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97962A - 피부 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부 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62A
KR20200097962A KR1020190015467A KR20190015467A KR20200097962A KR 20200097962 A KR20200097962 A KR 20200097962A KR 1020190015467 A KR1020190015467 A KR 1020190015467A KR 20190015467 A KR20190015467 A KR 20190015467A KR 20200097962 A KR20200097962 A KR 20200097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ight source
information
skin care
source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유종진
성열문
Original Assignee
이재현
유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현, 유종진 filed Critical 이재현
Priority to KR1020190015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7962A/ko
Publication of KR2020009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6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61N2005/0633Arrangements for lifting or hinging the frame which supports th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에 구비되면서, 적색 파장 영역대, 청색 파장 영역대, 녹색 파장 영역대, 황색 파장 영역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 영역대를 포함하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메인 하우징에 구비되면서,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제 2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A Skin care device and skin care systems that provide skin beauty care services using them}
본 발명은 피부 케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파장 영역대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피부에 직접 방사할 수 있도록 하여, 포토 테라피(Photo therapy, Light therapy, 광선요법)을 진행할 수 있는 피부 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ED를 기반으로 하는 포토 테라피 장치 분야는 이미 기술 및 시장 성숙 단계인 기존의 레이저나 램프 기반의 의료기기와는 달리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인 관계로, 산업 활성화 및 전후방 산업에 미치는 부대효과와 고용창출이 예상된다.
상술한 포토 테라피 기술은 적절한 파장의 광을 피부에 조사하여 화학적, 운동역학적, 열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원하는 생리학적인 결과를 얻는 기술을 의미하며 레이저 치료기기와 같이 조사되는 파장의 선별을 통해 선택적인 치료가 가능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피부 내에서의 물리화학적 과정이 발생되기 위해, 광 에너지가 원자나 분자단위에서 흡수가 가능한 에너지로 생물학적 조직 내에 선택적인 파장을 이용해야 한다.
아울러, 상술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태양광, 레이저, 형광등, UV 램프 등 다양한 광원을 이용한다. 이러한 포토 테라피는 빛이 피부 내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 조직의 선택적 재생 또는 파괴 등을 통해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광 의료 기술이며, 최근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광원 중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LED 광원은 고출력 레이저(Laser)를 국소적인 면적에 집중적으로 조사하여 치료하는 방법과 달리, 적절한 광출력으로 넓은 면적의 피부질환 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LED 광원은 파장 선폭(wavelength bandwidth)이 좁아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방출하므로 유해한 자외선이나 불필요한 적외선 등이 방출되지 않아 부작용이 적고, 레이저에 비하여 에너지가 낮아 피부조직이나 눈을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LED 광원의 경우, 미리 설정된 특정 파장 영역대의 광선을 방출하도록 제조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적합한 광선을 유동적으로 변경하여 방출하지 못함으로써, 치료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안면 피부 케어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포토 테라피 장치의 경우, 안면부에 대해서만 국소적으로 빛이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됨에 따라, 포토 테라피의 진행 시, 사용자의 두피에는 빛이 도달하지 않아 별도의 포토 테라피 장치를 사용하여야 함에 따른 비용이 다소 상승되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07-0002794 A '광선 치료기' (2007.01.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양한 파장 영역대의 가시광선을 선택적으로 방사할 뿐만 아니라, 근적외선 파장 영역대의 빛을 선택적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적합한 광선을 유동적으로 변경하여 방출할 수 있는 피부 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빛이 방사되는 구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면부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하면서도, 사용자의 두피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빛의 방사 범위를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포토 테라피 장치를 추가적으로 마련하지 않고도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수 있는 피부 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에 구비되면서, 적색 파장 영역대, 청색 파장 영역대, 녹색 파장 영역대, 황색 파장 영역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 영역대를 포함하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메인 하우징에 구비되면서,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제 2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와, 한 쌍의 상기 측판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저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상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부 케어 장치는 상기 메인 하우징에 탑재되며, 하방을 향해 음이온을 방사하도록 마련되는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은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과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부 케어 장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판부에 탑재되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관련된 정보인 화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되는 화상 획득 모듈 및 상기 화상 획득 모듈과 제 1 및 제 2 광원 모듈과 연동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획득 모듈을 통해 취득한 화상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화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 모듈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의 파장 영역대를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제 2 광원 모듈에서 방출되는 근적외선의 방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 측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판부의 상단에 형성되면서, 하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피부 케어 장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방사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사 확장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안착부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확장 하우징과, 상기 확장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며, 적색 파장 영역대, 청색 파장 영역대, 녹색 파장 영역대, 황색 파장 영역대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 영역대를 포함하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 3 광원 모듈과, 상기 확장 하우징에 저면에 구비되면서,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제 4 광원 모듈 및 상기 확장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 2 음이온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광원 모듈 및 제 4 광원 모듈은 상기 확장 하우징이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판부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상기 제 3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4 광원 모듈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사 확장부는 일단이 상기 안착부의 양측단 내측벽과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링크 부재와, 상기 확장 하우징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일단은 상기 링크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양측단 내측벽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모듈을 포함하면서,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피부결, 피부톤, 모공의 크기, 유분량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피부 평가 수치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피부 케어 장치와, 상기 피부 케어 장치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분석 정보를 제공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 및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피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지표 정보 및 상기 피부 평가 수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저장된 영상 정보, 분석 정보 및 지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피부 케어 장치측으로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결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부 케어 장치는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영상 획득 모듈 및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취득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피부결, 피부톤, 모공의 크기, 유분량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영상 전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피부 영상 정보와 피부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결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은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광 조사 진행 전의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인 제 1 영상 정보, 제 1 분석 정보, 제 1 지표 정보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제 1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 취득 단계 이후, 상기 구동 결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 측에서 상기 피부 케어장치 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하는 광원 방사 단계 및 상기 광원 방사 단계 이후,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광 조사 진행 이후의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인 제 2 영상 정보, 제 2 분석 정보, 제 2 지표 정보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제 2 정보 취득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는 복수의 파장 영역대를 포함하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 1 광원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피부 상태에 적합한 가시광선을 선택적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 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화상 획득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된 피부 상태에 적합한 광원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하고, 화상 획득 모듈을 통해 획득한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적합한 빛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에 방사 확장부를 구비함으로써, 방사 확장부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광 조사 진행이 가능하면서도, 두피에 대한 광 조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 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방사 확장부에 마련되는 제 3 광원 모듈 및 제 4 광원 모듈의 작동에 있어서, 상기 방사 확장부를 확장하였을 때만 상기 제 3 및 제 4 광원 모듈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여 전력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방사 확장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방사 확장부를 확장시킬 수 있으면서도,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링크 부재와 결합되도록 하여 피부 케어 장치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링크 부재가 안착부의 내측벽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방사 확장부가 전방을 향해 보다 간편하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부 케어장치의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피부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정보 및 피부 평가 수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추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를 기반으로 광원 모듈의 구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피부 상태를 보유한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보다 능동적인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 모듈 및 전처리 모듈을 통해, 광 조사 진행 전의 사용자 피부 상태 및 광 조사 진행 이후의 사용자 피부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광 조사 진행 이후에 향상된 피부 수치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보다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부족한 피부 수치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즉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광 조사 진행 전과, 광 조사 진행 이후의 피부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포토 테라피를 통한 피부 개선 진행 상태를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한 각종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파장을 보유한 복수의 광원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광원이 구동되도록 진행되는 광원 방사 단계를 통해 부족한 피부 수치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선택적으로 진행하여 피부 케어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측면을 절단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방사 확장부의 확장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에서 화상 획득 모듈을 통해 취득된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광원 모듈과 음이온 발생 모듈이 작동되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가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순서를 도시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순서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써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측면을 A-A를 기준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방사 확장부의 확장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가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순서를 도시한 개략적인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순서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케어장치는 메인 하우징(100), 제 1 광원 모듈(200) 및 제 2 광원 모듈(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메인 하우징(100)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110)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110) 상단에 결합되며, 저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판부(120)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측판부(110)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상단이 하단보다 가깝도록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제 1 광원 모듈(200) 및 제 2 광원 모듈(300)로부터, 지면을 향해 보다 많은 양의 빛이 방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메인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적색 파장 영역대, 청색 파장 영역대, 녹색 파장 영역대, 황색 파장 영역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 영역대를 포함하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은 피부에 대한 투과 깊이가 1mm인 405nm 내지 415nm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한 청색 LED와, 상기 투과 깊이가 0.5 내지 2mm이면서, 416nm 내지 525nm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한 녹색 LED와, 상기 투과 깊이가 1 내지 2mm 이면서, 525nm 내지 590nm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한 황색 LED와, 상기 투과 깊이가 1 내지 6mm 이면서, 630nm 내지 660nm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한 적색 LED 및 상기 투과 깊이가 4mm 이상이면서, 800nm 내지 900nm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한 근적외선(IR) LED 중 어느 하나 이상의 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파장 영역대의 LED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피부 상태에 적합한 빛을 방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은 상기 측판부(110)가 상호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상판부(12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광원 모듈(300)은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이 구비되는 구역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광원 모듈(300)은 피부에 대한 투과 깊이가 4mm 이상 이면서, 800nm 내지 900nm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한 근적외선 LED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다양한 피부상태에 적합한 빛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치료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는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400) 및 화상 획득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400)은 상기 메인 하우징(100)의 측판부(110)의 내측벽 또는 상기 상판부(120)의 저면에 탑재되어 하방을 향해 음이온을 방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음이온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400)이 상기 측판부(110) 또는 상판부(12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400)은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 및 제 2 광원 모듈(300)과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 및 제 2 광원 모듈(300)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400)이 지속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한 음이온 생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 획득 모듈(500)은 메인 하우징(100)의 상판부(120)의 저면에 탑재되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관련된 정보인 화상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특히, 상기 화상 획득 모듈(5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검지하고, 검지된 피부 상태에 적합한 빛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 적합성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화상 획득 모듈(500)로 부터 취득한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 및 제 2 광원 모듈(300)에서 방사되는 다양한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한 빛을 선택적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측판부(110)는 한 쌍의 상기 측판부(110) 상단 간 폭보다 하단 간 폭이 넓도록 경사진 형상을 보유함으로써, 상기 측판부(110)가 평행하도록 배치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측판부(110)에 마련되는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에서 방사되는 빛이 사용자 측을 향해 보다 많은 양의 빛이 방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인 하우징(100)의 상판부(120) 상단에는 하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안착부에 빛의 방사 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구비되는 방사 확장부(700)가 마련된다.
아울러, 기존의 포토 테라피 장치로는 얼굴 정면 및 측면 등 특정 부위에 한정적으로만 빛이 방사 가능하도록 제공됨에 따라, 방사 면적이 다소 한정적이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방사 확장부(700)를 통해, 상기 특정 부위에 빛을 방사하면서도, 상기 특정 부위와 인접한 위치의 기타 부위(두피)에 대한 포토 테라피 진행이 필요한 경우, 상기 방사 확장부(700)를 확장함으로써 상기 기타 부위(두피)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3의 A-A를 기준으로 절단하여 측면에서 도시한 측단면도로,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였던 방사 확장부(7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방사 확장부(700)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도면에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방사 확장부(700)에 제 3 광원 모듈, 제 4 광원 모듈 및 제 2 음이온 발생 모듈이 탑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방사 확장부(700)는 상술한 광원 모듈과 음이온 발생 모듈뿐만 아니라, 확장 하우징(710), 링크 부재(750) 및 슬라이딩 바(7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 하우징(710)은 그 저면이 메인 하우징의 상판부(120)에 형성되는 안착부 상부면과 접촉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양 측단에 상기 슬라이딩 바(760)가 삽입된 상태로 전후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7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711)의 형성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바(76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바의 외부 노출에 의한 후술할 제 3 및 제 4 광원 모듈이 설치될 수 있는 면적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많은 수량의 제 3 및 제 4 광원 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확장 하우징(710)은 상기 방사 확장부(700)의 확장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상판부(120)에서 상기 안착부가 형성하는 구역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다음으로, 상기 링크 부재(750)는 상기 메인 하우징(100)의 상판부(120)와 상기 확장 하우징(710)을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부의 양측단 내측벽과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안착부와의 연결점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바(7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확장 하우징(710)의 가이드 홈(711)을 따라 안내되어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바(760)의 일단은 상기 링크 부재(750)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760)의 타단은 상기 확장 하우징(7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 하우징(710)이 최대한 확장된 이후에도, 상기 슬라이딩 바(760)의 타단이 상기 확장 하우징(7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슬라이딩 바(760)의 타단에는 상기 확장 하우징(710)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턱의 형성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방사 확장부(700)의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를 구성하는 방사 확장부가 확장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방사 확장부(700)의 확장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상기 확장 하우징(710)이 상판부(120)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해당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보관성의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안면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두피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추가적으로 진행하는 등의 빛 방사 영역의 확장이 요구되어 상기 확장 하우징(710)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 하우징(71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확장 하우징(710)이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확장 하우징(710)을 보다 전방으로 연장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구역에 상기 확장 하우징(710)이 인접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 하우징(710)을 최대한 연장시킨 상태에서도, 슬라이딩 바(760)의 일부가 상기 확장 하우징(710)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장된 상태의 상기 확장 하우징(710)과 상기 슬라이딩 바(760)간에 상하방향 회동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빛의 방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함과 동시에, 두피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하기 위해, 전방을 향해 연장된 상기 확장 하우징(710)을 하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틸팅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확장 하우징(710)과 상기 슬라이딩 바(760)는 서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틸팅각의 조절은 상술한 링크 부재(75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링크 부재(750)는 상기 슬라이딩 바(760)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상판부(120)와도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틸팅각의 변동 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는 사용자가 안면에 대해 한정적으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때의 피부 케어 장치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6b는 사용자가 안면 및 두피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때의 피부 케어 장치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면에 대해 한정적으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안면 정면과 양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측판부(110)가 마주보는 면이 사용자의 안면 양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측판부(110) 상단에 배치되는 상판부(120)의 저면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부(120)의 저면에는 제 1 광원모듈(200), 제 2 광원 모듈(300),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400) 및 화상 획득 모듈(500)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측판부(110)가 상호 마주보는 면에도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 및 제 2 광원 모듈(300)이 구비되어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면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두피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 확장부(700)의 확장을 진행하여 상기 두피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방사 확장부(700)의 확장 하우징(710) 저면에는 제 3 광원 모듈(720), 제 4 광원 모듈(730) 및 제 2 음이온 발생 모듈(740)이 탑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3 광원 모듈(720)은 적색 파장 영역대, 청색 파장 영역대, 녹색 파장 영역대 및 황색 파장 영역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 영역대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광원 모듈과 동일한 광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4 광원 모듈(730)은 근적외선을 방출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제 2 광원 모듈과 동일한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사 확장부(700)에 상기 제 3 광원 모듈(720) 및 제 4 광원 모듈(730)이 탑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함과 동시에, 별도의 케어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지 않고도, 두피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 2 음이온 발생 모듈(740)은 상기 제 3 광원 모듈(720) 및 제 4 광원 모듈(730)과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음이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 3 광원 모듈(720)과 제 4 광원 모듈(730)은 상기 확장 하우징(710)이 상기 상판부(120)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상기 제 3 광원 모듈(720) 및 제 4 광원 모듈(730)이 작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사 확장부를 확장하였을 때만 상기 제 3 및 제 4 광원 모듈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여 전력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화상 획득 모듈을 통해 취득된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광원 모듈과 음이온 발생 모듈이 작동되는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화상 획득 모듈(500)은 메인 하우징에 탑재되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관련된 정보인 화상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때, 상기 화상 획득 모듈(500)과 상술하였던 제 1 광원 모듈(200) 및 제 2 광원 모듈(300)을 상호 연동시키고,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제어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화상 획득 모듈을 통해 취득한 화상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상기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의 파장 영역대를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제 2 광원 모듈(300)에서 방출되는 근적외선의 방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후,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 및 제 2 광원 모듈(300)측으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은 제 1 광원 모듈(200) 및 제 2 광원 모듈(300)은 사용자의 피부상태에 대응되는 빛을 방출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400)의 경우에는 과도한 음이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과 제 2 광원 모듈(300)과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방사 확장부(700)에 마련되는 제 3 광원 모듈(720) 및 제 4 광원 모듈(730)은 상술한 제 1 광원 모듈(200)과 제 2 광원 모듈(300)과 동일하게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두피에 방사됨에 따라,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 및 제 2 광원 모듈(300)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량보다 높은 광량을 방출할 수 있도록 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음이온 발생 모듈(740)의 경우에도 과도한 음이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광원 모듈(200)과 제 2 광원 모듈(300)뿐만 아니라, 상기 제 3 광원 모듈(720) 및 제 4 광원 모듈(730)과도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의 가동 순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광원을 선택하여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수 있는 수동 모드와 상술한 화상 획득 모듈을 통해 취득한 화상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한 광원이 자동으로 결정되도록하여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수 있는 자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먼저, 상기 수동 모드 진행의 경우에는, 1) 제 1 광원 모듈 내지 제 4 광원 모듈에서 방출되는 광원의 파장 영역대를 선택하며, 2) 이후,포토 테라피 발생 모듈과 제 2 음이온 발생 모듈에서 발생되는 음이온 방출 유무를 선택하고, 3) 포토 테라피 진행 시간인 동작 시간을 선택하여 상기 수동 모드에서의 피부 케어 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광 방사 진행 및 음이온의 방출이 진행되는 시간이 상기 동작 시간을 경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작동 중단 및 알람 생성이 진행되며,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알람 생성을 위해, 별도의 알람 생성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알람 생성이 진행된 이후에 최종적으로 상기 수동 모드에서의 피부 케어 장치의 작동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상기 자동 모드 진행의 경우에는, 화상 획득 모듈의 구동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관련된 정보인 화상정보를 가장 먼저 취득하며, 상기 화상 정보의 취득을 위해 CMOS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취득된 상기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광원 모듈 내지 제 4 광원 모듈에서 방출되는 광원의 파장 영역대가 선택되며, 동작 시간 또한 상기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자동 모드에서의 피부 케어 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진행되는 과정은 수동 모드에서의 작동 진행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며, 알람 생성이 진행된 이후에는 최종적으로 상기 자동 모드에서의 피부 케어 장치의 작동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인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장치를 이용한 피부 케어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시스템은 피부 케어 장치(1000), 중앙 제어부(2000) 및 단말기(30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피부 케어 장치(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모듈을 포함하면서,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피부결, 피부톤, 모공의 크기, 유분량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피부 평가 수치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구비된다.
특히, 상기 피부 케어 장치(1000)에는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획득 모듈(500)과, 상기 분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전처리 모듈(80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 제어부(2000)는 상기 영상 정보 및 분석 정보를 후술할 단말기 측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 정보 및 분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중앙 제어부(2000)는 상기 피부 케어 장치(1000)를 통해 획득되어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 및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피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지표 정보와, 상기 피부 평가 수치를 기반으로 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한 광원의 종류를 추천하는 정보인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3000)는 상기 중앙 제어부(2000)를 통해 생성된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사용자 측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피부 케어 장치(100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결정 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3000)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태블릿을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피부 케어 시스템의 작동 순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는, 제 1 정보 취득 단계(S100), 광원 방사 단계(S200) 및 제 2 정보 취득 단계(S300)를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제 1 정보 취득 단계(S100)는 상기 피부 케어 장치의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광원 모듈에서의 광 방출을 통한 광 조사 진행 전의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인 제 1 영상 정보, 제 1 분석 정보, 제 1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도록 진행된다.
특히, 상기 제 1 정보 취득 단계(S100)는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광 조사 진행 전의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인 제 1 영상 정보를 취득한 이후, 상기 제 1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전처리 모듈을 통해, 제 1 분석 정보를 취득하도록 진행된다.
이후,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상기 제 1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의 생성을 위해, 상기 중앙 제어부에 연산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원 방사 단계(S200)는 단말기를 통해 획득되는 구동 결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을 보유한 복수의 광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광원이 구동되도록 진행되는 단계로, 상기 광원 방사 단계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적합한 파장을 보유한 광원이 선택적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정보 취득 단계(S300)는 상기 피부 케어 장치의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광원 모듈에서의 광 방출을 통한 광 조사 진행 이후의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인 제 2 영상 정보, 제 2 분석 정보, 제 2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도록 진행된다.
이후, 상기 제 2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를 기반으로 다시 광원 방사 단계가 진행될 수 있으며, 반복적인 광원 방사 단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높은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의 진행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정보 취득 단계(S200)는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광 조사 진행 이후의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인 제 2 영상 정보를 취득한 이후, 상기 제 2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전처리 모듈을 통해, 제 2 분석 정보를 취득하도록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이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정보 취득 단계(S100)에서 피부 케어 장치(1000)에서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한 사용자 피부에 대한 광 조사 진행 전의 정보인 제 1 영상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 1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전처리 모듈을 통해, 제 1 분석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이후, 상기 피부 케어 장치에서 취득된 제 1 영상 정보 및 제 1 분석 정보를 중앙 제어부(1000)측으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1000)에서 상기 제 1 영상 정보 및 제 1 분석 정보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영상 정보 및 제 1 분석 정보는 단말기(3000)측으로 전송된 이후,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진행되며, 상기 단말기(3000)에서 출력되는 제 1 영상 정보 및 제 1 분석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앙 제어부(2000)에 저장되었던 제 1 영상 정보와 제 1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피부 상태(광 조사 진행 전의 피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제 1 지표 정보 및 사용자의 피부에 적합한 광원의 종류를 추천하는 정보인추천 정보(광 조사 진행 전)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단말기(3000)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 1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광원 방사 단계(S200)에서는 상기 추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3000) 측에서 서로 다른 파장을 보유한 복수의 광원 모듈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광원 모듈을 선택하여 구동하기 위한 정보인 구동 결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진행된다.
특히, 상기 단말기(3000)를 통해 획득된 상기 구동 결정 정보는 상기 중앙 제어부(2000)를 거쳐 저장된 이후, 상기 피부 케어 장치(1000)측으로 전송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2000)에서 상기 구동 결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피부 케어 장치(1000)측으로 전송된 구동 결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부 케어 장치(1000)의 광원 모듈에서 방사되는 방사 광원의 파장이 결정되며, 결정된 파장을 보유한 광선이 상기 광원 모듈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사된다.
이때,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방사되는 광원은 파장이 405 내지 415nm 영역대인 청색 광원, 파장이 416nm 내지 525nm 영역대인 녹색 광원, 파장이 526 내지 590nm 영역대인 황색 광원, 파장이 630 내지 660nm 영역대인 적색 광원 및 파장이 800 내지 900nm 영역대인 근적외선 광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정보 취득 단계(S300)가 진행되며, 상기 제 2 정보 취득 단계(S300)에서 상기 광원 모듈에서 특정 파장을 보유한 광선의 방사가 완료된 이후,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광 조사 이후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정보 취득 단계(S300)에서는 광 조사 이후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여 획득한 제 2 영상 정보와, 상기 제 2 영상 정보를 전처리하여 제 2 분석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2000)측으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중앙 제어부(1000)에서 상기 제 2 영상 정보 및 제 2 분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영상 정보 및 제 2 분석 정보는 단말기(3000)측으로 전송된 이후,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진행되며, 상기 단말기(3000)에서 출력되는 제 2 영상 정보 및 제 2 분석 정보를 통해, 상기 광원 방사 단계(S200)를 진행한 이후의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앙 제어부(2000)에 저장되었던 제 2 영상 정보와 제 2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피부 상태(광 조사 진행 후의 피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제 2 지표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피부에 적합한 광원의 종류를 추천하는 정보인 추천 정보(광 조사 진행 후의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광 조사 진행 후의 추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3000)에 2차 구동 결정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구동 결정 정보에 따라 피부 케어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 사용자에 대한 반복적인 포토 테라피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 케어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사용자의 피부가 지성이면서, 2) 기미, 주근깨가 형성되어 있고, 3) 미세 주름이 과다한 상태를 나타내는 피부 정보를 상기 제 1 정보 취득 단계(S100)에서 취득하게 되며, 상기 지성 피부 케어에 적합한 청색 광원과, 기미, 주근깨 완화에 적합한 황색 광원 및 미세 주름의 완화를 위한 녹색 광원을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 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후, 상기 광원 방사 단계(S200)에서 상기 청색 광원, 황색 광원 및 녹색 광원을 동시에 방사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포토 테라피를 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정보 취득 단계(S300)에서 광 방사 이후의 사용자 피부 상태를 측정하여 지성 피부에 대한 케어가 완료되었고, 미세 주름이 완화되었으나, 기미, 주근깨에 대한 완화가 미약한 상태의 피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피부 정보에 따라, 상기 기미, 주근깨를 완화하기 위한 황색 광원을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 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후, 다시 상기 광원 방사 단계를 진행하도록 하여, 상기 황색 광원만을 방사하여, 상기 기미, 주근깨의 완화를 위한 포토 테라피를 보다 집중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 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메인 하우징
110 : 측판부
120 : 상판부
121 : 안착부
200 : 제 1 광원 모듈
300 : 제 2 광원 모듈
400 :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
500 : 화상 획득 모듈
600 : 제어부
700 : 방사 확장부
710 : 확장 하우징
711 : 가이드 홈
720 : 제 3 광원 모듈
730 : 제 4 광원 모듈
740 : 제 2 음이온 발생 모듈
750 : 링크 부재
760 : 슬라이딩 바
800 ; 영상 전처리 모듈
1000 : 피부 케어 장치
2000 : 중앙 제어부
3000 : 단말기
S100 : 제 1 정보 취득 단계
S200 : 광원 방사 단계
S300 : 제 2 정보 취득 단계

Claims (14)

  1.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에 구비되면서, 적색 파장 영역대, 청색 파장 영역대, 녹색 파장 영역대, 황색 파장 영역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 영역대를 포함하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 1 광원 모듈; 및
    상기 메인 하우징에 구비되면서,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제 2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
    한 쌍의 상기 측판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저면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상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케어 장치는,
    상기 메인 하우징에 탑재되며, 하방을 향해 음이온을 방사하도록 마련되는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이온 발생 모듈은,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과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케어 장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판부에 탑재되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관련된 정보인 화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되는 화상 획득 모듈; 및
    상기 화상 획득 모듈과 제 1 및 제 2 광원 모듈과 연동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획득 모듈을 통해 취득한 화상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 모듈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의 파장 영역대를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제 2 광원 모듈에서 방출되는 근적외선의 방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광원 모듈 및 제 2 광원 모듈 측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판부의 상단에 형성되면서, 하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피부 케어 장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방사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확장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안착부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확장 하우징;
    상기 확장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며, 적색 파장 영역대, 청색 파장 영역대, 녹색 파장 영역대, 황색 파장 영역대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장 영역대를 포함하는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제 3 광원 모듈;
    상기 확장 하우징에 저면에 구비되면서,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제 4 광원 모듈;및
    상기 확장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 2 음이온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광원 모듈 및 제 4 광원 모듈은,
    상기 확장 하우징이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판부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상기 제 3 광원 모듈 및 상기 제 4 광원 모듈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확장부는,
    일단이 상기 안착부의 양측단 내측벽과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링크 부재;
    상기 확장 하우징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일단은 상기 링크 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딩 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양측단 내측벽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장치.
  12.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방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모듈을 포함하면서,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피부결, 피부톤, 모공의 크기, 유분량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피부 평가 수치를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피부 케어 장치;
    상기 피부 케어 장치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분석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영상 정보 및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피부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지표 정보 및 상기 피부 평가 수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저장된 영상 정보, 분석 정보 및 지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피부 케어 장치측으로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결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케어 장치는,
    사용자 피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영상 획득 모듈; 및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취득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피부결, 피부톤, 모공의 크기, 유분량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영상 전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피부 영상 정보와 피부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지표 정보 및 추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결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은,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광 조사 진행 전의 사용자 피부 정보인 제 1 영상 정보, 제 1 분석 정보, 제 1 지표 정보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제 1 정보 취득 단계;
    상기 제 1 정보 취득 단계 이후, 상기 구동 결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 측에서 상기 피부 케어장치 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하는 광원 방사 단계; 및
    상기 광원 방사 단계 이후,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광 조사 진행 이후의 사용자 피부 정보인 제 2 영상 정보, 제 2 분석 정보, 제 2 지표 정보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제 2 정보 취득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
KR1020190015467A 2019-02-11 2019-02-11 피부 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 Ceased KR20200097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467A KR20200097962A (ko) 2019-02-11 2019-02-11 피부 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467A KR20200097962A (ko) 2019-02-11 2019-02-11 피부 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62A true KR20200097962A (ko) 2020-08-20

Family

ID=7229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467A Ceased KR20200097962A (ko) 2019-02-11 2019-02-11 피부 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79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882A (ko) * 2021-09-17 2023-03-27 (주)에스티지24 수면 케어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794A (ko) 2005-06-30 2007-01-05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광선치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794A (ko) 2005-06-30 2007-01-05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광선치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882A (ko) * 2021-09-17 2023-03-27 (주)에스티지24 수면 케어 기능을 갖는 헤어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1000B2 (ja) 内視鏡用光源装置
CN1946335A (zh) 毛发检测设备
JP6827512B2 (ja) 内視鏡システム
CN103566476B (zh) 用于光照诊断和光照疗法的光源设备
KR20120066286A (ko) 광선치료 장치 및 방법
EP2827791A1 (en) Dermatological treatment device with one or more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vcsel)
US11273321B2 (en) Phototherapy apparatus,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treatment method using same
KR20070097735A (ko) 형광 진단 및 광역동치료를 위한 광원장치
US20180206779A1 (en) Photosensitivity test device
JP6897483B2 (ja) 光照射装置、光照射プログラム、及び光照射装置の駆動方法
US20180103857A1 (en) Sensor for sensing a biometric function
US20200026316A1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WO2011114984A1 (ja) レーザトリートメント装置
KR20200097962A (ko) 피부 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 뷰티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 케어 시스템
US20170040768A1 (en) Multi-Wavelength Laser Diode Package Arrangement
KR20190136599A (ko) 스캐닝 장치
US20190328206A1 (en) Observ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bservation apparatus
CN109561818B (zh) 可调色温白光源
KR101953258B1 (ko) 휴대용 광 피부 치료 장치 및 시스템
EP1903970B1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delivery apparatus
US10617469B2 (en) Skin treatment device providing optical coupling to skin tissue
CN215136076U (zh) 一种激光美容设备
RU275573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либровки источника света медицин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834173B1 (ko) 광 치료 장치
JP4424279B2 (ja) 光化学医療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0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6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