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09511A - Multi point object controlling system and online calling card manufacturing system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 point object controlling system and online calling card manufacturing system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511A
KR20200109511A KR1020190028644A KR20190028644A KR20200109511A KR 20200109511 A KR20200109511 A KR 20200109511A KR 1020190028644 A KR1020190028644 A KR 1020190028644A KR 20190028644 A KR20190028644 A KR 20190028644A KR 20200109511 A KR20200109511 A KR 20200109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put
interface
output
business c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민
Original Assignee
이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민 filed Critical 이호민
Priority to KR102019002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511A/en
Publication of KR2020010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511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7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by using pre-stored settings, e.g. job templates, presets, print sty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G06F3/1272Digital storefront, e.g. e-ordering, web2print, submitting a job from a remote submission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일반 유저들이 소형 단말의 터치 스크린 모듈을 통해서 특정 그래픽 객체를 제어 시, 객체를 터치 입력에 따른 손가락 등을 통해 전혀 가리지 않는 동시에, 복잡한 제어 방식을 확장 바 등이 필요없이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객체 제어 인터페이스에 관한 기술 및 객체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소형의 이미지인 명함의 제작에 있어서 디자인 및 객체 제어를 통해 시안을 유저가 직접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명함 제작 의뢰가 가능하도록 최종 시안을 작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 입출력 방식의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크기 및 회전에 대한 제어 대상이 되는 그래픽 이미지인 객체를 출력 시, 객체의 제어 결과에 관계없이 서로의 간격이 고정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포인트인 제어 포인트를 출력하되, 출력되는 제어 포인트의 중심에 객체가 위치되도록 객체 주위에 상기 제어 포인트를 출력하는 제어 포인트 출력부; 제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감지 시, 감지된 입력에 따라서 객체에 대한 제어 액션을 선택하는 제어 선택부; 및 제어 선택부에 따라 선택된 제어 액션에 따라서 객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객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general users control a specific graphic object through the touch screen module of a small terminal, the object is not covered at all with a finger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nd at the same time, complex control methods can be effectively and accurately performed without the need for extension bars. Based on the new object control interface technology and object control technology, the user directly creates a proposal through design and object control in the production of small image business cards, and based on this, a final proposal is made so that the business card production request is possible. It provides a technology that includes an interface that can be writte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aphic image that is a control target for position, size, and rota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output through a touch screen input/output type output module. When outputting an object, outputs a control point, which is at least two or more points at which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s fixed, regardless of the control result of the object, but outputs the control point around the object so that the objec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utput control point. Control point output; A control selector for selecting a control action for an object according to the sensed input when detecting at least one of a touch input and a drag input for a control point; And an object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bject according to the control action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elector.

Description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MULTI POINT OBJECT CONTROLLING SYSTEM AND ONLINE CALLING CARD MANUFACTURING SYSTEM USING THEREOF}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and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using it {MULTI POINT OBJECT CONTROLLING SYSTEM AND ONLINE CALLING CARD MANUFACTURING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터치 스크린 모듈이 구비된 소형 단말에서 그래픽 객체를 터치에 의해서 가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기술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을 통한 명함 제작 의뢰가 가능한 인터페이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객체를 손으로 가리지 않고 객체의 크기, 형상, 회전, 내용 편집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객체 제어 구조와 함께, 이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효과적으로 명함 시안을 제작함으로써 온라인에서 편리하게 명함 제작을 의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effectively controlling a graphic object in a small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module such as a smart phone without blocking by a touch, and a technology for providing an interface that enables online business card production requests using the same. Along with a new object control structure that allows you to edit the size, shape, rotation, and contents of an object without covering it with your hand, you can use it to effectively create a business card design online, allowing you to conveniently request business card production online. It's about technology.

최근 증강현실, 가상현실 기술과 함께 컨텐츠 공유 등에 대한 시장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이미지 컨텐츠 등을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거나 해당 컨텐츠의 형상을 갖는 실제품을 제작하는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the market for content sharing along with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users directly produce image content, and based on this, share with other users or create real products having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demand is increasing.

해당 시장에서는, 컨텐츠의 내용을 충실하게 하고, 개성 있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 컨텐츠에 포함된 그래픽 이미지 등 각 객체들에 대한 편집 및 제어에 관한 니즈가 매우 큰 현실이다. 특히, 일반 유저들이 스마트폰 등 자신의 휴대 단말로서 소형의 단말 및 이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모듈로서,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에 터치 입력 등을 통해서 입력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는, 소형의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소형의 객체들을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제어 및 편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In this market, in order to enhance the content of the content and to produce a unique content, the need for editing and controlling each object, such as a graphic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is a very large reality. Particularly, in a terminal in which general users perform input through a touch input on a screen on which video content is output as a small terminal as their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a touch screen module provided therein, a small output module is used. It is essential to effectively control and edit small objects that are output through an input such as a touch screen.

그러나 터치 입력의 패턴은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객체에 대한 복잡한 제어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며, 터치 & 드래그(Touch & Drag) 입력을 통해서 각 객체를 이동시키거나, 멀티 터치 및 터치 간격의 제어를 통해 객체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등의 입력만이 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However, since the pattern of touch input is relatively simpl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control complex objects, and each object is moved through touch & drag input, or through multi-touch and touch interval control. The reality is that only inputs such as expanding or reducing objects are possib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공개특허 10-2014-0105331호 등에서는, 특정 객체에 대해서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유지 시, 액션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확장 바를 출력하여 객체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4-0105331, etc., when a touch input for a specific objec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 extension bar capable of inputting an action is output to control the object.

그러나, 기존의 기술 및 상술한 공개 특허의 경우, 특정 확장 바의 출력 또는 터치 입력에 의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객체가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 경우 객체를 제어하는 도중 객체가 제대로 제어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어, 소형 단말에서 객체의 미세한 제어 및 정확한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technology and the above-described published patent, there is inevitable that the object is covered by the user's finger by the output of a specific extension bar or touch input, and in this case, whether the object is properly controlled while controlling the object. Since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problem that fine control and precise control of an object in a small terminal are impossible.

또한, 확장 바의 경우 그 기능의 종류에 따라서 확장 바 출력 시 소형 단말에서 해당 바에 포함된 제어 기능이 매우 작게 표시될 수 있어, 유저들이 이에 대한 숙련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tension bar, when the extension bar is outpu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unction, the control function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bar may be displayed very small in a small terminal, so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users to be skilled.

한편, 영업을 본업으로 하고 있는 유저 등은, 타인과의 정보 공유를 위해서 명함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이 경우, 유저들은 문구점 등에 방문하여 명함 제작을 의뢰하고, 시안을 확인한 후 명함을 수령하여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users who are engaged in business as their main business often use business cards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In this case, users visit a stationery store and request business card production, check the draft, and receive and use the business card.

이러한 명함은, 명함에 표시되는 정보 및 디자인 등의 정보의 공유가 유저와 업체 간에 불균형적이고, 유저가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형의 명함에 대한 디자인 편집이 일반 유저에게는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For such business cards, the sharing of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nd design displayed on the business card is unbalanced between the user and the compan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select the desired design, and it is very difficult to edit the design of a small business card for general users. There is this.

이에 본 발명은, 일반 유저들이 소형 단말의 터치 스크린 모듈을 통해서 특정 그래픽 객체를 제어 시, 객체를 터치 입력에 따른 손가락 등을 통해 전혀 가리지 않는 동시에, 복잡한 제어 방식을 확장 바 등이 필요없이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객체 제어 인터페이스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when general users control a specific graphic object through a touch screen module of a small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does not cover the object with a finger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nd at the same time, it is effective without the need for an extension bar, etc. One object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a new object control interface that enables accurate execution.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객체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소형의 이미지인 명함의 제작에 있어서 디자인 및 객체 제어를 통해 시안을 유저가 직접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명함 제작 의뢰가 가능하도록 최종 시안을 작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duction of a small image business car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object control technology, a user directly produces a draft through design and object control, and a final draft can be created so that a business card production request is possible. It has a different purpose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includes interfaces that are pres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 입출력 방식의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크기 및 회전에 대한 제어 대상이 되는 그래픽 이미지인 객체를 출력 시, 객체의 제어 결과에 관계없이 서로의 간격이 고정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포인트인 제어 포인트를 출력하되, 출력되는 제어 포인트의 중심에 객체가 위치되도록 객체 주위에 상기 제어 포인트를 출력하는 제어 포인트 출력부; 상기 제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감지 시, 감지된 입력에 따라서 객체에 대한 제어 액션을 선택하는 제어 선택부; 및 상기 제어 선택부에 따라 선택된 제어 액션에 따라서 객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객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aphic image that is a control target for position, size, and rota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output through a touch screen input/output type output module. When outputting an object, outputs a control point, which is at least two or more points at which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s fixed, regardless of the control result of the object, but outputs the control point around the object so that the objec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utput control point. Control point output; A control selector for selecting a control action for an object according to the sensed input when detecting at least one of a touch input and a drag input for the control point; And an object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object according to a control action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election unit.

상기 제어 포인트는 객체를 중심으로 서로 직교하는 축에 위치되는 포인트들 중, 중심으로부터 간격이 서로 동일한 4개의 포인트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points are four points having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among points positioned on an ax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round the object.

상기 제어 선택부는, 상기 제어 포인트들 중 하나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인 제1 타입 입력, 서로 인접된 둘 이상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동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인 제2 타입 입력 및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제어 포인트가 위치되는 대척된 둘 이상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동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인 제3 타입 입력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어 액션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selector includes a first type input that is a touch and drag input for one of the control points, a second type input that is a simultaneous touch and drag input for two or more control poin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select different control actions according to a third type input, which is a simultaneous touch and drag input for two or more opposing control points in which at least one control point is located.

상기 제1 내지 제3 타입 입력은, 제어 포인트에 대한 터치 입력,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반복되는 멀티 탭 입력,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롱터치 입력 및 터치 입력된 제어 포인트에 대한 드래그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입력으로 세분화되며, 상기 제어 선택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입 입력에 따라서, 객체의 위치 이동, 객체의 회전, 객체의 크기 제어, 객체의 형태 변경, 객체의 색상 변경 및 객체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대한 편집 모드 실행에 대한 제어 액션 중 어느 하나를 객체에 대한 제어 액션으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o third type inputs include a touch input for a control point, a multi-tap input in which the touch input is repeated within a preset threshold time, a long touch input in which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and a drag input for the touch input control point. It is subdivided into any one input, and the control se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type input, moves the position of the object, rotates the object, controls the size of the object, changes the shape of the object, changes the color of the object, and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y one of the control actions for executing the edit mode on the included text or image as the control action for the object.

상기 제어 포인트 출력부는, 상기 객체 제어부에 의하여 객체가 이동되는 경우, 객체의 이동에 따라서 객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어 포인트를 실시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object is moved by the object control unit, the control point output unit preferably moves the control point in real time based on the center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로 구현되되, 상술한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어 상기 출력 모듈에 출력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초기 명함 디자인 중 어느 한 디자인에 대한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선택된 디자인에 포함된 기설정된 복수의 디자인 모듈들로서, 색상, 및 명함 앞면/뒷면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배치 타입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 디자인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를 상기 출력 모듈에 출력하는 제1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제공부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2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완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선택된 디자인 및 상기 디자인 모듈을 적용한 제1 시안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시안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들 중, 유저 계정에 기저장된 개인 기본 정보에 매칭되는 텍스트 정보는 상기 개인 기본 정보로 자동 변환한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인 제3 인터페이스를 상기 출력 모듈에 출력하는 제2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그 입력에 따라 제1 시안 이미지를 수정한 제2 시안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시안 이미지에 포함된 편집 가능한 객체에 대한 상기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편집 메뉴 및 적어도 명함 전체 재질 및 세부 재질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후처리 메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인 제4 인터페이스를 상기 출력 모듈에 출력하는 제3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완료된 입력에 따라서 제2 시안 이미지를 수정한 최종 시안 이미지 및 최종 명함의 스펙 정보를 명함 제작 정보로서 생성하는 제작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and is implemented by using 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described above. It relates to a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an input means of a user terminal for one of a plurality of initial business card designs provided to be selectable in a first interface through a first interface executed in a user terminal and output to the output module.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through the selected design, a plurality of preset design modules included in the selected design can be selected and input for any one of the design modules in which the color and the layout type of text and images on the front/back of the business card are set differently. A first interface providing unit outputting a second interface to the output module; Upon receiving a selection comple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second interface provided by the first interface providing unit, a first cyan image to which the selected design and the design module are applied is output, and the first cyan image is Among the included text information, text information matching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account is automatically converted to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third interface includes a menu for editing the text information. A second interface providing unit outputting an interface to the output module; When the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third interface is completed, a second cyan image obtained by modifying the first cyan image is output, and the multi-editable object included in the second cyan image is A third interface providing unit for outputting a fourth interface, which is an interface including an edit menu using a point object control system and a post-processing menu for selecting at least an entire material and a detailed material of a business card, to the output module; And a production informat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s business card production information, a final cyan image corrected for a second cyan image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 final business card according to the completed input, when the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fourth interface is comple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유저 계정에 기저장된 개인 기본 정보를 출력하되, 개인 기본 정보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개인 기본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개인 기본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interface providing unit may output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account to the third interface, bu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ersonal basic information, a menu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basic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 basic information It is desirable to include a menu for editing.

상기 제3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후처리 메뉴에, 명함의 실물 크기 확인 메뉴, 명함의 종이 재질을 선택하는 메뉴, 명함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객체별로 실제 구현 재질을 선택하는 메뉴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interface providing unit includes, in the post-processing menu, a menu for checking the actual size of a business card, a menu for selecting a paper material of the business card, and a menu for selecting an actual material for each text or image object included in the business card. desirable.

본 발명에 의하면, 객체를 감싸도록 출력되는 복수개의 포인트에 대해서, 1개 포인트, 2개 포인트 등 하나 이상의 포인트에 대한 터치 입력 및 드래그 입력을 통해서, 매우 다양한 개수의 액션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멀티 포인트는 객체의 주위에 출력되고 그 크기가 변동되지 않기 때문에, 터치를 수행하더라도 객체를 손가락이 가리는 현상이 완전히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 plurality of points output to surround an object, a wide variety of actions can be simultaneously processed through touch input and drag input for one or more points such as one point and two points. In particular, since the multi-point is output around the object and its size does not change, the phenomenon that the finger covers the object is completely prevented even when a touch is performed.

이에 따라서 확장 바를 사용하지 않고도 터치 스크린 모듈의 특성에 따른 제한적인 입력의 한계성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동시에, 터치 스크린 모듈의 특성에 따른 객체 터치 시의 객체의 가림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매우 다양한 액션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동시에 소형 단말에서 객체의 제어를 매우 세밀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객체 제어 기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olve the limitation of the limited inpu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ch screen module without using an extension bar,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obstruction of the object when the object is touch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ch screen modul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new object control technology that enables input to an action and at the same time performs very precise and accurate control of an object in a small terminal.

한편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단계를 통해서 디자인 선택, 정보 입력 및 세부 편집을 통한 명함 제작을 위한 시안을 유저가 직접 작성할 수 있어, 유저가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자신만의 개성을 갖춘 명함을 제작할 수 있고, 명함 제작 시 소형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상술한 객체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밀하고 정확하게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this, the user can directly create a draft for the business card production through design selection, information input and detailed editing through various steps, so that the user can create a business card with his own personality without specialized knowledge. During produ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objects included in small images can be edited in detail and accurately using the object control system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의 기능 수행에 따른 객체 제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의 기능 수행에 따라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object control according to function execution of a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examples of interfaces that are output according to a function of an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illustrative purposes, a number of specific details are disclosed to aid 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ptions described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a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may not be construed as having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as being better or advantageous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ing"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corresponding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has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rpreted as.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 및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의 모든 기능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로 구현되되 유저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 바람직하게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에 터치 감지 및 이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입출력 방식의 장치가 설치되어, 해당 기능에 의해서 데이터의 입출력이 되는 단말을 의미한다. 또한 유저 단말은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도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ll functions of 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and the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command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However, the user terminal preferably includes an output modul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and a touch screen input/outpu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touch and inputting by the display module is installed, and data input/output is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function. It means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understoo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 및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은 상술한 유저 단말에 구현된 각 기능에 따른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각 시스템은 별도의 구성 또는 중복되는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고, 각 시스템의 기능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각 기능 별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and the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system structure composed of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each function implemented in the above-described user terminal. In this case, each system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or as an overlapping configuration, and the functions of each system may be implemented as one application or a plurality of applications for each function, and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each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의 기능 수행에 따른 객체 제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illustrate an example of object control according to function execution of a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to do.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10)은, 제어 포인트 출력부(11), 제어 선택부(12) 및 객체 제어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제어 포인트별 터치 및 드래그 입력과 실행되는 액션 간의 매칭 정보, 각 액션별 객체 제어 기능에 대한 속성 정보 및 구현 정보 등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관리되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1 to 4, a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point output unit 11, a control selector 12, and an object control unit 13 It is characterized. In addition, data manag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touch and drag input for each control point and an action to be executed, attribute information and implementation information for the object control function for each action, to be described later, are database (not shown) or memory. Can be stored in and managed.

제어 포인트 출력부(11)는 터치 스크린 입출력 방식의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위치, 크기 및 회전에 대한 제어 대상이 되는 그래픽 이미지인 객체(200)를 출력 시, 객체의 제어 결과에 관계없이 서로의 간격이 고정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포인트인 제어 포인트(1)를 출력하되, 출력되는 제어 포인트(1)의 중심(P)에 객체(200)가 위치되도록 객체 주위에 상기 제어 포인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control point output unit 11 outputs the object 200, which is a graphic image to be controlled for position, size, and rot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100 output through an output module of a touch screen input/output method, Regardless of the control result, the control point (1), which is at least two or more points at which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s fixed, is output, but the control around the object so that the object 200 is located at the center (P) of the output control point (1) Performs the function of outputting points.

제어 포인트 출력부(11)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은, 객체(200)의 크기, 회전, 위치, 내용 등에 대한 편집 및 제어의 결과에 관계없이, 제어 포인트(1) 간의 간격 및 모든 제어 포인트(1)의 상호 중심(P)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이다. 이를 통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은 각 객체(200)를 제어 시, 제어 포인트(1) 들에 대해서 손가락(F1)으로 터치 및 드래그 등의 입력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의 객체(200) 터치에 따른 유저의 손가락(F2)에 의해서 객체(200)가 시야에서 가려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key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point output unit 11 a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points 1 and all control points 1, regardless of the result of editing and controlling the size, rotation, position, and contents of the object 200. This is the point where the mutual center (P) of) is kept constant. Through this, as shown in FIG. 2, when controlling each object 200, users only need to perform input such as touch and drag with a finger F1 on the control points 1, so that the existing object ( 200)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phenomenon that the object 200 is obscured from the field of view by the user's finger F2 according to the touch.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포인트(1)는 객체(200)를 중심으로 서로 직교하는 축(A1, A2)에 위치되는 포인트들 중, 중심(P)으로부터의 간격이 서로 동일한 4개의 포인트임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외에도, 터치 입력에 의해서 구현되는 액션(기능)의 개수 등에 따라서 축(A1, A2)과 해당 축(A1, A2)에 위치되는 제어 포인트(1)의 개수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points 1 are four points having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P among points located on the axes A1 and A2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round the object 200. It is preferable. However, in addition to this, the number of the axes A1 and A2 and the number of control points 1 positioned on the corresponding axes A1 and A2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actions (functions) implemented by the touch input.

본 발명에서 객체(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100) 상에서 크기, 위치, 회전, 및 내용에 대한 편집 및 제어가 가능한 그래픽적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텍스트 상자, 아이콘, 사진 등이 객체(200)에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200 refers to a graphic element capable of editing and controlling the size, position, rotation, and content on the user interface 10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text box, an icon, a photo, etc. may be included in the object 200.

본 발명에서 객체(200)를 중심으로 한 제어 포인트(1)는 상호 간의 간격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맨 위의 제어 포인트(1)를 터치한 후 드래그 시 설정된 액션이 객체(200)의 이동인 경우, 그 절대 위치는 변동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제어 포인트(1)에 대한 입력은 객체의 제어에 관련된 특정 액션에 매칭되어 있으며, 제어 포인트(1) 중 맨 위의 제어 포인트(1)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T1)이 객체(200)를 드래그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액션에 대응되는 경우, 이에 대한 기능 수행에 의해서, 이동된 객체(201)를 따라서 객체의 중심(P)을 기준으로 제어 포인트(1-1)들 역시 함께 이동될 수 있고, 이동되는 이미지는 실시간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어 포인트(1)는 객체의 이동에 따라서 절대적 위치는 변동되나, 특징적으로 각 제어 포인트(1)의 간격 및 각 제어 포인트(1) 간의 상하 좌우의 위치관계는 고정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oints 1 centered on the object 20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fixed. However, referring to FIG. 4, for example, if the action set when the top control point 1 is touched and then dragged is the movement of the object 200, the absolute position may be changed. That is, as described later, the input for each control point 1 is matched to a specific action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object, and a touch and drag input (T1) for the top control point 1 among the control points 1 ) Corresponds to the action of moving the object 200 according to the drag, the control points 1-1 based on the center P of the object along the moved object 201 by performing a function thereon It can also be moved together, and the moved image can be output as being moved in real tim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control point 1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bject, but characteristically, the distance between each control point 1 and the vertical, left and right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each control point 1 are fixed. There are features.

제어 선택부(12)는 제어 포인트(1)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감지 시, 감지된 입력에 따라서 객체(200)에 대한 제어 액션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detecting at least one of a touch input and a drag input for the control point 1, the control selector 12 selects a control action for the object 200 according to the sensed input.

본 발명에서 각 제어 포인트(1)에 대한 입력은 터치 스크린 입출력 방식의 단말을 예로 들면, 제어 포인트(1)에 대한 터치 입력, 터치 유지 입력 및 터치 & 드래그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제어 선택부(12)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포인트(1)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미리 저장된 액션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to each control point 1 may be, for example, a touch input/output type terminal, a touch input to the control point 1, a touch maintenance input, and a touch & drag input. The control selector 12 selects a pre-stored action according to an input to the control point 1 stored in the above-described database or memory.

구체적으로, 제어 선택부(12)는 제어 포인트(1)들 중 하나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인 제1 타입 입력, 서로 인접된 둘 이상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동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인 제2 타입 입력 및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제어 포인트가 위치되는 대척된 둘 이상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동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인 제3 타입 입력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어 액션을 선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selector 12 includes a first type input that is a touch and drag input for one of the control points 1, and a second type of simultaneous touch and drag input for two or more adjacent control points. Different control actions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a type input and a third type input, which is a simultaneous touch and drag input for two or more opposing control points in which one or more control points are locat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서 각 객체(200)에 대한 제어 및 편집 입력은 예를 들어 객체(200)를 이동시키는 입력, 크기를 변경하는 입력, 객체의 중심(P)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입력,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입력, 객체(200)의 내용을 편집하는 입력, 객체(200)의 복사, 삭제, 잘라내기 등에 대응되는 입력 등, 객체의 제어 및 편집을 위한 모든 입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and editing input for each object 200 is, for example, an input that moves the object 200, an input that changes the size, an input that rotates based on the center P of the object, and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This concept includes all inputs for controlling and editing an object, such as an input to perform, an input to edit the contents of the object 200, and an input corresponding to copying, deleting, or cutting the object 200.

이때 예를 들어 제1 타입 입력은 제어 포인트(1)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에 따라서 객체(200)를 이동시키는 입력, 객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입력으로써 제어 포인트(1) 중 왼쪽의 제어 포인트 터치 시 시계 반대 방향, 오른쪽의 제어 포인트 터치 시 시계 방향으로 결정하고, 해당 제어 포인트에 대한 터치 입력 유지 시간에 따라서 회전 각도가 결정되는, 즉 단위 시간마다 일정 각도가 회전되는 방식 등으로 액션이 선택될 수 있다.At this time, for example, the first type input is an input that moves the object 200 according to a touch and drag input to the control point 1, an input that rotates based on the center of the object, and controls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point 1 When the point is touched, the action is determin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when the right control point is touched, the rotation angl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holding time for the corresponding control point, that is, a certain angle is rotated per unit time. Can be chosen.

이와 다른 입력으로써, 예를 들어 제어 포인트(1) 중 어느 하나를 더블터치(빠른 시간 내에 2회의 터치를 의미) 시, 회전입력에 대한 제어가 활성화되고, 이에 따른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드래그에 따라서 객체의 중심점 및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서 객체(200)가 회전되는 방식의 입력 등 컴비네이션 입력에 따른 액션이 선택될 수 있다.As another input, for example, when one of the control points (1) is double-touched (meaning two touches within a quick time), the control for the rotation input is activated, and accordingly,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rag Accordingly, an action according to a combination input, such as an input of a method in which the object 200 is rotated,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enter point of the object and the position of the finger.

한편 제2 타입 입력은 도 2와 같이, 서로 인접된 둘 이상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동시 터치 및 드래그 입력(T1, T2 또는 T2, T3 또는 T1, T2, T3에 대한 동시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을 의미하며, 이때 예를 들어 크기 조정, 내용 편집, 크기의 조정 시의 터치 입력 및 드래그 입력의 유지 시간에 의해서 크기가 단위 시간마다 일정 크기로 제어되는 방식, 각 터치 입력에 따라서 크기의 확대 또는 축소가 결정되는 방식 등으로 액션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예에서 3개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동시 터치 입력(T1, T2, T3) 시 해당 객체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해당 객체의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는 액션 등이 선택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type input means simultaneous touch and drag input for two or more control points adjacent to each other (simultaneous touch or drag input for T1, T2 or T2, T3 or T1, T2, T3), as shown in FIG. ,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size is controlled to a certain size for each unit time by the holding time of the touch input and drag input during resizing, content editing, and resizing, and the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size is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touch input. The action can be selected in such a way as to be performed. Meanwhile, in the example of FIG. 2, when simultaneous touch inputs T1, T2, and T3 for three control points are performed, an action for changing the content of the object or editing the text of the object may be selected.

한편 제3 타입 입력은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제어 포인트가 위치되는 대척된 둘 이상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동시 터치 및 드래그 입력(T1, T3에 대한 동시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을 의미하며, 이때 예를 들어 제2 타입 입력에서 언급된 액션들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type input means, for example, simultaneous touch and drag input (simultaneous touch or drag input for T1 and T3) for two or more opposing control point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or more control points are positioned therebetween, At this time, for example, any one of the actions mentioned in the second type input may be set.

한편 상술한 터치 스크린 방식에서의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 타입 입력 역시, 예를 들어 제어 포인트(1)에 대한 터치 입력,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반복되는 멀티 탭 입력,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롱터치 입력 및 터치 입력된 제어 포인트(1)에 대한 드래그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입력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되어, 제어 선택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타입 입력에 따라서, 객체의 위치 이동, 객체의 회전, 객체의 크기 제어, 객체의 형태 변경, 객체의 색상 변경 및 객체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대한 편집 모드 실행에 대한 제어 액션 중 어느 하나를 객체에 대한 제어 액션으로서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type of touch input in the above-described touch screen method, the first to third type inputs are also multi-tap inputs in which, for example, a touch input to the control point 1 and a touch input are repeated within a preset threshold time. , It may be subdivided into any one of a long touch input for maintaining the touch input and a drag input for the touch input control point 1.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 selector 12 moves the position of the object, rotates the object, controls the size of the object, changes the shape of the object, changes the color of the object and,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type input, as described above. A function of selecting one of the control actions for executing the edit mode for text or images included in the object as a control action for the object may be performed.

이러한 기능 수행에 따라서 제어 액션이 선택되면, 객체 제어부(13)는 제어 선택부(12)에 따라 선택된 제어 액션에 따라서 객체(200)에 대한 제어를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a control ac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such a function, the object controller 13 performs a function of substantially controlling the object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action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election unit 12.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10)에 의하면, 객체(200)를 감싸도록 출력되는 복수개의 제어 포인트(1)에 대해서, 1개 포인트, 2개 포인트 등 하나 이상의 제어 포인트(1)에 대한 터치 입력 및 드래그 입력을 통해서, 매우 다양한 개수의 액션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멀티 포인트는 객체(200)의 주위에 출력되고 그 크기가 변동되지 않기 때문에, 터치를 수행하더라도 객체(200)를 손가락이 가리는 현상이 완전히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plurality of control points 1 output to surround the object 200, one or more control points, such as one point and two points, Through a touch input and a drag input for the point 1, a very diverse number of actions can be simultaneously processed. In particular, since the multi-point is output around the object 200 and its size does not change, a phenomenon in which a finger covers the object 200 even when a touch is performed is completely prevented.

이에 따라서 확장 바를 사용하지 않고도 터치 스크린 모듈의 특성에 따른 제한적인 입력의 한계성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동시에, 터치 스크린 모듈의 특성에 따른 객체(200) 터치 시의 객체(200)의 가림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매우 다양한 액션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동시에 소형 단말에서 객체(200)의 제어를 매우 세밀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olve the limitation of the limited inpu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ch screen module without using the extension bar, and at the same time, completely prevent the obstruction of the object 200 when the object 200 is touch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ch screen modul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put a wide variety of actions, and at the same time, control of the object 200 in a small terminal can be performed very precisely and accurately.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의 기능 수행에 따라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내용과 중복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to 8 are examples of interfaces output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nnecessary descriptions of technical features overlapping with those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4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20)은, 제1 인터페이스 제공부(21), 제2 인터페이스 제공부(22), 제3 인터페이스 제공부(23) 및 제작 정보 생성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각 구성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저장되는 유저 계정 정보, 복수의 초기 명함 디자인 데이터, 디자인 모듈, 유저 계정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개인 기본 정보, 각 메뉴의 실행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여 상술한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10)에 대한 설정에서 언급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5)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데이터베이스는 도 5에서의 데이터베이스(25)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는 유저 단말(30)에 포함된 구성이거나 유저 단말(3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접근 가능한 웹 사이트 등의 접속에 의해서 접근 가능한 관리 서버(미도시)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terface providing unit 21, a second interface providing unit 22, and a third interface providing unit 23.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duc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4. On the other hand, the user account information stored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 plurality of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data, design modules, personal basic information matched to and stored in user account information, and execution data information of each menu. A database 25 storing data mentioned in the setting for 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1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That is, the database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4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atabase 25 in FIG. 5. The database 25 may be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30 or a configuration included in a management server (not shown) accessible by access to an application, program or accessible web site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30 have.

이를 바탕으로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인터페이스 제공부(21)는, 유저 단말(30)에서 실행되어 출력 모듈에 출력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초기 명함 디자인 중 어느 한 디자인에 대한 유저 단말(30)의 입력 수단을 통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선택된 디자인에 포함된 기설정된 복수의 디자인 모듈들로서, 색상, 및 명함 앞면/뒷면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배치 타입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 디자인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를 출력 모듈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Based on this, referring to FIGS. 5 to 8, first, the first interface providing unit 21 is provided to be selectable in the first interface through the first interface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30 and output to the output module.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30 for any one of the initial business card designs of, as a plurality of preset design modules included in the selected design, color, and text and images on the front/back of the business card A function of outputting a second interface capable of selective input to any one of design modules in which the arrangement types of are differently set are output to the output module.

즉 제1 인터페이스 제공부(11)는 후술하는 제1 인터페이스와 제2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고 출력 모듈을 통해 유저 단말(30)에 출력하여 유저가 해당 인터페이스에서 출력되는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 인터페이스에 출력되어 있는 선택 및 입력이 가능한 메뉴 및 입력 창을 통해 후술하는 제1 시안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first interface providing unit 11 manages the first interface and the second interfa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outputs it to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the output module, so that the user checks the content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interface, and outputs it to the corresponding interface. It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a first cyan image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selected and input menu and an input window.

제2 인터페이스가 함께 출력되는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화면(110)이 출력되기 전 또는 해당 화면(110)의 상부 측에는 제1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는데, 제1 인터페이스는 도 6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저가 이를 확인하고 선택 가능하도록 복수의 초기 명함 디자인이 출력될 수 있다. 초기 명함 디자인은 특정 이미지(명함을 꾸미도록 구현되는)로서의 객체, 각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 각 영역마다 출력되는 정보, 영역의 크기, 텍스트의 크기, 기본 명함 색상, 각 이미지의 색상, 모양, 크기 등이 복수의 타입으로 구분되어 미리 설정됨으로써 유저가 이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어느 한 초기 명함 디자인을 선택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초기 명함 디자인은 바람직하게는 명함의 앞/뒷면이 세트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나, 유저가 명함의 앞/뒷면에 대한 초기 명함 디자인을 별도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interface is output together is shown in FIG. 6. Before the screen 110 of FIG. 6 is displayed or on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110, the first interface may be output. Although the first interface is not specifically shown in FIG. 6, the user can check and select it. A plurality of initial business card designs may be output. The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is an object as a specific image (implemented to decorate a business card), the area where each information is output, the information that is output for each area, the size of the area, the size of the text, the basic business card color, the color, shape of each image, The size and the like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ypes and are set in advanc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is and select an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therefrom. The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may preferably be provided with the front/rear side of the business card configured as a set, bu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separately select the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for the front/rear side of the business card.

이에 따라서 선택된 초기 명함 디자인이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선택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초기 명함 디자인(111)이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유저는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해당 초기 명함 디자인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모듈로서, 색상, 명함 앞/뒷면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배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elected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the selected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111 may be output as shown in FIG. 6. Thereafter, the user may determine,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a color, an arrangement type of text and images on the front/back of the business card as a plurality of design modules included in the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초기 명함 디자인에서 색상의 구성을 선택하는 모듈(112), 명함의 앞면 및 뒷면의 글씨의 색상 및 크기, 배치 등을 선택하는 모듈(113, 114) 등이 복수의 예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어, 유저는 각 모듈에 대한 특정 메뉴 선택을 통해서, 초기 명함 디자인의 세부 사항을 1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입력하기 메뉴(115)를 통해서, 제1 인터페이스 제공부(21)에서 제공되는 제2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완료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 module 112 for selecting a color configuration in the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modules 113 and 114 for selecting the color, size, and arrangement of letters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business card, etc. As an example, it is provided as shown in FIG. 6, and the user can primarily determine details of the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through selection of a specific menu for each module. Thereafter, the selection completion input for the second interface provided from the first interface providing unit 21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enu 115.

제2 인터페이스 제공부(22)는, 제1 인터페이스 제공부(21)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2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완료 입력을 수신 시, 선택된 디자인 및 디자인 모듈을 적용한 제1 시안 이미지를 출력하고, 제1 시안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들 중, 유저 계정에 기저장된 개인 기본 정보에 매칭되는 텍스트 정보는 개인 기본 정보로 자동 변환한 결과를 출력하고, 텍스트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인 제3 인터페이스를 출력 모듈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interface providing unit 22 applies the selected design and design module when receiving the selection comple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as described above for the second interface provided by the first interface providing unit 21. 1 A cyan image is output, and among tex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cyan image, text information matching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account is automatically converted to basic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text information can be edited.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a third interface, which is an interface including a menu, to an output module.

즉 제2 인터페이스 제공부(22)는 제1 인터페이스 제공부(21)에 의해서 결정된 제1 시안 이미지에, 유저의 정보를 적용하여 텍스트를 변환함으로써 1차적으로 결정된 최종 명함에 대한 시안 이미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출력되는 제3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That is, the second interface providing unit 22 converts the text by applying the user's information to the first cyan image determined by the first interface providing unit 21 to determine the first cyan image for the final business card. Functions. An example of the third interface output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8.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제2 인터페이스(111-1)에 있어서, 초기 명함 디자인에 대한 색상 변경 입력을 구체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다. 이때, 초기 명함 디자인에 있어서 색상 변경을 요청하는 입력(1112)을 수행 시, 초기 명함 디자인의 각 객체들 중, 색상 변경이 가능한 객체(1110)가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특정 객체를 선택 시 변경 가능한 색상의 리스트(1111)가 출력되어,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객체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in the second interface 111-1, a color change input for an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may be specifically performed. In this case, when performing an input 1112 requesting a color change in the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an object 1110 capable of changing color among the objects of the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may be displayed separately.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object is selected, a list 1111 of colors that can be changed is output, and the user can check this and change the color of the object.

도 8의 화면(120)을 참조하면, 제1 시안 이미지(121)가 출력되며, 제1 시안 이미지(121)는 실시간으로 상술한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한 자동 변환 기능 및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변경되는 내용(122)이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명함 만들기 메뉴(125)를 선택 시, 선택 시점에서의 제1 시안 이미지(121)는 후술하는 제2 시안 이미지가 되며, 제1 시안 이미지에 대한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른 시안 변경이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creen 120 of FIG. 8, a first cyan image 121 is output, and the first cyan image 121 is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automatic conversion func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third interface and input from an input means. The changed content 122 may be output in real time. That is, when selecting the business card creation menu 125, the first cyan image 121 at the time of selection becomes a second cyan image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yan change according to the input through the third interface to the first cyan image It can be reflected and output in real time.

개인 기본 정보(123)는 유저가 유저 계정 생성 시 입력한 정보로서, 유저의 이름, 주소, 연락처, 직책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유저 계정의 정보에 따라서 개인 기본 정보(123)는 적어도 하나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 인터페이스 제공부(22)는, 제3 인터페이스에 개인 기본 정보(123)를 출력하되, 도 8과 달리 개인 기본 정보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개인 기본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개인 기본 정보를 출력하는 동시에, 해당 개인 기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123 is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when creating a user account,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user's name, address, contact information, and position. At this time, at least one personal basic information 123 may exis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ccount. To this end, the second interface providing unit 22 outputs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123 to the third interface, but unlike FIG. 8,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basic personal information, one of the plurality of basic personal information can be selected. An interface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basic personal information and selecting any one of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한편 개인 기본 정보(123)는 개인 정보로서 유저마다 명함에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 즉, 시스템(20)에 의하여 명함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개인 기본 정보(123)의 타입이 정해질 수 있으며, 이때 유저는 제3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별도 메뉴 또는 기본적인 유저 정보에 대한 개인 정보 설정 인터페이스 상에서, 적용하기, 즉 공개하기 원하는 개인 기본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에서, 개인 기본 정보들 중, 직책을 제외하는 선택 입력 등이 가능한 것이다.Meanwhile,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123 is personal information, and may selectively request a function not to be included in the business card for each user. That is, the type of basic personal information 123 that is basically applied to the business card can be determined by the system 20, and in this case, the user can set a separate menu that can be included in the third interface or a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interface for basic user information. On top of, you can select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you want to apply, that is, to disclose.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among basic person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put a selection to exclude a position.

한편, 텍스트 정보 편집 메뉴(124)는, 예를 들어 개인 기본 정보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초기 명함 디자인 또는 디자인 모듈에 대한 선택에 따라서 입력해야 하는 정보가 필요한 경우, 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 또는 이미 적용된 개인 기본 정보(123)에 있어서 유저가 선택적으로 이를 편집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유저가 텍스트 정보 편집 메뉴(124)의 이용에 있어서, 어느 텍스트를 편집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2 인터페이스 제공부(22)는 제1 시안 이미지(121)의 텍스트 영역(122) 각각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또는 개인 기본 정보(123)가 출력되는 영역에서 편집하기 원하는 텍스트 영역 각각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3 인터페이스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모든 기능은 명함의 앞면 및 뒷면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xt information editing menu 124 is, for example, not included in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but when the initial business card design or information to be enter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for the design module is required, a menu for inputting it or an already applied individual The basic information 123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menu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ively edit it.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user to select which text to edit when using the text information editing menu 124, the second interface providing unit 22 includes the text area 122 of the first cyan image 121 The third interface may include a menu for selecting each or a menu for selecting each text area desired to be edited in an area in which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123 is output. Meanwhile, all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business card.

이후 유저는 명함 만들기 메뉴(125)를 통해, 제3 인터페이스의 기능 수행을 완료하여, 제2 시안 이미지 확정 및 이후의 제3 인터페이스 제공부(23)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completes the function of the third interface through the business card creation menu 125, so that the second cyan image is confirmed and the screen is switched to a screen in which the functions of the third interface providing unit 23 can be used. have.

제3 인터페이스 제공부(23)는 제3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그 입력에 따라 제1 시안 이미지를 수정한 제2 시안 이미지를 출력하고, 제2 시안 이미지에 포함된 편집 가능한 객체에 대한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10)을 이용한 편집 메뉴 및 적어도 명함 전체 재질 및 세부 재질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후처리 메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인 제4 인터페이스를 출력 모듈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제3 인터페이스 제공부(23)는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10)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될 수 있다. 상술한 제4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When the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third interface is completed, the third interface providing unit 23 outputs a second cyan image modified from the first cyan image according to the input, and edits included in the second cyan image.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a fourth interface, which is an interface including an edit menu using 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10 for possible objects, and a post-processing menu for selecting and inputting at least the entire material and detailed material of the business card to the output module do. To this end, the third interface providing unit 23 may be interlocked with 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10 as shown in FIG. 5.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fourth interface is shown in FIG. 9.

도 9의 화면(130)을 참조하면, 제2 시안 이미지(131)가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제2 시안 이미지(131)에 대한 출력 화면의 하부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미리보기 메뉴를 통해 최종 시안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명함편집 메뉴를 이용하여,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명함에 포함된 모든 제어 가능한 텍스트 상자 및 이미지 객체에 대해서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를 통한 제어 및 편집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creen 130 of FIG. 9, it can be seen that a second cyan image 131 is output. In this case, the user can preview the final draft through the preview menu that is output as shown in FIG. 9 at the bottom of the output screen for the second cyan image 131, and by using the business card editing menu, As shown in Fig. 4, a control and editing function through multi-point object control can be used for all controllable text boxes and image objects included in the business card.

이를 통해서, 유저는 단순히 서비스에 의해서 제공되는 초기 디자인, 디자인 모듈 등을 통해서 명함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정확하고 세밀한 객체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명함의 세부 사항을 직접 편집함으로써, 자신의 개성에 따라 명함을 제작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객체 들에 대한 제어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명함의 앞면 및 뒷면에 동일하게 이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rough this, the user does not simply create a business card through the initial design provided by the service, a design module, etc., but by using a system capable of precise and detailed object control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s. By directly editing the details, you can create a business card according to your personality. Of cour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rol of the above-described objects can be used equally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business card as described above.

한편 후처리 메뉴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132) 또는 세부적인 각 객체의 속성을 결정할 수 있는 후 가공 선택 메뉴(133)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후처리 메뉴에는 상술한 명함의 실물 크기 확인 최종 시안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미리보기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st-processing menu may include, for example, a menu 132 for selecting a material of a business card as shown in FIG. 9 or a post-processing selection menu 133 for determining detailed properties of each object. Meanwhile, the post-processing menu may include a preview menu enabling confirmation of the final draft of the actual size of the business card described above.

명함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132)는 명함이 구현되는 종이의 재질을 선택하는 메뉴이며, 후 가공 선택 메뉴(133)는 예를 들어, 명함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각 객체별로 실제 구현 재질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다. 예를 들어, 이름 부분을 금박으로 구현하거나, 이미지를 음각 또는 양각의 재질로 구성하는 등의 세부 구현에 대한 선택이 가능한 메뉴를 의미한다.The menu 132 for selecting the material of the business card is a menu for selecting the material of the paper on which the business card is implemented, and the post-processing selection menu 133 is, for example, realizing text or images included in the business card for each object. This is a menu where you can select a material. For example, it refers to a menu in which detailed implementation can be selected, such as implementing a name part in gold leaf or configuring an image with intaglio or embossed material.

제작 정보 생성부(24)는, 상술한 주문하기 메뉴(134)를 선택 시, 즉 제4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완료된 입력에 따라서 제2 시안 이미지를 수정한 최종 시안 이미지 및 최종 명함의 스펙 정보를 명함 제작 정보로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above-described ordering menu 134 is selected, that is, when the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fourth interface is completed, the produc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4 corrects the second cyan image according to the completed input. And generat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nal business card as business card production information.

최종 명함의 스펙 정보는 상술한 후 가공 선택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여 명함의 크기, 재질, 후 가공 스펙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며, 최종 시안 이미지는 상술한 주문하기 메뉴(134)에 대한 선택 입력 시 변경된 제2 시안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후 유저는 추가적인 세부 결재 및 주문 프로세스를 통해서,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하거나 이를 외부의 명함 제작 업체 단말에 전송하여, 유저가 편리하게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실제 명함을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nal business card is information including the size, material, post-processing specification, etc. of the business card, including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rocessing selection menu after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final draft image is for the above-described order menu 134. Refers to the second cyan image changed upon selection input. Thereafter, the user can store the ord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25 or transmit it to an external business card maker terminal through an additional detailed payment and order process,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reate a real business card using his terminal. hav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10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unnecessary embodimen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 to 9 will be omitted. To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는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d an input/output subsystem ( I/O subsystem) 11400, a power circuit 11500,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tactile interface device (A) or may correspond to the aforementioned computing device (B).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magnetic disk, SRAM, DRAM, ROM,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have.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an instruction set, or other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ing the memory 11200 from another component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 devices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to the processor 11100 and the memory 11200.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process data by executing a software module or instruction set stored in the memory 11200.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to the peripherals interface 11300.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monitor, a keyboard, a mouse, a printer, or a controller for coupling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or a sensor to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as need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put/output peripheral devices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batteries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power. It may contain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including an RF circuit, if necessary.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는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FIG. 10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omits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0, further includes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0, or 2 It can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two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0,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An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on a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제어,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control,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it is sometimes described that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i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configuring the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t can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to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Claims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로 구현되는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 입출력 방식의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치, 크기 및 회전에 대한 제어 대상이 되는 그래픽 이미지인 객체를 출력 시, 객체의 제어 결과에 관계없이 서로의 간격이 고정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포인트인 제어 포인트를 출력하되, 출력되는 제어 포인트의 중심에 객체가 위치되도록 객체 주위에 상기 제어 포인트를 출력하는 제어 포인트 출력부;
상기 제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감지 시, 감지된 입력에 따라서 객체에 대한 제어 액션을 선택하는 제어 선택부; 및
상기 제어 선택부에 따라 선택된 제어 액션에 따라서 객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객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
It relates to a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When outputting an object that is a graphic image that is a control target for position, size, and rota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that is output through a touch screen input/output type output module, at least two or more spaces are fixed regardless of the control result of the object. A control point output unit outputting a control point that is a point, and outputting the control point around the object so that the objec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utput control point;
A control selector for selecting a control action for an object according to the sensed input when detecting at least one of a touch input and a drag input for the control point; And
And an object control unit that controls an object according to a control action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el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는 객체를 중심으로 서로 직교하는 축에 위치되는 포인트들 중, 중심으로부터 간격이 서로 동일한 4개의 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point is a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ur points having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points located on an ax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선택부는,
상기 제어 포인트들 중 하나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인 제1 타입 입력, 서로 인접된 둘 이상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동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인 제2 타입 입력 및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제어 포인트가 위치되는 대척된 둘 이상의 제어 포인트에 대한 동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인 제3 타입 입력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어 액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selection unit,
A first type input that is a touch and drag input for one of the control points, a second type input that is a simultaneous touch and drag input for two or more control poin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one or more control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control actions are selected according to a third type input that is a simultaneous touch and drag input for two or more opposing control points in which are position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타입 입력은, 제어 포인트에 대한 터치 입력, 터치 입력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반복되는 멀티 탭 입력,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롱터치 입력 및 터치 입력된 제어 포인트에 대한 드래그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입력으로 세분화되며,
상기 제어 선택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타입 입력에 따라서, 객체의 위치 이동, 객체의 회전, 객체의 크기 제어, 객체의 형태 변경, 객체의 색상 변경 및 객체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대한 편집 모드 실행에 대한 제어 액션 중 어느 하나를 객체에 대한 제어 액션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to third type inputs include a touch input for a control point, a multi-tap input in which the touch input is repeated within a preset threshold time, a long touch input in which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and a drag input for the touch input control point. Is subdivided into any one input,
The control selection unit,
Depending on the first to third type inputs, object position movement, object rotation, object size control, object shape change, object color change, and control over editing mode execution for text or images included in the object A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actions is selected as a control action for an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 출력부는,
상기 객체 제어부에 의하여 객체가 이동되는 경우, 객체의 이동에 따라서 객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어 포인트를 실시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point output unit,
When the object is moved by the object controller, the control point is moved in real time based on the center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bject.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로 구현되되, 제1 내지 5항의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은,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어 상기 출력 모듈에 출력되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초기 명함 디자인 중 어느 한 디자인에 대한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선택된 디자인에 포함된 기설정된 복수의 디자인 모듈들로서, 색상, 및 명함 앞면/뒷면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배치 타입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 디자인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를 상기 출력 모듈에 출력하는 제1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제공부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2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완료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선택된 디자인 및 상기 디자인 모듈을 적용한 제1 시안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시안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들 중, 유저 계정에 기저장된 개인 기본 정보에 매칭되는 텍스트 정보는 상기 개인 기본 정보로 자동 변환한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인 제3 인터페이스를 상기 출력 모듈에 출력하는 제2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그 입력에 따라 제1 시안 이미지를 수정한 제2 시안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시안 이미지에 포함된 편집 가능한 객체에 대한 상기 멀티 포인트 객체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편집 메뉴 및 적어도 명함 전체 재질 및 세부 재질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가능한 후처리 메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인 제4 인터페이스를 상기 출력 모듈에 출력하는 제3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완료된 입력에 따라서 제2 시안 이미지를 수정한 최종 시안 이미지 및 최종 명함의 스펙 정보를 명함 제작 정보로서 생성하는 제작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
It is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and relates to an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using the multi-point object control system of claims 1 to 5,
The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through an input means of a user terminal for any one of a plurality of initial business card designs provided to be selectable in the first interface through the first interface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and output to the output module, the selected As a plurality of preset design modules included in the design, a second interface capable of selecting and inputting any one of design modules with different colors and different arrangement types of text and images on the front/back of the business card is output to the output module. A first interface providing unit;
Upon receiving a selection comple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second interface provided by the first interface providing unit, a first cyan image to which the selected design and the design module are applied is output, and the first cyan image is Among the included text information, text information matching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account is automatically converted to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third interface includes a menu for editing the text information. A second interface providing unit outputting an interface to the output module;
When the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third interface is completed, a second cyan image obtained by modifying the first cyan image is output, and the multi-editable object included in the second cyan image is A third interface providing unit for outputting a fourth interface, which is an interface including an edit menu using a point object control system and a post-processing menu for selecting at least an entire material and a detailed material of a business card, to the output module; And
And a production informat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s business card production information, a final cyan image corrected for a second cyan image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 final business card according to the completed input when the input to the fourth interface is completed.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유저 계정에 기저장된 개인 기본 정보를 출력하되, 개인 기본 정보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개인 기본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개인 기본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interface providing unit,
In the third interface, basic personal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account is output, bu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ersonal basic information, a menu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basic personal information and a menu for editing basic personal information are provided. Online business card draft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be includ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후처리 메뉴에, 명함의 실물 크기 확인 메뉴, 명함의 종이 재질을 선택하는 메뉴, 명함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객체별로 실제 구현 재질을 선택하는 메뉴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명함 시안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third interface providing unit,
The post-processing menu includes a menu for checking the actual size of the business card, a menu for selecting a paper material of the business card, and a menu for selecting an actual material for each text or image object included in the business card. system.
KR1020190028644A 2019-03-13 2019-03-13 Multi point object controlling system and online calling card manufacturing system using thereof Abandoned KR202001095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644A KR20200109511A (en) 2019-03-13 2019-03-13 Multi point object controlling system and online calling card manufacturing system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644A KR20200109511A (en) 2019-03-13 2019-03-13 Multi point object controlling system and online calling card manufacturing system us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511A true KR20200109511A (en) 2020-09-23

Family

ID=7270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644A Abandoned KR20200109511A (en) 2019-03-13 2019-03-13 Multi point object controlling system and online calling card manufacturing system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51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92582A (en) * 2022-05-30 2024-03-12 荣耀终端有限公司 Video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92582A (en) * 2022-05-30 2024-03-12 荣耀终端有限公司 Video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0203B2 (en) Editing annotations of paginated digital content
US9424241B2 (en) Annotation mode including multiple note types for paginated digital content
EP3690624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2937876B (en) The dynamic scaling of touch sensor
US11768589B2 (en) Digital flash cards including links to digital content
US10061496B2 (en) Snapping of object features via dragging
US20180101509A1 (en) Filtering and searching annotations of paginated digital content
KR102263133B1 (en) 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AU20133567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915698B2 (en) Multi-purpose tool for interacting with paginated digital content
Au et al. Multitouch gestures for constrained transformation of 3d objects
KR102389256B1 (en) A device that provides a virtual exhibition service through a virtual booth
KR102205283B1 (en) Electro device execu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MX2014002955A (en) Formula entry for limited display devices.
US10241651B2 (en) Grid-based rendering of nodes and relationships between nodes
KR20200109511A (en) Multi point object controlling system and online calling card manufacturing system using thereof
US10627978B2 (en) Virtual stack button for software having a branched task structure
KR102750865B1 (en) Method for Providing a map interface for displaying an object based on a real object
JP5747688B2 (en) Computer apparatus and program
JP65729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20230075050A (en) Devices for creating vr exhibition spaces
KR102210915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ordering customized porcelain by online
KR20210084073A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o arrange virtual objects
JP69046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7636681A (en) Drawing object inferenc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