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에 포함되는 병풀(Centella asiatica)은 산형화목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병풀은 고투콜라, 호랑이풀, 조개풀 또는 말굽풀로도 불리며 한반도 남부 섬의 산이나 들에 흔히 자생하며,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병풀은 원줄기가 옆으로 뻗고, 뿌리가 내리는 마디 근처에 2개의 퇴화된 비늘 모양의 잎이 있다. 잎은 비늘 같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자루가 길며, 타원형으로 지름 2∼5㎝에, 표면은 광택이 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홍자색으로 핀다. 2∼5개의 꽃이 긴 꽃자루 끝에 달리고 작은 꽃자루는 거의 없으며 총포조각은 2개이다. 꽃잎은 5개로 넓은 원형이고 수술로 5개이다. 열매는 편평한 원형이고 겉에 튀어나온 그물눈이 있으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없어진다. 병풀은 마데카솔 성분인 센텔라아시아티카가 함유되어 자극으로 약해진 피부를 진정시키고 자생력을 강화시키는 진정성분으로 쓰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더 포함되는 성분인 솔잎 추출물은 피부의 열을 내려 피부를 맑게 해주며 특유의 살균작용으로 진정효과가 있어 가려움 및 자극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솔잎 추출물의 원료인 솔잎(Pine needles)은 테르펜 계통의 피톤치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그 자체로서 음이온을 발생하며, 인체에 유익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다량으로 함유된 재료이다. 또한, 솔잎은 최종 조성물에 솔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킨다. 솔잎의 테르펜(Terpenoids) 성분은 피부 노화를 방지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솔잎은 테르펜 이외에도 특히, 솔잎에 들어있는 피넨(α-Finene) 성분은 캄폰(Campone)으로 이성화되어 생체조직이 산화되어 각화, 각질이 되는 것을 환원시켜 주는 과정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에는 민들레 추출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Dahlst.)는 국화과 및 민들레 속에 속하는 쌍떡잎식물을 말하는데, 잎은 날개 깃처럼 갈라졌으며 이른봄에 뿌리에서 모여 나와 땅 위를 따라 옆으로 퍼진다. 노란색의 꽃이 4 내지 5월에 핀다. 열매는 납작한 수과로 흰색 갓털이 있어 바람이 불면 쉽게 날려 간다. 한편, 양지바른 곳에서 흔히 자라고 뿌리가 깊어 짓밟혀도 잘 죽지 않는다.
상기 민들레는 비타민 B, 비타민 C, 사포닌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피부톤 개선에 뛰어난 효능이 있으며, 피부를 편안하게 진정시키고, 피부 노화의 원인인 활성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또한, 피부 진균에 대한 억제 작용과 항산화 활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추출물"은 식물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 제한적인 예로는 물, 글리세린,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글리세린 또는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 제한적인 예로는, 진공 저온 추출, 상온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증기 추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병풀, 솔잎, 민들레를 물로 세척하고 그늘에서 건조한 다음, 상기 건조된 병풀, 솔잎, 민들레를 분쇄하여 추출 용기에 투입 후, 추출 용매로 60℃의 저온에서 진공 하에 반복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을 거름종이 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과한 다음,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병풀 추출물, 솔잎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을 피부보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중량% 내지 70중량%를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병풀 추출물을 피부보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5중량% 내지 60중량%를 포함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보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병풀 추출물 40중량% 내지 6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보호 조성물에는 솔잎 추출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솔잎 추출물은 피부보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솔잎 추출물 0.001중량% 이상 30중량% 미만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을 피부보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25중량%를 포함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을 피부보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보호 조성물에는 민들레 추출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민들레 추출물은 피부보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민들레 추출물 0.001중량% 이상 20중량% 미만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민들레 추출물을 피부보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15중량%를 포함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민들레 추출물을 피부보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병풀 및 솔잎 추출물을 1:0.1 내지 1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병풀 및 솔잎 추출물을 1:0.1 내지 0.5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다. 보다 더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병풀 및 솔잎 추출물을 1:0.3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병풀 및 민들레 추출물을 1:0.1 내지 1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병풀 및 민들레 추출물을 1:0.1 내지 0.5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다. 보다 더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병풀 및 민들레 추출물을 1:0.3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병풀 추출물, 솔잎 추출물 및 민들레 추출물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 병풀 추출물:솔잎 추출물:민들레 추출물의 비율은 1:0.1 내지 1:0.1 내지 1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병풀 추출물:솔잎 추출물:민들레 추출물의 비율은 1:0.1 내지 0.5:0.1 내지 0.5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다. 보다 더 바람직한 양태에서, 병풀 추출물:솔잎 추출물:민들레 추출물의 비율은 1:0.3:0.3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피부보호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썬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치크 블러셔, 립스틱, 립글로즈, 립틴트, 립밤틴트,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겔,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팩 또는 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보호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성분들 이외에도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피부보호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피부 보습,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보호 등 피부 손상을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에 포함되는 병풀 추출물이 포함된 제품은 병풀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에 대해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인체 피부에 대해 안전하고, 피부보습력이 우수하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병풀 추출물에 대한 향균 활성 효과가 있었다.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 향균, 피부보습, 항산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추가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향균성을 갖는 성분으로는 천연 항균 물질인 차나무 추출물 등이 있고, 공지된 항생 물질로는 아목시실린(amoxixill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에 포함되는 병풀 추출물이 포함된 제품은 병풀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에 대해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인체 피부에 대해 안전하고, 피부보습력이 우수하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병풀 추출물에 대한 향균 활성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부보호 조성물이 포함된 제형 중 입술에 적용되는 립밤틴트는 발림성, 밀착감, 지속성, 발색력 등에 대한 관능 평가에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이하,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실시예 1 : 피부보호 조성물의 제조
영양크림
병풀 추출물, 병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 병풀 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 병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 및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제조 예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 에탄올 아민, 프로필렌글리콜을 70℃로 가열 용해하였다.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되면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킨 후, 병풀 추출물, 솔잎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과 향을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병풀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성분 및 함량
|
함량(중량%) |
성분 |
시험군1 |
시험군2 |
시험군3 |
시험군4 |
병풀 추출물 |
40 |
40 |
40 |
40 |
솔잎 추출물 |
0 |
4 |
0 |
4 |
민들레 추출물 |
0 |
0 |
4 |
4 |
호호바 오일 |
4.0 |
4.0 |
4.0 |
4.0 |
유동 파라핀 |
5.0 |
5.0 |
5.0 |
5.0 |
세틸아릴 알코올 |
1.5 |
1.5 |
1.5 |
1.5 |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
1.5 |
1.5 |
1.5 |
1.5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0.5 |
0.5 |
0.5 |
0.5 |
스쿠알란 |
2.0 |
2.0 |
2.0 |
2.0 |
프로필렌 글리콜 |
2.0 |
2.0 |
2.0 |
2.0 |
글리세린 |
6.0 |
6.0 |
6.0 |
6.0 |
트리 에탄올 아민 |
0.2 |
0.2 |
0.2 |
0.2 |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
0.2 |
0.2 |
0.2 |
0.2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
0.3 |
0.3 |
0.3 |
0.3 |
방부제, 향 |
미량 |
미량 |
미량 |
미량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비교군 1 :
정제수를
함유한 크림
성분 |
함량(중량%) |
호호바 오일 |
4.0 |
유동 파라핀 |
5.0 |
세틸아릴 알코올 |
1.5 |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
1.5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0.5 |
스쿠알란 |
2.0 |
프로필렌 글리콜 |
2.0 |
글리세린 |
6.0 |
트리 에탄올 아민 |
0.2 |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
0.2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
0.3 |
방부제, 향 |
미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실시예 2 : 피부개선 효과 측정
상기 비교군 1과 실시군 1∼4의 제품에 대하여 건강한 30세에서 5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피부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35세에서 50세까지의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각 시험군에 대하여 10명씩 오른쪽 볼에는 비교군의 크림을, 왼쪽 볼에는 병풀 추출물, 솔잎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시험군 1∼4의 크림을 1일 2회 2개월간 도포하였다.
2개월 후 피부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피부의 영상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피부결 개선,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에 관하여 사용 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단위: 명).
시료 |
개선없음 |
약간의 개선 |
상당한 개선 |
비교군 |
29 |
1 |
0 |
시험군1 |
1 |
2 |
7 |
시험군2 |
3 |
6 |
1 |
시험군3 |
2 |
8 |
0 |
시험군4 |
0 |
1 |
9 |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시험군 1 내지 4를 사용한 경우 피부결 개선과 피부보습 및 탄력 증진 효과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의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 피부보호 조성물의 제조
립밤틴트
병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립밤틴트와, 병풀 추출물, 병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 병풀 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 병풀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 및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한 립밤틴트의 제조 예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병풀 추출물을 함유한 립밤틴트의 성분 및 함량
|
함량(중량%) |
성분 |
비교군2 |
시험군5 |
시험군6 |
시험군7 |
시험군8 |
병풀 추출물 |
0 |
40 |
40 |
40 |
40 |
솔잎 추출물 |
0 |
0 |
4 |
0 |
4 |
민들레 추출물 |
0 |
0 |
0 |
4 |
4 |
해바라기오일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캐스터오일 |
6 |
6 |
6 |
6 |
6 |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
11 |
11 |
11 |
11 |
11 |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
13 |
13 |
13 |
13 |
13 |
비즈왁스 |
3 |
3 |
3 |
3 |
3 |
쉐어버터 |
3 |
3 |
3 |
3 |
3 |
텍스트린팔미테이트 |
2 |
2 |
2 |
2 |
2 |
라눌린 |
3 |
3 |
3 |
3 |
3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100 |
실시예 4 :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기본적인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5명의 여성, 2명의 남성에게 도포하도록 하여 사용감(발림성, 밀착감, 지속성, 피부보습력) 선호도를 5점의 척도(1점: 아주 나쁨, 2점: 나쁨, 3점: 보통, 4점: 좋음, 5점: 아주 좋음)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도포는 동일한 포장과 용량으로 제한된 샘플에 대해 무작위적인 순서로 직접 도포하도록 하여 3회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
비교군 2 |
시험군 5 |
시험군 6 |
시험군 7 |
시험군 8 |
발림성 |
4 |
4 |
4.1 |
4 |
4.5 |
밀착감 |
3.9 |
4 |
3.9 |
4 |
4.2 |
지속성 |
4 |
4.2 |
4 |
4.1 |
4.2 |
피부보습력 |
4 |
4.1 |
4.1 |
4 |
4.3 |
상기 표 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시험군 5 내지 8을 사용한 경우 발림성, 밀착감, 지속성, 피부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