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07274A -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274A
KR20200107274A KR1020190026145A KR20190026145A KR20200107274A KR 20200107274 A KR20200107274 A KR 20200107274A KR 1020190026145 A KR1020190026145 A KR 1020190026145A KR 20190026145 A KR20190026145 A KR 20190026145A KR 20200107274 A KR20200107274 A KR 2020010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memo
application
user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60970B1 (ko
Inventor
정한철
오정엽
김혜령
손목원
이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0970B1/ko
Priority to PCT/KR2020/003263 priority patent/WO2020180167A1/ko
Priority to US17/436,844 priority patent/US12033252B2/en
Publication of KR2020010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09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62Semi-transpar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PPLICATION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기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 화면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사용자가 메모를 하기 위한 메모 화면을 제공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다. 예로, 메모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펜을 분리하는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는 메모 화면에 필기 입력 또는 드로잉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검색하는 도중에 좋은 아이디어가 생각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펜을 분리하여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메모 화면에 아이디어와 관련된 필기 입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반복하여 실행시킬 필요가 있다. 예로,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메모를 하는 상황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과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번갈아 가면서 화면을 전환하며 컨텐츠와 관련된 메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빈번한 화면 전환에 따라 전자 장치에 대한 복잡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증대시키고, 컨텐츠 어플리케이션과 메모 어플리케이션 간에 화면을 전환을 신속하게 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공하는 복수의 화면들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를 메모 화면에 신속하게 복사하고, 기존의 메모 화면에 복사된 컨텐츠를 쉽게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반투명한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반투명한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반투명한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실행 화면이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반투명한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반투명한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실행 화면이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반투명한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전자 장치가 수행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복수 개의 화면들로부터 작업 소스(예: 컨텐츠 등)를 쉽게 수집하고, 작업 소스를 참조하여 드로잉 작업이나 메모 화면에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모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를 대상으로 편집, 저장, 공유 등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및 포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메모 어플리케이션 간에 빠른 전환이 가능하여 전자 장치에 대한 복잡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반투명의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메모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참조하면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개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확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변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색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스크린(110)은 입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치스크린(110)은 표시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전자 기기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은 전자 기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컨대 홈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수신 및/또는 발신 문자 메시지 표시 화면, 웹 페이지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표시 패널은 포그라운드에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에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은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불투명, 반투명 또는 소정의 미리 설정된 투명도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다양한 화면은, 도 2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과 적층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전자 펜 등이 접촉 또는 근접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프로세서(1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은 터치 입력 장치의 접촉 또는 근접에 따른 물리량(예컨대 정전 용량, 저항값 등)의 변화를 통해 터치 이벤트를 인식하고, 터치 이벤트의 종류 및 터치 위치 정보를 상기 입력 데이터로서 프로세서(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의 종류는 터치 후 터치 이동 없이 터치가 해제되는 탭 이벤트,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탭 이벤트가 두 번 발생하는 더블 터치 이벤트, 터치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롱 터치 이벤트,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점에서 터치가 발생하는 멀티 터치 이벤트, 터치 후 터치 위치가 이동하는 터치 이동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이동 이벤트는 터치 후 특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스크롤 이벤트, 터치 후 기 정의된 형태(예컨대 원, 삼각형 등)를 가지도록 터치를 이동하는 제스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터치 패널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터치 패널은 포그라운드에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에, 터치 이벤트 및 터치 제스처와 같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프로세서(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및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들 및 인스트럭션들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전자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전자 기기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전자 기기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수신 문자 메시지 또는 발신 문자 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터치 스크린(11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실행 시에,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고,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고,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고,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고,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고,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모 화면을 메모리(130)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실행 시에,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고, 메모 화면 상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실행 화면이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메모 화면에서,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메모 화면에서,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기반하여 드로잉하거나, 상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드로잉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실행 시에, 사용자 입력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전환하는 화면 선택 UI가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실행 시에,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에 링크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실행 시에, 메모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와 링크된 정보에 기반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실행 시에,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투명도 조절 UI가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고, 투명도 조절 UI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가 실행 시에,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UI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고, 복수의 기능 항목들 중에서 일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능 항목들은, 제1 컨텐츠를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 제1 컨텐츠를 클립보드에 임시 복사하는 항목, 제1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항목 기능 또는 제1 컨텐츠를 제3자에게 공유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하고, 프로세서(120)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모 화면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의 (2-a)에서, 프로세서(12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250)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210)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은, 예로, 전자 펜(101)이 분리되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전자 펜(101)의 버튼(101a)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홈 화면에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메뉴 위젯에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복수 개의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실행 화면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하나의 레이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페이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화면들이 될 수도 있고,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복수 개의 레이어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화면들이 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실행 화면들이 제1 실행 화면 및 제2 실행 화면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실행 화면 및 제2 실행 화면은 동일한 정보를 갖도록 일부가 서로 겹칠 수도 있다. 예로, 제1 실행 화면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에 따라 표시되는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제2 실행 화면이 될 수 있다. 또는, 제1 실행 화면 및 제2 실행 화면을 동일한 정보가 다르게 표시되는 화면일 수도 있다. 예로, 제1 실행 화면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줌인 제스처 또는 줌아웃 제스처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되는 화면이 제2 실행 화면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실행 화면(210)에 포함된 제1 컨텐츠(211)를 선택하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 프로세서(120)는 메모 화면(250)에서 제1 컨텐츠(211)에 대응되는 영역(25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롱 터치 입력 또는 더블 터치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2a의 (2-b)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사된 제1 컨텐츠(211')가 포함된 메모 화면(2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컨텐츠(211')는 제1 실행 화면(210)에 표시 중인 제1 컨텐츠(211)와 동일 또는 근사한 크기로 표시될 수도 있고, 제1 컨텐츠(211)의 원본 크기로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메모 화면(250)의 크기를 고려하여 축소 또는 확대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도 2a의 (2-a)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제1 컨텐츠(211)에 링크된 정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컨텐츠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에 링크된 정보는, 예로, 컨텐츠에 링크된 메타데이터, 컨텐츠에 링크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예: 웹 사이트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110) 상에는 사용자 입력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전환하는 화면 선택 UI(255)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화면 선택 UI(255)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터치 입력 또는 더블 터치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2b의 (2-c)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250) 상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일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포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210)이 포그라운드에서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210) 상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일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2b의 (2-d)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210)을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22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110) 상에는 사용자 입력이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전환하는 화면 선택 UI(256)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화면 선택 UI(256)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터치 입력 또는 더블 터치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2c의 (2-e)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250)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220)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메모 화면(250)에는, 도 2a의 (2-b)에서 메모 화면(250)에 표시되었던, 제1 컨텐츠(211')가 계속하여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2 실행 화면(220)에 포함된 제2 컨텐츠(221)를 선택하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 프로세서(120)는 메모 화면(250)에서 제2 컨텐츠(221)에 대응되는 영역(25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롱 터치 입력 또는 더블 터치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2c의 (2-f)에서, 프로세서(120)는 제2 컨텐츠(221')가 포함된 메모 화면(2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메모 화면(250)에는 제2 컨텐츠뿐(221')만 아니라 제1 컨텐츠(211')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제2 컨텐츠(221)에 링크된 정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컨텐츠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컨텐츠들을 메모 화면으로 각각 이동(또는, 클리핑(clipping))시킬 수 있다. 예로, 프로세서(120)는 동일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실행 화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컨텐츠들을 메모 화면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컨텐츠들을 메모 화면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메모 화면(250)을 저장할 수 있다. 예로, 터치 스크린(110) 상에는 메모 화면(250)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 저장 UI(257)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메모 표시 UI(257)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터치 입력 또는 더블 터치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2d의 (2-g)에서, 프로세서(120)는 메모 화면(250)이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258)를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컨텐츠(211') 또는 제2 컨텐츠(2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모 화면(250)이 표시 중인 상황에서, 도 2d의 (2-h)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모 화면(250)에 포함된 제1 컨텐츠(21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터치 입력 또는 더블 터치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2e의 (2-i)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1 컨텐츠(211')에 링크된 정보에 기반한 화면(260)을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컨텐츠(211')에 링크된 정보는, 도 2a의 (2-b)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가 획득한 제1 컨텐츠(211)에 링크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컨텐츠(211')에 링크된 정보에 기반한 화면(260)으로서, 예로, 제1 컨텐츠(211)에 링크된 웹 사이트 주소에 기반한 웹 사이트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도 2a의 (2-a) 또는 도 2c의 (2-e)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전자 펜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3의 (3-a)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펜(101)을 이용하여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10)에 포함된 컨텐츠(311)에 대응되는 영역(351)에 기반하여 드로잉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는 메모 화면(350)에서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351)의 경계선을 따라 드로잉하고, 마킹 표시를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의 (3-b)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펜(101)을 이용하여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310)에 포함된 컨텐츠(311)에 대응되는 영역(35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드로잉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311)를 포함하도록, 일 지점에서 출발하여 대각선 방향(v1)으로 드로잉할 수 있다.
이에, 전자 펜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가 획득되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드로잉 영역에 대응되는 컨텐츠(311)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모 화면(3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의 (4-a)와 같이, 사용자는 메모 화면(450)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에 표시된 컨텐츠(411)에 대응되는 영역(451)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롱 터치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4의 (4-b)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411)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UI(예: 팝업 UI)(455)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기능 항목들은, 예로, 컨텐츠(411)를 클립보드에 임시 복사하는 항목(455a), 컨텐츠(411)를 다운로드하는 항목(455b), 컨텐츠(411)를 제3자에게 공유하는 항목(455d) 또는 컨텐츠(411)를 복사하여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455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411)를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455d)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면, 도 4의 (4-c)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411')를 포함하는 메모 화면(4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메모 어플리케이션으로 자동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서,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된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의 다른 예로서, 메모 화면(550)에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에 포함된 문장(511)에 대응되는 영역(551)을 터치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터치를 해제하면, 프로세서(120)는, 전술한 도 4의 (4-b)와 같이 문장(511)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UI(555)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장(511)을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555d)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면, 도 5b의 (5-c)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문장(511')를 포함하는 메모 화면(5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문장(511')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예로, 사용자가 문장(511')의 일 축을 터치한 상태에서 원호 방향(예로, 반시계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도 5b의 (5-d)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회전된 문장(511")을 포함하는 메모 화면(5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의 (6-a)와 같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610)이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전자 펜(101)을 전자 장치(100)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도 6a의 (6-b)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반투명의 메모 화면(6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반투명의 메모 화면(650)이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610)에 포함된 컨텐츠(611)를 참조하여, 메모 화면(650)에서 드로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는 전자 펜(101)을 이용하여 메모 화면(650)을 대상으로 컨텐츠(611)의 경계를 따라서 드로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메모 화면(650)에 드로잉 결과(651)가 표시되면, 도 6b의 (6-c)와 같이, 사용자는 다른 드로잉 대상을 찾기 위하여 터치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전술한 도 2a의 화면 전환 UI(255)와 같은 화면 전환 UI(미도시)를 선택하고, 터치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가 전자 펜(101)에 의한 입력인지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지 판단하여,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6b의 (6-d)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62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620)에 포함된 컨텐츠(621)를 메모 화면(650)에 복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도 2a의 (2-a)와 같이, 사용자는 컨텐츠(621)에 대응되는 메모 화면(650)의 영역을 롱 프레스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621)에 대응되는 메모 화면(650)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드로잉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UI를 이용하여 컨텐츠(621)를 메모 화면(650)에 복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도 6b의 (6-d)와 같이, 드로잉 결과(651)와 함께 복사된 컨텐츠(621')가 메모 화면(650)에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업 결과에 따라 생성된 메모 화면(650)을 저장하여 다양한 영역에 활용할 수 있다.
예로, 도 6c의 (6-e)와 같이, 사용자는 메모 화면에 기반한 이미지를 AOD(always on display)의 배경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 6c의 (6-f)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를 잠금 화면의 배경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 6c의 (6-g)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를 홈 화면의 배경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확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의 (7-a)에서, 프로세서(120)는 백그라운드에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동안에, 포그라운드에서 드로잉 결과(751)가 포함된 메모 화면(750)이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10)을 확대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백그라운드 화면 선택 UI(755)를 선택하여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서 줌인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7a의 (7-b)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10)이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7b의 (7-c)에서, 사용자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750)을 확대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포그라운드 화면 선택 UI(756)를 선택하여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서 줌인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7b의 (7-d)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750)이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c의 (7-e)에서, 사용자는 한번의 제스처로 실행 화면(710) 및 메모 화면(750)을 동시에 확대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듀얼 화면 선택 UI(757)를 선택하여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및 메모 어플리케이션 모두로 설정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서 줌인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7c의 (7-f)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실행 화면(710) 및 메모 화면(750)이 함께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사용자의 줌인 제스처를 대상으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10),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750), 또는 실행 화면(710) 및 메모 화면(750) 중에서 선택적으로 제스처에 기반한 화면 변환을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줌아웃 제스처, 터치 드래그 제스처, 스와이프 제스처, 스크롤 제스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의 제스처를 대상으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10),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750), 실행 화면(710) 및 메모 화면(750) 중에서 선택적으로 제스처에 기반하여 화면 변환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다양한 방식으로 네비게이션하면서 메모 화면에 드로잉하거나 컨텐츠를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서, 프로세서(120)는 백그라운드에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동안에, 포그라운드에서 메모 화면(850)이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 화면(850)에는 메모 화면(85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투명도 조절 UI(855)가 포함될 수 있다. 투명도 조절 UI(855)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메모 화면(850)의 투명도 혹은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10)의 표시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8a의 (8-a)와 같이, 메모 화면(850)의 투명도가 가장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10), 및 실행 화면(810)에 중첩하여 사용자의 드로잉 결과(851)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미도시)를 포함하는 투명한 메모 화면(8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8b의 (8-d)와 같이, 메모 화면(850)의 투명도가 가장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10)은 표시되지 않고, 사용자의 드로잉 결과(851)를 포함하는 불투명한 메모 화면(8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a의 (8-b) 또는 도 8b의 (8-c)와 같이, 메모 화면(850)의 투명도가 보통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810)이 반투명한 메모 화면(850)에 의하여 딤(dim) 상태로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변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910)에 포함된 컨텐츠(911)가 선택되면, 도 9의 (9-a)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복사된 컨텐츠(911')가 포함된 메모 화면(9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메모 화면(950)에 포함된 컨텐츠(911')가 선택된 상태에서 컨텐츠(911')의 일 지점 또는 컨텐츠(911')를 포함하는 영역의 경계선을 선택하여 일 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9의 (9-b)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변형된 컨텐츠(911")가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도 9의 (9-b)와 같이 컨텐츠가 확대되거나, 컨텐츠가 축소되거나, 컨텐츠가 이동되거나 또는 컨텐츠가 회전되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10)에 포함된 컨텐츠(1011)가 선택되면, 도 10의 (10-a)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복사된 컨텐츠(1011')가 포함된 메모 화면(10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컨텐츠(1011')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UI(예: 팝업 UI)(1055)가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로, 복사된 컨텐츠(1011')를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롱 프레스하거나, 더블 터치를 수행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기능 선택 UI(1055)가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기능 항목들은, 예로, 복사된 컨텐츠(1011')를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항목(1055a), 컨텐츠(1011')를 다운로드하는 항목(1055b) 또는 컨텐츠(1011')를 제3자에게 공유하는 항목(1055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1011')를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항목(1055a)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면, 도 10의 (10-b)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복사된 컨텐츠(1011")을 포함하는 클립 보드(1056)가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컨텐츠(1011')가 도 9와 같이, 변형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변형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클립 보드(1056)가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의 (11-a)에서,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화면(1110)을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예로, 지도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11의 (11-b)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화면(1110)에 중첩하여 메모 화면(115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은, 예로,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자 펜을 분리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도 11a의 (11-b)에서, 사용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화면(1110)을 참조하여, 메모 화면(1150) 상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로, 지도 화면(1110)에 포함된 지도의 특정 지점, 특정 방향, 특정 거리 등을 대상으로 마킹 또는 드로잉하는 메모 화면(1150) 상에 사용자 입력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b의 (11-c)에서, 사용자는 메모 화면(1150) 및 백그라운드 화면(예: 지도 화면(1110))을 공유하기 위한 메모 공유 UI(1155)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11b의 (11-d)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예: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160)을 실행하여, 메모 화면(1150)의 적어도 일부 및 지도 화면(11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1161)를 첨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공유 확정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미지(1161)가 제3 자에게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의 (12-a)에서, 프로세서(120)는 백그라운드에서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동안에, 포그라운드에서 드로잉 결과(1251)가 포함된 메모 화면(1250)이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메모 화면(1250)에는 메모 화면(1250)을 닫을 수 있는 화면 닫음 UI(1255)가 포함될 수 있다.
화면 닫음 UI(1255)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12a의 (12-b)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메모 화면(1250)을 닫고,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121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실행 화면(1210)을 대상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는 제1 실행 화면(1210) 상에서 전자 펜(101)을 이용한 터치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12b의 (12-c)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1220)이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실행 화면(1220)을 대상으로 메모 화면(1250)을 다시 표시하기 위하여, 전자 펜(101)의 버튼(101a)을 선택할 수 있다. 예로, 전자 펜(101)이 전자 장치(100)로부터 분리가 된 상황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펜(101)의 상단의 버튼(101a)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도 12b의 (12-d)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1220)과 중첩되어 메모 화면(1250)이 반투명하게 다시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메모 화면(1250)에는 도 12의 (12-a)에서 표시된 드로잉 결과(1251) 또는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잉 색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메모 화면에 드로잉 색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3a에서, 메모 화면(1350)에는, 드로잉 색을 변경할 수 있는 색 변경 UI(1355)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3a의 (13-a)와 같이, 사용자는 색 변경 UI(1355)에 포함된 색들 중 일 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기존의 드로잉 색이 제1 색(예: 하얀색)이었다면, 사용자는 제2 색(예: 노란색)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색을 제1 색에서 제2 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드로잉 색이 변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 화면(1350) 상에 드로잉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도 13a의 (13-b)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2 색의 드로잉 결과(1351)가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3b의 (13-c)와 같이, 메모 화면(135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자 펜(101)의 버튼(101a)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펜의 버튼(1301)을 누를 때마다, 색 변경 UI(1355)에 포함된 색들 중 일 색이 순차적으로 하이라이트되며, 프로세서(120)는 드로잉 색을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드로잉 색이 변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모 화면(1350) 상에 드로잉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도 13b의 (13-d)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변경된 색의 드로잉 결과(1352)가 표시되도록 터치 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흐름도이다.
동작 1401에서, 전자 장치(10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403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입력은 메모 화면에서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은, 메모 화면에서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기반하여 드로잉하거나, 상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드로잉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1403-Yes), 동작 1405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메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기능 항목들 중에서 일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메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기능 항목들은, 예로, 제1 컨텐츠를 상기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 제1 컨텐츠를 클립보드에 임시 복사하는 항목, 제1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항목 기능 또는 제1 컨텐츠를 제3자에게 공유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컨텐츠를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메모 어플리케이션으로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1407에서,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을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 화면 상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1 실행 화면을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1409에서, 전자 장치(100)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411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1411-Yes), 동작 1413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메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모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전환하는 화면 선택 UI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에 링크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메모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1 컨텐츠 또는 제2 컨텐츠와 링크된 정보에 기반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는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투명도 조절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투명도 조절 UI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500) 내의 전자 장치(15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500)에서 전자 장치(1501)는 제1 네트워크(15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5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5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504) 또는 서버(15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1)는 서버(15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5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1)는 프로세서(1520), 메모리(1530), 입력 장치(1550), 음향 출력 장치(1555), 표시 장치(1560), 오디오 모듈(1570), 센서 모듈(1576), 인터페이스(1577), 햅틱 모듈(1579), 카메라 모듈(1580), 전력 관리 모듈(1588), 배터리(1589), 통신 모듈(1590), 가입자 식별 모듈(1596), 또는 안테나 모듈(15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5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560) 또는 카메라 모듈(15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5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5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5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5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5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576) 또는 통신 모듈(15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5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5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5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20)는 메인 프로세서(15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5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523)은 메인 프로세서(15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523)는 메인 프로세서(15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5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5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5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5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521)와 함께, 전자 장치(15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560), 센서 모듈(1576), 또는 통신 모듈(15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5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580) 또는 통신 모듈(15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30)(예: 도 1의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520) 또는 센서모듈(15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5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30)는, 휘발성 메모리(15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5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540)은 메모리(15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542), 미들웨어(1544) 또는 어플리케이션(15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50)는, 전자 장치(15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5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5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5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560)는 전자 장치(15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5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5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560)가 터치 회로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 장치(1560)는 터치 스크린(예: 도 1의 터치 스크린(110))으로 칭할 수도 있다.
오디오 모듈(15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570)은, 입력 장치(15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5), 또는 전자 장치(15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576)은 전자 장치(15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5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77)는 전자 장치(15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5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5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5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5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5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5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5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588)은 전자 장치(15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589)는 전자 장치(15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5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90)은 전자 장치(15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502), 전자 장치(1504), 또는 서버(15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90)은 프로세서(15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590)은 무선 통신 모듈(15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5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5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5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5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5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598) 또는 제 2 네트워크(15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5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5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5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598) 또는 제 2 네트워크(15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5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5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5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 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599)에 연결된 서버(15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5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5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502, 1504) 각각은 전자 장치(15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5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502, 1504, or 15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5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5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5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5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0), 전자 장치(15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메모리(130), 내장 메모리(1536) 또는 외장 메모리(15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5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0), 전자 장치(15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프로세서(15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 전자 장치 110 : 터치 스크린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메모 화면 상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모 화면에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모 화면에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기반하여 드로잉하거나, 상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드로잉하는 사용자 입력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입력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전환하는 화면 선택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링크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모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와 링크된 정보에 기반한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투명도 조절 UI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투명도 조절 UI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항목들 중에서 일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항목들은,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 상기 제1 컨텐츠를 클립보드에 임시 복사하는 항목, 상기 제1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항목 또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제3자에게 공유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사용자 입력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고,
    상기 메모 화면 상에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모 화면에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인,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모 화면에서,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역에 기반하여 드로잉하거나, 상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드로잉하는 사용자 입력인,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사용자 입력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전환하는 화면 선택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링크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메모 화면에 포함된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와 링크된 정보에 기반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투명도 조절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투명도 조절 UI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메모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 시에,
    상기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는 기능 선택 UI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항목들 중에서 일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항목들은,
    상기 제1 컨텐츠를 상기 메모 화면에 표시하는 항목, 상기 제1 컨텐츠를 클립보드에 임시 복사하는 항목, 상기 제1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항목 또는 상기 제1 컨텐츠를 제3자에게 공유하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제1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1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실행 화면이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화면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중첩하여 포그라운드에서 반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실행 화면에 포함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반투명한 상기 메모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전자 장치가 수행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90026145A 2019-03-07 2019-03-07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Active KR102760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45A KR102760970B1 (ko) 2019-03-07 2019-03-07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PCT/KR2020/003263 WO2020180167A1 (ko) 2019-03-07 2020-03-09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US17/436,844 US12033252B2 (en) 2019-03-07 2020-03-0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45A KR102760970B1 (ko) 2019-03-07 2019-03-07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274A true KR20200107274A (ko) 2020-09-16
KR102760970B1 KR102760970B1 (ko) 2025-02-03

Family

ID=7233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145A Active KR102760970B1 (ko) 2019-03-07 2019-03-07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033252B2 (ko)
KR (1) KR102760970B1 (ko)
WO (1) WO2020180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1672B (zh) * 2020-12-16 2023-12-0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应用流量控制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743A (ko) * 2006-12-29 2009-09-14 노키아 코포레이션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KR101315957B1 (ko) * 2012-05-21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056B1 (ko) * 2011-09-20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40008987A (ko) 2012-07-13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
US9898186B2 (en) 2012-07-13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pen and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019206A (ko) 2012-07-13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40092459A (ko) 2012-12-28 2014-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 레이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WO2014010998A1 (en) 2012-07-13 201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memo layer and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08985A (ko) 2012-07-13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40040379A (ko) 2012-09-26 201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JP6014170B2 (ja) * 2013-01-04 2016-10-25 株式会社Uei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更新プログラム
KR20140130854A (ko) 2013-05-02 2014-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89447B1 (ko) 2013-06-04 2020-03-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2097639B1 (ko) 2013-11-05 2020-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80796A (ko) 2014-01-02 2015-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72343B1 (ko) * 2014-10-13 202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95145B1 (ko) * 2014-12-22 202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 보안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743A (ko) * 2006-12-29 2009-09-14 노키아 코포레이션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KR101315957B1 (ko) * 2012-05-21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0167A1 (ko) 2020-09-10
KR102760970B1 (ko) 2025-02-03
US12033252B2 (en) 2024-07-09
US20220180582A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252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94718B1 (ko)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CN105683895B (zh) 提供用户交互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CN105335001B (zh) 具有弯曲显示器的电子设备以及用于控制其的方法
JP6478181B2 (ja) 携帯端末と外部表示装置の連結運用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装置
US9684379B2 (en) Computing system utilizing coordinated two-hand command gestures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KR102264444B1 (ko)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2080146B1 (ko)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5986484B2 (ja) 携帯端末、ロック状態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ロック状態制御方法
US12039161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touch screen displays and screen division method
KR201801346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60408A1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with external display devic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200379946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igrating data to a first device during a new device set-up workflow
CN106681620A (zh) 一种实现终端控制的方法及装置
KR102327205B1 (ko)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콘텐트 공유 시스템
KR101559091B1 (ko)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691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US20200089362A1 (en) Device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touch sensing and touch pressure sensing
KR10276097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2266191B1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382074B1 (ko)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165388B1 (ko) 이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KR20120078816A (ko) 가상 터치 포인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11580706A (zh) 提供用户交互的电子设备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3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