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905A - In-vitro diagnostic kit having chamber for counting leukocyte - Google Patents
In-vitro diagnostic kit having chamber for counting leukocy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6905A KR20200086905A KR1020190003257A KR20190003257A KR20200086905A KR 20200086905 A KR20200086905 A KR 20200086905A KR 1020190003257 A KR1020190003257 A KR 1020190003257A KR 20190003257 A KR20190003257 A KR 20190003257A KR 20200086905 A KR20200086905 A KR 202000869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mple
- antibody
- diagnostic
- space
- detection 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10000000265 leukocyt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09007 Diagnostic Ki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13076 target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4820 blood cou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3
- 230000021615 conjug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13077 targe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9870 specific bi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3743 erythrocy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18910 Haemoly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88 hemolysi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739 b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27455 bi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325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317 immuno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885 in vitro diagnostic (IVD) kit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8010001336 Horseradish Per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XIPVTKHYLBLMZ-UHFFFAOYSA-N Sodium azide Chemical compound [Na+].[N-]=[N+]=[N-] PXIPVTKHYLBL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3 buffer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993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01 blood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05 diagnos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HMNJMPURVTYEJ-UHFFFAOYSA-N fluorescein-5-isothiocyanate Chemical compound O1C(=O)C2=CC(N=C=S)=CC=C2C21C1=CC=C(O)C=C1OC1=CC(O)=CC=C21 MHMNJMPURVTY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9 hemo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7 re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6—Animal cells
- G01N33/56972—White blood cel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8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microstructural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 G01N2015/008—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01N2015/016—White blood cel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86—Counting the 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Test Line)을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가 주입되는 소정의 개방공간을 제공하는 검체 투입구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상의 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 판독창이 상면에 구비되고, 혈액 검체의 흡수를 위한 상기 진단 스트립의 샘플 패드가 상기 검체 투입구의 개방공간 일부에 노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을 포함하는 상기 진단 스트립의 검출막이 상기 진단 판독창 아래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진단 스트립이 내부에 설치되는 진단 키트 몸체; 및 상기 진단 키트 몸체로부터 상기 진단 스트립의 진단 진행방향 반대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유입된 혈액 검체가 퍼지며 수집될 수 있는 단층화 공간 및 상기 검체 투입구에 주입된 혈액 검체 일부가 상기 단층화 공간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입되도록 상기 검체 투입구 및 상기 단층화 공간을 연결하는 캐필러리(Capillary) 관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단층화 공간 위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단층화 공간의 확인을 통한 백혈구 계수가 가능하도록 백혈구 계수 판독창이 상면에 구비되는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 vitro diagnostic kit having a leukocyte counting chamber, a diagnostic strip comprising at least one test line; A sample inlet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open space into which a blood sample including a target substance and leukocytes is injected and a diagnostic reading window for confirming a diagnosis result on the at least one detection line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for absorbing the blood sample, A diagnostic kit in which the diagnostic strip is installed inside such that the sample pad of the diagnostic strip is exposed to a part of the open space of the sample inlet and the detection film of the diagnostic strip including the at least one detection line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below the diagnostic reading window. Body; And a monolayer space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iagnostic progression direction of the diagnostic strip from the body of the diagnostic kit, and a portion of the blood sample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and the layer of the blood sample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into capillary phenomenon. A capillary tube connecting the sample inlet and the monolayer space so as to be introduced therein is provided therein, and a leukocyte count reading window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monolayer space to enable white blood cell count through identification of the monolayer space. Includes; chamber for counting white blood cell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측면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이용한 혈액 검체 내 표적물질의 진단 및 정량화 기능과 함께 백혈구 계수를 위한 혈액 검체 내 백혈구의 단층화 기능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체외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 vitro diagnostic kit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monolayer function of leukocytes in a blood sample for leukocyte counting together with a diagnosis and quantification function of a target substance in a blood sample using a side immunochromatography assay.
측면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Lateral flow immunochromatographic assay, LFIA)을 이용한 체외 진단 키트는 항원-항체 반응(immune reaction)을 이용하여, 다양한 검체에 미량 존재하는 표적물질을 단시간에 한번 실험(One-step)으로 정성 및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진단 항목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In vitro diagnostic kit using Lateral flow immunochromatographic assay (LFIA) uses antigen-immune reaction to test target substances present in trace amounts in various specimens once in a short time (One-step) It is a method that can b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and applied to various diagnostic items.
이와 같은 측면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이용한 체외 진단 키트는 얇은 막의 샘플 패드에 혈액과 같은 검체를 떨어뜨리면 컨쥬게이션 패드를 거쳐 검출막으로 검체가 측방으로 이동하며 표지입자 및 특정 항체들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검체 내 특정 상태 진단을 위한 표적물질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In vitro diagnostic kits using this lateral immunochromatography method, when a sample such as blood is dropped on a thin membrane sample pad, the specimen moves laterally through the conjugation pad to the detection membrane and specifically binds to the labeled particles and specific antibodies Thus, it can be seen that a target substance exists for the diagnosis of a specific condition in the sample.
더 나아가 진단이 이루어진 체외 진단 키트의 결과를 분석하여 표적물질의 검체 내 수준을 정량화함 또한 가능하다.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quantify the level of the target substance in the sample by analyzing the result of the diagnostic in vitro diagnostic kit.
최근에는 측면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이용한 체외 진단 키트가 다양한 기능적 부가가 이루어지고 진단 수행 효율을 개선시키는 형태로 지속적인 발전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6167의"하이브리드 면역반응 진단 키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In recent years, in vitro diagnostic kits using lateral immunochromatography analysi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developed in various functional additions and improved diagnostic performance, and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o this have been pu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There is a "hybrid immune response diagnostic kit" of 10-180616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체외 진단 키트는 특정 진단 대상에 특화된 진단 속도 및 정확도 등의 특성 개선에 집중하거나, 복수의 진단 대상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구조적 특성 개선에 집중하는데 그치곤 했다.However, existing in vitro diagnostic kits, including the prior art, have focused on improving characteristics such as diagnostic speed and accuracy specific to a specific diagnostic object, or concentrating on improv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to efficiently diagnose multiple diagnostic objects simultaneously.
특히나, 혈액을 마련된 검체를 진단 키트에 적용할 경우 단순히 혈액 내 특전 표적물질의 진단 혹은 정량화에만 그치고, 혈액을 이용한 별도의 진단 과정이 수행되어야 할 시 추가적인 검체의 수득 및 검사의 진행이 이루어져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Particularly, when a sample prepared with blood is applied to a diagnostic kit, it is only a diagnosis or quantification of a specific target substance in the blood, and when a separate diagnostic process using blood is to be performed, additional samples are obtained and the test must be progressed.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 검체 내 표적물질에 대한 진단 및 정량화를 수행함과 동시에 혈액 검체 내 벽혈구의 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performing a diagnosis and quantification of a target substance in a blood sample and simultaneously performing counting of wall blood cells in a blood sample. .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농도에서 고농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농도의 검체 중 어떤 농도의 검체를 체외 진단 키트에 적용하여 진단을 수행하더라도 해당 검체 내 표적물질의 정량화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sample of any concentration among a wide range of samples ranging from low to high concentrations to an in vitro diagnostic kit to perform diagnosis. It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accurately performing the quantification of a target substance in a samp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Test Line)을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가 주입되는 소정의 개방공간을 제공하는 검체 투입구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상의 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 판독창이 상면에 구비되고, 혈액 검체의 흡수를 위한 상기 진단 스트립의 샘플 패드가 상기 검체 투입구의 개방공간 일부에 노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을 포함하는 상기 진단 스트립의 검출막이 상기 진단 판독창 아래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진단 스트립이 내부에 설치되는 진단 키트 몸체; 및 상기 진단 키트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진단 스트립의 진단 진행방향 반대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유입된 혈액 검체가 퍼지며 수집될 수 있는 단층화 공간 및 상기 검체 투입구에 주입된 혈액 검체 일부가 상기 단층화 공간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입되도록 상기 검체 투입구 및 상기 단층화 공간을 연결하는 캐필러리(Capillary) 관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단층화 공간 위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단층화 공간의 확인을 통한 백혈구 계수가 가능하도록 백혈구 계수 판독창이 상면에 구비되는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 vitro diagnostic kit having a leukocyte count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agnostic strip including at least one test line; A sample inlet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open space into which a blood sample including a target substance and leukocytes is injected and a diagnostic reading window for confirming a diagnosis result on the at least one detection line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for absorbing the blood sample, A diagnostic kit in which the diagnostic strip is installed inside such that the sample pad of the diagnostic strip is exposed to a part of the open space of the sample inlet and the detection film of the diagnostic strip including the at least one detection line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below the diagnostic reading window. Body;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body of the diagnostic k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iagnostic progression direction of the diagnostic strip, a tomography space in which blood samples are introduced and collected, and a portion of the blood sample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to the tomography space A capillary tube connecting the sample inlet and the monolayer space so as to be introduced by the capillary phenomenon is provided therein, and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over the monolayer space to allow white blood cell count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monolayer space. It includes; a counting reading window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hite blood cell counting chamber.
여기서, 상기 진단 스트립은,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검체 투입구로 주입된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 일부가 흡수되는 상기 샘플 패드; 상기 샘플 패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표적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션(Conjugation) 패드;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표적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고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을 포함하는 상기 검출막; 및 상기 검출막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검출막을 거친 잔존 검체가 흡수되는 흡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agnostic strip, the support; The sample pad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 portion of the blood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material and white blood cells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is absorbed; A conjugation pad that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in a form that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sample pad, and which specifically binds to the target substance and includes a first antibody conjugated with a label; The at least one detection line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in a form that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onjugation pad, and the antibody to which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specifically binds is immobilized. Detection film; And it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in a form that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detection film, the absorption pad is absorbed by the remaining sampl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tection film; may include.
또한, 상기 진단 키트 몸체는 상기 검체 투입구의 개방공간이 상기 샘플 패드가 노출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 외의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검체 투입구로 주입된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 중 상기 제1공간으로 이동된 일부는 상기 샘플 패드에 흡수되어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 검출막 및 흡수패드를 순차적으로 거치고, 상기 검체 투입구로 주입된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 중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된 나머지는 상기 캐필러리 관을 통해 상기 백혈구 계수용 챔버의 상기 단층화 공간으로 유입된다. In addition, the diagnostic kit body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pace in which the open space of the sample input port is exposed to the sample pad and a second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st other than the first space, and a target material injected into the sample input port And a part of the blood sample including leukocytes, which has been moved to the first space, is absorbed by the sample pad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conjugation pad, the detection membrane and the absorption pad, and includes the target material and leukocytes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The rest of the blood samples moved to the second space are introduced into the tomographic space of the white blood cell counting chamber through the capillary tube.
아울러, 상기 진단 키트 몸체의 상기 검체 투입구로 주입되는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는 적혈구 용혈 전처리 과정을 거쳐 검체 내 적혈구가 제거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lood sample including the target material and leukocytes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of the diagnostic kit body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red blood cells in the sample are removed through a pre-treatment process of erythrocyte hemolysis.
그리고 상기 검출막은,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2항체가 고정된 제1검출라인;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3항체가 상기 제1검출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제2검출라인; 및 상기 제1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4항체가 상기 제2검출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대조(Control)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막은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 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검출라인, 상기 제2검출라인 및 상기 대조라인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membrane may include: a first detection line to which a second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is immobilized; A second detection line fixed at a position where a third antibody, to which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specifically binds,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tection line; And a control line in which the fourth antibody to which the first antibody specifically binds is fix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etection line, and the detection film is based on the conjugation pad side. The first detection line, the second detection line and the control line may be sequentially formed.
실시에 따라, 상기 제1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2항체 및 상기 제2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3항체는 동일한 항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에 따라서는, 상기 제1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2항체 및 상기 제2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3항체는 상이한 항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항체의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 부위는 상기 제3항체의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 부위와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antibody fixed to the first detection line and the third antibody fixed to the second detection line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antibody,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detection line The second antibody immobilized on and the third antibody immobilized on the second detection line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antibodies, and specific for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of the second antibody The binding site may be different from the specific binding site for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of the third antibody.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측면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이용한 혈액 검체 내 표적물질의 진단 및 정량화 기능과 함께 백혈구 계수를 위한 혈액 검체 내 백혈구의 단층화 기능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a diagnosis and quantification function of a target substance in a blood sample using a side immunochromatography analysis, and simultaneously a monolayer function of a white blood cell in a blood sample for white blood cell counting.
둘째, 혈액 검체 내 표적물질의 진단 및 정량화 기능과 동시에 백혈구 계수용 챔버 내 단층화 공간에 혈액 검체를 유입시켜 단층을 이루며 골고루 퍼지도록 하여 혈액 검체 내 각종 성분의 겹침 없이 백혈구만을 관찰하고 정확한 계수를 수행할 수 있다.Second, the diagnosis and quantification function of the target substance in the blood sample is simultaneously performed, and the blood sample is introduced into the tomographic space in the white blood cell counting chamber to spread evenly in a single layer, so that only white blood cells are observed without overlapping various components in the blood sample and accurate counting is performed. Can.
셋째, 광범위 체외 진단 키트 내 진단 스트립에 검체 내 동일 표적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2개 이상의 검출라인을 마련하여 고농도 검체를 이용해 체외 진단을 수행하더라도 검체 내 표적물질의 정량화가 높은 신뢰도를 갖추어 수행될 수 있다.Third, by providing two or more detection lines that specifically bind to the same target substance in the sample on the diagnostic strip in the extensive in-vitro diagnostic kit, performing high-concentration samples to carry out in-vitro diagnostics, the quantification of the target substance in the sample is carried out with high reliability. Can be.
도1은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 내 진단 스트립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 vitro diagnostic kit having a white blood cell count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 vitro diagnostic kit having a leukocyte count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 vitro diagnostic kit having a leukocyte count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 vitro diagnostic kit having a leukocyte count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strip in an in vitro diagnostic kit having a leukocyte count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ut for the brevity of description, the already well-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의 구조에 관한 설명><Explanation of the structure of an in vitro diagnostic kit having a leukocyte counting chamber>
도1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100)는 진단 키트 몸체(110); 진단 스트립(120); 및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5, the in vitro
진단 키트 몸체(11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마련된 별도의 수용 공간 내에 진단 스트립(1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 구성이다.The
여기서, 진단 키트 몸체(110)는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B)가 주입되는 소정의 개방공간을 제공하는 검체 투입구(110H) 및 진단 스트립(1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125, 126, 127)상의 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 판독창(110W)이 상면에 구비된다.Here, the
검체 투입구(110H)는 진단을 수행하는 실험자가 수득한 검체를 주입하는 개방공간으로,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100)의 진단 키트 몸체(110) 일측에 구비된 검체 투입구(110H)에 주입되는 검체는 특정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B)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100)에 주입되는 검체에 특정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B)를 특정하여 적용하는 이유는 진단 스트립(120)를 이용한 혈액 검체(B) 내 특정 표적물질의 진단 및 정량화 기능과 동시에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를 이용한 혈액 검체(B) 내 백혈규의 계수를 위한 단층화 기능을 일괄 제공하기 위함이다.Specifically, the reason for specifying and applying a blood sample (B) containing a specific target substance and leukocytes to a sample injected into an in vitro
여기서,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100)에 주입되는 혈액 검체(B)는 별도의 버퍼(Buffer) 전처리를 통해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되, 표적물질의 진단 및 백혈구의 계수가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질 수 있도록한다.Here, the blood sample (B) injected into the in vitr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100)에 주입되는 혈액 검체(B)에 전처리되는 버퍼(Buffer) 용액은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와 같은 완충액(구체적으로, 1X PBS, pH 7.2)을 기본으로 오염방지를 위한 아지드화 나트륨(sodium azide, NaN3) 혹은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위한 면역 반응에 이용하기 위한 형광-항체 합성물(Fluorescence conjugated antibody)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하게는 적혈구 용혈(Hemolysis)을 통해 적혈구를 혈액 검체(B) 내에서 제거하기 위한 0.1% TritonX-100과 같은 적혈구 용혈성 성분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buffer solution to be pre-treated in the blood sample (B) injected into the in vitro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100)에 주입되는 혈액 검체(B)는 적혈구 용혈을 위한 전처리 과정을 거친된 주입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혈액 검체(B) 내에는 적혈구가 없이 표적물질 및 백혈구가 포함되어, 표적물질의 진단 및 정량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백혈구의 계수 검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단층화된 혈액 검체(B) 내 적혈구가 백혈구의 계수 정확도를 저해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blood sample (B) injected into the in vitro diagnostic kit (100) with the white blood cell count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goes a pre-treatment process for hemolysis of red blood cells, and consequently, the red blood cells in the blood sample (B) Eliminates the problem that red blood cells in the monolayered blood sample (B) inhibit the counting accuracy of the white blood cells in the course of counting the white blood cells without affecting the diagnosis and quantification of the target substances, including the target material and white blood cells without can do.
그리고 검체 투입구(110H)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키트 몸체(110) 내부에 설치된 진단 스트립(120)의 혈액 검체의 흡수를 위한 샘플 패드(122)의 일부가 개방공간 일부에 노출되도록 진단 키트 몸체(110) 상면 일측에 마련된다.And the
다시 말해, 검체 투입구(110H)의 개방공간 일부는 진단 키트 몸체(110) 내부에 설치된 진단 스트립(120)의 샘플 패드(122) 일단(혈액 검체의 이동 및 진단 진행방향 반대측 단부)이 노출되어 있어, 검체 투입구(110H)로 주입되는 혈액 검체(B) 일부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스트립(120)의 샘플 패드(122)에 흡수된다.In other words, a part of the open space of the
이와 같은 검체 투입구(110H)의 개방공간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키트 몸체(110) 내부에 설치된 진단 스트립(120)의 샘플 패드(122) 일단이 노출되는 제1공간(T1)과 그 외의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공간(T2)으로 구획된다.As shown in FIG. 4, the open space of the
여기서, 검체 투입구(110H)로 주입된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B) 중 상기 제1공간(T1)으로 이동된 일부(B1)는 진단 스트립(120)의 샘플 패드(122) 일단에 흡수되어 추후 설명될 컨쥬게이션 패드(123), 검출막(124) 및 흡수패드(128)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이동하여 표적물질의 진단 및 정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Here, a portion (B1) of the blood sample (B) containing the target material and white blood cells injected into the sample input port (110H) is moved to the first space (T1) is once the sample pad (122) of the diagnostic strip (120) To be absorbed by the
아울러, 검체 투입구(110H)로 주입된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B) 중 제2공간(T2)으로 이동된 나머지(B2)는 추후 설명될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의 캐필러리 관(130C)을 통해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의 단층화 공간(130T)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입 이동되게 된다.In addition, the remaining (B2) moved to the second space (T2) of the blood sample (B) containing the target material and leukocytes injected into the sample input port (110H) capillary of the white blood
다음으로 진단 판독창(110W)은 유리와 같은 투명재질의 커버창 구성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키트 몸체(110) 내부에 설치된 진단 스트립(1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125, 126, 127)을 포함하는 검출막(124)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진단 키트 몸체(110) 상면에 마련된다.Next, the
구체적으로, 진단 판독창(110W)은 진단 키트 몸체(110) 상면 중 진단 키트 몸체(110) 내부에 설치된 진단 스트립(120)의 검출막(124)이 아래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는 장소에 마련되어야 하며, 검체 투입구(110H)를 기준으로 혈액 검체의 이동 및 진단 진행방향 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장소에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진단 스트립(120)은 진단 키트 몸체(110) 내에 수용 설치되어 주입되는 검체의 측면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Lateral flow immunochromatographic assay, LFIA)을 이용한 진단이 직접적으로 수행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Test Line)을 포함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농도 검체 내 표적물질 정량화가 가능하도록 종래와 달리 적어도 2개 이상의 검출라인(Test Line)을 포함한다.The
우선, 진단 스트립(120)은 지지체(121), 샘플 패드(122), 컨쥬게이션 패드(123), 검출막(124) 및 흡수 패드(128)을 포함하며, 측방 유도형(Lateral flow assay, LFA) 진단 스트립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First, the
여기서, 지지체(12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 패드(122), 컨쥬게이션 패드(123), 검출막(124) 및 흡수 패드(128)가 상부에 부착되어 순차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몸체를 제공한다.Here, the
구체적으로, 지지체(121)의 상부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 패드(122)를 시작으로, 컨쥬게이션 패드(123), 검출막(124) 및 흡수 패드(128)가 순서대로 부착되며, 순서상 상호 근접한 샘플 패드(122)와 컨쥬게이션 패드(123), 컨쥬게이션 패드(123)와 검출막(124), 검출막(124)과 흡수 패드(128)은 접하여 연결됨으로써, 샘플 패드(122)에 주입되는 검체가 컨쥬게이션 패드(123)와 검출막(124)을 거쳐 최종적으로 흡수 패드(128)에 이르기까지 모세관 현상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마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a
먼저, 샘플 패드(122)는 지지체(121) 상부에 부착되어 표적물질을 포함한 검체(Serum, plasma, urine, swear, 기타 bio fluid등)가 주입되는 영역으로, 표적물질을 포함한 검체의 모세관 현상에 따른 이동 경로 상 최 선단에 위치한다.First, the
여기서, 샘플 패드(122)에 흡수되는 검체는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한 혈액 검체가 적용됨이 바람직하고, 이는 추후 설명될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를 통한 백혈구 계수 기능을 표적물질의 진단 및 정량화 기능과 동시에 진행하기 위함이다.Here, the sample absorbed by the
다음으로, 컨쥬게이션(Conjugation) 패드(123)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21) 상부에 샘플 패드(122) 다음으로 순차 연결되는 형태로 부착되며, 제1항체에 표지물이 접합된 접합체를 포함한다.Next, the
여기서, 제1항체에 접합되는 표지물질은 결합 포화도에 따라 특정 광도의 세기의 형광 발현을 일으킬 수 있어, 진단 결과의 정성적 표지와 진단 수준의 정량적 표지가 가능 물질로 금-나노입자(Gold-nano particle). 형광 비드(Fluorescence bead), FITC(poly L-lysine-fluorescein isothiocyanate)와 같은 형광분자 또는 HRP(horseradish peroxidase)와 같은 발색효소 등의 형태로 특정 표지물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Here, the labeling substance to be conjugated to the first antibody can cause fluorescence expression of a specific light intensity depending on the binding saturation, so that qualitative labeling of the diagnostic result and quantitative labeling of the diagnostic level are possible gold-nanoparticles (Gold- nano particle). Fluorescence molecules such as fluorescent beads (Fluorescence bead), FITC (poly L-lysine-fluorescein isothiocyanate), or chromogenic enzymes such as horseradish peroxidase (HRP)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labeling material and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또한, 하나의 실시예로 제1항체에 접합되는 표지물질은 FSD 647 NHS ester(BioActs사)와 같은 물질로 마련될 수 도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labeling substance to be conjugated to the first antibody may be prepared from a substance such as FSD 647 NHS ester (BioActs).
구체적으로, 샘플 패드(122)에 주입된 검체 내 표적물질은 컨쥬게이션 패드(123)로 이동하여 컨쥬게이션 패드(123) 내부의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와 항원-항체반응을 일으켜 상호 특이적으로 결합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target material in the sample injected into the
이를 통해, 컨쥬게이션 패드(123) 내에서는 표적물질이 라벨링되고,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가 결합 형성된다.Through this, the target material is labeled in the
다음으로, 검출막(124)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21) 상부에 컨쥬게이션 패드(123) 다음으로 순차 연결되는 형태로 부착되며, 제1검출라인(125), 제2검출라인(126) 및 대조라인(127)을 포함하는 다공성 막이다.Next, the
여기서, 검출막(124)은 NC(nitrocellulos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charge modified)Nylon 또는 PES (Polyethersulfone) 등의 폴리머 재질로 마련 가능한 다공성 막으로, 마련되는 검출막(124)의 폴리머 재질에 따라 항체의 결합 형태를 정전기적 결합(electrostatic) 또는 소수성 결합(hydrophobic) 등으로 대응되어 적용 가능하다.Here, the
구체적으로, 컨쥬게이션 패드(123) 내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 중 일부는 표적물질이 결합된 형태로 검출막(124)으로 이동하게 되고, 나머지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는 표적물질이 결합되지 않은 원상태 그대로 검출막(124)으로 이동하게 된다.Specifically, some of the first antibody to which the labeling material is conjugated in the
이에 따라, 검출막(124) 내로 이동한 표적물질이 라벨링되고,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는 검출막(124) 내 도포된 제1검출라인(125) 또는 제2검출라인(126)에서 제2항체 또는 제3항체와 결합 반응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target material that has moved into the
아울러, 검출막(124) 내로 이동한 표적물질이 라벨링되지 않고, 표지물질만이 접합된 제1항체는 검출막(124) 내 도포된 제1검출라인(125) 및 제2검출라인(126)을 지나 대조라인(127)에서 제4항체와 결합 반응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antibody that is moved into the
여기서, 제1검출라인(125)은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검체 유래 표적물질이 항원-항체반응을 일으켜 상호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2항체가 고정 설치된다.Here, the
아울러, 제2검출라인(126)은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검체 유래 표적물질이 항원-항체반응을 일으켜 상호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3항체가 고정 설치되며, 검출막(124) 내 제1검출라인(125)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대조(Control)라인(127)은 검체 유래 표적물질이 결합되지 않고, 표지물질이 접합된 원상태의 제1항체가 항원-항체반응을 일으켜 상호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4항체가 고정 설치되며, 검출막(124) 내 제2검출라인(126)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In addition, in the
결과적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막(124) 내 제1검출라인(125), 제2검출라인(126) 및 대조라인(127)은 컨쥬게이션 패드(123) 측을 시작으로 제1검출라인(125), 제2검출라인(126) 및 대조라인(127) 순으로 순차 형성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the
따라서 컨쥬게이션 패드(123) 측에서 검출막(124) 내로 이동하는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 중 표적물질이 결합된 제1항체는 제2검출라인(126)보다 제1검출라인(125)과 우선 결합 반응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검출라인 내 항원-항체 결합의 포화는 제1검출라인(125)에서 우선 진행하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antibody to which the target substance is bound among the first antibodies to which the labeling substance that moves into the
실시에 따라, 제1검출라인(125)에 고정되는 제2항체와 제2검출라인(126)에 고정되는 제3항체는 결합 반응을 일으키는 표적물질이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동일한 항체로 마련되거나 상이한 항체로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antibody fixed to the
따라서 제1검출라인(125)에 고정되는 제2항체와 제2검출라인(126)에 고정되는 제3항체가 상이한 항체로 마련될 경우, 제2항체의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 부위는 제3항체의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 부위와 상이하다.Therefore, when the second antibody fixed to the
다시 말해, 제1검출라인(125)에 고정되는 제2항체와 제2검출라인(126)에 고정되는 제3항체가 상이한 항체로 마련될 경우, 표적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바는 같으나, 결합 부위를 달리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second antibody fixed to the
더 나아가, 제2항체의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친화도(binding affinity)는 제3항체의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친화도(binding affinity)에 비해 높게 마련된다.Furthermore, the specific binding affinity for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of the second antibody is the specific binding to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of the third antibody. It is provided higher than the binding affinity.
즉, 검출막(124) 내 제1검출라인(125)이 검체의 샘플 패드(122)로부터 흡수 패드(128)에 이르는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제2검출라인(126)에 비해 선단에 위치하여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표적물질과 우선적인 결합 반응하는 특징과 제2항체와 제3항체의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친화도(binding affinity) 차이에 관한 특징을 기반으로, 제1검출라인(125)에 고정된 제2항체와 표적물질 간 특이적 결합의 포화는 제2검출라인(126)에 고정된 제3항체와 표적물질 간 특이적 결합의 포화에 비해 먼저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마지막으로, 흡수 패드(128)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21) 상부에 검출막(124) 다음으로 순차 연결되는 형태로 부착되며, 검출막(124) 거친 잔존 검체 혹은 잔존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가 흡수된다.Finally, the
아울러, 흡수 패드(128)는 검체를 비롯한 모세관 현상에 기인한 각종 이동 물질들의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갖춘 본 발명의 광범위 체외 진단 키트(100)는 고농도 검체를 이용해 체외 진단을 수행하더라도 검체 내 표적물질의 정량화가 높은 신뢰도를 갖추어 수행될 수 있어, 정확한 정량화가 가능한 검체의 농도 범위를 저농도에서 고농도까지 광범위하게 넓힐 수 있다. The extensive in vitro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는 진단 키트 몸체(110)로부터 진단 스트립(120)의 진단 진행방향(진단 판독창(110W) 측) 반대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백혈구 계수를 위한 혈액 검체의 단층화가 이루어지는 챔버 구성이다.The
이를 위해,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는 내부로 유입된 혈액 검체(B)가 퍼지며 수집될 수 있는 단층화 공간(130T) 및 검체 투입구(110H)에 주입된 혈액 검체 일부가 단층화 공간(130T)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입되도록 검체 투입구(110H)와 단층화 공간(130T)을 연결하는 캐필러리(Capillary) 관(130C)이 내부에 구비된다. To this end, the white blood
아울러,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는 단층화 공간(130T) 위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단층화 공간의(130T) 확인을 통한 백혈구 계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리와 같은 투명 재질의 커버에 해당하는 백혈구 계수 판독창(130W)이 상면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white blood
여기서, 캐필러리 관(130C)은 구조적 특성을 통해 모세관 현상을 유도하여 혈액 검체(B)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검체 투입구(110H) 및 단층화 공간(130T)에 비해 좁은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Here, the capillary tube (130C) i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the mobility of the blood sample (B) by inducing a capillary phenomenon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ming a narrow interior space compared to the sample inlet (110H) and the monolayer space (130T) do.
구체적으로, 캐필러리 관(130C)은 높이 및 폭의 수준이 0.5mm 내지 1.5mm의 범위 내에서 마련(가장 바람직하게는 1.0mm로 마련)되어야 하며, 내부 공간이 원통형으로 마련될 경우 직경 수준이 0.5mm 내지 1.5mm의 범위 내에서 마련(가장 바람직하게는 1.0mm로 마련)되어야 한다.Specifically, the
이는 검체 투입구(110H)의 제2공간(T2)으로 주입 후 이동된 혈액 검체(B)의 모세관 력이 기인한 캐필러리 관(130C) 내부로의 유입 및 이동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구조적 특징이다. This is a structural feature for effectively generating inflow and movement into the capillary tube (130C) due to the capillary force of the blood sample (B) moved after injection into the second space (T2) of the sample inlet (110H). .
아울러, 검체 투입구(110H)의 개방공간(특히, 제2공간(T2)) 및 단층화 공간(130T)은 캐필러리 관(130C)에 비해 더 넓고 큰 형태로 마련된다.In addition, the open space (in particular, the second space (T2)) and the tomography space (130T) of the sample inlet (110H) is provided in a wider and larger form than the capillary tube (130C).
구체적으로, 단층화 공간(130T)은 높이의 수준이 0.5mm 내지 1.5mm의 범위 내에서 마련(가장 바람직하게는 1.0mm로 마련)되어야 하며. 폭의 수준이 1.5mm를 초과하여 마련되어야 한다.Specifically, the
특히, 단층화 공간(130T)의 높이 수준은 0.5mm 내지 1.5mm의 범위 내에서 마련(가장 바람직하게는 1.0mm로 마련)되어야 효과적으로 백혈구의 단층화가 이루어지고, 이를 초과할 경우 단층화 공간(130T)의 관찰 및 백혈구 계수 시, 혈액 내 타 성분이 백혈구와 쉽게 겹쳐져 단층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백혈구 계수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못 미치는 미만일 경우 백혈구가 골고루 퍼지지 못해 단층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백혈구 계수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 height level of the
이와 같이 검체 투입구(110H)의 제2공간(T2)으로부터 캐필러리 관(130C)을 통해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 내 단층화 공간(130T)으로 유입 이동된 혈액 검체(B)는 단층화를 이루며 골고루 퍼지게 되고, 소정의 시작이 경과 후, CCD 카메라와 같은 별도의 이미징(Imaging) 장치를 이용해 백혈구 계수 판독창(130W)으로 확인 가능한 단층화 공간(130T)에 단층화된 혈액 검체(B)의 백혈구를 계수(Count)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lood sample B moved from the second space T2 of the
다시 말해, 형광 현미경 또는 CCD 카메라와 같은 별도의 이미징 촬상 장치를 이용해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의 단층화 공간(130T) 내 유입후 단층화 처리된 혈액 검체(B)를 백혈구 계수 판독창(130W) 통해 촬상 또는 직접 관찰한 뒤, 특정 파장 혹은 신호 영역의 감지를 통해 특정 영역 내 백혈구의 수를 계산하거나, 직접적으로 특정 영역 내 백혈구의 수를 계산하여 해당 비율을 이용해 전체 백혈구의 수준을 산정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using a separate imaging imaging device such as a fluorescence microscope or a CCD camera, the blood sample B, which has been tomographically processed after inflow into the
즉, 본 발명의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100)는 진단 키트 몸체(110) 및 진단 스트립(120)을 통해 측면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이용한 혈액 검체 내 표적물질의 진단 및 정량화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백혈구 계수용 챔버(130)를 통해 백혈구 계수를 위한 혈액 검체 내 백혈구의 단층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in vitro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
110 : 진단 키트 몸체
110H : 검체 투입구
110W : 진단 판독창
120 : 진단 스트립
121 : 지지체
122 : 샘플 패드
123 : 컨쥬게이션 패드
124 : 검출막
125 : 제1검출라인
126 : 제2검출라인
127 : 대조라인
128 : 흡수 패드
130 : 백혈구 계수용 챔버
130T : 단층화 공간
130C : 캐필러리 관
130W : 백혈구 계수 판독창
B : 혈액 검체100: in vitro diagnostic kit with white blood cell counting chamber
110: diagnostic kit body
110H:
120: diagnostic strip
121: support 122: sample pad
123: conjugation pad 124: detection film
125: first detection line 126: second detection line
127: Control line 128: Absorption pad
130: white blood cell counting chamber
130T:
130W: Leukocyte count reading window
B: blood sample
Claims (7)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가 주입되는 소정의 개방공간을 제공하는 검체 투입구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상의 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 판독창이 상면에 구비되고, 혈액 검체의 흡수를 위한 상기 진단 스트립의 샘플 패드가 상기 검체 투입구의 개방공간 일부에 노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을 포함하는 상기 진단 스트립의 검출막이 상기 진단 판독창 아래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진단 스트립이 내부에 설치되는 진단 키트 몸체; 및
상기 진단 키트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진단 스트립의 진단 진행방향 반대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유입된 혈액 검체가 퍼지며 수집될 수 있는 단층화 공간 및 상기 검체 투입구에 주입된 혈액 검체 일부가 상기 단층화 공간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유입되도록 상기 검체 투입구 및 상기 단층화 공간을 연결하는 캐필러리(Capillary) 관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단층화 공간 위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단층화 공간의 확인을 통한 백혈구 계수가 가능하도록 백혈구 계수 판독창이 상면에 구비되는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
A diagnostic strip including at least one test line;
A sample inlet providing a predetermined open space into which a blood sample including a target substance and leukocytes is injected and a diagnostic reading window for confirming a diagnosis result on the at least one detection line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for absorbing the blood sample, A diagnostic kit in which the diagnostic strip is installed inside such that the sample pad of the diagnostic strip is exposed to a part of the open space of the sample inlet and the detection film of the diagnostic strip including the at least one detection line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below the diagnostic reading window. Body; And
I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body of the diagnostic kit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iagnostic progression direction of the diagnostic strip, and a portion of a blood sample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and a layer of a single layer into which the inflowed blood sample can be collected and capillaries are introduced into the layer. A capillary tube connecting the sample inlet and the monolayer space so as to be introduced by the phenomenon is provided therein, and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over the monolayer space so that the white blood cell count is possible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monolayer sp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ukocyte counting chamb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ding window;
In vitro diagnostic kit with chamber for leukocyte counting.
상기 진단 스트립은,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검체 투입구로 주입된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 일부가 흡수되는 상기 샘플 패드;
상기 샘플 패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표적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션(Conjugation) 패드;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표적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고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라인을 포함하는 상기 검출막; 및
상기 검출막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검출막을 거친 잔존 검체가 흡수되는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diagnostic strip,
Support;
The sample pad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 portion of the blood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material and white blood cells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is absorbed;
A conjugation pad comprising a first antibody attached to the support in a form that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sample pad, specifically bound to the target substance, and a labeling substance conjugated thereto;
The at least one detection line that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in a form that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onjugation pad, and the antibody to which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specifically binds, is immobilized. Detection film; And
It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in a form that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detection film, the absorption pad is absorbed by the remaining sampl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tection fil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 vitro diagnostic kit with chamber for leukocyte counting.
상기 진단 키트 몸체는 상기 검체 투입구의 개방공간이 상기 샘플 패드가 노출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공간 외의 나머지에 해당하는 제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검체 투입구로 주입된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 중 상기 제1공간으로 이동된 일부는 상기 샘플 패드에 흡수되어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 검출막 및 흡수패드를 순차적으로 거치고,
상기 검체 투입구로 주입된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 중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된 나머지는 상기 캐필러리 관을 통해 상기 백혈구 계수용 챔버의 상기 단층화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of the diagnostic kit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in which the open space of the sample inlet is exposed to the sample pad and a second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st other than the first space,
A portion of the blood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substance and white blood cells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is moved to the first space is absorbed by the sample pad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conjugation pad, detection membrane and absorption pad,
The rest of the blood sample including the target material and white blood cells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is moved to the second space and is introduced into the tomographic space of the white blood cell counting chamber through the capillary tube.
In vitro diagnostic kit with chamber for leukocyte counting.
상기 진단 키트 몸체의 상기 검체 투입구로 주입되는 표적물질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는 적혈구 용혈 전처리 과정을 거쳐 검체 내 적혈구가 제거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
According to claim 3,
A blood sample including a target substance and leukocytes injected into the sample inlet of the body of the diagnostic k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in a state where red blood cells in the sample are removed through a pre-treatment process of erythrocyte hemolysis.
In vitro diagnostic kit with chamber for leukocyte counting.
상기 검출막은,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2항체가 고정된 제1검출라인;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3항체가 상기 제1검출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제2검출라인; 및 상기 제1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4항체가 상기 제2검출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대조(Control)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막은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 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검출라인, 상기 제2검출라인 및 상기 대조라인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
According to claim 2,
The detection film may include: a first detection line to which a second antibody to which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specifically binds is fixed; A second detection line fixed at a position where a third antibody, to which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specifically binds,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tection line; And a control line in which a fourth antibody to which the first antibody specifically binds is fix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etection line.
The detection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etection line, the second detection line and the control line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basis of the conjugation pad side.
In vitro diagnostic kit with chamber for leukocyte counting.
상기 제1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2항체 및 상기 제2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3항체는 동일한 항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antibody fixed to the first detection line and the third antibody fixed to the second detection line are provided with the same antibody.
In vitro diagnostic kit with chamber for leukocyte counting.
상기 제1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2항체 및 상기 제2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3항체는 상이한 항체로 마련되어 상기 제2항체의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 부위는 상기 제3항체의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 부위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혈구 계수용 챔버를 구비한 체외 진단 키트.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antibody immobilized on the first detection line and the third antibody immobilized on the second detection line are made of different antibodies and target the target material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of the second antibody. The specific binding si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specific binding site for the target substance specifically bound to the first antibody of the third antibody.
In vitro diagnostic kit with chamber for leukocyte count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3257A KR20200086905A (en) | 2019-01-10 | 2019-01-10 | In-vitro diagnostic kit having chamber for counting leukocy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3257A KR20200086905A (en) | 2019-01-10 | 2019-01-10 | In-vitro diagnostic kit having chamber for counting leukocy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6905A true KR20200086905A (en) | 2020-07-20 |
Family
ID=7183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3257A Abandoned KR20200086905A (en) | 2019-01-10 | 2019-01-10 | In-vitro diagnostic kit having chamber for counting leukocy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8690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9013B1 (en) * | 2020-11-16 | 2021-12-14 | 주식회사 옵티바이오 | In-vitro diagnostic kit capable of quantitating mmp-8 in amniotic fluid specimen |
KR20240070098A (en) * | 2022-11-14 | 2024-05-21 | 주식회사 큐에스택 | Diagnostic kit |
-
2019
- 2019-01-10 KR KR1020190003257A patent/KR20200086905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9013B1 (en) * | 2020-11-16 | 2021-12-14 | 주식회사 옵티바이오 | In-vitro diagnostic kit capable of quantitating mmp-8 in amniotic fluid specimen |
KR20240070098A (en) * | 2022-11-14 | 2024-05-21 | 주식회사 큐에스택 | Diagnostic kit |
WO2024106695A1 (en) * | 2022-11-14 | 2024-05-23 | 주식회사 큐에스택 | Diagnosis k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233892B (en) | Magnetic microparticle chemiluminescence double layer micro fluidic chip for whole blood sample detection | |
US8859267B2 (en) | Chip for optical analysis | |
CN105241871B (en) | A kind of magnetic microparticle chemiluminescence micro-fluidic chip for whole blood sample detection | |
JP4918591B2 (en) | Directional flow assay device | |
US20110045505A1 (en) | Integrated separation and detection cartridge with means and method for increasing signal to noise ratio | |
CN105259163B (en) | The direct chemiluminescence micro-fluidic chip of magnetic particle for whole blood sample detection | |
US20060240569A1 (en) | Semi-quantitative immunochromatographic device | |
KR100910982B1 (en) | System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glycated hemoglob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ing the same | |
KR20170007773A (en) | Synthetic thread based lateral flow immunoassay | |
JP2012127696A (en) | Analyzer and analyzing method | |
US8445212B2 (en) | Microfluidic structure for detecting biomolecule and microfluid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20210021316A (en)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signal-amplification of lateral flow analyzers | |
KR20190058357A (en) | A wide range of in-vitro diagnostic kit capable of quantitating target substance in high concentration specimen | |
KR20120088342A (en) | Diagnostic stri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CN201707336U (en) | Test strip device for fast and quantitatively detecting first cardiac troponin | |
KR20200086905A (en) | In-vitro diagnostic kit having chamber for counting leukocyte | |
US20220357320A1 (en) | Two-layer microfluidic chip with magnetic bead luminescence and detection system | |
KR102244375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analyte by simultaneous movement of particles and solution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106796224B (en) | Test strip assembly | |
KR20160120675A (en) | Rapid Quantitative Diagnostic Kit | |
JP2018138931A (en) | Method for measuring plasma protein by immunochromatography | |
KR102065001B1 (en) | Transparent immunoass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02543112B1 (en) | Method for detecting particles of a target substance contained in a small amount in a fluid sample | |
US20240050946A1 (en) | Biosensor Chip | |
EP3797867B1 (en) | Evanescence biosensor for blo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03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2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