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06977A - 절연 글레이징 및 창 - Google Patents

절연 글레이징 및 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977A
KR20200106977A KR1020207024203A KR20207024203A KR20200106977A KR 20200106977 A KR20200106977 A KR 20200106977A KR 1020207024203 A KR1020207024203 A KR 1020207024203A KR 20207024203 A KR20207024203 A KR 20207024203A KR 20200106977 A KR20200106977 A KR 20200106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ne
conductor
spacer
insulating glaz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386B1 (ko
Inventor
마르쿠스 네안더르
한스-베르너 쿠스터
궤나엘 모르방
니콜라스 코렌
아리안 바이슬러
크리스토퍼 마르얀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00106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3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6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specially adapted for units comprising more than two panes or for attaching intermediat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2003/663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with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유리 요소(1),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4, 4'),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 5')를 갖는 절연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스페이서(4, 4') 및 커넥터(5, 5')는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이로써 공통의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되며, 여기서 스페이서(4, 4') 및 커넥터(5, 5')는 제1 판유리 요소(1)를 수용하고 배치한다. 제1 전도체 요소(6.1)를 통해 외부 전원과 제1 판유리 요소(1)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도록 커넥터(5, 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전도성 전도체 요소(6.1)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절연 글레이징을 갖는 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연 글레이징 및 창
본 발명은 절연 글레이징(insulating glazing)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삼중 글레이징(triple glazing) 또는 다중 글레이징(multiple glazing) 및 그러한 절연 글레이징을 갖는 창(window)에 관한 것이다.
절연 글레이징은 보통 적어도 두 개의 판유리 요소들 및 이들 판유리 요소들 사이에 배열된 원주형 스페이서 프레임을 포함한다. 판유리 요소들은 씰(seal)을 통해 스페이서 프레임에 연결되어 단단히 밀봉된 판유리 중간 공간이 생성된다. 이 판유리 중간 공간은 잘 밀봉되어 이상적으로는 수분이 침투할 수 없으며, 가스 충전이있는 경우 이상적으로는 가스 충전이 새나갈 수 없다.
소위 활성(active) 글레이징 또는 기능성(functional) 글레이징은 조명 글레이징, 전기 선스크린 또는 블라인드가 있는 글레이징, 달리 또는 개별적으로 전환 가능한, 또는 이와 유사한 구역을 갖는 글레이징 등을 포함하는 전환 가능한 글레이징들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절연 글레이징 형태의 활성 글레이징 또는 기능성 글레이징의 경우, 기능성 코팅 또는 유닛은 판유리 중간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서 내부 판유리 중간 공간의 밀봉으로 인해 습기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글레이징에 적합한 전력 공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류 운반 전도체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류 전도체는 절연 글레이징 또는 창의 씰을 통해 라우팅된다.
전류 전도체들의 준비 및 배열은 수동으로 수행되므로 절연 글레이징 또는 창을 생산하는데 시간이 많이 들고 비용이 많이 든다. 많은 전류 전도체들은 씰을 통해 라우팅되어야 하므로 액체 및 가스 누출에 대한 많은 가능한 결점들도 생긴다.
활성 글레이징은 기능성 요소를 포함하며, 전형적으로 두 표면 전극 사이에 활성층을 포함한다. 활성층의 광학 특성은 표면 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 20120026573 A1 및 WO 2012007334 A1로부터 공지된 전기채색(electrochromic) 소자가 그 예이다. 예를 들어 EP 0876608 B1 및 WO 2011033313 A1로부터 공지된 SPD 요소(suspended particle device,부유 입자 장치)가 다른 예이다. 전기채색 또는 SPD 요소를 통한 가시광의 투과율은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압은 일반적으로 표면 전극에 적용되고 적절한 연결 케이블을 통해 전압원에 연결된 소위 버스바(busbars)를 통해 적용된다.
활성 글레이징이 있는 절연 글레이징에서 절연 글레이징의 충분한 품질과 서비스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전압 공급은 기밀(gas-tight) 및 수밀(water-tight)로 설계되어야 한다. WO 2017/106458 A1에서, 전기 공급선 그 자체는 관련된 요소들의 열 팽창이 다를 경우 상대적인 움직임들에 대해 더 높은 허용오차를 갖도록 형태와 크기가 설계된다. 그러나, 공급선 그 자체는 접착 및 밀봉에 사용되는 일차 실란트(primary sealant)를 통해 스페이서와 인접한 판유리 사이에서 만들어진다. 절연 글레이징의 에지 씰(edge seal)을 통한 이러한 케이블 라우팅은 항상 잠재적결점을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레이징의 간단하고 경제적인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개선된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절연 글레이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합한 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 1 및 12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및 창에 의한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 및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종속항들 및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온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특히 삼중 글레이징 또는 다중 글레이징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유리 요소,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제공되고,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서로 옆에 배치되어 공통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다. 스페이서와 커넥터는 제1 판유리 요소를 수용하고 위치하도록 한다. 커넥터는 제1 도체 요소를 통해 외부 전원과 제1 판유리 요소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전도성 도체 요소를 갖는다.
본 발명은 기능성 글레이징 또는 활성 글레이징에 전기 에너지를 구체적으로 공급하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의해, 절연 글레이징의 특정 지점들에서 기능성 판유리까지 전기 에너지의 도입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커넥터에 의해 기능성 판유리 요소의 전체 표면을 따라 균일한 전원 공급이 달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절연 글레이징 또는 절연 글레이징 또는 활성 글레이징을 갖는 창을 제조하는데 요구되는 노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절연 글레이징의 기밀성을 최적화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유리 요소,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제공되고, 스페이서와 커넥터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공통의 길이 방향 축을 연장된다.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제1 판유리 요소를 수용하고 위치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글레이징은 외부 판유리 요소들을 스페이서 및 커넥터에 접착하기 위한 제1 밀봉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밀봉 요소는 외부 판유리 요소들 사이의 판유리 중간 공간의 밀봉을 보장한다. 또한, 절연 글레이징은 바람직하게는 제2 밀봉 요소를 포함하고, 그것은 스페이서와 윈도우 프레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커넥터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외부 판유리 요소들은 외부 환경에 관련되는 판유리 중간 공간을 구분하는 판유리 요소들이다.
제1 판유리 요소는 특히 절연 글레이징 또는 창의 전기적으로 활성화되거나 활성화 가능한 판유리 요소로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제1 판유리 요소는 전기적으로 활성이거나 활성화 가능한 판유리 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채색 판유리 요소, 액정 판유리 요소, TFT 또는 LCD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 가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갖는 판유리 요소 등일 수 있다.
스페이서는 특히 절연 글레이징들을 위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스페이서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유리 요소는 스페이서 상에 또는 스페이서 내에 배열된다.
또한, 스페이서는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플라스틱 또는 유사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유사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의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스페이서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은 적합한 창 프레임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창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유리 요소를 갖는 절연 글레이징을 적절하게 둘러싸는 것으로서 제공된다.
특히, 절연 글레이징 또는 창 프레임은 창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는 제1 판유리 요소의 에지 영역 또는 측면 에지를 따라 제공된다. 절연 글레이징의 한 측면 에지를 따라 복수의 스페이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페이서들이 절연 글레이징의 모든 측면 에지들을 따라 배열되는 것이 제공된다.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공통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즉 길이 방향으로 차례대로 제공된다. 이런 맥락에서, 스페이서와 커넥터의 횡단면 표면은 서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가 판유리 요소의 측면 에지를 따라 두 개의 스페이서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커넥터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소위 코너 요소 또는 코너 커넥터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코너 커넥터들은 또한 스페이서의 실시예로 간주된다.
특히, 임의의 복수의 커넥터들 및 대응하는 복수의 스페이서들이 서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제1 판유리 요소의 측면 에지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스페이서들 및 커넥터들은 제1 판유리 요소가 수용되고 위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추가적인 판유리 요소들, 특히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가 제공되는 경우, 절연 글레이징의 개별 판유리 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된다.
절연 글레이징 또는 삼중/다중 글레이징 또는 활성 글레이징을 갖는 창과 관련하여, 스페이서가 판유리 요소들의 모든 측면 에지들을 따라 배열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의도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판유리 요소의 하부 측면 에지 및/또는 상부 측면 에지에는, 각각의 경우에 두 개의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는 스페이서에 필적하는 길이를 갖거나 실질적으로 더 짧을 수 있다. 특정 응용 분야에 따라 개별 커넥터의 치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제1 판유리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추가되는 제2 판유리 요소 사이의 간격을 위해 사용된다.
제2 판유리 요소는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반대쪽에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삼중 글레이징에 관련해서, 제1,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는 스페이서 및 커넥터를 따라 제공될 수 있고, 스페이서 및 커넥터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대응하는 개수의 판유리 요소들을 갖는 다중 글레이징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는 적어도 제1 전기 전도성 전도체 요소를 갖고 있으며 이로써 외부 전원과 제1 판유리 요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제1 전도체 요소를 통해 형성된다.
특히, 커넥터 또는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도체 요소를 통해 외부 전류 전도체에 대한 연결 또는 외부 전원의 케이블 연결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전기 전도성 전도체 요소"는 커넥터에 의해 수용될 수 있거나, 커넥터의 재료에 적용될 수 있거나, 커넥터의 재료에 통합될 수 있는 임의의 전류 전달 요소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전도체 요소는 전기 전도성 케이블, 스트랜드(strand), 와이어, 전기 전도성 코팅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체 요소가 케이블로 수용되거나 커넥터에 일체로 성형되어서 전기 에너지가 제1 판유리 요소로 전달될 수 있는 것으이 가능하다.
케이블 또는 와이어 또는 스트랜드는 커넥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거나 성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넥터가 전기 전도성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도체 요소는 커넥터에서 통합 전도체 요소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는 커넥터를 통해 제1 판유리 요소로 전송될 수 있다. 더욱이, 커넥터는 전기적 에너지가 외부로부터 결합될 수 있고 커넥터를 통해 제1 판유리 요소로 적절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 부분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레이저 패터닝(laser patterning) 공정, 접착 공정,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 3D 프린팅, 공압출(coextrusion) 공정, 결합된 금속/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 또는 유사한 공정에서 전도체 상에 이러한 전기 전도성 코팅을 제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외부 전원"은 특히 전류 또는 전압 소스, 배터리, 태양 전지, 펠티어(Peltier) 요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원"은 필요에 따라 충분한 전압으로 기능성 글레이징 또는 활성 글레이징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모든 유형의 전류 소스를 의미한다.
또한, 하나의 커넥터는 서로 다른 전압들 또는 전위들이 하나의 커넥터에 의해 관련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1 판유리 요소로 전송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전도체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전압은 커넥터의 하나의 전도체 요소를 통해 커넥터로 도입되고 복수의 전도체 요소를 통해 제1 판유리 요소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기 연결들의 유리한 감소가 달성될 수 있는 한편, 절연 글레이징 내에서 임의의 원하는 전위 분포 또는 상이한 전위가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의해, 제1 판유리 요소의 한 측면 에지를 따라, 활성 또는 기능성 글레이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기 에너지의 선택적이고 균일한 전송이 유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절연 글레이징의 씰(seal)은 시스템의 기밀성이 보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영역에 독점적으로 관통된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따라 전용 전류 커플링을 사용함으로써, 활성 글레이징 또는 기능성 글레이징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노력이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은 창 프레임에 연결되며, 여기서 창 프레임은 에어 갭(air gap)을 형성하기 위해 절연 글레이징과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거리를 두고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판유리 요소가 제1 판유리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도체 표면을 갖도록 제공되고, 여기서 제1 전도체 요소는 제1 전도체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1 판유리 측면은 제1 판유리 요소의 활성화 가능한 판유리 측면이거나 제1 판유리 요소는 제1 판유리 측면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을 구비한대응하는 창의 의도된 사용 상태에서, 제1 판유리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안쪽으로 향하는 판유리 측면이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도체 표면이 전도체 요소를 기능성 제1 판유리 요소와 전기적 커플링을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전도체 표면에 의해, 특히 최소한의 전기 저항으로 전도체 요소와 제1 판유리 요소 사이의 최적의 전기 전송 또는 전송 저항이 제공된다.
전도체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은 페이스트(silver paste) 또는 은 페이스트 프린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도체 요소와 제1 판유리 요소의 유리한 전기적 커플링을 위해 유사한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도체 표면이 구리 전도체 트랙 또는 유사한 재료로 설계되고, 전도체 표면이 제1 판유리 요소에 접착되거나 납땜되거나, 초음파 본딩에 의해 판유리 요소에 배치되고 그와 결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도체 표면은 제1 판유리 요소 또는 제1 판유리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판유리 요소의 측면 에지를 따라 연장되며 이로서 커넥터의 전도체 요소로부터 전위가 전도체 표면을 통해 판유리 요소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기적 활성인 또는 활성화 가능한 제1 판유리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요소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그리고 즉시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개별적인 전도체 표면들과 제1 판유리 요소에 대한 적용이 필요하지 않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제1 판유리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그루브(recieving groove)을 형성한다.
특히, 삼중 글레이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의 경우,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제1,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가 서로에 대해 수용되고 위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연결 상태에서 공통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서로 정렬되는 수용 그루브를 갖는다. 따라서, 제1 판유리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수용 그루브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판유리 요소 및 제3 판유리 요소는 스페이서와 커넥터의 대향 외측들에 배열된다. 스페이서의 반대쪽 외측면들은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들과의 접착을 위해 제공된 스페이서의 표면들이다.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는 밀봉된 판유리 중간 공간이 생성되도록 제1 밀봉 요소를 통해 스페이서 및 커넥터에 결합된다. 완성된 창에서 창 프레임의 방향을 향하는 스페이서 및 커넥터의 측면에는 판유리들을 접착하는 역할을 하고 절연 글레이징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제2 밀봉 요소가 배열된다. 이는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 사이의 판유리 중간 공간에서 멀어지는 스페이서의 측면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오직 제2 밀봉 요소 만이 전도체 요소에 의해 관통된다. 제1 밀봉 요소는 전도체 요소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다. 이것은 절연 글레이징의 밀봉을 향상시킨다.
다중 글레이징의 경우, 스페이서 및 커넥터에는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복수의 수용 그루브들이 제공된다.
또한, 진동 등을 감쇠시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그루브에 제1 판유리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감쇠 재료를 삽입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감쇠 재료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일 수 있다.
제2 판유리 요소 및 제3 판유리 요소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및 커넥터의 대향 외측을 따라 제공된다.
사용을 위해 조립된 상태에서 제2 판유리 요소는 내부 판유리 요소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제3 판유리 요소는 외부 판유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두 개의 판유리 요소들을 갖는 절연 글레이징의 경우,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는 스페이서 또는 커넥터의 대향 외측들에 배열된다.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페이서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배열된 하나 또는 복수의 커넥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이 있는 창을 위한, 특히 삼중 글레이징 창을 위한 판유리 요소의 적절한 위치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도체 표면은 스페이서 및/또는 커넥터의 수용 그루브에 수용되는 제1 판유리 요소의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도체 표면은 기능성 제1 판유리 요소를 따라 연장되어 이로써 전도체 표면이 스페이서 또는 커넥터의 수용 그루브에 은폐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표면은 제1 판유리 요소의 관련 측면 에지의 바로 근처에 제공될 수있다.
유리하게는, 전도체 표면 또는 제1 판유리 요소의 전기적 결합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특히 창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에 의해 미적으로 전체적인 인상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체 요소 또는 상이한 전도체 요소들에 연결하기 위해 제1 판유리 요소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전도체 표면들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공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전도체 표면들이 제1 판유리 표면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도체 요소에 연결된 둘 이상의 전도체 표면들이 제1 판유리 표면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판유리 요소를 따라, 다양한 전도체 표면들을 통해 기능성 제1 판유리 요소에 상이한 전위가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전도체 표면들이 동일한 전도체 요소에 연결되거나 동일한 전위를 받는 경우, 제1 판유리 요소의 측면 길이에 걸쳐 전위의 균일한 분포가 대안적으로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전도체 표면들은 제1 판유리 요소의 측면 에지를 따라 분포되어 배열된다. 전도체 표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또는 커넥터의 수용 그루브에 수용되는 제1 판유리 요소의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전도체 표면들이 수용 그루브 방향으로 서로 뒤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전도체 표면들은 판유리 요소 또는 제1 판유리 표면상에서 서로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전도체 표면들이 서로 배열 또는 인쇄되고 삽입된 절연 층들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체 표면들의 적층 배열도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판유리 요소를 따라 복수의 전도체 표면들을 배열하기 위한 옵션들의 조합이 본 발명의 맥락에서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recess)를 가지며, 이를 통해 제1 판유리 요소의 전도체 표면들 중 하나에 연결하기 위한 전도체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라우팅된다. 오목부는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둥근, 각진, 긴 오목부 또는 커넥터 벽의 개구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오목부는 적절한 방식으로 커넥터의 벽에 도입되고, 예를 들어 커넥터의 벽으로 드릴링되거나, 밀링디거나 또는 절단될 수 있거나 커넥터의 제조시에 이미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절연 글레이징에는 1 개의 전도체 요소, 2 개의 전도체 요소, 3 개의 전도체 요소, 4 개의 전도체 요소 또는 임의의 개수의 전도체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대응하는 수의 전도체 요소들 및 전도체 표면들이 제1 판유리 요소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기다란 형상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에 절개부로서 구현된다. 이것은 측면에서 오목한 부분으로 단순히 밀어 넣음으로써 특히 간단한 생산과 특히 전도체 요소를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커넥터가 케이블 또는 전기 전도성 와이어 또는 케이블 스트랜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요소를 적절하게 설계된 오목부에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커넥터를 생산한 후 절연 글레이징을 조립하는 동안, 전도체 요소를 커넥터에 삽입하고 위치를 지정하고 제1 판유리 요소와 외부 전원에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요소는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와의 조립 전 또는 후에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체 요소는 외부 전원 또는 외부 전류 케이블들과 제1 판유리 요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간단한 방식으로 커넥터 상에 배열되거나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요소는 커넥터의 생산 동안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통해 이미 라우팅된다. 이는 특히 압출 공정 또는 사출 성형 공정 중에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의 기밀성은 특히 높다.
커넥터가 본질적으로 스페이서의 단면 구조를 갖도록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및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연결되기 위해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삼중 글레이징 또는 다중 글레이징의 제1 판유리 요소를 위한 공통 수용 그루브가 생성될 수 있다.
커넥터와 스페이서는 커넥터가 외부 전원과 제1 판유리 요소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기능이 다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커넥터는 스페이서의 단면 구조로 부터 약간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는 예를 들어 케이블 또는 스트랜드의 형태로 전도체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로 설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갖는다. 특히, 커넥터 및 스페이서 단면의 윤곽은 바람직하게는 일치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에 대한 스페이서의 논-포지티브(non-positive, 비-양) 및/또는 포지티브(positive, 양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논-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절연 글레이징의 판유리 요소의 안전한 조립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및 커넥터의 기본 구조는 각각의 경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갖는다.
특히, 스페이서와 커넥터는 각각의 경우 중공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는 스페이서 및 커넥터의 중공 공간에 삽입되어 논-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상용 스페이서 연결에 적합한 기존의 플러그 커넥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는 스페이서와 함께 고정된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와 함께 고정 유닛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창 또는 상응하는 파사드(facade)를 제조하기 위한 조립 노력이 덜 요구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의 기본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포함하고 커넥터는 스페이서의 중공 공간으로 도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insertion legs)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의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으로 도입될 수 있는 삽입 레그들은 커넥터의 양측에 배열되며, 특히 논-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커넥터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조립 노력과 재료 지출이 적게 요구된다.
커넥터가 사이에 위치된 다중 스페이서들은 창 프레임 또는 창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을 형성하도록 유리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글레이징은 제1 밀봉 요소 및 제2 밀봉 요소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요소는 제1 판유리 요소에 대한 외부 전원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제2 밀봉 요소를 통해서 독점적으로 연장되고 커넥터 영역의 제1 밀봉 요소를 통하지 않는다. 제1 밀봉 요소 및 제2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일체로 구현된다.
제1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판유리 요소들을 접합하고 스페이서 및 커넥터의 외부 측면들에서 절연 글레이징을 밀봉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런 맥락에서, 제1 밀봉 요소는 각각의 경우 스페이서 또는 커넥터의 두 개의 외부 측면들에 배열된다.
제1 밀봉 요소는 부틸(butyl) 밀봉 요소 등일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1 밀봉 요소는 제1 판유리 요소의 전기적 결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연속되는 씰로서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창 프레임에 대해 절연글레이징을 밀봉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창 프레임은 예를 들어 에어 갭을 형성하기 위해 제2 밀봉 요소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밀봉 요소는 판유리 요소들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스페이서 또는 커넥터의 한 측면을 따라 제공된다.
제2 밀봉 요소는 폴리 우레탄, 폴리 설파이드,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밀봉 요소 및 제2 밀봉 요소는 하나의 판유리 요소의 한 측면 에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판유리 요소들의 각각의 측면 에지들의 전체 길이를 따라 서로 연결된 스페이서 및 커넥터 위로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영역에서, 제2 밀봉 요소는 커넥터 또는 전도체 요소에 의해 외부 전원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번 관통되거나 통과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요소에 의해서만 커넥터의 영역 내로 관통되는 제1 밀봉 구성 요소가 아닌 제2 밀봉 구성 요소만을 위해 제공한다. 제2 밀봉 구성 요소만이 전도체 요소에 의해 커넥터의 영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커넥터는 제1 씰의 관통이 필요하지 않고 제1 판유리 요소의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이것은 전기적 연결이 제1 및 제2 씰들의 관통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기술의 글레이징에 비해 절연 글레이징의 기밀성을 실질적으로 개선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체 요소가 제2 밀봉 요소에서 주조되거나 제2 밀봉 요소로 성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글레이징, 특히 판유리 요소들 사이의 판유리 중간 공간의 기밀성이 보장된다. 또한 절연 글레이징을 생산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필요한 노력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동등한 측면은 창,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을 갖는 절연 글레이징 창 또는 삼중 글레이징 창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스페이서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기능적 제1 판유리 요소에 대한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창의 가스 및 액체 기밀성을 최적화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창의 생산을 위한 노동력과 비용 지출의 절감을 마찬가지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된다.
도식적으로, 다음을 묘사한다:
도 1은 삼중 글레이징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개요 이며;
도 2a, b는 도 1의 제1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등각 정면도이며;
도 3은 이중 글레이징을 구비한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등각 정면도이다.
도 1은 절연 글레이징, 특히 삼중 글레이징의 제1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개요를 도시한다. 특히, 절연 글레이징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절연 글레이징은 제1,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1, 2, 3)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절연 글레이징은 커넥터(5)를 갖는다. 커넥터(5)에 연결된 스페이서(4)는 도 1에서 보이지 않거나 제2 판유리 요소(2)에 의해 숨겨져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 1의 절연 글레이징은 삼중 절연 글레이징으로서 구현된다.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는 삼중 절연 글레이징의 세 개의 판유리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해 편리하게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판유리 요소(2)는 내부 판유리인 반면, 제3 판유리 요소(3)는 외부 판유리이다. 중앙에 배열된 제1 판유리 요소(1)는 활성 또는 기능형 판유리 요소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의 절연 글레이징은 전기채색 글레이징 또는 액정 글레이징일 수 있으며, 특히 제1 판유리 요소(1)는 기능성 판유리 요소이다.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2, 3)은 스페이서(4) 또는 커넥터(5)의 외부 측에 배치된다. 제1 판유리 요소(1)는 스페이서(4) 또는 커넥터(5)의 수용 그루브(7)에 수용되고 위치된다.
커넥터(5)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밀봉 구성 요소(9.2)는 커넥터(5)와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2, 3) 사이에 나타난다. 특히, 제2 밀봉 구성 요소(9.2)는 제1 판유리 요소(1)로 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측면에서 커넥터 (5)의 폭을 따라 연장된다.
제2 밀봉 요소(9.2)는 특히 절연 글레이징의 기계적 안정성 및 절연 글레이징의 밀봉을 증가 시키도록 의도된다. 제2 밀봉 요소(9.2)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구현된다.
또한, 그림 1은 커넥터(5)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외부 전류 전도체들 또는 외부 케이블들(13.1, 13.2)을 보여준다. 특히, 외부 전류 전도체들(13.1, 13.2)은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절연 글레이징을 외부 전원에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절연 글레이징의 사용과 관련하여, 절연 글레이징은 창 프레임에 의해 적절하게 둘러 싸이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창 프레임은 제2 밀봉 요소(9.2)에 연결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제2 밀봉 요소(9.2)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의 절연 글레이징의 제1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커넥터(5)는 스페이서(4)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plug-in) 커넥터(도 2a, 2b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행해지며,스페이서(4)의 중공 공간들(12) 및 커넥터(5)에 삽입된다.
도 2a와 관련하여, 장치는 제1 판유리 요소(1)의 측면 에지를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커넥터들(5)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경우에 스페이서들(4) 사이에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도 2a에 따르면, 제3 판유리 요소(3) 또는 제2 판유리 요소(2) (도 2a에 도시되지 않음)는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의 측면 상들에 제공된다.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2, 3)은 각각 커넥터(5) 및 스페이서(4)의 측면을 따라 제1 밀봉 요소(9.1)와 결합된다.
제1 밀봉 요소(9.1)는 부틸 본드(butyl bond) 또는 부틸 씰일 수 있다.
제2 밀봉 요소(9.2)는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의 폭을 가로 질러 제 2 및 제 3 판유리 요소(2, 3) 사이에 제공된다. 제2 밀봉 요소는 특히 절연 글레이징의 기계적 안정성 및 절연 글레이징의 밀봉을 증가 시키도록 의도된다.
제1 판유리 요소(1)는 공통 종축(X)을 따라 스페이서(4) 및 커넥터(5)에 의해 형성된 수용 그루브(7)에 배치된다. 수용 그루브(7)는 실질적으로 U 자형 또는 유사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판유리 요소(1)의 움직임을 감쇠시킬 뿐만 아니라 제1 판유리 요소(1)의 접합에 작용할 수 있는 충격 완화 재료(도 2a에 도시되지 않음)가 수용 그루브(7)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판유리 요소(1)는 도 2a에 따른 제1 기능성 판유리 면(1.1) 상에 제1 및 제2 전도체 표면(10.1, 10.2)을 갖는다. 제1 및 제2 전도체 표면(10.1, 10.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제1 판유리 요소(1) 상에 서로 공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1 판유리 요소(1)는 제1 판유리 면(1.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지 않음) 상에 전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또는 활성 코팅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판유리 요소(1)는 기능적 또는 활성화 가능한 판유리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전도체 표면(10.1, 10.2)은 제1 판유리 요소(1)의 측면 에지에 근접하여 제공된다. 특히, 전도체 표면(10.1, 10.2)은 커넥터(5)의 수용 그루브(7) 또는 스페이서(4)에 위치한 제1 판유리 요소(1)의 일부를 따라 배열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제2 및/또는 제3 판유리 요소(2, 3)를 따라 또는 제1 판유리 측면(1.1)의 반대쪽에 있는 제1 판유리 요소(1)의 판유리 측면을 따라 미적 외부 전체적인 인상을 얻을 수 있어, 스크린으로서 검은 색 인쇄 코팅을 생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전도체 표면(10.1, 10.2)은 제1 판유리 요소(1)의 측면 에지에 가능한 가깝게 배치된다.
필요한 경우, 도 2a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전도체 표면(10.1, 10.2)은 제1 판유리 요소(1)의 측면 에지로 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커넥터와의 조합의 경우에 유리하다.
도 2a에 따르면, 커넥터(5)는 두 개의 전도체 요소(6.1, 6.2)가 제공된다.
전도체 요소(6.1, 6.2)는 커넥터(5)의 긴 오목부들(recesses)(11)을 통해 제2 밀봉 구성 요소(9.2)로부터 제1 판유리 요소의 전도체 표면(10.1)까지 연장된다.
커넥터의 오목부들(11)은 종축(X) 방향으로 절개부로서 구현되고 전도체 요소(6.1, 6.2)의 통과에 사용된다. 전도체 요소(6.1, 6.2)는 도 2a에 따르면, 특히 전기 전도성 케이블 또는 스트랜드로 구현된다. 대안적으로, 전도체 요소(6.1, 6.2)는 전도체 트랙(tracks)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용 그루브(7) 내에서 전도체 요소들(6.1, 6.2)은 각각의 전도체 표면(10.1, 10.2)의 방향으로 V 자형 패턴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도체 표면(10.1,10.2)은 다양한 전도체 요소들(6.1, 6,2)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전위들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판유리 또는 기능성 제1 판유리 요소(1)의 상이한 기능들은 적용되는 전압에 따라 두 개의 전도체 요소(6.1, 6.2)를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전도체 요소(6.1, 6.2)는 커넥터(5)에 수용되고 제2 밀봉 구성 요소(9.2)의 방향으로 오목부들(11)을 통해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커넥터(5) 내에 전도체 요소(6.1, 6.2)를 통합하거나 커넥터(5)의 재료에 주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일 실시예는 특히 기밀성이 개선되고 제조하기 쉽다.
특히, 전도체 요소(6.1, 6.2)는 제2 밀봉 요소(9.2)를 독점적으로 통과하고 각각의 경우 외부 전류 케이블(13.1, 13.2) 중 하나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도체 표면(10.1)에 대한 전기적 연결(10.1, 10.2)은 전도체 요소(6.1, 6.2)를 갖는 커넥터(5)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체 요소들(6.1, 6.2)은 장치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2 밀봉 요소(9.2)에 주조된다.
따라서, 도 2a에 따른 외부 전류 케이블 또는 전류 전도체(13.1, 13.2)로부터 커넥터(5)를 통해 제1 판유리 요소(1)의 전도체 표면(6.1, 6.2)에 연결된 외부 전원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따른 제1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회전 투시도로 다시 도시한다.
특히, 제1 및 제2 전도체 요소(6.1, 6.2)는 각각의 경우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전도체 표면들(10.1) 중 하나에 연결된다. 전도체 표면들(10.1, 10.2) 및 전도체 요소들(6.1, 6.2)은 수용 그루브(7)를 따라서 그리고 제1 판유리 요소(1)를 따라서 분포되어 배치된다.
외부 전원 또는 외부 전원 케이블들(13.1, 13.2)과 제1 판유리 요소(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커넥터(5)의 전도체 요소(6.1, 6.2)를 통해서만 이루어 지므로, 절연 글레이징의 단순화된 생산이 보장된다.
또한, 커넥터(5)의 전도체 요소(6.1, 6.2)는 오직 짧은 거리에 걸쳐 제2 밀봉 요소(9.2)를 통과해야만 한다.
특히, 제1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들 또는 스트랜드들로 설계된 전도체 요소들(6.1, 6.2)이 케이블들 또는 스트랜드들로서 제2 밀봉 요소(9.2)에서 형성될 때, 절연 글레이징의 완전한 긴밀성은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밀봉 요소(9.1, 9.2)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에 따르면, 수용 그루브(7)은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에 실질적으로 중심 또는 대칭으로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수용 그루브(7)은 한쪽으로 이동되거나 비대칭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커넥터(5)는 비대칭으로 배열된 수용 그루브(7)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및 제3 판유리 요소(1, 3) 사이보다,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1, 2) 사이에 더 적은 거리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방음또는 소음 감쇠 값의 최적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이중 글레이징으로서 절연 글레이징의 제2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질적으로, 도 3에 따른 제2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이중 글레이징으로서의 설계 및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4')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 횡단면 구조의 관련 설계에서 도 1에 따른 제1 예시적인 일 실시예와 상이하다.
커넥터(5')는 스페이서(4')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5')는 두 개의 스페이서들(4')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에서, 절연 글레이징은 커넥터 (5')를 통한 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5')는 편의상 스페이서(4')와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실질적으로 더 짧게 구현될 수 있다.
커넥터(5') 및 스페이서(4')는 각각의 경우 중공 공간(12)으로 설계된다.
특히, 커넥터(5')와 스페이서(4')는 동일한 횡단면 구조를 갖는다. 커넥터(5') 및 스페이서(4')는 중공 공간들 속으로 도입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도 3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판유리 요소(1)는 제1 밀봉 요소(9.1)에 의해 커넥터(5')의 측면에 결합된다. 제2 판유리 요소(2)는 제1 밀봉 요소(9.1)에 의해 커넥터(5')의 반대쪽 외부 측에 부착되거나 결합된다.
도 3에 따른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1 판유리 요소(1)는 외부 판유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판유리 요소(1)의 기능성 제1 판유리 표면(1.1)은 절연 글레이징의 제2 판유리 요소(2)와 대면한다. 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2 판유리 요소(2)는 바람직하게는 절연 글레이징의 내부 판유리이다.
제2 밀봉 요소(9.2)는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의 폭을 따라 제1 및 제2 판유리 요소(1, 2) 사이에 제공되고 이로서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가 창 프레임에 대해 밀봉된다.
제1 및 제2 밀봉 요소(9.1, 9.2)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일체로 설계된다.
특히, 도 3의 절연 글레이징은 창을 위한 창 프레임 구조가 제2 밀봉 요소(9.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서로 간격에 배치된 두 개의 전도체 표면들(10.1, 10.2)은 제1 판유리 요소(1)의 제1 판유리 면(1.1)을 따라서 제공된다. 전도체 표면들(10.1, 10.2)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전도체 표면들(10.1, 10.2)은 바람직하게는 은 페이스트 프린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서 제1 판유리 요소(1)에 전위의 편리한 결합이 가능하다.
특히, 제1 및 제2 전도체 표면(10.1, 10.2)은 서로 다른 전위가 제1 및 제2 전도체 표면(10.1, 10.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게 제공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전도체 표면(10.1, 10.2)은 제1 판유리 요소(1)상의 제1 밀봉 요소 위에 배치된다. 미적으로 전체적인 인상을 달성하기 위해, 전도체 표면들(10.1, 10.2)이 절연 글레이징의 의도된 사용 상태에서 보이지 않도록, 예를 들어 제1 판유리 요소(1)를 따라 흑색 프린트가 제공될 수 있다.
전도체 요소(6.1, 6.2)는 각각의 경우에 제1 및 제2 전도체 표면(10.1, 10.2)에 결합된다. 상기 전도체 요소(6.1, 6.2)는 도 3에 따라 와이어 형상 전도체 요소 등으로 제공된다. 특히, 제1 및 제2 전도체 요소(6.1, 6.2)는 각각의 경우에 각각 제1 및 제2 전도체 표면(10.1, 10.2)에 결합하기 위한 아치형 부분을 갖는다.
전도체 요소들(6.1, 6.2)은 커넥터(5')에 또는 위에 장착되고 이로써
커넥터(5')를 통해 제1 판유리 요소(1)와 외부 전원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체 요소들(6.1, 6.2)은 중공 공간(12)을 갖는 커넥터(5') 및 제2 밀봉 구성 요소(9.2)를 통과한다. 제1 및 제2 전도체 요소(6.1, 6.2)만이 가능한 가장 짧은 경로로 제2 밀봉 요소(9.2)를 관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전도체 요소(6.1, 6.2)는 제 2 밀봉 요소(9.2)에서 형성된다.
도 3에 따르면, 전도체 요소들(6.1, 6.2)은 각 경우에 외부 전원의 외부 전류 전도체(13.1, 13.2)로 이어진다. 따라서, 커넥터(5')의 전도체 요소들(6.1, 6.2)에 의해, 제1 판유리 요소(1)에 대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별한 커넥터(5, 5')의 사용을 통한 본 발명에 따른 창에 의해서, 외부 전원과 제1 판유리 요소(1)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요소(6.1, 6.2), 및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표면(10.1, 10.2)을 사용하여, 제1 판유리 요소(1) 상에 전위의 균일한 도입이 수행될 수 있다.
동시에, 보다 낮춰지는 생산 노력과 줄어드는 생산 비용에 따라 개선된 밀봉이 보장된다.
1 제1 판유리 요소
1.1 제1 판유리 요소의 제1 판유리 측면
2 제2 판유리 요소
3 제3 판유리 요소
4; 4' 스페이서
5; 5' 커넥터
6.1 전도체 요소(conductor element)
6.2 전도체 요소
7 수신 그루브(receiving groove)
9.1 제1 밀봉 요소(first sealing component)
9.2 제2 밀봉 요소(second sealing component)
10.1 제1 전도체 표면
10.2 제2 전도체 표면
11 오목부(recess)
12 중공 공간(hollow space)
13.1 외부 전류 전도체
13.2 외부 전류 전도체
X 길이 방향 축(longitudinal axis)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유리 요소(1), 제2 판유리 요소(2) 및 제3 판유리 요소(3),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4),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밀봉 요소(9.1) 및 하나의 제2 밀봉 요소(9.2)를 갖는 절연 글레이징, 특히 삼중 글레이징 또는 다중 글레이징으로서, 스페이서(4) 및 커넥터(5)는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공통의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되며, 스페이서(4) 및 커넥터(5)는 제1 판유리 요소(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그루브(7)를 형성하고, 스페이서(4) 및 커넥터(5)는 제1 판유리 요소(1)를 수용 그루브(7) 내에 수용하고 위치하도록 하며, 그리고 커넥터(5)는 제1 전도체 요소(6.1)를 통해 외부 전원과 제1 판유리 요소(1)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기 전도성 전도체 요소(6.1)를 갖는, 절연 글레이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판유리 요소(1)는 제1 판유리 측면(1.1)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도체 표면(10.1)을 가지며, 여기서 제1 전도체 요소(6.1)는 제1 전도체 표면(1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전도체 표면(10.1)은 스페이서(4) 및/또는 커넥터(5)의 수용 그루브(7)에 수용되는 제1 판유리 요소(1)의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판유리 요소(1)를 따라서 복수의 전도체 표면들(10.1, 10.2)이 제1 전도체 요소(6.1) 또는 다양한 전도체 요소들(6.1, 6.2)에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요소(6.1, 6.2)는 커넥터(5) 영역의 제2 밀봉 요소(9.2)를 통해서만 독점적으로 연장되어 외부 전원을 제1 판유리 요소(1)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5)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1)를 갖으며, 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요소들(6.1, 6.2)이 제1 판유리 요소(1)의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표면들(10.1, 10.2)에 연결하기 위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5)는 근본적으로 스페이서(4)의 횡단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4)와 커넥터(5)의 논-포지티브(non-positive) 및/또는 포지티브(positive) 연결을 위해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9. 제8항에 있어서,
    스페이서(4) 및 커넥터(5)의 기본 구조는 각각의 경우에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hollow space)(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5)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insertion leg)를 포함하며 스페이서(4)의 기본 구조는 논-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삽입 레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밀봉 요소(9.1) 및 제2 밀봉 요소(9.2)는 각각의 경우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을 갖는 창.
KR1020207024203A 2018-01-22 2019-01-08 절연 글레이징 및 창 Active KR102515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20085P 2018-01-22 2018-01-22
US62/620,085 2018-01-22
EP18158001.0 2018-02-22
EP18158001 2018-02-22
PCT/EP2019/050273 WO2019141532A1 (de) 2018-01-22 2019-01-08 Isolierverglasung und fen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977A true KR20200106977A (ko) 2020-09-15
KR102515386B1 KR102515386B1 (ko) 2023-03-30

Family

ID=6501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203A Active KR102515386B1 (ko) 2018-01-22 2019-01-08 절연 글레이징 및 창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492842B2 (ko)
EP (1) EP3743581A1 (ko)
JP (1) JP6989707B2 (ko)
KR (1) KR102515386B1 (ko)
CN (1) CN111601944A (ko)
AU (1) AU2019209098B2 (ko)
CA (1) CA3087431C (ko)
NZ (1) NZ766222A (ko)
RU (1) RU2741423C1 (ko)
WO (1) WO2019141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7035B1 (en) * 2017-10-30 2020-07-22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Space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WO2020007638A1 (de) 2018-07-04 2020-01-09 Saint-Gobain Glass France Abdeckelement für sammelschie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94Y2 (ja) * 1988-02-10 1994-07-0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導電膜付きの複層ガラス
JP2017105664A (ja) * 2015-12-08 2017-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層ガラス
KR20170129830A (ko) * 2015-04-22 2017-11-27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삼중 절연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5640A (en) * 1950-08-05 1953-01-13 Libbey Owens Ford Glass Co Multiple glass sheet glazing unit
LU45630A1 (ko) * 1964-03-11 1965-09-13
US3609293A (en) * 1969-08-01 1971-09-28 Ppg Industries Inc Electrically heated multiple glazed window
DE2113876C3 (de) * 1971-03-23 1974-02-14 Flachglas Ag Delog-Detag, 4650 Gelsenkirchen Heizbare Isolierglasscheibe
US4691486A (en) * 1982-04-29 1987-09-08 Frank Niekrasz Glass assembly for refrigerator doors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9544127C1 (de) 1995-11-27 1997-03-20 Gimsa Jan D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Resonanzerscheinungen in Partikelsuspensionen und ihre Verwendung
HUP0003020A3 (en) * 1996-12-05 2002-01-28 Sashlite Llc Westport Integrated multipane window unit and sash
US6115989A (en) * 1998-01-30 2000-09-12 Ppg Industries Ohio, Inc. Multi-sheet glazing uni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148563A (en) * 1999-03-25 2000-11-21 Hussmann Corporation Reach-in door for refrigerated merchandiser
RU20528U1 (ru) * 2001-07-17 2001-11-10 Карлов Сергей Георгиевич Стеклопакет
WO2012006422A1 (en) * 2010-07-08 2012-01-12 Gentex Corporation Automotive rearview mirror with capacitive switches
KR100628981B1 (ko) * 2004-01-03 2006-09-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선이 구비된 복층유리 창호
US7728260B2 (en) * 2005-06-07 2010-06-01 Johnson Steven X Warm window system
CN201202361Y (zh) * 2008-05-27 2009-03-04 威海利美佳功能窗有限公司 中空玻璃间隔框
RU80812U1 (ru) * 2008-10-03 2009-0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иркон-Сервис" Стеклоблок для окна пассажирского вагона
DE202008017966U1 (de) * 2008-12-20 2011-01-05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Optisch aktive Verglasung mit Überspannungsschutz
CN102388197B (zh) * 2009-04-07 2014-12-24 普罗沃博圣加伦股份公司 间隔复合玻璃板的玻璃的间隔垫块、复合玻璃板及其制造方法
GB0916379D0 (en) 2009-09-18 2009-10-28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glazing
KR101192679B1 (ko) * 2009-10-21 2012-10-19 (주)엘지하우시스 전극 연결 장치가 포함된 발열 복층 유리와 그 제조 방법
FR2962818B1 (fr) 2010-07-13 2013-03-08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himique a proprietes de transmission optique et/ou energetique electrocommandables.
US8164818B2 (en) 2010-11-08 2012-04-24 Soladigm, Inc. Electrochromic window fabrication methods
KR101648618B1 (ko) 2011-06-14 2016-08-16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 연결 요소를 구비한 단열 창유리
BE1020124A3 (fr) * 2011-07-20 2013-05-07 Agc Glass Europe Panneau de vitrage isolant comprenant au moins un espace interne comprenant un lame d'un gaz isolant.
WO2013038409A2 (en) 2011-09-12 2013-03-21 Pythagoras Solar Inc. Electrical joint
US9142945B2 (en) * 2012-06-05 2015-09-22 Sage Electrochromics, Inc. Electrical feed-through spacer and connectivity
EP3008270A1 (de) * 2013-06-14 2016-04-20 Saint-Gobain Glass France Abstandshalter für dreifachisolierverglasungen
JP6452822B2 (ja) * 2014-12-08 2019-01-16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複層ガラス
JP6395938B2 (ja) * 2014-12-08 2018-09-26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複層ガラス用のスペーサ
JP6671478B2 (ja) 2015-12-15 2020-03-25 セイジ・エレクトロクロミ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絶縁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及び電気フィードスルー
FR3049640A1 (fr) * 2016-03-31 2017-10-06 Saint Gobain Procede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un vitrage multiple
KR20190044122A (ko) * 2016-09-14 2019-04-2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US10801255B2 (en) * 2017-01-30 2020-10-13 Saint-Gobain Glass France Insulating glazing with increased breakthrough-resistance and an adapter element
EP3477035B1 (en) * 2017-10-30 2020-07-22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Space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CA3082577A1 (en) * 2017-11-17 2019-05-23 Glass Technology Gmbh Insulating glass unit with illumin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94Y2 (ja) * 1988-02-10 1994-07-0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導電膜付きの複層ガラス
KR20170129830A (ko) * 2015-04-22 2017-11-27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삼중 절연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17105664A (ja) * 2015-12-08 2017-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層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01944A (zh) 2020-08-28
EP3743581A1 (de) 2020-12-02
NZ766222A (en) 2023-02-24
CA3087431C (en) 2023-01-10
KR102515386B1 (ko) 2023-03-30
JP2021510786A (ja) 2021-04-30
US11492842B2 (en) 2022-11-08
AU2019209098A1 (en) 2020-07-09
JP6989707B2 (ja) 2022-01-05
WO2019141532A1 (de) 2019-07-25
AU2019209098B2 (en) 2021-07-15
RU2741423C1 (ru) 2021-01-26
CA3087431A1 (en) 2019-07-25
US20210032925A1 (en)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3613B2 (en) Corner connecto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with an electrical supply line
US11168514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s comprising an integrated ribbon cable
US10901286B2 (en) Spacers and connectors for insulated glass units
EP2805203B1 (en) Electrical connectivity within architectural glazing frame systems
KR102513687B1 (ko) 절연 글레이징, 윈도우 및 제조방법
US20210079716A1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s, comprising an electric feed line integrated into a hollow chamber
KR102515386B1 (ko) 절연 글레이징 및 창
JP2001098856A (ja) 複層ガラス
JPWO2019233761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