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274A -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7274A KR20200107274A KR1020190026145A KR20190026145A KR20200107274A KR 20200107274 A KR20200107274 A KR 20200107274A KR 1020190026145 A KR1020190026145 A KR 1020190026145A KR 20190026145 A KR20190026145 A KR 20190026145A KR 20200107274 A KR20200107274 A KR 202001072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screen
- memo
- application
- user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62—Semi-transparenc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확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변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색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Claims (20)
-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메모 화면 상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모 화면에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모 화면에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기반하여 드로잉하거나, 상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드로잉하는 사용자 입력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입력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전환하는 화면 선택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링크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모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와 링크된 정보에 기반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투명도 조절 UI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투명도 조절 UI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항목들 중에서 일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항목들은,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 상기 제1 컨텐츠를 클립보드에 임시 복사하는 항목, 상기 제1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항목 또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제3자에게 공유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고,
상기 메모 화면 상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모 화면에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인,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모 화면에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기반하여 드로잉하거나, 상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드로잉하는 사용자 입력인,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사용자 입력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전환하는 화면 선택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링크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메모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와 링크된 정보에 기반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투명도 조절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투명도 조절 UI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UI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항목들 중에서 일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항목들은,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 상기 제1 컨텐츠를 클립보드에 임시 복사하는 항목, 상기 제1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항목 또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제3자에게 공유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실행 화면이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전자 장치가 수행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6145A KR102760970B1 (ko) | 2019-03-07 | 2019-03-07 |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PCT/KR2020/003263 WO2020180167A1 (ko) | 2019-03-07 | 2020-03-09 |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US17/436,844 US12033252B2 (en) | 2019-03-07 | 2020-03-09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6145A KR102760970B1 (ko) | 2019-03-07 | 2019-03-07 |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7274A true KR20200107274A (ko) | 2020-09-16 |
KR102760970B1 KR102760970B1 (ko) | 2025-02-03 |
Family
ID=7233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6145A Active KR102760970B1 (ko) | 2019-03-07 | 2019-03-07 |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2033252B2 (ko) |
KR (1) | KR102760970B1 (ko) |
WO (1) | WO20201801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71672B (zh) * | 2020-12-16 | 2023-12-08 |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 应用流量控制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6743A (ko) * | 2006-12-29 | 2009-09-14 | 노키아 코포레이션 |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
KR101315957B1 (ko) * | 2012-05-21 | 2013-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3056B1 (ko) * | 2011-09-20 | 2018-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수행 장치 및 방법 |
KR20140008987A (ko) | 2012-07-13 | 2014-0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필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 |
US9898186B2 (en) | 2012-07-13 | 2018-0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pen and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the same |
KR20140019206A (ko) | 2012-07-13 | 2014-0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KR20140092459A (ko) | 2012-12-28 | 2014-07-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모 레이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WO2014010998A1 (en) | 2012-07-13 | 2014-01-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memo layer and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KR20140008985A (ko) | 2012-07-13 | 2014-0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KR20140040379A (ko) | 2012-09-26 | 2014-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
JP6014170B2 (ja) * | 2013-01-04 | 2016-10-25 | 株式会社Uei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更新プログラム |
KR20140130854A (ko) | 2013-05-02 | 2014-11-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2089447B1 (ko) | 2013-06-04 | 2020-03-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KR102097639B1 (ko) | 2013-11-05 | 2020-04-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KR20150080796A (ko) | 2014-01-02 | 2015-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102272343B1 (ko) * | 2014-10-13 | 2021-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KR102295145B1 (ko) * | 2014-12-22 | 2021-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화면 보안 |
US9632664B2 (en) | 2015-03-08 | 2017-04-25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
-
2019
- 2019-03-07 KR KR1020190026145A patent/KR102760970B1/ko active Active
-
2020
- 2020-03-09 US US17/436,844 patent/US12033252B2/en active Active
- 2020-03-09 WO PCT/KR2020/003263 patent/WO202018016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6743A (ko) * | 2006-12-29 | 2009-09-14 | 노키아 코포레이션 |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
KR101315957B1 (ko) * | 2012-05-21 | 2013-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80167A1 (ko) | 2020-09-10 |
KR102760970B1 (ko) | 2025-02-03 |
US12033252B2 (en) | 2024-07-09 |
US20220180582A1 (en) | 2022-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86252B2 (en) |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2394718B1 (ko) |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 |
CN105683895B (zh) | 提供用户交互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 |
CN105335001B (zh) | 具有弯曲显示器的电子设备以及用于控制其的方法 | |
JP6478181B2 (ja) | 携帯端末と外部表示装置の連結運用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装置 | |
US9684379B2 (en) | Computing system utilizing coordinated two-hand command gestures | |
JP5759660B2 (ja) |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 |
KR102264444B1 (ko) |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 |
KR102080146B1 (ko) |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
JP5986484B2 (ja) | 携帯端末、ロック状態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ロック状態制御方法 | |
US12039161B2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touch screen displays and screen division method | |
KR2018013466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US20160260408A1 (en) | Method for sharing screen with external display devic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US20200379946A1 (en)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igrating data to a first device during a new device set-up workflow | |
CN106681620A (zh) | 一种实现终端控制的方法及装置 | |
KR102327205B1 (ko) |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콘텐트 공유 시스템 | |
KR101559091B1 (ko) |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1069133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 |
US20200089362A1 (en) | Device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touch sensing and touch pressure sensing | |
KR102760970B1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
KR102266191B1 (ko) |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 |
KR102382074B1 (ko) |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1165388B1 (ko) | 이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 |
KR20120078816A (ko) |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CN111580706A (zh) | 提供用户交互的电子设备及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3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