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249A -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2249A KR20200112249A KR1020190032433A KR20190032433A KR20200112249A KR 20200112249 A KR20200112249 A KR 20200112249A KR 1020190032433 A KR1020190032433 A KR 1020190032433A KR 20190032433 A KR20190032433 A KR 20190032433A KR 20200112249 A KR20200112249 A KR 202001122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a
- milk
- weight
- water
- he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23F3/10—Fermentation with 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or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2—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은, 용수를 가열하여 70℃~100℃의 열수 23~26중량%를 준비하는 열수준비단계; 상기 열수에 아삼 찻잎 1~3중량%를 투입하여 4~6분간 찻물을 우려내는 1차 찻물제조단계; 우려낸 찻물을 5분간 재가열하는 2차 찻물제조단계; 상기 2차 찻물에 우유 72~77중량%, 비정제사탕수수당 3~3.5중량%, 마스카바도설탕 0.7~1중량%, 천일염 0.08~0.1중량%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밀크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밀크티 혼합물을 여과하고 냉각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은, 아삼을 고온에서 1차로 우려낸 뒤 이를 다시 저온에서 2차 우려내고, 이에 우유와 비정제사탕수수당과 마스카바도설탕 및 천일염을 투입하여 다시 끓여낸 뒤 면보에 걸러내고 식히는 과정을 통해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의 응집에 의한 고형물이나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음료로서의 안정성을 높이고, 아울러 홍차와 우유가 갖는 맛과 향 그리고 음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은, 용수를 가열하여 70℃~100℃의 열수 23~26중량%를 준비하는 열수준비단계; 상기 열수에 아삼 찻잎 1~3중량%를 투입하여 4~6분간 찻물을 우려내는 1차 찻물제조단계; 우려낸 찻물을 5분간 재가열하는 2차 찻물제조단계; 상기 2차 찻물에 우유 72~77중량%, 비정제사탕수수당 3~3.5중량%, 마스카바도설탕 0.7~1중량%, 천일염 0.08~0.1중량%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밀크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밀크티 혼합물을 여과하고 냉각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은, 아삼을 고온에서 1차로 우려낸 뒤 이를 다시 저온에서 2차 우려내고, 이에 우유와 비정제사탕수수당과 마스카바도설탕 및 천일염을 투입하여 다시 끓여낸 뒤 면보에 걸러내고 식히는 과정을 통해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의 응집에 의한 고형물이나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음료로서의 안정성을 높이고, 아울러 홍차와 우유가 갖는 맛과 향 그리고 음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삼종의 찻잎에서 우려낸 물과 우유 그리고 사탕수수당과 천일염을 함유하는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유 단백질의 응집에 의한 고형물이나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음료로서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홍차와 우유가 갖는 맛과 풍미가 우수한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제품을 주재로 한 음료로는 크게 발효유나 젖산균 등의 생균을 함유한 유산음료와, 유제품을 주재로 하여 당류나 색소 및 향료 등의 다른 식품성분등을 가하여 만든 커피음료나 초콜릿 우유 등의 우유 음료 그리고 홍차와 우유를 블랜딩한 밀크티 음료로 구분된다.
먼저, 유산균 음료의 경우 밀크 단백질은 산성 조건하에서 분산 안정성이 불안정해지는 이유로 당질의 삭감이나 변경을 행하는 경우 보존에 의한 침전이나 응집 그리고 유장 분리 등의 현상이 쉽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걸쭉한 특유의 신맛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맛을 구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플레인 요구르트와 같은 발효유의 경우 걸쭉한 식감으로 인해 쉽게 음용할 수 있는 음료 형태로의 제공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우유를 주재로 하여 그대로 음용할 수 있는 형태의 음료인 밀크티는 가정에서쉽게 만들 수 있는 대표적인 홍차 중 한가지이며, 주로 진하게 우려낸 아삼이나 실론티에 우유와 설탕을 타서 마시는 음료이다. 이러한 밀크티는 홍차를 잔에 따르고 우유를 나중에 타는 것과 우유를 잔에 넣어 홍차를 따르는 두 가지 방법이 있으나 방법에 따라 차 맛에는 큰 영향이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밸질의 함량이 높은 밀크티는 냉장 보관과 저장성이 불량하여 변질의 우려가 높기 때문에 유통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홍차와 우유가 갖는 특유의 맛과 향 그리고 음용감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과정에서 우유 단백질의 응집에 의한 고형물이나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음료로서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홍차와 우유가 갖는 맛과 향 그리고 음용감을 높일 수 있는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은 용수를 가열하여 70℃~100℃의 열수 23~26중량%를 준비하는 열수준비단계; 상기 열수에 아삼 찻잎 1~3중량%를 투입하여 4~6분간 찻물을 우려내는 1차 찻물제조단계; 우려낸 찻물을 5분간 재가열하는 2차 찻물제조단계; 상기 2차 찻물에 우유 72~77중량%, 비정제사탕수수당 3~3.5중량%, 마스카바도설탕 0.7~1중량%, 천일염 0.08~0.1중량%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밀크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밀크티 혼합물을 여과하고 냉각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냉각된 혼합물은 용기에 투입하고 2℃~5℃에서 6시간 냉장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여과된 혼합물은 130℃~140℃에서 20~40초 동안 가열살균을 실시한 다음 4~10℃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아삼 찻잎은 유산균을 접종하고 이를 발효실에서 28℃~32℃의 온도에서 24~48시간 발효시키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여과는 60메쉬 및 140메쉬 체에서 연속하여 수행하고, 2차 여과는 140메쉬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은, 아삼을 고온에서 1차로 우려낸 뒤 이를 다시 저온에서 2차 우려내고, 이에 우유와 비정제사탕수수당과 마스카바도설탕 및 천일염을 투입하여 다시 끓여낸 뒤 면보에 걸러내고 식히는 과정을 통해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의 응집에 의한 고형물이나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음료로서의 안정성을 높이고, 아울러 홍차와 우유가 갖는 맛과 향 그리고 음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첨가물의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개발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에는 크게 용수를 가열하여 된 열수준비단와, 이 열수에 아삼 찻잎을 투입하여 우려내어 1차 찻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1차 찻물에 우유, 비정제사탕수수당, 마스카바도설탕, 천일염을 혼합하여 밀크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끝으로 이 밀크티 혼합물을 여과한 뒤 냉각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재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은 크게 열수준비단계(s10)와, 1차 찾물 제조단계(s20), 2차 찻물제조단계(s30), 밀크티 혼합물 제조단계(s40), 여과 및 냉각단계(s50)으로 이루어진다.
열수준비단계(s10)는 깨끗한 용수 또는 용수를 가열하여 70℃~100℃의 열수 23~26중량%를 준비한다.
이때의 용수는 수돗물이나 정수 된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3~5분간 완전히 끓여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찻물제조단계(s20)는 상기 열수에 아삼 찻잎 1~3중량%를 투입하여 4~6분간 찻물을 우려는 과정이다.
여기서, 아삼 찻잎은 아삼주의 재래종 차나무에서 생산되며 타닌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부드럽고 깔끔한 맛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아삼 찻잎을 건조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유산균을 접종하고 이를 발효실에서 28℃~32℃의 온도에서 24~48시간 발효시키고 이를 건조한 발효 아삼찻잎을 사용할 수 있다.
2차 찻물제조단계(s30)는 상기 아삼 찻잎을 우려낸 1차 찻물을 재 가열하여 끓여낸 것으로, 이때 비교적 낮은 70~100도시의 온도에서 끓이는 것이 중요하다. 끌이는 방법은 직접가열을 통해 끓여 내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중탕으로 끓여내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아삼 찻잎에 포함된 탄닌 성분이 충분히 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아삼찻잎에 포함된 탄닌 성분이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을 분해하는 작용을 하므로 가급적 탄닌 성분이 충분히 용출될 수 있도록 저온에서 가열하는 것을 제안하며, 가열시간은 3~10분 내·외가 적절하다.
밀크티 혼합물 제조단계(s40)는 상기 2차 찻물에 우유 72~77중량%, 비정제사탕수수당 3~3.5중량%, 마스카바도설탕 0.7~1중량%, 천일염 0.08~0.1중량%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공정이다.
상기 우유는 수분70~80%, 지방 2~4%, 단백질 3~4%, 수용성비타민, 무기질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유의 단백질은 카세인과 유청(유장)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세인은 산이나 레닌을 가하면 응고되고 열에 의해서는 응고되지 않는 성질이 있으며, 유청단백질은 우유 단백질의 약 20% 차지하는 것으로 β-락토글로불린, α-락트알부민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열에 의해 쉽게 응고되어 침전된다.
여과 냉각단계(s50)는 상기 밀크티 혼합물을 여과하고 냉각시키는 과정이며, 상기 냉각과정을 거친 밀크티 혼합물은 용기에 투입된 뒤 2℃~5℃에서 6시간 냉장 숙성하여 유통될 수 있다.
즉, 여과 냉각단계에서 여과공정은 상기 밀크티 혼합물 제조단계에서 우유 단백질이 응고되거나 침전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여과시키기 위한 공정으로, 맛과 음용감을 높이고, 고형화된 단백질로 인한 상품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러한 여과 공정은 면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여과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60메쉬 및 140메쉬 체에서 연속하여 수행하고, 2차 여과는 140메쉬로 수행되는 것을 제안하며, 바람직하게는 여러번에 걸쳐 여과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제조과정에서 우유에 포함된 응고된 단백질을 걸러내고 맛과 음용감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냉각 공정은 상기 여과 냉각단계에서, 여된 혼합물은 130℃~140℃에서 20~40초 동안 가열살균을 실시한 다음 4~10℃로 냉각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례 1
1. 밀크티(500mL기준)
1) 깨끗한 용수 150ml를 끓인다.
2) 물이 끓으면 불은 끈 후 홍차(아쌈) 9g을 넣고 5분간 우린다.
3) 5분간 우린 후 약한 불에 5분간 끓인다.
4) 우유 470ml와 비정제사탕수수당 20g, 마스카바도설탕 5g, 천일염 0.5g을 넣고 끓인다.
5) 충분히 끓인 후에 면보에 걸러 식힌다.
6) 병입 후에 6시간 냉장 숙성 후 판매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은 제조과정에서 우유 단백질의 응집에 의한 고형물이나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음료로서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홍차와 우유가 갖는 맛과 향 그리고 음용감을 높일 수 있는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s10 : 열수준q
s20 : 1차 찾물제조
s30 : 2차 찻물제조
s40 : 밀크티 혼합물 제조
s50 : 여과 및 냉각
s20 : 1차 찾물제조
s30 : 2차 찻물제조
s40 : 밀크티 혼합물 제조
s50 : 여과 및 냉각
Claims (5)
-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용수를 가열하여 70℃~100℃의 열수 23~26중량%를 준비하는 열수준비단계;
상기 열수에 아삼 찻잎 1~3중량%를 투입하여 4~6분간 찻물을 우려내는 1차 찻물제조단계;
우려낸 찻물을 5분간 재가열하는 2차 찻물제조단계;
상기 2차 찻물에 우유 72~77중량%, 비정제사탕수수당 3~3.5중량%, 마스카바도설탕 0.7~1중량%, 천일염 0.08~0.1중량%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밀크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밀크티 혼합물을 여과하고 냉각시키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된 혼합물은 용기에 투입하고 2℃~5℃에서 6시간 냉장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된 혼합물은 130℃~140℃에서 20~40초 동안 가열살균을 실시한 다음 4~10℃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삼 찻잎은 유산균을 접종하고 이를 발효실에서 28℃~32℃의 온도에서 24~48시간 발효시키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는 60메쉬 및 140메쉬 체에서 연속하여 수행하고, 2차 여과는 140메쉬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2433A KR20200112249A (ko) | 2019-03-21 | 2019-03-21 |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2433A KR20200112249A (ko) | 2019-03-21 | 2019-03-21 |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2249A true KR20200112249A (ko) | 2020-10-05 |
Family
ID=7280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2433A Withdrawn KR20200112249A (ko) | 2019-03-21 | 2019-03-21 |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12249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6124B1 (ko) * | 2021-07-28 | 2022-03-17 | 박성우 | 발효 밀크티의 제조 방법 |
CN115178142A (zh) * | 2022-07-06 | 2022-10-14 | 厦门快乐番薯股份有限公司 | 一种制奶茶制作方法、装置 |
CN116473124A (zh) * | 2023-03-03 | 2023-07-25 | 江南大学 | 一种无添加剂银耳奶茶及其制备方法 |
KR102634342B1 (ko) | 2023-04-20 | 2024-02-05 | 최한나 | 기호도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흑당버블 밀크티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4737B1 (ko) | 2010-12-02 | 2013-06-14 | 한국식품연구원 | 청삼종실밀크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
KR101306574B1 (ko) | 2005-11-11 | 2013-09-10 |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 산성 밀크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2019
- 2019-03-21 KR KR1020190032433A patent/KR20200112249A/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6574B1 (ko) | 2005-11-11 | 2013-09-10 |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르트 혼샤 | 산성 밀크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1274737B1 (ko) | 2010-12-02 | 2013-06-14 | 한국식품연구원 | 청삼종실밀크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6124B1 (ko) * | 2021-07-28 | 2022-03-17 | 박성우 | 발효 밀크티의 제조 방법 |
CN115178142A (zh) * | 2022-07-06 | 2022-10-14 | 厦门快乐番薯股份有限公司 | 一种制奶茶制作方法、装置 |
CN116473124A (zh) * | 2023-03-03 | 2023-07-25 | 江南大学 | 一种无添加剂银耳奶茶及其制备方法 |
KR102634342B1 (ko) | 2023-04-20 | 2024-02-05 | 최한나 | 기호도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흑당버블 밀크티의 제조방법 |
KR20240156546A (ko) | 2023-04-20 | 2024-10-30 | 최한나 | 버블 밀크티 |
KR20240156540A (ko) | 2023-04-20 | 2024-10-30 | 최한나 | 흑당버블 밀크티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6963B1 (ko) | 저장 안정성을 갖는 우려낸 음료 농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200112249A (ko) | 홍차 밀크티 음료 제조방법 | |
CN106135415A (zh) | 奶盖茶及其制备方法 | |
CN102396625A (zh) | 一种果味奶茶 | |
CN110178950A (zh) | 一种超高压冷萃咖啡及其制备方法 | |
TWI729143B (zh) | 含有咖啡因及環丙胺醯基丙胺酸的組成物、其製造方法、抑制該組成物中咖啡因苦味之方法以及抑制該組成物中環丙胺醯基丙胺酸澀味之方法 | |
CN101664062A (zh) | 乳清蛋白质的含量降低的乳组合物及含乳饮料 | |
CA2830625A1 (en) | Coffee beverag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 |
JPH04311348A (ja) | 緑茶飲料の製造方法 | |
CN101869158B (zh) | 适用于碳酸茶饮料的速溶茶粉制备方法 | |
CN103431129A (zh) | 一种咖啡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15777828B (zh) | 一种褐色双发酵奶茶基料、奶茶冷冻饮品及其制备方法 | |
CN104041619A (zh) | 一种薄荷奶茶的现调制备方法 | |
JP7303589B1 (ja) | ロイヤルミルクティーの製造方法 | |
JP6275293B1 (ja) | 酸性乳含有高清澄飲料の製造方法および酸性乳の高清澄化方法 | |
KR20200112257A (ko) | 밀크티 시럽의 제조방법 | |
KR20230169791A (ko) | 커피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20180118012A (ko) | 녹여 먹는 원두 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4514210B2 (ja) | 甜茶飲料 | |
KR102441166B1 (ko) | 유청을 활용한 커피원두 및 커피조성물의 제조방법 | |
CN102461694A (zh) | 一种速溶绿茶粉制备方法 | |
CN106509248A (zh) | 一种西瓜皮、薄荷叶和桑叶凉茶加工工艺 | |
JP2019165723A (ja) | 茶系飲料用牛乳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2101859A (ja) | ヤーコン豆乳飲料 | |
JP7656381B2 (ja) | 紅茶茶葉抽出液、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