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399A - Applicator - Google Patents
Applic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3399A KR20200093399A KR1020190010832A KR20190010832A KR20200093399A KR 20200093399 A KR20200093399 A KR 20200093399A KR 1020190010832 A KR1020190010832 A KR 1020190010832A KR 20190010832 A KR20190010832 A KR 20190010832A KR 20200093399 A KR20200093399 A KR 202000933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tton
- hollow
- purified water
- rod
- rod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06010050337 Cerumen impa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2939 ceru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027 ear inne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883 ear externa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374 sebu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13 ear cana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09 eyebro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7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261 otitis intern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5 visc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06—Ear cleaners, e.g. curet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61M35/006—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using sponges, foams, absorbent pads or swabs as sprea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면봉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봉체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솜부로 이물질이나 분비물을 긁거내거나 닦아낼 때 발생하는 작은 티끌들을 개방시 젖게 되는 타측 솜부로 용이하게 닦아내어 사용자에게 시원한 청량감을 느끼게 하면서 깨끗하게 청소하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 봉체 안쪽에 있는 정제수가 밀봉액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면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otton swab, and more specifically, it is a cotton pad formed on one side based on a rod body, and is easily wiped off with the other cotton pad that is wet when the small particles generated when scraping or wiping off foreign substances or secretions are wetted when ope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tton swab that can be safely cleaned while feeling a cool refreshing feeling, and can be safely used by keeping the purified water inside the rod normally fixed by a sealing liqui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회용 면봉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봉체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솜부로 이물질이나 분비물을 긁거내거나 닦아낼 때 발생하는 작은 티끌들을 개방시 젖게 되는 타측 솜부로 용이하게 닦아내어 사용자에게 시원한 청량감을 느끼게 하면서 깨끗하게 청소하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봉체 안쪽에 있는 세정액이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면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otton swab, and more specifically, it is a cotton pad formed on one side based on a rod body, and is easily wiped off with the other cotton pad that is wet when the small particles generated when scraping or wiping off foreign substances or secretions are wetted when opened. It relates to a cotton swab that can be safely cleaned while feeling a cool refreshing feeling, and can be safely used because the cleaning liquid inside the rod does not flow out due to vibration or shaking.
일반적으로 면봉은, 원통형의 스틱을 중심으로 양측단에 솜부를 형성하여, 상기 솜부를 예민한 내이(內耳) 속으로 삽입하여 귀지를 밖으로 꺼내거나 닦아낼 때 사용하는 일회용 물품이다.In general, a cotton swab is a disposable article used to form cotton pads at both ends around a cylindrical stick, and insert the cotton pad into a sensitive inner ear to take out or wipe out earwax.
참고로 귀지는, 외이(外耳)의 땜샘에서 배출된 묽은 분비물과 이도선의 끈끈한 피지 분비물과 몸속에 유입된 먼지 등이 혼합되면서 생성되는데, 통상적으로 특정 화합물에 의해 단단하게 뭉쳐져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For reference, earwax is produced by mixing the secreted sebum secretion of the ear canal with the secreted sebum secretion of the ear canal and the secreted sebum secreted from the outer ear gland, which is not usually tightly agglomerated by a specific compound.
귓속으로 면봉을 삽입하여 귀지를 밖으로 꺼내거나 혹은 내이(內耳)) 표면에 붙어 있는 귀지를 닦아낼 때, When you insert a cotton swab into your ear and take out the earwax, or when you wipe off the earwax attached to the inner ear surface,
상기 귀지의 모서리 부분이나 연약한 부분이 쉽게 부서지면서 다수의 티끌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티끌들이 내이(內耳) 또는 외이(外耳) 주변에 남게되면서, 건조한 귓속을 깨끗하게 청소하기가 힘들었던 것이다.As the edge or soft part of the earwax is easily broken, a number of dusts are generated, and these dusts remain around the inner ear or outer ear, making it difficult to clean the dry ear.
더욱이 상기와 같은 면봉을 사용해 귓속을 청소할 때 발생하는 작은 티끌들에 의해, 예민한 귓속이나 귓가에 간지러움 감각이 남게 되는 것이다.Moreover, by the small particles generated 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ear using a cotton swab as described above, a sense of tickling remains in the sensitive ear or ear.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봉체의 일측단에 2.0mm 정도의 직경으로 내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입부 안쪽으로 세정액을 주입하여 표면장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내입부의 끝단을 솜부로 감싸도록 하여, Therefore, an indentation is formed with a diameter of about 2.0 mm on one side end of the rod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cleaning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indentation and fixed by surface tension, the end of the indentation is wrapped with cotton. So that
타측단 절단시 내외가 통공되면서 대기압에 의해 세정액이 흘러내려와 젖셔진 솜부로 내이(內耳) 또는 외이(外耳) 주변을 닦아 줄 수 있는 면봉이 등장하게 되었던 것이다.When cutting the other side, the inside and outside was passed through, and the cleaning liquid flowed down by atmospheric pressure, and a cotton swab that could wipe the inner ear or the outer ear with a wet cotton was introduced.
그러나 이러한 면봉은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면봉이 수평하게 놓인 상태로 유통될 때, 차량 진동 및 흔들림 등에 의해 내입부 안쪽에 있는 세정액이 조금씩 밖으로 흘러나와 솜부를 젖셔 버리고,However, such a cotton swab is not only difficult to manufacture, but when the cotton swab is distributed in a horizontally placed state, the cleaning liquid inside the inside of the interior portion is gradually leaked out by the vibration and shaking of the vehicle and wets the cotton,
이렇게 솜부가 젖은 상태로 유통되게 되면, 대기와 접촉하면서 상기 솜부에 세균들이 번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주변을 오염시켜 버리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otton is distributed in a wet state in this way, not only bacteria grow on the cotton but also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while contacting the atmosphere.
따라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검사하였을 때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세균이 번식된 솜부로 내이 또는 외이 주변을 닦아내면서 내이염을 일으키거나 상처를 덧나게 하는 등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maintains a clean state when inspected with the naked eye, but it can lead to serious diseases such as causing inner ear infection or scratching the wound while wiping the inner or outer circumference with a cotton that has been propagated by bacteria.
따라서 본 발명은 면봉을 이용해 청소할 때 남게 되는 작은 티끌을 용이하게 제거하면서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면서 내이 또는 외이 주변을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ean the inner or outer periphery cleanly while giving the user a sense of refreshing while easily removing small particles remaining when cleaning using a cotton swab.
특히 내입부 안쪽에 위치한 세정액이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면봉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disposable swab can be used safely because the cleaning solution located inside the inlet does not flow out due to vibration or shaking.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중공 성형된 파이프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봉체를 형성한 후, 상기 봉체의 중공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융착시킨 상태에서, 테두리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오픈되게 하기 위한 커팅라인을 형성하고,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ut a hollow-formed pipe into a certain size to form a rod, and then insert a fixing pin into the hollow of the rod and fuse it, thereby cutting the cutting line to op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im. Form,
상기 봉체의 중공에는 정제수를 주입한 후, 상기 정제수보다 높은 표면장력을 가진 밀봉액을 주입하여 분리된 층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밀봉액의 표면장력에 의해 내측에 위치한 정제수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When the purified water is injected into the hollow of the rod body, and then a sealing layer having a surface tension higher than that of the purified water is injected to form a separate layer, the flow of purified water located inside may be prevent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sealing liquid. While organizing
상기 봉체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커팅라인을 감싸고 있는 제1솜부와 밀봉액이 주입된 중공 하단을 감싸고 있는 제2솜부를 형성하여,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od body respectively form a first cotton portion surrounding the cutting line and a second cotton portion surrounding the hollow bottom where the sealing liquid is injected,
상기 제1솜부로 분비물 또는 이물질을 긁거내거나 닦아낼 때 발생하는 작은 티끌들을, 상기 봉체가 커팅라인을 따라 절단하면서 오픈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대기압에 의해 밀봉액을 뚫고 하부로 내려온 정제수가 함침된 제2솜부로,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The small particles generated when scraping or wiping off secretions or foreign substances with the first cotton part, the second part impregnated with the sealing liquid by atmospheric pressure generated when the rod body was opened while cutting along the cutting line and impregnated with purified water that came down to the bottom. It is made of cotton so that it can be easily wiped off.
이때 정제수는 봉체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65 내지 80% 만큼 주입하고, 밀봉액은 봉체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5 내지 12% 만큼 주입하여, 밀도가 낮은 정제수의 전체 중량이 밀봉액의 전체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하였을 때, 상기 밀봉액 하부에는 봉체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8 내지 30% 만큼 빈 중공을 형성하여,At this time, the purified water is injected by 65 to 80%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rod body, and the sealing liquid is injected by 5 to 12%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rod body, so that the total weight of the purified water having a lower density is greater than the total weight of the sealing liquid. When formed relatively larger, an empty hollow is formed by 8 to 30%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rod under the sealing liquid,
개봉시 상부에 위치한 정제수가 밀봉액을 뚫고 바로 빈 중공으로 내려와 제2솜부에 균일하게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opened, the purified water located at the top penetrates the sealing liquid and immediately descends into the hollow and is uniformly impregnated into the second cotton.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봉체의 외측 상부와 하부에, 스크류 방식으로 경사지게 깎기면서 상하방향으로 안쪽으로 내입된 스크류홈과 외경밖으로 일부 돌출되는 걸림턱을 연속하여 형성하고, 이러한 스크류홈과 걸림턱을 비스듬하게 복수로 형성함으로써,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od body, while being obliquely cut by a screw method, the screw grooves i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cking projections partially protruding outside the outer diameter are continuously formed. By forming plurally,
봉체의 상단과 하단에 감싸여진 제1솜부와 제2솜부가 귀지를 꺼내거나 딱아낼 때,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봉체로부터 쉽게 벗겨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first cotton and the second cotton wrapped around the top and bottom of the rod body are taken out or crus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ot easily peeled off or separated from the rod having a smooth surface.
본 발명은 중공이 형성된 봉체를 기준으로 제1솜부로 귀지를 긁거내거나 혹은 닦아낼 때 발생하는 작은 티끌들을 개방시 대기압에 의해 정제수가 바로 함침된 제2솜부로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게 되었고,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wipe small particles generated when scratching or wiping earwax with the first cotton part based on a rod having a hollow formed thereon, to a second cotton part impregnated with purified water immediately by atmospheric pressure.
특히 티끌들을 닦아낼 때 표피에 묻은 미량의 정제수가 온도차에 의해 건조되면서 혹은 기화되면서 사용자에게 시원한 청량감을 느끼게 하면서 깨끗하게 청소하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n particular, when cleaning the particles, a small amount of purified water on the epidermis can be cleaned cleanly while allowing the user to feel a cool refreshing feeling as it is dried or vaporized by a temperature difference.
봉체 안쪽에 있는 세정액이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Since the cleaning liquid inside the rod does not flow out due to vibration or shaking, it can be safely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봉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봉의 개봉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봉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봉의 순서도.
도 8은 종래 면봉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tton sw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ure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cotton sw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ning process of the cotton sw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cotton sw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of a cotton sw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roblem with a conventional cotton swab.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For reference,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specifically def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봉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면봉을 분해하였을 때 그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결합된 상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개봉시 정제수가 빈 중공 안쪽으로 내와 제2솜부에 함침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개봉시 정제수가 함침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솜부로 귀지를 제거할 때 발생된 티끌을 정제수가 자동 함침된 제2솜부로 딱아내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tton sw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configuration in detail when the cotton swab of FIG. 1 is disassembled, and FIG. 3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mbined phase, and FIG. 4 I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urified water is impregnated into the hollow and inside the second cotton when opened, FIG. 5 shows the process of impregnating the purified water when opened, and FIG. 6 shows earwax as the first co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leansing of the dust generated during removal with the second cotton part impregnated with purified water.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봉(1)은, 내측에 중공(11)을 형성하고 있는 관 형상의 봉체(10)와,When referring to this, the
상기 봉체(10)의 중공(11) 일측단에 끼워져 융착되는 고정핀(20)과,A
상기 봉체(10)의 중공(11) 안쪽으로 주입되는 정제수(30)와,Purified water (30) injected into the hollow (11) of the rod body (10),
상기 봉체(10)의 중공(11) 안쪽으로 주입되는 정제수(30)와 서로 다른 밀도로 이루어져 분리된 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정제수(30)보다 높은 표면장력으로 내측에 위치한 정제수를 고정하기 위한 밀봉액(31)과,In order to fix the purified water located inside with a higher surface tension than the purified
상기 봉체(10)의 외측 상부를 스크류 방식으로 경사지게 깎아내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속된 스크류홈(12) 및 걸림턱(13)을 복수개로 형성하는 한편, 외경을 따라 형성된 커팅라인(15)을 감싸고 있는 제1솜부(40)와,While cutting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봉체(10)의 외측 하부를 스크류 방식으로 경사지게 깎아내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속된 스크류홈(12) 및 걸림턱(13)을 복수개로 형성하고, 내측에 밀봉액(30)의 주입완료한 후 형성된 하부의 빈 중공(32)을 감싸는 제2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A plurality of
제1솜부(40)로 귀지를 긁거내거나 닦아낼 때 발생하는 작은 티끌들을, 상기 봉체(10)가 커팅라인(15)을 따라 절단되면서 오픈되었을 때 발생하는 대기압에 의해 밀봉액(31)을 뚫고 하부의 빈 중공(321) 안쪽으로 내려온 정제수(31)가 함침된 제2솜부(50)로,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게 구성하여,The small particles generated when the earwax is scratched or wiped with the
상기 티끌을 닦아낼 때 표피에 묻은 미량의 정제수(30)가 온도차에 의해 건조되면서 혹은 기화되면서 사용자에게 시원한 감각을 느끼면서 청결함을 유지시켜 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a clean feeling while feeling a cool feeling to a user while the traces of purified
이하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봉체(10)는 가늘고 길게 중공 성형된 반투명한 혹은 투명한 파이프를,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내측에 중공(11)을 가진 관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다. Hereinafter, each of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이때 봉체(10)는 소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경은 3 ~ 4mm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두께는 0.7 ~ 1mm 정도로 형성함으로써, 표면장력이 중공 안정으로 안정적으로 미칠수 있게 2 ~ 2.3mm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봉체(10)의 길이는 60 ~ 70mm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참고로 봉체(10)의 길이가 60mm 이하로 형성하였을 때에는 밀봉액(31)의 표면장력에 의해 정제수(30)가 바로 낙하되지 않고, 반대로 봉체(10)의 길이가 70mm 이상일 경우에는 면봉(1)이 수평하게 놓여 움직일 때 내측에 위치한 정제수(10)가 밀봉액(31)을 뚫고 나올 염려가 있다. 더불어 중공(11)의 직경을 2mm 이하를 유지할 때에는 중공(11) 안쪽으로 밀봉액을 안전하게 주입하기 곤란하고, 반대로 2.3mmm 이상일 경우에는 밀봉액(31)의 표면장력이 약해지면서 내측에 위한 정제수(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기 곤란한 것이다.For reference, when the length of the
그리고 이러한 봉체(10)의 외측에는 스크류 방식으로 경사지게 깎기면서 상하방향으로 안쪽으로 내입된 스크류홈(12)과 외경밖으로 일부 돌출되는 걸림턱(13)을 연속하여 형성하고,And on the outside of the
이러한 스크류홈(12)과 걸림턱(13)을 비스듬하게 복수개로 형성하여, 봉체(10)의 상단과 하단에 감싸여져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한 제1솜부(40)와 제2솜부(50)가, 귀지를 꺼내거나 딱아낼 때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봉체(10)로부터 쉽게 벗겨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봉체(10)의 상부에는 복수의 스크류홈(12) 사이에 외경을 따라 내입된 커팅라인(15)을 형성하여, 고정핀(20)이 장착된 봉체(10)의 상부가 외력에 의해 개봉되게 구성한다.And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고정핀(20)은 상기 봉체(10)의 일측 중공(11)에 삽입되어 내측에 주입된 정제수(30)가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막아 주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단보다 타측단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하거나 혹은 외측에 돌출테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핀(20)이 중공(11) 안쪽으로 삽입되었을 때 초음파/고주파로 융착 고정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참고로, 상기 봉체(10)와 고정핀(20)은 실시 예에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측이 막힌 상태로 중공 성형할 때 금형핀이 잘 빠지지 않는 문제점과 냉각차로 휘어지는 문제점 그리고 생산속도가 늦어지는 등의 문제점으로, 파이프 형태로 신속하게 제작하고, 내측 중공에 고정핀을 삽입한 다음, 융착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the
또한, 정제수(30)는 제2솜부(50)에 함침되어 표피에 붙어 있는 지저분한 티끌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In addition, the purified
이때 정제수는 불순물이 제거된 깨끗한 정수나 쉽게 기화되는 이온수 혹은 알콜 등이 바람직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처부위를 닦아 내거나 바르기 위한 세정액이나 또는 약액이거나 혹은 특정 부위에 바르기 위한 로션이나 화장액 등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urified water is preferably clean purified water from which impurities have been removed, ionized water or alcohol, etc. that are easily vaporized, and in some embodiments, it may be a cleaning solution or a chemical solution for wiping or applying a wound, or a lotion or cosmetic solution for applying to a specific area. have.
또한, 밀봉액(31)은 정제수(30)는 서로 다른 밀도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액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이루어져 상기 정제수 주입후 바로 주입되어 분리된 층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정제수보다 높은 표면장력으로 내측에 위치한 정제수가 유동되지 않게 한다.In addition, the sealing
이때 밀봉액은 점성이 있는 실리콘이나 1.5g/cm3 보다 높은 밀도를 가진 점성 물질이 바람직하다.The sealing liquid is preferably a viscous silicone or a viscous material having a density higher than 1.5 g/cm 3 .
또한, 빈 중공(32)은 개봉시 높이차에 의해 정제수(30)가 밀봉액(32)을 뚫고 바로 낙하되어 제2솜부(50)에 함침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hollow hollow 32 is intended to be impregnated into the
즉, 빈 중공(32)에 밀봉액(31)으로 가득 채운 경우에는, 하단에 위치한 제2솜부(50)에 의해 지지되면서, That is, when the hollow hollow 32 is filled with the sealing
개봉시 정제수(30)가 천천히 낙하되거나 불규칙하게 낙하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밀봉액(31)과 제2솜부(50)가 서로 뭉쳐지면서 경화되어, 중공(11)을 안쪽에 위치한 정제수(30)가 제2솜부(50)에 정상적으로 함침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Purified water (30) falls slowly or irregularly when opened,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aling liquid (31) and the second cotton part (50) are cured while being united with each other, and the hollow (11) is purified water (30) located inside In some cases, the
따라서 봉체(10) 하단에 빈 중공(32)을 형성하여, 개봉시 높이차에 의해 정제수(30)가 밀봉액(31)을 뚫고 바로 낙하되면서 제2솜부(50)가 함침되게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by forming an empty hollow 32 at the bottom of the
이때의 정제수(30)는 봉체(10)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65 내지 80% 만큼 중공(11) 내측에 주입하고, 밀봉액(31)은 봉체(10)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5 내지 12% 만큼 중공(11) 내측에 주입하여, 밀도가 낮은 정제수(30)의 전체 중량이 밀봉액(31)의 전체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하였을 때, At this time, the purified
상기 밀봉액(31) 하부에는 봉체(10)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8 내지 30% 만큼 빈 중공(32)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orm an empty hollow 32 by 8 to 30%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참고로, 정제수(30)가 65% 미만일 경우에는 제2솜부(50)가 충분하게 함침되지 않고, 80% 이상일 경우에는 여분의 정제수가 제2솜부를 뚫고 밖으로 낙하하거나 혹은 면봉이 움직일 때 혹은 유통시 밖으로 흘러 나올 염려가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purified
또한, 밀봉액(31)이 5% 미만일 경우에는 중공(11) 내측에 위치한 정제수(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 없고,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개봉시 상부에 취한 정제수(30)가 천천히 낙하되거나 혹은 제2솜부(50)에 지나치가 많은 밀봉액이 함침되면서 비정상적으로 사용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sealing
또한, 제1솜부(40)와 제2솜부(50)는 정제수(30)를 흡수할 수 있는 부질포나 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체(10)의 외측에 형성된 스크류홈(12) 및 걸림턱(13)을 감싸면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봉체(10로부터 제1솜부(40 제2솜부(50) 쉽게 이탈되지 않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1솜부(40)에는, 내측에 위치한 봉체(10)의 커팅라인(15)에 대응하는 분리라인(41)이 특정 색상으로 번지지 않으면서 선명하게 보이도록 인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참고로 이러한 면봉(1)은, 전자제품이나 기계제품의 더러워진 부분을 딱은 후, 미세하게 남겨진 티끌들을 제거할 때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피부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분미물들을 꺼낼 때 발생하는 티끌들을, 젖은 제2솜부로 용이하게 닦아내어 줌으로써, 표면에 묻은 미량의 정제수가 온도차에 의해 건조/기회되면서 시원한 감각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청결함을 유지시켜 줄 수도 있는 것이다.For reference, the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봉의 제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In addition, 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tton sw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가늘고 길게 중공 성형된 파이프를 제작하고, 이를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봉체(10)를 형성한다.Referring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an elongated hollow-molded pipe, cut it to a length sufficient to be used by hand, and forms a
그리고 절단된 상기 봉체(10)를 관통하는 일측 중공(11)에 테이핑지게 형성된 고정핀(20) 또는 외경에 돌출테가 형성된 고정핀을 삽입하여 일측 중공(11)을 막고,Then, by inserting a fixing
상기 중공(11) 안쪽으로 삽입된 고정핀(20)을 초음파/고주파로 융착시킨 후 상기 고정핀의 끝단을 잘라내어, 내측에 정제수(30)가 주입될 때 고정핀(20) 밖으로 정제수(30)가 유출되지 않게 구성한다.After the fixing
그리고 상기 봉체(10)의 외측 상부와 하부를 스크류 방식으로 경사지게 내입되어 깎아내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속된 스크류홈(12)과 걸림턱(13)을 복수개 형성하는 한편, 이러한 복수의 스크류홈(12)과 걸림턱(13)을 비스듬하게 형성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1솜부(40)와 제2솜부(50)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In addition, while the oute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그리고 이러한 봉체(10)의 테두리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절단되도록 하기 위한 커팅라인(15)을 형성하고,And to form a
상기 봉체(10)를 직립시킨 후 중공(11) 안쪽으로 전체 길이의 65 내지 80%만큼 정제수(30)를 주입하고,After the
상기 정제수(30)가 주입된 중공(11) 안쪽으로 상기 정제수(30)보다 높은 밀도로 이루어져 섞이지 않으면서 상기 정제수(30)보다 높은 표면장력을 가진 밀봉액(31)을 5 내지 12% 만큼 밀착된 상태로 일부 주입하여, 상기 면봉(1)이 유통되는 과정중에 혹은 움직이는 과정 중에 밀봉액(31)에 의해 내측에 위치한 정제수(30)가 유동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다. Inside the hollow 11 into which the purified
더불어 빈 중공(32)은 봉체(10)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8 내지 30% 만큼 빈 공간(32)을 형성하여, 개봉시 밀봉액(31)의 전체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중량으로 이루어진 정제수(30)가 밀봉액(31)을 뚫고 빈 중공(32)으로 내려와 균일하게 제2솜부에 함침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hollow hollow 32 forms an
그리고 이러한 봉체(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같은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스크류홈(12)과 걸림턱(13), 또는 커팅라인(15)을 감싸는 제1솜부(40)와 제2솜부(50)를 형성하고,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상기 커팅라인(15)을 감싸고 있는 제1솜부(40)에, 커팅라인(15)에 대응하는 분리라인(31)을 형성하는 것이다.The
따라서 본 발명은 제1솜부(40)로 귀지를 긁거내거나 닦아낼 때 발생하는 작은 티끌들을, 개봉시 대기압에 의해 밀봉액(32)을 뚫고 빈 중공(32) 안쪽으로 바로 내려온 정제수(30)가 함침된 제2솜부(50)를 통해 용이하게 지저분한 티끌들을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게 되었고,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ll cotton particles generated when scratching or wiping the earwax with the
특히 티끌을 닦아낼 때 표피에 묻은 미량의 정제수가 온도차에 의해 건조되면서 혹은 기화되면서 사용자에게 시원한 감각을 느끼면서 청결함을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cleaning the dust, a small amount of purified water on the epidermis is dried or vaporized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a clean feeling while feeling a cool sensation.
참고로 이러한 면봉(1)은, 실시 예에 따라 개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의 귀나 발바닥 등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분미물 등을 제거하고 소독할 때 사용하거나, 혹은 아동이나 여성 등의 상처난 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소독할 때 사용하거나, 혹은 화장(예, 마스카라)할 때 뭉친 마스카라를 면봉으로 제거한 후 눈썹주변에 묻어 있는 잘못된 화장 부위를 제거할 때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For reference, th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토대로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pertains can easily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theories based on this. There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면봉 10:봉체
11:중공 12:스크류홈
13:걸림턱 15:커팅라인
20:고정핀 30:정제수
31:밀봉액 32:빈 중공
40:제1솜부 41:분리라인
50:제2솜부1: Cotton swab 10: Rod body
11: Hollow 12: Screw groove
13: hanging jaw 15: cutting line
20: fixing pin 30: purified water
31: sealing liquid 32: hollow hollow
40: first cotton part 41: separation line
50: second cotton
Claims (4)
상기 봉체(10)의 중공(11) 일측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20)과,
상기 봉체(10)의 중공(11) 안쪽으로 주입되는 정제수(30)와,
상기 봉체(10)의 외측 상부에 외경을 따라 형성된 커팅라인(15)을 감싸고 있는 제1솜부(40)와,
상기 봉체의 중공 하단을 감싸고 있는 제2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봉체(10)의 중공(11) 안쪽으로 주입되어, 정제수(30)와 서로 다른 밀도로 이루어져 섞이지 않게 분리된 층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정제수(30)보다 높은 표면장력으로 내측에 위치한 정제수를 고정하기 위한 밀봉액(31)이 주입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봉.A tubular rod 10 forming a hollow 11 inside,
A fixing pin (20) is fitt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hollow (11) of the rod (10),
Purified water (30) injected into the hollow (11) of the rod body (10),
A first cotton part (40) surrounding the cutting line (15) formed along the outer diameter on the outer upper part of the rod body (10),
It comprises a second cotton portion surrounding the hollow bottom of the rod body,
When the hollow body 11 of the rod body 10 is injected into the inside, and the purified water 30 is formed of a separate layer so as not to be mixed with different densities, purified water located inside with higher surface tension than the purified water 30 A cotton swab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liquid 31 for fixing is injected and can be safely used.
상기 정제수는 봉체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65 내지 80% 만큼 주입하고, 밀봉액은 봉체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5 내지 12% 만큼 주입하여, 밀도가 낮은 정제수의 전체 중량이 상기 밀봉액의 전체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하였을 때, 상기 밀봉액 하부에는 봉체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8 내지 30% 만큼 빈 중공을 형성하여,
개봉시 상부에 위치한 정제수가 밀봉액을 뚫고 바로 빈 중공으로 내려와 제2솜부에 균일하게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봉.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ied water is injected by 65 to 80%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rod body, and the sealing liquid is injected by 5 to 12%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rod body, so that the total weight of the low-density purified water is the total weight of the sealing liquid. When formed relatively higher than that, by forming the hollow hollow by 8 to 30%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rod under the sealing liquid,
A cotton swab characterized in that the purified water located at the top of the opening penetrates the sealing liquid and immediately descends into an empty hollow and is uniformly impregnated into the second cotton.
상기 봉체의 외측 상부와 하부에는, 스크류 방식으로 경사지게 깎기면서 상하방향으로 안쪽으로 내입된 스크류홈과 외경밖으로 일부 돌출되는 걸림턱을 연속하여 형성하고, 이러한 스크류홈과 걸림턱을 비스듬하게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봉체의 상단과 하단에 감싸여진 제1솜부와 제2솜부가 귀지를 꺼내거나 딱아낼 때,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봉체로부터 쉽게 벗겨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봉According to claim 2,
On the outer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od body, while being obliquely cut by a screw method, a screw groove introduced i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partially protruding outside the outer diameter are continuously formed, and a plurality of such screw grooves and locking jaws are formed at an angle. by doing,
A cotton swab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tton and the second cotton wrapped around the top and bottom of the rod are constructed so as not to be easily peeled off or separated from the rod having a smooth surface when the earwax is taken out or pinched.
상기 제1솜부에는 봉체의 커팅라인에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봉.According to claim 3,
A cotton swab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ion lin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line of the rod body in the first cotton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0832A KR20200093399A (en) | 2019-01-28 | 2019-01-28 | Applic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0832A KR20200093399A (en) | 2019-01-28 | 2019-01-28 | Applic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3399A true KR20200093399A (en) | 2020-08-05 |
Family
ID=7204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0832A KR20200093399A (en) | 2019-01-28 | 2019-01-28 | Applic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9339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8951A (en) * | 2021-05-25 | 2022-12-02 | (주)성운이노베이션 | Cotton swabs filled with types of functional solution |
KR20240000023U (en) | 2022-06-28 | 2024-01-04 | 이윤정 | Assembly for functional cotton swab |
-
2019
- 2019-01-28 KR KR1020190010832A patent/KR20200093399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8951A (en) * | 2021-05-25 | 2022-12-02 | (주)성운이노베이션 | Cotton swabs filled with types of functional solution |
KR20240000023U (en) | 2022-06-28 | 2024-01-04 | 이윤정 | Assembly for functional cotton swab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26600A (en) | Disposable dry-handle mascara applicator assembly | |
CA2827721C (en) | Unit dose breakable vial with integrated brush applicator | |
JP2000342328A (en) | Equipment for storing and applying materials, particularly, cosmetics | |
JP4039575B2 (en) | Cosmetic container | |
US8061919B2 (en) | Sponge cleaning utensil with inner core for solid soap | |
JP2006167467A (en) | Equipment for removing makeup | |
KR20200093399A (en) | Applicator | |
KR20150121158A (en) | Cosmetic product applicator including a massage element | |
JP2004532071A (en) | Container and applicator assembly | |
WO2008041808A1 (en) | Structure of vessel for powdered milk and spoon | |
US5054948A (en) | Liquid applicator | |
KR200436256Y1 (en) | Mascara Brush Washing Container | |
JP5307580B2 (en) | Disposable chemical container | |
WO2004093842A1 (en) | Body recessed portion cleaning agent | |
JP2000514673A (en) | Ear and nose hygiene tools | |
KR101496838B1 (en) | Conical hat type makeup cotton, case retrieval device equipped thereof and tools for using the same | |
KR100852726B1 (en) | Wiper structure of cosmetics case | |
KR200482036Y1 (en) | Remover set having a cotton swabs with remover capsule | |
KR101775947B1 (en) | Stick typed eye remover to use hygienically | |
JP2004154557A (en) | Packing-cum-application equipment equipped with connecting member unifying two receivers | |
KR200477374Y1 (en) | Body cleansing apparatus | |
JP2015002941A (en) | Nostril cleaning tool | |
KR200459827Y1 (en) | mascara remover | |
KR100672037B1 (en) | Exfoliator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 |
KR20130007276U (en) | 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5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