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87364A -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364A
KR20200087364A KR1020190003105A KR20190003105A KR20200087364A KR 20200087364 A KR20200087364 A KR 20200087364A KR 1020190003105 A KR1020190003105 A KR 1020190003105A KR 20190003105 A KR20190003105 A KR 20190003105A KR 20200087364 A KR20200087364 A KR 20200087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ow plate
plate
water pump
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백열
김갑성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서백열
김지성
김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백열, 김지성, 김갑성 filed Critical 서백열
Priority to KR102019000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7364A/ko
Publication of KR2020008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36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2Cell-type filters
    • B01D25/26Cell-type stack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4Removal of the filter cakes by moving, e.g. rotating, the filt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우징 하단에 중앙에 수로홀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판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판 사이 사이에 수로공을 형성한 유동판을 위치하며
상기 유동판에 연결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유동판을 유동시키는 동력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흡입하여 하우징 외부로 토출하는 워터펌프를 상기 하우징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펌프를 통해 하우징 내부를 흡입하면
상기 유동판의 원주연에 있는 오물의 액체가 상기 유동판과 고정판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어
상기 유동판에 형성한 수로공과 상기 고정판 형성한 수로홀을 지나
상기 하우징과 워터펌프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펌프 외부로 토출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하단에 중앙에 수로홀(21)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판(20)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판 사이 사이에 수로공(31)을 형성한 유동판(30)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판(30)에 연결부재(40)를 연결시켜 상기 유동판(30)을 유동시키는 동력수단(5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를 흡입하여 하우징(10) 외부로 토출하는 워터펌프(60)를 상기 하우징(10)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펌프(60)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를 흡입하면
상기 유동판(30)의 원주연에 있는 오물의 액체가 상기 유동판(30)과
고정판(20) 사이의 틈새(a)로 유입되어
상기 유동판(30)에 형성한 수로공(31)과 상기 고정판(20) 형성한
수로홀(21)을 지나 상기 하우징(10)과 워터펌프(60)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펌프(60)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Sludge an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우징 하단에 중앙에 수로홀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판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판 사이 사이에 수로공을 형성한 유동판을 위치하며
상기 유동판에 연결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유동판을 유동시키는 동력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흡입하여 하우징 외부로 토출하는 워터펌프를 상기 하우징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펌프를 통해 하우징 내부를 흡입하면
상기 유동판의 원주연에 있는 오물의 액체가 상기 유동판과 고정판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어
상기 유동판에 형성한 수로공과 상기 고정판 형성한 수로홀을 지나
상기 하우징과 워터펌프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펌프 외부로 토출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격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는 사실은 대기는 물론 수질 또한 그 오염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음을 통해서도 이미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특히, 인간활동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나 농·축산폐수 및 산업폐수 등은 호소나 내만 및 내해 등의 공용 수역과 도심 중소 하천 등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 급속한 산업의 발전에 의한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각종 용수량의 증가와 함께 오·폐수 중에는 무기 및 유기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오·폐수의 경우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SS(현탁물질), 질소 및 인 등 고농도의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하천이나 호소 및 댐 등에 그대로 흘러들어가면 부영양화 등 수자원의 오염은 물론, 독성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등으로 이어져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오·폐수는 일정의 기준
을 정해 놓고 일정의 기준치 이하로 정화시켜 배수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종래의 제어기술로는 필터를 이용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는 있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는 대부분 오·폐수를 단순히 여과하여 오니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오·폐수의 처리량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는 오니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이 필터에 부착되어 수처리가 장해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필터에 부착된 오니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수처리장치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어 오·폐수 처리 능률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 하단에 중앙에 수로홀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판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판 사이 사이에 수로공을 형성한 유동판을 위치하며
상기 유동판에 연결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유동판을 유동시키는 동력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흡입하여 하우징 외부로 토출하는 워터펌프를 상기 하우징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펌프를 통해 하우징 내부를 흡입하면
상기 유동판의 원주연에 있는 오물의 액체가 상기 유동판과 고정판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어
상기 유동판에 형성한 수로공과 상기 고정판 형성한 수로홀을 지나
상기 하우징과 워터펌프를 경우하여 상기 워터펌프 외부로 토출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하단에 중앙에 수로홀(21)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판(20)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판 사이 사이에 수로공(21)을 형성한 유동판(30)을 위치하며,
상기 유동판(30)에 연결부재(40)를 연결시켜 상기 유동판(30)을 유동시키는 동력수단(5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를 흡입하여 하우징(10) 외부로 토출하는 워터펌프(60)를 상기 하우징(10)에 설치(워터펌프를 하우징 외부에 설치할 수 있음)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펌프(60)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를 흡입하면
상기 유동판(30)의 원주연에 있는 오물의 액체가 상기 유동판(30)과
고정판(20) 사이의 틈새(a)로 유입되어
상기 유동판(30)에 형성한 수로공(31)과 상기 고정판(20) 형성한
수로홀(21)을 지나 상기 하우징(10)과 워터펌프(60)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펌프(60)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이다.
설명을 생략한 100은 여과부이고 101은 이격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 하단에 중앙에 수로홀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판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판 사이 사이에 수로공을 형성한 유동판을 위치하며
상기 유동판에 연결부재를 연결시켜 상기 유동판을 유동시키는 동력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흡입하여 하우징 외부로 토출하는 워터펌프를 상기 하우징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펌프를 통해 하우징 내부를 흡입하면
상기 유동판의 원주연에 있는 오물의 액체가 상기 유동판과 고정판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어
상기 유동판에 형성한 수로공과 상기 고정판 형성한 수로홀을 지나
상기 하우징과 워터펌프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펌프 외부로 토출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기존의 여과망 등으로 여과하는 기술과 비교할 경우 반영구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일부을 절개한 사시도.
도 3의 가)는 도 2의 부분 확대도,
나)는 고정판과 유동판 사이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동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상태로서,
유동판이 가) 상태에서 나) 상태로 회전하면서 고정판에 싸인 오니 및 슬러지를 쓸어내는 상태이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제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하단에 중앙에 수로홀(21)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판(20)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판 사이 사이에 수로공(31)을 형성한 유동판(30)을 위치하며,
상기 유동판(30)에 연결부재(40)를 연결시켜 상기 유동판(30)을 유동시키는 동력수단(5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를 흡입하여 하우징(10) 외부로 토출하는 워터펌프(60)를 상기 하우징(10)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펌프(60)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를 흡입하면
상기 유동판(30)의 원주연에 있는 오물의 액체가 상기 유동판(30)과
고정판(20) 사이의 틈새(a)로 유입되어
상기 유동판(30)에 형성한 수로공(31)과 상기 고정판(20) 형성한
수로홀(21)을 지나 상기 하우징(10)과 워터펌프(60)를 경우하여 상기 워터펌프(60)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력수단(50)과 워터펌프(60)에 전원을 인가하면 동력수단(50)과
연결부재(40)로 연결시킨 유동판(30)이 유동하게되고 워터펌프(60)는 상기 유동판(30)의 원주연의 외부에 있는 오물을 펌프하는데 이 펌프과정에 오물에 포함된 물이 펌프력으로 고정판(20)과 유통판(30) 사이의 틈새(a)로 빨려 들어간다.
그 빨려들어간 물이 유동판(30)에 형성한 수로공(31)과 상기 고정판(20)을 형성한 수로홀(21)로 빨려가 워터펌프(60)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펌프(60)의
토출구(6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틈새(a)는 아주 미세한 틈새이므로 오니는 통과하지 못한다.
상기 유동판(30)을 유동시키는 이유는 오니가 고정판(20)과 유동판(30) 사이에 끼워져 물이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유동시켜주는 것이다.
이처럼 지속적으로 유동하면 오니가 고정판(20)과 유동판(30) 사이에서 굳어지더라도 유동하면 고정판(20)과 유동판(30) 사이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상기 동력수단(50)은 감속모터에 해당하고, 유동판(30)은 회전자에 해당한다.
그리고 고정판(20)은 원형판에 해당하고 연결부재(40)는 회전축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감속모터를 회전하면 회전축이 회전하고 회전축은 원형판으로 형성된 회전자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자는 원형판에 밀착되되 회전자와 원형판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유지되도록 서로 간격이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 틈새가 여과기능을 하는 것이다.
다음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유동판(30)은 외부 원주연(테두리에 해당)을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동판(20)의 원주연 외부에 싸인 오니 및 슬러지를 고정판의 원주연(테두리에 해당) 방향으로 밀어내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동판(30)은 외부 원주연을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도 5의 가)의 상태에서 나)의 상태로 회전하면서 유동판(20)의 원주연 외부에 싸인 오니 및 슬러지를 고정판(20)의 원주연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10 : 하우징 20 : 고정판
21 : 수로홀 30 : 유동판
31 : 수로공 40 : 연결부재
50 : 동력수단 60 : 워터펌프
61 : 토출구 a : 틈새

Claims (2)

  1.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하단에 중앙에 수로홀(21)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판(20)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판 사이 사이에 수로공(31)을 형성한 유동판(30)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판(30)에 연결부재(40)를 연결시켜 상기 유동판(30)을 유동시키는 동력수단(5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를 흡입하여 하우징(10) 외부로 토출하는 워터펌프(60)를 상기 하우징(10)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펌프(60)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를 흡입하면
    상기 유동판(30)의 원주연에 있는 오물의 액체가 상기 유동판(30)과
    고정판(20) 사이의 틈새(a)로 유입되어
    상기 유동판(30)에 형성한 수로공(31)과 상기 고정판(20) 형성한
    수로홀(21)을 지나 상기 하우징(10)과 워터펌프(60)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펌프(60)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판(30)은 외부 원주연(테두리에 해당)을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동판(20)의 원주연 외부에 싸인 오니 및 슬러지를 고정판의 원주연 방향으로 밀어내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
KR1020190003105A 2019-01-10 2019-01-10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 Ceased KR20200087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05A KR20200087364A (ko) 2019-01-10 2019-01-10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05A KR20200087364A (ko) 2019-01-10 2019-01-10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364A true KR20200087364A (ko) 2020-07-21

Family

ID=7183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105A Ceased KR20200087364A (ko) 2019-01-10 2019-01-10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73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2271A (zh) 用于船舶的压载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1614687B1 (ko) 우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더블유형 스크린장치
KR20140053830A (ko)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수의 처리 방법
KR101581241B1 (ko) 자연 친환경성과 자원 재활용성을 갖는 발포 인공부상 여재를 이용한 하수 월류수의 고속처리장치
RU2426696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7877443U (zh) 一种污水厂排污过滤装置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CN105129969A (zh) 周边过滤出水生化沉淀池
JP4844825B2 (ja) サテライト処理場の汚水処理装置
KR20200087364A (ko) 평판을 이용한 오폐수 여과장치
US7150826B2 (en) Filtering apparatus
KR100337533B1 (ko) 미세공기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도공기식부상분리장치
KR101729314B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산화폭기장치
CN211170159U (zh) 一种高悬浮物含油污水处理装置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KR101729316B1 (ko) 산화폭기장치
Innerfeld Dual process high-rate filtration of raw sanitary sewage and combined sewer overflows
JPH0798186B2 (ja) 池水等の浄化方法並びにその装置
CN216377795U (zh) 一种市政污水沉降池
JPH04131185A (ja) 電気浮上装置
KR101622113B1 (ko) 슬러지 처리장치
KR20180019362A (ko) 간소화된 해수 담수화 플랜트
KR20100117827A (ko)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20100117828A (ko) 디스크 드럼필터용 고체염소용해장치
KR20180097063A (ko) 선박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물리적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