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550A - Flower pot hanger - Google Patents
Flower pot 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6550A KR20200086550A KR1020190002894A KR20190002894A KR20200086550A KR 20200086550 A KR20200086550 A KR 20200086550A KR 1020190002894 A KR1020190002894 A KR 1020190002894A KR 20190002894 A KR20190002894 A KR 20190002894A KR 20200086550 A KR20200086550 A KR 202000865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vegetation water
- tank
- flower pot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 of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분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 저장부 및 식생포트부를 포함하며, 거치수단에 걸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거치가 용이하고, 제 1탱크가 저장부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저장부에 식생수를 공급에 용이하며, 제 2탱크가 제 1 또는 제 2무화노즐과 공급호스로 연결되어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할 수 있고, LED와 함께 작동하여 시각적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화분걸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hanger, and more specifically, includes a body part, a storage part and a vegetation port part, and a hollow is formed so as to be hung on a mounting means, so that it is easy to mount, and the first tank is spaced upward from the storage part. It is easy to supply vegetation water to the storage part provided at the location, and the second tank is connected to the first or second atomization nozzle and the supply hose to spray atomized vegetation water. It is about a flower pot hanger that improves persimmon.
일반적으로 화분은 화분(花盆, 영어: flowerpot, flower pot 또는 plant pot)은 꽃과 다른 식물을 심어서 가꾸는 그릇을 가리키는 것으로 화분이 인간안정, 주위환경 등을 미화시키는데 매우 유익한 역할을 한다. 화분은 식물이 심어진 화분 용기를 받침 접시에 얹은 상태로 아파트 또는 주택의 베란다, 거실, 방, 또는 오피스 빌딩 등의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 놓여져 주위 분위기를 고양시키거나 주변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는데 이용된다. 그에 따라 사람들은 멀리 가지 않고도 일상의 주위에서 식물들을 가꾸면서 정서적으로 풍요로움을 느끼거나 수목이나 초화류 등의 식물에서 내뿜는 자연 아로마 공기를 마실수 있게 된다.In general, a pot is a pot (花盆, English: flowerpot, flower pot or plant pot) refers to a pot planting and planting flowers and other plants, and the pot plays a very beneficial role in beautifying human stabilit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otted plants are placed on indoor or outdoor spaces in the veranda, living room, room, or office building of an apartment or house in a state where a potted plant in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is placed on a saucer to be used to enhance the surrounding atmosphere or to decora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a result, people can feel emotional abundance while taking care of plants around their daily lives without going away, or they can drink natural aroma air from plants such as trees and flowers.
이러한 화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나은 기술을 접목되어 다양하게 발달되어 왔다. 특히 종래의 기술로서 식물의 종류에 따라 보통식물에 나뉘어 적당량의 물을 공급해주거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두는 등 물갈이 또는 설치가 용이하며 운반하기 편리한 기술이 그것이다. 또한 심미적으로 더 나은 효과를 갖기 위해 손잡이를 부착하여 벽이나 못에 걸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었다. These pot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by grafting better technology over time. In particular, it is a conventional technology that is easy to change or install and transport, such as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or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In addition, in order to have an aesthetically better effect, it has been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that can be attached to a wall or nail by attaching a handle.
위의 언급한 기술과 관련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Prior art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ology is as follows.
상기 선행기술은 이중화분(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973호)으로 일정부피의 내부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담기는 흙의 상면 높이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의 측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공이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적어도 두 개의 확장걸이를 갖는 내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내부용기의 유통공 보다 높게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상부 테두리에 상기 내부용기의 저부가 내부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떠 있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는 플랜지부를 갖는 외부용기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용기의 측벽에 형성되는 유통공을 제공하여, 미리 외부용기 내에서 수분과 비료 등과 같은 영양제의 농도를 희석시켜 상기 유통공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내부용기 내의 수생식물의 뿌리로 스며들게 하여 수생 식물의 원활한 발육을 가능하는 장점이 있다.The prior art is a double flower pot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9973), which has a certain volume of internal space and an open top, and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soil contained therein. At least one distribution hol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ormed and has an inner container having at least two extension hooks radially outwardly on the upper rim and an inner space detachably accommodating the inner container, and an upper part is formed, Consists of an outer container having a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so that water can be stored higher than the distribution hole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floats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inner bottom to the upper rim and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inner container. Advantages of providing a distribution hole, diluting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such as moisture and fertilizer in an external container in advance to infiltrate the roots of aquatic plants in the internal container indirectly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There is this.
다른 선행기술로서 기능성 화분(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4511호)은 본체 상부의 개구 안쪽에 분화가 심어진 용기를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구 둘레 양측을 연결하도록 상기 개구 상부 쪽에 형성되는 손잡이에 분화의 꽃대가 걸려 지지되도록 걸이홈이 형성되며, 분화의 잎 쪽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엘이디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화를 실내에 배치한 경우에도 엘이디모듈을 통해 분화 잎의 광합성 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되고, 걸이홈을 통해 분화의 꽃대가 항시 바르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분화잎에서 형성된 에너지원이 분화 꽃으로 장기간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되므로, 분화의 관상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As another prior art, a functional flower pot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64511)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withdraw the container in which eruption is planted inside the opening on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opening. A hook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flower stand of the eruption is supported by the handle formed, and includes an LED module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leaf of the eruption. Even when the eruption is placed indoors, the photosynthesis of the eruption leaf through the LED module It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through the hook groove, the flower stand of the eruption can always be properly fixed, so that the energy source formed from the eruption leaf can be supplied smoothly to the eruption flower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has the effect of extending effectively.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식물의 원활한 발육이 가능하게 하나 화분으로서 심미적으로 부족한 단점이 있으며, 다른 선행기술은 식물의 종류에 따른 수분공급을 위한 구성에 있어서 미흡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simply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able to develop plants smoothly, but has a disadvantage of being aesthetically insufficient as a pot, and the other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of insufficient composition in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거치수단에 걸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거치할 수 있는 화분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erpot hanger that can be mounted is formed so as to be hung on the mounting mean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 1탱크가 저장부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화분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er pot hanger provided in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tank.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 2탱크가 제 1 무화노즐 또는 제 2무화노즐과 연결되는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하는 화분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 hanger for spraying atomized vegetation water in which the second tank is connected to the first atomizing nozzle or the second atomizing nozz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화분걸이는 거치수단에 걸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식생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연동되게 결합구가 형성된 저장부와, 상기 결합구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수용된 식생매트에 식생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종자가 식생되는 식생매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식생공간이 형성되는 식생포트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chieve th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pot hanger has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hollow so as to be hung on a mounting means, and an internal space inside to accommodate vegetation water as being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It is provided, the storage portion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inner space,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inserted separably from the coupler and allowing vegetation water to flow into the vegetation mat accommodated therein. It includes a vegetation port portion in which the vegetation space is formed so that the vegetation mat to be vegetation can be inserted.
상기 본체부는 시각적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외부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램프가 설치된다.At least one LED lamp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visually improve aesthetics and generate light to the outside.
상기 저장부는 관리자가 내부공간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투시창이 형성된다.The storage unit is formed with a see-through window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observe the state of the inner space.
식생수를 저장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식생수 공급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생수가 수용된 제 1탱크와, 상기 제 1탱크에 수용된 식생수가 상기 식생포트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탱크와 식생포트부에 연결된 제 1연결호스로 구비된다.In order to supply vegetation water to the storage unit, a vegetation water supply unit is further provided, and the first tank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storage unit, and the vegetation water accommodated in the first tank is accommodated therein. It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hose connected to the first tank and the vegetation port portion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vegetation port portion.
상기 식생수 공급부는 내부에 식생수가 수용된 제 2탱크와, 상기 결합구에 대항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에 결합된 상기 식생포트부에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하는 제 1무화노즐과, 상기 제 2탱크에 수용된 식생수를 상기 제 1무화노즐로 공급하는 공급부재로 구비된다.The vegetation water supply unit is a first tank for spraying atomized vegetation water to the second tank in which vegetation water is accommodated inside, and the vegetation port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port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ort. It is provided with a nozzle and a supply member for supplying vegetation wat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tank to the first atomizing nozzle.
상기 식생수 공급부는 상기 저장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포트부의 외면에 다수의 관통구로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하는 제 2무화노즐과, 상기 제 2탱크에 수용된 식생수를 상기 제 2무화노즐로 공급하는 제 3연결호스를 구비한다.The vegetation water supply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the second atomization nozzle for spraying atomized vegetation water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unit, and the vegetation water received in the second tank to the second atomization nozzle A third connecting hose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화분걸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o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본 발명은 거치수단에 걸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거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1)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hollow is formed so that it can be fastened to the mounting means, so that the mounting is easy.
(2) 본 발명은 제 1탱크가 저장부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자동적으로 저장부에 식생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2)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first tank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storage portion, and can automatically supply vegetation water to the storage portion.
(3) 본 발명은 제 2탱크가 제 1무화노즐 또는 제 2무화노즐과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식생수를 식물의 이파리에 분사할 수 있으며, 가습효과가 있다.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ank is connected to the first atomizing nozzle or the second atomizing nozzle by a connecting hose to spray vegetation water onto the leaves of the plant, and has a humidifying effect.
(4) 본 발명은 LED가 작동하여 시각적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4)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aesthetic sense visually by operating the L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탱크와 식생포트부에 연결된 연결호스로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탱크가 제 1 또는 제 2무화노즐과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창이 구비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connected by a connecting hose connected to the first tank and the vegetatio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second tan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or second atomizing nozzle.
5 is a view showing a form provided with a viewing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a flowerpot 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ure form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actual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탱크와 식생포트부에 연결된 연결호스로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탱크가 제 1 또는 제 2무화노즐과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창이 구비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hang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connected by a connecting hose connected to a tank and a vegetation port part,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second t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irst or second atomizing nozzle,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form provided with a viewing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below.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화분걸이(1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 pot hanger (10).
상기 화분걸이(10)는 거치수단에 걸 수 있도록 본체부(100)와, 식생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공간(201)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연통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부(200)와, 내부에 종자가 식생되는 식생매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식생공간이 형성되는 식생포트부(300)가 구비된다.The
상기 본체부(100)는 환형이나 동그란 형상으로, 가구나 벽면에 마련된 못이나 가구의 모서리와 같은 거치수단에 걸 수 있도록 중공(120)이 형성된다.The
상기 본체부(100)는 시각적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외부로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에 다수의 엘이디 램프(110)가 설치된다. 경우에 따라서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저장부(2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부(100)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공간(201)에 연통되게 결합구(210)가 형성된다.The
상기 결합구(210)는 저장부(200)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식생포트부(300)는 결합구(21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수용된 식생매트에 식생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관통구(310)가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The
또한 식생포트부(300)는 상부 끝단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턱(320)이 형성되며, 상기 식생포트부(300)가 결합구(210)에 삽입시 저장부(200)의 상면에 걸치게 된다.In addition, the
식생포트부(300)는 결합턱(320)에 의해 상단부가 저장부(200) 외부로 노출되게 내부공간에 대한 인입 깊이가 제한된다. The
따라서, 사용자가 저장부(200)에 식생수를 직접적으로 공급하면, 저장부(200) 내부에 식생수가 저장된다. 이때 결합구(210)에 삽입된 삽입된 식생포트부(300)의 하단부가 식생수에 잠길 수 있도록 저장부(200)에 소정의 양의 식생수를 주입한다. 상기 주입된 식생수는 식생포트부(300)의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310)를 통해 식생포트부(300) 내부로 유입되어 식생매트에 공급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directly supplies vegetation water to the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수 공급부(400)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a vegeta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상기 식생수 공급부(400)는 내부에 식생수가 수용된 제 1탱크(410)와, 상기 제 1탱크(410)에 수용된 식생수가 상기 식생포트부(3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 1연결호스(420)를 구비한다.The vegetation
상기 제 1탱크는(410)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서 저장부(200)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된다.The
상기 제 1탱크(41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식생포트부(300)로 식생수가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탱크(410)는 부식을 부식을 방지하고, 무게가 가볍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상기 제 1연결호스(420)는 제 1탱크(410)와 식생포트부(300)를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제 1연결호스(420)는 식생포트부(300)로만 연결되도록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저장부(200)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연결호스(420)는 부식을 방지하고, 무게가 가볍도록 일반고무 또는 합성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nnecting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식생수 공급부(400)는 사용자가 제 1탱크(410)에 식생수를 공급하면, 제 1연결호스(420)를 통해 식생포트부(300)의 내부로 식생수가 이동되고, 상기 식생포트부(300) 내부의 식생매트로 식생수가 공급된다.In this way, the vegetation
한편, 제 1연결호스(420)가 저장부(200)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제 1탱크(410)에 저장된 식생수가 저장부(200)로 유입된다. 이때 결합구(210)에 삽입된 식생포트부(300)의 하단부가 식생수에 잠길 수 있도록 저장부(200)에 소정의 양의 식생수가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식생수는 식생포트부(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310)를 통해 저장부(200)에 수용된 식생수가 식생포트부(300) 내부로 유입되어 식생매트에 공급된다.Meanwhile, when th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수 공급부(500)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4, a vegetation
상기 식생수 공급부(500)는 내부에 식생수가 수용된 제 2탱크(430)와, 상기 결합구(210)에 결합된 상기 식생포트부(300)에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하는 제 1무화노즐(440)과, 상기 제 2탱크(430)에 수용된 식생수를 상기 제 1무화노즐(440)로 공급하는 공급부재(450)를 구비한다.The vegetation
상기 제 2탱크(430)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서 저장부(200)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된다.The
상기 제 2탱크(430)는 식생수가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탱크(430)은 부식을 부식을 방지하고, 무게가 가볍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제 1무화노즐(440)은 단부에 초음파 발진기(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포트부(300)로 분사되는 식생수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여 무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무화노즐(440)은 식생수를 무화하여 분사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 제 1무화노즐(440)은 상기 결합구(210)에 대항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된다.The
상기 제 1무화노즐(44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식물의 이파리나 식생포트부(300) 하방으로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하거나 허공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 상부를 제외한 일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상기 공급부재(450)는 제 2연결호스(452), 펌프(454) 및 배터리 수단(미도시)등을 포함한다.The
상기 제 2 연결호스(452)는 제 2탱크(430)와 제 1무화노즐(440)을 연결되며, 제 2탱크(430)에 수용된 식생수를 제 1무화노즐(440)로 공급한다.The second connecting
상기 펌프(454)는 제 2탱크(430)와 제 1 무화노즐(440) 사이의 제 2연결호스(452)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탱크(430)에 수용된 식생수를 제 1무화노즐(440)로 공급되도록 작동한다.The
상기 배터리 수단은 외부와 연결 가능하도록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부(100) 펌프(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battery means is installed inside the
상기 제 1 무화노즐(400)로 식생수 공급은 제 2탱크(430)의 저장된 식생수가 배터리 수단(456)에 의해 공급된 전력을 통해 펌프(454)를 작동시켜, 제 1무화노즐(440)로 공급된다.To supply the vegetation water to the
이와같이 상기 식생수 공급부(500)는 사용자가 상기 식생수 공급부(500)의 제 2탱크(430)을 통해 식생수를 공급하면, 공급부재(450)에 의해 제 1무화노즐(440)로 공급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upplies vegetation water through the
이때, 상기 제 2무화노즐(440) 끝단의 초음파 발진기를 통해 인가된 초음파 진동으로 무화된 식생수가 식물의 이파리나 식생포트부(300) 방향으로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되어 식생수가 공급되며, 공급된 식생수는 식물의 이파리가 생기있게 보이도록 하며, 허공으로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하여, 방안이나 특정한 공간에서 가습효과를 갖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atomized vegetation water by ultrasonic vibration applied through the ultrasonic oscillator at the end of the
한편, 상기 식생수 공급부(500)는 상기 식생포트부(300)의 외면에 다수의 관통구(310)로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하는 제 2무화노즐(460)과, 상기 제 2탱크(430)에 수용된 식생수를 상기 제 2무화노즐(460)로 공급하는 제 3연결호스(470)를 더 구비한다.Meanwhile, the vegetation
상기 제 2무화노즐(460)은 단부에 초음파 발진기(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포트부(300)로 분사되는 식생수에 초음파 진동을 인가하여 무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무화노즐(440)은 식생수를 무화하여 분사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 제 2무화노즐(460)은 저장부(200)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저장부(2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 3연결호스(470)는 제 2탱크(430)와 식생포트부(300)를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식생포트부(300)로만 연결되도록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저장부(200)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연결호스(470)는 부식을 방지하고, 무게가 가볍도록 일반고무 또는 합성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connecting
이와같이 상기 식생수 공급부(500)는 식물의 뿌리에 제한된 식생수를 공급하거나 과도한 식생수 공급이 지양될 때 사용되며, 사용자가 상기 식생수 공급부(500)의 제 2탱크(430)을 통해 식생수를 공급하면, 제 2탱크(430)와 제 2무화노즐(460)을 연결하는 제 3연결호스(470)로 식생수가 공급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egetation
이때, 제 2무화노즐(460) 끝단의 초음파 발진기를 통해 인가된 초음파 진동으로 무화된 식생수가 식생포트부(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310)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소량의 식생수를 분사하여 공급한다.At this time, the atomized vegetation water through the ultrasonic vibration applied through the ultrasonic oscillator at the end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00) 일측에 투시창(220)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a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투시창(220)은 저장부(100), 제 1탱크(410) 및 제 2탱크(430)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투시창(220)은 형성된 위치에 커버(미도시)가 더 구비되며, 상기 투시창(220)을 덮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폐하여 사용한다.The see-through
이와같이 상기 투시창(220)은 사용자가 내부공간의 상태, 예를 들면, 식생수 또는 종자 또는 종자의 뿌리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way, th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 : 화분걸이
100 : 본체부
110 : 엘이디 램프
200 : 저장부
210 : 결합구
300 : 식생포트부
310 : 관통구
400 : 식생수 공급부
410 : 제 1탱크
420 : 제 1연결호스
430 : 제 2탱크
440 : 제 1무화노즐
460 : 제 2무화노즐
470 : 제 3연결호스10: flower pot hanger 100: main body
110: LED lamp 200: storage unit
210: coupling port 300: vegetation port part
310: through hole 400: vegetation water supply unit
410: 1st tank 420: 1st connection hose
430: second tank 440: first atomizing nozzle
460: 2nd atomizing nozzle 470: 3rd connecting hose
Claims (6)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식생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연동되게 결합구가 형성된 저장부와;
상기 결합구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에 수용된 식생매트에 식생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종자가 식생되는 식생매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식생공간이 형성되는 식생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A body part having a hollow formed to be hung on the mounting means;
As being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 internal space is provided inside to accommodate vegetation water, and a storage unit having a coupling hole interlocked with the internal space;
A vegetation port that is detachably inserted from the coupling hole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llow vegetation water to flow into the vegetation mat accommodated therein, and a vegetation space to form a vegetation mat for seed vege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Flower pot hanger.
상기 본체부는 시각적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외부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LED lamp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to improve the visual aesthetic sense, and to generate light to the outside
Flower pot hanger.
상기 저장부는 관리자가 내부공간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투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viewing windo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observe the state of the interior space
Flower pot hanger.
식생수를 저장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식생수 공급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생수가 수용된 제 1탱크와;
상기 제 1탱크에 수용된 식생수가 상기 식생포트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탱크와 식생포트부에 연결된 제 1연결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supply vegetation water to the storage unit, a vegetation water supply unit is further provided,
A first tank installed in the main body part spaced apart from the storage part and accommodating vegetation water therein;
And a first connecting hose connected to the first tank and the vegetation port part so that the vegetation water accommodated in the first tank can be supplied to the vegetation port part.
Flower pot hanger.
상기 식생수 공급부는
내부에 식생수가 수용된 제 2탱크와;
상기 결합구에 대항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구에 결합된 상기 식생포트부에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하는 제 1무화노즐과;
상기 제 2탱크에 수용된 식생수를 상기 제 1무화노즐로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The method of claim 4,
The vegetation water supply unit
A second tank containing vegetation water therein;
A first atomization nozzle installed on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position opposed to the coupling hole and spraying atomized vegetation water to the vegetation port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ly member for supplying the vegetation wat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tank to the first atomizing nozzle
Flower pot hanger.
상기 식생수 공급부는
상기 저장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포트부의 외면에 다수의 관통구로 무화된 식생수를 분사하는 제 2무화노즐과;
상기 제 2탱크에 수용된 식생수를 상기 제 2무화노즐로 공급하는 제 3연결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걸이.The method of claim 5,
The vegetation water supply unit
A second atomization nozzle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sprays atomized vegetation water to a plurality of through-hol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unit;
And a third connecting hose for supplying vegetation wat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tank to the second atomizing nozzle.
Flower pot hang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2894A KR102182589B1 (en) | 2019-01-09 | 2019-01-09 | Flower pot han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2894A KR102182589B1 (en) | 2019-01-09 | 2019-01-09 | Flower pot hang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6550A true KR20200086550A (en) | 2020-07-17 |
KR102182589B1 KR102182589B1 (en) | 2020-11-24 |
Family
ID=7183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2894A Active KR102182589B1 (en) | 2019-01-09 | 2019-01-09 | Flower pot 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258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303310A (en) * | 2024-05-17 | 2024-07-09 | 北京润丰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 Green planting irrigation system and irrigation method for landscaping and tube cul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2267B1 (en) * | 2021-08-06 | 2023-01-27 | (주)하톤 | Appratus for supporting interior lighting flowerpot |
KR102425568B1 (en) * | 2021-09-29 | 2022-07-27 | 허미숙 | Appratus for supporting interior lighting flowerpot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8814A (en) * | 2010-10-14 | 2012-04-24 | 서선덕 | Device for seedling culture plant growth during four season |
KR200465458Y1 (en) * | 2012-02-06 | 2013-02-22 | 주식회사 윤토 | Water supply means for potted plants equipped with picture frame |
KR200469973Y1 (en) | 2011-07-29 | 2013-11-25 | 박동진 | Dual flowerpot |
KR20130127652A (en) * | 2012-05-15 | 2013-11-25 | (주)모이라 | Exchange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cultivation module |
KR101364511B1 (en) | 2011-12-29 | 2014-02-20 |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 Inorganic surface preparation compound |
JP2015532839A (en) * | 2012-10-30 | 2015-11-16 | ジャン ファスゥク | Plant grower using artificial light |
KR20150141288A (en) * | 2014-06-09 | 2015-12-18 | 오상훈 | Smart flowerpot and smart flowerpot assembly including the flowerpot |
KR20160071615A (en) * | 2014-12-12 | 2016-06-22 | 박대득 | a native-type environmental mat |
KR101892977B1 (en) * | 2018-06-20 | 2018-08-30 | 권우진 | Flowerpot using water vapor |
-
2019
- 2019-01-09 KR KR1020190002894A patent/KR1021825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8814A (en) * | 2010-10-14 | 2012-04-24 | 서선덕 | Device for seedling culture plant growth during four season |
KR200469973Y1 (en) | 2011-07-29 | 2013-11-25 | 박동진 | Dual flowerpot |
KR101364511B1 (en) | 2011-12-29 | 2014-02-20 |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 Inorganic surface preparation compound |
KR200465458Y1 (en) * | 2012-02-06 | 2013-02-22 | 주식회사 윤토 | Water supply means for potted plants equipped with picture frame |
KR20130127652A (en) * | 2012-05-15 | 2013-11-25 | (주)모이라 | Exchange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cultivation module |
JP2015532839A (en) * | 2012-10-30 | 2015-11-16 | ジャン ファスゥク | Plant grower using artificial light |
KR20150141288A (en) * | 2014-06-09 | 2015-12-18 | 오상훈 | Smart flowerpot and smart flowerpot assembly including the flowerpot |
KR20160071615A (en) * | 2014-12-12 | 2016-06-22 | 박대득 | a native-type environmental mat |
KR101892977B1 (en) * | 2018-06-20 | 2018-08-30 | 권우진 | Flowerpot using water vap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303310A (en) * | 2024-05-17 | 2024-07-09 | 北京润丰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 Green planting irrigation system and irrigation method for landscaping and tube cul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2589B1 (en) | 2020-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50257424A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 |
US20080282610A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 |
KR102182589B1 (en) | Flower pot hanger | |
CN205667198U (en) | The gardens flower stand of rotary spray | |
KR20120022455A (en) | Automatic water-level controller for a basin | |
JP2010017153A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 |
KR100419903B1 (en) |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 |
CN200969786Y (en) | Bamboo cultivating plant container | |
CN206118536U (en) | Vegetables device cultivated in a pot | |
CN212393502U (en) | Water-building purple pottery water culture device with atomization and humidification functions | |
CN201061213Y (en) | Flower humidification disk | |
CN211379007U (en) | Indoor landscape ecological device | |
CN205912626U (en) | Multifunctional plant planting device | |
KR20180003077A (en) | Technical bed | |
CN209594370U (en) | A kind of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plant culture water-distributing device | |
KR20120074429A (en) | Plant cultivation containers | |
CN207022659U (en) | A kind of afforestation plant growing pot | |
KR20110109131A (en) | Picture frame with watering device | |
CN208063924U (en) | Multifunctional flowerpot | |
CN2265671Y (en) | Multifunctional craft flower pot | |
KR200404327Y1 (en) | The flowerpot for vegetable cultivation | |
JP3227028U (en) | Ornamental plant showcase | |
CN213427579U (en) | Hydroponic device with bryozoans | |
CN202635205U (en) | Hanging basin | |
KR200274703Y1 (en) | A well-ventilated & Beautiful flowerpot with two-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