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440A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2440A KR20200092440A KR1020180170584A KR20180170584A KR20200092440A KR 20200092440 A KR20200092440 A KR 20200092440A KR 1020180170584 A KR1020180170584 A KR 1020180170584A KR 20180170584 A KR20180170584 A KR 20180170584A KR 20200092440 A KR20200092440 A KR 202000924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case
- electric vehicle
- sealing
- tray
- mou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73 uretha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1072—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 H01M2/108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1 : 바디부, 12 : 제1 마운팅부,
20 : 실링부, 21 : 수평부.
22 : 제1 수직부, 23 : 제2 수직부,
30 : 트레이부, 31 : 베이스부,
32 : 제2 마운팅부,
Claims (18)
- 배터리가 수납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를 형성하는 트레이부;
상기 트레이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트레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를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트레이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상기 전기자동차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전기자동차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운팅부와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마운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마운팅부는 상기 제1 마운팅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봉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팅부는 상기 제1 봉쇄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 마운팅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봉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봉쇄부와 상기 제2 봉쇄부가 상기 실링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가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제1 마운팅부는,
상기 제1 봉쇄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마운팅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봉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운팅부는,
상기 제3 봉쇄부와 마주하면서 상기 제2 봉쇄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도록 상기 제2 마운팅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봉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봉쇄부와 상기 제4 봉쇄부가 상기 실링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가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쇄부, 상기 제2 봉쇄부, 상기 제3 봉쇄부 및 상기 제4 봉쇄부 각각의 수직방향의 높이(H)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의 수직방향의 높이는 상기 제1 봉쇄부의 수직방향 높이의 6배 이상 내지 8배 이하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봉쇄부와 상기 제3 봉쇄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 봉쇄부의 수직방향 높이의 20배 이상 내지 35배 이하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쇄부, 상기 제2 봉쇄부, 상기 제3 봉쇄부 및 상기 제4 봉쇄부는 각각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배터리가 수납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상기 전기자동차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마운팅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를 형성하는 커버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전기자동차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운팅부와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마운팅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를 형성하는 트레이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트레이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운팅부는, 상부로 단차 지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제1 수직부를 삽입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가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는,
상기 제1 수직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를 가압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플랜지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배터리가 수납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상기 전기자동차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마운팅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를 형성하는 커버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전기자동차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운팅부와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마운팅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를 형성하는 트레이부;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트레이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평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밀폐부; 및
상기 제1 밀폐부와 수직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수평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1 밀폐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대칭되고, 상기 수평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3 밀폐부; 및
상기 제2 밀폐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대칭되고, 상기 제3 밀폐부와 수직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수평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4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폐부, 상기 제2 밀페부, 상시 제3 밀페부, 및 상기 제4 밀폐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배터리가 수납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를 형성하는 트레이부;상기 트레이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트레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를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트레이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상기 전기자동차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전기자동차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운팅부와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마운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마운팅부는 하부로 단차 지게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 상기 제2 수직부를 삽입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부 및 상기 커버부 사이가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부는,
상기 제2 수직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걸림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0584A KR102699996B1 (ko) | 2018-12-27 | 2018-12-27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0584A KR102699996B1 (ko) | 2018-12-27 | 2018-12-27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2440A true KR20200092440A (ko) | 2020-08-04 |
KR102699996B1 KR102699996B1 (ko) | 2024-08-27 |
Family
ID=7204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0584A Active KR102699996B1 (ko) | 2018-12-27 | 2018-12-27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999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5631A1 (ko) * | 2021-11-11 | 2023-05-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방수 및 방진성능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KR20230093106A (ko) * | 2021-12-17 | 2023-06-27 | 서진산업 주식회사 | 배터리팩의 락구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7984A (ko) * | 2010-01-15 | 2012-05-14 |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
KR101552483B1 (ko) | 2014-05-29 | 2015-09-14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
-
2018
- 2018-12-27 KR KR1020180170584A patent/KR10269999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7984A (ko) * | 2010-01-15 | 2012-05-14 |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
KR101552483B1 (ko) | 2014-05-29 | 2015-09-14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5631A1 (ko) * | 2021-11-11 | 2023-05-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방수 및 방진성능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KR20230093106A (ko) * | 2021-12-17 | 2023-06-27 | 서진산업 주식회사 | 배터리팩의 락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9996B1 (ko) | 2024-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73411C1 (ru) | Установленный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комплект аккумуляторных батарей с конструкцией для сброса давления | |
US8900744B2 (en) | Automotive battery case | |
JP5298144B2 (ja) |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 |
JP5811830B2 (ja) | 電池パック | |
JP5408438B2 (ja) |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 |
KR101210095B1 (ko) | 고전압 배터리의 차량 설치구조 | |
US9819116B1 (en) | Electrical outlet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 |
KR101998565B1 (ko) | 전기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 |
JP2018533815A (ja) | クランプ方式の締結部材により結合された外装部材を備える電池モジュール | |
WO2013061847A1 (ja) | 車両駆動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 |
KR20200092440A (ko)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 |
CN112332044A (zh) | 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组、装置及注液方法 | |
KR101095207B1 (ko) | 2차 전지 및 그 조전지 및 2차 전지를 탑재하는 차량 | |
JP5408439B2 (ja) |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 |
CN214505660U (zh) | 电池箱、电池包及电动汽车 | |
JP5541473B2 (ja) |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 |
KR20220068644A (ko)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케이스용 압력조정유닛 | |
US10476060B1 (en) | Sealed structural pass through assemblies for electrified vehicle battery packs | |
CN213007641U (zh) | 一种纯电动汽车防水车载电机控制器 | |
KR20120074375A (ko) | 배터리 케이스 | |
CN211719523U (zh) | 一种车用防水继电器盒 | |
JP5880852B2 (ja) | 電動車両のシール構造 | |
CN220821743U (zh) | 一种动力电池的密封结构 | |
CN217823142U (zh) | 一种电池包上盖结构 | |
CN217387327U (zh) | 电池包的箱体、电池包及车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3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