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510A - Double faced pan - Google Patents
Double faced pa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0510A KR20200100510A KR1020190047149A KR20190047149A KR20200100510A KR 20200100510 A KR20200100510 A KR 20200100510A KR 1020190047149 A KR1020190047149 A KR 1020190047149A KR 20190047149 A KR20190047149 A KR 20190047149A KR 20200100510 A KR20200100510 A KR 202001005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lling plate
- heat source
- heat
- plate
- hot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5000021168 barbecu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3 baked goods and baking mix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56 Product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5 indoor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이팬에 관한 것으로, 소정 높이를 갖으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있는 형태로써, 열원 위에 안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열원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의 상단 모서리와 하우징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단턱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구이판 사이에 형성되며 열원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체류하는 열기체류공간부와, 상기 열기체류공간부에 채워진 열기가 구이판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구이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기 인입홈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어 본체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와; 구이물이 상기 구이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이판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과 열기 인입홈을 통해 투입된 열기를 통해 구이물의 양면이 구워지도록 하는 석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구이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sting pan, wherein the top and bottom are opened and the sides are closed, and a housing mounted on a heat source and a roasting plate disposed on the top of the heat source inside the housing and heated by the heat source And, the heating plate is form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grilling plate by a stepped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edge of the grilling plat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hot air holding space portion in which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stays, and the heat filled in the hot air holding space A main body including one or more hot air inlet groove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rilling plat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grilling plate; A cover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to block the interior of the body from the outside; A grill tha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lling plate so as to prevent the grilled food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illing plate, and allows both sides of the grilled food to be baked through heat supplied from a heat source and heat input through the hot air inlet groove. It relates to a double-sided roasting pan characterized by.
일반적으로 육류, 어류, 떡, 야채 등의 구이물을 구워 먹을 때 사용되는 조리기구로는 불(화염)이나 전열장치 등으로 뜨겁게 가열된 표면에 음식을 접촉시켜 굽는 구이용 팬(pan)과 불에 직접 구이물을 굽는 오븐이나 그릴 등이 사용된다.In general, cooking utensils used when grilling meat, fish, rice cakes, vegetables, etc. are cooked by contacting the food on a heated surface with a fire (flame) or a heat exchanger, and direct heat to the fire. An oven or grill is used to bake baked goods.
상기 구이용 팬(pan)은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숯불 등으로 하부에서 열을 가하여 뜨겁게 만든 후 구이물을 얹어놓으면 뜨거워진 표면에 육류가 닿으면서 구워지게 된다.The pan for roasting is made hot by applying heat from the bottom with a gas stove, electric stove, charcoal fire, etc., and then, when roasted food is placed on top, the meat is baked while touching the heated surface.
상기 구이용 팬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소형이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이용 팬을 이용하여 조리시 육류를 태우지 않고 쉽고 빠르게 조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Since the roasting pan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a small siz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it is easy to carr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cook meat without burning meat during cooking using such a roasting pan.
그러나, 종래의 구이용 팬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여서 구이물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연기가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팬과 직접적으로 맞닿은 면만 익기 때문에 양면을 익히기 위해서 구이물을 번갈아 가면서 뒤집어 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oasting pan has a problem in that the odor and smoke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are discharged as it is because the top of the roasting pan is opened, and because only the side that directly contacts the pan is cooked, the roasted material is alternately cooked to cook both sides. There was a cumbersome problem that had to be turned over.
한편, 오븐이나 그릴은 석탄이나 숯, 가스불을 피우고 그 위에 육류를 올려 복사열로 익히는 직화(Flame-Broiling) 조리방식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직화 조리방식으로 조리된 음식은 맛과 향이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구이용 팬을 이용한 조리방식보다 조리가 어렵고 불편하다.On the other hand, ovens or grills are used in a flame-broiling cooking method in which meat is cooked by radiant heat by burning coal, charcoal, or gas fire, and food cooked with such direct cooking method has excellent taste and aroma. , Cooking is more difficult and inconvenient than the cooking method using a baking pan.
최근 들어 직화 조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가정이나 야외에서 직화 조리를 할 수 있는 바베큐 구이기 등의 직화식 조리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preference for direct-fired cooking increases, interest in direct-fired cooking utensils such as barbecue grilling that can be cooked directly at home or outdoors is increasing.
종래 직화식 조리기구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0611호에는 가스버너의 열을 열 복사판으로 간접 전달하여 꼬치를 바베큐 타입으로 구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꼬치가 구워지는 것을 보면서 구워진 꼬치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바베큐 꼬치 구이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Various technologies for conventional direct-fired cooking utensils have been disclosed,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50611 indirectly transfers heat from a gas burner to a heat radiating plate so that skewers can be grilled in a barbecue type. Disclosed is a barbecue skewer that allows you to eat grilled skewers while watching them grill.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바베큐 꼬치 구이기는 부품수가 많고 대형으로 제조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휴대가 어렵고 불편하며, 직화 조리방식 이외에 방식으로는 조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낮추고 휴대가 간편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 가능한 직화식 조리기구에 대한 제품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arbecue skewer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and the size of the skewers is manufactur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it is difficult and inconvenient to carry, and it is impossible to cook with methods other than the direct cooking method. There is a need for product development for direct fire cooking utensils that are simple and can be cook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구이물을 뒤집지 않고 편하고 빠르게 양면을 동시에 구워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며, 구이물이 구워질 때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구이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이 역류하여 열원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면 구이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cook both sides of the roasted food without turning over it conveniently and quickly, and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odor generated when the roasted food is roasted, and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double-sided roasting pan that can prevent the generated oil from flowing back into the heat sour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높이를 갖으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있는 형태로써, 열원 위에 안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열원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의 상단 모서리와 하우징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단턱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구이판 사이에 형성되며 열원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체류하는 열기체류공간부와, 상기 열기체류공간부에 채워진 열기가 구이판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구이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기 인입홈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어 본체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와; 구이물이 상기 구이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이판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과 열기 인입홈을 통해 투입된 열기를 통해 구이물의 양면이 구워지도록 하는 석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or the above purpose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height, the top and bottom are open, and the sides are closed, and a housing seated on a heat source and a grilling plate disposed on the top of the heat source inside the housing and heated by the heat source And, a hot air holding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grilling plate by a stepped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edge of the grilling plat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where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stays, and the heat filled in the hot air holding space A main body including one or more hot air inlet groove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rilling plat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grilling plate; A cover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to block the interior of the body from the outside; A grill that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lling plate so as to prevent the grilled food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illing plate, and allows both sides of the grilled food to be grilled through heat supplied from a heat source and heat supplied through the hot air inlet groove. It is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이물로부터 발생된 기름이 튀어 열기 인입홈을 통과한 후 열원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열기 인입홈은 구이판의 내벽으로부터 외벽 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t air intake groove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inner wall of the grilling plate to the outer wall side so as to prevent the oil generated from the roasted food from being injected into the heat source after passing through the hot air inlet groov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기 인입홈의 하단은 구이물로부터 튄 기름이 열기 인입홈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릴 때 열원으로 향하지 않도록 구이판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hot air inlet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the inside of the grilling plate so that it does not go to the heat source when oil splashed from the grilled material flows dow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t air inlet groov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through holes for inducing the flow of air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이판의 바닥면은 판판한 형태의 중앙부 및 중앙부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대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구이판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lling plate is formed of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diagonally up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plate-shaped central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ource can be smooth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grilling plate. It is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는 구이물의 익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degree of cooking of the roasted material can be visually confirmed.
또한, 본 발명은 직화열에 의해 구이물이 타거나 구이판의 바닥면에 모인 기름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이판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구이판과 열원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를 제공하는 과열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grilling plate to the bottom to prevent burning of grilled items or the oil collected on the bottom of the grilling plate from being heated by direct heat to provide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grilling plate and the heat sourc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vention part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과열방지부는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구이판의 저면으로 제공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기침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verheating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heat penetration grooves are formed to provide heat generated from a heat source to the bottom of the grilling plate.
또한, 본 발명은 구이물을 뒤집거나 꺼낼 때 본체 상에 커버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단턱부의 상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거치대 삽입공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거치대 삽입공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편 및 상기 한 쌍의 끼움편을 연결하며 커버의 손잡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거치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ir of cradle insertion hol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so that the cover can be mounted on the main body when the grilled food is turned over or taken out, and in the pair of cradle insertion hol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a "∪"-shaped mounting piece to connect the pair of fitting pieces vertically inserted and the pair of fitting pieces to accommodate the handle of the cover.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구이팬은 석쇠에 안착된 구이물의 저면은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구워지고 구이물의 상면은 열기 인입홈을 통해 투입된 열기를 통해 구워지므로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며, 구이물을 반복적으로 뒤집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n the double-sided roasting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of the roasted food seated on the grill is baked by heat supplied from a heat sour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roasted product is roasted through the heat input through the hot air inlet, so that rapid cooking is possible, and roasting The troublesome problem of repeatedly turning the water over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은 열기 인입홈이 구이판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구이물로부터 발생된 기름이 튈 경우 열기 인입홈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고, 열기 인입홈의 하단이 구이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이물로부터 튄 기름이 열기 인입홈의 내주면을 따라 흐른 후 구이판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효과를 통해 기름이 열원으로 투입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air lead-in groove is form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grilling plate, so that when oil generated from the grilled object splashes, the hot-air lead-in groove cannot pass through, and the lower end of the hot-air lead-in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grilling plate. The splattered oil can flow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t air inlet and then be fed into the grilling plate, and through this effect, the oil is injected as a heat source and a fi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구이물이 구워질 때 발생하는 냄새가 구이판 및 열기 이동로의 내부에서 고온의 열에 의해 제거된 후 하우징의 하단 모서리에 형성된 압축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실내의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indoor air pollution because odors generated when grilled food is baked are removed by high temperature heat from the inside of the grilling plate and the hot air movement furnace,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compressed air outlet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housing. I can.
또한, 본 발명은 구이판의 중앙부로부터 상향 대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경사부를 통해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열기 이동로 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를 통해 구이물의 익힘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smoothly mov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ource toward the heat transfer path through the inclined portion extending diagonally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grilling plate, and the degree of cooking of the grilled material through a cover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It can be easily checked with the naked eye.
또한, 본 발명은 구이판의 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바닥면에 모인 구이물로부터 발생된 기름이 직화열에 의해 연소되어 연기(가스)나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grilling plate, so that the oil generated from the grilled items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is burned by direct heat to prevent smoke (gas) or an unpleasant smell.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구이팬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구이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기 유입홈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를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1 to 2 are exemplary views of a double-sided roasting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uble-sided roasting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illustration for showing a hot air inlet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illustration for explaining the overheating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mounting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구이팬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double-sided roasting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구이물을 반복적으로 뒤집지 않고서도 신속용이하게 구이물의 양면을 구울 수 있으며,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연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양면 구이팬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ouble-sided roasting pan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roasting both sides of roasted material without repeatedly flipping the roasted material, and efficiently removing odors and smoke generated during the baking process.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구이팬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구이팬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와, 커버와, 석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2 are exemplary views of a double-sided roasting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uble-sided roasting p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cover, and a grill.
먼저, 상기 본체(100)는 하우징(110), 구이판(120), 열기체류공간부(130)로 구성된다. First, the
상기 하우징(110)은 열원 위에 안착되며, 구이판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것으로, 소정 높이를 갖으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있는 형태를 갖는다. The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10)은 도 1 내지 4와 같이 소정 높이를 갖으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있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스렌지, 전기렌지(인덕션) 또는 화로 등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를 갖는 열원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있는 다각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에서는 상기 하우징(110)의 형상을 원통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상기 구이판(120)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열원(H)의 상부에 배치되어 열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내부에 투입된 구이물이 익도록 하는 것으로,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이판의 상단 모서리와 하우징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단턱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벽에 의해 하우징(110)과 구이판(120) 사이에는 열원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체류하는 열기체류공간부(13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또한, 상기 구이판(120)의 상부에는 상기 구이판(120)과 열기체류공간부(140)가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열기체류공간부(130)에 채워진 열기가 구이판(12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열기 인입홈(15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상기 열기 인입홈(150)은 도 3과 같이 상단이 단턱부(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이판 내부에 보다 많은 양의 열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사출 성형이 용이하도록 도 4와 같이 상단이 단턱부(130)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열기 인입홈(150)의 상단이 단턱부(130)와 연통되더라도 후술할 커버(200)가 단턱부(130) 상에 안착되어 본체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The hot
상기 열기 인입홈(150)은 구이판 내부로 충분한 열기가 공급되어 신속하게 구이물이 익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충분한 양의 열기가 구이판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소정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기 인입홈(150)은 구이판(120)의 내벽으로부터 외벽 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구이판을 통해 구이물을 굽게 되면 기름이 발생하여 구이판(120)의 내벽으로 튀게 되는데, 만약 상기 열기 인입홈이 구이판의 내벽과 외벽을 직선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면 열기 인입홈 내부의 폭이 좁고 입구와 출구가 동일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기름이 튈 경우 열기 인입홈을 쉽게 통과하게 되고, 이와 같이 열기 인입홈을 통과한 기름이 열원에 투입되면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When grilled food is baked through the grilling plate, oil is generated and splashed on the inner wall of the
본 발명과 같이 열기 인입홈(150)이 구이판의 내벽으로부터 외벽 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면 열기 인입홈 내부의 폭이 확보되면서 입구와 출구가 엇갈리게 배치되어 출구가 내벽에 의해 가려지는 형태가 되므로 기름이 튀어 열기 인입홈의 입구를 통과하더라도 내벽에 차단되면서 출구로 배출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재의 위험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열기 인입홈(150)이 구이판의 상부에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로 배열형성되면 일측 열기 인입홈의 출구가 인접한 열기 인입홈의 입구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조가 되므로 기름이 구이판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ot
한편, 상기 구이판(120)은 열기 인입홈(150)의 입구와 출구가 충분히 이격되면서 내부 폭을 확보하여 상기와 같이 기름이 입구로 투입되더라도 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기 인입홈(150)의 하단은 구이판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만약, 상기 열기 인입홈(150)의 하단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면 구이물로부터 튄 기름이 열기 인입홈의 바닥면에 고여 기름이 엉거붙으면서 표면에 기름때가 끼게 되고, 구이판의 외측으로 흘러 열원으로 투입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If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구이물로부터 튄 기름이 열기 인입홈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릴 때 열원으로 향하지 않도록 상기 열기 인입홈의 하단은 구이판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hot-air lead-in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grilling plate so that the oil spattered from the grilled product does not go to the heat source when flowing dow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t-air lead-in groov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through
상기 통공(111)은 열기체류공간부(140)와 외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 가스렌지나 숯불 등을 열원으로 사용할 때 원활한 연소를 위해 하우징 내부에 산소를 공급한다. The through
또한, 상기 통공(111)은 구이판 상의 유분과 냄새가 함유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구이판 상의 유분과 냄새가 함유된 공기는 열기 인입홈을 통해 열기체류공간부로 배출되는데, 열기체류공간부 상에 체류중인 고온의 열기에 의해 유분과 냄새는 연소되어 제거되고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공기만 배출되므로 실내에서 육류나 어류를 구울 경우 냄새나 연기 없이 구워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또한, 상기 구이판(120)의 바닥면은 판판한 형태의 중앙부(121) 및 중앙부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대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경사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구이판(120) 사이에 열기체류공간부(140)를 형성하여 열원(H)으로부터 구이판(120)에 열이 가해지면 고온의 열기가 대류현상에 의해 상승이동하여 자연스럽게 열기체류공간부(140) 내부로 투입되는데, 상기 구이판의 바닥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122)가 형성되면 고온의 열기가 보다 신속원활하게 열기체류공간부(14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이판 내부에 고온의 열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구이판의 바닥면이 단순히 판판한 형태를 이루면 대류 현상에 의해 상승하려는 고온의 열기가 구이판의 바닥면에 의해 간섭되어 구이판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The
다음으로, 상기 커버(200)는 단턱부(130) 상에 안착되어 본체(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이를 통해 구이판의 상부로 대류된 열을 가두어 구이판의 내부에 열이 지속적으로 체류할 수 있도록 한다. Next, the
상기 커버(200)는 사용자를 뜨거운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200)는 손잡이(210)가 구비된다. The
또한, 상기 커버(200)는 구이물의 익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는 내열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버를 본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구이물이 익는 정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커버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경우 본체 내부의 구이물의 익힘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구이물이 타지 않도록 수시로 커버를 개방한 후 상태를 체크해야 하는데, 커버가 개방될 때마다 본체 내부에 체류중이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손실이 발생되므로 구이물의 익는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게 되고, 손실된 만큼의 에너지가 열원으로부터 공급되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상기 석쇠(300)는 구이물이 상기 구이판(12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이판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망 형태로 마련되며 그 테두리에는 석쇠의 운반이 가능한 금속재의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고, 구이판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구이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다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석쇠(300)는 숯불이나 가스불 등의 열원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석쇠 위에 구이물을 올려 열기에 의해 구워지도록 한다. Next,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120)과 열원 사이에는 과열방지부(1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Next, a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도 5에서 도면부호 120은 구이판의 바닥면을 의미한다. 5 is a schematic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n overheating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FIG. 5,
상기 과열방지부(160)는 구이판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구이판과 열원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를 제공함으로써 직화열에 의해 구이물이 타거나 구이판의 바닥면에 모인 기름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예를 들어, 상기 석쇠(300) 위에 육류를 올려 굽게 되면 육류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석쇠를 따라 흘러 내려 구이판(120)의 바닥면 상에 모이게 되는데, 열원(H)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구이판(120)의 저면에 직접적으로 제공되면 구이판의 바닥면에 모인 기름이 타게 되어 연기(가스)나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고,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meat is placed on the
본 발명과 같이 구이판(120)과 열원 사이에 과열방지부(160)가 형성되면 열원(H)으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과열방지부(160)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어 대류 현상에 의해 상승하여 구이판(120)의 저면에 간접적인 복사열 형태로 전달되도록 하여 구이물을 익힐 수 있으며, 구이판의 바닥면에 모인 기름이 직화열에 의해 가열되거나 연기(가스)나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 위험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과열방지부는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구이판의 저면으로 제공하기 위한 열기침투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verheating prevention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상기 열기침투홈(161)은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기(또는 열)이 구이판의 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소정 직경으로 형성되며, 과열방지부 상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과열방지부(160)는 개폐 가능한 형태의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투입구를 통해 과열방지부(160) 내부에는 불연패널이나 토사 등의 열전달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과열방지부(160) 내부에 흙, 모래와 같은 토사를 가득 채우면 구이판의 저면이 열원에 의해 가열된 토사의 보유열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되도록 하여 구이물은 용이하게 익힐 수 있고, 과열로 인한 기름의 연소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를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Next,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mounting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소정 높이를 갖으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있는 사각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대응되는 사각판형의 구이판이 일체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100)를 도시하였다. In FIG. 6, the
상기 단턱부(130)의 상면에는 거치대 삽입공(131) 한 쌍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거치대 삽입공에 삽입되는 거치대(400)가 구비된다. A pair of cradle insertion holes 13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여기에서, 상기 거치대(400)는 상기 한 쌍의 거치대 삽입공(131)에 각각 삽입되는 끼움편(410) 한 쌍과, 한 쌍의 연결하며 커버의 손잡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거치편(420)이 일체로 형성된다. Here, the
일반적으로 종래의 구이팬은 구이물 조리시 한 손으로 구이팬의 커버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구이물을 꺼내거나 뒤집는 동작을 실시하였으며, 구이물을 절단하고자 할 경우 커버를 인접한 장소(예를 들어 싱크대)에 두고 절단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런데, 구이물이 익는 과정에서 수증기에 의해 커버의 내주면에 맺힌 물방울이 떨어져 지면이 젖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general, when cooking the grilled food, in a conventional grilling pan, the cover of the grilling pan is lifted with one hand and the grilled food is removed or turned over with the other hand. For example, it was placed in a sink) and cut.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fall by water vapor during the process of cooking the roasted material, causing the ground to become wet or contaminated.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400)에 커버(300)를 안착시킨 다음 신속용이하게 구이물을 뒤집거나 자르거나 꺼낼 수 있으며, 커버의 내주면에 맺힌 물방울이 본체의 바닥면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하여 구이팬 주변으로 물방울이 떨어져 젖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lacing 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구이판(120)의 바닥면에 석쇠(300)를 안착시킨 다음 석쇠 위에 구이물을 올려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과 열기 인입홈을 통해 투입된 열기를 통해 구이물의 양면이 동시에 구울 수 있으며,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이 임의로 배출되는 문제점과 연기나 냄새로 인해 실내의 대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not impair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claiming the right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will be limited by the claims and the technical spirit thereof to be described later.
100 : 본체
110 : 하우징
111 : 통공
120 : 구이판
121 : 중앙부
122 : 경사부
130 : 단턱부
131 : 거치대 삽입공
140 : 열기체류공간부
150 : 열기 인입홈
160 : 과열방지부
161 : 열기 침투홈
200 : 커버
210 : 손잡이
300 : 석쇠
400 : 거치대
410 : 끼움편
420 : 거치편
H : 열원100: main body
110: housing 111: through hole
120: grilled plate
121: central part 122: inclined part
130: stepped portion 131: cradle insertion hole
140: heat retention space part
150: open entry groove
160: overheating prevention unit 161: hot air penetration groove
200: cover 210: handle
300: grill
400: cradle
410: fitting piece 420: mounting piece
H: heat source
Claims (9)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어 본체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200)와;
구이물이 상기 구이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이판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과 열기 인입홈을 통해 투입된 열기를 통해 구이물의 양면이 구워지도록 하는 석쇠(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구이팬.
A housing 110 mounted on a heat source and a grilling plate 120 disposed above a heat source inside the housing to be heated by a heat source in a form in which the top and bottom are opened and the sides are clos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A hot air holding space part 140 form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grilling plate by a stepped portion 130 connecting the upper edge of the grilling plat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 which heat generated by a heat source stays, and the hot air holding space part A main body 100 including one or more hot air inlet grooves 150 formed on the top of the grilling plate so that the filled hot air can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grilling plate;
A cover 200 that is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and blocks the inside of the body from the outside;
A grill 300 tha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lling plate so as to prevent the grilled food from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illing plate, and allows both sides of the grilled food to be baked through heat supplied from a heat source and heat supplied through the hot air inlet groove;
Double-sided roasting pa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t air intake groove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inner wall of the roasting plate to the outer wall side so as to prevent the oil generated from the roasted food from splashing and being injected into the heat source after passing through the hot air inlet groove. Double-sided roasting pan.
[3] The double-sided grilling pan of claim 2,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hot-air inlet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to the inside of the grilling plate so that oil spattered from the grilled material does not flow dow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t-air inlet groove.
The double-sided roasting pa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r more through holes for inducing the flow of air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lling plate is formed of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diagonally up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plate-shaped central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so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ource can be smooth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grilling plate. Double-sided roasting pan,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sided roasting pan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degree of cooking of the roasted material can be visually confirmed.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illing plate is form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grilling plate to prevent burning of grilled food or the oil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lling plate from being heat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grilling plate and the heat source. Double-sided roasting pan,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heating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The double-sided roasting pan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overheating prevention part has one or more heat penetration grooves for providing heat generated from a heat source to the bottom of the roasting plate.
상기 단턱부의 상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거치대 삽입공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거치대 삽입공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편 및 상기 한 쌍의 끼움편을 연결하며 커버의 손잡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거치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구이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o that the cover can be mounted on the main body when turning over or taking out the roasted food,
At least a pair of cradle insertion hol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A cradle in which a pair of fitting piece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pair of cradle insertion holes and a cradle formed in a "∪" shape to accommodate the handle of the cover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fitting pieces are integrally formed Double-sided roasting pa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9/007171 WO2020171301A1 (en) | 2019-02-18 | 2019-06-14 | Double-sided grill pa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8330 | 2019-02-18 | ||
KR20190018330 | 2019-02-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0510A true KR20200100510A (en) | 2020-08-26 |
Family
ID=7229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7149A Abandoned KR20200100510A (en) | 2019-02-18 | 2019-04-23 | Double faced pa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00510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8695A (en) * | 2021-06-17 | 2022-12-26 | 주식회사 앤크위즈 | Multipurpose cooker |
-
2019
- 2019-04-23 KR KR1020190047149A patent/KR20200100510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8695A (en) * | 2021-06-17 | 2022-12-26 | 주식회사 앤크위즈 | Multipurpose coo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06211B2 (en) | Cooking container | |
KR101607990B1 (en) | roast apparatus | |
KR101315045B1 (en) | apparatus for smokeless charcoal fire roast | |
KR101887468B1 (en) | Apparatus for roasting and keeping warm | |
KR101464495B1 (en) | Apparatus for barbecue | |
JP5612792B1 (en) | Grill device for cooker | |
KR101850525B1 (en) | Easy-to-Use Meat Roaster | |
KR20200100510A (en) | Double faced pan | |
KR20160122981A (en) | frying apparatus | |
KR200459644Y1 (en) | meat roaster | |
KR20160112425A (en) | Indoor and Outdoor Steak Pan | |
KR101715634B1 (en) | Double Layer Type Roasting Pans | |
KR101154028B1 (en) | Direct cooker | |
KR101073882B1 (en) | Smoked Meat Roast | |
KR101557810B1 (en) | Grill appratus for roasting of meat | |
KR20110006479U (en) | Direct heat induction oven | |
KR200459206Y1 (en) | Grill of gas range | |
JP4203178B2 (en) | grill | |
KR20160144724A (en) | A cooking stove for bake meat | |
WO2020171301A1 (en) | Double-sided grill pan | |
KR200479718Y1 (en) | Multipurpose grill and grill device using the same | |
KR200479654Y1 (en) | Roaster | |
CN220588113U (en) | Cooking equipment and heat source protection components | |
CN204860789U (en) | Foostuff baking machine | |
KR102148014B1 (en) | Charcoal grill with hood for blocking smoke leak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6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