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14540A -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4540A
KR20200114540A KR1020190036475A KR20190036475A KR20200114540A KR 20200114540 A KR20200114540 A KR 20200114540A KR 1020190036475 A KR1020190036475 A KR 1020190036475A KR 20190036475 A KR20190036475 A KR 20190036475A KR 20200114540 A KR20200114540 A KR 20200114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pe
die
block
groove forming
t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009B1 (ko
Inventor
박현석
Original Assignee
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석 filed Critical 박현석
Priority to KR102019003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00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0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이 고정설치되는 상형플레이트(10)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이 고정 설치되는 하형플레이트(32)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주유관삽입홀(14)이 형성되는 주유관고정블럭(12)과;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유관삽입홀(14)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주유관(P)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경지지바(18)와, 상기 내경지지바(18)의 바닥면 중앙에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주유관(P)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이확장핀(26)으로 이루어지는 주유관고정부재(16)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부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동면(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블럭(28)과; 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상부면 중앙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블럭(36)과, 상기 다이블럭(36)의 상부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주유관(P)의 내부에 삽입되고, 둘레면에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의 탭성형홈(48)이 함몰 형성되는 탭홈성형블럭(42)으로 이루어지는 탭홈성형다이(34)와;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동블럭(28)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면(30)이 밀착되어 상기 탭홈성형다이(34) 측으로 이동되고, 선단면에 상기 탭성형홈(4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탭홈성형돌기(76)가 돌출 형성되어 주유관(P)의 측면을 가압하여 주유관(P)의 측면에 탭홈(H)을 성형하는 탭홈성형부재(66);를 포함하는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유관의 탭홈 성형시 탭홈성형다이가 주유관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주유관고정블럭이 주유관의 외주면을 지지함에 따라 주유관의 탭홈 성형시 주유관의 변형이 방지되고, 보다 정밀한 탭홈 성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형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된 가동블럭이 탭홈성형다이의 양측에 설치된 탭홈성형부재를 동시에 중앙측으로 이동시켜 주유관의 둘레면 양측에 동시에 탭홈을 형성함에 따라 성형 시간차에 따른 제품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Refueling pipe Groov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형플레이트의 하향 이동에 따라 탭홈성형다이에 장착된 주유관의 내외주면이 탭홈성형다이와 주유관고정블럭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탭홈성형부재에 의해 주유관의 둘레면 양측에 자동으로 탭홈을 성형할 수 있는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또는 중장비 내부에는 연료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료탱크와 연결된 주유관에 연료주입건이 삽입되어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에 연료가 주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유관(P)은 도 1과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에 커링부(C)가 형성되고, 측면 양측 상단의 둘레면을 따라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의 탭홈(H)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주유관(P)의 상단에는 내주면에 체결나사산이 형성된 주유마개(미도시)가 상기 탭홈(H)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주유관(P)의 상측 개방부를 폐쇄한다.
종래의 주유관에 탭홈을 형성하는 방식은 작업자가 지그를 이용하여 수작업을 통해 주유관의 외주면에 탭홈을 형성함에 따라 성형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따른 제품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이프의 외주면에 자동으로 홈을 형성하는 고정홈 성형장치는 대한민국등록공보 10-1302227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선반용 파이프의 고정홈 성형장치는 본체프레임, 파이프고정수단, 구동모터, 축선베어링, 누름금형, 유압실린더, 동심도롤러, 받침롤러, 위치조절밸런스수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선반용 파이프의 고정홈 성형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부품이 사용됨에 따라 제작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고정홈이 성형됨에 따라 파이프의 둘레면 중 일부분에 홈을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30222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형플레이트의 하향 이동에 따라 탭홈성형다이에 장착된 주유관의 내외주면이 탭홈성형다이와 주유관고정블럭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탭홈성형부재에 의해 주유관의 둘레면 양측에 자동으로 탭홈을 성형할 수 있는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이 고정 설치되는 상형플레이트와, 상기 상평플레이트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이 고정 설치되는 하형플레이트와, 상기 상형플레이트의 하부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주유관삽입홀이 형성되는 주유관고정블럭과,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유관삽입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주유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경지지바와, 상기 내경지지바의 바닥면 중앙에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주유관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이확장핀으로 이루어지는 주유관고정부재와, 상기 상형플레이트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부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동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형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블럭과, 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형플레이트의 상부면 중앙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블럭과, 상기 다이블럭의 상부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주유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둘레면에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의 탭성형홈이 함몰 형성되는 탭홈성형블럭으로 이루어지는 탭홈성형다이와, 상기 탭홈성형다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동블럭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면이 밀착되어 상기 탭홈성형다이 측으로 이동되고, 선단면에 상기 탭성형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탭홈성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주유관의 측면을 가압하여 주유관의 측면에 탭홈을 성형하는 탭홈성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블럭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형플레이트의 상부면 중앙 양측에 설치되는 제1,2다이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탭홈성형블럭은, 상기 제1,2다이블럭의 상부면에 반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측면에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의 탭성형홈이 형성되는 제1,2탭홈성형블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탭홈성형부재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압면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면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탭홈성형다이에 장착된 주유관 측으로 이동되는 가압블럭과, 상기 가압블럭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측면에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주유관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주유관장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되는 탭홈성형돌기가 형성되어 주유관의 측면를 가압하여 탭홈을 형성하는 탭홈가압블럭과, 상기 하형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블럭의 일측을 지지하고, 내부에 가이드핀홀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가이드핀홀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가압블럭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압블럭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이 외주면에 결합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고정블럭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핀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탭성형다이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하형플레이트의 중앙측으로 상기 제1,2다이블럭를 가압하는 다이이동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다이이동부재는, 상기 제1,2다이블럭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단에 밀착되고, 상기 제1,2다이블럭의 상기 하형플레이트의 중앙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로드와, 상기 이동로드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동로드를 상기 하형플레이트의 중앙측으로 이동시키는 다이이동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탭홈성형다이의 상부면에는, 호퍼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다이확장핀의 삽입이 안내되는 핀가이드홀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핀가이드홀과 연통되며, 상기 탭홈성형다이의 내부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다이확장핀이 수용되는 핀수용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형플레이트의 하향 이동에 따라 탭홈성형다이에 장착된 주유관의 내외주면이 탭홈성형다이와 주유관고정블럭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탭홈성형부재에 의해 주유관의 둘레면 양측에 자동으로 탭홈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유관의 탭홈 성형시 탭홈성형다이가 주유관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주유관고정블럭이 주유관의 외주면을 지지함에 따라 주유관의 탭홈 성형시 주유관의 변형이 방지되고, 보다 정밀한 탭홈 성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형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된 가동블럭이 탭홈성형다이의 양측에 설치된 탭홈성형부재를 동시에 중앙측으로 이동시켜 주유관의 둘레면 양측에 동시에 탭홈을 형성함에 따라 성형 시간차에 따른 제품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측면 상단 양측에 각각 탭홈이 형성되는 주유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형플레이트가 하부로 이동되어 주유관의 측면에 탭홈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에 주유관이 장착된 상태에서 탭홈성형부재에 의해 주유관의 측면에 탭홈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형플레이트, 주유관고정블럭, 주유관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형플레이트, 주유관고정블럭, 주유관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형플레이트, 탭홈성형다이, 탭홈성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형플레이트, 탭홈성형다이, 탭홈성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 및 다이이동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에 다이이동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 및 탭홈성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5는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해 주유관의 측면에 탭홈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형플레이트가 하부로 이동되어 주유관의 측면에 탭홈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에 주유관이 장착된 상태에서 탭홈성형부재에 의해 주유관의 측면에 탭홈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형플레이트, 주유관고정블럭, 주유관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형플레이트, 주유관고정블럭, 주유관고정부재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이 고정설치되는 상형플레이트(10)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이 고정 설치되는 하형플레이트(32)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주유관삽입홀(14)이 형성되는 주유관고정블럭(12)과,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유관삽입홀(14)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주유관(P)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경지지바(18)와, 상기 내경지지바(18)의 바닥면 중앙에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주유관(P)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이확장핀(26)으로 이루어지는 주유관고정부재(16)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부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동면(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블럭(28)과, 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상부면 중앙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블럭(36)과, 상기 다이블럭(36)의 상부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주유관(P)의 내부에 삽입되고, 둘레면에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의 탭성형홈(48)이 함몰 형성되는 탭홈성형블럭(42)으로 이루어지는 탭홈성형다이(34)와,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동블럭(28)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면(30)이 밀착되어 상기 탭홈성형다이(34) 측으로 이동되고, 선단면에 상기 탭성형홈(4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탭홈성형돌기(76)가 돌출 형성되어 주유관(P)의 측면을 가압하여 주유관(P)의 측면에 탭홈(H)을 성형하는 탭홈성형부재(6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형플레이트(1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하부면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상형플레이트(10)는 생크(shank, 미도시)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된다.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면 중앙에는 주유관고정블럭(12)이 설치된다. 상기 주유관고정블럭(12)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주유관고정블럭(12)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주유관삽입홀(14)이 관통 형성되어 내부에 주유관(P)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주유관고정블럭(12)의 내부에는 주유관고정부재(16)가 설치된다. 상기 주유관고정부재(16)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유관삽입홀(14)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주유관(P)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경지지바(18)와, 상기 내경지지바(18)의 바닥면 중앙에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주유관(P)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이확장핀(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경지지바(18)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주유관삽입홀(14)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내경지지바(18)는 주유관(P)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주유관삽입홀(14)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내경지지바(18)는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향 이동시 주유관(P)의 내부에 삽입되어 주유관(P)의 탭홈(H) 성형시 주유관(P)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경지지바(18)의 상측에는 걸림단(2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20)은 상기 내경지지바(18)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20)은 상기 주유관고정블럭(12)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습동홈(22)에 장착되어 상기 내경지지바(18)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단(20)의 상부면에는 가압스프링(24)이 설치된다. 상기 가압스프링(24)은 일반적인 탄성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압스프링(24)은 상기 습동홈(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경지지바(18)는 하부 방향으로 탄성지지 한다.
즉, 상기 내경지지바(18)가 상기 가압스프링(24)에 의해 탄성 지지됨에 따라 후술할 다이확장핀(26)이 후술할 탭홈성형다이(34)에 밀착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내경지지바(18)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상기 내경지지바(18)의 하부면에는 다이확장핀(26)이 형성된다. 상기 다이확장핀(26)은 상기 내경지지바(18)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다이확장핀(26)의 하단부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다이확장핀(26)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향 이동에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후술할 핀가이드홀(50) 및 핀수용홀(52)에 삽입되어 제1,2탭홈성형블럭(44,46)을 주유관(P)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면 양측에는 가동블럭(28)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블럭(28)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양측에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동블럭(28)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가동블럭(28)의 측면 하부에는 가동면(30)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면(30)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술할 가압블럭(68)의 가압면(70)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가동블럭(28)이 상기 상형플레이트(1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가동면(30)이 후술할 가압블럭(68)의 가압면(70)에 밀착되어 후술할 탭홈성형부재(66)를 주유관(P)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형플레이트, 탭홈성형다이, 탭홈성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형플레이트, 탭홈성형다이, 탭홈성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 및 다이이동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에 다이이동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다이 및 탭홈성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탭홈성형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하형플레이트(32)가 설치된다. 상기 하형플레이트(32)는 상기 상형플레이트(10)와 동일한 직사각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사부면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상부면 중앙에는 탭홈성형다이(34)가 설치된다. 상기 탭홈성형다이(34)는 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상부면 중앙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블럭(36)과, 상기 다이블럭(36)의 상부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주유관(P)의 내부에 삽입되고, 둘레면에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의 탭성형홈(48)이 함몰 형성되는 탭홈성형블럭(4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이블럭(36)은 제1,2다이블럭(38,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상부면 중앙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은 서로 맞닿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이확장핀(26)의 삽입에 따라 양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의 후술할 탭홈성형블럭(42)에 주유관(P)이 안착되는 경우 주유관(P)의 하부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의 상부면에는 탭홈성형블럭(42)이 형성된다. 상기 탭홈성형블럭(42)은 제1,2탭홈성형블럭(44,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탭홈성형블럭(44,46)은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의 상부면에 각각 반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둘레면에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의 탭성형홈(48)이 형성된다. 상기 제1,2탭홈성형블럭(44,46)의 외주면에는 주유관(P)의 탭홈(H) 성형시 주유관(P)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상부면에는 핀가이드홀(50)이 형성된다. 상기 핀가이드홀(50)은 도 9와 같이, 호퍼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다이확장핀(26)의 삽입이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핀가이드홀(50)의 하부에는 핀수용홀(5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핀수용홀(52)은 상기 제1,2다이블럭(38,40) 및 상기 제1,2탭홈성형블럭(44,46)가 맞닿은 상태에서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핀수용홀(52)의 내부에는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향 이동에 의해 상기 다이확장핀(26)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탭홈성형다이(34)에 주유관(P)을 장착하는 경우, 도 1과 같이, 상기 제1,2탭홈성형블럭(44,46)는 중앙측에 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주유관(P)의 내경보다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주유관(P)의 장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유관(P)의 둘레면에 탭홈(H) 성형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다이확장핀(26)이 상기 핀가이드홀(50) 및 핀수용홀(52)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2탭홈성형블럭(44,46)이 벌림 이동되고, 주유관(P)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주유관(P)의 내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 다이블럭(36)의 하부에는 돌출단(54)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54)은 도 10과 같이 상기 다이블럭(36)의 하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54)은 다이블럭(36)와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할 다이이동부재(60)의 연결되어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을 중앙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이블럭(36)의 좌,우측에는 다이가이드레일(56)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다이가이드레일(56)은 일반적인 가이드레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다이가이드레일(56)은 상기 내부에는 상기 다이블럭(36)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58)가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다이가이드레일(56)은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의 좌우 이동시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의 돌출단(54) 측면에는 다이이동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이동부재(60)는 이동로드(62)와 다이이동실린더(64)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로드(62)는 사각 블럭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다이이동실린더(64)의 끝단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다이이동부재(60)는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의 돌출단(54)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탭홈성형블럭(42)에 주유관(P)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2탭홈성형블럭(44,46)의 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을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중앙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양측에는 탭홈성형부재(6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탭홈성형부재(66)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압면(70)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면(30)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탭홈성형다이(34)에 장착된 주유관(P) 측으로 이동되는 가압블럭(68)과, 상기 가압블럭(68)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측면에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주유관장착홈(74)이 형성되고, 상기 주유관장착홈(74)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되는 탭홈성형돌기(76)가 형성되어 주유관(P)의 측면를 가압하여 탭홈(H)을 형성하는 탭홈가압블럭(72)과,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블럭(68)의 일측을 지지하고, 내부에 가이드핀홀(80)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블럭(78)과, 상기 가이드핀홀(80)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가압블럭(68)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압블럭(68)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가이드핀(82)과, 상기 가이드핀(82)이 외주면에 결합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고정블럭(78)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핀(82)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핀(8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8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블럭(68)은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양측에 각각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블럭(68)의 상부면 좌측에는 가압면(70)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면(70)은 상기 가동면(30)과 동일한 각도로 상기 가압블럭(68)의 상부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압블럭(68)은 도 3 과 같이, 상기 가동면(30)과 상기 가압면(70)의 밀착에 의해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주유관(P)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블럭(68)의 측면에는 탭홈가압블럭(72)이 설치된다. 상기 탭홈가압블럭(72)은 도 14와 같이, 사각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블럭(68)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탭홈가압블럭(72)의 상기 가압블럭(68)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압블럭(68)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탭홈가압블럭(72)의 측면에는 주유관장착홈(74)이 형성된다. 상기 주유관장착홈(74)은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주유관(P)의 외주면 일부분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주유관장착홈(74)의 내주면에는 탭홈성형돌기(76)가 형성된다. 상기 탭홈성형돌기(76)는 상기 주유관장착홈(74)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탭홈성형돌기(76)는 도 4와 같이 주유관(P)의 측면에 밀착되어 주유관(P)의둘레면에 탭홈(H)을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블럭(78)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블럭(78)은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블럭(68)의 일측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블럭(78)의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가이드핀홀(8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홀(80)은상기 고정블럭(78)의 내부에 좌우로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가이드핀(82)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핀홀(80)의 내부에는 가이드핀(82)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핀(82)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82)의 우측 끝단에 상기 가압블럭(68)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블럭(68)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핀(82)의 좌측 끝단에는 탄성체고정판(84)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고정판(84)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핀(82)의 좌측 끝단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고정판(84)은 후술할 탄성부재(86)가 상기 가이드핀(82)의 우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핀(82)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86)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86)는 일반적인 탄성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부재(86)의 일단은 상기 고정블럭(78)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체고정판(84)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핀(82)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탭홈성형부재(66)에 상기 가동블럭(28)이 밀착되는 경우, 상기 가압블럭(68)이 상기 탭홈성형다이(34)측으로 이동되어 주유관(P)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상기 탭홈성형돌기(76)가 주유관(P)의 둘레면 가압되어 탭홈(H)이 형성된다.
그리고, 주유관(P)의 둘레면에 탭홈(H)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가동블럭(28)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가압블럭(68)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고, 상기 탄성부재(8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블럭(68)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주유관(P)의 둘레면에 탭홈(H)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탭홈성형다이(34)의 외주면에 주유관(P)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탭홈성형다이(34)는 다이이동부재(60)에 의해 제1,2탭홈성형블럭(44,46)가 중앙에 밀착된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외경이 상기 주유관(P)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손쉽게 주유관(P)을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외주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탭홈성형다이(34)에 주유관(P)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형플레이트(10)가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상형플레이트(10)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형플레이트(10)에 설치된 주유관고정블럭(12)의 주유관삽입홀(14) 내부에 주유관(P)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주유관(P)의 내부로 삽입된 다이확장핀(26)이 탭홈성형다이(34)의 핀가이드홀(50)과 핀수용홀(52)을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제1,2탭홈성형블럭(44,46)가 주유관(P)의 내주면 양측에 각각 밀착 고정된다.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주유관(P)에 대한 내주면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상형플레이트(10)에 설치된 가동블럭(28)의 가동면(30)이 탭홈성형부재(66)의 가압면(70)에 밀착된다.
상기 가동면(30)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탭홈성형부재(66)의 가압블럭(68)이 주유관(P)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탭홈성형돌기(76)에 장착된 주유관(P)의 둘레면 양측에 각각 탭홈(H)을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상형플레이트 12. 주유관고정블럭
14. 주유관삽입홀 22. 습동홈
32. 하형플레이트 28. 가동블럭
34. 탭홈성형다이 60. 다이이동부재
66. 탭홈성형부재 68. 가압블럭
70. 가압면 72. 탭홈가압블럭

Claims (5)

  1.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이 고정설치되는 상형플레이트(10)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이 고정 설치되는 하형플레이트(32)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주유관삽입홀(14)이 형성되는 주유관고정블럭(12)과;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유관삽입홀(14)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주유관(P)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경지지바(18)와, 상기 내경지지바(18)의 바닥면 중앙에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주유관(P)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이확장핀(26)으로 이루어지는 주유관고정부재(16)와;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부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동면(30)이 형성되고,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블럭(28)과;
    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상부면 중앙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블럭(36)과, 상기 다이블럭(36)의 상부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주유관(P)의 내부에 삽입되고, 둘레면에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의 탭성형홈(48)이 함몰 형성되는 탭홈성형블럭(42)으로 이루어지는 탭홈성형다이(34)와;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동블럭(28)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면(30)이 밀착되어 상기 탭홈성형다이(34) 측으로 이동되고, 선단면에 상기 탭성형홈(4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탭홈성형돌기(76)가 돌출 형성되어 주유관(P)의 측면을 가압하여 주유관(P)의 측면에 탭홈(H)을 성형하는 탭홈성형부재(66);를 포함하는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블럭(36)은,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상부면 중앙 양측에 설치되는 제1,2다이블럭(38,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탭홈성형블럭(42)은,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의 상부면에 반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측면에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의 탭성형홈(48)이 형성되는 제1,2탭홈성형블럭(44,46)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홈성형부재(66)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압면(70)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면(30)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탭홈성형다이(34)에 장착된 주유관(P) 측으로 이동되는 가압블럭(68)과;
    상기 가압블럭(68)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사각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측면에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주유관장착홈(74)이 형성되고, 상기 주유관장착홈(74)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되는 탭홈성형돌기(76)가 형성되어 주유관(P)의 측면를 가압하여 탭홈(H)을 형성하는 탭홈가압블럭(72)과;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블럭(68)의 일측을 지지하고, 내부에 가이드핀홀(80)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블럭(78)과;
    상기 가이드핀홀(80)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가압블럭(68)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압블럭(68)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가이드핀(82)과;
    상기 가이드핀(82)이 외주면에 결합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고정블럭(78)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핀(82)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핀(8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86);를 포함하는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중앙측으로 상기 제1,2다이블럭(38,40)를 가압하는 다이이동부재(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다이이동부재(60)는,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단(54)에 밀착되고, 상기 제1,2다이블럭(38,40)의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중앙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로드(62)와;
    상기 이동로드(6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동로드(62)를 상기 하형플레이트(32)의 중앙측으로 이동시키는 다이이동실린더(64);를 포함하는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상부면에는,
    호퍼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다이확장핀(26)의 삽입이 안내되는 핀가이드홀(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핀가이드홀(50)과 연통되며, 상기 탭홈성형다이(34)의 내부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다이확장핀(26)이 수용되는 핀수용홀(5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KR1020190036475A 2019-03-29 2019-03-29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Active KR102207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75A KR102207009B1 (ko) 2019-03-29 2019-03-29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75A KR102207009B1 (ko) 2019-03-29 2019-03-29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540A true KR20200114540A (ko) 2020-10-07
KR102207009B1 KR102207009B1 (ko) 2021-01-25

Family

ID=7288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475A Active KR102207009B1 (ko) 2019-03-29 2019-03-29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0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9201A (zh) * 2021-07-20 2021-08-31 江苏南方轴承股份有限公司 推力滚针轴承外翻边垫片压锁口模具
KR102679778B1 (ko) * 2024-04-30 2024-07-01 주식회사 벨맥스 보일러 연통 커어링 성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896A (ja) * 1993-08-23 1995-02-28 Sharp Corp プレス成形機
JPH07288956A (ja) * 1994-04-18 1995-10-31 Toshiba Corp プレス成形装置
KR200261934Y1 (ko) * 1999-06-01 2002-02-06 이경호 프레스 금형
KR101302227B1 (ko) 2012-03-12 2013-08-30 (주)티첸코리아 조립선반용 파이프의 고정홈 성형장치
KR20180111120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전우정밀 프레스 금형 장치, 이를 이용한 프레스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896A (ja) * 1993-08-23 1995-02-28 Sharp Corp プレス成形機
JPH07288956A (ja) * 1994-04-18 1995-10-31 Toshiba Corp プレス成形装置
KR950028846A (ko) * 1994-04-18 1995-11-22 가부시끼가이사 도시바 프레스 성형장치
KR200261934Y1 (ko) * 1999-06-01 2002-02-06 이경호 프레스 금형
KR101302227B1 (ko) 2012-03-12 2013-08-30 (주)티첸코리아 조립선반용 파이프의 고정홈 성형장치
KR20180111120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전우정밀 프레스 금형 장치, 이를 이용한 프레스 성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9201A (zh) * 2021-07-20 2021-08-31 江苏南方轴承股份有限公司 推力滚针轴承外翻边垫片压锁口模具
KR102679778B1 (ko) * 2024-04-30 2024-07-01 주식회사 벨맥스 보일러 연통 커어링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009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009B1 (ko) 주유관 탭홈 성형장치
JP4026154B2 (ja) ダイセットのガイドポスト位置決め構造
US20020152789A1 (en) Press apparatus
US2231278A (en) Crimping machine
CN103025500A (zh) 注塑模制的部件
CN109623322B (zh) 一种压铆模具及压铆设备
US7765845B2 (en) Stem slide device
CN211489320U (zh) 一种汽车零部件冲压模具
EP3461612B1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and molding die assembly
CN113828755B (zh) 一种二次顶出压铸模具的顶出机构
JP5086651B2 (ja) プレス成形装置
KR102494506B1 (ko) 사출 금형용 금형 블록 구조체
JP2008155231A (ja) プレス成形金型
KR102251438B1 (ko) 블랭크 배출장치
CN109079035B (zh) 一种挡圈精整模具
JPS6338284B2 (ko)
KR20100021732A (ko) 플랜지 성형용 프레스 장치
JPH0732370A (ja) 樹脂成形金型のルーズコアエジェクター装置
CN110900154B (zh) 一种轴承盖装套工装
CN210240411U (zh) 一种快速安装氮气弹簧用的固定座
US20180193903A1 (en) Casting device
CN115722589B (zh) 一种侧滑块组件及侧成型装置
JP2643072B2 (ja) 金型構造におけるエジェクタピン取付構造
CN213613624U (zh) 一种挖掘机电瓶箱模具
CN222175851U (zh) 自调节机构及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