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756A - Fan noise control apparatus - Google Patents
Fan noise control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5756A KR20200095756A KR1020190013516A KR20190013516A KR20200095756A KR 20200095756 A KR20200095756 A KR 20200095756A KR 1020190013516 A KR1020190013516 A KR 1020190013516A KR 20190013516 A KR20190013516 A KR 20190013516A KR 20200095756 A KR20200095756 A KR 202000957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 shaft
- support
- coil
- extending direction
- magnetic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5—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resonance chambers or interferen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04D29/046—Bearing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50—B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1—Rotating machines, e.g. engines, turbines, motors; Periodic or quasi-periodic signals in genera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2—Manual tu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와,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팬과,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회전구동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구동부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가이드부와, 회전구동부를 지지하되 회전구동부와 함께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 지지부와,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중 하나는 코일을 포함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회전구동부는 가이드부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n having a rotation drive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rotate a drive shaft, a fan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that rotate around the drive shaft to induce air flow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a drive shaft. A guide part accommodating the rotation drive part in the inner space so that the rotation drive part can reciprocat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firs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rotation drive part but reciprocat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ogether with the rotation drive part, and an extension of the drive shaft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an inner space such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reciprocates along a direction, o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ncludes a coil,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2. Disclosed is a fan noise control apparatus, wherein the other one of the support parts includes a magnetic member, an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rotation drive part reciprocate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팬 소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 소음을 이용하여 소리를 생성하거나 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팬 소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fan noise contro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n nois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sound or reducing fan noise using fan noise.
팬(fan)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블레이드(blade)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기계 장치의 한 구성품으로, 예컨대 전동기(electric motor)와 같은 구동원(driving source)으로부터 회전력(rotational force)을 제공받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일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장치이다.A fan is a component of a mechanical device in which several blades are arrang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a rotation axis, and provides rotational force from a driving source such as an electric motor. It is a device that generates a flow of air in one direction by rotating it around a rotation axis.
팬은 공기 유동이 필요한 다양한 기계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은 선풍기나 에어컨, 환풍기, 냉장고, 공기청정기, 컴퓨터 등 가전제품에 설치되어 실내에 냉난방을 공급하거나, 실내외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에어컨과 냉장고의 응축기나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Fans can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mechanical devices that require air flow. For example, fans are installed in home appliances such as electric fans, air conditioners, ventilators, refrigerators, air purifiers, computers, etc. to supply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indoors or forcibly circulate indoor and outdoor air. Also, condensers of air conditioners and refrigerators or computers It can also be used as a cooling fan to coo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한, 팬은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에도 설치될 수 있어, 앞서 소개한 가전제품들 이외에도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 다양한 운송수단에도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n may be installed in a compressor that sucks air and compresses it to a high pressure, and thus it may be used in various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utomobiles, ships, and aircraft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home appliances.
전술한 바와 같이, 팬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블레이드들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일정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므로, 필연적으로 블레이드들과 공기가 서로 맞부딪히며 소음을 발생시킬 수 밖에 없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an, since several blades rotate at high speed around a rotation axis to induce a constant flow of air, the blades and air inevitably collide with each other and generate nois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이용하여 원하는 소리를 생성할 수 있는 팬 소음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fan noise control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desired sound by usi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fan.
또한, 실시예들은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팬 소음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are to provide a fan noise control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fan.
또한, 실시예들은 팬의 재질이나 강성, 블레이드의 두께와 같은 팬의 물성을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제어할 수 있는 팬 소음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are intended to provide a fan noise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noise generated from a fan without changing the fan'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 fan material, rigidity, and blade thickn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는 팬 본체에 축 방향의 진동계를 설치하여, 진동계를 고유 진동수 부근에서 가진할 수 있다.In the fan nois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vibration system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fan body, the vibration system may be excited near a natural frequency.
또한, 팬의 회전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계의 진동을 통해 발생하는 소리를 상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ncel out the noise that is inevitably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and the sound generated through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system.
또한, 팬의 물성을 변경시키는 대신 팬 본체에 설치된 진동계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changing the properties of the fa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vibr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fa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와,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팬과,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회전구동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구동부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가이드부와, 회전구동부를 지지하되 회전구동부와 함께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 지지부와,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중 하나는 코일을 포함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회전구동부는 가이드부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n having a rotation drive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rotate a drive shaft, a fan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that rotate around the drive shaft to induce air flow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a drive shaft. A guide part accommodating the rotation drive part in the inner space so that the rotation drive part can reciprocat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a firs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rotation drive part but reciprocat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ogether with the rotation drive part, and an extension of the drive shaft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an inner space such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reciprocates along a direction, o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ncludes a coil,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구동부의 외측 표면과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회전구동부의 외측 표면과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 중 다른 하나에는 돌출부가 안착되는 제1 홈부가 형성되며, 제1 돌출부와 제1 홈부는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제1 돌출부는 제1 홈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is formed on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drive un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and the protrusion is seated on the oth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drive un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The first groove is forme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groove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ing shaft, and the first protrusion may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ove.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축과 가이드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축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구동축의 이동을 방지하는 베어링 하우징과, 베어링 하우징에 수용되되 구동축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bearing housing interposed between the drive shaft and the guide portion to prevent movement of the drive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a bearing accommodated in the bearing housing an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I can.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 표면과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 표면과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 중 다른 하나에는 제2 돌출부가 안착되는 제2 홈부가 형성되며, 제2 돌출부와 제2 홈부는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is formed on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and a secon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A second groove portion in which is seated may be formed, and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부는,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축과, 중공축의 외측 표면을 감싸는 코일과, 중공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may include a hollow shaft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 coil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hollow shaft, and an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llow shaf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중공축은 제2 지지부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hollow shaft may be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부는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는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며, 탄성부재는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제1 지지부의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탄성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ortion support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second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reciprocat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bas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t can elastically allow movemen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지지부는,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의 탄성부재의 팽창을 방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구동축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와, 코일의 외주면을 둘러싸되 코일과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자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includes a support plate for preventing expansion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 fixing member for preventing movement of the elastic memb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ing shaft, and a coil. It may include a magnetic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and spaced apart from the coi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는 자성부재의 일단과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자성부재는 지지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further includes a cover plate supporting one end of the magnetic member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magnetic member, and the magnetic member is a support plate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and the cover plat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공축과 코일 및 탄성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부재와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고정부재와 자성부재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low shaft, the coil and the elastic member is disposed betwee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gnetic member. It can be characteriz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재의 외측 표면과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중공축과 코일 및 탄성부재 각각의 두께의 합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may be wid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hollow shaft, the coil, and the elastic member. .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재의 외측 표면과 자성부재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중공축과 코일 및 탄성부재 각각의 두께의 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gnetic member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may be wid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hollow shaft, the coil, and the elastic memb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재의 외측 표면과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고정부재의 외측 표면과 자성부재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gnetic member are substantially the same. It can be characteriz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부는, 가이드부를 둘러싸되 가이드부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자성부재와, 회전구동부와 자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가이드부와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어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지지 프레임의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허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includes a magnetic member that surrounds the guide and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radial direction,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rotation driving part and the magnetic member, and the guide part and the support frame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portion to allow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support fram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지지부는, 가이드부를 둘러싸되 가이드부와 자성부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스테이터와, 자성부재를 둘러싸되 자성부재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스테이터와, 제2 스테이터에 수용되되 자성부재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portion surrounds the guide portion and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guide portion and the magnetic member, and surrounds the magnetic member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ic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stator and a coil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ator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ic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자성부재는 제1 스테이터와 제2 스테이터 사이의 공간에서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agnetic member may reciprocate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stator and the second stato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스테이터와 제2 스테이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은 자성부재의 두께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width of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stator and the second stator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may be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에 의하면, 팬 본체에 축 방향의 진동계를 설치하여, 진동계를 고유 진동수 부근에서 가진함으로써 전기 입력은 최소로 하면서 소리 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an nois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vibration system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fan body, the vibration system is excited near the natural frequency, thereby minimizing electrical input and maximizing sound output. have.
또한, 팬 본체에 설치된 진동계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켜, 이를 팬의 회전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소음과 상쇄시킴으로써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noise generated from the fan may be reduced by generating sound through vibration of a vibr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fan body, and canceling it with noise that is inevitab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an.
또한, 팬의 물성을 변경하는 대신 팬 본체에 설치된 진동계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변경시킴으로써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noise generated by the fan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vibration meter installed in the fan body instead of changing the fan's physical properties.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가 설치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의 각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를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를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팬의 BPF 소음 위상제어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팬의 BPF 소음 저감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by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and reference numerals denote structural elements.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fan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each component of a fan nois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n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a rotation shaf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an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a rotation shaft.
7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BPF noise phase control of a fan.
8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reducing the BPF noise of a fa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ir mean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applicabl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not the name of a simple term.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member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can easily implement.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가 설치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fan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100)가 설치된 공기조화기(50)는 압축기(51), 실내 열교환기(52), 제1 팽창밸브(EV_1), 제2 팽창밸브(EV_2) 및 실외 열교환기(53)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는 실내기를 나타내고 "O"는 실외기를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구체적으로, 실외기(O)는 난방 운전 시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53)와, 실외 열교환기(53)의 일측에 구비되는 실외팬(54)과, 실외 열교환기(53)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 팽창밸브(EV_1)와, 실외 열교환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51)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door unit O includes an
또한, 실내기(I)는 난방 운전 시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실내 열교환기(52)와, 실내 열교환기(52)의 일측에 구비되는 실내팬(55)과, 제상 운전 시 실내 열교환기(52)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팽창밸브(EV_2)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I) is an
압축기(51)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즉, 압축기(51)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51)는 공기조화기(5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예컨대, 압축기(51)가 공기조화기(5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압축기(51)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실내 열교환기(52)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실내 열교환기(52)는 실내 공기와 실내 열교환기(52)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실내 열교환기(52)는 공기조화기(5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52)는 하나의 실내기 내에 복수 개가 구비되거나, 복수 개의 실내기 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실외 열교환기(53)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외 열교환기(53)는 실외 공기와 실외 열교환기(53)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실외 열교환기(53)는 공기조화기(5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53)는 하나의 실외기 내에 복수 개가 구비되거나, 복수 개의 실외기 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실내 열교환기(52) 및 실외 열교환기(53)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일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52) 측에는 실내팬(55)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53) 측에는 실외팬(54)이 마련될 수 있다.The
공기조화기(50)는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분리기(5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오일분리기(56)는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압축기(51)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분리기(56)로 유입된 혼합기에서 분리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52)와 실외 열교환기(53)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된 혼합기는 공급유로(57)를 통해 오일분리기(56)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분리기(56)에서 분리된 액상 오일은 회수유로(58)를 통해 다시 압축기(51)로 공급되고, 오일분리기(56)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냉매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ixer discharged from the
공기조화기(50)는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가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59)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59)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유로전환밸브(59)는 냉방모드에서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low
제1 팽창밸브(EV_1)는 실외기(O)에 구비되어, 공기조화기(50)가 난방모드로 운전될 때 실외 열교환기(53)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형성 및 배치되고, 공기조화기(50)가 제상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될 때 완전히 개방(full open)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xpansion valve EV_1 is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O, is formed and arranged to exp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제2 팽창밸브(EV_2)는 실내기(I)에 구비되어, 공기조화기(50)가 난방모드로 운전될 때 실외온도 및 난방 설정 온도 등에 따라서 실내기(I) 내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second expansion valve EV_2 is provided in the indoor unit I, and when the
또한, 제2 팽창밸브(EV_2)는 공기조화기(50)가 제상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될 때, 실내 열교환기(52)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고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는 기계 장치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팬 소음 제어 장치(100)는 공기조화기(50)의 압축기(51)와 실외팬(54) 및 실내팬(5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분명히 도 1에 표시하기 위해, 압축기(51)와 실외팬(54) 및 실내팬(55) 각각의 참조부호 후미에 참조부호 (100)을 함께 병기하였음을 밝혀둔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chanical device in which the fa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100)(도 6의 200 참조)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50)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선풍기나 환풍기, 냉장고, 공기청정기, 컴퓨터 등 가전제품과,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 다양한 운송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원하는 소리를 재생하는 스피커에도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이하,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50)의 실외팬(54) 및 실내팬(55)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거나, 원하는 소리를 생성할 수 있는 팬 소음 제어 장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an noise control device capable of reducing noise generated from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의 각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를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a fan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n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a rotation shaft It is a sectional view showing.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팬 소음 제어 장치(100)는 회전에 의해 일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생성 및 유도하는 팬(110)과, 팬(110)의 구동축(111)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가이드부(120)와, 회전구동부(11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130)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은 다른 소정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고정된 상태로 제1 지지부(13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fan
팬(110)은 구동축(111)과 구동축(111)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112)와, 구동축(111)과 연결되어 구동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13)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구동축(111)은 복수개의 블레이드(113)의 회전 중심이며, 복수개의 블레이드(113)들은 구동축(111)을 중심으로 각각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팬(110)은 환형(ring-ship)으로 형성되어 구동축(111)을 중심에 수용하는 회전중심공(미표시)을 구비하고,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113)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허브(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회전구동부(112)는 전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력을 생산하는 전동기(electric mot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팬(1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그 어떠한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한편, 구동축(111)과 회전구동부(112)는 커플러(111c)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복수개의 블레이드(113)들은 허브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각각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113)들은 일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가이드부(120)는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hollow) 형상의 일종의 파이프일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서 회전구동부(112)가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구동부(112)를 수용할 수 있다.The
도면에 의하면,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구동축(111)과 직교하는 방향(즉,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회전구동부(112)의 절개면은 원형(circular shape)일 수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drawing, the cut surface of the
예컨대, 회전구동부(112)는 회전구동부(112)를 내부 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그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즉, 가이드부(120)는 회전구동부(11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한, 원형 이외에도 타원형, 다각형 등 여러 가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전구동부(112)의 외측 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구동부(112)와 가이드부(120)의 접촉면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For example, the
제1 지지부(130)는 회전구동부(112)를 지지하되,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축(131)과, 중공축(131)의 외측 표면을 감싸는 코일(132)과, 중공축(1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탄성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130)는 가이드부(120)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회전구동부(112)의 일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구동부(11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제1 지지부(130)는 회전구동부(112)의 일면과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림직하게는 회전구동부(112)와는 별개의 구성품으로 제조되어 후술할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구동부(112)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구동부(112)와 함께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The
중공축(131)은 회전구동부(112)와 접촉하는 측면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부(120)와 같이 그 단면이 중공의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림직하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즉, 중공축(131) 또한 가이드부(1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133)의 외측 표면 형상에 대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탄성부재(133)가 중공축(131)의 내부 표면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코일(132)은 중공축(131)의 외측 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 전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을 통해 코일(132)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어떠한 원리로 회전구동부(112)와 제1 지지부(130)가 이동하는 가에 대한 설명은 이하 제2 지지부(140)에 대한 설명과 함께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e
탄성부재(133)는 중공축(1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제1 지지부(130)가 후술할 제2 지지부(140)에 대해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130)와 제2 지지부(14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133)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2 지지부(140)는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130)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지지부(130)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되,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으로의 탄성부재(133)의 팽창을 방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41)와,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142)와, 코일(132)의 외주면을 둘러싸되 코일(132)과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자성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지지 플레이트(141)는 자성부재(143)의 일단과 탄성부재(133)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14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기계 장치의 다른 구성품에 의해 지지 또는 다른 구성품과 결합됨으로써 제2 지지부(140)가 소정의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2 지지부(14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41 may support one end of the magnetic member 143 and one end of the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141)는 탄성부재(133)가 회전구동부(112)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팽창하지 않도록 탄성부재(133)의 일단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upport plate 141 may fix one end of the
한편, 탄성부재(133)의 관점에서는, 탄성부재(133)의 타단은 제1 지지부(1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제1 지지부(13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탄성부재(133)는 제1 지지부(130)와 함께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팽창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즉, 제1 지지부(130)는 탄성부재(133)의 일단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140)는 탄성부재(133)의 타단을 지지하며, 탄성부재(133)는 제2 지지부(140)를 기준으로 제1 지지부(130)의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탄성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That is, the
고정부재(142)는 탄성부재(133)가 갖는 내부 공간에 끼워져 탄성부재(133)가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도면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즉, 고정부재(142)는 탄성부재(133)가 제1 지지부(130)의 중공축(131) 내부에서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 즉 수직 방향을 따라서만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일종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fixing
또한, 고정부재(142)는 탄성부재(133)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고정부재(142)는 적어도 탄성부재(133)가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탄성부재(133)를 고정하여 탄성부재(133)가 수평 방향을 따라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자성부재(143)는 코일(132)의 외주면을 둘러싸되, 코일(132)과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자성부재(143)는 영구자석(permanent magnet) 및 전자석(electromagn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magnetic member 143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제2 지지부(140)의 지지 플레이트(141)는 자성부재(143)의 일단과 탄성부재(133)의 일단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14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성부재(143)의 타단을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144)를 더 포함하며, 자성부재(143)는 지지 플레이트(141)와 커버 플레이트(144)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41 of the
구체적으로, 중공축(131)과 코일(132) 및 탄성부재(133)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부재(142)와 커버 플레이트(144)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고정부재(142)와 자성부재(143)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이때,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재(142)와 커버 플레이트(144)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중공축(131)과 코일(132) 및 탄성부재(133) 각각의 두께의 합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중공축(131)과 코일(132) 및 탄성부재(133)는 고정부재(142)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며, 커버 플레이트(144)의 내측 표면은 코일(132)의 외측 표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또한,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재(142)와 자성부재(143)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중공축(131)과 코일(132) 및 탄성부재(133) 각각의 두께의 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중공축(131)과 코일(132) 및 탄성부재(133)는 고정부재(142)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며, 자성부재(143)의 내측 표면은 코일(132)의 외측 표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또한, 팬 소음 제어 장치(100)는 구동축(111)과 가이드부(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구동축(111)의 이동을 방지하는 베어링 하우징(150)과, 베어링 하우징(150)에 수용되되 구동축(111)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베어링(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n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팬 소음 제어 장치(100)에서, 만약 코일(132)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코일(132)과 자성부재(143) 사이에서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이 형성되며, 이러한 전자기장 내에서 회전구동부(112)는 가이드부(120)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다.In the fan
또한, 회전구동부(112)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1 지지부(130)의 중공축(131) 또한 제2 지지부(140)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여기서, 회전구동부(112)와 회전구동부(112)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30)가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다는 것은 회전구동부(112)와 제1 지지부(130)가 가이드부(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구체적으로, 코일(132)에 정현파 교류 전원(sine wave alternating current)이 인가될 경우, 코일(132)과 자성부재(143) 사이에 유도된 전자기(magnetic) 가진력(exciting force)에 의해 회전구동부(112)는 가이드부(120)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정현파 형태로 진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sine wave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회전구동부(112)가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즉 진동할 경우 구동축(111)과 복수개의 블레이드(113)들, 그리고 제1 지지부(130)도 함께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즉, 코일(132)에 정현파 교류 전원이 인가될 경우, 팬(110)과 제1 지지부(130)가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으며, 팬(110)과 제1 지지부(130)의 진동에 의해 코일(132)에 인가되는 정현파 교류의 주파수(frequency)와 진폭(amplitude)에 해당하는 소정의 소리(sound)가 발생할 수 있다.That is, when sinusoidal AC power is applied to the
구체적으로, 코일(132)에 인가되는 정현파 교류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면, 코일(132)에 인가되는 전기 입력과 팬 소음 제어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비율 또한 변경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usoidal AC power applied to the
이는, 코일(132)에 인가되는 정현파 교류 전원의 주파수를 팬(110)과 가이드부(120), 제1 지지부(130) 및 제2 지지부(140)를 포함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100)가 이루는 하나의 진동계(vibration system)의 고유 진동수(natural frequency) 부근의 주파수로 설정할 경우 최소의 전기 입력으로 팬 소음 제어 장치(100)의 진동을 최대화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is is the fan
즉, 발생시키고자 하는 소리에 해당하는 주파수에 팬 소음 제어 장치(100)의 고유 진동수를 맞출 경우, 최소의 전기 입력으로 최대의 소리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fan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외부 전원을 통해 코일(132)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어떠한 구조적인 원리로 회전구동부(112)와 제1 지지부(130)가 이동 가능한 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 description will be made on what structural principle the
도 4는 도 3의 A-A'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line-B'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회전구동부(112)의 외측 표면에는 제1 돌출부(112p)가, 가이드부(120)의 내측 표면에는 제1 돌출부(112p)가 안착되는 제1 홈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112p)와 제1 홈부(120a)는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2p)는 제1 홈부(120a)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회전구동부(112)는 가이드부(120)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first protrusion 112p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도면에는 제1 돌출부(112p)가 회전구동부(112)의 외측 표면에, 제1 홈부(120a)가 가이드부(120)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돌출부(112p)는 가이드부(120)의 내측 표면에, 제1 홈부(120a)는 회전구동부(112)의 외측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돌출부(112p)가 회전구동부(112)의 외측 표면에, 제1 홈부(120a)가 가이드부(120)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drawings, the first protrusion 112p is depicted as be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베어링 하우징(150)의 외측 표면에는 제2 돌출부(150p)가, 가이드부(120)의 내측 표면에는 제2 돌출부(150p)가 안착되는 제2 홈부(12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돌출부(150p)와 제2 홈부(120b)는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50p)는 제2 홈부(120b)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베어링 하우징(150)은 가이드부(120)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다.5, a second protrusion 150p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도면에는 제2 돌출부(150p)가 베어링 하우징(150)의 외측 표면에, 제2 홈부(120b)가 가이드부(120)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2 돌출부(150p)는 가이드부(120)의 내측 표면에, 제2 홈부(120b)는 베어링 하우징(15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돌출부(150p)가 베어링 하우징(150)의 외측 표면에, 제2 홈부(120b)가 가이드부(120)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drawings, the second protrusion 150p is depicted as be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를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an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a rotation shaft.
도 6을 참조하면, 팬 소음 제어 장치(200)는 회전에 의해 일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생성 및 유도하는 팬(210)과, 팬(210)의 구동축(211)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가이드부(220)와, 회전구동부(21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지지부(230)와, 가이드부(2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1 지지부(230)와의 배치 관계에 의해 전자기 가진력을 유도하는 제2 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an
팬(210)은 구동축(211)과 구동축(211)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212)와, 구동축(211)과 연결되어 구동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213)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구동축(211)은 복수개의 블레이드(213)의 회전 중심이며, 복수개의 블레이드(213)들은 구동축(211)을 중심으로 각각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팬(210)은 환형(ring-ship)으로 형성되어 구동축(211)을 중심에 수용하는 회전중심공(미표시)을 구비하고,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213)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허브(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회전구동부(212)는 전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력을 생산하는 전동기(electric mot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팬(2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그 어떠한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한편, 구동축(211)과 회전구동부(212)는 커플러(211c)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복수개의 블레이드(213)들은 허브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각각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213)들은 일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가이드부(220)는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hollow) 형상의 일종의 파이프일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서 회전구동부(212)가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구동부(212)를 수용할 수 있다.The
도면에 의하면,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구동축(211)과 직교하는 방향(즉,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회전구동부(212)의 절개면은 원형(circular shape)일 수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drawing, the cut surface of the
예컨대, 회전구동부(212)는 회전구동부(212)를 내부 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그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즉, 가이드부(220)는 회전구동부(21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한, 원형 이외에도 타원형, 다각형 등 여러 가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전구동부(212)의 외측 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구동부(212)와 가이드부(220)의 접촉면에 대해서는 앞서 4 및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더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For example, the
제1 지지부(230)는 가이드부(220)를 둘러싸되 가이드부(220)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자성부재(231)와, 회전구동부(212)와 자성부재(231)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32)과, 가이드부(220)와 지지 프레임(232) 사이에 개재되어 가이드부(220)를 기준으로 지지 프레임(232)의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탄성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자성부재(231)는 지지 프레임(232) 상에서 탄성부재(233)보다 방사 방향으로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자성부재(231)는 탄성부재(233)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탄성부재(233)를 둘러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지지 프레임(232)은 구동축(211)과 연결된 회전구동부(212)의 일측과 반대측인 회전구동부(212)의 타측과, 일단이 가이드부(22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233)의 타단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구동부(21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The
지지 프레임(232)은 회전구동부(212)의 일면과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회전구동부(212)와는 별개의 구성품으로 제조되어 탄성부재(233)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구동부(212)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구동부(212)와 함께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The
탄성부재(233)는 양단이 각각 가이드부(220)와 제1 지지부(230)의 지지 프레임(232)에 설치되어, 가이드부(220)를 기준으로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른 회전구동부(212)와 제1 지지부(230)의 왕복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233)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다시 말해, 탄성부재(233)는 회전구동부(212)가 가이드부(220) 내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전구동부(212)와 제1 지지부(230)가 블레이드(2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회전구동부(212)와 제1 지지부(230)가 블레이드(213)로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또한 허용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제2 지지부(240)는 가이드부(220)를 둘러싸되 가이드부(220)와 자성부재(23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스테이터(241)와, 자성부재(231)를 둘러싸되 자성부재(231)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스테이터(242)와, 제2 스테이터(242)에 수용되되 자성부재(231)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코일(2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스테이터(241)와 제2 스테이터(242)는 모두 자성(magnetic)을 띠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거나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부(220)와는 별도의 다른 지지부재에 의해 가이드부(220)의 둘레를 감싸도록 가이드부(220)의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Both the
제1 스테이터(241)와 제2 스테이터(242)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air gap)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스테이터(241)와 제2 스테이터(242) 사이의 공간에는 자성부재(231)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자성부재(231)는 제1 스테이터(241) 및 제2 스테이터(242)와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자성부재(231)는 제1 스테이터(241)와 제2 스테이터(242)와 접촉하지 않음을 의미한다.A predetermined air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제1 스테이터(241)는 자성부재(231)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어 가이드부(2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스테이터(242)는 자성부재(231)의 외측 둘레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자성부재(231)의 외측 둘레를 감쌀 수 있다.The
제2 스테이터(242)에는 코일(243)을 수용하는 설치홈(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홈은 제2 스테이터(242)의 내측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코일(243)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n installation groove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코일(243)은 제2 스테이터(242)에 수용되어, 제1 스테이터(241)의 외측 표면 일부를 감싸되 제1 스테이터(241)의 외측 표면과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243)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The
제1 스테이터(241)와 코일(243)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스테이터(241)와 코일(243) 사이의 공간에는 자성부재(231)가 배치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또한, 팬 소음 제어 장치(200)는 구동축(211)과 가이드부(220)의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구동축(211)의 이동을 방지하는 베어링 하우징(250)과, 베어링 하우징(250)에 수용되되 구동축(211)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베어링(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n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팬 소음 제어 장치(200)에서, 만약 코일(243)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코일(243)과 자성부재(231) 사이에서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이 형성되며, 이러한 전자기장 내에서 회전구동부(212)는 가이드부(220)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다.In the fan
또한, 회전구동부(212)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1 지지부(230)의 지지 프레임(232) 또한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여기서, 회전구동부(212)와 회전구동부(212)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230)의 지지 프레임(232)이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다는 것은 회전구동부(212)와 제1 지지부(230)가 가이드부(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 it means that the
구체적으로, 코일(243)에 정현파 교류 전원(sine wave alternating current)이 인가될 경우, 코일(243)과 자성부재(231) 사이에 유도된 전자기(magnetic) 가진력(exciting force)에 의해 회전구동부(212)는 가이드부(220)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정현파 형태로 진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sine wave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회전구동부(212)가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즉 진동할 경우 구동축(211)과 복수개의 블레이드(213)들, 그리고 제1 지지부(230)도 함께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즉, 코일(243)에 정현파 교류 전원이 인가될 경우, 팬(210)과 제1 지지부(230)는 구동축(2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으며, 팬(210)과 제1 지지부(230)의 진동에 의해 코일(243)에 인가되는 정현파 교류의 주파수(frequency)와 진폭(amplitude)에 해당하는 소정의 소리(sound)가 발생할 수 있다.That is, when sinusoidal AC power is applied to the
구체적으로, 코일(243)에 인가되는 정현파 교류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면, 코일(243)에 인가되는 전기 입력과 팬 소음 제어 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비율 또한 변경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usoidal AC power applied to the
이는, 코일(243)에 인가되는 정현파 교류 전원의 주파수를 팬(210)과 가이드부(220), 제1 지지부(230) 및 제2 지지부(240)를 포함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200)가 이루는 하나의 진동계(vibration system)의 고유 진동수(natural frequency) 부근의 주파수로 설정할 경우 최소의 전기 입력으로 팬 소음 제어 장치(200)의 진동을 최대화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is is, the fan
즉, 발생시키고자 하는 소리에 해당하는 주파수에 팬 소음 제어 장치(200)의 고유 진동수를 맞출 경우, 최소의 전기 입력으로 최대의 소리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fan
도 7은 팬의 BPF 소음 위상제어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팬의 BPF 소음 저감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BPF noise phase control of a fan, and FIG. 8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BPF noise reduction of a fan.
도 7을 참조하면, 옅은 선은 팬(110)(210) 회전 시 발생하는 1차 날개 통과 주파수(blade pass frequency, BPF) 소음을 의미하고, 짙은 선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100)(200)의 팬(110)(210)을 가동하여 팬(110)(210)의 구동축(111)(211) 방향 진동으로 생성한 1차 날개 통과 주파수 소리를 180도 위상 지연한 사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Referring to FIG. 7, the thin line means the first blade pass frequency (BPF) noise generated when th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팬 소음 제어 장치(100)(200)의 팬(110)(210)을 가동하여 팬(110)(210)의 구동축(111)(211) 방향 진동으로 생성한 1차 날개 통과 주파수 소리를 180도 위상 지연한 경우, 특정 주파수(예를 들어, 350~400Hz 사이)에서 날개 통과 주파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ppreciat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ly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explanation, not limitatio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0: 공기조화기 120, 220: 가이드부
51: 압축기 120a, 220a: 제1 홈부
52: 실내 열교환기 120b, 220b: 제2 홈부
53: 실외 열교환기 130, 230: 제1 지지부
54: 실외팬 131: 중공축
55: 실내팬 132, 243: 코일
56: 오일분리기 133, 233: 탄성부재
57: 공급유로 140, 240: 제2 지지부
58: 회수유로 141: 지지 플레이트
59: 유로전환밸브 142: 고정부재
EV_1: 제1 팽창밸브 143, 231: 자성부재
EV_2: 제2 팽창밸브 144: 커버 플레이트
100, 200: 팬 소음 제어 장치 150, 250: 베어링 하우징
110, 210: 팬 150p, 250p: 제2 돌출부
111, 211: 구동축 160, 260: 베어링
112, 212: 회전구동부 232: 지지 프레임
112p, 212p: 제1 돌출부 241: 제1 스테이터
113, 213: 블레이드 242: 제2 스테이터50:
51: compressor 120a, 220a: first groove
52: indoor heat exchanger 120b, 220b: second groove
53:
54: outdoor fan 131: hollow shaft
55:
56:
57:
58: recovery passage 141: support plate
59: flow path switching valve 142: fixing member
EV_1: first expansion valve 143, 231: magnetic member
EV_2: second expansion valve 144: cover plate
100, 200: fan
110, 210: fan 150p, 250p: second protrusion
111, 211: drive
112, 212: rotation drive unit 232: support frame
112p, 212p: first protrusion 241: first stator
113, 213: blade 242: second stator
Claims (17)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구동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가이드부;
상기 회전구동부를 지지하되 상기 회전구동부와 함께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부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중 하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A fan having a rotation drive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drive shaft, and a plurality of blade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to rotate around the drive shaft to induce a flow of ai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 guide part accommodating the rotation drive part in an inner space such that the rotation drive part reciprocat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 firs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rotation driving part and reciprocat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ogether with the rotation driving part;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an inner space such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reciprocate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On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ncludes a coil,
The other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ncludes a magnetic member,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rotation dri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unit, fan noise control device.
상기 회전구동부의 외측 표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의 외측 표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제1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홈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is formed on any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drive un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The other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driving par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in which the protrusion is seate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groove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he fan nois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otrusion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ove.
상기 구동축과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축의 이동을 방지하는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수용되되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
A bearing housing interposed between the drive shaft and the guide part to prevent movement of the drive shaf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he fan noise control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bearing housing and further comprises a bearing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 표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 표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안착되는 제2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According to claim 3,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is formed on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The other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is formed with a second groove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is seated,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fan noise control device.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축과,
상기 중공축의 외측 표면을 감싸는 상기 코일과,
상기 중공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part,
A hollow shaft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he coil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shaft,
Fan noise control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shaft.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상기 중공축은 상기 제2 지지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hollow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pport, fan noise control device.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탄성적으로 허용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upport portion support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second support part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member elastically permit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bas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fan noise control device.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의 상기 탄성부재의 팽창을 방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탄성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코일의 외주면을 둘러싸되 상기 코일과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상기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support part,
A support plate preventing expansion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 fixing member that prevents movement of the elastic memb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the magnetic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and spaced apart from the coi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부재의 일단과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팬 소음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support plate supports one end of the magnetic member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The second support portion further includes a cover plate formed in a hollow shape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magnetic member,
The magnetic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cover plate, fan noise control device.
상기 중공축과 상기 코일 및 상기 탄성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자성부재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9,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low shaft, the coil, and the elastic member,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Fan nois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twee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gnetic member.
상기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 표면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중공축과 상기 코일 및 상기 탄성부재 각각의 두께의 합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9,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is wid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hollow shaft, the coil, and the elastic member, the fan Noise control device.
상기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 표면과 상기 자성부재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중공축과 상기 코일 및 상기 탄성부재 각각의 두께의 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9,
Fan noi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gnetic member is wid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hollow shaft, the coil, and the elastic member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controller.
상기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 표면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 표면과 상기 자성부재의 내측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9,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gnetic member are substantially the same. Characterized in, fan noise control device.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둘러싸되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자성부재와,
상기 회전구동부와 상기 자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허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part,
The magnetic member surrounding the guide portion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radial direction,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rotation driving part and the magnetic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part and the support frame to allow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with respect to the guide part.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둘러싸되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자성부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스테이터와,
상기 자성부재를 둘러싸되 상기 자성부재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스테이터와,
상기 제2 스테이터에 수용되되 상기 자성부재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support part,
A first stator surrounding the guide part and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guide part and the magnetic member,
A second stator surrounding the magnetic member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ic memb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radial direction,
And the coil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ator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ic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제1 스테이터와 상기 제2 스테이터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구동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5,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agne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tator and the second stator, fan noise control device.
상기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스테이터와 상기 제2 스테이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은 상기 자성부재의 두께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소음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fan nois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stator and the second stator based on the radi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3516A KR102294605B1 (en) | 2019-02-01 | 2019-02-01 | Fan noise control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3516A KR102294605B1 (en) | 2019-02-01 | 2019-02-01 | Fan noise control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5756A true KR20200095756A (en) | 2020-08-11 |
KR102294605B1 KR102294605B1 (en) | 2021-08-27 |
Family
ID=7204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3516A Active KR102294605B1 (en) | 2019-02-01 | 2019-02-01 | Fan noise control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4605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55023B2 (en) * | 1995-08-21 | 1999-10-04 |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 Axial flow valve system for linear compressor |
JP2007225008A (en) * | 2006-02-23 | 2007-09-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Fixing structure of rotor and rotating shaft |
JP2009121354A (en) * | 2007-11-15 | 2009-06-04 | Hitachi Ltd | Electronic equipment with a blower |
KR101331929B1 (en) * | 2012-11-20 | 2013-11-26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Linear actuator and linear actuator module using the same |
KR101457815B1 (en) * | 2013-10-04 | 2014-11-03 |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 Electric water pump |
KR20160024328A (en) * | 2014-08-25 | 2016-03-04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Device for counterbalancing axial load in centrifugal compressor |
-
2019
- 2019-02-01 KR KR1020190013516A patent/KR1022946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55023B2 (en) * | 1995-08-21 | 1999-10-04 |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 Axial flow valve system for linear compressor |
JP2007225008A (en) * | 2006-02-23 | 2007-09-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Fixing structure of rotor and rotating shaft |
JP2009121354A (en) * | 2007-11-15 | 2009-06-04 | Hitachi Ltd | Electronic equipment with a blower |
KR101331929B1 (en) * | 2012-11-20 | 2013-11-26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Linear actuator and linear actuator module using the same |
KR101457815B1 (en) * | 2013-10-04 | 2014-11-03 |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 Electric water pump |
KR20160024328A (en) * | 2014-08-25 | 2016-03-04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Device for counterbalancing axial load in centrifugal compr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4605B1 (en) | 2021-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36374B2 (en) | Compress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mpressor | |
JP7132238B2 (en) | Induction motor and vapor compression system with magnetic bearings | |
WO2020202420A1 (en) | Centrifugal blower, blowing device, air-conditioning devic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WO2020090005A1 (en) | Turbo fan, blower devic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WO2020250363A1 (en) | Centrifugal blower, air conditioning devic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JP2013127205A (en) | Compression mechanism | |
KR102294605B1 (en) | Fan noise control apparatus | |
JP5817488B2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WO2020136788A1 (en) | Centrifugal blower, blower device, air condition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JP2013127207A (en) | Centrifugal compressor | |
WO2016170652A1 (en) |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 |
KR20170070797A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JP5845874B2 (en) | Rotating body | |
JP5741197B2 (en) | End member of rotor, motor provided with rotor end member, and compressor provided with motor | |
US10302313B2 (en) |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 |
JP7301236B2 (en) | SCROLL CASING FOR CENTRIFUGAL BLOWER, CENTRIFUGAL BLOWER INCLUDING THIS SCROLL CASING, AIR CONDITION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WO2017163293A1 (en) | Rotary machine | |
JP7386885B2 (en) |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it | |
CN222688330U (en) | Wall 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JP2020112034A (en) | Axial fan | |
CN210089093U (en) |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JP2003343880A (en) |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WO2023190346A1 (en) |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device | |
JP2023149033A (en) | Electric motor | |
WO2024038573A1 (en) | Blower fan, multi-blade centrifugal blower, and air-conditioning indoor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