gobain Pare-brise feuillete de vehicule avec signaletique lumineuse interne.
FR3044972B1 (fr) 2015-12-14 2017-12-22 Saint Gobain Pare-brise feuillete de vehicule avec signaletique lumineuse interne.
FR3045505B1 (fr) * 2015-12-16 2017-12-22 Saint Gobain Pare-brise feuillete de vehicule avec signaletique lumineuse interne.
FR3046382A1 (fr) * 2015-12-30 2017-07-07 Saint Gobain Procede de fabrication d'un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dans lequel est incorpore un ecran oled
FR3046376B1 (fr) * 2015-12-30 2018-01-19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FR3046379B1 (fr) 2015-12-31 2018-01-19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FR3046378B1 (fr) 2015-12-31 2018-01-19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FR3046377B1 (fr) 2015-12-31 2021-09-03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FR3051726B1 (fr) * 2016-05-26 2019-07-12 Saint-Gobain Glass France Toit vitre feuillete lumineux de vehicul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FR3051727B1 (fr) * 2016-05-26 2018-05-18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de signalisation lumineus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MA45342A (fr) 2016-05-26 2019-04-10 Saint Gobain Toit vitre feuillete lumineux de vehicul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MA45361A (fr) * 2016-05-26 2019-04-10 Saint Gobain Toit vitre feuillete lumineux de vehicule, vehicule l'incorporant et fabrication
EP3264242A1 (en) 2016-06-29 2018-01-03 Saint-Gobain Glass France Touch control glazing with a capacitive touch sensitive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manufacturing
EP3264241A1 (en) 2016-06-29 2018-01-03 Saint-Gobain Glass France Lighting laminated glazing with a capacitive touch sensitive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manufacturing
FR3058107B1 (fr) * 2016-10-28 2018-12-07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lumineux de vehicule, vehicule l'incorpora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655A (ja) * 1998-09-30 2000-04-11 Nippon Mitsubishi Oil Corp 反射型ディスプレイ用積層ガラス
KR20170088897A (ko) * 2014-11-21 2017-08-0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광-시그널링 유리 패널,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및 제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69007A1 (en) 2020-11-26
JP7621118B2 (ja) 2025-01-24
CN110325359B (zh) 2022-09-02
JP2021512039A (ja) 2021-05-13
MX2020008003A (es) 2020-09-22
FR3077219B1 (fr) 2020-06-26
PE20210309A1 (es) 2021-02-12
FR3077219A1 (fr) 2019-08-02
BR112020014076A2 (pt) 2020-12-01
RU2764164C1 (ru) 2022-01-13
WO2019150037A1 (fr) 2019-08-08
KR102755585B1 (ko) 2025-01-16
EP3746296A1 (fr) 2020-12-09
AR114744A1 (es) 2020-10-14
CN110325359A (zh) 2019-10-11
US11407204B2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55585B1 (ko)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장치를 갖는 적층 글레이징 및 제조
JP7335700B2 (ja) 乗り物のための発光する積層グレージングルーフとそれを組み込んだ乗り物及び前記グレージングルーフの製造
KR102395503B1 (ko) 조명식 적층형 차량 선루프, 이를 구비한 차량, 및 제조
CN107848379B (zh) 车辆用挡风玻璃以及包含这种挡风玻璃的车辆和制造
KR101986031B1 (ko)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복합 판유리
US10139080B2 (en) Glazed roof comprising illuminating means and means for controlling light transmission
JP6850307B2 (ja) 乗り物のための発光する積層グレージングルーフとそれを組み込んだ乗り物及び前記グレージングルーフの製造
CN110621498A (zh) 含有电控装置的层压窗玻璃和制备
US11858237B2 (en) External luminous signaling vehicle glazing, vehicle incorporating same and manufacture
CN108029160A (zh) 具有包含电容性开关区域的可加热复合玻璃板的玻璃板装置
CN110099875B (zh) 具有外部发光信号的车辆窗玻璃、包含该窗玻璃的车辆和制造
US11788720B2 (en) Glazing with electrically operable light source
CN110177686B (zh) 复合玻璃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