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87126A - Ptp시트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Ptp시트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126A
KR20200087126A KR1020207009897A KR20207009897A KR20200087126A KR 20200087126 A KR20200087126 A KR 20200087126A KR 1020207009897 A KR1020207009897 A KR 1020207009897A KR 20207009897 A KR20207009897 A KR 20207009897A KR 20200087126 A KR20200087126 A KR 20200087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p sheet
sheet
ptp
width direction
hol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015B1 (ko
Inventor
히로후미 미즈노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0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65B35/58Turning articles by positively-acting means, e.g. to present labelled portions in uppermos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PTP시트를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함에 있어서, PTP시트의 전달을 적절히 행할 수 있는 PTP시트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PTP시트 이음장치는, 2매의 PTP시트(1)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대위치관계에서 유지가능하고 또한 레인폭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마련된 홀더(한 쌍의 유지편(36L, 36R))를 구비함과 함께, 반전장치와 홀더의 사이, 및, 홀더와 척이송기구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PTP시트(1) 등에 따라, 이 PTP시트(1) 등의 장수방향 중앙부가 레인폭방향 중앙부에 해당하는 센터라인(C0)에 위치하도록, 레인폭방향에 있어서의 홀더의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PTP시트 이음장치
본 발명은, 정제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를 구비한 PTP시트를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 이용되는 블리스터 팩 시트로서 PTP(프레스 스루 팩) 시트가 알려져 있다.
PTP시트는, 정제 등의 내용물이 충전되는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과, 그 용기 필름에 대하여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취착되는 커버 필름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PTP시트는, 장척상의 용기 필름을 반송시키면서, 포켓부를 성형하는 공정, 이 포켓부에 정제 등을 충전하는 공정, 이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용기 필름에 커버 필름을 취착하는 공정, PTP시트 단위로 타발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PTP시트는, 포켓부를 가지는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2매 1조의 이음상태가 된 다음, 소정 조수씩 겹쳐 쌓인 후, 필로우 포장이나 밴드 결속 등이 되는 포장 공정으로 보내지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PTP시트를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할 때에는, 2매의 PTP시트의 포켓부끼리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소정량만큼 상호 포켓부의 위치를 어긋나게 한 상태로 잇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PTP시트를 1매 걸러 표리 반전시키는 반전기구(반전장치(12))와, 이 반전기구로부터 순차 전달되는 PTP시트를 상하 2단으로 유지하는 유지기구(홀더수단(33))와, 이 유지기구로 유지되어 있는 상하 2매의 PTP시트를 이음상태로 하여 다음 공정으로 반송하는 이음반송기구(척이송수단(35))를 구비하여, 소정의 시트반송경로를 따라 배치된 상기 각 기구에 순차 PTP시트를 전달하면서, 이음상태로 해 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특허문헌 1에서는, 시트 장수방향 일단부에 제조번호나 유효기한 등을 표시하는 이부(태그부)를 가진 귀가 있는 PTP시트를 서로의 이부의 방향이 시트 장수방향에 대해 역방향이 되도록 잇고 있다. 이에 따라, 이음상태가 된 2매의 PTP시트조는, 장수방향 가장자리부에 어긋남이 없거나 또는 장수방향 가장자리부의 어긋남량이 매우 적은 상태가 된다.
일본특허공개 2001-31081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종래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이부를 가지지 않는 귀가 없는 PTP시트와 같이, 이음상태로 했을 때에 시트 장수방향 가장자리부의 어긋남량이 비교적 커지는 제품 사양의 PTP시트에 대응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통상, 귀가 있는 PTP시트이면, 그 장수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서, 이 장수방향 중앙부를 시트반송경로의 센터라인에 위치맞춤한 상태로 각 기구에 있어서 파지하거나 유지하면, 각 기구간에 있어서의 PTP시트의 전달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따른 반전기구에 있어서, 귀가 없는 PTP시트의 장수방향 중앙부를 파지하여 1매 걸러 표리 반전시켰다고 해도, 이음상태로 하는 상하 2매의 귀가 없는 PTP시트의 포켓부의 위치를 어긋나게 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유지기구에서는, PTP시트의 장수방향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상 시트유지부(한 쌍의 슬릿(31))와 하 시트유지부(한 쌍의 슬릿(32))의 시트반송경로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하 2매의 귀가 없는 PTP시트를 시트 장수방향으로 크게 어긋나게 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가량 유지기구에 있어서, 상 시트유지부와 하 시트유지부의 시트반송경로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다르게 하고, 상하 2매의 귀가 없는 PTP시트를 시트 장수방향으로 크게 어긋나게 한 상태로 유지가능한 구성을 채용했다고 해도, 이 유지기구(상하 양 시트유지부)의 폭방향 중앙부를 센터라인에 위치맞춤하여 배치한 경우에는, 이 유지기구로부터 이음반송기구에의 PTP시트(이음상태가 된 2매의 PTP시트조)의 전달에 대해서는 적절히 행할 수 있지만, 반전기구로부터 유지기구에의 PTP시트의 전달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하 양 시트유지부 중, 일방의 시트유지부의 폭방향 중앙부의 위치를 센터라인에 맞추도록, 유지기구를 배치한 경우에는, 반전기구로부터 타방의 시트유지부에의 PTP시트의 전달이 곤란해짐과 함께, 유지기구로부터 이음반송기구에의 PTP시트(이음상태가 된 2매의 PTP시트조)의 전달을 적절히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이음반송기구는, 이음상태가 된 2매의 PTP시트조의 장수방향 중앙부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파지하게 되므로, 반송 도중이나 하류측의 기구에의 전달시에 있어서 PTP시트조의 자세가 무너지기 쉬워져, 그 후의 공정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문제는, 귀가 없는 PTP시트를 이음상태로 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귀가 있는 PTP시트를, 이부의 방향이 시트 장수방향에 대하여 같은 방향이 되도록 잇고, 시트 장수방향 가장자리부의 어긋남량이 비교적 커지는 경우 등에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PTP시트를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함에 있어서, PTP시트의 전달을 적절히 행할 수 있는 PTP시트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에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하여 항을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를 구비한 PTP시트를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로서,
PTP시트의 소정방향(예를 들면 장수방향)이 소정의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을 따른 상태로, 이 PTP시트를 전달가능한 전달수단과,
상기 포켓부가 위를 향한 상태의 제1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가장자리부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한 쌍의 하 시트유지부,
및,
상기 포켓부가 아래를 향한 상태의 제2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가장자리부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한 쌍의 상 시트유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1 PTP시트 및 상기 제2 PTP시트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대위치관계에서 유지가능하고 또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마련된 유지수단과,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상기 제1 PTP시트 및 상기 제2 PTP시트를 상기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수취하는 수취수단과,
상기 전달수단과 상기 유지수단의 사이, 또는, 상기 유지수단과 상기 수취수단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대상에 따라, 상기 경로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수단의 위치를 조정가능한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
여기서 「이음상태」란, 2매의 PTP시트를, 포켓부를 가지는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서로의 포켓부가 서로 부딪히지 않는 위치관계로(소정치수만큼 서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중첩한 상태를 말한다. 이에 따라, 일방의 PTP시트의 포켓부간의 공간 내에, 타방의 PTP시트의 포켓부가 들어간 상태가 된다. 즉, 2매의 PTP시트를 이음상태로 함으로써, 이 이음상태로 한 2매의 PTP시트조의 높이, 더 나아가, 이들을 소정 조수, 겹쳐 쌓은 집적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여, 컴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다.
상기 수단 1에 따르면, 2매의 PTP시트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대위치관계에서 유지가능하고 또한 경로폭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마련된 유지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전달수단과 유지수단의 사이, 또는, 유지수단과 수취수단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대상에 따라, 경로폭방향에 있어서의 유지수단의 위치를 조정가능한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달수단으로부터 유지수단으로 「포켓부가 위를 향한 상태의 제1 PTP시트」가 전달될 때에는, 이 「제1 PTP시트」를 하 시트유지부에 수용가능한 위치에, 유지수단의 위치조정이 행행진다.
마찬가지로, 전달수단으로부터 유지수단으로 「포켓부가 아래를 향한 상태의 제2 PTP시트」가 전달될 때에는, 이 「제2 PTP시트」를 상 시트유지부에 수용가능한 위치에, 유지수단의 위치조정이 행해진다.
또한, 유지수단으로부터 수취수단으로 「이음상태가 되는 상하 2매의 PTP시트」가 전달될 때에는, 이 「상하 2매의 PTP시트」의 적절한 위치를 수취수단이 파지 등 가능한 위치에, 유지수단이 위치조정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귀가 없는 PTP시트와 같이, 이음상태로 했을 때에 시트 소정방향 가장자리부의 어긋남량이 비교적 커지는 제품사양의 PTP시트를 유지할 수 있게 됨과 함께, 전달수단으로부터 유지수단으로의 PTP시트의 전달, 및, 유지수단으로부터 수취수단으로의 PTP시트의 전달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수단 2. 상기 전달수단은,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중앙부(예를 들면 장수방향 중앙부)가 상기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예를 들면 센터라인)에 위치한 상태로, 이 PTP시트를 전달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전달수단과 상기 유지수단의 사이, 또는, 상기 유지수단과 상기 수취수단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대상에 따라, 이 대상의 상기 소정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경로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수단의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PTP시트 이음장치.
상기 수단 2에 따르면, 예를 들면 전달수단으로부터 유지수단으로 「포켓부가 위를 향한 상태의 제1 PTP시트」가 전달될 때에는, 한 쌍의 하 시트유지부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가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제1 PTP시트」의 소정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유지수단의 위치조정이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전달수단으로부터 유지수단으로 「포켓부가 아래를 향한 상태의 제2 PTP시트」가 전달될 때에는, 한 쌍의 상 시트유지부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가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제2 PTP시트」의 소정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유지수단의 위치조정이 행해진다.
또한, 유지수단으로부터 수취수단으로 「이음상태가 되는 상하 2매의 PTP시트」가 전달될 때에는, 이 「상하 2매의 PTP시트」의 소정방향의 중앙부를, 수취수단이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수취가능한 위치에, 유지수단이 위치조정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귀가 없는 PTP시트와 같이, 이음상태로 했을 때에 시트 소정방향 가장자리부의 어긋남량이 비교적 커지는 제품 사양의 PTP시트여도, 그 소정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서, 이 소정방향 중앙부를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센터라인)에 위치맞춤한 상태로 전달수단, 유지수단 및 수취수단에 있어서 파지하거나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각 수단간에 있어서의 PTP시트의 전달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수단 3.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를 구비한 PTP시트를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로서,
PTP시트의 소정방향의 중앙부(예를 들면 시트 장수방향의 중앙부)가 소정의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예를 들면 센터라인)에 위치한 상태로, 이 PTP시트를 전달가능한 전달수단과,
상기 포켓부가 위를 향한 상태의 제1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가장자리부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한 쌍의 하 시트유지부,
및,
상기 포켓부가 아래를 향한 상태의 제2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가장자리부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한 쌍의 상 시트유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1 PTP시트 및 상기 제2 PTP시트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대위치관계에서 유지가능하고 또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마련된 유지수단과,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상기 제1 PTP시트 및 상기 제2 PTP시트를 상기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수취하는 수취수단과,
상기 경로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수단의 위치를 조정가능한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PTP시트를 상기 유지수단에 전달할 때에, 상기 한 쌍의 하 시트유지부간의 상기 경로폭방향의 중앙부를 상기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맞춤하는 제1 위치맞춤제어와,
상기 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PTP시트를 상기 유지수단에 전달할 때에, 상기 한 쌍의 상 시트유지부간의 상기 경로폭방향의 중앙부를 상기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맞춤하는 제2 위치맞춤제어와,
상기 유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취수단에 상기 제1 PTP시트 및 상기 제2 PTP시트로 이루어지는 2매 1조의 PTP시트가 수취될 때에, 이 2매 1조의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중앙부를 상기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맞춤하는 제3 위치맞춤제어를 실행가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
상기 수단 3에 따르면, 상기 수단 1, 2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수단 4.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상기 시트반송경로가 복수 병설되고,
상기 복수의 시트반송경로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 상기 유지수단 및 상기 수취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시트반송경로에 따른 상기 복수의 유지수단의 위치를 동시에 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PTP시트 이음장치.
상기 수단 4에 따르면, 복수의 반송경로를 마련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그 제어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수단 5. 상기 PTP시트는, 상기 소정방향의 양 가장자리부 중의 일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소정방향으로 최단거리에 있는 상기 포켓부까지의 거리와, 타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소정방향으로 최단거리에 있는 상기 포켓부까지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PTP시트 이음장치.
상기 수단 5에 따르면, 이부를 가지지 않는 귀가 없는 PTP시트가 작업대상이 되기 때문에, 수단 1 내지 4의 작용 효과가 보다 성공하게 된다.
도 1의 (a)는 PTP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PTP시트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이음상태에 있는 PTP시트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이음상태에 있는 PTP시트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집적기구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모식도이다.
도 4는 반전장치를 나타내는 일부파단측면도이다.
도 5는 반전장치를 나타내는 일부파단평면도이다.
도 6은 반전장치의 반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홀더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PTP시트가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홀더편을 나타내는 부분측면도이며, (b)는 PTP시트가 유지된 상태의 홀더편을 나타내는 부분측면도이다.
도 9는 홀더 및 홀더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일부파단정면도이다.
도 10은 이음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모식도이다.
도 11은 시트 세트부 및 세트부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일부파단정면도이다.
도 12는 척이송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캠 및 캠 팔로워 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캠의 프로필 및 각종 레버의 동작 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5의 (a)는, 제1 위치에 위치결정된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모식도이며, (b)는, 이 홀더에 유지된 PTP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모식도이다.
도 16의 (a)는, 제2 위치에 위치결정된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모식도이며, (b)는, 이 홀더에 유지된 2매의 PTP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모식도이다.
도 17의 (a)는, 제3 위치에 위치결정된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모식도이며, (b)는, 이 홀더에 유지된 2매의 PTP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모식도이다.
도 18은 척장치의 파지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모식도이다.
도 19는 홀더의 개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모식도이다.
도 20은 홀더의 접근동작 및 척장치의 반송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모식도이다.
이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작업대상이 되는 PTP시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TP시트(1)는, 복수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필름(3)과, 포켓부(2)를 막도록 하여 용기필름(3)에 취착된 커버필름(4)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필름(3)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나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투명의 열가소성 수지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필름(4)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란트가 표면에 마련된 불투명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PTP시트(1)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장수방향(장변방향)을 따라 배열된 5개의 포켓부(2)로 이루어지는 포켓열이, 그 단수방향(단변방향)으로 2열 형성되어 있다. 즉, 총 10개의 포켓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포켓부(2)에는, 내용물로서 정제(5)가 1개씩 수용되어 있다.
이하, PTP시트(1)에 대하여 설명할 때에는, 편의상, PTP시트(1)의 단수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장수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표리방향을 「z방향」으로 한 좌표계를 기초로 설명한다(후술하는 PTP시트조(1, 1)에 대해서도 동일함).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필름(3)에는, PTP시트(1)를 2개의 포켓부(2)가 포함되는 페어 소편으로 잘라낼 수 있도록, 시트 단수방향(x방향)을 따른 복수의 절리용 슬릿(3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TP시트(1)는, 시트 장수방향(y방향)의 양 가장자리부 중의 일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시트 장수방향(y방향)으로 최단거리에 있는 포켓부(2)까지의 거리와, 타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시트 장수방향(y방향)으로 최단거리에 있는 포켓부(2)까지의 거리가 대략 동일해진, 이른바 이부를 가지지 않는 귀가 없는 PTP시트이다.
PTP시트(1)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블리스터 포장기(도시 생략)에 있어서, 용기필름(3)에 포켓부(2)를 성형하는 포켓성형공정, 포켓부(2)에 정제(5)를 충전하는 충전공정, 포켓부(2)를 막도록 용기필름(3)에 대하여 커버필름(4)을 취착하는 커버필름 취착공정, 절리용 슬릿(3a)을 형성하는 슬릿형성공정, 시트상으로 타발하는 타발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PTP시트(1)는, 상기 블리스터 포장기의 하류측에 마련된 집적기구(7)(도 3 참조)에 있어서, 포켓부(2)를 가지는 표면측(용기필름(3)측)이 서로 마주하도록 2매 1조의 이음상태〔도 2(a), (b) 참조〕가 된 다음에, 소정 조수(예를 들면 5조 10매)씩 겹쳐 쌓인 후, 필로우 포장이나 밴드결속 등을 행하는 포장공정으로 보내지게 된다.
도 2(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음상태가 된 2매의 PTP시트(1)는, 서로의 포켓부(2)가 서로 부딪히지 않는 위치관계, 즉 서로의 포켓부(2)의 위치가 시트장수방향(y방향) 및 시트 단수방향(x방향)에 대하여 소정 치수씩 어긋난 소정의 상대위치관계로 겹쳐져 있다. 이하, 이음상태가 된 2매의 PTP시트(1)를 「PTP시트조(1, 1)」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PTP시트조(1, 1)는, 이음상태가 된 2매의 PTP시트(1)의 장수방향(y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가 소정 치수(Δy) 어긋난 상태가 됨과 함께, 양 PTP시트(1)의 단수방향(x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가 소정 치수(Δ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집적기구(7)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집적기구(7)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집적기구(7)에 대하여 설명할 때에는, 편의상, 시트반송방향 즉 집적기구(7)의 전후방향(도 3의 지면 좌우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집적기구(7)의 좌우폭방향(도 3의 지면 전후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연직 방향(도 3의 지면 상하방향)을 「Z방향」으로 한 좌표계를 기초로 설명한다. 물론, PTP시트(1)를 설명하기 위한 좌표계(x, y, z)와, 집적기구(7)를 설명하기 위한 좌표계(X, Y, Z)는 상이한 좌표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블리스터 포장기는, 완성한 PTP시트(1)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좌우(Y방향)로 2개 병설된 것이며, 동시에 2개의 PTP시트(1)를 배출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집적기구(7)는, PTP시트(1)를 반송하는 시트반송경로(이하, 「반송레인」이라고 한다)가 좌우(Y방향)로 2개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도 3의 지면안쪽의 반송레인을 「반송레인(8L)」으로 하고, 지면앞쪽의 반송레인을 「반송레인(8R)」으로 한다(도 9 등 참조).
집적기구(7)에는, 각 반송레인(8L, 8R)에 있어서 각각, 반전장치(11), 이음반송장치(12) 및 적상장치(13)가 마련되어 있다(도 3 참조). 「반전장치(11)」 및 「이음반송장치(12)」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TP시트 이음장치」가 구성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나, 집적기구(7)에는, 반전장치(11), 이음반송장치(12) 및 적상장치(13)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제어수단)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연산수단으로서의 CPU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연산 데이터나 입출력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블리스터 포장기의 각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PTP시트(1)는, 순차 일정한 방향으로 향해진 상태(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켓부(2)가 아래를 향한 상태)로 전달위치(P1)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전달위치(P1)에 있어서, 클로우(10a) 및 로드(10b)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이송기구(10)에 의해 1매씩 반전장치(11)로 보내진다.
반전장치(11)는, 전달위치(P1)에 있어서 PTP시트(1)를 수취하고, 이들을 1매 걸러 표리 반전하면서 전달위치(P2)에 선회반송하는 기구이다.
여기서 반전장치(11)에 대하여 도 4~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반전장치(11)을 나타내는 일부파단측면도이며, 도 5는 반전장치(11)를 나타내는 일부파단평면도이며, 도 6은 반전장치(11)의 반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한편, 각 반송레인(8L, 8R)에 대응하여 마련된 2개의 반전장치(11)는 동일구조를 갖고 또한 동기하여 동일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 특히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1개의 반전장치(11)로서 설명한다.
도 4,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장치(11)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14)과, 구동축(14)에 부착되고, 키(15)에 의해 구동축(14)과 함께 회전하도록 지지된 하우징(16)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14)은 간헐구동기구(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어 소정의 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90도)마다 간헐적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6)에는 구동축(14)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베어링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구멍(17) 내에는 회전축(18)이 삽통되어 있다. 회전축(18)은 하우징(16)에 베어링기구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6)에는, 회전축(18)에 직교하도록 하여 고정축(19)이 입설고정되어 있다.
고정축(19) 및 회전축(18)의 외측단에는 PTP시트(1)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수단으로서의 클램프장치(21)가 부착되어 있다. 즉, 클램프장치(21)는, 하우징(16)에 대해 고정된 제1 파지수단으로서의 고정 클램프장치(21A)와, 하우징(16)에 대해 자전가능하게 마련된 제2 파지수단으로서의 가동 클램프장치(21B)로 이루어진다.
클램프장치(21(21A, 21B))는, 고정축(19) 및 회전축(18)에 고정된 본체(22)와, 이 본체(22)에 고정된 판상의 고정클로우(23)와, 본체(22)에 대해 각 축(18, 19)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가동클로우(24)와, 이 가동클로우(24)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기구(25)를 가지고 있다.
통상, 가동클로우(24)는, 슬라이드기구(25)에 마련된 스프링 등에 의해 고정클로우(23)측에 부세되어 있다. 한편, 소정의 클램프장치(21)가 전달위치(P1)를 향한 상태가 되고, 구동축(14)이 간헐정지되면, 이 클램프장치(21)의 슬라이드기구(25)가 작동하여, 가동클로우(24)는 스프링 등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고정클로우(23)로부터 이간한다.
이에 연동하여, 시트이송기구(10)(도 3 참조)가 작동하고, 클램프장치(21)에 PTP시트(1)가 전달되면, 이 PTP시트(1)는 포켓부(2)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양 클로우(23, 24)간에 삽입된다.
그리고, PTP시트(1)의 전달이 완료되면, 슬라이드기구(25)의 작동이 정지하고, 가동클로우(24)는 다시 스프링 등의 부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에 따라, PTP시트(1)는 양 클로우(23, 24)간에 파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회전축(18)의 하우징(16)측의 단부에는 베벨기어(26)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베벨기어(26)는, 구동축(1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베벨기어(27)와 서로 맞물려 있다(도 6 참조). 베벨기어(27)에는 평기어(28)가 감합 고정되어 있고, 그 평기어(28)는 베벨기어(27)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평기어(28)는 공지의 브레이크 기구를 갖는 연결기구(도시생략)에 접속되고, 그 연결기구를 개재하여 정지유지되거나, 또는, 구동축(14)과 동일방향으로 동일속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하, 베벨기어(27) 및 평기어(28)를 연결기구에 의해 정지유지한 상태로부터, 구동축(14)을 도 4에 있어서 시계회전방향으로 90도씩 간헐회전시키면, 하우징(16)도 그와 함께 간헐회전한다. 따라서, 클램프장치(21)는 구동축(14)의 축선둘레로 간헐적으로 선회한다.
이 때, 회전축(18)에 관해서는, 베벨기어(27, 26)의 작용에 의해 구동축(14)의 둘레로 선회하면서, 자신의 축선둘레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회전축(18)에 마련된 가동 클램프장치(21B)나, 회전축(18)의 축선둘레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6)이 구동축(14)의 축선둘레로 180도 회전하는 동안에, 가동 클램프장치(21B)는 회전축(18)의 축선둘레로 180도 회전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클램프장치(21B)가 전달위치(P1)로부터 구동축(14)의 축선둘레로 180도 선회한 전달위치(P2)에 도달하면, 가동 클램프장치(21B)는 회전축(18)의 축선둘레로 180도 회전한 상태가 된다(도 4, 5 참조).
이에 따라, 가동 클램프장치(21B)에 클램프된 PTP시트(1)는, 표리면이 반전되지 않고 포켓부(2)가 아래를 향한 상태인 채로, 또한, 시트 장수방향(y방향)의 방향이 180도 반전한 상태가 된다.
한편, 고정 클램프장치(21A)는, 고정축(19)의 축선둘레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전달위치(P2)에 도달했을 때, 거기에 클램프된 PTP시트(1)는, 시트 장수방향(y방향)의 방향이 변화하지 않고, 또한, 표리면이 반전되어 포켓부(2)가 위를 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전달위치(P2)에서는, 고정 클램프장치(21A) 및 가동 클램프장치(21B)로부터 교호로 PTP시트(1)를 수취함으로써, 1매 걸러 표리 반전한 PTP시트(1)를 순차 수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클램프장치(21A)가 전달위치(P2)에 정지했을 때에, 이 고정 클램프장치(21A)에 파지된 PTP시트(1)가 정지하는 높이위치와, 가동 클램프장치(21B)가 전달위치(P2)에 정지했을 때에, 이 가동 클램프장치(21B)에 파지된 PTP시트(1)가 정지하는 높이위치가 상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클램프장치(21A)에 파지된 PTP시트(1)가 보다 하방위치에 정지하고, 가동 클램프장치(21B)에 파지된 PTP시트(1)가 보다 상방위치에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이음반송장치(1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반송레인(8L, 8R)에 대응하여 마련된 2개의 이음반송장치(12)는 동일 구조를 갖고 또한 동기하여 동일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 특히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1개의 이음반송장치(12)로서 설명한다.
이음반송장치(12)는, 전달위치(P2)에 있어서 1매 걸러 표리반전되면서 전달되는 PTP시트(1)를 수취하고, 전달위치(P3)에 있어서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한 다음에 전달위치(P4)로 선회반송하는 기구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음반송장치(12)는, PTP시트(1)를 2매, 상하 2단으로 유지가능한 유지용 슬릿(31, 32)(도 7 등 참조)을 가지는 홀더(33)와, 유지용 슬릿(31, 32)의 소정의 세트위치(전달위치(P3))에 대하여 각각 PTP시트(1)를 세트하기 위한 시트 세트부(34)와, 홀더(33)로 유지 세트되어 있는 상하 2매의 PTP시트(1)를 파지하고, 소정의 이음상태로 한 다음에 전달위치(P4)로 선회반송하기 위한 척이송기구(35)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주로 「반전장치(11)」 및 「시트 세트부(34)」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달수단」이 구성되고, 「홀더(33)」에 의해 「유지수단」이 구성되고, 「척이송기구(35)」에 의해 「수취수단」이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홀더(33)에 대하여 도 7~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홀더(33)(한 쌍의 유지편(36L, 36R))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8(a)는, PTP시트(1)가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유지편(36L)을 나타내는 부분내측면도이며, 도 8(b)는 PTP시트(1)가 유지된 상태의 유지편(36L)을 나타내는 부분내측면도이다. 도 9는, 홀더(33) 및 이것을 구동하는 홀더구동기구(38)를 나타내는 일부파단정면도이다.
홀더(33)는, 레인폭방향(Y방향)으로 상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유지편(36L, 36R)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유지편(36L, 36R)의 내측면(대향면)에는, 각각 상하방향(Z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상 유지용 슬릿(31) 및 하 유지용 슬릿(3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상 유지용 슬릿(31)」이 「상 시트유지부」에 상당하고, 「하 유지용 슬릿(32)」이 「하 시트유지부」에 상당한다.
단, 일방의 유지편(36L)에 있어서는, 그 내측면 일반부로부터 레인폭방향(Y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시트반송방향(X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조부(37L)에 상기 하 유지용 슬릿(32)이 형성됨과 함께, 내측면 일반부에 상기 상 유지용 슬릿(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유지편(36R)에 있어서는, 그 내측면 일반부로부터 레인폭방향(Y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시트반송방향(X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조부(37R)에 상기 상 유지용 슬릿(31)이 형성됨과 함께, 내측면 일반부에 상기 하 유지용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유지편(36L, 36R)에 있어서의 상 유지용 슬릿(31) 및 하 유지용 슬릿(32)은, 각각 레인폭방향(Y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유지용 슬릿(31, 32)에 세트되는 2매의 PTP시트(1)의 장수방향(y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가 상기 소정 치수(Δy)(PTP시트조(1, 1)의 장수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량(Δy))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유지용 슬릿(31, 32)은, PTP시트(1)의 장수방향(y방향)의 가장자리부를 삽입 가능하고 또한 PTP시트(1)를 시트반송방향(X방향)을 따라 안내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반송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상으로 형성된 단면 ㄷ자형의 홈형상을 이룬다.
단, 유지용 슬릿(31, 32)은, 그 슬릿 장수방향(X방향) 중간 부분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PTP시트(1)의 과이송이 규제되고, 소정의 세트위치(전달위치(P3))에 대하여 PTP시트(1)가 적절히 세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유지용 슬릿(31, 32)에 형성된 만곡부는, 각각 슬릿 장수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유지용 슬릿(31, 32)에 세트되는 2매의 PTP시트(1)의 단수방향(x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가 상기 소정 치수(Δ(PTP시트조(1, 1)의 단수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량(Δx))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지용 슬릿(31, 32)의 입구측(도 7, 8 좌측)은 개구가 커지도록 테이퍼형상으로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전장치(11)의 클램프장치(21(21A, 21B))로부터 밀려 나오는 PTP시트(1)를 원활하고 확실히 유지용 슬릿(31, 32) 내에 안내할 수 있다.
상 유지용 슬릿(31)은, 가동 클램프장치(21B)가 전달위치(P2)에 정지했을 때에, 이 가동 클램프장치(21B)에 파지된 PTP시트(1)가 정지하는 높이위치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한편, 하 유지용 슬릿(32)은, 고정 클램프장치(21A)가 전달위치(P2)에 정지했을 때에, 이 고정 클램프장치(21A)에 파지된 PTP시트(1)가 정지하는 높이 위치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 유지용 슬릿(31)에 대하여, 포켓부(2)를 아래로 향한 PTP시트(1)가 안내되고, 하 유지용 슬릿(32)에 대하여, 포켓부(2)를 위로 향한 PTP시트(1)가 안내되게 된다.
다음에 홀더(33)(유지편(36L, 36R))를 구동하는 홀더 구동기구(38)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홀더 구동기구(38)는, 각 반송레인(8L, 8R)에 대응하여 마련된 2개의 홀더(33)를 동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홀더 구동기구(38)」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위치조정수단」을 구성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구동기구(38)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입설 고정된 한 쌍의 브라켓(41, 42)과, 양 브라켓(41, 42)간을 연결하는 지지 플레이트(43)를 구비하고 있다.
일방의 브라켓(41)에는, 서보모터(44L)가 장착되어 있다. 서보모터(44L)에는, 볼나사(45L)의 일단측(도 9의 Y방향 좌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볼나사(45L)의 타단측(도 9의 Y방향 우측)에는, 나사부(46L)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46L)에는 볼너트(48L)가 나합되어 있다. 볼너트(48L)에는 반송레인(8L)측의 유지편(36L)이 연결됨과 함께, 연결 바(51L)를 개재하여 반송레인(8R)측의 유지편(36L)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바(51L)는, 레인폭방향(Y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타방의 브라켓(42)에는, 서보모터(44R)가 장착되어 있다. 서보모터(44R)에는, 볼나사(45R)의 일단측(도 9의 Y방향 우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볼나사(45R)의 타단측(도 9의 Y방향 좌측)에는, 나사부(46R)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46R)에는 볼너트(48R)가 나합되어 있다. 볼너트(48R)에는 반송레인(8R)측의 유지편(36R)이 연결됨과 함께, 연결 바(51R)를 개재하여 반송레인(8L)측의 유지편(36R)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바(51R)는, 레인폭방향(Y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하, 서보모터(44L, 44R)가 구동되어 볼나사(45L, 45R)가 정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한 쌍의 볼너트(48L, 48R)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각 반송레인(8L, 8R)에 있어서, 쌍이 되는 유지편(36L, 36R)이 서로 닫는(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PTP시트(1)를 유지용 슬릿(31, 32)으로 유지가능해진다(도 9 참조).
한편, 서보모터(44L, 44R)가 구동되어 볼나사(45L, 45R)가 역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한 쌍의 볼너트(48L, 48R)가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각 반송레인(8L, 8R)에 있어서, 쌍이 되는 유지편(36L, 36R)이 서로 여는(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PTP시트(1)의 유지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반송레인(8L, 8R)에 있어서, 쌍이 되는 유지편(36L, 36R)이 소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레인폭방향(Y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제어를 실행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유지용 슬릿(31, 32)에 대해 PTP시트(1)를 수용하는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시트 세트부(34) 및 이것을 구동하는 세트부 구동기구(50)에 대하여 도 10,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이음반송장치(12)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모식도이다. 도 11은, 시트 세트부(34) 및 세트부 구동기구(50)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시트 세트부(34)는, 전달위치(P2)에 있어서 반전장치(11)의 클램프장치(21(21A, 21B))에 유지되어 있는 PTP시트(1)를 이 클램프장치(21)로부터 밀어내고, 홀더(33)의 유지용 슬릿(31, 32)의 소정의 세트위치(전달위치 P3)에 대해 각각 PTP시트(1)를 세트하기 위한 것이다.
세트부 구동기구(50)는, 각 반송레인(8L, 8R)에 대응하여 마련된 2개의 시트 세트부(34)를 동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트부 구동기구(50)는, 한 쌍의 벽부(53, 54)에 베어링기구(부호생략)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55)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55)의 일단부(도 11의 Y방향 우단부)에는 풀리(5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풀리(56)가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구동 수단에 의해 소정 속도(예를 들면 1분간 200회전)로 회전함으로써, 구동축(55)도 동일 속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축(55) 중, 벽부(53, 54)로 낀 부분에는, 상부 칼라(57)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부 칼라(57)에는, 한 쌍의 브라켓(58)이 수하되어 있다. 브라켓(58)의 하단에는 하부 칼라(59)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칼라(59) 내에는 종동축(61)이 베어링기구(부호생략)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종동축(61)의 일단부(도 11의 Y방향 우단부)에는 풀리(6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풀리(62)에 텐션 풀리(60)를 개재하여, 구동축(55)측의 풀리(56)의 회전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동축(61)은 구동축(55)과 동일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구동축(55)의 타단부(도 11의 Y방향 좌단부)에는 블록(63)이 마련되어 있다. 블록(63)의 선단측에 마련된 삽통구멍에는, 베어링기구(부호생략)를 개재하여 슬라이드축(64)이 삽통되어 있다.
슬라이드축(64)의 선단에는, 슬라이드 베어링기구(부호생략)를 개재하여 로드(65)가 지지되어 있다. 로드(65)는, 상기 슬라이드 베어링기구에 의해, 슬라이드축(64)에 대해 상하방향(Z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축(64)의 축심은 구동축(55)의 축심에 대해 편심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55)이 회전하면, 슬라이드축(64)이 구동축(55)의 축심을 중심으로서 선회하고, 로드(65)가 요동하게 된다.
한편, 종동축(61)의 타단부(도 11의 Y방향 좌단부)에는, 그 축심과는 편심한 위치에 편심축(66)이 마련되어 있다. 이 편심축(66)의 주위에는 베어링기구(부호생략)를 개재하여 블록(67)이 마련되어 있다.
블록(67)에는, 로드(65)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동축(61)이 회전하면, 편심축(66)이 종동축(61)의 축심을 중심으로서 선회하고, 로드(65)의 하단부가 움직이게 된다.
로드(65)의 상단에는, 암(68)이 고정되어 있다. 암(68)의 상면에는, PTP시트(1)를 홀더(33)에 보내기 위한 상기 시트 세트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시트 세트부(34)는, 병렬상태로 입설고정된 한 쌍의 클로우부(6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하, 시트 세트부(34)(한 쌍의 클로우부(69))가 소정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클램프장치(21(21A, 21B))에 파지되어 있던 PTP시트(1)가 홀더(33)의 유지용 슬릿(31, 32)에 이송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축(55)과 슬라이드축(64)의 편심량에 기초하여 클로우부(69)의 선단의 전후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량(전후 스트로크)이 주로 결정되고, 종동축(61)과 편심축(66)의 편심량에 기초하여 클로우부(69)의 선단의 상하방향(Z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량(상하 스트로크)이 주로 결정되게 되어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 유지용 슬릿(31)에 PTP시트(1)를 안내하는 경우와, 하 유지용 슬릿(32)에 PTP시트(1)를 안내하는 경우는, 클로우부(69)의 동작이 상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로우부(69)의 선단의 전후 스트로크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55)의 절반의 속도(예를 들면 1분간 100회전)로 회전하는 회전축(71)이 별도 마련됨과 함께, 이 회전축(71)의 축심으로부터 약간의 편심량(H)만큼 편심한 위치에 기단부가 지지된 레버(72)가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이 레버(72)의 선단이 종동축(61)측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소정의 사이클에 있어서, 클로우부(69)가 전진단(도 10의 X방향 우단)에 있을 때, 레버(72)의 편심(회전축(71)의 축심에 대한 레버(72)의 지지점의 위치)이 도 10의 X방향 좌측으로 오도록 설정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클로우부(69)는 회전축(71)의 2배의 속도로 회전(요동)동작하기 때문에, 차회의 사이클에 있어서 클로우부(69)가 전진단에 올 때, 레버(72)의 편심은 도 10의 X방향 우측으로 오게 된다.
즉, 소정의 사이클에 있어서의 클로우부(69)의 전진단 위치와, 그 다음의 사이클에 있어서의 클로우부(69)의 전진단 위치에서는, 편심량(H)의 2배의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 유지용 슬릿(31)에 안내되는 PTP시트(1)가, 하 유지용 슬릿(32)에 안내되는 PTP시트(1)보다 전진한 위치까지 이송되고 세트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유지용 슬릿(31, 32)에 세트되는 2매의 PTP시트(1)의 단수방향(x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가 상기 소정 치수(Δ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레버(72)의 편심을 적당히 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사이클에 있어서, 클로우부(69)가 전진단(도 10의 X방향 우단)에 있을 때, 레버(72)의 편심이 도 10의 하측에 오도록 설정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클로우부(69)는 회전축(71)의 2배의 속도로 회전(요동)동작하기 때문에, 차회의 사이클에 있어서 클로우부(69)가 전진단에 올 때, 레버(72)의 편심은 도 10의 상측에 오게 된다.
즉, 소정의 사이클에 있어서의 클로우부(69)의 전진단 위치와, 그 다음의 사이클에 있어서의 클로우부(69)의 전진단 위치가 거의 동일한 위치가 되어, 이송량에 거의 차이가 없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72)의 편심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PTP시트의 종별의 차이 등, 그 때마다의 니즈에 따라, 상 유지용 슬릿(31)에 안내되는 PTP시트(1)의 상측 세트위치와, 하 유지용 슬릿(32)에 안내되는 PTP시트(1)의 하측 세트위치의 상대위치관계를 적당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척이송기구(35)에 대하여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척이송기구(35)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캠(81) 및 캠 팔로워(84) 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4는, 캠(81)의 프로필 및 레버(83, 85)의 동작 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척이송기구(35)는, 홀더(33)의 세트위치(전달위치(P3))에 세트된 상하 2매의 PTP시트(1)를 파지하여 이음상태로 함과 함께, 이 이음상태가 된 PTP시트조(1, 1)를 전달위치(P4)에 선회 반송하기 위한 기구이다.
한편, 각 반송레인(8L, 8R)에 대응하여 마련된 2개의 척이송기구(35)는 동일 구조를 갖고 또한 동기하여 동일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 특히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1개의 척이송기구(35)로서 설명한다.
척이송기구(35)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73)과, 이 구동축(73)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인덱스(74)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73)은 간헐구동기구(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고,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90도)마다 간헐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덱스(74)에는, 구동축(73)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고정클로우(75)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인덱스(74)에는 슬라이드대(76)가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대(76)에는 가동클로우(7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고정클로우(75) 및 가동클로우(77)에 의해, PTP시트(1)를 파지하는 척장치(78)가 구성된다.
가동클로우(77)은, 자신 및 고정클로우(75) 사이에 마련된 코일 스프링(79)의 인장력에 의해, 보통은 척장치(78)가 닫히는 방향(고정클로우(7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인장되어 있다.
게다가, 척이송기구(35)에는, 가동클로우(77)를 적당히 개폐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캠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이 캠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축(73)에는, 베어링기구(도시생략)를 개재하여 캠(81)이 마련되어 있다. 인덱스(74)에는, 가동클로우(77)에 대응하도록 하여 4개소에 회전축(82)이 마련되어 있다. 각 회전축(82)은, 구동축(73)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회전축(82)에는 제1 레버(83)가 부착되어 있다. 제1 레버(83)의 선단에는 캠(81)에 당접하는 캠 팔로워(8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82)에는 제2 레버(85)가 부착되어 있다. 제2 레버(85)의 선단부 근방에는, 가동클로우(77)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86)가 당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캠 팔로워(84)가 캠(81)의 돌출부분(캡노즈)에 얹혀진 경우에는, 제1 레버(83) 및 회동축(82)이 회동변위하여, 제2 레버(85)가 회동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레버(85)에 의해 돌출부(86)가 밀리고, 가동클로우(77)가 코일 스프링(79)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열림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한편, 캠(81)은, 구동축(73)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척장치(78)가 전달위치(P4)(도 14의 우측위치)를 통과한 근처부터, 캠 팔로워(84)가 캠(81)의 돌출부분에 얹혀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하단위치를 통과한 근처부터 가동클로우(77)의 열림량(W)이 증대하기 시작한다.
그 후, 척장치(78)가 전달위치(P3)(도 14의 좌방위치)에 이르는 동안에, 가동클로우(77)의 열림량(W)이 최대가 된다. 나아가 그 후, 가동클로우(77)는 급격하게 닫기 시작하고, PTP시트(1)를 파지 가능해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이송기구(35)로부터 적상장치(13)에 PTP시트(1)를 전달하는 전달위치(P4)에 있어서는, 시트이송기구(92)가 마련되어 있다. 시트이송기구(92)는, 로드(93) 및 클로우부(9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척이송기구(35)의 동작에 연동하여, 클로우부(94)가 소정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척장치(78)에 파지된 PTP시트조(1, 1)가 적상장치(13)에 이송되게 된다.
한편, 각 반송레인(8L, 8R)에 대응하여 마련된 2개의 적상장치(13)는 동일 구조를 갖고 또한 동기하여 동일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 특히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1개의 적상장치(13)로서 설명한다.
적상장치(13)는, 이음상태가 된 PTP시트조(1, 1)를 소정 조수(예를 들면 5조 10매)씩 적상하는 적상기구(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순차 반송되어 오는 PTP시트조(1, 1)를 소정 조수씩 집적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음에 집적기구(7)의 각 반송레인(8L, 8R)에 있어서, PTP시트(1)를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한 다음에 소정 조수씩 겹쳐 쌓는 순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리스터 포장기로부터 전달위치(P1)까지 반송되어 온 PTP시트(1)는, 시트이송기구(10)에 의해, 반전장치(11)의 클램프장치(21(21A, 21B))에 대하여 포켓부(2)가 아래를 향한 상태로 1매씩 순차 전달된다. 그리고, 반전장치(11)는, 이들을 1매 걸러 표리 반전하면서 전달위치(P2)에 선회 반송한다.
한편, 클램프장치(21(21A, 21B))는, 자신의 레인폭방향 중앙부가 각 반송레인(8L, 8R)의 레인폭방향 중앙부에 해당하는 센터라인(C0)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클램프장치(21(21A, 21B))는, 자신의 레인폭방향 중앙부와 PTP시트(1)의 장수방향 중앙부가 겹치도록, 이 PTP시트(1)를 파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달위치(P1, P2)에 있어서는, 클램프장치(21)에 파지된 PTP시트(1)의 장수방향 중앙부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도 5 참조).
전달위치(P2)에는, 우선 고정 클램프장치(21A)에 의해, 포켓부(2)가 위를 향한 상태의 PTP시트(1)가 반송되어 온다.
이에 맞추어, 이음반송장치(12)에 있어서는, 홀더 구동기구(38)를 구동 제어하여, 소정의 기준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홀더(33)를 레인폭방향의 제1 위치에 이동시킨다. 한편, 홀더(33)(한 쌍의 유지편(36L, 36R))가 기준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상 유지용 슬릿(31, 31)간 및 한 쌍의 하 유지용 슬릿(32, 32)간의 간격이 각각 PTP시트(1)의 장수방향의 길이(V)에 대응한 소정간격(V)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33)(한 쌍의 유지편(36L, 36R))가 기준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소정간격(V)을 유지하면서, 양 유지편(36L, 36R)이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 제어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위치맞춤제어에 상당한다.
이러한 제어가 완료되면, 한 쌍의 하 유지용 슬릿(32, 32)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C1)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맞춤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고정 클램프장치(21A)에 의해 전달위치(P2)에 PTP시트(1)가 반송되어 오면, 시트 세트부(34)(한 쌍의 클로우부(69))에 의해, 고정 클램프장치(21A)로부터 PTP시트(1)가 밀려 나와, 한 쌍의 하 유지용 슬릿(32, 32)사이에 유도된다.
이 때, 도 15(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클램프장치(21A)로부터 이송되는 PTP시트(1)의 장수방향 중앙부(D1)와, 한 쌍의 하 유지용 슬릿(32, 32)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C1)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맞춤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세트부(34)에 의해 밀린 PTP시트(1)는, 그 장수방향(y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하 유지용 슬릿(32)에 지지되면서, 소정의 하측 세트위치(전달위치(P3))까지 이송되어 세트된다〔도 8(b) 참조〕.
계속해서, 전달위치(P2)에는, 가동 클램프장치(21B)에 의해, 포켓부(2)가 아래를 향한 상태의 PTP시트(1)가 반송되어 온다.
이에 맞추어, 이음반송장치(12)에 있어서는, 홀더 구동기구(38)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홀더(33)를 레인폭방향의 제2 위치에 소정 치수(Δy)(PTP시트조(1, 1)의 장수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량Δy)만큼 이동시킨다. 한편, 홀더(33)(한 쌍의 유지편(36L, 36R))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한 쌍의 상 유지용 슬릿(31, 31)간 및 한 쌍의 하 유지용 슬릿(32, 32)간이 상기 소정간격(V)을 유지하면서, 양 유지편(36L, 36R)이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 제어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위치맞춤제어에 상당한다.
이러한 제어가 완료되면, 한 쌍의 상 유지용 슬릿(31, 31)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C2)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맞춤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동 클램프장치(21B)에 의해 전달위치(P2)에 PTP시트(1)가 반송되어 오면, 시트 세트부(34)(한 쌍의 클로우부(69))에 의해, 가동 클램프장치(21B)로부터 PTP시트(1)가 밀려 나와, 한 쌍의 상 유지용 슬릿(31, 31)사이에 유도된다.
이 때, 도 16(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클램프장치(21B)로부터 이송되는 PTP시트(1)의 장수방향 중앙부(D2)와, 한 쌍의 상 유지용 슬릿(31, 31)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C2)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맞춤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세트부(34)에 의해 밀린 PTP시트(1)는, 그 장수방향(y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상 유지용 슬릿(31)에 지지되면서, 소정의 상측 세트위치(전달위치(P3))까지 이송되어, 세트된다〔도 8(b) 참조〕.
한편, 상 유지용 슬릿(31)에 PTP시트(1)를 안내하는 경우와, 하 유지용 슬릿(32)에 PTP시트(1)를 안내하는 경우는, 시트 세트부(34)의 전후 스트로크가 상이하므로, 상 유지용 슬릿(31)에 안내되는 PTP시트(1)가, 하 유지용 슬릿(32)에 안내되는 PTP시트(1)보다 전진한 위치까지 보내진다.
게다가, 유지용 슬릿(31, 32)의 중간부분은, PTP시트(1)의 컬방향과는 역방향인 만곡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만곡부분이 저항이 되어, PTP시트(1)의 통과가 억제된다. 이로 인해, 당초 예정된 위치에서 적절히 PTP시트(1)를 정지,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 2매의 PTP시트(1)는, 서로 포켓부(2)를 마주한 상태가 됨과 함께, 시트 장수방향(y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가 소정 치수(Δy) 어긋나고, 또한, 시트 단수방향(x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가 소정 치수(Δ 어긋난 위치에 세트된 상태가 된다.
상하 2매의 PTP시트(1)의 세트가 완료되면, 이 세트위치를 향해 척이송기구(35)의 척장치(78)가 이동해 온다.
이에 맞추어, 이음반송장치(12)에 있어서는, 홀더 구동기구(38)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홀더(33)를 레인폭방향의 제3 위치에 소정 치수(Δy/2)(PTP시트조(1, 1)의 장수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량(Δy)의 반)만큼 이동시킨다.
그리고, 홀더(33)(한 쌍의 유지편(36L, 36R))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에 이동할 때에는, 한 쌍의 상 유지용 슬릿(31, 31)간 및 한 쌍의 하 유지용 슬릿(32, 32)간이 상기 소정간격(V)을 유지하면서, 양 유지편(36L, 36R)이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제어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3 위치맞춤제어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3 위치」가 상기 「기준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가 완료되면, 한 쌍의 유지편(36L, 36R)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C3)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맞춤된 상태가 된다. 즉, 한 쌍의 유지편(36L, 36R) 중의 일방에 마련된 상 유지용 슬릿(31)과, 타방에 마련된 하 유지용 슬릿(32)의 사이의 레인폭방향 중앙부(C3)가 센터라인(C0)에 위치맞춤된 상태가 된다.
이 때, 도 17(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장치(78)(가동클로우(77) 및 고정클로우(75))에 의해 이음상태가 된 상하 2매의 PTP시트(1)(PTP시트조(1, 1))의 장수방향 중앙부(D3)와, 한 쌍의 유지편(36L, 36R)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C3)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맞춤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척장치(78)가 전달위치(P3)에 도달하면, 상하 2매의 PTP시트(1)는, 이 척장치(78)에 의해 파지되고, 이음상태로 되어 간다(도 18 참조). 이 때, 캠(81)이 도 14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약간 회동한다. 이에 따라, 캠 노즈에 얹혀져 있던 캠 팔로워(84)가 내려가도록 제어됨으로써, 가동클로우(77)가 고정클로우(75)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동시에, 한 쌍의 유지편(36L, 36R)이 서로 여는 방향으로 이동해 나가서, PTP시트(1)의 장수방향 가장자리부의 유지상태가 해제됨으로써, 2매의 PTP시트(1)가 미리 설정된 이음상태가 된다(도 19 참조).
한편, 척장치(78)(고정클로우(75) 및 가동클로우(77))는, 자신의 레인폭방향 중앙부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18 등 참조).
그리고, 척장치(78)는, 자신의 레인폭방향 중앙부와 PTP시트조(1, 1)(상하 2매의 PTP시트(1))의 장수방향 중앙부(D3)가 겹치도록, 이 PTP시트조(1, 1)를 파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척장치(78)에 파지된 PTP시트조(1, 1)의 장수방향 중앙부(D3)는,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그 후, 척장치(78)에 의해 파지된 PTP시트조(1, 1)는, 인덱스(74)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승하고, 전달위치(P4)로 반송되어 간다(도 20 참조). 동시에, 한 쌍의 유지편(36L, 36R)이 서로 닫는 방향으로 이동해 나가서, 한 쌍의 유지편(36L, 36R)이 기준위치(제3 위치)로 되돌아가, 대기 상태가 된다.
동시에, 인덱스(74)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캠(81)도 상기 회동량만큼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캠(81)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제1 위치」가 「기준위치」가 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홀더(33)가 「제3 위치」로부터 「기준위치(제1 위치)」로 되돌아가, 대기상태가 되는 동작 제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위치맞춤제어」가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PTP시트조(1, 1)가 전달위치(4)에 도달하면, 시트이송기구(92)의 클로우부(94)에 의해, 이 PTP시트조(1, 1)가 적상장치(13)에 이음상태인 채로 반송된다.
이후, 상기 일련의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적상장치(13)에 있어서는, 이음상태가 된 PTP시트조(1, 1)가 순차, 적상되어 간다. 그리고, 적상장치(13)의 내부에 소정 조수의 PTP시트조(1, 1)가 적상되면, 이 집적체(예를 들면 5조 10매의 PTP시트(1)의 다발)는, 적상장치(13)로부터 다음의 포장공정으로 내보내진다. 그리고, 포장 공정에 있어서는, 집적체가 필로우 포장되거나, 밴드 결속되거나 하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2매의 PTP시트(1)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대위치관계에서 유지가능하고 또한 레인폭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마련된 홀더(33)(한 쌍의 유지편(36L, 36R))를 구비함과 함께, 반전장치(11)와 홀더(33)의 사이, 또는, 홀더(33)와 척이송기구(35)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대상에 따라, 레인폭방향에 있어서의 홀더(33)의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반전장치(11)로부터 홀더(33)에 「포켓부(2)가 위를 향한 상태의 제1 PTP시트(1)」가 전달될 때에는, 이 「제1 PTP시트(1)」를 한 쌍의 하 유지용 슬릿(32, 32)간에 수용가능해지도록, 이 한 쌍의 하 유지용 슬릿(32, 32)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C1)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반전장치(11)로부터 전달되는 「제1 PTP시트(1)」의 장수방향 중앙부(D1))에 위치하도록, 홀더(33)의 위치조정이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반전장치(11)로부터 홀더(33)에 「포켓부(2)가 아래를 향한 상태의 제2 PTP시트(1)」가 전달될 때에는, 이 「제2 PTP시트(1)」를 한 쌍의 상 유지용 슬릿(31, 31)간에 수용가능해지도록, 이 한 쌍의 상 유지용 슬릿(31, 31)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C2)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반전장치(11)로부터 전달되는 「제2 PTP시트(1)」의 장수방향 중앙부(D2))에 위치하도록, 홀더(33)의 위치조정이 행해진다.
또한, 홀더(33)로부터 척이송기구(35)에 「이음상태가 되는 상하 2매의 PTP시트(1)」가 전달될 때에는, 이 「상하 2매의 PTP시트(1)(PTP시트조(1, 1))」의 장수방향 중앙부(D3)를 척이송기구(35)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있어서 파지가능하도록, 한 쌍의 유지편(36L, 36R)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C3)가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하도록, 홀더(33)의 위치조정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PTP시트(1)(귀가 없는 PTP시트)와 같이, 이음상태로 했을 때에 시트 장수방향 가장자리부의 어긋남량이 비교적 커지는 제품사양의 PTP시트(1)여도, 그 장수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서, 이 장수방향 중앙부를 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맞춤한 상태로 반전장치(11), 홀더(33) 및 척이송기구(35)에 있어서 파지하거나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반전장치(11)로부터 홀더(33)에의 PTP시트(1)에의 전달, 및, 홀더(33)로부터 척이송기구(35)에의 PTP시트(1)의 전달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내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된다. 물론, 이하에 있어서 예시하지 않은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용물이 정제(5)인 경우에 대하여 구체화하고 있으나, 내용물의 종별, 형상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서플리먼트나 식품, 전자부품 등이 내용물로서 충전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물론, 이들의 내용물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포켓부(2)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 용기필름(3) 및 커버필름(4)의 소재, 포켓부(2)의 수나 배열, 형상 등, PTP시트(1)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2열 10개의 포켓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용기필름(3)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등, 알루미늄을 주재료로 한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3열 12개의 포켓부(2)를 가지는 타입을 비롯해, 다양한 배열, 개수로 이루어지는 PTP시트(1)를 채용할 수 있다. 물론, 시트 단수방향을 따른 횡슬릿(절리용 슬릿(3a))이 생략된 구성으로 해도 되고, 횡슬릿(절리용 슬릿(3a))에 대신하거나 또는 더하여 종슬릿(시트 장수방향을 따른 절리용 슬릿)이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부를 가지지 않는 귀가 없는 PTP시트(1)를 작업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부를 가지는 귀가 있는 PTP시트를 작업대상으로 해도 된다.
2매의 귀가 있는 PTP시트를, 이부의 방향이 시트 장수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잇는 경우는 물론, 2매의 귀가 있는 PTP시트를, 종래와 마찬가지로, 이부의 방향이 시트 장수방향에 대해 상이한 방향이 되도록 잇는 경우에도, 이음상태에 있어서 2매의 귀가 있는 PTP시트의 시트 장수방향 가장자리부의 어긋남량이 비교적 커지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c) 2매의 PTP시트(1)의 이음형태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PTP시트조(1, 1)는, 이음상태가 된 2매의 PTP시트(1)의 장수방향(y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가 소정 치수(Δy) 어긋난 상태가 됨과 함께, 양 PTP시트(1)의 단수방향(x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가 소정 치수(Δ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음상태가 되는 2매의 PTP시트(1)의 단수방향(x방향)의 가장자리부에 어긋남 치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d)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집적기구(7)에는, PTP시트(1)를 반송하는 2개의 반송레인(8L, 8R)가 병설됨과 함께, 각 반송레인(8L, 8R)에 따른 이음반송장치(12) 등이 동기하여 움직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PTP시트(1)를 반송하는 반송레인이 1개만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되고, 3개 이상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각 반송레인(8L, 8R)에 따른 이음반송장치(12) 등이 각각 독립하여 움직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e) 전달수단이나 수취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장치(11)나 척이송기구(35)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장치(11)는, 전달위치(P1)에 있어서 수취한 PTP시트(1)를 파지하여, 1매 걸러 표리 반전하면서 전달위치(P2)에 선회 반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PTP시트(1)를 흡착 반송하여 홀더(33)에 전달하는 구성의 전달수단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포켓부(2)가 위를 향한 상태의 제1 PTP시트(1)」를 홀더(33)에 전달하는 기구와, 「포켓부(2)가 아래를 향한 상태의 제2 PTP시트(1)」를 홀더(33)에 전달하는 기구를 각각 구비한 전달수단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귀가 있는 PTP시트를, 이부의 방향이 시트 장수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이음상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주효하게 된다.
단, 블리스터 포장기의 각 배출부로부터 순차 일정한 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포켓부(2)가 아래를 향한 상태)로 전달위치(P1)까지 반송되어 오는 PTP시트(1)를 1매 걸러 표리 반전하고, 상기 「제1 PTP시트(1)」와 상기 「제2 PTP시트(1)」를 교호로 홀더(33)에 전달 가능하게 한 점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반전장치(11)와 같은 반전수단을 전달수단으로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유지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33)(한 쌍의 유지편(36L, 36R)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유지편(36L, 36R)에 있어서의 상 유지용 슬릿(31) 및 하 유지용 슬릿(32)의 레인폭방향(Y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량(Δy)을 가변으로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종별이 상이한 PTP시트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 따르면, 종별이 상이한 PTP시트여도, 항상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PTP시트의 장수방향 중앙부를 위치맞춤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반전장치(11)로부터 홀더(33)에의 PTP시트(1)의 전달이나, 홀더(33)로부터 척이송기구(35)에의 PTP시트(1)의 전달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환언하면,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을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PTP시트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이음상태에 있어서 시트 장수방향 가장자리부의 어긋남량(Δy)이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해지는 PTP시트이면, 한 쌍의 유지편(36L, 36R)의 간격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PTP시트의 종별에 관계없이, 홀더(33)(한 쌍의 유지편(36L, 36R))를 그대로 이용하여 대응할 수 있다.
(g) 상하 2매의 PTP시트(1)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대위치관계에서 유지가능한 구성으로는, 상 유지용 슬릿(31)을 가진 레인폭방향 한 쌍의 상 유지편과, 하 유지용 슬릿(32)을 가진 레인폭방향 한 쌍의 하 유지편을 각각 구비함과 함께, 이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구성 등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구조나 제어가 복잡화되는 것은 물론, 상하로 각각 구동 제어되기 때문에, 그 오차 등에 의해, 이음상태가 된 PTP시트조(1, 1)에 이음오차(미리 설정된 어긋남치수 이상의 어긋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음상태로 했을 때의 2매의 PTP시트(1)의 어긋남치수는 미리 제품 사양에 따라 정해져 있기 때문에, PTP시트조(1, 1)의 상대위치관계에 어긋남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필로우 포장을 적정하게 행할 수 없는 등, 그 후의 공정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유지편(36L, 36R)과 같이, 상 유지용 슬릿(31) 및 하 유지용 슬릿(32)을 일체로 구비한 것을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동작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전장치(11)와 홀더(33)의 사이, 및, 홀더(33)와 척이송기구(35)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대상(「포켓부(2)가 위를 향한 상태의 제1 PTP시트(1)」, 「포켓부(2)가 아래를 향한 상태의 제2 PTP시트(1)」 또는 「이음상태가 되는 상하 2매의 PTP시트(1)」)에 따라, 이 대상의 장수방향 중앙부가 반송레인(8L, 8R)의 센터라인(C0)에 위치하도록, 홀더(33)의 위치조정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반전장치(11)와 홀더(33)의 사이, 또는, 홀더(33)와 척이송기구(35)의 사이에서 대상을 전달 가능하도록, 홀더(33)가 위치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단, 각종 대상의 장수방향 중앙부가 항상 센터라인(C0)을 유지하도록, 각종 대상의 전달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하는 편이, 일련의 이음작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1: PTP시트, 2: 포켓부, 7: 집적기구, 8L, 8R: 반송레인, 11: 반전장치, 12: 이음반송 장치, 13: 적상장치, 21(21A, 21B): 클램프장치, 31: 상 유지용 슬릿, 32: 하 유지용 슬릿, 33: 홀더, 34: 시트 세트부, 35: 척이송기구, 36L, 36R: 유지편, 37L, 37R: 돌조부, 38: 홀더 구동기구, 78: 척장치, C0: 반송레인의 센터라인, C1: 한 쌍의 하 유지용 슬릿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 C2: 한 쌍의 상 유지용 슬릿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 C3: 한 쌍의 유지편간의 레인폭방향 중앙부, D1, D2: PTP시트의 장수방향 중앙부, D3: 상하 2매의 PTP시트(PTP시트조)의 장수방향 중앙부, V: PTP시트의 장수방향의 길이, Δy: PTP시트조의 장수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량.

Claims (5)

  1.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를 구비한 PTP시트를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로서,
    PTP시트의 소정방향이 소정의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을 따른 상태로, 이 PTP시트를 전달가능한 전달수단과,
    상기 포켓부가 위를 향한 상태의 제1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가장자리부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한 쌍의 하 시트유지부,
    및,
    상기 포켓부가 아래를 향한 상태의 제2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가장자리부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한 쌍의 상 시트유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1 PTP시트 및 상기 제2 PTP시트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대위치관계에서 유지가능하고 또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마련된 유지수단과,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상기 제1 PTP시트 및 상기 제2 PTP시트를 상기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수취하는 수취수단과,
    상기 전달수단과 상기 유지수단의 사이, 또는, 상기 유지수단과 상기 수취수단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대상에 따라, 상기 경로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수단의 위치를 조정가능한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로, 이 PTP시트를 전달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전달수단과 상기 유지수단의 사이, 또는, 상기 유지수단과 상기 수취수단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대상에 따라, 이 대상의 상기 소정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경로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수단의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
  3.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를 구비한 PTP시트를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로서,
    PTP시트의 소정방향의 중앙부가 소정의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로, 이 PTP시트를 전달가능한 전달수단과,
    상기 포켓부가 위를 향한 상태의 제1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가장자리부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한 쌍의 하 시트유지부,
    및,
    상기 포켓부가 아래를 향한 상태의 제2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가장자리부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한 쌍의 상 시트유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1 PTP시트 및 상기 제2 PTP시트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상대위치관계에서 유지가능하고 또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마련된 유지수단과,
    상기 유지수단에 의해 유지된 상기 제1 PTP시트 및 상기 제2 PTP시트를 상기 2매 1조의 이음상태로 수취하는 수취수단과,
    상기 경로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수단의 위치를 조정가능한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PTP시트를 상기 유지수단에 전달할 때에, 상기 한 쌍의 하 시트유지부간의 상기 경로폭방향의 중앙부를 상기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맞춤하는 제1 위치맞춤제어와,
    상기 전달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PTP시트를 상기 유지수단에 전달할 때에, 상기 한 쌍의 상 시트유지부간의 상기 경로폭방향의 중앙부를 상기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맞춤하는 제2 위치맞춤제어와,
    상기 유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취수단에 상기 제1 PTP시트 및 상기 제2 PTP시트로 이루어지는 2매 1조의 PTP시트가 수취될 때에, 이 2매 1조의 PTP시트의 상기 소정방향의 중앙부를 상기 시트반송경로의 경로폭방향의 중앙부에 위치맞춤하는 제3 위치맞춤제어를 실행가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폭방향으로, 상기 시트반송경로가 복수 병설되고,
    상기 복수의 시트반송경로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 상기 유지수단 및 상기 수취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시트반송경로에 따른 상기 복수의 유지수단의 위치를 동시에 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TP시트는, 상기 소정방향의 양 가장자리부 중의 일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소정방향으로 최단거리에 있는 상기 포켓부까지의 거리와, 타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소정방향으로 최단거리에 있는 상기 포켓부까지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P시트 이음장치.
KR1020207009897A 2017-11-29 2018-08-01 Ptp시트 이음장치 Active KR102401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28883 2017-11-29
JP2017228883A JP6914177B2 (ja) 2017-11-29 2017-11-29 Ptpシート抱き合わせ装置
PCT/JP2018/028837 WO2019106885A1 (ja) 2017-11-29 2018-08-01 Ptpシート抱き合わ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126A true KR20200087126A (ko) 2020-07-20
KR102401015B1 KR102401015B1 (ko) 2022-05-20

Family

ID=6666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897A Active KR102401015B1 (ko) 2017-11-29 2018-08-01 Ptp시트 이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14177B2 (ko)
KR (1) KR102401015B1 (ko)
CN (1) CN111372856B (ko)
WO (1) WO201910688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814A (ja) 2000-04-28 2001-11-06 Ckd Corp Ptpシート抱き合わせ搬送装置
JP2013035552A (ja) * 2011-08-04 2013-02-21 Ckd Corp Ptpシートの結束装置
JP2013189214A (ja) * 2012-03-13 2013-09-26 Ckd Corp 搬送装置
JP2015013671A (ja) * 2013-07-05 2015-01-22 Ckd株式会社 Ptpシート抱き合わせ集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806U (ko) * 1980-08-12 1982-02-27
JPS61273426A (ja) * 1985-05-29 1986-12-03 Ckd Corp 物品の抱合せ集積移送装置
CN200954952Y (zh) * 2006-09-29 2007-10-03 中山市中智药业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包装机的翻转机构
CN200964300Y (zh) * 2006-11-02 2007-10-24 浙江圣雷机械有限公司 组合式版块定位定量输送机构
JP2011051761A (ja) * 2009-09-03 2011-03-17 Omori Mach Co Ltd Ptpシートの抱き合わせ装置における位置ずれ調整装置
DE102011004474A1 (de) * 2011-02-21 2012-08-23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packen von Gegenständen
CN105151398B (zh) * 2015-07-23 2017-07-07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一种多板泡罩加料机构
CN205471429U (zh) * 2016-04-01 2016-08-17 石家庄师明包装设备制造有限公司 铝塑泡罩包装机药板翻转装置
CN106956796B (zh) * 2017-05-03 2022-12-30 浙江希望机械有限公司 高速泡罩枕包装盒一体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814A (ja) 2000-04-28 2001-11-06 Ckd Corp Ptpシート抱き合わせ搬送装置
JP2013035552A (ja) * 2011-08-04 2013-02-21 Ckd Corp Ptpシートの結束装置
JP2013189214A (ja) * 2012-03-13 2013-09-26 Ckd Corp 搬送装置
JP2015013671A (ja) * 2013-07-05 2015-01-22 Ckd株式会社 Ptpシート抱き合わせ集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4177B2 (ja) 2021-08-04
JP2019099286A (ja) 2019-06-24
KR102401015B1 (ko) 2022-05-20
WO2019106885A1 (ja) 2019-06-06
CN111372856B (zh) 2022-03-15
CN111372856A (zh)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1564B1 (en) Method and machine for packing a product using a flat tubular package
EP2634099A1 (en) Continuous motion inline feeder
JP4639479B2 (ja) 容器口栓取付装置
CN108472910B (zh) 装盒机的操作组,装盒机以及形成纸盒的方法
JP2012062086A (ja) Ptpシート搬送装置
JP5981889B2 (ja) Ptpシート抱き合わせ集積装置
JP4298133B2 (ja) Ptpシート抱き合わせ搬送装置
TW201739536A (zh) 用於傳送工作件的運輸方法
JP6998224B2 (ja) Ptpシート搬送装置
KR102226134B1 (ko) 블리스터 팩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디바이스 및 방법
RU2741650C1 (ru) Наполняющая машина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гибкой упаковки типа пакета
US10633126B2 (en) Machine for positioning the flaps of a box
CN114401898B (zh) 用于通过折叠形成容器的装置和方法
KR20200087126A (ko) Ptp시트 이음장치
EP1184160A2 (en) Transportation, feeding and filling apparatus of irregular-formed vessels and transportation and feeding method
JP4872574B2 (ja) 容器処理装置
JP5076425B2 (ja) 容器キャリアの開放装置
JP4274895B2 (ja) 容器整列装置
EP2886470B1 (en)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lexible containers
JP4229801B2 (ja) 容器搬送装置
US3611675A (en) Apparatus for wrapping articles
KR200464716Y1 (ko) 용기 이송장치
JP6706565B2 (ja) 包装機および包装体の耳折り方法
WO2025062346A1 (en) Packaging assembly
JPH1179368A (ja) 搬送物品の整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