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969A - Multi groundimg outlet - Google Patents
Multi groundimg out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6969A KR20200086969A KR1020190003409A KR20190003409A KR20200086969A KR 20200086969 A KR20200086969 A KR 20200086969A KR 1020190003409 A KR1020190003409 A KR 1020190003409A KR 20190003409 A KR20190003409 A KR 20190003409A KR 20200086969 A KR20200086969 A KR 202000869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protrusion
- ground
- outlet
- conn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여러 개의 전원플러그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핀이 각 접속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멀티접지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ulti-outlet that can be used by inserting a plurality of power plug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ground outlet in which a ground pin is formed between each connection protrusion.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inclusion in this section.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기구에 구비된 플러그를 끼워 전기를 통하게 하는 장치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현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전력을 전달하도록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n outlet is a device that allows electricity through a plug provided in an electric appliance and is used to transmit electric power in various places such as a home, an office, or an industrial site.
이러한 콘센트는 단순히 2개의 삽입구만 구비되어 가정이나 사무실등의 건축벽면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 들어 원거리의 전기기구에도 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멀티 콘센트 These outlets are mainly provided with only two inserts, so they are usually embedded and used in architectural walls such as homes and offices. Recently, a multi-outlet has been used to transmit power to remote electric appliances.
즉, 정해진 길이의 연장전선으로 이루어진 콘센트가 개발되었고, 다수의 전기기구가 연결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삽입구가 형성되는 다공형 콘센트 즉, 멀티 콘센트도 개발되었다.That is, an outlet made of an extension wire of a predetermined length has been developed, and a multi-outlet, that is, a multi-outlet, in which two or more insertion holes are formed to connect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has also been developed.
여기서, 종래의 콘센트에 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3211호가 개시되었다.Here, as a technical document for a conventional outlet,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3211 has been disclosed.
상기 종래의 콘센트에 대한 접지단자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하부에 구비된 콘센트본체와, 상기 콘센트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의 상면에 연결된 접지단자와, 상기 콘센트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콘센트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콘센트본체에 안착되어 그라운드와 연결된 베이스단자와, 상기 베이스단자의 상면에 접속되어 상기 접지단자와 연결된 접속단자로 구성된다.Looking a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round terminal for the conventional outlet, the outlet body provided at the bottom, the connection terminal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body, the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body It is composed of a cover outlet cover,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 base terminal seated on the outlet body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이때, 종래의 콘센트에 대한 접지단자의 연결구조는 상기 베이스단자와 접속단자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단자의 일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시킨 접촉면을 형성하고,At this tim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round terminal to the conventional outlet forms a contact surface bent downward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terminal to connect the bas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상기 접속단자의 일면에 상기 접촉면과 접촉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절곡시킨 접촉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호 연결을 하였다.Interconnection was performed by forming a contact hole bent in a downward direction so as to contact the contact surface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에 대한 접지단자의 연결구조는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접촉면 또는 접촉구가 일방향으로 휘어져 접촉부분이 쉽게 이격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round terminal to the conventional outlet has a problem that the contact portion is easily separated by bending the contact surface or the contact hole in one direction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또한, 종래의 콘센트에 대한 접지단자의 연결구조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 상기 이물질이 상기 접촉면 또는 접촉구의 사이에 인입되어 접지기능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round terminal to the conventional outlet has a problem that the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between the contact surface or the contact hole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lose the grounding function.
콘센트는 플러그가 접속되는 전기자재로서 전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어스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있다.The outlet is an electrical material to which the plug is connected, and is provided with a grou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arth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electrical stability.
그리고, 어스단자와 접지단자는 법규상 임의적인 분리가 불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리벳이 필요한 리벳 이음방식이나 납땜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지만 접합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서 생산성이 낮고 인건비의 상승으로 제조원가가 상승 되므로 다양한 접속구조가 제안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arth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must be fixed so that they cannot be arbitrarily separated by law, it can be assembled by a rivet joint method or a soldering method that requires a separate rivet. Various connection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28109호에는 접지 단자와 어스 단자의 어느 일측에 안착공이 형성된 삽입 통공이 형성되고, 접지 단자와 어스 단자의 다른 일측에 좌,우 양 측벽사이에 공간부가 구비된 걸림턱이 돌출되며, 상기 삽입 통공의 내측에 돌기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걸림턱 내측의 지지판에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내측에 지지턱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0 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구조가 제안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8109, an insertion hole in which a seating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a ground terminal and an earth terminal is formed, and a space between left and right side walls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terminal and the earth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ly provided locking jaw protrudes, and a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inside the insertion hole, a support hole is formed on a supporting plate inside the locking jaw, and a supporting jaw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inside the protrusion. Grounding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of 220 volt outlet is proposed.
하지만,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28109호에 따른 접지 단자 접속구조는 어스단자에 접지단자를 끼워넣고 회전시켜서 조립하는 방식으로서 조립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므로 유격에 의한 접속불량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grounding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8109 is a method of assembling the earthing terminal by inserting and rotating the earthing terminal, which is difficult to assemble, takes a lot of time, and is assembled by the fitting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nection failure occurs.
그리고, 접지단자와 어스단자는 접속 부위의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요소가 많아서 제작 및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grounding terminal and the earthing terminal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assemble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mplicated and there are many components.
특히, 어스단자는 걸림턱을 형성하기 위한 펀칭작업과 함께 2번의 절곡공정이 요구되어 제조가 어렵고 불량품이 발생 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earth terminal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here is a high risk of defects due to the need for two bending processes along with a punching operation to form a locking jaw.
이에 따라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28109호에 따른 접지 단자 접속구조는 접속불량에 따른 안전성의 결여와 상품성의 저하가 초래되고, 구조적 복잡성으로 인한 조립성의 결여와 조립의 시간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생산원가가 상승 되는 한계점이 있다.As a result, the grounding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28109 described above leads to a lack of safety and a decrease in productability due to a defective connection, and productivity is reduced due to a lack of assembly and an increase in assembly time due to structural complexity. There is a limit to falling and increasing production cost.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3211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3211
종래의 복잡한 접지 구조와는 달리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사용자의 사용편의가 증대된 멀티접지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Unlike the conventional complex grounding structure, the structure is simplifie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to provide a multi-grounding outlet with increased user convenienc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개시된 내용은, 플러그돌기와 접지돌기가 형성된 전원플러그가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관통되는 플러그삽입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후방 중앙에서 돌출형성되며 양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단자안착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본체와 전방에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하나에 접촉되는 제1접속돌기가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며 상기 단자안착부의 끼움홈 중 하나에 결합 되는 제1전기접속판과 전방에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는 제2접속돌기가 상기 제1접속돌기와 교호적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며 상기 단자안착부의 끼움홈 중 나머지 하나에 결합되는 제2전기접속판과 전방 양측에 접지돌기에 접촉되는 접지핀이 상기 제1접속돌기와 상기 제2접속돌기의 사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단자안착부의 상면에 결합 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멀티접지콘센트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Disclosed is that a power plug formed with a plug protrusion and a ground protrusion is coupled, and a plug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power plug of an electrical product passes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rear center, and fitting grooves on both sides. A first electrical connecting plate coupled to one of the fitting grooves of the outlet body including the terminal seating part formed and a first connecting protrusion contacting one of the plug protrusions of the power plu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upled to one of the fitting grooves of the terminal seating part. And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late which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ternately with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and contacts the other one of the fitting grooves of the terminal seating part. A multi-grounding outlet including a ground plate in which a ground pin contacting the ground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fron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is described.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지핀이 상기 제1접속돌기 및 상기 제2접속돌기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ground pin is formed to protrude more forward than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접속돌기, 상기 제2접속돌기 및 상기 접지핀은 상기 콘센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ure,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ground pin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let body.
이상에서와 같은 멀티접지콘센트는 다수개의 전자제품의 전원플러그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단가를 절감함으로써 경제적이며, 사용자에게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The multi-grounding outlet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by inserting power plugs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products, and it is economical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grounding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된 멀티접지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접지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접지콘센트의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접지콘센트의 사용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multi-groun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groun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groun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4 is a use state diagram of a multi-groun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개시된 내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돌기(21)와 접지돌기(11)가 형성된 전원플러그(20)가 결합되는 것으로, 접지기능이 있는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As disclosed in FIG. 1, the
접지의 원리와 접지의 기능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inciple of grounding and the function of grounding are well-known technologie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본체(100)의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20)가 관통되는 플러그삽입공(107)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a
다만, 이러한 플러그삽입공(107)에는 전원플러그(20)가 관통될 뿐만 아니라, 접지겸용플러그(10) 또는 중앙 돌출형 접지겸용 플러그를 사용하는 경우, 플러그삽입공(107)에 접지돌기(11)가 관통되어 오 접촉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not only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삽입공(107)의 직경을 교호적으로 다르게 할 수 있다.To prevent this, the diameter of the
예를 들어, 접지돌기(11)의 지름이 전원플러그(20)돌기의 지름보다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경우, 콘센트본체(100)의 전방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플러그삽입공(107)에 있어서, 교호적으로 직경이 작은 플러그삽입공(107)이 형성될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of the
반대로 접지돌기(11)의 지름이 플러그돌기(21)의 지름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경우, 콘센트본체(100)의 전방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플러그삽입공(107)에 있어서, 교호적으로 직경이 큰 플러그삽입공(107)이 형성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diameter of the
즉, 동일한 직경의 플러그삽입공(107) 사이에 직경이 다른 플러그삽입공(107)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육안으로 접지돌기(11)를 삽입하는 플러그삽입공(107)과 전원플러그(20)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공(107)을 구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제로 삽입하고자 하더라도 직경이 맞지 않아, 잘못된 플러그삽입공(107)에의 삽입이 되지 않는다.That is, a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원플러그(20)의 오 삽입에 따른 전기적 위험과 전자제품의 파손으로부터 안정성을 제공한다. This provides the user with stability from electrical hazards caused by incorrect insertion of the
이러한 콘센트본체(100)는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일반적으로 콘센트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형태로 형성되되, 위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general, the
또한, 전기제품 사용에 따른 감전을 예방하기 위해 가볍고, 부도체인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electric shock due to the use of electrical products, it is generally made of light, non-conductive plastic.
콘센트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본체전방(103)과 콘센트본체후방(105)으로 구성되어 진다.The
콘센트본체전방(10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20)가 관통되는 플러그삽입공(107)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플러그삽입공(107)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1)가 원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플러그삽입공(107)에 플러그돌기(21)가 삽입되어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인 바, 플러그돌기(21)의 형상에 대응하여 플러그삽입공(107)의 형상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플러그삽입공(107)은 콘센트본체전방(103)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플러그삽입공(107)의 개수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각 플러그삽입공(107) 사이의 간격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number of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삽입공(107)에는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1)가 삽입되어야 하는 것인 바, 각 플러그삽입공(107) 사이의 간격은 사용하고자 하는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콘센트본체후방(105)의 중앙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안착부(20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In the center of the outlet body rear 105,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이러한 단자안착부(20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판(300)이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 되며 이를 위해, 단자안착부(2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제1고정홀(203)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접지판(300)에도 제2고정홀(305)이 형성된다.2,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가 제1고정홀(203) 및 제2고정홀(305)을 관통함으로써 단자안착부(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접지판(300)이 콘센트본체(100)에 고정된다. As shown in Figure 2, the screw through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안착부(200)의 양측에는 함입형성되는 끼움홈(201)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2 and 3,
끼움홈(201)의 내경과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후술할 제1전기접속판(400)과 제2전기접속판(500)의 일면이 억지끼움되는 것인 바, 끼움홈(201)의 내경과 길이는 제1전기접속판(400) 및 제2전기접속판(500)의 길이와 두께에 상응하는 값을 갖게 형성되거나 는 제1전기접속판(400) 및 제2전기접속판(500)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어야 한다.Although the inner diameter and the length of the
만약, 끼움홈(201)의 내경이 제1전기접속판(400) 및 제2전기접속판(500)의 두께보다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된다면, 끼움홈(201)에 삽입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If the inner diameter of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본체전방(103)과 콘센트본체후방(105)이 결합 되어 콘센트본체(100)를 이루게 되는데, 콘센트본체전방(103)의 하면 양측에는 본체돌기(100a)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콘센트본체후방(105)의 양측에는 본체돌기(100a)에 대응하는 본체홈(100b)이 다수개가 형성된다.1 and 2,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본체돌기(100a)는 각 본체홈(100b)에 억지끼움되어 결합 된다.2 and 3, each
이러한 본체돌기(100a)와 본체홈(100b)의 형상 및 기능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판(300)은 콘센트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2,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접지판(300)은 콘센트본체후방(105)에 형성되는 단자안착부(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인바, 단자안착부(200)의 길이에 상응하거나 큰 값의 길이를 갖게 형성 될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접지판(300)의 양말단에는 접지선 또는 접지단자와 결합 될 수 있는 접지단자고정부(303)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grounding
접지단자 등은 접지단자고정부(303)에 결합 되는데, 이를 위해서, 접지판(300)의 길이는 단자안착부(200)의 길이보다 큰 값을 길이를 갖게 형성되어야 한다.The ground terminal and the like are coupled to the ground
또한 접지판(30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접지판(300)의 하면이 단자안착부(200)의 상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것이고, 이때의 고정력을 고려할 때, 접지판(300)의 하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접지판(300)의 재질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후술할 접지핀(301)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접지선으로 통전시켜야 함으로 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돌기(401)는 제1전기접속판(400)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또한, 다수개의 제1접속돌기(401)는 제1전기접속판(4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형성되며 양말단에는 접지단자고정부(303)와 같은 접기단자고정부가 형성되어 전선과 연결되어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때 제1접속돌기(401)간의 간격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다만, 인접한 제1접속돌기(401)의 사이에는 후술할 한개의 제2접속돌기(501)와 두 쌍의 접지돌기(11)가 형성되어야 하고, 제1접속돌기(401)에는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1)중 하나가 접촉되고, 나머지 하나의 플러그돌기(21)는 제2접속돌기(501)에 접촉되어야 하는바, 제1접속돌기(401)간의 간격은 전원플러그(20)의 각 플러그돌기(21) 간격의 배가 되는 값에 상응하는 값을 갖게 형성되어야 한다.However, between the adjac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속돌기(501)는 제2전기접속판(500)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또한 제2접속돌기(501)는 제1접속돌기(401)와 교호적으로 일정간격마다 돌출형성되고 양말단에는 전기단자고정부(503)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즉, 제1접속돌기(401)와 제2접속돌기(5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안착부(200)의 양측에 하나씩 번 갈아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또한 제2접속돌기(501)에는 제1접속돌기(401)에 접촉하게 되는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1) 이외의 나머지 하나에 접촉된다.Further, the
이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Accordingly,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product that the user intends to use.
이러한 제1접속돌기(401)와 제2접속돌기(501)의 형상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s of the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핀(301)은 제1접속돌기(401)와 제2접속돌기(501)의 사이에 돌출형성된다.2 and 4, the
또한, 접지핀(301)은 제1접속돌기(401)와 제2접속돌기(501) 보다 콘센트본체(100)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에 의해, 사용자가 접지겸용플러그(10)를 사용하는 경우 접지겸용플러그(10)의 접지돌기(11)가 접지핀(301)에 접촉되어 접지가 먼저 되어 감전으로부터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uses the combined
이러한 접지핀(301)의 형상과 재질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위와 같은 멀티접지콘센트는 제1접속돌기(401), 제2접속돌기(501) 및 접지핀(301)은 콘센트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수개의 전자제품의 전원플러그(20)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ground outlet has a plurality of
또한, 접지겸용플러그(10)의 접지돌기(11)만 플러그삽입공(107)(접지핀(301)이 형성되는 위치)에 관통시키면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돌기(21)가 자동적으로 제1접속돌기(401) 및 제2접속돌기(501)에 접촉하게 됨으로 사용자에게 사용편리성과 전기적 안정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disclosed content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claimed in the claims, s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disclosed content is specifi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10 : 접지겸용플러그
11 : 접지돌기
20 : 전원플러그
21 : 플러그돌기
100 : 콘센트본체
100a : 본체돌기
100b : 본체홈
103 : 콘센트본체전방
105 : 콘센트본체후방
107 : 플러그삽입공
200 : 단자안착부
201 : 끼움홈
203 : 제1고정홀
300 : 접지판
301 : 접지핀
303 : 접지단자고정부
305 : 제2고정홀
400 : 제1전기접속판
401 : 제1접속돌기
500 : 제2전기접속판
501 : 제2접속돌기
503 : 전기단자고정부10: Grounding Plug
11: Ground projection
20: Power plug
21: plug projection
100: outlet body
100a: body projection
100b: main body groove
103: Outlet body front
105: outlet body rear
107: plug insertion hole
200: terminal seat
201: fitting groove
203: 1st fixed hall
300: ground plate
301: ground pin
303: Ground terminal fixing part
305: 2nd fixed hall
400: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late
401: first connection protrusion
500: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late
501: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503: Electric Terminal High Government
Claims (3)
전방에는 전기제품의 전원플러그가 관통되는 플러그삽입공이 형성되며, 양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단자안착부를 갖는 콘센트본체;
상기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에 접촉되는 제1접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안착부의 끼움홈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전기접속판;
상기 전원플러그의 플러그돌기 중 나머지 하나에 접촉되는 제2접속돌기가 상기 제1접속돌기와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안착부의 끼움홈 중 나머지 하나에 결합되는 제2전기접속판; 및
상기 접지돌기에 접촉되는 접지핀이 상기 제1접속돌기와 상기 제2접속돌기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안착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접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접지콘센트.Power plug formed with a plug protrusion and a ground protrusion is combined,
In the front, a plug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power plug of an electrical product is penetrated is formed, and an outlet main body having a terminal seating part having fitting grooves on both sides;
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late formed with a first connection protrusion contacting the plug protrusion of the power plug and coupled to one of the fitting grooves of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late alternately form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contacting the other of the plug protrusions of the power plug, and coupled to the other of the fitting grooves of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And
A grounding plate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and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Multi-ground outlet comprising a.
상기 접지핀이 상기 제1접속돌기 및 상기 제2접속돌기 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접지콘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ground pin is a multi-ground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than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상기 제1접속돌기, 상기 제2접속돌기 및 상기 접지핀은 상기 콘센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접지콘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ground pin is a multi-ground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let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3409A KR102149980B1 (en) | 2019-01-10 | 2019-01-10 | Multi groundimg out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3409A KR102149980B1 (en) | 2019-01-10 | 2019-01-10 | Multi groundimg outl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6969A true KR20200086969A (en) | 2020-07-20 |
KR102149980B1 KR102149980B1 (en) | 2020-08-31 |
Family
ID=7183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3409A Active KR102149980B1 (en) | 2019-01-10 | 2019-01-10 | Multi groundimg outl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9980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1505B1 (en) * | 2006-12-28 | 2007-10-30 | (주)펄스일렉트로닉스 | Coupling structure of 220V outlet |
US20130109204A1 (en) * | 2011-10-31 | 2013-05-02 | Ampower Technology Co., Ltd. | Socket and power adapter employing same |
KR20140027669A (en) * | 2012-08-27 | 2014-03-07 | (주)태미소 | Display apparatus |
KR20140027670A (en) * | 2012-08-27 | 2014-03-07 | (주)태미소 | Display apparatus |
KR20180003211U (en) | 2017-05-04 | 2018-11-14 | 강영난 | Connection terminal for earthing terminal provided in multi outlet |
KR20190118039A (en) * | 2018-04-09 | 2019-10-17 | 정회욱 | Linear profile for connecting power supply |
-
2019
- 2019-01-10 KR KR1020190003409A patent/KR1021499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1505B1 (en) * | 2006-12-28 | 2007-10-30 | (주)펄스일렉트로닉스 | Coupling structure of 220V outlet |
US20130109204A1 (en) * | 2011-10-31 | 2013-05-02 | Ampower Technology Co., Ltd. | Socket and power adapter employing same |
KR20140027669A (en) * | 2012-08-27 | 2014-03-07 | (주)태미소 | Display apparatus |
KR20140027670A (en) * | 2012-08-27 | 2014-03-07 | (주)태미소 | Display apparatus |
KR20180003211U (en) | 2017-05-04 | 2018-11-14 | 강영난 | Connection terminal for earthing terminal provided in multi outlet |
KR20190118039A (en) * | 2018-04-09 | 2019-10-17 | 정회욱 | Linear profile for connecting power supp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9980B1 (en) | 2020-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85626B2 (en) |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with it | |
JP556324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3324447A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4843509B2 (en) | Electrical column type terminal block | |
EP0390865A1 (en) | ELECTRIC POWER SOCKET. | |
KR20140059798A (en) | Plug connector | |
EP2670001B1 (en) |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 |
US5934921A (en) | Power supply and the joint structure of adaptor plug thereof | |
US20160093995A1 (en) | Receptacle with non-conductive retaining pin | |
US3065440A (en) | Socket connection | |
KR200488009Y1 (en) | Connection terminal for earthing terminal provided in multi outlet | |
KR20200086969A (en) | Multi groundimg outlet | |
TWM524585U (en) | Serial connector | |
KR101164431B1 (en) |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 |
KR101199532B1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 heating mat | |
JP6857599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726367B1 (en) | Connector for wire connection | |
US1760921A (en) | Plug connecter | |
AU736023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3423722A (en) | Electric connector having interfitting housing members | |
KR100976510B1 (en) | Vertical Terminals and Connectors with the Same | |
KR200485070Y1 (en) | Bonding structure of the plug ground terminal is provided for anti-rotation means outlet | |
KR200336677Y1 (en) | Multi socket | |
KR200370569Y1 (en) | Multi-concentric plug having short-circuit switch | |
CN209981662U (en) | Socket with improved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