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171A - Intermittent pri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ntermittent prin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0171A KR20200110171A KR1020200016428A KR20200016428A KR20200110171A KR 20200110171 A KR20200110171 A KR 20200110171A KR 1020200016428 A KR1020200016428 A KR 1020200016428A KR 20200016428 A KR20200016428 A KR 20200016428A KR 20200110171 A KR20200110171 A KR 202001101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nted
- substrate
- roller
- copper
- pri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4—Tripping devices or stop-motions
- B41F33/06—Tripping devices or stop-mo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operation of sheet or web f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2—Conveying or guiding webs through presses or machines
- B41F13/025—Registe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2—Conveying or guiding webs through presses or machines
- B41F13/04—Conveying or guiding webs through presses or machines intermittent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24—Cylinder-tripping devices; Cylinder-impression adjustments
- B41F13/34—Cylinder lifting or adjusting devices
- B41F13/36—Cams, eccentrics, wedg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41F23/0403—Drying webs
- B41F23/0406—Drying webs by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41F23/044—Drying sheets, e.g. between two print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41F23/0476—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41F23/0483—Drying combined with 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Rotary Press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피인쇄기재를 주행할 때에 슬립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 간헐인쇄기로 한다.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를 동기하여 정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정방향으로 주행하여 압동(9)과 블랭킷동(8)으로 피인쇄기재(W)에 화상을 인쇄하고,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를 동기하여 역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역방향으로 주행한다. 피인쇄기재(W)를 상기 압동(9)의 둘레면에 소정의 권취각으로 감고, 그 피인쇄기재(W)를 압동용 닙롤러(42)로 상기 압동(9)의 둘레면에 강압함과 아울러 상기 압동(9)을 입지측 스텝백롤러(6) 및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한다.An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where slip does not occur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traveled and no deviation in print alignment occurs.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by synchronizing the step-back roller (6)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step-back roller (10) on the discharge side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9) and the blanket copper (8) An image is printed on W), and the receiving-side step-back roller 6 and the discharge-side step-back roller 10 are synchronously driven in reverse rotation to drive the substrate W to be prin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9) at a predetermined winding angle,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pressed agains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9) with a nip roller 42 for pressing. In addition, the press drive 9 is driven in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tep back roller 6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step back roller 10 on the discharge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헐인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간헐인쇄기는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면서 화상을 인쇄하고, 인쇄한 후, 피인쇄기재를 화상을 인쇄하지 않고 역방향으로 주행하고, 다시 정방향으로 주행하여 인쇄하는 것을 반복하여 피인쇄기재에 화상을 수직방향의 틈새를 작게 하여 인쇄하도록 한 것이다.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prints an image while runn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fter printing, runs the substrate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out printing the image, and then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print the image on the substrate. It was designed to print with a small gap in the vertical direction.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간헐인쇄기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이 간헐인쇄기는 정회전구동과 역회전구동되는 2개의 이송롤러의 사이에 복수의 인쇄유닛이 설치되고, 인쇄유닛은 판동과 블랭킷동과 압동을 갖고 있다. 블랭킷동의 둘레면은 압동의 둘레면과 압접하는 대경부와 압동의 둘레면과 이격하는 소경부를 갖고 있다.In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a plurality of printing units are installed between two transfer rollers that are driven in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printing unit has a plate copper, a blanket copper, and a press copp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anket copper has a large diameter portion that is press-contacted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n copper and a small-diameter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n copper.
그리고 2개의 이송롤러를 정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블랭킷동의 대경부와 압동의 둘레면이 압접하여 피인쇄기재에 화상을 인쇄한다. 화상을 인쇄한 후에 2개의 이송롤러를 역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한다. 피인쇄기재가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피인쇄기재가 블랭킷동의 소경부와 압동의 둘레면의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므로 화상이 인쇄되지 않는다.Then, when the two conveying rollers are driven in a forward rotation to mov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blanket copper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mping copper are pressed to each other to print an image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After printing the image, the two conveying rollers are driven in reverse rotation to mov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run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image is not printed because the substrate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blanket copper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피인쇄기재에 화상을 수직방향의 틈새를 작게 하여 인쇄한다.By repeating this operation, the image is printed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ith a small vertical gap.
이 간헐인쇄기는 피인쇄기재가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블랭킷동의 소경부와 압동의 둘레면의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므로 피인쇄기재는 압동과 블랭킷동으로 협지되지 않아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In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runs in the reverse direction, it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blanket copper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mping copper, so that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not pinched by the pressing copper and the blanket copper, so that movement is not regulated.
이 때문에 피인쇄기재가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피인쇄기재에 편차, 늘어짐이 발생하기 쉽다. 피인쇄기재에 편차, 늘어짐이 발생하면 블랭킷동, 압동에 피인쇄기재가 접촉하는 것으로 인한 피인쇄기재의 손상, 인쇄오염 등이 발생한다.For this reason,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runs in the reverse direction, deviation and sagging are liable to occur i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f deviation or sagging occurs i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damage to the substrate to be printed due to the contact of the substrate to the blanket copper or the pressure copper, and printing contamination may occur.
이것을 해소하는 간헐인쇄기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An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for solving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이 간헐인쇄기는 2개의 가이드롤러를 설치함으로써 피인쇄기재를 압동의 둘레면에 소정의 권취각으로 감고, 압동을 2개의 이송롤러와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하도록 하고 있다.In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by installing two guide rollers,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at a predetermined winding angle, and the presser is driven in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wo transfer rollers.
이 간헐인쇄기에 따르면 피인쇄기재가 압동의 둘레면에 감겨 있음으로써 피인쇄기재가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피인쇄기재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따라서 피인쇄기재가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피인쇄기재에 편차, 늘어짐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sinc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movement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regulated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run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runs in the reverse direction, no deviation or sagging occurs i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피인쇄기재가 압동의 둘레면에 감기고, 압동을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하는 간헐인쇄기로 인쇄한 결과,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표면의 평활성이 높은 피인쇄기재, 피인쇄기재로서 필름을 이용하여 인쇄한 경우에 인쇄맞춤의 편차가 현저하게 발생하였다.As disclosed in
본 발명자는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조사한 결과, 다음 사항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ause of the occurrence of the deviation of the print alignment, the present inventor found out the following and came to the present invention.
피인쇄기재가 압동의 둘레면에 감겨 있기 때문에 피인쇄기재를 압동의 둘레면에 미끄러지게 하여 주행시키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압동을 이송롤러와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함으로써 압동의 회전에 의해 피인쇄기재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있다.Sinc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it is difficult to slid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so that the presser is driven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ransfer roller.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runn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이 때문에 피인쇄기재가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나 방향전환시에는 압동의 둘레면과 블랭킷동의 소경부가 떨어져 있고, 피인쇄기재가 블랭킷동의 소경부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압동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만으로 피인쇄기재가 주행하므로 마찰력이 작은 경우에 압동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For this reason,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runs in the reverse direction or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and the small diameter part of the blanket copper are separated,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in contact with the small diameter part of the blanket copper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rinted substrate. Sinc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travels only with the generated frictional force, slip may occur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cylinder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hen the frictional force is small.
압동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면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시켜 화상을 인쇄개시할 때에 블랭킷동의 대경부의 회전방향의 선단이 피인쇄기재에 접촉개시하는 위치가 수직방향으로 어긋나므로 인쇄맞춤이 어긋난다.If slip occurs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the position at which the tip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blanket copper starts contacting the substrate when printing the image by running the substr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s vertical. Because it is misaligned, the print alignment is misaligned.
그리고 슬립하는 길이는 일정하지 않고 편차가 있으므로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한다.And because the slip length is not constant and there are variations, variations in print alignment occur.
표면의 평활성이 높은 피인쇄기재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경우에는 그 피인쇄기재와 압동의 둘레면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인쇄맞춤의 편차가 현저하게 발생한다.In the case of printing using a substrate having a high surface smoothness, slip is likely to occur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and thus the deviation of printing alignment occurs remarkably.
피인쇄기재로서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필름의 밀도가 높아 공기가 통하지 않으므로 필름을 압동의 둘레면에 감은 상태에서 압동의 둘레면과 필름의 사이에 잔존하는 공기가 필름을 통해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도피할 수 없다.In the case of using a film as a substrate to be printed, the density of the film is high and air does not pass through. Therefore, the air remaining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copper and the film cannot escape from the surface of the film through the film. Can't.
나아가 압동의 회전속도(피인쇄기재의 주행속도)가 상승하면 압동의 둘레면과 필름의 사이에 공기가 끌려들어가 공기층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Further,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ess copper (travel speed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creases, air may be draw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and the film to form an air layer.
이러한 점에서 필름을 피인쇄기재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압동의 둘레면과 필름의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 슬립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인쇄맞춤의 편차가 현저하게 발생한다.In this respect, when the film is used as a substrate to be printed, the frict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copper and the film is small, so that slip is likely to occur, and thus the deviation of printing alignment occurs remarkably.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피인쇄기재를 주행할 때에 압동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 간헐인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an intermittent printer in which no slip occurs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driven, and no deviation in print alignment occurs. Is to provide.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는 피인쇄기재를 내보내는 입지부와, 상기 입지부로부터 내보내진 피인쇄기재에 화상을 인쇄하는 복수의 인쇄유닛을 갖는 인쇄부와, 화상이 인쇄된 피인쇄기재를 배출하는 배지부를 구비하고, The intermittent pri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ing unit having a location unit for discharging a substrate to be printed, a plurality of printing units for printing an image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out from the location unit,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substrate on which the image is printed. And,
상기 입지부는 피인쇄기재를 루프형상으로 저장하는 입지측 완충장치와,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정회전구동 및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역회전구동되는 입지측 스텝백롤러를 갖고, The location unit has a location-side shock absorber for storing the printed material in a loop shape, and a location-side step-back roller driven in a forward rotation driving the printed material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reverse rotation driving the printed material in a reverse direction,
상기 인쇄유닛은 압동과, 상기 압동의 둘레면과 접하는 화상범위와, 상기 압동의 둘레면과 접하지 않는 비화상범위를 갖는 블랭킷동을 갖고, The printing unit has a presser, a blanket copper having an image rang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and a non-image range not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상기 배지부는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정회전구동 및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역회전구동되는 배지측 스텝백롤러와, 화상이 인쇄된 피인쇄기재를 루프형상으로 저장하는 배지측 완충장치를 갖고, The delivery unit includes a forward rotation drive for driv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step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that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for driv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a reverse direction, and a discharge side buffer that stores the printed material on which the image is printed in a loop shape. Have a device,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와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를 동기하여 정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여 상기 압동의 둘레면과 상기 블랭킷동의 화상범위에서 피인쇄기재에 화상을 인쇄하고,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와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를 동기하여 역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를 상기 압동의 둘레면과 상기 블랭킷동의 비화상범위의 사이의 틈새를 통과시켜 역방향으로 주행하도록 한 간헐인쇄기에 있어서, By synchronously driving the positioning-side step-back roller and the discharge-side step-back roller to rotate forwar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driven in a forward direction, and an image is printed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the image rang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copper and the blanket copper. In an intermittent printer, a substrate to be printed passes through a gap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copper and the non-image range of the blanket copper by moving in a reverse rot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tep-back roller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step-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to travel in the reverse direction. In,
상기 압동의 둘레면과 상기 블랭킷동의 사이를 통과하는 피인쇄기재를 상기 압동의 둘레면에 소정의 권취각으로 감는 입지측 가이드롤러와 배지측 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A mounting side guide roller and a discharge side guide roller are installed to wi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passing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and the blanket copper at a predetermined winding angl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상기 압동의 둘레면에 감긴 피인쇄기재를 상기 압동의 둘레면에 강압하는 압동용 닙롤러를 설치하고, Installing a nip roller for press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copper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copper,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상기 압동을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 및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와 동기하여 정회전구동하고,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상기 압동을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 및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와 동기하여 역회전구동하도록 하고,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presser is driven in a forward rot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tepback roller on the positioning side and the step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A reverse rotation driv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ller and the step 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상기 압동의 둘레면에 감긴 피인쇄기재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와 상기 압동을 냉각하는 압동의 냉각장치를 구비하고, A drying device for dry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copper, and a cooling device for the pressure copper cooling the pressure copper,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압동용 닙롤러보다 압동정회전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인쇄기이다.The drying device is an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upstream of the pressing nip roller in a positive rotation direction.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있어서는 상기 입지측 가이드롤러와 상기 배지측 가이드롤러는 상기 입지측 가이드롤러와 상기 압동의 사이의 입지측 주행로의 연장선과 상기 배지측 가이드롤러와 상기 압동의 사이의 배지측 주행로의 연장선이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ing-side guide roller and the discharge-side guide roller include an extension line of the positioning-side running path between the positioning-side guide roller and the platen, and a discharge side between the discharge-side guide roller and the platen. It is installed so that the extension line of the running path crosses.
이 간헐인쇄기에 따르면 압동의 둘레면에 감은 피인쇄기재의 권취각을 180도 이상으로 할 수 있고, 압동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의 사이의 마찰력이 커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the winding angle of the printed material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can be made 180 degrees or more,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and the printed material is large, so that slip can be reliably prevented. have.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있어서는 상기 압동은 상기 블랭킷동이 인쇄개시위치로부터 화상범위 회전하여 피인쇄기재에 화상을 인쇄할 때에 상기 블랭킷동과 동일한 일정속도로 정회전구동하고, 상기 압동은 상기 블랭킷동이 인쇄종료위치로부터 비화상범위 회전할 때에 상기 일정속도로부터 감속정회전구동하여 회전정지하고, 회전정지후에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까지 가속역회전구동하고, 상기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로부터 감속역회전구동하여 회전정지하고, 회전정지후에 상기 일정속도까지 가속정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에 인쇄한 인쇄화상의 후단과 상기 블랭킷동의 인쇄범위의 선단이 접하도록 하였다.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anket copper is rotated in an image range from the printing start position and an image is printed on a substrate to be printed, the press copper is driven to rotate forward at the same constant speed as the blanket copper, and the press copper is printed by the blanket copper. When rotating in the non-image range from the end position, rotation is stopped by deceleration forward rotation drive from the constant speed, acceleration reverse rotation drive up to a predetermined reverse rotation drive speed after rotation stop, and deceleration reverse rotation drive from the predetermined reverse rotation drive speed. Then, the rotation was stopped, and after the rotation was stopped, an accelerated forward rotation was driven to the constant spe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printed image printed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and the front end of the print range of the blanket wing were in contact.
이 간헐인쇄기에 따르면 압동은 서서히 회전정지하고 서서히 회전개시하기 때문에 피인쇄기재와 압동의 둘레면의 사이의 슬립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압동의 구동계에 고장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since the platen gradually stops rotating and starts to rotate gradually, the occurrence of slip betwe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n is prevented, and there is no failure or the like in the drive system of the platen.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있어서는 상기 압동의 상기 감속정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과 상기 가속정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은 선대칭이고, 상기 압동의 상기 가속역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과 상기 감속역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은 선대칭이고, 상기 압동의 상기 일정속도로부터 상기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까지의 회전구동속도비와 상기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로부터 상기 일정속도까지의 회전구동속도비가 대략 U자형상의 곡선을 따라 매끄럽게 변화하도록 하였다.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decelerated forward rotation drive of the press copper and the curv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 drive speed ratio of the accelerated forward rotation drive are linearly symmetric, and the accelerated reverse rotation of the pressure copper The curv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drive and the curv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decelerated reverse rotation are linearly symmetric, and the rotational drive speed from the constant speed of the pressure motion to the predetermined reverse rotation drive speed The ratio and the rotational driving speed ratio from the predetermined reverse rotational driving speed to the constant speed were made to change smoothly along an approximately U-shaped curve.
이 간헐인쇄기에 따르면 압동은 매끄럽게 속도변화하고, 피인쇄기재는 원활하게 역방향과 정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주행하기 때문에 피인쇄기재와 압동의 둘레면의 사이의 슬립의 발생을 방지하여 피인쇄기재에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the pressure copper smoothly changes in speed,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smoothly changes directions in the reverse and forward direction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 betwe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copper. Can be printed.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있어서는 상기 각 인쇄유닛간에 맞춤조정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맞춤조정장치는 상기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의 주행로의 길이를 바꾸어 인쇄맞춤을 조정하는 구성이다.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ignment adjustment device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printing units, and the alignment adjustment devic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rinting alignment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traveling path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between the printing units.
이 간헐인쇄기에 따르면 인쇄유닛간의 주행로의 길이를 바꾸어 인쇄전의 인쇄맞춤을 조정하기 때문에 압동의 둘레면에 피인쇄기재가 감겨 있는 상태에서 인쇄맞춤을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since the print alignment before printing is adjusted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running path between the printing units, the printing alignment can be adjusted whil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있어서는 상기 맞춤조정장치는 입지측 풀롤러와 배지측 풀롤러와 가동롤러를 갖고, 상기 가동롤러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입지측 풀롤러와 상기 배지측 풀롤러의 사이의 주행로의 길이가 바뀌는 구성이고, 상기 양쪽의 풀롤러는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 및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와 동기하여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정회전구동 및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역회전구동되고, 상기 양쪽의 풀롤러의 둘레면에 감긴 피인쇄기재를 상기 양쪽의 풀롤러의 둘레면에 강압하는 풀롤러용 닙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gnment adjustment device includes a receiving side pull roller, a discharge side pull roller, and a movable roller, and by moving the movable roller, the running path between the receiving side pull roller and the discharge side pull roller is The length is changed, and both of the pull rollers are synchronized with the step-back roller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step-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to drive the printed material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to run the printed material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 are provided nip rollers for pull rollers that are driven and press down the printed substrate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pull rollers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pull rollers.
이 간헐인쇄기에 따르면 입지측 풀롤러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배지측 풀롤러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의 사이에도 슬립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맞춤조정장치 때문에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there is no slip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side pull roller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and no slip occurs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side pull roller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There is no deviation in print alignment.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있어서는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의 회전속도와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의 회전속도와 상기 각 인쇄유닛의 압동의 회전속도와 상기 각 맞춤조정장치의 입지측 풀롤러의 회전속도, 배지측 풀롤러의 회전속도를 각각 따로따로 제어 가능하게 하였다.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sitioning-side stepback roll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ischarge-side stepback roll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essing of each printing unit,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sitioning-side full roller of each of the alignment adjustment devices , The rotation speed of the discharge side pull roller was separately controlled.
이 간헐인쇄기에 따르면 인쇄유닛마다 피인쇄기재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can be adjusted for each printing unit.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있어서는 상기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의 주행로에 상기 피인쇄기재가 감긴 풀롤러를 적어도 2개 설치하고, 상기 풀롤러는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 및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와 동기하여 상기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정회전구동 및 상기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역회전구동되고, 상기 각 풀롤러의 둘레면에 감긴 상기 피인쇄기재를 상기 각 풀롤러의 둘레면에 강압하는 풀롤러용 닙롤러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pull rollers with the substrate to be printed are installed on the running path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between the printing units, and the pull rollers are the step-back roller on the positioning side and the step-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In synchronization with, a forward rotation drive for driv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reverse rotation drive for driv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a reverse direction, and the printed substrate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pull rollers Nip rollers for pull rollers are installed on the surface.
이 간헐인쇄기에 따르면 인쇄유닛간의 주행로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에 편차, 늘어짐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deviation or sagging does not occur i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that travels on the traveling path between the printing units.
또한 풀롤러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의 사이의 마찰력이 각각 커져서 양자간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풀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In additio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 roller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creases, so that slip does not occur between the two, so that there is no deviation in printing alignment by installing the pull roller.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있어서 피인쇄기재는 필름으로 할 수 있다.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may be a film.
이 간헐인쇄기에 따르면 필름에 화상을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는 일 없이 인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print an image on a film without causing any deviation in print alignment.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따르면 피인쇄기재를 주행할 때에 압동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lip does not occur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running, there is no deviation in print alignment.
피인쇄기재에 인쇄된 화상의 잉크가 건조장치로 정착, 건조되기 때문에 압동용 닙롤러의 접촉 등으로 인한 화상의 흐트러짐이 없음과 아울러 압동용 닙롤러에 잉크가 부착하여 더러워지는 일이 없다.Since the ink of the image printed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fixed and dried by a drying device, there is no image distraction due to contact with the press-rolling nip roller, and there is no staining due to the adhesion of ink to the press-rolling nip roller.
압동을 냉각장치로 냉각하고 있기 때문에 압동이나 피인쇄기재가 높은 온도로 되는 일이 없다.Since the plated copper is cooled by a cooling device, there is no high temperature of the plated copper or the substrate to be printed.
입지측 완충장치와 배지측 완충장치로 피인쇄기재를 루프형상으로 저장할 수 있어 피인쇄기재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The location-side shock absorber and the discharge-side shock absorber can store the printed material in a loop shape, so that the printed material can run smoothly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간헐인쇄기의 전체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간헐인쇄기의 급지부와 입지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간헐인쇄기의 배지부와 후처리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간헐인쇄기의 2개의 인쇄유닛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쇄판과 블랭킷동과 압동의 구성설명도이다.
도 6은 인쇄유닛의 최초로 인쇄할 때의 인쇄개시로부터 인쇄종료까지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7은 인쇄유닛의 최초의 인쇄종료로부터 두 번째 인쇄를 개시하기까지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8은 두 번째 인쇄의 인쇄개시로부터 인쇄종료까지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9는 블랭킷동의 회전각도에 대한 압동의 회전각도 및 회전구동속도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0은 압동의 회전구동속도변화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1은 사이즈가 짧은 블랭킷을 장착한 인쇄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블랭킷동의 회전각도에 대한 압동의 회전각도 및 회전구동속도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3은 사이즈가 긴 블랭킷을 장착한 인쇄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블랭킷동의 회전각도에 대한 압동의 회전각도 및 회전구동속도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5는 도 4에 도시한 인쇄유닛의 압동부분의 확대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4에 도시한 압동용 닙롤러의 장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압동용 닙롤러의 장착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4에 도시한 압동의 장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압동의 장착부의 B-B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4에 도시한 맞춤조정장치의 확대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맞춤조정장치의 C-C 단면도이다.
도 22는 각 인쇄유닛의 피인쇄기재의 장력조정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의 주행로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n overall front view of an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feeding part and a location part of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shown in FIG. 1.
3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discharging unit and a post-processing unit of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shown in Fig. 1.
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wo printing units of the intermittent printer shown in FIG. 1.
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printing plate, a blanket copper, and a pressing copper plat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from the start of printing to the end of printing at the time of first printing of the printing uni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rinting unit from the first end of printing to the start of the second printing.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from the start of printing to the end of printing of the second printing.
9 is a chart showing the rotation angle and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press copper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blanket copper.
10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rotational drive speed of the pressure copper.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printing unit equipped with a short-sized blanket.
Fig. 12 is a chart showing the rotation angle and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press copper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blanket copper.
1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printing unit equipped with a long-sized blanket.
Fig. 14 is a chart showing the rotation angle and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press copper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blanket copper.
Fig. 15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printing unit shown in Fig. 4;
16 is a front view of a mounting portion of the nip roller for pressing shown in FIG. 4.
17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a mounting portion of the nip roller for pressing shown in FIG. 16.
Fig. 18 is a front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ressure copper shown in Fig. 4;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ressure copper shown in FIG. 18.
Fig. 20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alignment adjustment device shown in Fig. 4;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CC of the adjusting device shown in FIG. 20.
2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ension adjustment of a substrate to be printed in each printing unit.
Fig. 23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running path of a substrate to be printed between printing units.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 전체의 기본구성을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간헐인쇄기의 전체정면도이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entire intermitten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1. 1 is an overall front view of an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간헐인쇄기(100)는 피인쇄기재(W)를 급지하는 급지부(1A)와, 급지부(1A)로부터 급지된 피인쇄기재(W)를 내보내는 입지부(1B)와, 입지부(1B)로부터 내보내진 피인쇄기재(W)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2)와, 화상이 인쇄된 인쇄완료의 피인쇄기재(W)(이하 간단히 피인쇄기재(W)라고 함)를 배출하는 배지부(3A)와, 피인쇄기재(W)를 후처리하는 후처리부(3B)를 구비하고 있다.The
이 실시형태의 간헐인쇄기(100)에서 사용하는 피인쇄기재(W)는 표면의 평활성이 높고 유연성이 있는 필름이다. 예를 들어 연포장의 소재가 사용된다.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used in the
일반적으로 연포장이란 유연성이 풍부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포장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 등의 얇은 유연성이 있는 소재를 단체 혹은 붙여서 사용한 포장의 총칭이다.In general, flexible packaging refers to a packaging material composed of a material with high flexibility, and is a generic term for packaging in which a thin flexible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or polyethylene (PE) is used alone or attached.
이들은 필름소재이기 때문에 종이에 비해 높은 표면의 평활성과 유연성을 갖고 있다. 그 밖에 동일한 피인쇄기재(W)로서 필름법 합성지도 사용된다.Since these are film materials, they have higher surface smoothness and flexibility than paper. In addition, a film-method composite is also used as the same substrate (W) to be printed.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지부(1A)는 피인쇄기재(W)를 급지하는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는 급지장치(4)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per-
입지부(1B)는 급지장치(4)로부터 급지된 피인쇄기재(W)를 루프형상으로 저장하는 입지측 완충장치(5)와, 입지측 완충장치(5)로 저장된 피인쇄기재(W)를 주행시키는 입지측 스텝백롤러(6)를 갖는다.The
인쇄부(2)는 복수의 인쇄유닛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블랙(K)의 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제1인쇄유닛(2a)과, 시안(C)의 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제2인쇄유닛(2b)과, 마젠타(M)의 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제3인쇄유닛(2c)과, 옐로(Y)의 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제4인쇄유닛(2d)과, 백색의 민인쇄를 수행하는 제5인쇄유닛(2e), 제6인쇄유닛(2f)의 6기의 인쇄유닛을 갖고 있다.The
그리고 제1 내지 제4 인쇄유닛(2a~2d)에서 각각 다른 일색의 컬러인쇄가 피인쇄기재(W)에 대하여 수행된다.In addition, in the first to
이 컬러인쇄후, 제5, 제6 인쇄유닛(2e, 2f)에서 백색의 민인쇄를 피인쇄기재(W)에 수행한다.After this color printing, the fifth and
컬러인쇄는 인쇄면측과는 반대측에서 피인쇄기재(W)를 개재한 측으로부터 시인된다. 순백색은 컬러인쇄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배경색으로서 사용된다.Color printing is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ide through the substrate W to be prin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rinting surface side. Pure white is used as a background color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color printing.
이와 같이 인쇄부(2)는 6기의 인쇄유닛(2a, 2b, 2c, 2d, 2e, 2f)을 갖고 있으므로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인쇄부와 같이 4기의 인쇄유닛을 갖는 간헐인쇄기에 비하여 스텝백롤러간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의 길이(입지측 스텝백롤러(6)로부터 후술하는 배지측 스텝백롤러(10)까지의 거리)가 길어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기 쉽다.As described above, the
6기의 인쇄유닛(2a, 2b, 2c, 2d, 2e, 2f)의 구조는 동일하며 판동(7), 블랭킷동(8), 압동(9)의 3동을 갖고 있다.The structure of the six
배지부(3A)는 피인쇄기재(W)를 주행시키는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로 주행된 피인쇄기재(W)를 루프형상으로 저장하는 배지측 완충장치(11)와 후술하는 자동맞춤장치(38)와 감시장치(39)를 갖고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처리부(3B)는 배지측 완충장치(11)에 저장된 피인쇄기재(W)를 감는 권취장치(12)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간헐인쇄기의 기본 인쇄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basic printing operation of this intermittent printer is as follows.
입지측 완충장치(5)와 배지측 완충장치(11)로 피인쇄기재(W)를 루프형상으로 각각 저장한 상태에서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를 동기하여 정회전구동하고, 피인쇄기재(W)를 정방향(입지부(1B)로부터 배지부(3A)를 향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화상을 인쇄한다.In the state wher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stored in the shape of a loop by the location-side buffer (5) and the discharge-side buffer (11), the location-side stepback roller (6) and the delivery-side stepback roller (10) are synchronized. Then, it is driven in a forward rotation, and an image is printed while running the substrate W to be printed in the forward direction (direction from the mounting
인쇄한 후,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를 동기하여 역회전구동하고, 피인쇄기재(W)를 역방향(배지부(3A)로부터 입지부(1B)를 향하는 방향)으로 주행하고, 인쇄한 화상의 후단이 다음 인쇄개시위치가 되도록 수직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면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를 정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W)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면서 화상을 인쇄한다. 이 동작을 반복해서 피인쇄기재(W)에 화상을 수직방향의 틈새를 작게 하여 인쇄한다. 즉, 기본인쇄동작은 종래의 간헐인쇄기와 마찬가지이다.After printing, the receiving-
급지장치(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형상으로 감은 피인쇄기재(W)가 장착되는 급지축(20)과, 급지축(20)에 장착된 피인쇄기재(W)를 투입하여 내보내는 이송롤러(21)와,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지만 코로나처리장치(24)와 장력검출장치(25)와 사행방지장치(26)를 갖고 있다. 즉, 급지축(20)으로부터 이송롤러(21)까지가 급지장치(4)이다.As shown in FIG. 2, the
급지축(20)에는 도시하지 않은 파우더브레이크가 연결되어 급지축(20)에 회전저항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A powder brak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이송롤러(21)의 둘레면에 급지축(20)으로부터 투입된 피인쇄기재(W)가 감긴다. 이송롤러(21)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가 연결되고, 이 구동모터로 이송롤러(21)를 피인쇄기재(W)를 내보내는 방향(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만 회전구동한다.The substrate W input from the
이송롤러(21)는 송출방향과 반대방향(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구동하지 않는다.The conveying
이송롤러(21)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닙롤러(22)가 압접하고 있다. 이 닙롤러(22)와 이송롤러(21)로 피인쇄기재(W)를 협지하고, 구동모터로 이송롤러(21)를 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잡아당기고, 급지축(20)을 회전하여 롤형상의 피인쇄기재(W)를 투입하여 입지측 완충장치(5)를 향하여 확실하게 내보낼 수 있도록 하였다. 닙롤러(22)는 이송롤러(21)의 둘레면에서의 피인쇄기재(W)가 감기는 범위내에 압접하고 있다.At least one nip
피인쇄기재(W)가 투입되면 급지축(20)은 회전하지만, 급지축(20)에는 파우더브레이크로 회전저항이 부여되고 있으므로 피인쇄기재(W)에는 그 회전저항의 크기(브레이크력)에 맞는 값의 장력(텐션)이 발생한다.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input, the feed shaft (20) rotates, but since rotational resistance is given to the feed shaft (20) by a powder brake, the amount of rotational resistance (brake force) is applied to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he right value of tension (tension) occurs.
급지축(20)으로부터 이송롤러(21)에 이르는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23)에는 코로나처리장치(24), 장력검출장치(25), 사행방지장치(26)가 설치되어 있다.A
코로나처리장치(24)는 피인쇄기재(W)의 표면에 대하여 코로나처리를 수행한다. 코로나처리가 실시됨으로써 피인쇄기재(W)의 표면이 개질되고, 잉크의 피인쇄기재(W)에 대한 정착성이 향상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피인쇄기재(W)는 필름 등의 연포장의 소재이고, 종이와 비교하여 잉크의 정착성이 나쁘기 때문에 코로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장력검출장치(25)는 급지축(20)으로부터 투입된 피인쇄기재(W)의 장력을 검출한다. 검출한 장력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 설정장력치와 비교된다. 제어부는 검출장력치와 설정장력치가 일치하도록 파우더브레이크의 브레이크력을 조정하여 피인쇄기재(W)를 항상 설정장력치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사행방지장치(26)는 피인쇄기재(W)의 폭방향의 위치를 검출하고, 소정의 위치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피인쇄기재(W)를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폭방향의 위치로 한다. 이것으로 피인쇄기재(W)의 폭방향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한다. 피인쇄기재(W)의 폭방향이란 투입방향과 직각인 방향이다.The
입지측 완충장치(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한 상자와 같은 상향오목부(5a)와, 상향오목부(5a)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장치(도시생략)를 갖고, 이 흡인장치로 상향오목부(5a) 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상향오목부(5a)내에 흡수하여 루프형상으로 저장한다. 흡인장치의 흡인력은 상향오목부(5a)내에 저장되어 있는 피인쇄기재(W)가 사행하지 않는 장력이 되도록 제어된다.As shown in Fig. 2, the location-
또한 상향오목부(5a)내에 저장되어 있는 피인쇄기재(W)의 길이가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완충장치(5)에 장착된 센서(도시생략)의 출력에 따라 이송롤러(21)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입지측 스텝백롤러(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로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되는 2개의 구동롤러(27)와, 각 구동롤러(27)의 둘레면에 압접한 적어도 2개의 닙롤러(28)를 갖고 있다. 2개의 구동롤러(27)는 상하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tep-
피인쇄기재(W)는 2개의 구동롤러(27)에 걸쳐 역S자형상이 되도록 감아 주행하도록 하였고, 피인쇄기재(W)는 각 구동롤러(27)와 닙롤러(28)로 각각 협지되어 있다. 2개의 닙롤러(28)는 구동롤러(27)의 둘레면에서의 피인쇄기재(W)가 감기는 범위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이격한 위치에 압접하고 있다.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was wound and driven to have an inverted S shape across the two driving rollers (27),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was pinched by each driving roller (27) and nip roller (28). have. The two nip
따라서 구동롤러(27)를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확실하게 정방향, 역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Therefore, by driving the
이 실시형태에서는 급지부(1A)(급지장치(4))와 입지부(1B)(입지측 완충장치(5), 입지측 스텝백롤러(6))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the paper-
예를 들어 급지부(1A)(급지장치(4))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고, 입지부(1B)(입지측 완충장치(5)와 입지측 스텝백롤러(6))를 다른 하나의 유닛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입지측 완충장치(5)의 급지측에 이송롤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급지부(1A)와 입지부(1B)에서는 급지장치(4)의 이송롤러(21)가 입지측 완충장치(5)의 이송롤러를 겸용하고 있다.For example, the
배지측 스텝백롤러(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로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되는 2개의 구동롤러(30)와, 각 구동롤러(30)의 둘레면에 압접한 적어도 2개의 닙롤러(31)를 갖고 있다. 2개의 구동롤러(3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tep-
피인쇄기재(W)는 2개의 구동롤러(30)에 걸쳐 S자형상이 되도록 감아 주행하도록 하였고, 피인쇄기재(W)는 각 구동롤러(30)와 닙롤러(31)로 각각 협지되어 있다. 2개의 닙롤러(31)는 구동롤러(30)의 둘레면에서의 피인쇄기재(W)가 감기는 범위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이격한 위치에 압접하고 있다.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was wound up to form an S shape across two drive rollers (30) to run,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sandwiched by each of the drive rollers (30) and nip rollers (31). . The two nip
따라서 구동롤러(30)를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확실하게 정방향, 역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Accordingly, by driving the driving
배지측 스텝백롤러(10)(구동롤러(30))와 입지측 스텝백롤러(6)(구동롤러(27))는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된다.The discharge side stepback roller 10 (driving roller 30) and the receiving side stepback roller 6 (driving roller 27) are synchronously driven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배지측 완충장치(11)는 상부가 개구한 상자와 같은 상향오목부(11a)와, 상향오목부(11a)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장치(도시생략)와, 피인쇄기재(W)를 후처리부(3B)를 향하여 보내는 이송롤러(33)를 갖고, 이 흡인장치로 상향오목부(11a)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상향오목부(11a)내에 흡수하여 루프형상으로 저장한다.The discharge-
흡인장치의 흡인력은 상향오목부(11a)내에 저장되어 있는 피인쇄기재(W)가 사행하지 않는 장력이 되도록 제어된다.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device is controlled to become a tension at which the printed substrate W stored in the upward
그리고 상향오목부(11a)내에 저장되어 있는 피인쇄기재(W)의 길이가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완충장치(11)에 장착된 센서(도시생략)의 출력에 따라 이송롤러(33)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And the rotation of the
이송롤러(33)의 둘레면에 배지측 완충장치(11)로부터 투입된 피인쇄기재(W)가 감긴다. 이송롤러(33)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가 연결되고, 이 구동모터로 피인쇄기재(W)를 후처리부(3B)를 향하여 보내는 방향(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만 회전구동되고, 후처리부(3B)의 반대를 향하여 보내는 방향(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다.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nput from the
이송롤러(33)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2개의 닙롤러(34)가 압접하고 있다. 이 닙롤러(34)와 이송롤러(33)로 피인쇄기재(W)를 협지하고, 구동모터로 이송롤러(33)를 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잡아당겨 후처리부(3B)를 향하여 확실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였다.At least two nip
2개의 닙롤러(34)는 이송롤러(33)의 둘레면에서의 피인쇄기재(W)가 감기는 범위의 회전방향으로 이격한 위치에 압접하고 있다.The two nip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인쇄부(2)(제6인쇄유닛(2f))의 사이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37)에는 인쇄맞춤의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자동맞춤장치(38)와 감시장치(39)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맞춤장치(38)가 인쇄부(2)측에 위치하고, 감시장치(39)가 배지측 스텝백롤러(10)측에 위치하고 있다.An automatic alignment device for detecting the deviation of printing alignment on the running
자동맞춤장치(38)는 각 인쇄유닛(2a~2f)으로 피인쇄기재(W)에 인쇄된 도트를 읽어내고, 도트간의 피치를 측정함으로써 각 인쇄유닛(2a~2f)의 인쇄맞춤의 어긋남을 찾아내고, 인쇄맞춤의 미조정을 인쇄동작중에 수행한다. 자동맞춤장치(38)에 의한 인쇄맞춤의 미조정은 미리 설정된 인쇄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각 인쇄유닛(2a~2f)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The
감시장치(39)는 피인쇄기재(W)에 인쇄된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유닛(39a)과, 촬영한 화상을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를 갖고 있다.The
각 인쇄유닛(2a~2f)으로 피인쇄기재(W)에 인쇄된 각 색의 맞춤마크를 카메라유닛(39a)으로 촬영하고, 모니터에 영상으로서 표시한다. 모니터의 영상을 조작자가 보는 것으로 어느 인쇄유닛의 수직방향의 인쇄맞춤, 폭방향의 인쇄맞춤이 어긋나 있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수직방향의 인쇄맞춤의 어긋남의 보정, 폭방향의 인쇄맞춤의 어긋남의 보정을 수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lignment mark of each color printed on the substrate W to be printed by each of the
수직방향의 인쇄맞춤, 폭방향의 인쇄맞춤은 도 1에 나타내는 판동(7) 및 블랭킷동(8)을 회전구동하는 하나의 구동모터(도시생략)와, 판동(7)을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모터(도시생략)를 구동함으로써 조정하도록 구성하였다.The printing align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rinting alignment in the width direction are one driving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the
따라서 자동맞춤장치(38)에 의해 각 구동모터를 자동제어하는 것 및 감시장치(39)의 결과에 의해 조작자가 각 구동모터를 제어조작함으로써 수직방향의 인쇄맞춤, 폭방향의 인쇄맞춤을 조정할 수 있다.Therefore,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each driving motor by the
권취장치(1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인쇄기재(W)를 감는 권취축(32)과 후술하는 장력검출장치(36)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ake-up
권취축(32)의 일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가 연결되고, 이 구동모터로 피인쇄기재(W)를 감는 방향(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만 회전구동되고, 권취방향과 반대방향(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하였다.A drive motor (not show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ake-up
이송롤러(33)로부터 권취축(32)에 이르는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35)에는 그 주행로(35)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검출장치(36)가 설치되어 있다.A tension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on the traveling path (35) on the traveling path (35) of the substrate (W) from the conveying roller (33) to the winding shaft (32) ( 36) is installed.
장력검출장치(36)로 검출한 장력치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 설정한 장력치와 비교하고, 검출한 장력치가 설정한 장력치가 되도록 권취축(32)과 이송롤러(33)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The tension value detected by the
즉, 이송롤러(33)의 회전속도보다 권취축(32)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주행로(35)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에 장력이 발생하고, 그 장력의 크기는 이송롤러(33)와 권취축(32)의 회전속도차로 결정되기 때문에 그 회전속도차를 바꾸어 검출한 장력치를 설정장력치와 일치시킨다.That is,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ake-up
후처리부(3B)는 권취장치(12)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예를 들어 피인쇄기재(W)를 가공하는 가공장치, 피인쇄기재(W)를 하류측에 설치한 다른 장치로 반송하는 유닛, 딜리버리유닛 등을 후처리부(3B)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that processes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a unit that conveys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o another device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a delivery unit,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인쇄유닛(2a~2f)을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간헐인쇄기의 2개의 인쇄유닛(2a, 2b)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The
판동(7)과 블랭킷동(8)과 압동(9) 및 나중에 설명하는 각 부재는 인쇄유닛의 기계틀(2A)내에 각각 설치되어 있지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 동과 각 부재를 실선으로 도시하였다.The
판동(7)과 블랭킷동(8)은 도시하지 않은 하나의 구동모터로 동기하여 반대방향(도 4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The
압동(9)은 나중에 설명하는 압동용 구동모터로 입지측 스텝백롤러(6),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된다.The
판동(7)과 블랭킷동(8)과 압동(9)의 구성을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동(7)의 둘레면에는 판동(7)의 전체둘레길이(둘레면의 둘레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쇄판(7a)이 장착되어 있다. 판동(7)의 쇄판(7a)에는 이 판동(7)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잉크공급장치로부터 잉크가 공급된다.As shown in Fig. 5, a
블랭킷동(8)의 둘레면에는 블랭킷동(8)의 전체둘레길이보다 짧은 블랭킷(8a)이 장착되어 있다.A
판동(7)과 블랭킷동(8)은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쇄판(7a)과 블랭킷(8a)이 접촉하여 쇄판(7a)의 화상이 블랭킷(8a)에 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동(7)의 쇄판(7a)이 장착되지 않은 둘레면부분과 블랭킷동(8)의 블랭킷(8a)은 접촉하지 않는다.The
블랭킷동(8)과 압동(9)은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랭킷(8a)과 압동(9)의 둘레면이 피인쇄기재(W)를 개재하여 접촉하여 블랭킷(8a)의 화상이 피인쇄기재(W)에 인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블랭킷(8a)이 블랭킷동(8)의 화상범위이다.As shown in Fig. 5B, the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랭킷동(8)의 블랭킷(8a)이 장착되지 않은 둘레면부분은 압동(9)의 둘레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즉, 블랭킷동(8)의 블랭킷(8a)이 장착되지 않은 둘레면부분이 블랭킷동(8)의 비화상범위이다.As shown in FIG. 5C, the peripheral surface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간헐인쇄기(100)의 간헐인쇄동작을 도 6과 도 7과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The intermittent printing operation of the
실시형태에서는 판동(7)의 원주의 길이와 블랭킷동(8)의 원주의 길이와 압동(9)의 원주의 길이는 동일하다.In th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판동(7)과 블랭킷동(8)은 간헐인쇄동작중에 실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판동(7)은 시계회전방향, 블랭킷동(8)은 반시계회전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연속해서 회전구동된다.Plate copper (7) and blanket copper (8) are continuous at the same spe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plate copper (7) is clockwise and the blanket copper (8) is counterclockwise)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arrows during the intermittent printing operation. So it is rotated.
압동(9)은 실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 즉 정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실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주행하고, 점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 즉 역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점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주행한다. 이때 도 6과 도 7과 도 8에는 도시하지 않은 입지측 스텝백롤러(6) 및 배지측 스텝백롤러(10)를 압동(9)과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한다.As indicated by a solid line arrow, the
최초로 인쇄할(1페이지째의 인쇄) 때의 인쇄개시로부터 인쇄종료까지의 동작을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from the start of printing to the end of printing at the time of first printing (printing of the first page)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도 6은 최초의 인쇄개시로부터 인쇄종료까지의 블랭킷동(8)과 압동(9)의 회전각도의 변화를 시계열순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6 shows changes in the rotation angles of the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동(9)이 정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W)가 정방향으로 주행하고, 블랭킷(8a)의 선단(8a-1)이 압동(9)의 둘레면에 접하고 있는 피인쇄기재(W)에 접촉개시함으로써 피인쇄기재(W)에 블랭킷(8a)의 화상을 인쇄개시한다. 블랭킷(8a)의 선단(8a-1)이란 블랭킷(8a)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의 끝이다.As shown in Fig. 6(A), the
이 상태로부터 압동(9)은 블랭킷동(8)의 속도와 동일한 일정속도로 정회전구동되고, 블랭킷동(8)과 압동(9)이 회전구동되고 있음으로써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랭킷(8a)으로부터 피인쇄기재(W)에 최초의 화상이 차례차례 인쇄된다.From this state, the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랭킷(8a)의 후단(8a-2)이 압동(9)의 둘레면에 접하고 있는 피인쇄기재(W)에 접촉함으로써 최초의 인쇄가 종료된다.As shown in Fig. 6C, the first printing is ended when the
블랭킷(8a)의 후단(8a-2)이란 블랭킷(8a)의 회전방향의 상류측의 끝이다.The
즉,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압동(9)을 동기하여 일정속도로 정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W)를 정방향으로 일정속도로 주행하면서 블랭킷(8a)을 피인쇄기재(W)에 접촉함으로써 블랭킷(8a)의 화상을 피인쇄기재(W)에 최초로 인쇄한다.In other words, by synchronizing the step-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α)는 블랭킷동(8)의 회전중심(8b)과 압동(9)의 회전중심(9c)을 연결하는 직선(b)과 블랭킷(8a)의 후단(8a-2)이 이루는 각도이고, 인쇄종료시의 직선(b)의 위치를 0도로 하여 정회전방향을 양으로 한다. 압동(9)의 회전각도(β)는 직선(b)과 피인쇄기재(W)에 인쇄한 인쇄화상(G)의 후단(G-1)이 이루는 각도이고, 인쇄종료시의 직선(b)의 위치를 0도로 하여 정회전방향을 양으로 한다. 즉, 도 6의 (C)의 인쇄종료시가 α=0 또한 β=0이고, 인쇄종료의 상태로부터 블랭킷동(8) 및 압동(9)이 정회전구동함으로써 α와 β는 각각 증가한다.The rotation angle (α) of the blanket copper (8) is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the rotation center (8b) of the blanket copper (8) and the rotation center (9c) of the pressure copper (9) and the rear end (8a) of the blanket (8a). It is the angle formed by -2), and the position of the straight line (b) at the end of printing is 0 degrees, and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is positive. The rotation angle (β) of the press cylinder (9) is the angle formed by the straight line (b) and the rear end (G-1) of the printed image (G) printed on the substrate (W), and the straight line (b) at the end of printing. The position is set to 0 degrees and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is positive. That is, when the printing ends in Fig. 6C are α=0 and β=0, the
피인쇄기재(W)에 최초로 인쇄된 인쇄화상(G)의 길이(인쇄화상(G)의 후단(G-1)으로부터 선단(G-2)까지의 거리), 즉 1페이지분의 인쇄범위는 블랭킷(8a)의 사이즈(블랭킷(8a)의 선단(8a-1)으로부터 후단(8a-2)까지의 거리)와 일치한다. 인쇄화상(G)의 후단(G-1)이란 압동(9)의 정회전방향의 상류측의 끝이다. 인쇄화상(G)의 선단(G-2)이란 압동(9)의 정회전방향의 하류측의 끝이다.The length of the first printed image (G) printed on the substrate (W) (the distance from the rear end (G-1) to the front end (G-2) of the printed image (G)), that is, the print range for one page It matches the size of the
인쇄종료시의 블랭킷동(8)의 직선(b)으로부터 블랭킷(8a)의 선단(8a-1)까지의 회전각도는 제1블랭킷동회전각도(α-1)이고, 압동(9)의 직선(b)으로부터 인쇄화상(G)의 선단(G-2)까지의 회전각도는 제1압동회전각도(β-1)이다. 블랭킷동(8)과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는 동일하고, 블랭킷(8a)의 사이즈와 인쇄화상(G)의 길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α-1과 β-1은 동일 각도이다.The rotation angle from the straight line (b) of the blanket copper (8) at the end of printing to the tip (8a-1) of the blanket (8a) is the first blanket movement rotation angle (α-1), and the straight line ( The rotation angle from b) to the tip G-2 of the printed image G is the first pressing rotation angle β-1. Since the
또한 인쇄화상(G)은 피인쇄기재(W)의 표면에 인쇄되지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6에서는 압동(9)의 둘레면의 내측에 도시하였다. 후술하는 도 7, 도 8에서도 인쇄화상을 압동(9)의 둘레면의 내측에 도시하였다.In addition, the printed image G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W to be printed, but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it is shown insid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6의 (C)에 나타내는 인쇄종료시에 압동(9)은 일정속도로 정회전구동하고 있으므로 인쇄종료후에 압동(9)을 감속정회전구동하여 압동(9)을 서서히 회전정지시켜 피인쇄기재(W)와 압동(9)의 둘레면의 사이의 슬립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압동(9)의 구동계 등에 고장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즉, 일정속도로 정회전구동하고 있는 압동(9)을 갑자기 회전정지하면 피인쇄기재(W)와 압동(9)의 둘레면의 사이의 슬립의 원인이 됨과 아울러 압동(9)의 구동계 등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여 고장의 원인이 된다.At the end of printing shown in Fig. 6C, the
압동(9)은 인쇄종료후에 서서히 회전정지하기 때문에 압동(9)은 도 6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6의 (C)에서 나타내는 인쇄종료시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회전각도 정회전한 위치에서 회전정지한다. 즉, 압동(9)의 회전정지위치에서의 회전각도(β)는 제2압동회전각도(β-2)이다.Since the
압동(9)이 회전정지한 상태에서는 도 6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α)는 제2블랭킷동회전각도(α-2)이다.In the state in which the
제2블랭킷동회전각도(α-2)는 제2압동회전각도(β-2)보다 크다. 즉, 블랭킷동(8)은 인쇄종료후에도 일정한 속도로 회전구동하고 있지만, 압동(9)은 인쇄종료후에 감속정회전구동하고 있으므로 α-2>β-2가 된다.The second blanket dynamic rotation angle α-2 is greater than the second pressure dynamic rotation angle β-2. That is, the
압동(9)이 인쇄종료시의 위치(β=0)로부터 제2압동회전각도(β-2)만큼 감속정회전구동할 때에는 피인쇄기재(W)와 블랭킷(8a)이 떨어지고, 피인쇄기재(W)는 압동(9)과 블랭킷동(8)으로 협지되지 않기 때문에 압동(9)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기 쉽다.When the
최초의 인쇄종료로부터 두 번째 인쇄(2페이지째의 인쇄)를 개시하기까지의 동작을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printing to the start of the second printing (printing of the second page)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7.
도 7은 압동(9)이 회전정지하고 나서 두 번째 인쇄를 개시하기까지의 블랭킷동(8)과 압동(9)의 회전각도의 변화를 시계열순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7 shows the change in the rotation angles of the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의 인쇄동작이 종료되어 회전정지하고 있는 압동(9)을 점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속역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W)를 점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주행한다.As shown in Fig. 7(A), the first printing operation is finished and the rotationally stopped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동(9)이 제2압동회전각도(β-2)만큼 역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W)에 최초로 인쇄한 인쇄화상(G)의 후단(G-1)이 인쇄종료시의 위치(β=0)로 이동했을 때에 압동(9)이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가 되도록 한다.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란 가장 빠른 역회전구동속도로 인쇄중의 일정속도보다 느린 속도이다.As shown in (B) of FIG. 7, the
도 7의 (B)에 나타내는 상태의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α)는 제3블랭킷동회전각도(α-3)이다. α-3>α-2이다.The rotation angle α of the
이후 압동(9)을 감속역회전구동하여 압동(9)을 서서히 회전정지한다. 압동(9)이 회전정지한 상태에서는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동(9)의 회전각도(β)는 인쇄종료시의 위치(β=0)보다 입지측으로 제3압동회전각도(β-3) 어긋난 위치가 된다.After that, the
이 제3압동회전각도(β-3)의 크기는 제2압동회전각도(β-2)와 동일하다. β-3=β-2이다.The size of the third pressing rotation angle β-3 is the same as the second pressing rotation angle β-2. β-3=β-2.
블랭킷동(8)은 그 회전각도(α)가 제4블랭킷동회전각도(α-4)(α-4>α-3)가 될 때까지 회전하여 블랭킷(8a)의 선단(8a-1)은 압동(9)의 인쇄개시위치에 접근하고 있다. 블랭킷(8a)의 선단(8a-1)과 직선(b)이 이루는 각도는 제5블랭킷동회전각도(α-5)이다. α-5=360도-(α-1+α-4)로 α-5>β-3이다.The
압동(9)이 서서히 회전정지하기 때문에 피인쇄기재(W)와 압동(9)의 둘레면의 사이의 슬립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압동(9)의 구동계에 고장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Since the
또한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를 압동(9)과 마찬가지로 회전구동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side step-
피인쇄기재(W)는 도 7의 (A) 내지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랭킷동(8)의 블랭킷(8a)이 장착되지 않은 둘레면부분과 압동(9)의 둘레면의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입지부(1B)측을 향해 주행(역방향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피인쇄기재(W)는 압동(9)과 블랭킷동(8)으로 협지되지 않으므로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압동(9)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기 쉽다.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as shown in FIGS. 7A to 7C,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동(9)이 회전정지한 상태로부터 압동(9)을 가속정회전구동함으로써 압동(9)을 서서히 정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W)를 정방향으로 주행한다.As shown in Fig. 7(C), from the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압동(9)의 회전각도(β)가 제3압동회전각도(β-3)만큼 정회전구동하면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화상(G)의 후단(G-1)에 블랭킷(8a)의 선단(8a-1)이 접촉한다(β=0).And when the rotation angle β of the
이 상태에서 압동(9)을 블랭킷동과 동일한 일정속도로 정회전구동하도록 하여 두 번째 인쇄를 개시한다. 또한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를 압동(9)과 마찬가지로 회전구동한다.In this state, the second printing is started by making the
압동(9)은 서서히 회전개시하기 때문에 피인쇄기재(W)와 압동(9)의 둘레면의 사이의 슬립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압동(9)의 구동계에 고장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Since the
따라서 최초의 인쇄를 할 때에 블랭킷동(8)은 1회전(360도)한다. 블랭킷동(8)이 1회전하는 동안에 압동(9)은 인쇄중에 회전하는 블랭킷(8a)의 사이즈(화상범위)만큼 정방향으로 회전한다.Therefore, when the first printing is performed, the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속역회전구동하여 압동(9)이 회전정지하고 나서 다시 압동(9)이 가속정회전구동하여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개시까지 정회전구동하기까지의 동안에는 피인쇄기재(W)와 블랭킷(8a)이 떨어져서 피인쇄기재(W)는 압동(9)과 블랭킷동(8)으로 협지되지 않기 때문에 압동(9)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기 쉽다.As shown in Fig. 7(C), after deceleration and reverse rotation drive is performed, and after the rotation of the
즉, 최초의 인쇄가 종료된 후에 두 번째 인쇄를 개시하기까지의 동작은 최초의 인쇄가 종료되어 압동(9)이 회전정지한 후에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압동(9)을 동기하여 가속역회전구동, 감속역회전구동, 가속정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W)를 인쇄화상(G)의 후단(G-1)이 두 번째 인쇄개시위치가 되도록 역방향 및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이다.That is, the opera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printing to the start of the second printing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printing is completed and the
두 번째 인쇄를 할(2페이지째의 인쇄) 때의 인쇄개시로부터 인쇄종료까지의 동작을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from the start of printing to the end of printing when performing the second printing (printing of the second page)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도 8은 두 번째 인쇄개시로부터 두 번째 인쇄가 종료할 때까지의 블랭킷동(8)과 압동(9)의 회전각도의 변화를 시계열순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8 shows the changes in the rotation angles of the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로 인쇄한 인쇄화상(G)의 후단(G-1)과 블랭킷(8a)의 선단(8a-1)이 접촉한 상태에서 압동(9)을 블랭킷동(8)과 동일한 일정속도로 정회전구동하여 두 번째 인쇄를 개시한다.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번째 인쇄화상(H)의 선단(H-2)은 최초로 인쇄한 인쇄화상(G)의 후단(G-1)과 연속한다.As shown in Fig. 8A,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G-1 of the first printed image G and the
압동(9)이 제1압동회전각도(β-1) 정회전구동하면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번째 인쇄화상(H)의 후단(H-1)과 블랭킷(8a)의 후단(8a-2)이 일치하고, 두 번째 인쇄가 종료된다.When the
이 상태로부터 압동(9)을 감속정회전구동함으로써 도 8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동(9)을 제2압동회전각도(β-2) 회전하여 회전정지한다. 즉, 두 번째 인쇄는 최초의 인쇄와 마찬가지로 수행한다.From this state, by decelerated forward rotation drive of the
세 번째 이후의 인쇄는 두 번째 인쇄와 마찬가지로 수행한다.Printing after the third is performed like the second printing.
도 9에 기초하여 인쇄종료로부터 인쇄개시하고 다시 인쇄종료하기까지의 동안, 즉 1회의 인쇄동작을 수행할 때의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에 대한 압동(9)의 회전각도 및 회전구동속도비를 설명한다.Based on Fig. 9, the rotational angle and rotational drive speed of the
도 9는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에 대한 압동(9)의 회전각도 및 회전구동속도비를 나타내는 도표(그래프)이고, 횡축이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로 1회의 인쇄동작을 나타내기 위해서 0도부터 360도로 나타난다. 즉, 횡축은 회전각도(α)이다. 종축은 압동(9)의 회전각도,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비를 나타내고, 인쇄종료시 및 인쇄개시시의 압동(9)의 회전각도를 0도로 하고, 정회전구동하고 있을 때의 회전각도를 플러스로 나타내고, 역회전구동하고 있을 때의 회전각도를 마이너스로 나타내고 있다. 즉, 종축의 압동(9)의 회전각도는 회전각도(β)이다. 회전구동속도비는 인쇄중의 속도를 100%로 하고, 압동(9)이 회전정지하고 있을 때를 0%로 하고 있다.Fig. 9 is a chart (graph) showing the rotation angle and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rolling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실선(X)으로 나타내고, 압동(9)의 회전각도를 실선(Y)으로 나타내고 있다.The change in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도 9의 구간 1은 도 6의 (C), 도 8의 (C)의 인쇄종료로부터 도 6의 (D), 도 8의 (D)의 압동(9)이 회전정지할 때까지를 나타내고 있다.
구간 1에서는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비가 실선(X)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중의 일정속도(100%)로부터 압동(9)이 회전정지하는 0%까지 매끄럽게 변화하고 있다.In
압동(9)의 회전각도는 실선(Y)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0도로부터 제2압동회전각도(β-2)까지 매끄럽게 변화한다.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Y), the rotation angle of the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는 0도로부터 제2블랭킷동회전각도(α-2)까지 변화한다.The rotation angle of the
도 9의 구간 2는 도 7의 (A), (B)의 압동(9)을 가속역회전구동하여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가 될 때까지를 나타내고 있다.
구간 2에서는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비가 실선(X)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0%로부터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가 되는 회전구동속도비까지 매끄럽게 변화하고 있다. 압동(9)의 회전각도는 실선(Y)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압동회전각도(β-2)부터 0도까지 매끄럽게 변화하고 있다.In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는 제2블랭킷동회전각도(α-2)로부터 제3블랭킷동회전각도(α-3)까지 변화하고 있다.The rotation angle of the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의 변화의 크기는 구간 1보다 구간 2가 커지고 있는데, 이것은 압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가 구간 1보다 구간 2가 완만하기 때문이다.The magnitude of the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도 9의 구간 3은 도 7의 (B), (C)의 압동(9)을 감속역회전구동하여 회전정지할 때까지를 나타내고 있다.
구간 3에서는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비는 실선(X)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가 되는 회전구동속도비로부터 0%까지 매끄럽게 변화하고 있다. 압동(9)의 회전각도는 실선(Y)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0도로부터 제3압동회전각도(β-3)까지 매끄럽게 변화하고 있다.In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는 제4블랭킷동회전각도(α-4)까지 변화하고 있다.The rotation angle of the
도 9의 구간 4는 도 7의 (C), (D)의 압동(9)을 가속정회전구동하여 일정한 인쇄속도로 인쇄개시위치가 될 때까지를 나타내고 있다.
구간 4에서는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비는 실선(X)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0%로부터 인쇄중의 일정한 정회전구동속도가 되는 100%까지 매끄럽게 변화하고 있다. 압동(9)의 회전각도는 실선(Y)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압동회전각도(β-3)로부터 0도까지 매끄럽게 변화하고 있다.In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는 제4블랭킷동회전각도(α-4)와 제5블랭킷동회전각도(α-5)의 합까지 변화하고 있다.The rotation angle of the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의 변화의 크기는 구간 4보다 구간 3이 커지고 있는데, 이것은 압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가 구간 4보다 구간 3이 완만하기 때문이다. 구간 1부터 구간 4가 비인쇄범위이다.The size of the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도 9의 구간 5는 인쇄중을 나타내고,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비는 실선(X)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0%이고, 압동(9)의 회전각도는 실선(Y)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0도로부터 제1압동회전각도(β-1)까지 직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구간 5가 인쇄범위이다.
구간 1에서의 압동(9)의 감속정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과 구간 4에서의 압동(9)의 가속정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은 선대칭이다.The curv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decelerated forward rotation drive of the
구간 2에서의 압동(9)의 가속역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과 구간 3에서의 압동(9)의 감속역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은 선대칭이다.The curve show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accelerated reverse rotation drive of the
그리고 압동(9)의 일정속도로부터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까지의 회전구동속도비와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로부터 일정속도까지의 회전구동속도비가 대략 U자형상의 곡선을 따라 매끄럽게 변화한다.Then,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from the constant speed of the
도 10은 압동의 회전구동속도변화를 나타내는 도표이고,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에 대한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의 상이한 2개의 인쇄속도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속도에 관계없이 압동(9)의 인쇄중의 일정속도로부터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까지의 속도변화와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로부터 인쇄중의 일정속도까지의 속도변화가 대략 U자형상의 곡선을 따라 매끄럽게 변화하기 때문에 압동(9)은 매끄럽게 속도변화하고, 피인쇄기재(W)는 원활하게 역방향과 정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주행하기 때문에 피인쇄기재(W)와 압동(9)의 둘레면의 사이의 슬립의 발생을 방지하여 피인쇄기재(W)에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다.Fig. 10 is a chart show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drive speed of the presser, and shows the case of two different printing speeds of the rotational drive speed of the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랭킷동(8)에 사이즈가 작은 블랭킷(8a)을 장착하고, 압동(9)을 앞의 실시형태와 같이 회전구동하여 인쇄하면 인쇄종료후에 압동(9)이 가속역회전구동, 감속역회전구동하여 압동(9)이 회전정지하였을 때에 블랭킷(8a)의 선단(8a-1)과 직선(b)이 이루는 제5블랭킷동회전각도(α-5)가 도 7의 (C)에 나타내는 각도보다 커진다.As shown in Fig. 11, if a
따라서 압동(9)을 가속정회전구동하여 인쇄개시할 때에 인쇄화상(G)의 후단(G-1)과 블랭킷(8a)의 선단(8a-1)이 접촉하지 않아 바르게 인쇄할 수 없다.Therefore, when printing is started by accelerating forward rotation drive of the
즉, 도 12에서는 도 9와 마찬가지로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실선(X)으로 나타내고, 압동(9)의 회전각도를 실선(Y)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블랭킷(8a)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블랭킷동(8)이 구간 5의 인쇄중에 회전하는 회전각도가 작고, 압동(9)이 인쇄종료하고 나서 인쇄개시하기까지의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가 크므로 앞의 실시형태와 같이 압동(9)을 회전구동한 것에서는 바르게 인쇄할 수 없다.That is, in Fig. 12, as in Fig. 9,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그래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간 1의 압동(9)의 감속정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 구간 2의 가속역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 구간 3의 감속역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 구간 4의 가속정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를 각각 바꾸어 인쇄개시위치에서 인쇄화상(G)의 후단(G-1)과 블랭킷(8a)의 선단(8a-1)이 접촉하도록 한다. 즉, 작은 블랭킷(8a)의 경우에는 제5블랭킷동회전각도(α-5)가 커짐에 따라 제2압동회전각도(β-2), 제3압동회전각도(β-3)를 크게 하고 있다.So, as shown in Fig. 12, the rotation drive speed ratio of the decelerated forward rotation drive of the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랭킷동(8)에 사이즈가 큰 블랭킷(8a)을 장착하고, 압동(9)을 앞의 실시형태처럼 회전구동하여 인쇄하면 인쇄종료후에 압동(9)이 가속역회전구동, 감속역회전구동하여 압동(9)이 회전정지하였을 때에 압동(8a)의 선단(8a-1)과 직선(b)이 이루는 제5블랭킷동회전각도(α-5)가 도 7의 (C)에 나타내는 각도보다 작아진다.As shown in Fig. 13, if a large-
따라서 압동(9)을 가속정회전구동하여 인쇄개시할 때에 인쇄화상(G)의 후단(G-1)과 블랭킷(8a)의 선단(8a-1)이 접촉하지 않아 바르게 인쇄할 수 없다.Therefore, when printing is started by accelerating forward rotation drive of the
즉, 도 14에서는 도 9와 마찬가지로 압동(9)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실선(X)으로 나타내고, 압동(9)의 회전각도를 실선(Y)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블랭킷(8a)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블랭킷동(8)이 구간 5의 인쇄중에 회전하는 회전각도가 크고, 압동(9)이 인쇄종료하고 나서 인쇄개시하기까지의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가 작으므로 앞의 실시형태와 같이 압동(9)을 회전구동한 것에서는 바르게 인쇄할 수 없다.That is, in Fig. 14, as in Fig. 9,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그래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간 1의 압동(9)의 감속정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 구간 2의 가속역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 구간 3의 감속역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 구간 4의 가속정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를 각각 바꾸어 인쇄개시위치에서 인쇄화상(G)의 후단(G-1)과 블랭킷(8a)의 선단(8a-1)이 접촉하도록 한다. 즉, 큰 블랭킷(8a)의 경우에는 제5블랭킷동회전각도(α-5)가 작아짐에 따라 제2압동회전각도(β-2), 제3압동회전각도(β-3)를 작게 하고 있다.So, as shown in Fig. 14, the rotation drive speed ratio of the decelerated forward rotation drive of the
인쇄속도를 바꾸어 단위시간당 인쇄페이지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압동(9)이 일정속도로부터 감속개시할 때 및 일정속도가 될 때의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는 바꾸지 않고, 압동(9)의 정역회전구동의 가속도를 변화하면 된다.In the case of changing the number of printed pages per unit time by changing the printing speed, the rotation angle of the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선으로 나타낸 인쇄속도를 실선으로 나타낸 인쇄속도보다 늦추는 경우에는 압동(9)이 일정속도로부터 감속개시할 때의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 및 압동(9)이 일정속도가 될 때의 블랭킷동(8)의 회전각도를 바꾸지 않고, 압동(9)을 정역회전구동할 때의 가속도를 작게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printing speed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s slower than the printing speed indicated by the solid line, the rotation angle of the
다음에 피인쇄기재(W)를 압동(9)의 둘레면에 감는 구성을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bstrate W to be printed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인쇄기재(W)는 입지측 주행로(15a)로부터 압동(9)의 둘레면에 감겨 배지측 주행로(15b)에 이른다.As shown in Fig. 4, the substrate W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입지측 주행로(15a)는 피인쇄기재(W)가 정방향으로 주행할 때의 주행방향 상류측의 주행로이고, 피인쇄기재(W)가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주행방향 하류측의 주행로이다.The location-
배지측 주행로(15b)는 피인쇄기재(W)가 정방향으로 주행할 때의 주행방향 하류측의 주행로이고, 피인쇄기재(W)가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주행방향 상류측의 주행로이다.The discharge
블랭킷동(8)과 압동(9)의 사이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는 입지측 가이드롤러(40)와 배지측 가이드롤러(41)로 압동(9)의 둘레면에 소정의 권취각으로 감긴다.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between the blanket copper (8) and the pressing copper (9) is a guide roller on the receiving side (40) and a guide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41), and a predetermined winding angl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copper (9). Wound with
입지측 가이드롤러(40)는 입지측 주행로(15a)에 설치되어 있다.The ground-
배지측 가이드롤러(41)는 배지측 주행로(15b)에 설치되어 있다.The discharge side guide
입지측 가이드롤러(40)와 배지측 가이드롤러(41)의 적어도 한쪽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피인쇄기재(W)의 압동(9) 둘레면에 대한 권취각이 변화한다.By chang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receiving
입지측 가이드롤러(40)와 배지측 가이드롤러(41)는 프리회전하는 롤러로 구동모터 등으로 회전구동되지 않는다.The landing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지측 가이드롤러(40)는 압동(9)보다 입지부(1B) 근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positioning-
입지측 가이드롤러(40)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가 접하는 위치(40a)는 압동(9)의 둘레면에서의 피인쇄기재(W)가 블랭킷동(8)의 블랭킷(8a)과 접촉하는 위치(이하 인쇄위치라고 함)(9a)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입지측 주행로(15a)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는 입지측 가이드롤러(40)의 둘레면하부와 압동(9)의 둘레면상부의 사이를 입지측 가이드롤러(40)와 접촉하는 위치(40a)가 낮고, 압동(9)의 둘레면과 접촉개시하는 위치가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주행한다.The position (40a) wher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itioning
따라서 입지측 주행로(15a)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가 압동(9)의 둘레면에 감기개시하는 입지측의 감기개시위치(압동(9)의 둘레면과 접촉개시하는 입지측의 위치)(16a)는 압동(9)의 인쇄위치(9a)보다 입지측이고, 인쇄위치(9a)보다 낮은 위치이다.Therefore, the winding start position on the location side where the printed substrate W traveling on the location
배지측 가이드롤러(41)는 압동(9)보다 입지부(1B) 근처이고 또한 입지측 주행로(15a)에 접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배지측 가이드롤러(41)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가 접촉개시하는 압동(9)측의 위치(41a)는 압동(9)의 둘레면에서의 하부위치(9b)보다 위에 위치하고, 배지측 주행로(15b)에서의 배지측 가이드롤러(41)보다 압동(9)측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는 압동(9)의 둘레면하부와 배지측 가이드롤러(41)의 둘레면상부의 사이를 압동(9)의 둘레면과 접촉개시하는 위치가 낮고, 배지측 가이드롤러(41)와 접촉개시하는 위치(41a)가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주행한다. 압동(9)의 둘레면의 하부위치(9b)란 인쇄위치(9a)와 압동(9)의 중심(9c)을 통과하는 직선(a)과 압동(9)의 둘레면하부의 교점이다.The discharge side guide
따라서 배지측 주행로(15b)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가 압동(9)의 둘레면에 감기개시하는 배지측의 감기개시위치(압동(9)의 둘레면에 접촉개시하는 배지측의 위치)(16b)는 압동(9)의 둘레면의 하부위치(9b)보다 입지측이고, 하부위치(9b)보다 높은 위치이다.Therefore, the winding start position on the discharge side at which the printed substrate W traveling on the discharge
즉, 입지측 가이드롤러(40)의 둘레면에서의 피인쇄기재(W)가 접하는 위치(40a)와 압동(9)의 둘레면에서의 입지측의 감기개시위치(16a)를 연결하는 직선(입지측 가이드롤러(40)와 압동(9)의 사이의 입지측 주행로(15a)의 연장선)과 배지측 가이드롤러(41)의 둘레면에서의 피인쇄기재(W)가 접하는 위치(41a)와 압동(9)의 둘레면에서의 배지측의 감기개시위치(16b)를 연결하는 직선(배지측 가이드롤러(41)와 압동(9)의 사이의 배지측 주행로(15b)의 연장선)은 교차한다.That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따라서 피인쇄기재(W)가 압동(9)의 둘레면에 감기는 권취각(θ)은 180도보다 큰 각도, 도 15에서는 270도이고, 피인쇄기재(W)와 압동(9)의 둘레면의 접촉면적이 넓어 양자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큰 값이다.Therefore, the winding angle (θ) that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n (9) is greater than 180 degrees, and is 270 degrees in FIG. 15,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printed material (W) and the platen (9) Since the surface contact area is wide,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two is large.
마찰력이 큰 값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The reason why the friction force is a large value is as follows.
피인쇄기재(W)가 압동(9)의 둘레면에 감겨 있음으로써 감겨 있는 범위에서 피인쇄기재(W)로부터 압동(9)에 대하여 압동(9)의 중심(9c)방향을 향하는 힘이 발생한다.As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n (9), a force from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oward the center (9c) of the platen (9) is generated in the wound range. do.
이 힘의 반작용으로서 피인쇄기재(W)에는 압동(9)의 둘레면에 감겨 있는 범위에 수직항력이 발생한다.As a reaction of this force, a normal force is generated in the substrate W in the range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피인쇄기재(W)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피인쇄기재(W)가 압동(9)의 둘레면에 감겨 있는 범위 전체에 대한 수직항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피인쇄기재(W)가 압동(9)의 둘레면에 감겨 있는 범위가 넓을수록 마찰력이 커진다.The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proportional to the normal force over the entire range of the substrate (W)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strate (W) to be printed (W). The wider the range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greater the frictional force.
따라서 피인쇄기재(W)가 압동(9)의 둘레면에 감겨 있는 권취각(θ)이 큰 각도이면 피인쇄기재(W)와 압동(9)의 둘레면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큰 값이 된다.Therefore, if the winding angle (θ)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inted material (W) is a large angle,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printed material (W)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copper (9) is a large value. Becomes.
피인쇄기재(W)와 압동(9)의 둘레면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큰 값이면 압동(9)을 역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W)를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압동(9)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에 발생하는 슬립을 억제할 수 있다.If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9) is a large value, the presser (9) is driven in a reverse rotation and the pressure of the presser (9) when traveling in the reverse direction. Slip occurring between the peripheral surface and the substrate W to be printed can be suppressed.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동(9)의 둘레면에서의 피인쇄기재(W)가 감기는 부분(도 15에 나타내는 입지측의 감기개시위치(16a)와 배지측의 감기개시위치(16b)의 사이의 둘레면부분)과 대향하여 압동용 닙롤러(42)와 건조장치(43)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ortion of the substrate W woun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9 (the winding
압동용 닙롤러(42)는 압동(9)의 둘레면에 압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피인쇄기재(W)는 압동용 닙롤러(42)와 압동(9)의 둘레면에 의해 항상 협지되면서 주행한다. 즉, 압동용 닙롤러(42)는 피인쇄기재(W)를 압동(9)의 둘레면에 강압하는 것이다.The
압동용 닙롤러(42)를 설치함으로써 압동용 닙롤러(42)로 강압되는 부분에 있어서 피인쇄기재(W)와 압동(9)의 둘레면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증대하여 마찰력은 큰 값이 된다.By installing the pressing nip
또한 압동(9)을 역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W)를 역방향으로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압동(9)의 둘레면과 블랭킷동(8)의 둘레면이 떨어져 있어 피인쇄기재(W)가 블랭킷동(8)에 대하여 비접촉이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는 압동용 닙롤러(42)로 압동(9)의 둘레면에 강압되어 있는 개소(도 15의 닙위치(42a))보다 주행방향 하류측이 주행방향으로 잡아당겨진다.In addition,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running in the reverse direction by driving the presser (9)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er (9)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anket copper (8) are separated, so that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blanketed. Since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피인쇄기재(W)가 주행방향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피인쇄기재(W)로부터 압동(9)의 둘레면에 대하여 압동(9)의 중심(9c)방향을 향하는 힘이 발생한다.As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pull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a force from the substrate (W) toward the
이 힘에 의해 압동(9)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에 잔존하는 공기가 도피하여 공기층의 형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압동(9)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의 마찰력이 공기층에 의해 저하하는 경우가 적어진다.Due to this force, the air remaining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또한 피인쇄기재(W)로부터 압동(9)의 둘레면에 대하여 압동(9)의 중심방향을 향하는 힘에 의해 압동(9)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의 마찰력이 커진다.Further,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러한 점이 더해져서 압동(9)과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를 역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W)를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 및 압동(9)이 인쇄개시위치로부터 회전정지할 때까지 피인쇄기재(W)가 정방향으로 주행할 때 및 역방향으로 주행한 피인쇄기재(W)를 인쇄개시위치까지 정방향으로 주행할 때(즉, 피인쇄기재(W)가 블랭킷(8a)과 떨어져서 피인쇄기재(W)가 압동(9)과 블랭킷동(8)으로 협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할 때)에 피인쇄기재(W)와 압동(9)의 둘레면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When these points are added, the pressing member (9), the receiving side stepback roller (6) and the discharge side stepback roller (10) are driven in a reverse rotation to driv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pressing member (9) is printed.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the start position until the rotation stops, and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ed in the reverse direction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starting position (i.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When the substrate (W) is separated from the blanket (8a) and travels in a state wher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not pinched by the pressure copper (9) and the blanket copper (8)),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and the There is no slip between them.
따라서 인쇄맞춤의 편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viations in print alignment.
앞에 기술한 공기층의 형성을 억제하여 압동(9)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하는 것은 잡아당겨지는 피인쇄기재(W)의 압동(9)의 둘레면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길이(도 15에 나타내는 입지측의 감기개시위치(16a)로부터 배지측의 감기개시위치(16b)까지의 길이)가 길수록 효과가 있다.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copper (9) a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by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the air layer described above, it contact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copper (9) of the printed material (W) to be pulled.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part (the length from the winding
그래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동용 닙롤러(42)는 그 압동(9)의 둘레면에 압접하는 닙위치(42a)가 압동의 인쇄위치(9a)보다 배지측 가이드롤러(41) 근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5, the
즉, 압동용 닙롤러(42)의 압동(9)의 둘레면에 압접하는 닙위치(42a)는 피인쇄기재(W)가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압동(9)의 인쇄위치(9a)보다 피인쇄기재(W)의 주행방향 상류측(역회전방향의 상류측)이다.That is, the nip position 42a which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리고 그 닙위치(42a)는 배지측의 감기개시위치(16b)를 넘지 않는 가장 배지측 가이드롤러(41)에 가까운 위치가 바람직하다.Further, the nip position 42a is preferably a position closest to the discharge side guide
닙위치(42a)가 배지측의 감기개시위치(16b)를 넘으면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압동용 닙롤러(42)를 압동(9)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했을 때에 피인쇄기재(W)의 압동(9)의 둘레면에 대한 권취각이 변화함과 아울러 주행로의 길이가 변화하므로 인쇄맞춤이 어긋난다.When the nip position 42a exceeds the winding start position 16b on the discharge si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ressing nip
압동용 닙롤러(42)는 압동(9)의 둘레면에 압접하는 위치와 이격하는 위치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압동용 닙롤러(42)의 장착구성을 도 16과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The mounting configuration of the pressing nip
인쇄유닛의 기계틀(2A)은 피인쇄기재(W)의 주행방향과 직각방향 한쪽의 조작측 프레임(2A-1)과 다른 쪽의 구동측 프레임(2A-2)을 구비하고 있다.The
배지측 가이드롤러(41)의 지지축(50)은 조작측 프레임(2A-1)과 구동측 프레임(2A-2)에 걸쳐 축방향으로 위치결정됨과 아울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지지축(50)에 배지측 가이드롤러(4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그 지지축(50)의 길이방향의 일단은 조작측 프레임(2A-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The
지지축(5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한 2개의 위치에 지지암(51)의 기단부가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2개의 지지암(51)의 선단부간에 걸쳐 닙롤러축(52)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장착되어 있고, 그 닙롤러축(52)에 압동용 닙롤러(4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base end of the
인쇄유닛의 기계틀(2A)의 조작측 프레임(2A-1)의 외측면(표면)에 닙롤러이동용 실린더(53)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닙롤러이동용 실린더(53)의 피스톤로드(53a)에 레버(54)의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레버(54)의 선단부에 지지축(5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장착되어 있다.The nip
그리고 닙롤러이동용 실린더(53)의 피스톤로드(53a)를 신장함으로써 레버(54)가 도 1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지지축(50)이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도 회전하여 지지암(51)이 압동(9)의 둘레면을 향하여 회동하고, 압동용 닙롤러(42)가 압동(9)의 둘레면에 압접하는 위치로 이동한다.Then, by extending the
닙롤러이동용 실린더(53)의 피스톤로드(53a)를 축소시킴으로써 레버(54)가 도 16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지지축(50)이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도 회전하여 지지암(51)이 압동(9)의 둘레면과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압동용 닙롤러(42)가 압동(9)의 둘레면과 이격하는 위치로 이동한다.By reducing the
따라서 인쇄동작시에는 압동용 닙롤러(42)를 압동(9)의 둘레면에 압접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슬립의 발생을 방지하고, 보수점검작업시에는 닙롤러(42)를 압동(9)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이동함으로써 보수점검작업 등이 용이해진다.Therefore, during the printing operation, the
그리고 피인쇄기재(W)에 화상을 인쇄할 때에는 압동(9)의 둘레면과 블랭킷동(8)의 블랭킷(8a)이 피인쇄기재(W)를 개재하여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압동용 닙롤러(42)가 없어도 압동(9)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도 6 참조). 또한 압동용 닙롤러(42)를 압동(9)의 둘레면과 이격하여도 배지측 가이드롤러(41)의 둘레면에서의 피인쇄기재(W)가 접촉개시하는 압동(9)측의 위치(41a)와 압동(9)의 둘레면에서의 배지측의 감기개시위치(16b)를 연결하는 직선간의 배지측 주행로(15b)의 길이가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압동용 닙롤러(42)를 압동(9)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하여도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도 15 참조).In addition, when printing an image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copper (9) and the blanket (8a) of the blanket copper (8) ar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Even without 42), no slip occurs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장치(43)는 피인쇄기재(W)에 인쇄된 화상의 잉크의 정착, 건조를 수행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자외선경화형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자외선의 광원으로서는 수은램프, 메탈할라이드램프, LED램프 등 적절히 선택 가능한데, 피인쇄기재(W)에 대한 열의 영향을 경감하기 위해서 LED램프가 적합하다.As shown in Fig. 4, the drying
건조장치(43)는 압동(9)의 인쇄위치(9a)와 압동용 닙롤러(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건조장치(43)는 압동용 닙롤러(42)보다 압동정회전방향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The drying
따라서 인쇄한 화상의 잉크가 정착, 건조된 후에 압동용 닙롤러(42)가 접촉하기 때문에 압동용 닙롤러(42)가 접촉함으로써 화상이 흐트러지는 일이 없다.Therefore, since the
건조장치(43)에서 발생하는 열로 압동(9)이나 피인쇄기재(W)가 높은 온도가 되어 피인쇄기재(W)가 열에 의한 나쁜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특히 피인쇄기재(W)로서 필름 등의 연포장의 소재를 이용한 경우에는 열에 의한 나쁜 영향을 받기 쉽다. 열에 의한 나쁜 영향으로서는 열에 의해 피인쇄기재(W)가 신장하여 인쇄맞춤이 어긋나는 것 등이 있다.The heat generated by the drying
그래서 압동(9)에 냉각장치(72)를 설치하여 압동(9)을 냉각함으로써 압동(9)이나 피인쇄기재(W)가 열에 의한 나쁜 영향을 받는 높은 온도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a
도 18과 도 19에 기초하여 압동(9)의 냉각장치(72)를 설명한다.The
압동(9)은 통체(60)와 통체(60)의 한쪽 개구부를 닫는 한쪽 단면판(61)과 통체(60)의 다른 쪽 개구부를 닫는 다른 쪽 단면판(62)으로 중공부를 갖는 통형상이다.The
한쪽 단면판(61)에 한쪽 지지축(63)이 설치되어 있고, 한쪽 지지축(63)은 편심베어링(64)에 의해 조작측 프레임(2A-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One
다른 쪽 단면판(62)에 다른 쪽 지지축(65)이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 지지축(65)은 편심베어링(64)에 의해 구동측 프레임(2A-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 편심베어링(64)에는 압동용 구동모터(68)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고정용 편심부품(64a)이 장착되어 있다.The
구동측 프레임(2A-2)에 스테이(66)를 개재하여 모터지지프레임(67)이 장착되어 있고, 이 모터지지프레임(67)에 모터고정용 편심부품(64a)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압동용 구동모터(68)는 모터고정용 편심부품(64a)에 장착되어 있다.A
압동용 구동모터(68)의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과 다른 쪽 지지축(65)이 도시하지 않은 커플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rotation shaft (not shown) of the driving
압동(9)은 압동용 구동모터(68)로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된다.The
압동용 구동모터(68)는 판동(7) 및 블랭킷동(8)의 구동모터(도시생략)와 독립하여 입지측 스텝백롤러(6)의 구동모터 및 배지측 스텝백롤러(10)의 구동모터와 동기제어된다.The
따라서 압동(9)은 입지측 스텝백롤러(6) 및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된다.Accordingly, the
압동(9)의 중공부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냉각수유통용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이프는 한쪽의 단면판(61), 한쪽의 지지축(63)을 관통하여 조작측 프레임(2A-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로터리조인트(69)를 거쳐 냉각수의 공급배관(70)과 냉각수의 배출배관(71)에 접속하고 있다. 냉각수의 공급배관(70)은 냉각수의 공급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되어 있고, 냉각수의 배출배관(71)은 냉각수의 탱크에 접속되어 있다.In the hollow portion of the
그리고 냉각수의 공급배관(70)으로부터 냉각수가 파이프에 유입되고, 그 냉각수는 파이프내를 흘러 냉각수의 배출배관(71)으로부터 유출된다.Then, the cooling water flows into the pipe from the cooling
이와 같이 파이프내를 냉각수가 흐름으로써 압동(9)이 냉각되고, 압동의 냉각장치(72)를 구성하고 있다.As the cooling water flows through the pipe in this way, the
각 편심베어링(64) 및 모터고정용 편심부품(64a)의 회전중심과 지지축(63, 65)의 회전중심은 편심하고 있고, 각 편심베어링(64)을 회전기구(73)로 소정의 회전각도 회전함으로써 압동(9) 및 압동용 구동모터(68)는 소정의 회전각도 편심회전한다.The rotation center of each
압동(9)이 편심회전함으로써 압동(9)의 블랭킷동(8)에 대한 위치가 변화하여 압동(9)의 둘레면과 블랭킷동(8)의 블랭킷(8a)의 접촉압(인쇄압)을 조정할 수 있다.By eccentric rotation of the
회전기구(73)를 설명한다.The
조작측 프레임(2A-1)과 구동측 프레임(2A-2)에 걸쳐 회전축(7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회전축(74)에 장착되어 있는 웜기어(75)가 축(76)에 장착한 웜(77)과 맞물려 있다. 축(76)에 고정한 핸들(76a)을 회전함으로써 회전축(74)이 회전한다.A
각 편심베어링(64)에는 부채꼴의 기어(78)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이 각 기어(78)가 회전축(74)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기어(79)에 각각 맞물려 있다.Each
따라서 핸들(76a)로 축(76)을 회전함으로써 각 편심베어링(64)이 소정의 회전각도 회전한다.Therefore, by rotating th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부(2)의 각 인쇄유닛간에 맞춤조정장치(8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인쇄유닛(2a)과 제2인쇄유닛(2b)의 사이, 제2인쇄유닛(2b)과 제3인쇄유닛(2c)의 사이, 제3인쇄유닛(2c)과 제4인쇄유닛(2d)의 사이, 제4인쇄유닛(2d)과 제5인쇄유닛(2e)의 사이, 제5인쇄유닛(2e)과 제6인쇄유닛(2f)의 사이에 맞춤조정장치(8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맞춤조정장치(80)는 인쇄를 개시하기 전에 인쇄하는 화상의 수직방향의 길이에 따라 인쇄맞춤을 조정하는 것이다.The
종래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간헐인쇄기에서는 압동을 회전정지한 상태에서 인쇄유닛을 이동하여 인쇄유닛간의 거리를 바꿈으로써 인쇄맞춤을 조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인쇄맞춤의 조정방법을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적용할 수는 없다.In the conventional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disclosed in
그 이유는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서는 압동(9)의 둘레면에 피인쇄기재(W)가 감겨 있기 때문에 인쇄유닛(2a~2f)을 이동하면 압동(9)도 이동하고, 압동(9)의 이동에 의해 피인쇄기재(W)가 잡아당겨져서 절단하거나 느슨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is that 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9), so when the printing units (2a to 2f) are moved, the pressing member (9) also moves, This is because there is a case wher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pulled and cut or loosened by movement.
본 발명의 맞춤조정장치(80)는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의 길이(용지경로의 길이)를 바꿈으로써 인쇄맞춤을 조정하는 것이다.The
따라서 압동(9)의 둘레면에 피인쇄기재(W)가 감겨 있어도 인쇄맞춤을 조정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substrate W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맞춤조정장치(8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지측 풀롤러(81)와, 입지측 풀롤러(81)보다 하부에 설치된 배지측 풀롤러(82)와,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의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롤러(83)와, 배지측 풀롤러(82)보다 배지측에 설치한 가이드롤러(84)를 갖는다.As shown in FIG. 4, the
피인쇄기재(W)는 입지측 풀롤러(81)로부터 가동롤러(83), 가동롤러(83)로부터 배지측 풀롤러(82), 배지측 풀롤러(82)로부터 가이드롤러(84)로 차례차례 감겨 주행한다.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sequentially from the receiving side pull
즉, 피인쇄기재(W)가 정방향(실선화살표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입지측 인쇄유닛(제1인쇄유닛(2a))으로부터 입지측 풀롤러(81)를 거쳐 가동롤러(83)에 감겨 주행방향을 바꾸고, 배지측 풀롤러(82)에 감겨 다시 주행방향을 바꾸어 가이드롤러(84)를 거쳐 배지측 인쇄유닛(제2인쇄유닛(2b))으로 주행한다.That is,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olid arrow), it is wound around the
피인쇄기재(W)가 역방향(점선화살표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배지측 인쇄유닛(제2인쇄유닛(2b))으로부터 가이드롤러(84)를 거쳐 배지측 풀롤러(82)에 감겨 주행방향을 바꾸고, 가동롤러(83)에 감겨 다시 주행방향을 바꾸어 입지측 풀롤러(81)를 거쳐 입지측 인쇄유닛(제1인쇄유닛(2a))으로 주행한다.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runs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dotted arrow), it is wound around the discharge side pull
가동롤러(83)는 입지측 위치(83a)와 배지측 위치(83b)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가동롤러(83)가 이동함으로써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의 사이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a)의 길이가 변화한다. 즉,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의 사이의 주행로(85a)는 가동롤러(83)로 되접어 꺽이는 루프형상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롤러(83)가 이동함으로써 주행로(85a)의 길이가 변화한다.The
따라서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의 사이의 주행로(85a)의 길이가 변화함으로써 제1인쇄유닛(2a)의 인쇄위치(9a)와 제2인쇄유닛(2b)의 인쇄위치(9a)의 사이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이하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라고 함)의 길이가 변화한다.Therefore, the length of the running
가동롤러(83)가 입지측 위치(83a)이면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의 길이가 가장 짧다. 가동롤러(83)가 배지측 위치(83b)이면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의 길이가 가장 길다.When the
따라서 가동롤러(83)가 입지측 위치(83a)와 배지측 위치(83b)의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의 길이가 바뀌기 때문에 인쇄전에 인쇄맞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의 길이를 인쇄하는 화상의 수직방향의 길이의 정수배로 한다.Therefore, as the
각 롤러(81, 82, 83, 84)는 맞춤조정장치(80)의 틀체(80A)내에 설치하였지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 롤러(81, 82, 83, 84)를 실선으로 도시하였다.Each of the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동모터로 회전구동제어된다. 그리고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는 입지측 스텝백롤러(6) 및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된다.The loading side pull
가동롤러(83)는 틀체(80A)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이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동체를 도시하지 않은 이동기구로 이동함으로써 가동롤러(83)를 이동한다.The
이동기구로서는 모터로 이송나사를 회전하고, 그 이송나사를 이동체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한 것,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는 것, 실린더를 이용하는 것 등이다.As a moving mechanism, a feed screw is rotated by a motor, and the feed screw is screwed into a screw hole of a moving body, a rack and a pinion are used, a cylinder is used, and the like.
피인쇄기재(W)는 가동롤러(83)의 둘레면의 180도의 범위에 감겨 있기 때문에 가동롤러(83)가 이동하여도 항상 180도의 범위로 감기고, 권취각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가동롤러(83)의 이동거리의 2배의 길이만큼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의 길이를 정확하게 바꿀 수 있다. 그러나 180도의 범위로 감겨 있기 때문에 피인쇄기재(W)와 가동롤러(83)의 둘레면의 접하는 면적이 넓어 피인쇄기재(W)의 주행저항이 커진다. 이 때문에 피인쇄기재(W)가 정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배지측 풀롤러(82)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기 쉽고, 피인쇄기재(W)가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기 쉽다.Since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wound in the range of 180 degree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래서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에 압접하는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와 배지측 풀롤러(82)에 압접하는 배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7)를 각각 설치하였다.Therefore, a
그리고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과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로 피인쇄기재(W)를 협지하고, 배지측 풀롤러(82)의 둘레면과 배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7)로 피인쇄기재(W)를 협지하고 있다.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따라서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의 마찰력이 커져 양자간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배지측 풀롤러(82)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의 마찰력이 커져 양자간에 슬립이 발생하는 일이 없으므로 맞춤조정장치(80)를 설치함으로써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Therefore, frict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side pull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는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에 압접하는 위치와 이격하는 위치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배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7)는 배지측 풀롤러(82)의 둘레면에 압접하는 위치와 이격하는 위치에 걸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의 장착구성을 도 20과 도 2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틀체(80A)는 피인쇄기재(W)의 주행방향과 직각방향 한쪽의 조작측 프레임(80A-1)과 다른 쪽의 구동측 프레임(80A-2)을 구비하고 있다.The mounting configuration of the
틀체(80A)의 조작측 프레임(80A-1)과 구동측 프레임(80A-2)에 걸쳐 지지축(90)이 축방향으로 위치결정됨과 아울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지지축(90)의 길이방향의 일단은 조작측 프레임(80A-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축(9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한 2개의 위치에 지지암(91)의 기단부가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2개의 지지암(91)의 선단부간에 걸쳐 닙롤러축(92)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장착되어 있고, 그 닙롤러축(92)에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틀체(80A)의 조작측 프레임(80A-1)의 외측면(표면)에 닙롤러이동용 실린더(93)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닙롤러이동용 실린더(93)의 피스톤로드(93a)에 레버(94)의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레버(94)의 선단부에 지지축(9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장착되어 있다.The nip
그리고 닙롤러이동용 실린더(93)의 피스톤로드(93a)를 신장함으로써 레버(94)가 도 2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지지축(90)이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도 회전하여 지지암(91)이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을 향하여 회동하고,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는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에 압접하는 위치로 이동한다.Then, by extending the
닙롤러이동용 실린더(93)의 피스톤로드(93a)를 축소시킴으로써 레버(94)가 도 2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지지축(90)이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도 회전하여 지지암(91)이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과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는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과 이격하는 위치로 이동한다.By reducing the
또한 배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7)도 이와 같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와 배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7)를 이격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인쇄개시전에 맞춤조정장치(80)내에 피인쇄기재(W)를 통과시키는 작업(종이안내작업)이나 롤러의 보수점검작업이 하기 쉬워진다.In addition, by moving the
가동롤러(83)를 이동할 때에는 압동용 닙롤러(42),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 배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7), 그 외의 닙롤러를 각각 이격위치로 이동하여 가동롤러(83)의 이동에 의해 피인쇄기재(W)가 각 롤러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When moving the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는 각 인쇄유닛(2a~2f)의 압동(9)의 둘레면에 피인쇄기재(W)가 감겨 있고, 각 압동(9)의 둘레면에는 압동용 닙롤러(42)가 압접하고 있다. 각 맞춤조정장치(80)의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에는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가 압접하고, 배지측 풀롤러(82)의 둘레면에는 배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7)가 압접하고 있다.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woun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 때문에 입지측 스텝백롤러(6)의 회전속도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도 각 인쇄유닛(2a~2f), 각 맞춤조정장치(80)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이 균일해지지 않기 때문에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각 인쇄유닛(2a~2f), 각 맞춤조정장치(80)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을 소정의 값으로 할 수 없다.For this reason, even if the rotation speed of the step-
그래서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서는 입지측 스텝백롤러(6), 각 인쇄유닛(2a~2f)의 압동(9), 각 맞춤조정장치(80)의 입지측 풀롤러(81), 배지측 풀롤러(82), 배지측 스텝백롤러(10)를 각각 단독으로 회전구동하고, 각 롤러의 회전속도를 단독으로 제어함으로써 각 인쇄유닛(2a~2f), 각 맞춤조정장치(80)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을 소정의 값으로 하고 있다. 이 장력의 조정조작은 제1인쇄유닛(2a)으로부터 제6인쇄유닛(2f)을 향하여 인쇄유닛마다 차례로 수행한다.So, 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예를 들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제1인쇄유닛(2a)의 압동(9)의 사이의 구간(17a)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제1인쇄유닛(2a)의 압동(9)과 입지측 풀롤러(81)의 사이의 구간(17b)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의 사이의 구간(17c)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배지측 풀롤러(82)와 제2인쇄유닛(2b)의 압동(9)의 사이의 구간(17d)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제2인쇄유닛(2b)의 압동(9)과 입지측 풀롤러(81)의 사이의 구간(17e)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의 사이의 구간(17f)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배지측 풀롤러(82)와 제3인쇄유닛(2c)의 압동(9)의 사이의 구간(17g)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제3인쇄유닛(2c)의 압동(9)과 입지측 풀롤러(81)의 사이의 구간(17h)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의 사이의 구간(17i)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을 각각 제어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2,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running in the section (17a) between the step-back roller (6)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pressing member (9) of the first printing unit (2a), 1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running in the section (17b) between the pressing column (9) of the printing unit (2a) and the pull roller (81) on the receiving side, the pull roller on the receiving side (81) and the pull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running through the section (17c) between (82), the section (17d) between the pull-out side pull roller (82) and the pressing member (9) of the second printing unit (2b)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17e) between the pressing cylinder (9) of the second printing unit (2b) and the loading side pull roller (81),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17f) between the receiving side pull roller (81) and the discharge side pull roller (82), the discharge side pull roller (82) and the third printing unit (2c)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17g)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9), the section (17h) between the pressing members (9) of the third printing unit (2c) and the standing pull roller (81)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running on and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17i) between the receiving side pull roller 81 and the discharge side pull roller 82 are respectively controlled.
또한 배지측 풀롤러(82)와 제4인쇄유닛(2d)의 압동(9)의 사이의 구간(17j)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제4인쇄유닛(2d)의 압동(9)과 입지측 풀롤러(81)의 사이의 구간(17k)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의 사이의 구간(17l)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배지측 풀롤러(82)와 제5인쇄유닛(2e)의 압동(9)의 사이의 구간(17m)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제5인쇄유닛(2e)의 압동(9)과 입지측 풀롤러(81)의 사이의 구간(17n)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의 사이의 구간(17o)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배지측 풀롤러(82)와 제6인쇄유닛(2f)의 압동(9)의 사이의 구간(17p)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 제6인쇄유닛(2f)의 압동(9)과 배지측 스텝백롤러(10)의 사이의 구간(17q)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을 각각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17j) between the discharge side pull roller (82) and the pressing member (9) of the fourth printing unit (2d), the pressing force of the fourth printing unit (2d) (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running in the section (17k) between the loading side pull roller (81) and the section (17l) between the loading side pull roller (81) and the discharge side pull roller (82) )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and the section (17m) between the pull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82) and the presser (9) of the fifth printing unit (2e) Tension,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17n) between the pressing member (9) of the fifth printing unit (2e) and the landing-side pull roller (81), the landing-side pull roller (81) and the discharge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17o between the side pull rollers 82, the section between the discharge side pull roller 82 and the pressing member 9 of the sixth printing unit 2f (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running on 17p),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on the section (17q) between the pressing member (9) of the sixth printing unit (2f) and the stepback roller (10) on the discharge side. ) To control each tension.
각 구간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제어는 피인쇄기재(W)의 주행방향의 하류측 롤러의 회전속도를 주행방향의 상류측 롤러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하여 하류측 롤러에 의한 피인쇄기재(W)의 송출량을 상류측 롤러의 피인쇄기재(W)의 송출량보다 많게 한다.Tension control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each section is to be avoided by the downstream rollers by mak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ownstream roller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printed material (W)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upstream roller in the running direction. The delivery amount of the printed material W is made larger than the delivery amount of the printed material W of the upstream roller.
예를 들어 피인쇄기재(W)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제6인쇄유닛(2f)의 압동(9)과 배지측 스텝백롤러(10)의 사이의 구간(17q)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을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제1인쇄유닛(2a)의 압동(9)의 사이의 구간(17a)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보다 크게 하고, 다른 구간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은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제1인쇄유닛(2a)의 압동(9)의 사이의 구간(17a)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과 동일하게 한다.For example,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runs in the section (17q) between the pressing member (9) of the sixth printing unit (2f) and the stepback roller (10) on the discharge side. Make the tension of (W) greater than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running in the section (17a) between the step-back roller (6)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pressing member (9) of the first printing unit (2a),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is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17a) between the step-back roller (6)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presser (9) of the first printing unit (2a) Equal to the tension of
피인쇄기재(W)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제1인쇄유닛(2a)의 압동(9)의 사이의 구간(17a)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을 제6인쇄유닛(2f)의 압동(9)과 배지측 스텝백롤러(10)의 사이의 구간(17q)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보다 크게 하고, 다른 구간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은 제6인쇄유닛(2f)의 압동(9)과 배지측 스텝백롤러(10)의 사이의 구간(17q)을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의 장력과 동일하게 한다.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s in the section (17a) between the step-back roller (6) on the location side and the presser (9) of the first printing unit (2a) The tension of the 6th printing unit (2f) is greater than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17q) between the presser (9) of the sixth printing unit (2f) and the discharge side stepback roller (10),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o be printed is the tens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 traveling in the section (17q) between the pressing member (9) of the sixth printing unit (2f) and the stepback roller (10) on the discharge side. Do the same.
본 발명의 간헐인쇄기에 있어서 3개의 상이한 상태에서 피인쇄기재(W)에 화상을 인쇄하고, 상태마다 수직방향의 인쇄맞춤의 편차를 측정하였다. 인쇄맞춤의 편차는 자동맞춤장치(38), 감시장치(39)로 측정하였다.In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mages were printed on the substrate W to be printed in three different states, and the deviation of the printing align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was measured for each state. The deviation of printing alignment was measured by the
제1상태는 압동용 닙롤러(42)가 압동(9)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하고, 입지측 풀롤러(81)는 회전구동하지 않고 자유회전 가능하고 또한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가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과 이격하여 입지측 풀롤러(81)를 가이드롤러와 마찬가지로 하고, 배지측 풀롤러(82)는 회전구동하지 않고 자유회전 가능하고 또한 배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7)가 배지측 풀롤러(82)의 둘레면과 이격하여 배지측 풀롤러(82)를 가이드롤러와 마찬가지로 한 상태에서 압동(9)을 입지측 스텝백롤러(6) 및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한다.In the first state, the nip roller for pressing 42 is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제2상태는 제1상태에 있어서 압동용 닙롤러(42)를 압동(9)의 둘레면에 압접한 상태에서 압동(9)을 입지측 스텝백롤러(6) 및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한다.In the second st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제3상태는 압동용 닙롤러(42)를 압동(9)의 둘레면에 압접하고, 입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6)를 입지측 풀롤러(81)의 둘레면에 압접하고, 배지측 풀롤러용 닙롤러(87)를 배지측 풀롤러(82)의 둘레면에 압접한 상태(각 닙롤러(42, 86, 87)를 압접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압동(9)과 입지측 스텝백롤러(6)와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입지측 풀롤러(81)와 배지측 풀롤러(82)를 동기하여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한다.In the third state, the
그 결과, 인쇄맞춤의 편차의 발생은 제1상태에서 인쇄한 경우가 가장 많고, 제2상태에서 인쇄한 경우가 다음으로 많고, 제3상태에서 인쇄한 경우가 가장 적었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printing in the first state, printing in the first state is the most common, printing in the second state is the next most, and printing in the third state is the least.
이 점에서 압동용 닙롤러(42), 풀롤러용 닙롤러(86, 87)(풀롤러(81, 82))를 설치하는 것이 인쇄맞춤의 편차를 방지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installing the nip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쇄유닛간에 맞춤조정장치(80)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 맞춤조정장치(80)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그 경우에는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에 풀롤러를 설치하여 피인쇄기재(W)에 편차, 늘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In this case, a full roller is installed in the running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에서의 입지측 근처와 배지측 근처에 풀롤러(110)를 각각 설치하고, 피인쇄기재(W)는 각 풀롤러(110)의 둘레면에 감겨 있다. 각 풀롤러(110)는 인쇄유닛간의 틀체(120)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풀롤러(110)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동모터로 입지측 스텝백롤러(6) 및 배지측 스텝백롤러(10)와 동기하여 각각 정회전구동, 역회전구동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3, pull
따라서 인쇄유닛간의 주행로(85)를 주행하는 피인쇄기재(W)에 편차, 늘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Therefore, deviation and sagging do not occur in the substrate W to be printed on the traveling
또한 각 풀롤러(110)의 둘레면에 감겨 있는 피인쇄기재(W)를 풀롤러(110)의 둘레면에 강압하는 풀롤러용 닙롤러(11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풀롤러(110)의 둘레면과 풀롤러용 닙롤러(111)로 피인쇄기재(W)를 각각 협지하고 있다.In addition, nip
따라서 각 풀롤러(110)의 둘레면과 피인쇄기재(W)의 사이의 마찰력이 각각 커져 양자간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풀롤러(110)를 설치함으로써 인쇄맞춤의 편차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Therefore, the frict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각 풀롤러용 닙롤러(111)는 각 풀롤러(110)의 둘레면에 압접하는 위치와 이격하는 위치에 걸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Each of the nip
예를 들어 틀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지지축(112)에 한 쌍의 지지암(113)을 고정하고, 한 쌍의 지지암(113) 사이에 걸쳐 축(114)을 고정한다. 축(114)에 풀롤러용 닙롤러(11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For example, a pair of
실린더(115)로 회동되는 레버(116)를 지지축(112)에 고정하고, 레버(116)가 회동함으로써 지지축(112)이 소정의 회전각도 회전하고, 지지암(113)이 회동하여 풀롤러용 닙롤러(111)가 풀롤러(110)의 압접하는 위치와 이격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구성은 맞춤조정장치(80)의 풀롤러용 닙롤러를 이동하는 구성과 마찬가지이다.The
또한 풀롤러(110)는 3개 이상 설치하여도 된다. 즉, 풀롤러(110)는 적어도 2개 설치하면 된다.In addition, three or
또한 피인쇄기재(W)의 주행로(85)에 있어서의 2개의 풀롤러(110)의 사이, 풀롤러(110)와 인쇄유닛의 사이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가동롤러를 설치하여 주행로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In addition, movable rollers are installed on either or both of the two
Claims (9)
상기 입지부는 피인쇄기재를 루프형상으로 저장하는 입지측 완충장치와,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정회전구동 및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역회전구동되는 입지측 스텝백롤러를 갖고,
상기 인쇄유닛은 압동과, 상기 압동의 둘레면과 접하는 화상범위와, 상기 압동의 둘레면과 접하지 않는 비화상범위를 갖는 블랭킷동을 갖고,
상기 배지부는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정회전구동 및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역회전구동되는 배지측 스텝백롤러와, 화상이 인쇄된 피인쇄기재를 루프형상으로 저장하는 배지측 완충장치를 갖고,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와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를 동기하여 정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여 상기 압동의 둘레면과 상기 블랭킷동의 화상범위에서 피인쇄기재에 화상을 인쇄하고,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와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를 동기하여 역회전구동함으로써 피인쇄기재를 상기 압동의 둘레면과 상기 블랭킷동의 비화상범위의 사이의 틈새를 통과시켜 역방향으로 주행하도록 한 간헐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압동의 둘레면과 상기 블랭킷동의 사이를 통과하는 피인쇄기재를 상기 압동의 둘레면에 소정의 권취각으로 감는 입지측 가이드롤러와 배지측 가이드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압동의 둘레면에 감긴 피인쇄기재를 상기 압동의 둘레면에 강압하는 압동용 닙롤러를 설치하고,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상기 압동을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 및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와 동기하여 정회전구동하고,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상기 압동을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 및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와 동기하여 역회전구동하도록 하고,
상기 압동의 둘레면에 감긴 피인쇄기재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와 상기 압동을 냉각하는 압동의 냉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압동용 닙롤러보다 압동정회전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인쇄기.A printing unit having a location unit for discharg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a plurality of printing units for printing images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out from the location unit,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substrate on which the image is printed,
The location unit has a location-side shock absorber for storing the printed material in a loop shape, and a location-side step-back roller driven in a forward rotation driving the printed material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reverse rotation driving the printed material in a reverse direction,
The printing unit has a stamping copper, a blanket copper having an image rang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mping copper, and a non-image range not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mping copper,
The delivery unit includes a forward rotation drive for driv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step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that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for driv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a reverse direction, and a discharge side buffer that stores the printed material on which the image is printed in a loop shape. Have a device,
By synchronously driving the positioning-side step-back roller and the discharge-side step-back roller to rotate forwar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driven in a forward direction, and an image is printed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the image rang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copper and the blanket copper. In an intermittent printer, a substrate to be printed passes through a gap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copper and the non-image range of the blanket copper by moving in a reverse rot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tep-back roller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step-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In,
A mounting side guide roller and a discharge side guide roller are installed to wi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passing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and the blanket copper at a predetermined winding angl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 copper,
Installing a nip roller for press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copper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copper,
Whe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presser is driven in a forward rot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tepback roller on the positioning side and the step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A reverse rotation driv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ller and the step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A drying device for dry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copper, and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pressure copper,
The drying device is an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esser than the nip roller for pressurization.
상기 입지측 가이드롤러와 상기 배지측 가이드롤러는 상기 입지측 가이드롤러와 상기 압동의 사이의 입지측 주행로의 연장선과 상기 배지측 가이드롤러와 상기 압동의 사이의 배지측 주행로의 연장선이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간헐인쇄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ing-side guide roller and the discharge-side guide roller are such that an extension line of the positioning-side traveling path between the positioning-side guide roller and the press copper and an extension line of the discharge-side traveling path between the discharge-side guide roller and the press copper crosses. Intermittent printer installed.
상기 압동은 상기 블랭킷동이 인쇄개시위치로부터 화상범위 회전하여 피인쇄기재에 화상을 인쇄할 때에 상기 블랭킷동과 동일한 일정속도로 정회전구동하고,
상기 압동은 상기 블랭킷동이 인쇄종료위치로부터 비화상범위 회전할 때에 상기 일정속도로부터 감속정회전구동하여 회전정지하고, 회전정지후에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까지 가속역회전구동하고, 상기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로부터 감속역회전구동하여 회전정지하고, 회전정지후에 상기 일정속도까지 가속정회전구동하여 피인쇄기재에 인쇄한 인쇄화상의 후단과 상기 블랭킷동의 인쇄범위의 선단이 접하도록 한 간헐인쇄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ressing cylinder is driven forward rotation at the same constant speed as the blanket copper when the blanket copper is rotated in an image range from a printing start position to print an image on a substrate to be printed,
When the blanket copper is rotated in a non-image range from the printing end position, the rotation is stopped by deceleration forward rotation drive from the constant speed, acceleration reverse rotation drive to a predetermined reverse rotation drive speed after rotation stop, and the predetermined reverse rotation An intermittent printer in which rotation is stopped by decelerated reverse rotation from the driving speed, and accelerated forward rotation is driven to the constant speed after rotation is stopp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printed image printed on the substrate to be printed and the front end of the print range of the blanket wing contact.
상기 압동의 상기 감속정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과 상기 가속정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은 선대칭이고,
상기 압동의 상기 가속역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과 상기 감속역회전구동의 회전구동속도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은 선대칭이고,
상기 압동의 상기 일정속도로부터 상기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까지의 회전구동속도비와 상기 소정의 역회전구동속도로부터 상기 일정속도까지의 회전구동속도비가 대략 U자형상의 곡선을 따라 매끄럽게 변화하도록 한 간헐인쇄기.The method of claim 3,
The curv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 drive speed ratio of the decelerated forward rotation drive of the pressure copper and the curv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 drive speed ratio of the accelerated forward rotation drive are linearly symmetric,
The curv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 drive speed ratio of the acceleration reverse rotation drive of the pressure copper and the curve representing the change in the rotation drive speed ratio of the deceleration reverse rotation drive are linearly symmetric,
Intermittent such that the rotational drive speed ratio of the pressure copper from the constant speed to the predetermined reverse rotation drive speed and the rotation drive speed ratio from the predetermined reverse rotation drive speed to the constant speed change smoothly along a substantially U-shaped curve press.
상기 각 인쇄유닛간에 맞춤조정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맞춤조정장치는 상기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의 주행로의 길이를 바꾸어 인쇄맞춤을 조정하는 구성인 간헐인쇄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in which a tailoring adjustment device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printing units, and the alignment adjustment devic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rinting alignment by changing a length of a traveling path of a substrate to be printed between the printing units.
상기 맞춤조정장치는 입지측 풀롤러와 배지측 풀롤러와 가동롤러를 갖고, 상기 가동롤러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입지측 풀롤러와 상기 배지측 풀롤러의 사이의 주행로의 길이가 바뀌는 구성이고,
상기 양쪽의 풀롤러는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 및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와 동기하여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정회전구동 및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역회전구동되고, 상기 양쪽의 풀롤러의 둘레면에 감긴 피인쇄기재를 상기 양쪽의 풀롤러의 둘레면에 강압하는 풀롤러용 닙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간헐인쇄기.The method of claim 5,
The alignment adjustment device has a positioning side pull roller, a discharge side pull roller, and a movable roller, and the length of a running path between the receiving side pull roller and the discharge side pull roller is changed by moving the movable roller,
Both of the pull rollers are driven in a forward rotation driv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a forward direc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tep-back roller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step 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and a reverse rotation drive for running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An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provided with nip rollers for pull rollers that pressurizes the substrate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 roller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pull rollers.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의 회전속도와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의 회전속도와 상기 각 인쇄유닛의 압동의 회전속도와 상기 각 맞춤조정장치의 입지측 풀롤러의 회전속도, 배지측 풀롤러의 회전속도를 각각 따로따로 제어 가능하게 한 간헐인쇄기.The method of claim 6,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sitioning-side stepback roll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ischarge-side stepback roll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essing of each of the printing uni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sitioning-side pull roller of each of the adjustment devices, and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side full roller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which made it possible to control the speed separately.
상기 인쇄유닛간의 피인쇄기재의 주행로에 상기 피인쇄기재가 감긴 풀롤러를 적어도 2개 설치하고, 상기 풀롤러는 상기 입지측 스텝백롤러 및 상기 배지측 스텝백롤러와 동기하여 상기 피인쇄기재를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정회전구동 및 상기 피인쇄기재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역회전구동되고, 상기 각 풀롤러의 둘레면에 감긴 상기 피인쇄기재를 상기 각 풀롤러의 둘레면에 강압하는 풀롤러용 닙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간헐인쇄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t least two pull rollers wound aroun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are installed on the running path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printing units, and the pull rollers are synchronized with the step-back roller on the positioning side and the step-back roller on the discharge side. For a full roller, which is driven in a forward rotation to travel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reverse rotation is driven to travel in a reverse direction of the substrate to be printed, the substrate to be printed, wound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pull rollers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with nip roller installed.
피인쇄기재는 필름인 간헐인쇄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substrate to be printed is an intermittent printer that is a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9-047015 | 2019-03-14 | ||
JP2019047015A JP7088556B2 (en) | 2019-03-14 | 2019-03-14 |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0171A true KR20200110171A (en) | 2020-09-23 |
KR102780492B1 KR102780492B1 (en) | 2025-03-14 |
Family
ID=6980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6428A Active KR102780492B1 (en) | 2019-03-14 | 2020-02-11 | Intermittent prin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3711952B1 (en) |
JP (1) | JP7088556B2 (en) |
KR (1) | KR102780492B1 (en) |
CN (1) | CN111688352B (en) |
AU (1) | AU2020201139B2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44165A (en) * | 2020-12-21 | 2021-04-13 | 镇江恒华彩印包装有限责任公司 | Full-automatic intelligent printing production line and printing process thereof |
DE102021105926A1 (en) * | 2021-03-11 | 2022-09-15 | Koenig & Bauer Ag | Transport cylinder, drying unit with this transport cylinder and sheet-fed printing machine with this drying uni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75561A (en) | 1988-09-13 | 1990-03-15 | Sanjiyou Kikai Seisakusho:Kk | Feeding device for beltlike printed matter |
JP2006247869A (en) | 2005-03-08 | 2006-09-21 | Miyakoshi Printing Machinery Co Ltd | Variable printing machine |
EP2251196A2 (en) * | 2009-05-15 | 2010-11-17 | Edelmann Graphics GmbH | Printing press |
JP2014217968A (en) * | 2013-05-02 | 2014-11-20 | 三起機械株式会社 |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653199A (en) * | 1925-10-26 | 1927-12-20 | Bemis Bro Bag Co | Feeding attachment for printing presses |
DE9420707U1 (en) * | 1994-12-24 | 1995-02-16 | Steuer, Armin, 71111 Waldenbuch | Embossing rotary machine |
DE10311219A1 (en) * | 2003-03-14 | 2004-09-30 | Werner Kammann Maschinenfabrik Gmbh | Method and device for printing on a web |
JP4960035B2 (en) * | 2006-08-01 | 2012-06-27 | 株式会社ミヤコシ | Variable printing machine |
US8449103B2 (en) * | 2010-04-06 | 2013-05-28 | Ward Kraft,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speed multicolor inkjet printing |
JP5808125B2 (en) * | 2011-03-25 | 2015-11-10 | 株式会社ミヤコシ | Digital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
CN102161254B (en) * | 2011-03-25 | 2012-08-15 | 南京信息工程大学 | Printing cylinder of drum offset printer |
JP5999752B2 (en) * | 2012-02-21 | 2016-09-28 | 株式会社ミヤコシ | Variable printing machine |
CN108839422B (en) * | 2018-05-31 | 2024-04-19 | 江阴瑞兴科技有限公司 | Unidirectional braking intermittent rotary printing device |
-
2019
- 2019-03-14 JP JP2019047015A patent/JP7088556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2-11 KR KR1020200016428A patent/KR102780492B1/en active Active
- 2020-02-18 AU AU2020201139A patent/AU2020201139B2/en active Active
- 2020-03-11 EP EP20162510.0A patent/EP3711952B1/en active Active
- 2020-03-12 CN CN202010168715.3A patent/CN111688352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75561A (en) | 1988-09-13 | 1990-03-15 | Sanjiyou Kikai Seisakusho:Kk | Feeding device for beltlike printed matter |
JP2006247869A (en) | 2005-03-08 | 2006-09-21 | Miyakoshi Printing Machinery Co Ltd | Variable printing machine |
EP2251196A2 (en) * | 2009-05-15 | 2010-11-17 | Edelmann Graphics GmbH | Printing press |
JP2014217968A (en) * | 2013-05-02 | 2014-11-20 | 三起機械株式会社 |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20201139A1 (en) | 2020-10-29 |
CN111688352B (en) | 2022-08-16 |
JP2020146941A (en) | 2020-09-17 |
KR102780492B1 (en) | 2025-03-14 |
JP7088556B2 (en) | 2022-06-21 |
EP3711952B1 (en) | 2021-11-17 |
CN111688352A (en) | 2020-09-22 |
EP3711952A1 (en) | 2020-09-23 |
AU2020201139B2 (en) | 2025-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93190B2 (en) | Endless flexible belt for printing system | |
CN1081538C (en) | Web-fed printing machine having a register device for aligning the paper web | |
JP447252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utting registration of a roll paper rotary printing press | |
KR20200110171A (en) | Intermittent printing apparatus | |
US6877427B2 (en) | Quality control device | |
JP2008036824A (en) | Variable printing machine | |
JP2008023751A (en) | Rotary pres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6557468B2 (en) | Delivery for a sheet processing machine, particularly for a sheet-fed printing machine | |
JP4709605B2 (en) | Machine for processing sheets of printed material | |
JPH11343070A (en) | Vertical folding device for folder for rotary printer, folder, and regulation method for vertical folding device | |
JP3771611B2 (en) | Multi-color printing press width register correction device | |
JPS6371058A (en) | Intermittent feed device for continuous sheet | |
JP2010155701A (en) | Paper ejecting device and perfecting machine | |
JP2010153052A (en) | Neutralization device for rotary press | |
JP6732058B2 (en) | Thermal printer | |
TW202224959A (en) |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matter using the intermittent printing machine capable of controlling an actual tension value of a to-be-printed substrate traveling on a traveling path when traveling in a forward direction and traveling in a reverse direction | |
EP4378846A1 (en) | Transfer apparatus | |
JP5058066B2 (en) |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heet processing apparatus | |
JP4301233B2 (en) | Variable printing machine | |
EP3581382B1 (en) | Controlling longitudinal positioning of a foil web as used in a printing process | |
JP201152073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ribbon to a former | |
CN105555537A (en) | Method for adapting a cylinder lift to a printing material change in printing machines and a device therefor | |
JP2001260323A (en) | Letterpress printing machine | |
JPS63159055A (en) | Color-to-color registering apparatus in flexographic rotary press | |
JP2023124397A (en) | Printing control device and printer as well as printing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5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