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95716A - 후크식 차량용 광 콘넥타 금형 및 제조 - Google Patents

후크식 차량용 광 콘넥타 금형 및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716A
KR20200095716A KR1020190013413A KR20190013413A KR20200095716A KR 20200095716 A KR20200095716 A KR 20200095716A KR 1020190013413 A KR1020190013413 A KR 1020190013413A KR 20190013413 A KR20190013413 A KR 20190013413A KR 20200095716 A KR20200095716 A KR 20200095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curity device
wire
connector
lo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엽
Original Assignee
남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엽 filed Critical 남상엽
Priority to KR102019001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5716A/ko
Publication of KR20200095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71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넥타 내부를 후크식으로 개발해 개폐가 가능하고 차량용 광케이블이 이동중 진동과 충격에 따라 광통신 불량을 차단하여 외력이 광콘넥터에 가해지는 경우라도 광섬유의 굽힘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원활한 광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광 콘넥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안기커버(30)는, 본커버(31)가 장착되는 부착부들(attachment portions) 중 하나(31A)에 부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버 장착부(cover mounting portion)의 최대 지름부 너머로 연장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커버 장착부에 장착된다. 상기 부착부들 중 하나(31A)는 상기 커버 장착부 상에 일시적으로 체결되는 일시적 체결부(48, 49)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가 상기 커버 장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 커버는, 상기 일시적 체결부가 상기 커버 장착부와 일시적으로 체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 장착부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력이 상기 본체 커버에 적용될 때, 상기 본체 커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콘넥타 하우징(connector housing)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제한부(46, 4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크식 차량용 광 콘넥타 금형 및 제조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the hook-type vehicle for the 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장착되는 광섬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신에 사용되는 회로의 수를 줄이고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해,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광섬유 통신 시스템을 장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광섬유 통신 시스템으로써, 광섬유의 단부에 접속되는 페룰(ferrule)과 페룰에 장착되고 광섬유를 유지하는 보안기(protector)가 마련된 광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 광 커넥터는, 보안기가 페룰로부터 인출된 광섬유를 수용하는 구부러진 형상의 배선 경로를 갖고 보안기가 광 리셉터클(receptacle)에 접합하여, 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광 커넥터로써, 힌지형 직각 굽힘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 힌지형 직각 굽힘 커넥터는 광 케이블의 선단에 고정되는 페룰, 광 케이블의 굽힘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굽힘 가동 수단, 및 페룰과 굽힘 가동 수단을 피복하는 플러그 프레임을 포함하고, 굽힘 가동 수단을 구성하는 힌지 베이스가 스톱 링(stop ring) 내로 감합된다
종래 방법의 주요 단점은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에서, 상기 분리된 커버들 각각은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된 부착부(attachment portion)의 단부에 두 개의 절반 부분들로 분리된 피팅튜브(fitting tube)가 제공된다. 상기 피팅튜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의 외주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상기 분리된 커버들 각각은 상기 분리된 커버들 각각의 접촉 단부에서 서로 잠그는 잠금부(locking portion)가 제공된다. 상기 분리된 커버들 둘 다 함께 잠기도록 서로 맞춰진 후에야, 상기 와이어커버 자체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후단부에 부착된다.
차량의 주행시, 진동 및 충격과 같은 외력이 광섬유의 굽힘부를 수용하는 보안기에 가해질 경우, 페룰이 광 리셉터클로부터 떨어져 광 통신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유사하게,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광 커넥터에서는, 차량의 주행시, 진동 및 충격과 같은 외력이 광섬유의 굽힘부를 수용하는 굽힘 가동 수단에 가해질 경우, 페룰이 플러그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광 통신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이 광 커넥터에 가해지는 경우라도 섬유의 굽힘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원활한 광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는 이하의 구성 (1) 및 (2)를 특징으로 한다.
(1) 광 커넥터로,광섬유의 선단에 고정돠는 페룰;페룰 상에 장착되고, 페룰로부터 인출된 광섬유를 수용하기 위한 만곡 형상(bend-shaped) 배선 경로를 포함하는 보안기: 상대 커넥터에 대한 접속부로 기능하는 선단측을 갖고, 기단측에 페룰 및 보안기의 일부를 수용하는 페룰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페룰 수용 공간에서 페룰을 위치결정하고, 페룰 수용 공간에서 페룰의 이동을 규제하는 홀더; 및 하우징 상에 홀더를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 및 홀더에 마련되는 계지 유닛을 포함하고, 보안기는, 홀더가 계지 유닛에 의해 홀더 상에 장착되고 보안기가 장착된 페룰이 페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고정되어, 계지 유닛에 의해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구성 (1)에 따른 광 커넥터에서, 계지 유닛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계지 창과, 홀더에 형성되고 계지 창에 진입하여 계지 창의 가장자리부에 계지되는 훅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훅을 포함하고,
보안기가 하우징에 고정될 때, 보안기는 고정 훅에 대해 훅 부분의 돌출 방향의 대항하는 측 상에 배치되고, 보안기와 고정 훅 사이의 간극 치수는 훅 부분과 계지 창의 가장자리부 사이의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보다 작아, 계지 유닛에 의해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 (1)에서, 광 커넥터는 광섬유를 보안기에 의해 만곡 형상으로 유지되어 좁은 공간에 배선할 수 있고 광섬유의 굽힘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안기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폐룰의 위치결정 및 이동을 규제(페룰의 탈락 방지)하는 홀더의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페룰이 떨어지는 것에 의한 광 통신 불량을 안정적 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2)에서, 광 커넥터는 보안기가 고정 훅에 대한 훅 부분의 돌출 방향에 대항하는 측 상에 배치되도록 하고, 보안기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보안기와 고정 훅 사이의 간극 치수가 훅 부분과 계지 창의 가장자리부 사이의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보가 작도록 한다. 따라서, 훅 부분이 계지 창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탈락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페룰을 위치결정하고 페룰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홀더의 계지 상태의 해제가 하우징에 대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규제되어, 홀더의 탈락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콘넥타 내부를 후크식으로 개발해 개폐가 가능하고 차량용 광케이블이 이동중 진동과 충격에 따라 광통신 불량을 차단하여 외력이 광콘넥터에 가해지는 경우라도 광섬유의 굽힘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원활한 광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광 콘넥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 커버는, 상기 일시적 체결부가 상기 커버 장착부와 일시적으로 체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 장착부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력이 상기 본체 커버에 적용될 때, 상기 본체 커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콘넥타 하우징(connector housing)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제한부(46, 4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콘넥타 내부를 후크식으로 개발하여 개폐가 가능하여 전선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개보수의 편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상기 와이어커버의 전방으로부터 보여지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III-III을 따라 얻어진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와이어커버를 갖는 커넥터의 조립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와이어커버로부터 분리된 한 조각으로서의 본체 커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커버 장착부에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전방으로부터 보여지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측방으로부터 보여지는 도 5에서와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상측으로부터 보여지는 도 5에서와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은 도 7의 선 VIIIa-VIIIa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부분 VIIIb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화살표 IX-IX를 따라 얻어진 횡단면도이다.
도 10(a)은 덮개 커버를 본체 커버와 서로 잠기도록 결합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커버가 커넥터 하우징에 실질적으로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9에서와 같은 동일한 횡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부분 Xb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와이어커버와 함께 전기 와이어 주위에 테이프를 감아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가 형성되는 상태를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와이어커버와 함께 전기 와이어 주변에 테이프를 감아 와이어 하니스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관련 기술에 따른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일한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를 조립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으로서, 커넥터 하우징의 후부에 와이어커버를 장착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와이어커버로부터 분리된 한 조각으로서의 본체 커버가 동일한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부에 일시적으로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화살표 XVI-XVI를 따라 얻어진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덮개 커버가 도 15 및 도 16의 상태들로부터 회전할 때, 상기 본체 커버가 정상 위치로부터 회전하는문제를 도시하기 위한 도 16에서와 같은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본체 커버와 상기 덮개 커버를 함께 결합하여 잠그는 것에 의해 와이어커버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6에서와 같은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와이어커버 내의 전기 와이어 주위에 테이프를 감아 와이어 하니스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
본발명은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가 도 13 내지 도 19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다.
도 13은 관련 기술에 따른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일한 와이어커버를 갖는 커넥터를 조립하는 동안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자, 동시에 와이어커버가 커넥터 하우징의 후부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분리된 와이어커버의 일 부분으로서의 본체 커버가 커넥터 하우징의 커버 장착부(cover mounting portion)에 일시적으로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나타나는 화살표 선 XVI-XVI를 따라 얻어진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서 나타나는 상태 하에서 덮개 커버가 회전될 때 본체 커버가 정상위치를 넘어 회전되는 문제를 도시하기 위한 도 16에서와 같은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덮개 커버와 상기 본체 커버를 함께 조립하여 잠그는 것에 의해 와이어커버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6에서와 같은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와이어커버의 전기 와이어들주위에 테이프를 감는 것에 의해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상기 커넥터는 수지 성형체(molded resin)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10), 원통형 패킹재(21)가 달린 전기 와이어 W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들(20),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에 장착되는 수지 성형체로 형성된 와이어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그 후부에 와이어 인출부(11)가 제공되고, 복수의 단자 수용챔버들(12)의 주입구는 상기 와이어 인출부(11)의 후면에서 열려 있다. 이때, 이러한 구조에서, 전기 와이어 W의 단자에 부착된 상기단자(20)는 각 주입구로부터 상기 단자 수용챔버(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자(20)가 이러한 방식으로 삽입될 때, 상기 와이어 W의 외주에 미리 부착되는 상기 패킹재(21)가 상기 전기 와이어 W와 상기단자 수용챔버(12)의 내주벽 사이의 틈을 밀봉한다. 상기 단자(2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각각의 단자 수용챔버들(12)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단자(20)에 접속되는 상기 와이어 W가 상기 와이어 인출부(11)의 후방을 향해 도출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W를 보호하면서 상기 와이어 W를 기결정된 방향으로 안내하고 이끌어내기 위해, 상기 와이어커버(13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에 장착된다.
상기 와이어커버(130)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그 후부에 상기 와이어 인출부(11)를 둘러싸도록 타원형 횡단면(원형일 수 있다)을 갖는 커버 장착부(13)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 장착부(13)는 그 후부에 상기 커버 장착부(13)보다 큰 지름을 갖는 고리 모양의 볼록부(14)가 제공된다. 나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윗면은 매칭(matching)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체결될 때 잠겨지는 잠금 팔(lock arm, 17)과, 잠금 팔 보호틀(lock arm protecting frame, 16)이 제공된다.
반면에, 상기 와이어커버(130)는 본체 커버(131)과 덮개 커버(133)인 두 부분들로 분리된다. 상기 본체 커버(131)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부에 먼저 장착되고, 상기 덮개 커버(133)가 그 후방에서 상기 본체 커버(131)와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커버(1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실질적으로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 커버(131)와 상기 덮개 커버(133)는, 도 16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그들의 말단들 각각에서 서로 경첩(132)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접속된다(즉, 열려질 수 있게). 상기 본체 커버(131)와 상기 덮개 커버(133)가 서로 결합할 때, 상기 본체 커버(131)와 상기 덮개 커버(13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각자의 반원통형 장착부들(131A, 133A)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커버 장착부(13)가 그들 내부로 삽입되는것이 허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와이어커버(1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장착되는 것이 허용된다. 게다가, 상기 본체 커버(13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로부터 도출된 와이어 W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시켜안내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와이어 W와 함께 테이프 T를 감는 와이어 안내부(134)가 제공된다.
나아가, 잠금 돌기(locking projection, 141)는 상기 본체 커버(131)의 경첩( 132)의 반대측 단부에 제공되고,상기 덮개 커버(133)의 상기 경첩(132)의 반대측 단부에 상기 잠금 돌기(141)가 삽입되는 잠금 홀(144)을 갖는 상기 잠금 팔(143)이 제공된다. 상기 덮개 커버(133)가 상기 본체 커버(131)과 결합할 때, 도 18에서 나타나는것처럼, 상기 잠금 팔(143)은 상기 잠금 돌기(141)에 체결되고, 상기 덮개 커버(133)와 상기 본체 커버(131)는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커버 장착부(13)는 상기 본체 커버(131)의 장착부(131A)와 상기 덮개 커버(133)의 장착부(133A) 사이에 개재(sandwitched)되며, 이에 의해, 상기 와이어커버(1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상기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가 조립될 때, 먼저 와이어 W의 단자에 접속된 단자(20)는 후단의 주입구로부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단자 수용챔버들(12) 각각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가 상기 단자들(20)을 완전히 삽입하는 것에 의해 조립되는 때에, 도 14 내지 도 17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로부터 그의 후방을 향해 도출되는 상기 와이어 W가 상기 와이어커버(130)에 의해 안내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동안, 상기 본체 커버(131)의 상기 장착부(131A)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의 상기 커버 장착부(13)에 일시적으로 장착된다.
다음으로, 이 상태에서, 상기 덮개 커버(133)는 도 16에서 나타나는 화살표 Y1에 의해 표시되는 것처럼 회전되어 상기 덮개 커버(133)가 도 18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본체 커버(131)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 상기 잠금 돌기(141)는 서로 잠기게 된다. 그 후,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 커버(131)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와이어 안내부(134) 주위에 상기 테이프 T를 감음으로써, 상기 와이어 W가 굴곡된 상태로 상기 테이프 T에 의해 상기 와이어W가 고정되며, 이에 의해 상기 와이어커버를 갖는 커넥터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를 실질적으로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덮개 커버(133)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상기 본체 커버(131)와 결합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상기 커버 장착부(13)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17의 화살표 Y2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덮개 커버(133)의 회전과 함께 상기 본체 커버(131)가 회전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본체 커버(13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손으로 상기 커버 몸체(131)가 지지되는 동안, 다른 손으로 상기 덮개 커버(133)가 상기 본체 커버(131)로 맞추어져야 한다. 즉, 양 손으로 작업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나쁘다고 알려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으로 쉽게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는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조립시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상기 와이어커버의 전방으로부터 보여지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화살선 III-III을 따라 얻어진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의 조립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자, 동시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부에 상기 와이어커버를 장착하려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와이어커버로부터 분리된 한 조각으로서의 본체 커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커버 장착부에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전방으로부터 보여지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측면으로부터 보여 지는 도 5에서와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상측으로부터 보여지는 도 5에서와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은 도 7의 화살선 VIIIa-VIIIa 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부분 VIIIb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화살선 IX-IX를 따라 얻어진 횡단면도이다. 도 10(a)은 덮개 커버를 본체 커버와 서로 잠기도록 결합함으로써 와이어커버가 커넥터 하우징에 실질적으로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9에서와 동일한 횡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부분 Xb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와이어커버와 함께 전기와이어 주위에 테이프를 감아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와이어커버로 전기 와이어 주위에 테이프를 감아 와이어 하니스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는 수지 성형품으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10), 원통형 패킹재(21)가 부착되는 와이어 W의 말단에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들(20), 및 수지 성형품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에 부착되는 와이어커버(30)를 포함한다.
와이어 인출부(1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에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수용챔버들(12)의 주입구는 상기 와이어 인출부(11)의 후면에서 열려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W의 말단에 부착된 상기 단자(20)는 그들의 주입구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자 수용챔버(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단자(20)가 삽입될 때, 상기 와이어 W의 외주에 미리 장착된 상기 원통형 패킹재(21)는 상기 와이어 W와 상기 단자 수용챔버(12)의 내주벽 사이의 틈을 밀봉한다. 상기 단자(2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단자 수용챔버(12) 각각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단자(20)에 접속되는 와이어 W는 상기 와이어 인출부(11)로부터 후방향으로 도출된다. 그때, 그 와이어들 W을 보호하는 한편 기결정된 방향으로 그 와이어들을 안내하고 도출하는 목적을 위해 상기 와이어커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에 장착된다.
상기 와이어커버(30)가 장착되기 위해, 수평 방향(횡방향)으로의 장축과 수직 방향(종방향)으로의 단축을 가지는 타원형 횡단면을 갖는 원통형 커버 장착부(13)가 상기 와이어 인출부(11)를 둘러싸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에 제공된다. 상기 커버 장착부(13)는 원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 장착부(13)는 그 단부에 상기 커버 장착부(13)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고리 모양의 볼록부(14)가 제공된다. 나아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그 상면에 매칭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체결될 때 함께 잠겨지는 잠금 팔(17)과 잠금 팔 보호틀(16)이 제공된다.
반면에, 도 2 내지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와이어커버(3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에 먼저 장착되는 본체 커버(31)와, 후방으로부터 상기 본체 커버(31)과 결합하는 덮개 커버(33)의 두 부분으로 분리되고, 그 결과 상기 와이어커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상기 본체 커버(31)와 상기 덮개 커버(33)는 그 말단에서 경첩(32)에 의해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접속되고, 그결과 상기 본체 커버(31)와 상기 덮개 커버는 서로 열려질 수 있게 접속된다.
상기 본체 커버(31)와 상기 덮개 커버(33)가 서로 결합할 때, 상기 본체 커버(31)와 상기 덮개 커버(33)는 각자원통형으로 형성된 부착부들(31A, 33A)이 제공되고, 그 결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커버 장착부(13)가 상기 부착부들(31A, 33A)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에 의해, 상기 와이어커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상기 부착부들(31A, 33A)은 그 말단에 각자 경첩(32)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피팅 벽들(fitting walls,38, 35)이 제공된다.
상기 본체 커버(31)와 상기 덮개 커버(33)가 서로 결합될 때, 도 10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피팅 벽들(38,35)은 그들의 표면에서 서로 마주친다. 상기 본체 커버(31)와 상기 덮개 커버(33)가 서로 결합할 때 상기 피팅벽들(38, 35)에 제공되는 체결 후크(engagement hook, 37)와 체결 홀(engagement hole, 36)이 서로 체결되고, 그에 의해, 그 말단에서 경첩에 의해 상기 부착부들(31A, 33A)의 접속을 보강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본체 커버(31)의 부착부(31A)와 상기 덮개 커버(33)의 부착부(33A)는, 타원형 횡단면을 갖는 상기 커버 장착부(13)를 둘러싸는 원통형 몸체를 반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기 본체 커버(31)의 부착부(31A)가 상기 덮개 커버(33)의 부착부(33A)보다 크게 되는 비율로 그들을 나누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 커버(31)의 부착부(31A)는 C-형태의 횡단면으로 형성되고, 그 양 말단은 상기 부착부(31A)가 상기 커버 장착부(13)에 장착되는 방향(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종 방향)으로 상기 커버 장착부(13)의 최대 지름부 너머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최대 지름부는 타원형 횡단면을 갖는 상기 커버 장착부의 단축 방향으로 가장 큰 크기를 가진다. 상기 덮개 커버(33)의 부착부(33A)는 상기 본체 커버(31)의 부착부(31A)가 더 길게 연장되는 양만큼 더 짧아지게 된다.
이때, 도 8에서 표시되는 것처럼, 상기 본체 커버(31)의 부착부(31A)는 그 상하 연장된 말단들에 상기 커버 장착부(13)의 외주에 일시적으로 탄력적이게 체결되는 일시적 체결부들(48, 49)이 제공되고, 그에 의해, 상기 부착부(31A)가 상기 커버 장착부(1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윗면에서의 상기 일시적 체결부(48)는 신축성 있는 잠금 팔로 구성된다.
도 9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일시적 체결부들(48, 49)이 상기 커버 장착부(13)에 일시적으로 체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 장착부(13)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화살표 Y3 또는 화살표 Y2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력이 상기 본체커버(31)에 작용했을 때, C-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는 상기 본체 커버(3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상면에 위치한 잠금 팔 보호틀(16) 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하면에서의 리브(rib, 18)와 충돌하는 회전제한부들 (46, 47)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상기 본체 커버(31)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회전 제한부들(46, 47)은, 도2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부착부(31A)의 측부에 제공되는 벽(45)에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본체 커버(31)와 상기 덮개 커버(33)의 부착부들(31A, 33A)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커버 장착부(13)의 단부에 제공되는 고리 모양의 볼록부(14)가 삽입되는 큰 지름부들(31B, 33B)이 그들의 다른 측에 제공된다.
게다가, 상기 본체 커버(3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로부터 도출되고 상기 와이어 W와 함께 테이프 T에 의해 감기는 와이어 W를 직교 방향으로 굴곡시켜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부(34)가 제공된다(도 11 및 도 12 참조). 또한, 상기 본체 커버(31)는 그 외면에 상기 큰 지름부(31B) 또는 상기 부착부(31A)를 통해 상기 와이어 안내부(34)의 기저부로부터 상기 회전 제한부들(46, 47)이 제공되는 벽(45)까지의 범위로 상기 본체 커버(3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reinforcing rib, 50)가 제공된다.
나아가, 상기 잠금 돌기(41)가 상기 본체 커버(31)의 경첩(32)에 반대되는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잠금 돌기(41)가 삽입되는 잠금 홀(44)을 갖는 잠금 팔(43)은 상기 덮개 커버(33)의 경첩(32)에 반대되는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덮개 커버(33)가 상기 본체 커버(31)와 결합할 때, 도 10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잠금 팔(43)은 상기 잠금 돌기(41)에 체결되고, 그에 의해, 상기 덮개 커버(33)와 상기 본체 커버(31)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커넥팅 하우징(10)의 커버 장착부(13)는 상기 본체 커버(31)의 부착부(31A)와 상기 덮개 커버(33)의 부착부(33A) 사이에 개재되어, 그 결과 상기 와이어커버(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실질적으로 부착된다.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가 조립되는 경우에 있어서, 우선, 상기 와이어 W의 말단에 접속되는 단자(20)가 그 후부의 주입구에서 각각의 상기 단자 수용챔버(12) 내부로 주입된다. 일단 주입되면, 상기 와이어 W의 말단의외주에 미리 장착된 상기 패킹재(21)가 상기 단자 수용챔버(12) 내에 압입(press-fitted)되고, 이에 의해 상기와이어 W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 사이의 틈이 밀봉된다. 상기 커넥터가 전체 단자들(20)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조립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로부터 후방향으로 도출되는 상기 와이어 W는, 상기 와이어커버(130)가 상기 와이어 W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동안, 도 4 내지 도 8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본체커버(31)의 부착부(31A)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부의 커버 장착부(13)에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다음으로, 이 상태에서, 상기 덮개 커버(33)는 도 9의 화살표 Y1에 의해 표시되는 것처럼 회전되고, 상기 덮개커버(33)는 도 10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본체 커버(31)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 상기 잠금 돌기(41)와 상기잠금 팔(43)이 함께 잠겨진다. 마지막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와이어 W는 상기 본체커버(31)와 일체로 제공되는 상기 와이어 안내부(34)에 상기 테이프 T를 감음으로써 상기 테이프 T와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의 조립은 완료되고, 상기 와이어 W를 상기 와이어커버(30)로 보호하면서 상기 와이어 W를 기결정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립 작업 동안, 상기 본체 커버(31)의 부착부(31A)는 상기 커버 장착부(13)의 최대 지름 너머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커버 장착부(13)를 위한 일시적 체결부들(48, 49)이 그 연장된 말단들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본체 커버(31)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일시적으로 장착되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 커버(3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도 9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본체 커버(3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리브(rib, 18) 또는 상기잠금 팔 보호틀(16)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 커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46, 47)가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덮개 커버(33)가 상기 본체 커버(31)와 결합할 때 회전력이 화살표 Y1 또는 Y2와 같은 방향으로 적용되는 경우에서조차 상기 본체 커버(31)가 회전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한 손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 커버(31)를 누르는 동안, 다른 한 손으로 상기 덮개커버(33)와 상기 본체 커버(31)를 함께 결합하는 방식으로 양 손 작업할 필요가 없고, 한 손으로 상기 덮개 커버(33)와 상기 본체 커버(31)를 쉽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와이어커버(30)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 커버(31)와 상기 덮개 커버(33)를 함께 잠그기 위해 경첩(32)을 사용하여 상기본체 커버(31)를 향해 상기 덮개 커버(3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본체 커버(31)와 상기 덮개 커버(33)를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커버(30)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쉽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조립 작업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은 위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거기에 적절한 수정, 개선이 가능하다. 게다가, 위에 기재된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재료, 형태, 크기, 배열, 위치, 개수 등은 본 발명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고,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들에서, 상기 덮개 커버(33)는 상기 경첩(32)을 써서 상기 본체 커버(31)에 접속되지만, 상기 본체 커버(31)와 상기 덮개 커버(33)는 상기 경첩(32) 없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장착부(13)는 타원형이지만, 이는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10 커넥터 하우징
11 와이어 인출부
12 수용챔버들
13 커버 장착부
14 고리 모양의 볼록부
16 잠금 팔 보호틀(lock arm protecting frame)
17 잠금 팔
18 리브(rib)
20 복수의 단자들
21 원통형패킹재
와이어 W
30 와이어커버
31 본체 커버
31 A 부착부들
31 B 지름부들
경첩(32)
33 덮개 커버
33 A 부착부들
33 B 지름부들
34 와이어 안내부
35 피팅 벽들(fitting walls)
36 체결 홀(engagement hole)
37 체결 후크(engagement hook)
38 피팅 벽돌(fitting walls
45 안내벽
46 회전제한부들
47 회전제한부들
50 보강 리브(reinforcing rib)
130 와이어커버
131 본체 커버
131 A 반원통형 장착부들(131A
132 경첩
133 커버
133 A 반원통형 장착부들
잠금 돌기(locking projection, 141)
잠금 돌기(141)
잠금 홀(144)

Claims (2)

  1. 광섬유의 선단에 고정되는 보안기;
    보안기 상에 장착되고, 보안기로부터 인출되는 광섬유를 수용하기 위한 만곡 형상 배선 경로를 포함하는 보안기;
    상대 콘넥타에 대한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선단측을 갖고, 그 기단측 상에 보안기와 보안기의 일부를 수용하는 보안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보안기 수용 공간에 보안기를 위치시키고, 보안기 수용 공간에서 보안기의 이동을 규제하는 홀더; 및
    홀더를 하우징 상에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과 홀더에 마련되는 계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기는, 홀더가 계지 유닛에 의해 홀더 상에 장착되고, 보안기가 장착된 보안기가 보안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고정되어, 계지 유닛에 의해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콘넥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유닛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계지 창과, 홀더에 형성되고 계지 창에 들어가고 계지 창의 가장자리 부분에 계지되는 훅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훅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기가 하우징에 고정될 때, 상기 보안기는 고정 훅에 대해 훅 부분의 돌출 방향의 대항하는 측 상에 배치되고, 보안기와 고정 훅 사이의 간극 치수는 훅 부분과 계지 창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계지 마진의 계지 치수보다 작아, 계지 유닛에 의해 계지 상태의 해제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콘넥타.
KR1020190013413A 2019-02-01 2019-02-01 후크식 차량용 광 콘넥타 금형 및 제조 Ceased KR20200095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413A KR20200095716A (ko) 2019-02-01 2019-02-01 후크식 차량용 광 콘넥타 금형 및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413A KR20200095716A (ko) 2019-02-01 2019-02-01 후크식 차량용 광 콘넥타 금형 및 제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716A true KR20200095716A (ko) 2020-08-11

Family

ID=7204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413A Ceased KR20200095716A (ko) 2019-02-01 2019-02-01 후크식 차량용 광 콘넥타 금형 및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57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906A (ko) * 2021-03-29 2022-10-06 남상엽 운송 수단용 광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906A (ko) * 2021-03-29 2022-10-06 남상엽 운송 수단용 광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680B1 (ko)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
US6933439B2 (en) Waterproof grommet
JP4028354B2 (ja) シャッター付き光コネクタ
JP2004288545A (ja) コネクタ用プロテクタ
CN110024242B (zh) 线缆保护装置
EP2894500B1 (en) Optical connector
US20200274288A1 (en) Connector
JP2017045540A (ja) コネクタ
JP2012150424A (ja) 光コネクタ
KR20200095716A (ko) 후크식 차량용 광 콘넥타 금형 및 제조
US20160266327A1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fitting structure
JP2017212099A (ja) コネクタカバー
WO2014181663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6999246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0957470B2 (en) Assembly for a cable feedthrough
JP6200184B2 (ja) 防塵キャップ
CN107919556B (zh) 保护帽
CN112751290B (zh) 保护器及布线单元
KR20160035008A (ko) 광 커넥터, 커넥터 본체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JP2022159862A (ja) コネクタ
KR102374758B1 (ko)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WO2022102567A1 (ja) セパレータ板及び線条部材の保護部材
JP4716897B2 (ja) 保護カバー
US11600941B2 (en) Wire harness and waterproof structure
KR20230096712A (ko) 고전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5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