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98259A -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프론트홀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프론트홀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259A
KR20200098259A KR1020190016159A KR20190016159A KR20200098259A KR 20200098259 A KR20200098259 A KR 20200098259A KR 1020190016159 A KR1020190016159 A KR 1020190016159A KR 20190016159 A KR20190016159 A KR 20190016159A KR 20200098259 A KR20200098259 A KR 20200098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information
uplink signals
signals
prior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21713B1 (ko
Inventor
전남열
김대중
김우재
김재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21713B1/ko
Priority to EP20755752.1A priority patent/EP3900464B1/en
Priority to US16/788,512 priority patent/US11178683B2/en
Priority to PCT/KR2020/001974 priority patent/WO2020166966A1/en
Publication of KR2020009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21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217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2Traffic sha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using pree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04W72/12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5세대 통신 시스템의 높은 처리량을 감당하기 위한 프론트홀의 전송 용량을 감소시키고 효율적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제1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적용될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shaping)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을 적용해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제2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는 상기 제1 장치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신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프론트홀(fronthaul)을 이용해 제2 장치로 몇 개의 시간 구간 동안 전송할지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에 기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프론트홀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TRASMITTING SIGNALS USING FRONTHAUL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프론트홀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은 기지국의 데이터 처리부(digital unit, DU)와 무선 송수신부(radio unit, RU)가 함께 셀 사이트에 설치되는 일체형의 형태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기지국은 사용자 및 트래픽의 증가에 따른 다수의 셀 사이트를 구축하고자 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니즈에 적합하지 않았으므로, 이를 개선한 C-RAN(centralized RAN(radio access network) 또는 cloud RAN) 구조가 등장하게 되었다. C-RAN은 DU를 하나의 물리적 장소에 집중적으로 배치하고, 실제 단말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셀 사이트에는 RU만을 남겨두는 구조로, DU와 RU간은 광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RU와 DU가 분리되면서 이들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이 필요해졌으며 현재 CPRI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등의 규격이 RU와 DU간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트래픽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재 5세대 통신 시스템 (이하 5G 시스템, NR(new radio 또는 next radio) 시스템 등과 혼용될 수 있다)이 연구되고 있으며, 5G 시스템을 통해 높은 데이터 전송률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또한 사물 인터넷 및 특정한 목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서비스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진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5세대 통신 시스템 (이하 5G 시스템, NR(new radio 또는 next radio) 시스템 등과 혼용될 수 있다)이 상용화됨에 따라, NR 셀(cell)의 높은 처리량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RU와 DU 사이를 연결하는 프론트홀(fronthaul)의 전송 용량이 아주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프론트홀의 전송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역폭을 가진 유선망을 설치해야 하므로 프론트홀의 전송 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제1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적용될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shaping)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을 적용해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제2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는 상기 제1 장치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신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프론트홀(fronthaul)을 이용해 제2 장치로 몇 개의 시간 구간 동안 전송할지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에 기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제2 장치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적용될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shaping)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는 상기 제1 장치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신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프론트홀(fronthaul)을 이용해 제2 장치로 몇 개의 시간 구간 동안 전송할지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도록 스케줄링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에 기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제1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제2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적용될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shaping)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을 적용해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제2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는 상기 제1 장치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신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프론트홀(fronthaul)을 이용해 제2 장치로 몇 개의 시간 구간 동안 전송할지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에 기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제2 장치에 있어서, 제1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적용될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shaping)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는 상기 제1 장치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신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프론트홀(fronthaul)을 이용해 제2 장치로 몇 개의 시간 구간 동안 전송할지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도록 스케줄링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에 기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으로 프론트홀의 전송 용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론트홀을 설치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적은 전송 용량의 프론트홀을 이용하더라도 전송 우선 순위에 따라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송 지연 또는 전송 용량의 감소 없이 효율적으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NR 시스템에서 도입될 수 있는 RU-DU를 통한 하위 레이어 기능 분할(low layer function split)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RU와 DU 사이의 종래 인터페이스 규격인 CPRI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RU-DU간 기능 배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RU-DU간 기능 배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UL 트래픽 셰이핑(shaping)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CPRI 매퍼의 경우 UL 셰이핑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eCPRI(enhanced CPRI) 또는 RoE(Radio over Ethernet) 등의 패킷(packet) 기반 전송의 경우 UL 셰이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DL 트래픽 셰이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우선순위를 적용한 경우 RU가 UL 트래픽 셰이핑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원발명을 실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원발명을 수행하는 DU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본원발명을 수행하는 RU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FH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DL 전송의 경우 FH 혼잡시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UL 전송의 경우 FH 혼잡시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개별 단말 및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고려해 DL 전송의 경우 FH 혼잡시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a는 공용 FH를 이용할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전송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제1 스위치에서 공용 FH를 이용하는 경우 DL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는 제2 스위치에서 공용 FH를 이용하는 경우 UL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이 수행되는 기지국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RU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DU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원발명에서 상향링크는 단말(User Equipment, UE 또는 Mobile Station, MS)이 기지국(eNode B, 또는 base station, BS)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를 의미하고,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를 의미한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eNode B, Node B, BS(Base Station), gNB(generation Node B)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NR 시스템에서 도입될 수 있는 RU-DU를 통한 하위 레이어 기능 분할(low layer function split)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RU(120)와 DU(130)는 프론트홀(fronthaul, FH)(14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RU와 DU는 각각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의 기능을 나눠 수행할 수 있으며, RU는 하나의 셀 사이트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RU(120)가 LTE 셀(110)을 위해 사용될 경우 디지털 빔포밍을 사용하지 않는 1개의 셀과 4개의 전송 안테나와 4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정하면 RU는 30.72Msamples/sec의 용량을 처리해야 하며, RU(120)이 NR 셀(100)을 위해 사용될 경우 디지털 빔포밍을 사용하는 1개의 셀과 64개의 전송 안테나와 64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정하고 하향링크에서 16개의 레이어가 사용되고 상향링크에서 8개의 레이어가 사용된다고 가정하면 RU는 122.8872Msamples/sec의 용량을 처리해야 한다.
즉 NR 시스템의 경우 RU가 처리하여야 하는 용량이 LTE 시스템의 경우에 비해 4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이는 FH(140)의 용량이 그만큼 늘어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FH의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FH 대역폭을 늘리기 위해 유선망을 확충하여야 하며, 이는 사업자에게 큰 경제적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도 2는 RU와 DU 사이의 종래 인터페이스 규격인 CPRI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REC(radio equipment control, 이는 DU 또는 BBU(base band unit) 등과 혼용될 수 있다)(210)과 RE(radio equipment, 이는 RU 또는 RRH(remote radio head) 등과 혼용될 수 있다)(220)은 CPRI 인터페이스(220)을 통해 크게 3가지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CPRI 인터페이스(220)으로는 사용자 데이터(222), 제어 및 관리(control and management) 정보(224) 및 동기화(synchronization) 정보(226)이 송수신되며, 사용자 데이터(222)는 REC에서 베이스밴드 디지털 IQ 스트림의 형태로 전달되며 RE는 이를 수신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 및 관리 정보(224)는 제어 및 관리 링크, CPRI 링크를 설립하고 해제하는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동기화 정보(226)은 REC와 RE간의 동기화 및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3a 및 3b는 RU-DU간 기능 배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NR 시스템에서는 FH의 용량이 너무 커진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와 다른 RU-DU간 기능 배분이 논의되고 있다.
도 3a 및 3b는 상향링크(uplink, UL) 및 하향링크(downlink, DL) 송수신(310, 300)의 경우 물리 계층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기능 배분에는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며, 일례로 옵션 8(320), 옵션 7-2x(330), 옵션 7-2(340), 옵션 7-3(이는 DL의 경우에만 존재한다)(350) 및 옵션 6(360)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옵션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하는 기능은 DU에서 수행되고, 왼쪽에 위치하는 기능은 RU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LTE 시스템의 CPRI는 옵션 8에 해당하며, 하향링크의 경우 DU에서 도 3에 도시된 물리 계층의 모든 과정이 수행된 신호가 RU로 FH를 통해 전송되며, RU에서는 수신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만이 수행된다.
이러한 옵션 별로 필요한 FH 대역폭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은 6GHz 이하의 NR 시스템의 경우, 100MHz를 사용하고 빔포밍과 함께 64개의 송신 안테나 및 64개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고, DL에서는 16개의 레이어를 사용하고 UL에서는 8개의 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도시되었다.
옵션 8 7-1 7-2x 7-2 7-3 6
DL 259.52 (Gbps) 169.07 45.93 (미정) 18.38 (미정)
UL 259.52 205.69 57.75 (미정) (불가능) (미정)
상기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옵션이 도 3에서 오른쪽에 위치할수록, 즉 DU가 물리 계층의 많은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RU가 물리 계층의 기능을 많이 수행할수록 필요한 FH의 대역폭이 작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구현의 어려움 등을 고려할 때, UL의 경우 옵션 7-2x 가 사용되고 DL의 경우, 옵션 7-3 또는 이와 비슷한 전송용량의 다른 옵션들이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DL 송신을 위해 필요한 FH 전송 용량은 18.38Gbps이나 UL 수신을 위해 필요한 FH 전송 용량은 57.75Gbps로 UL의 경우 DL에 비해 3배 가까이 크게 된다.
FH 라인은 일반적으로 DL과 UL의 용량이 동일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UL 수신을 위해 60Gbps 의 용량을 처리할 수 있는 FH 전송망을 설치하는 것은 사업자에게 큰 부담이 되므로 UL 및 DL FH 용량의 비대칭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나,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UL 및 DL FH 용량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UL 트래픽 셰이핑(shaping)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가 주로 사용되는 LTE 시스템과 달리 NR 시스템은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을 시간 축 상에서 분할해 DL 자원 및 UL 자원으로 사용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으며, 도 4 역시 이러한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TDD의 경우에 제약되지 않는다.
TDD가 적용된 NR 시스템의 경우 시간 축의 기본 단위인 슬롯(slot)은 복수의 심볼(특히 14개)을 포함하며, 모두 UL 심볼로 구성된 UL 슬롯, 모두 DL 심볼로 구성된 DL 슬롯 및 UL 심볼과 DL 심볼 및/또는 용도가 미리 정해지지 않은 플렉서블(flexible) 심볼로 구성된 플렉서블 슬롯 중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도 4와 같이 슬롯 #4(402)는 UL 슬롯, 슬롯 #5(404)는 DL 슬롯이고 슬롯 #8(406)은 플렉서블 슬롯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FH는 각 시간 자원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a(410)의 경우에 따르면, 슬롯 #4(402)는 UL 슬롯이므로 슬롯 #4(402)에서 RU가 수신한 UL 신호를 DU로 하나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UL FH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U0, 412). 또한 슬롯 #9(408)이 UL 슬롯이므로 마찬가지로 슬롯 #9(408)에서 RU가 수신한 UL 신호를 DU로 하나의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UL FH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U1, 414).
그러나 a(410)의 경우 DL 슬롯 및 플렉서블 슬롯인 슬롯 #5 내지 #8(406) 동안 UL FH은 사용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b(420)의 경우와 같이 슬롯 #4(402)부터 슬롯 #7을 더 포함하는 시간 동안 슬롯 #4(402)에서 RU가 수신한 UL 신호를 UL FH을 통해 DU로 전송한다면, 전송해야 하는 신호의 양은 같으므로 FH의 주파수 대역을 1/3 이하로 이용하여 같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U0, 422). 또한 슬롯 #9(408)부터 슬롯 #12를 포함하는 시간 동안 슬롯 #9(408)에서 RU가 수신한 UL 신호를 UL FH을 통해 DU로 전송한다면, 역시 전송해야 하는 신호의 FH의 주파수 대역을 1/3 이하로 이용하여 같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U1, 424). 이를 UL 셰이핑이라고 칭할 수 있다. 즉 UL 신호를 DL 자원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시간 동안 전송하여 UL FH를 통해 전송하는 시간을 늘림으로써 단위 시간 당 전송되는 전송량을 줄여 필요한 FH의 용량을 줄이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UL 셰이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기술한다.
도 5는 CPRI 매퍼의 경우 UL 셰이핑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CPRI 매퍼는 고정된 레이트(fixed rate)를 가지는 고정 매퍼(mapper)를 사용한다. 즉 실제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가 없더라도 전송이 고정된 속도로 수행되게 된다. 그러므로 CPRI 매퍼를 사용할 경우 UL 신호를 RU에서 DU로 전송할 경우, 매퍼 내 채널당 자원 비율을 고정하고 일정 시간당 전송량을 줄이고 시간축으로 전송 시간을 늘려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500은 NR 시스템의 시간축 자원 구조를 의미한다. 도 5에서는 UL 슬롯(502)에서 RU가 수신한 신호를 DU로 전송하는 두 가지의 방법이 도시되었다. RU는 UL 슬롯(502)에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이를 통해 UL 데이터 (및 UL 제어 정보)가 수신된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이를 통해 UL 제어 정보가 수신된다),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이를 통해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이 수신된다),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인 a(510)에서는 UL 슬롯(502)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RU로 PUSCH 및/또는 PUCCH(512), PRACH(514) 및 SRS(516)이 수신되면 이를 동일한 시간 동안 DU로 전송한다. 그러나 두 번째 방법인 b(520)에서는 RU는 UL 슬롯(502)에서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3개의 슬롯(또는 그 이상) 동안 DU로 전송한다. 이 때 DU로 전송되는 PUSCH 및/또는 PUCCH(522), PRACH(524) 및 SRS(526)의 자원 비율은 a(510)의 경우와 동일하나, 그 전송량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즉 매퍼상 1프레임의 전송에 필요한 자원량 x 전송 시간은 일정하게 된다.
도 6은 eCPRI(enhanced CPRI) 또는 RoE(Radio over Ethernet) 등의 패킷(packet) 기반 전송의 경우 UL 셰이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패킷 기반 전송의 경우 UL 슬롯 시간에서 RU는 수신하는 UL 신호를 순서대로 패킷으로 만들어 FH을 통해 DU로 전송한다 그러므로 FH의 용량에 따라 (시간당 전송량이 제한된다면) 자연스럽게 시간축으로 늘려 전송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단 이 경우 UL 신호를 전송하는 RU는 UL 슬롯 시간 동안 수신되는 UL 신호를 모두 저장하고 있을 만큼의 버퍼(buffer)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DU 역시 이러한 버퍼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실제 스케줄링 여부에 따라 FH의 사용 여부가 달라지게 된다. 즉 RU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UL 데이터만 패킷으로 만들어 DU로 전송하므로, 해당 데이터 스트림 청크(chunk)의 송수신이 종료되는 시간은 계속 변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600은 TDD NR 시간 축 자원을 도시한 도면으로, 슬롯 #4(603)는 UL 슬롯으로 RU는 단말로부터 UL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슬롯 #4(603)에서는 PUSCH 또는 PUCCH(606) 및 SRS(607)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슬롯인 슬롯 #3(602)의 가장 뒤 두 심볼(605)은 UL 심볼일 수 있으며, 상기 UL 심볼에서도 단말은 UL 신호인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ACK(acknowledgement/non- acknowledgement)을 PUCCH 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610은 RU가 UL 슬롯 시간 내에서 UL 신호를 수신하는 심볼 순서대로 바로 패킷으로 만들어 DU로 전송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620은 RU가 슬롯 #4(603)에서 수신된 UL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슬롯 #4(603) 내지 슬롯 #7의 시간 구간까지 사용하는 예로, 두 심볼(605)의 시간에 수신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6개의 심볼(622)를 사용하는 일례이다. 이 경우 RU는 13개의 심볼(606)의 시간에 수신한 PUSCH 또는 PUCCH를 DU로 전송하기 위해 39개의 심볼(624)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심볼에서 수신된 SRS(607)를 DU로 전송하기 위해 12개의 심볼(626)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620에서는 슬롯 #4(603)에서 심볼 #0 내지 #13을 사용해 PUSCH 또는 PUCCH가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단말은 반드시 심볼 #0 내지 #13 모두를 사용해 UL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아니며, 이 중 일부만의 심볼을 사용해 PUSCH 또는 PUCCH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례로 RU가 슬롯 #4(603)의 심볼 #0 내지 #10을 이용해 PUSCH를 수신한다면, RU는 DU로 33개의 심볼(628)을 이용해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이후부터 바로 SRS 전송을 이어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DL 트래픽 셰이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DL 트래픽 셰이핑은 UL 자원 시간 구간까지 이용하여 DL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할 경우 TDD 시스템에서 DL과 UL 자원이 4:1의 비율로 존재할 경우 기존 DL FH 용량 대비 4/5 수준으로 DL FH의 용량을 낮출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a(710)의 경우에 따르면, DL 슬롯 및 플렉서블 슬롯인 슬롯 #5(700), 슬롯 #6(702), 슬롯 #7(704) 및 슬롯 #8(706)에서 DU가 전송한 DL 신호를 RU로 슬롯 #5(702) 내지 슬롯 #8(708)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DL FH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D0, 712). 그러나 a(710)의 경우 UL 슬롯인 슬롯 #9(708) 동안 UL FH은 사용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b(720)의 경우와 같이 슬롯 #5(700) 내지 슬롯 #9(708) 동안 DU가 수신한 DL 신호를 DL FH을 통해 RU로 전송한다면, 전송해야 하는 신호의 양은 같으므로 DL FH의 주파수 대역을 4/5 이하로 이용하여 같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U0, 722). 이를 DL 셰이핑이라고 칭할 수 있다. 즉 DL 신호를 UL 자원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시간 동안 전송하여 DL FH를 통해 전송하는 시간을 늘림으로써 단위 시간 당 전송되는 전송량을 줄여 필요한 FH의 용량을 줄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UL 트래픽 셰이핑을 수행되는 경우 RU는 UL 채널 및 신호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부여해 우선순위가 높은 채널 또는 신호부터 FH를 통해 전송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각 채널과 신호마다 필요로 하는 타이밍 요구사항(timing requirement)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HARQ ACK/NACK과 같은 신호는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DL 데이터를 재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지연(latency)에 민감하나, SRS는 UL 채널 측정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로 지연에 그리 민감하지 않다. 또한 어떤 채널과 신호 기지국과 단말의 통신을 수행하고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나 어떤 채널과 신호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채널 또는 신호를 먼저 전송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일례로 PRACH는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 전송하는 채널이므로 PRACH의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도 8은 앞서 기술한 우선순위를 적용한 경우 RU가 UL 트래픽 셰이핑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필 I은 UL 제어 신호(DL HARQ ACK/NACK,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채널 정보와 혼용 가능하다),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PRACH)=UL 데이터>SRS의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고, 프로필 II는 UL 제어 신호(DL HARQ ACK/NACK, CSI, SR, PRACH)>UL 데이터>SRS의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800에 따르면 슬롯 #3의 심볼 #13에서 HARQ ACK/NACK이 RU에 수신되고, 슬롯 #4의 심볼 #0 내지 심볼 #11에서 UL 데이터가 RU에 수신되고, 심볼 #12에서는 CSI가 수신되고 심볼 #13에서는 SRS가 수신된다. 프로필 I에 따르면 RU가 신호를 수신한 순서와 같이 RU는 HARQ ACK/NACK(822), PUSCH(824), CSI(826) 및 SRS(828)의 순서로 DU로 신호를 전송한다. UL 데이터와 UL 제어 신호의 우선순위가 같으므로 RU는 신호를 수신한 순서대로 DU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프로필 II에 따르면 UL 데이터를 전송하던 824 중간에 CSI 전송(832)가 포함되게 된다. 이는 UL 제어 신호의 우선순위가 UL 데이터보다 높기 ‹š문으로, RU는 UL 제어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DL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하고 UL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뒤이어 중지되었던 DL 데이터의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RU의 CSI 전송(832)은 RU의 CSI 수신(슬롯 #4의 심볼 #12) 후 6심볼 후에 이루어지는데, 이는 RU가 UL 신호를 수신해 DU에 전송하기 위한 패킷으로 만들기 위해 걸리는 프로세싱 시간일 수 있다.
또한 UL 데이터의 경우 상기 데이터에 관련된 베어러의 QoS(quality of service)에 따라 그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QoS가 실시간 또는 긴급한 서비스를 가리킨다면 RU는 상기 QoS를 가지는 베어러의 UL 데이터는 우선적으로 DU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a는 본원발명을 실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에 따르면, RU와 DU를 초기 설정(setup)시 UL FH 셰이핑 기능이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UL 셰이핑이 몇 개의 슬롯(A개)에 걸쳐 수행되는지 결정하고, DU에 포함되는 하위 블록(RLC(radio link control), MAC(Media Access Control), PHY-H(상위 물리 계층, 이는 도 3에서 적용된 옵션의 오른쪽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스케줄러, DU 인터페이스 제어기)와 RU에 포함되는 하위 블록(RU 인터페이스 제어기 및 PHY-L(하위 물리 계층, 이는 도 3에서 적용된 옵션의 왼쪽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에 대해 UL FH 셰이핑 수행 여부 및 셰이핑에 이용되는 슬롯의 개수 A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UL 채널 및 신호 및 베어러별 QoS(quality of service) 우선순위가 미리 RU와 DU 에 설정될 수 있다(900).
이후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은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또는 활성화한다(910). 이후 DU 스케줄러는 UL 데이터(및 제어 신호, 이하 UL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하고, 실제 UL 데이터가 수신되기 이전에 스케줄링 결과를 RU로 전송한다(920). 이 때 스케줄링 결과에는 할당된 채널 및 신호의 종류 및 베어러의 QoS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RU는 단말로부터 UL 신호를 수신하고 PHY-L 기능을 수행하여 수신된 UL 신호를 처리한다(930). 이후 RU는 한 심볼 동안 수신해 처리된 UL 신호를 FH를 통해 A+1 심볼 동안 FH를 통해 전송한다(940). 이 때 RU는 채널 종류 및 베어러의 QoS에 따라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전송한다. 즉 RU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UL 신호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UL 신호의 전송을 정지하고 먼저 수행한 후 뒤이어 낮은 우선순위의 UL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U로 RU에서 전송한 신호가 수신되면, DU는 상기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였다가 PHY-H 처리를 수행하고 이후 MAC, RLC 등의 상위 레이어 기능을 처리한다(950).
도 9b는 본원발명을 수행하는 DU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에 따르면, DU는 UL 신호(UL 신호에는 UL 데이터, UL 제어 채널 및 UL 제어 신호 등이 포함될수 있다) 를 스케줄링하고, 스케줄링 결과 정보를 RU로 전송한다(960). 상기 스케줄링 결과 정보에는 할당된 채널 및 신호의 종류, 상기 채널 및 신호가 할당된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 및 UL 데이터가 관련된 베어러의 Qo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DU는 RU로부터 UL FH 셰이핑된 UL 신호를 수신한다(965). 이후 DU는 수신된 UL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처리에는 PHY-H, MAC 및 RLC에서의 처리가 포함된다(970).
도 9c는 본원발명을 수행하는 RU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에 따르면 RU는 DU로부터 스케줄링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975). 상기 스케줄링 결과 정보에는 할당된 채널 및 신호의 종류, 상기 채널 및 신호가 할당된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 및 UL 데이터가 관련된 베어러의 Qo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RU는 할당된 자원에서 단말로부터 UL 신호를 수신한다(980). RU는 수신한 신호를 PHY-L 기능을 수행해 처리하고, 한 심볼 동안 수신해 처리된 UL 신호를 FH를 통해 DU로 복수의 심볼 구간 동안 전송한다(985). 이 때 RU는 채널 종류 및 베어러의 QoS에 따라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UL 신호를 전송한다. 즉 RU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UL 신호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UL 신호의 전송을 정지하고 먼저 수행한 후 뒤이어 낮은 우선순위의 UL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FH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복수의 DU(1020, 1022, 1024)는 제1 스위치(1000) 및 제2 스위치(1010)을 통해 복수의 RU(1030, 1032, 1034, 1036)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DU와 RU가 공용 FH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때 FH의 용량을 모든 RU의 최대 용량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1040에 따르면, RU의 최대 처리량이 MAX0(1042)이더라도 실제 RU의 처리량은 1044로, 실제 처리량의 평균인 AVG0(1044)는 최대 처리량보다 훨씬 작을 수 있다. 또한 실제 RU의 처리량(1044)은 평균 AVG0(1044)과 VAR0(1046)의 분산을 가진다. 이 때 제1 스위치(1000)와 제2 스위치(1010) 사이의 FH는 각 RU의 최대 처리량 x RU의 개수인 N x MAX0(1052)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각 RU의 평균 처리량 x RU의 개수인 N x AVG0(1054)를 충분히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이러한 설계에는 복수의 RU의 처리량의 분산인 VAR0(1056)을 고려하여야 한다(1050). 이와 같이 공용 FH을 설계할 경우 효과적으로 FH의 대역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공용 FH을 사용하는 셀들의 트래픽들이 순간적으로 폭증할 경우 상기와 같이 설계된 공용 FH의 처리량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이러한 경우를 FH 혼잡이라 칭한다), 이러한 경우를 고려해 RU와 DU간 송수신되는 정보의 우선순위를 설정해 우선순위가 높은 정보부터 전송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도 11은 DL 전송의 경우 FH 혼잡시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제1 스위치(1000)은 DL 트래픽 분배기(1100) 및 DL FH 전송 제어기(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000)으로는 복수의 DU에서 복수의 RU로 전송하고자 하는 다양한 DL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DL 신호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DL 데이터),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마스터 정보 블록 또는 시스템 정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L 제어 정보),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위상 추적 기준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주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부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단말 별 채널 정보, 단말 별 채널 정규화 정보, 복수의 단말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DL 신호를 수신한 제1 스위치(1000)의 DL 트래픽 처리 및 분배기(1100)은 상기 채널 및 신호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확인된 우선순위에 따라 각 우선순위에 따른 큐(queue)에 각 DL 채널 및 신호를 분배할 수 있다.
DL 신호 사이의 우선순위는 동기 신호-공통 채널(복수의 단말을 위한 채널)-개별 단말을 위한 실시간 제어 정보 전송 채널-개별 단말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채널- 개별 단말을 위한 비실시간 전송을 위한 채널 순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를 적용하면, 제1 우선순위 채널 큐(1120)에는 PBCH, PSS, SSS 등이 분배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와 같은 신호 및 채널은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2 우선순위 채널 큐(1122)에는 PDCCH, CSI-RS, UE 별 채널 정규화 정보 및 복수 단말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 등이 분배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와 같은 채널 및 신호는 단말의 스케줄링 및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3 우선순위 채널 큐(1124)에는 PDSCH가 분배될 수 있으며 제N 우선순위 채널 큐(1126)에는 UE 별 채널 정보가 분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배된 각 DL 신호는 DL FH 전송 제어기(1110)의 제어 하에 공용 FH로 전송된다. 공용 FH의 용량이 모든 DL 신호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경우에는 모든 DL 신호가 전송될 수 있으나, 공용 FH의 용량이 모든 DL 신호를 전송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DL FH 전송 제어기(1110)는 우선순위가 높은 큐에 저장된 DL 신호부터 공용 FH을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큐에 저장된 DL 신호가 모두 공용 FH을 통해 전송된 경우 다음 우선순위의 큐에 저장된 DL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2는 UL 전송의 경우 FH 혼잡시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제2 스위치(1010)은 UL 트래픽 분배기(1200) 및 UL FH 전송 제어기(1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010)으로는 복수의 RU에서 복수의 DU로 전송하고자 하는 다양한 UL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UL 신호는 PUSCH, PUCCH, PRACH, DMRS, SR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UL 신호를 수신한 제2 스위치(1010)의 UL 트래픽 처리 및 분배기(1200)은 상기 채널 및 신호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확인된 우선순위에 따라 각 우선순위에 따른 큐(queue)에 각 UL 채널 및 신호를 분배할 수 있다.
UL 신호 사이의 우선순위는 동기 신호-공통 채널(복수의 단말을 위한 채널)-개별 단말을 위한 실시간 제어 정보 전송 채널-개별 단말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 채널- 개별 단말을 위한 비실시간 전송을 위한 채널 순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를 적용하면, 제1 우선순위 채널 큐(1220)에는 PRACH 등이 분배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와 같은 채널은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2 우선순위 채널 큐(1222)에는 PUCCH 등이 분배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와 같은 채널은 단말이 DL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및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3 우선순위 채널 큐(1224)에는 PUSCH가 분배될 수 있으며 제N 우선순위 채널 큐(1226)에는 SRS가 분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배된 각 UL 신호는 UL FH 전송 제어기(1210)의 제어 하에 공용 FH로 전송된다. 공용 FH의 용량이 모든 UL 신호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경우에는 모든 UL 신호가 전송될 수 있으나, 공용 FH의 용량이 모든 UL 신호를 전송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UL FH 전송 제어기(1210)는 우선순위가 높은 큐에 저장된 UL 신호부터 공용 FH을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큐에 저장된 UL 신호가 모두 공용 FH을 통해 전송된 경우 다음 우선순위의 큐에 저장된 UL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3은 개별 단말 및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고려해 DL 전송의 경우 FH 혼잡시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제1 스위치(1000)은 DL 트래픽 분배기(1300) 및 DL FH 전송 제어기(1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1000)에 전달되는 PDSCH는 각 단말 별 DL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단말 별 DL 데이터는 특정 베어러와 관련되어 있으며, 각 베어러의 QoS 클래스 인덱스(QoS class index, QCI)는 각 단말 별 DL 데이터의 우선순위 또는 긴급성의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다. DL 트래픽 처리 및 분배기(1300)은 각 단말 별 DL 데이터의 QCI를 기반으로 PDSCH 큐(1320)에서 각 단말 별로 DL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공용 FH가 혼잡한 경우 단말 별 DL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DL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3에서는 DL 데이터의 예를 들었으나, UL 데이터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공용 FH 혼잡시 QCI에 따라 각 단말 별 UL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도 14a는 공용 FH를 이용할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전송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도 11 내지 13과 달리 우선순위에 따른 전송이 RU와 DU에서 수행되는 경우의 일례이다.
도 14a에 따르면, RU와 DH를 초기 설정(setup)시 우선순위 기반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ON)한다. 이 때 DL 및 UL 신호의 종류에 따른 우선순위 및 QoS에 따른 우선순위를 미리 DU와 RU에 설정한다. 이러한 QoS에 따른 우선순위는 QCI로 확인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은 DU의 인터페이스 제어기 및 RU의 인터페이스 제어기에 설정될 수 있다(1400).
이후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은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또는 활성화한다(1410). DU의 스케줄러는 DL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하고, 실제 DL 신호가 DU에 도달하게 전에 그 스케줄링 결과를 DU 인터페이스 제어기에 알릴 수 있다. 이 때 스케줄링 결과에는 할당된 DL 채널 및 신호의 종류 및/또는 베어러의 QoS를 포함할 수 있다. UL 신호의 경우 DU 스케줄러는 UL 신호에 대한 자원 할당을 수행하고, 실제 UL 데이터가 RU에 도달하기 전에 그 스케줄링 결과를 RU 인터페이스 제어기에 알릴 수 있다. 이 때 DU가 RU에 전송하는 스케줄링 결과 정보는 할당된 UL 채널 및 신호의 종류 및/또는 베어러의 QoS를 포함할 수 있다(1420).
이후 DU의 PHY-H는 DL 신호를 MAC 레이어로부터 수신하고, DU 인터페이스 제어기로 전달한다. 또는 UL 신호의 경우라면 UL 신호를 PHY-L 기능을 처리하고 RU 인터페이스 제어부에 전달한다(1430). 이후 DU는 채널 및 신호의 종류 및/또는 베어러의 QoS 에 기반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UL 신호부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 때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채널 및 신호는 공용 FH 혼잡시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채널 및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먼저 전송이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채널 및 신호는 공용 FH 혼잡시 특정 시간 이후에 버려질 수 있다(1440). 이러한 동작은 DU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DL 신호 역시 RU에서 이러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중요한 채널 및 신호 및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에 대해 공용 FH을 통한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1450).
도 14b는 제1 스위치에서 공용 FH를 이용하는 경우 DL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에 따르면, 제1 스위치는 복수의 DU로부터 DL 신호를 수신한다(1455). 상기 DL 신호는 앞서 기술된 다양한 채널 및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스위치는 각 DL 채널 및 신호의 우선순위 및 DL 데이터의 QoS를 확인한다(1460). 제1 스위치는 상기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각 DL 채널 및 신호 및 DL 데이터를 분배하고(1465), 높은 우선순위의 DL 채널 및 신호와 높은 우선순위의 QoS에 해당하는 DL 데이터를 공용 FH로 전송한다(1470).
도 14c는 제2 스위치에서 공용 FH를 이용하는 경우 UL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에 따르면, 제2 스위치는 복수의 RU로부터 UL 신호를 수신한다(1475). 상기 UL 신호는 앞서 기술된 다양한 채널 및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스위치는 각 각 DL 채널 및 신호의 우선순위 및 DL 데이터의 QoS를 확인한다(1480). 제1 스위치는 상기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각 UL 채널 및 신호 및 UL 데이터를 분배하고(1485), 높은 우선순위의 UL 채널 및 신호와 높은 우선순위의 QoS에 해당하는 UL 데이터를 공용 FH로 전송한다(1490).
도 15는 본 발명이 수행되는 기지국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은 PDCP 블록(1504)와 RRC 및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1502) CU(central unit)(1500)과 RLC 및 MAC 블록(1512), 스케줄러(1514), PHY-H 블록(1516) 및 DU 인터페이스 블록(1518)을 포함하는 DU(1510) 및 PHY-L 블록(1524) 및 RU 인터페이스 블록(1522)를 포함하는 RU(1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례에 불과하며, 상기 기술된 블록이 아니더라도 본 발명에 기술된 실시예를 도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RU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따르면, RU(1600)은 송수신부(1610), RU 인터페이스 제어기(1622), PHY-L 제어기(1624)를 포함하는 제어부(1620), 저장부(1630) 및 RU 인터페이스(16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610)는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RU 인터페이스(1640)은 DU와의 유선 연결을 통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며, 이는 RU 인터페이스 제어기(1622)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PHY-L 제어기(1624)는 RU 인터페이스(1640)를 통해 DU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PHY-L 처리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저장부(1630)은 RU와 DU간의 통신 및 RU와 단말간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 및 송수신되는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20)은 상기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RU의 각 블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DU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따르면, DU(1700)은 DU 인터페이스(1710), 스케줄러(1722), RLC 및 MAC 제어기(1724), PHY-H 제어기(1726) 및 DU 인터페이스 제어기(1728)를 포함하는 제어부(1720) 및 저장부(1730)을 포함할 수 있다. DU 인터페이스(1710)은 RU와 DU, DU와 CU간의 유선 연결을 통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며, 이러한 동작은 DU 인터페이스 제어기(1728)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스케줄러(1722)는 단말의 DL 신호 및 UL 신호를 스케줄링하고, 스케줄링 결과 정보를 DU 인터페이스(1710)를 통해 RU로 전송할 수 있다. PHY-H 제어기(1726)는 RU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RU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PHY-H 기능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RLC 및 MAC 제어기(1724)는 RU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RU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에 RLC 및 MAC 레이어의 기능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1730)은 RU와 DU간의 통신 및 DU와 CU 간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 및 송수신되는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20)은 상기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DU의 각 블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따르면, 스위치(1800)은 송수신부(1810), 트래픽 처리 및 분배기(1822) 및 FH 전송 제어기(1824)를 포함하는 제어부(1820) 및 저장부(183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810)은 상기 스위치와 RU 및 DU간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며, 트래픽 처리 및 분배기(1822)는 스위치에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각 채널 및 신호의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신호를 분배하도록 동작하며, FH 전송 제어기(1824)는 우선순위가 높은 채널 및 신호부터 공용 FH을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1830)는 RU 또는 DU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신호 송수신에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4)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제1 장치의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적용될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shaping)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을 적용해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제2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는 상기 제1 장치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신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프론트홀(fronthaul)을 이용해 제2 장치로 몇 개의 시간 구간 동안 전송할지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에 기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상향링크 신호 수신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구성하는 각 채널 및 신호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단말의 초기 접속에 관련된 정보, 복수의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 개별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 개별 단말을 위한 데이터 순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 중 각 단말 별 데이터의 우선순위는 상기 각 단말 별 데이터에 관련된 베어러의 QoS(quality of service)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제2 장치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적용될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shaping)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는 상기 제1 장치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신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프론트홀(fronthaul)을 이용해 제2 장치로 몇 개의 시간 구간 동안 전송할지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도록 스케줄링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에 기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장치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구성하는 각 채널 및 신호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전송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단말의 초기 접속에 관련된 정보, 복수의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 개별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 개별 단말을 위한 데이터 순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 중 각 단말 별 데이터의 우선순위는 상기 각 단말 별 데이터에 관련된 베어러의 QoS(quality of service)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제1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제2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적용될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shaping)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을 적용해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제2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는 상기 제1 장치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신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프론트홀(fronthaul)을 이용해 제2 장치로 몇 개의 시간 구간 동안 전송할지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에 기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상향링크 신호 수신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구성하는 각 채널 및 신호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도록 더 제어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단말의 초기 접속에 관련된 정보, 복수의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 개별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 개별 단말을 위한 데이터 순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 중 각 단말 별 데이터의 우선순위는 상기 각 단말 별 데이터에 관련된 베어러의 QoS(quality of service)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장치.
  19.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제2 장치에 있어서,
    제1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에 적용될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shaping)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제1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는 상기 제1 장치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수신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프론트홀(fronthaul)을 이용해 제2 장치로 몇 개의 시간 구간 동안 전송할지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가 제1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도록 스케줄링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에 기반해 결정되는 시간 동안 제1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장치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장치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구성하는 각 채널 및 신호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전송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셰이핑이 적용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확인하도록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단말의 초기 접속에 관련된 정보, 복수의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 개별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 개별 단말을 위한 데이터 순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신호 중 각 단말 별 데이터의 우선순위는 상기 각 단말 별 데이터에 관련된 베어러의 QoS(quality of service)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장치.
KR1020190016159A 2019-02-12 2019-02-12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프론트홀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821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159A KR102821713B1 (ko) 2019-02-12 2019-02-12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프론트홀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20755752.1A EP3900464B1 (en) 2019-02-12 2020-02-12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using fronthaul in communication system
US16/788,512 US11178683B2 (en) 2019-02-12 2020-02-12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using fronthaul in communication system
PCT/KR2020/001974 WO2020166966A1 (en) 2019-02-12 2020-02-12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using fronthaul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159A KR102821713B1 (ko) 2019-02-12 2019-02-12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프론트홀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259A true KR20200098259A (ko) 2020-08-20
KR102821713B1 KR102821713B1 (ko) 2025-06-18

Family

ID=7194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159A Active KR102821713B1 (ko) 2019-02-12 2019-02-12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프론트홀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78683B2 (ko)
EP (1) EP3900464B1 (ko)
KR (1) KR102821713B1 (ko)
WO (1) WO20201669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851A (ko) * 2022-07-07 2024-01-16 가람전자(주) 비면허 밀리미터파 대역에서의 이음 5g용 오픈랜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4825A1 (en) * 2019-07-03 2022-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data on a full-duplex fronthaul link
KR20220037306A (ko) * 2020-09-17 2022-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론트홀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729654B2 (en) * 2021-05-05 2023-08-15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techniques between a radio unit and a distributed unit via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P4152639A1 (en) * 2021-09-16 2023-03-22 Maven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efficient uplink mimo performance and implementation for o-ran-based radio access networks
CN115988628B (zh) * 2023-01-16 2025-07-25 大连市共进科技有限公司 一种分布式小基站的调度时序控制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2289A1 (en) * 2015-04-15 2016-10-19 Viavi Solutions UK Limited Techniques for transmission of front-haul data based on data prioritization
KR20170113316A (ko) * 2016-03-28 2017-10-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이중 방식 무선 프론트홀을 가지는 c-ran 신호 전송방법
US20170338866A1 (en) * 2016-05-19 2017-11-2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duc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WO2017204067A1 (ja) * 2016-05-26 2017-11-30 京セラ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
US20170373890A1 (en) * 2015-03-11 2017-12-28 Phluido, Inc. Remote Radio Unit with Adaptive Fronthaul Link for a Distributed Radio Access Network
US20180063847A1 (en) * 2016-09-01 2018-03-0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Resource allocation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chanism thereof
US20180287696A1 (en) * 2015-10-22 2018-10-04 Phluido, Inc. Virtualization and orchestration of a radio access network
WO2019027711A1 (en) * 2017-07-31 2019-02-07 Mavenir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FRONTHAUL PHYSICAL LAYER DIVISION OF CLOUD RADIO ACC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0227B2 (en) * 2002-05-14 2019-02-05 Genghiscomm Holdings, LLC Pre-coding in multi-user MIMO
US9998200B2 (en) 2013-06-20 2018-06-12 Aviat U.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fronthaul network
EP3160194B1 (en) 2015-10-21 2018-08-08 Alcatel Lucent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WO2017107106A1 (en) 2015-12-23 2017-06-29 Intel Corporation Distributed scheduling method for fronthaul-based c-ran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WO2017152982A1 (en) * 2016-03-10 2017-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utilization of a fronthaul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080215B2 (en) 2016-08-05 2018-09-18 Nokia Technologies Oy Transportation of user plane data across a split fronthaul interface
US10257105B2 (en) 2016-12-02 2019-04-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physical layer design for 5G networks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s
BR112019016164A2 (pt) 2017-02-06 2020-03-24 Altiostar Networks, Inc. Sistema de comunicações mimo de múltiplos sítios com formação de feixe híbrido em arquitetura dividida em camadas l1
WO2019015758A1 (en) 2017-07-20 2019-01-2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EATMENT AND TRANSPORT OF FRONTHAUL COMMUNICATIONS
US11212818B2 (en) * 2018-02-09 2021-12-28 Mavenir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ng term evolution operation in unlicensed and shared spectrum for cloud radio access networks
EP3769582A4 (en) * 2018-03-19 2022-03-16 Mavenir Networks, Inc. FRONTHAUL INTERFACE BANDWIDTH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LOUD RAN
US11343812B2 (en) * 2018-11-01 2022-05-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adio resource allocation for access link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73890A1 (en) * 2015-03-11 2017-12-28 Phluido, Inc. Remote Radio Unit with Adaptive Fronthaul Link for a Distributed Radio Access Network
US20180013581A1 (en) * 2015-03-11 2018-01-11 Phluido, Inc. Baseband Unit with Adaptive Fronthaul Link and Bypass of MAC Function
EP3082289A1 (en) * 2015-04-15 2016-10-19 Viavi Solutions UK Limited Techniques for transmission of front-haul data based on data prioritization
US20180287696A1 (en) * 2015-10-22 2018-10-04 Phluido, Inc. Virtualization and orchestration of a radio access network
KR20170113316A (ko) * 2016-03-28 2017-10-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이중 방식 무선 프론트홀을 가지는 c-ran 신호 전송방법
US20170338866A1 (en) * 2016-05-19 2017-11-2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duc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WO2017204067A1 (ja) * 2016-05-26 2017-11-30 京セラ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
US20180063847A1 (en) * 2016-09-01 2018-03-0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Resource allocation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chanism thereof
WO2019027711A1 (en) * 2017-07-31 2019-02-07 Mavenir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FRONTHAUL PHYSICAL LAYER DIVISION OF CLOUD RADIO ACCESS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851A (ko) * 2022-07-07 2024-01-16 가람전자(주) 비면허 밀리미터파 대역에서의 이음 5g용 오픈랜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0464A1 (en) 2021-10-27
WO2020166966A1 (en) 2020-08-20
EP3900464B1 (en) 2024-05-15
US11178683B2 (en) 2021-11-16
US20200260471A1 (en) 2020-08-13
KR102821713B1 (ko) 2025-06-18
EP3900464A4 (en)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533B1 (ko)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엔티티들 간의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패킷 송신
KR102821713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프론트홀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38697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03056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aperiodic SRS in UE and device base station
US11425708B2 (en)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210352658A1 (en) UCI Resource Determination
WO2018028269A1 (zh) 一种资源调度方法和装置
CN110225547B (zh) 一种调度请求发送、接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JP2022520588A (ja) 送信動作および受信動作を実行するユーザ機器およびシステム
EP3665989A1 (en) Dynamic management of uplink control signaling resources in wireless network
US20150208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y data transmission on lte dual connectivity
EP38405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d configuring scheduling request resource, and storage medium
KR20110004785A (ko) 공유 무선 자원을 이용한 기지국의 상향링크 수신 방법 및 단말기의 상향링크 송신 방법
EP3301874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CN114342535B (zh) 上行信号的发送和接收方法以及装置
KR102591454B1 (ko) Nr v2x에서 사이드링크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7027440B2 (ja) アップリンク伝送方法、装置、端末装置、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システム
CN119728033A (zh) Harq-ack码本产生方法
US201601656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ve multi-carrier multi-cell schedul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127291A (ko) 기지국간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5748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36031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units
JP2025038141A (ja) ユーザ装置及びスケジューリングデバイス
KR102586022B1 (ko) Nr v2x에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2566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잡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07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