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13735A -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735A
KR20200113735A KR1020190034348A KR20190034348A KR20200113735A KR 20200113735 A KR20200113735 A KR 20200113735A KR 1020190034348 A KR1020190034348 A KR 1020190034348A KR 20190034348 A KR20190034348 A KR 20190034348A KR 20200113735 A KR20200113735 A KR 2020011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alia
essential oil
skin
composition
fl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042B1 (ko
Inventor
이환명
황대일
김하빈
김도윤
정옥진
리야리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0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0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릅나무 꽃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는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향상시켰으며, 세포 외/내의 신호조절을 조절하여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를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ssential oil of Aralia elata (Miq.) Seem. Flower}
본 발명은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두릅나무 꽃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skin)는 인체의 가장 외부를 덮고 있는 조직으로 인체를 보호하고 장벽기능을 하여 외부의 화학적·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일차적인 방어기능을 한다. 피부는 표피(epidermis)와 진피(dermis), 피하지방층(subcutis)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바깥층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는 90 %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구성되어있다. 피부는 자외선 및 스트레스 등에 의해 노화되거나 상처로 인해 손상되면 그 기능이 약화되고, 이때 피부 재생 과정이 시작된다. 피부 재생 과정은 급성 염증반응을 시작으로 표피 세포의 증식과 이동과 증식을 거쳐 새로운 혈관의 생성과 콜라겐(collagen) 합성을 통하여 결체조직의 수축을 거친다. 이때 표피의 90 % 이상을 차지하는 각질형성세포의 이동과 증식은 상처치유와 피부 재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여 피부의 탄력 증진과 기저막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식물유래 천연 정유는 식물의 2차 대사산물 중 인체에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휘발성 화학물질로, 주로 테르펜, 알코올, 알데하이드, 에스테르, 케톤 등의 여러 가지 유기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천연물 유래 정유의 방향성 성분이 피부, 순환계, 후각계를 통해 스트레스 해소, 피로 회복, 근육 이완 등의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균작용, 면역 증진, 항알러지 작용 등의 치료효과를 나타내어 오래전부터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활용되어왔을 뿐만 아니라, 식품 향료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두릅나무(Aralia elata (Miq.) Seem)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시가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날개깃처럼 2번 갈라진 겹잎으로, 잎줄기와 잔잎에 가시가 많다. 8 ~ 9월에 흰색의 꽃이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줄기에는 짧은 갈색털이 있으며, 꽃차례 여러 개가 하나의 산형꽃차례를 이루는 겹산형 꽃차례를 이루고 있다. 3 ~ 4월에 돋아나는 새순에는 우수한 단백질과 비타민A, C 및 칼슘과 섬유질 함량이 높아 먹으면 몸에 활력을 주고 피로를 풀어주어 특히 춘곤증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열매는 둥글고, 검게 익으며, 식용과 약용으로 쓰인다. 두릅나무의 껍질과 뿌리는 주로 약용으로 사용되나, 아직까지 두릅나무의 꽃을 이용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최근, 현대 사회에 생활수준의 향상과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 등으로 기존에 사용되어온 합성향료가 인체에 대한 높은 독성과 호르몬 교란 등의 문제가 인식되면서 천연 향료로서 이용되는 천연물 유래 정유 성분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천연물 유래 정유는 향기뿐만 아니라 항균 및 항염 작용과 아로마테라피 효과까지 알려지면서 천연물 유래 정유에 대한 연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두릅나무 꽃으로부터 추출한 정유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재생 및 상처치유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한 피부 재생 및 상처치유 효과가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두릅나무 꽃 정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두릅나무 꽃 정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는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향상시켰으며, 세포 외/내의 신호조절을 조절하여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를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릅나무의 꽃에서 정유를 추출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 (앱솔루트)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 (앱솔루트)의 표피 각질형성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 (앱솔루트)의 표피 각질형성 세포 외 신호조절 키나아제 (Erk 1/2) 및 세포 내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Akt)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
A: 표피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면역블롯 결과;
B: 정량화한 표피 각질형성 세포 외 신호조절 키나아제 (Erk 1/2)의 인산화 정도; 및
C: 정량화한 표피 각질형성 세포 내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Akt)의 인산화 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정유는 두릅나무의 꽃을 유기용매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콘크리트를 얻고 이를 유기용매에 용해 및 여과하여 불용성 왁스를 제거하여 앱솔루트를 얻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는 두릅나무의 꽃을 유기용매에 침지하고; 침지액을 증발 및 농축하여 콘크리트를 얻으며; 콘크리트를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여과하여 불용성 왁스를 제거하며; 증발을 통해 앱솔루트를 분리 및 정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추출법과 추출물로부터 앱솔루트를 분리하는 방법은 이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형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서,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는 감마-토코페롤(γ-Tocopherol), 사이클로테트라코산(Cyclotetracosane), 1-도코센(1-Docosene), 리놀렌산(Linolenic acid), 항산화제 BKF(Antioxidant BKF), 델타-토코페롤(δ-Tocopherol), 알파-아미린(α-Amyrin), dl-데트라미솔(dl-Tetramisole), 헥사데칸산(Hexadecanoic acid), 무스카몬(Muscalure), 알파-비사볼렌(α-Bisabolene), 파네졸(Farnesol), 펜타코산(Pentacosa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l-보르닐 아세테이트(l-Bornyl acetate), 9-(베타-클로로스티릴)-10-(페닐에티닐)안트라센(9-(β-Chlorostyryl)-10-(phenylethynyl)anthracene), 베타-비사볼렌(β-Bisabolene) 및 1-옥타데센(1-Octadec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두릅나무의 꽃은 꽃이 피기 직전의 꽃봉오리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 및 재생용일 수 있으며, 이는 노화와 주름, 상처 및 피부 병변으로 인하여 생리활성이 저하된 피부의 탄력, 재생, 및/또는 상처치유 등에 유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0.1 내지 300 μg/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며, 50 내지 150 μg/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정유(精油)"란 식물 (식물의 잎, 줄기, 열매, 꽃, 뿌리 등)로부터 추출 분리한 방향유(휘발성 물질)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추출물, 추출법,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천연물 유래 정유는 추출법에 따라 에센셜오일(essential oil), 앱솔루트(absolute), 콘크리트(concrete) 등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extract)"이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즉, 목적하는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물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과정을 거친 추출물을 분획한 것도 포함된다.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교반 추출, 진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용매로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나 헥산, 클로로 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상처치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통한 피부 재생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색조화장품, 선크림, 투웨이케이크,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아이쉐도우, 립스틱, 립글로스, 립픽스, 아이브로우 펜슬, 화장수 등의 화장품 및 샴푸, 비누 등의 세정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두릅나무의 꽃을 유기용매에 침지하고, 침지액을 증발 및 농축하여 콘크리트를 얻으며, 콘크리트를 유기용매에 용해 및 여과하여 불용성 왁스를 제거하고, 및 앱솔루트를 분리 및 정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릅나무 꽃 정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릅나무 꽃 정유 제조
호서대학교(아산시, 대한민국) 실습지 인근에서 자생된 두릅나무의 꽃이 피기 직전의 꽃망울 전체를 8월에 채취하여 세척한 후, 건조하지 않고 헥산에 침지시켰고, 이렇게 얻은 침지액을 회전식 증발기에서 90분 동안 증발시켜서 농축시킴으로서 고형의 콘크리트를 획득하였다. 그 후, 상기 고형의 콘크리트를 에틸알코올을 넣어 용해시키고, 진공 냉각 필터를 거쳐 불용성 왁스를 제거하였으며, 다시 회전식 증발기에서 90분 동안 증발시켜서 분리/정제함으로써 두릅나무 꽃 앱솔루트(정유) 2.8 g을 제조하였다 (도 1). 제조한 두릅나무 꽃 앱솔루트는 4℃의 저온고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두릅나무 꽃 정유의 성분 분석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계(6890N GC/5975i MS, Agilent, USA)를 사용하여 두릅나무 꽃 앱솔루트의 성분을 휘발성분의 지체시간(retention indices, RI)과 표준물질의 지체시간 및 휘발물질의 질량 스펙트럼과 Wiley 7Nist05 library의 질량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GC/MS의 컬럼(column)은 DB5-MS (30m×50μm, 0.25μm)를 사용하였으며, 캐리어 가스(carrier gas)는 헬륨을 사용하여 1 mL/분으로 흐르게하여 분석하였다. 오븐의 온도는 40℃ - 2℃/분 - 230℃ - 5℃/분 - 300℃(5분)으로 유지하였으며, injection의 온도는 280℃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Interface의 온도는 300℃, ion source의 온도는 230℃, analyzer의 온도는 150℃에서 분석하였으며, Mass range는 40~800m/z에서 분석하였다. RI는 C6 ~ C24(n-alkane)를 이용하여 시료와 동일 조건에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릅나무 꽃 앱솔루트는 총 18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γ-Tocopherol, Cyclotetracosane, 1-Docosene, Linolenic acid, Antioxidant BKF, δ-Tocopherol, α-Amyrin, dl-Tetramisole, Hexadecanoic acid, Muscalure, α-Bisabolene, Farnesol, Pentacosane, Caryophyllene, l-Bornyl acetate, 9-(β-Chlorostyryl)-10-(phenylethynyl)anthracene, β-Bisabolene 및 1-Octadecene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실시예 3. 두릅나무 꽃 정유의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 향상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두릅나무 꽃 정유(앱솔루트)가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람 피부 유래 표피 각질형성세포(HaCat)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고, 표피 각질형성세포를 96 well 마이크로플레이트에 3×103 cells/100 μL/well이 되도록 주입하여 37℃의 5 %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두릅나무 꽃 앱솔루트를 0.1 ~ 250 μg/mL의 농도로 각 웰에 100 μL씩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여기서, 음성 대조군은 두릅나무 꽃 앱솔루트를 이용하지 않은 것이고, 양성 대조군은 종래에 피부재생 및 상처치유에 활용되고 있는 표피성장인자(epithermal growth factor, EGF 50 ng/mL)를 이용하였다. Ez-cytox와 DMEM를 1 : 1로 혼합하여 각 웰에 20 μL씩 처리한 후 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ELISA 플레이트 리더 (Synerge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백분율로 환산하여 두릅나무 꽃앱솔루트의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릅나무 꽃 앱솔루트는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
실시예 4. 두릅나무 꽃 정유의 표피 각질형성세포 내 신호전달 인자 인산화 향상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두릅나무 꽃 정유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조절하는 주요 신호전달과정인 세포 외 신호조절 키나아제 (Erk 1/2) 및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Akt)의 인산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두릅나무 꽃 앱솔루트를 0.1 ~ 250 μg/mL의 농도를 처리하고 (음성 대조군: 무처리군 및 양성 대조군: 표피성장인자 5 ng/mL), 각각 신호조절 키나아제에 대한 항체(P-Erk 1/2, Erk 1/2, P-Akt 및 Akt)를 이용하여 면역블롯(Immuno Blot)법으로 인산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두릅나무 꽃 앱솔루트가 농도 의존적으로 표피 각질형성 세포 외 신호조절 키나아제 (Erk 1/2) 및 세포 내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Akt)의 인산화를 유도하였으며, 특히, 100 μg/mL의 농도에서 세포 외 신호조절 키나아제 (Erk 1/2)의 인산화가 379.71±32.03% 유도되었고, 세포 내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Akt)의 인산화가 355.29±24.35%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4).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두릅나무(Aralia elata (Miq.) Seem.)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정유는 유기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두릅나무의 꽃을 유기용매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콘크리트를 얻고 이를 유기용매에 용해 및 여과하여 불용성 왁스를 제거하여 앱솔루트를 얻음으로써 제조된 정유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는 감마-토코페롤(γ-Tocopherol), 사이클로테트라코산(Cyclotetracosane), 1-도코센(1-Docosene), 리놀렌산(Linolenic acid), 항산화제 BKF(Antioxidant BKF), 델타-토코페롤(δ-Tocopherol), 알파-아미린(α-Amyrin), dl-데트라미솔(dl-Tetramisole), 헥사데칸산(Hexadecanoic acid), 무스카몬(Muscalure), 알파-비사볼렌(α-Bisabolene), 파네졸(Farnesol), 펜타코산(Pentacosa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l-보르닐 아세테이트(l-Bornyl acetate), 9-(베타-클로로스티릴)-10-(페닐에티닐)안트라센(9-(β-Chlorostyryl)-10-(phenylethynyl)anthracene), 베타-비사볼렌(β-Bisabolene) 및 1-옥타데센(1-Octadec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 및 재생용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0.1 내지 300 μg/mL의 농도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는 감마-토코페롤(γ-Tocopherol), 사이클로테트라코산(Cyclotetracosane), 1-도코센(1-Docosene), 리놀렌산(Linolenic acid), 항산화제 BKF(Antioxidant BKF), 델타-토코페롤(δ-Tocopherol), 알파-아미린(α-Amyrin), dl-데트라미솔(dl-Tetramisole), 헥사데칸산(Hexadecanoic acid), 무스카몬(Muscalure), 알파-비사볼렌(α-Bisabolene), 파네졸(Farnesol), 펜타코산(Pentacosa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l-보르닐 아세테이트(l-Bornyl acetate), 9-(베타-클로로스티릴)-10-(페닐에티닐)안트라센(9-(β-Chlorostyryl)-10-(phenylethynyl)anthracene), 베타-비사볼렌(β-Bisabolene) 및 1-옥타데센(1-Octadec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두릅나무의 꽃에서 추출한 정유를 0.1 내지 300 μg/mL의 농도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10. 두릅나무의 꽃을 유기용매에 침지하고;
    침지액을 증발 및 농축하여 콘크리트를 얻으며;
    콘크리트를 유기용매에 용해 및 여과하여 불용성 왁스를 제거하고;
    앱솔루트를 분리 및 정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릅나무 꽃 정유의 제조방법.


KR1020190034348A 2019-03-26 2019-03-26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Active KR10221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348A KR102214042B1 (ko) 2019-03-26 2019-03-26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348A KR102214042B1 (ko) 2019-03-26 2019-03-26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35A true KR20200113735A (ko) 2020-10-07
KR102214042B1 KR102214042B1 (ko) 2021-02-08

Family

ID=7288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348A Active KR102214042B1 (ko) 2019-03-26 2019-03-26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8499A (ko) 2023-01-27 2024-08-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내구성이 향상된 코어-쉘 촉매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623A (ja) * 1990-05-17 1992-01-29 Kuraray Co Ltd 創傷治療剤
JPH11158053A (ja) * 1997-12-01 1999-06-15 Nippon Shinyaku Co Ltd 化粧料
JP2002275018A (ja) * 2001-03-14 2002-09-25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2275085A (ja) * 2001-03-14 2002-09-25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10241779A (ja) * 2009-03-31 2010-10-28 Ivy Cosmetics Corp 肌荒れ改善皮膚外用剤
CN105670783A (zh) * 2016-02-29 2016-06-15 广州市禾基生物科技有限公司 辽东楤木油及其提萃取方法
KR20170024267A (ko) 2015-08-25 2017-03-0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궁화의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CN106511825A (zh) * 2017-01-17 2017-03-22 段修英 一种用于褥疮护理的中药
KR20180051822A (ko) * 2016-11-09 2018-05-1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칭개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623A (ja) * 1990-05-17 1992-01-29 Kuraray Co Ltd 創傷治療剤
JPH11158053A (ja) * 1997-12-01 1999-06-15 Nippon Shinyaku Co Ltd 化粧料
JP2002275018A (ja) * 2001-03-14 2002-09-25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2275085A (ja) * 2001-03-14 2002-09-25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10241779A (ja) * 2009-03-31 2010-10-28 Ivy Cosmetics Corp 肌荒れ改善皮膚外用剤
KR20170024267A (ko) 2015-08-25 2017-03-0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궁화의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CN105670783A (zh) * 2016-02-29 2016-06-15 广州市禾基生物科技有限公司 辽东楤木油及其提萃取方法
KR20180051822A (ko) * 2016-11-09 2018-05-1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칭개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CN106511825A (zh) * 2017-01-17 2017-03-22 段修英 一种用于褥疮护理的中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won Yang, "두릅순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유래 피부각질형성세포와 피부섬유아세포에서의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억제효과",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6, 49, 429-436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8499A (ko) 2023-01-27 2024-08-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내구성이 향상된 코어-쉘 촉매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042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6475A (ko)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90328650A1 (en) Cosmetic use of the essential oil of laserpitium siler l. against the signs of aging of the skin and as a skin antioxidant
KR102242340B1 (ko) 옥수수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143717B1 (ko) 연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4042B1 (ko) 두릅나무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31480B1 (ko)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3B1 (ko)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206466A (ja) シワ改善用皮膚外用剤
KR102197123B1 (ko) 마타리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63004B1 (ko) 안면송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30094043A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5769B1 (ko) 새삼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94539B1 (ko) 펙톨리나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5941B1 (ko) 궁궁이 유래의 앱솔루트 타입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2442464B1 (ko) 억새 꽃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KR102076179B1 (ko) 타래붓꽃과 참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7688B1 (ko) 죽단화 꽃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4244B1 (ko) 청미래덩굴 꽃 유래의 앱솔루트 타입형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2335679B1 (ko) 버드나무 꽃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KR101949956B1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5127B1 (ko) 대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P3446676B1 (en) Aroma composition
KR101871577B1 (ko) 고산지역에서 자란 로즈마리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57414A (ko)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250017125A (ko) 탱자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니트릴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8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8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