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430A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oad - Google Patents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o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6430A KR20200086430A KR1020190002571A KR20190002571A KR20200086430A KR 20200086430 A KR20200086430 A KR 20200086430A KR 1020190002571 A KR1020190002571 A KR 1020190002571A KR 20190002571 A KR20190002571 A KR 20190002571A KR 20200086430 A KR20200086430 A KR 202000864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hock
- guide member
- buffer
- imp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3—Protecting devices located at the ends of barri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8—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mobil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용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나들목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 차도의 입구, 교각, 진입로 등에 설치된 중앙분리대나 가이드레일 등의 도로상의 고정구조물의 전방에 설치되어 정상 주행진로를 벗어난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되, 1차 완충 후 2차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설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차량 및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충격을 완충시키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마모된 격판 또는 가이드부재만을 교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방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격판에 의해 충격을 완충(1차)시킨 후 후방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격판에 의해 충격을 누적된 완충효과가 아닌 새로운 완충효과로 완충(2차)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차에 충격이 모두 완충될 경우 1차 완충을 위한 격판과 가이드부재만을 교체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더욱더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road, and in more detail, it is installed in front of a fixed structure on a road such as a median or a guide rail installed at a junction, a tunnel or an underground roadway, a pier, an access road, etc.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ing out of the driving path, the shock absorber for roads is designed to buffer shocks, and to provide a second shock and then a second shock, thereby protecting facilities and protecting vehicles and drivers. Is disclosed.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buffers the impac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replacing only the plate or guide member worn by the impact, and after buffering (primary) the impact by a plurality of plates located in the front. By buffering (secondary) the shock with a new buffering effect rather than the accumulated buffering effect by a plurality of plates located at the rea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proved buffering effect as well as to provide primary buffering when the impact is fully buffered in the primary. Since only the diaphragm and the guide member are replaced,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maintenance cost.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용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나들목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 차도의 입구, 교각, 진입로 등에 설치된 중앙분리대나 가이드레일 등의 도로상의 고정구조물의 전방에 설치되어 정상 주행진로를 벗어난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되, 1차 완충 후 2차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설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차량 및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road, and in more detail, it is installed in front of a fixed structure on a road such as a median or a guide rail installed at a junction, a tunnel or an underground driveway, a pier, an access road, etc.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the shock absorber for roads, which protects facilities and protects vehicles and drivers at the same time by buffering the impac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a vehicle outside the driving path, but by performing a first buffer and then a second buffer. .
최근 들어 경제적 규모의 확대 및 소득 증가로 인한 교통량의 급격한 팽창 및 차량 성능 향상에 따른 도로 교통의 고속화로 교통사고 발생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차량 단독 사고가 통계상으로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is increasing day by day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traffic volume due to the expansion of economic scale and the increase in income, and the speeding up of road traffic due to the improvement of vehicle performance. Among them, vehicle accidents are increasing rapidly in statistics.
따라서 고정구조물이 도로에 위치하는 경우 구조물의 전방에 충격완충장치가 설치되어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돌사고 발생 시에 운전자의 사상 및 차량의 심한 파손을 방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충격완충장치는 주로 도로의 분기점 또는 진입로 등에 설치된 중앙분리대나 가이드레일의 시작점에 설치되거나 교각의 하단부, 지하터널의 입구부 등에 설치된다.Therefore, when the fixed structure is located on the road, a shock absorbe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tructure to prevent the driver's accident and severe damage to the vehicle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due to driver's carelessness. It is installed at the starting point of a guide rail or a median separator installed at a branch point or a ramp, or at the lower part of a bridge pier or at the entrance of an underground tunnel.
일반적으로 종래의 충격완충장치는 다수 개의 타이어를 구조물의 전방에 적층시켜 설치하거나 타이어를 구조물의 측면에 매달아 위치시켰는데, 이러한 충격완충장치는 단순히 5~10개의 타이어를 끈으로 묶어 가드레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방에 설치한 것으로 차량 충돌 발생시 타이어가 튀어나가 다른 차량의 안전운행을 방해하게 되므로 오히려 안전사고를 더욱 확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a conventional shock absorber is install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ires in front of a structure or a tire is hung on the side of a structure, and such a shock absorber simply bundles 5 to 10 tires with a string to protect a guardrail or concrete. Since i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tructure, when a vehicle crashes, the tire jumps out and interferes with the safe operation of other vehicl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충격완충장치들이 안출되고 있는데, 그 일반적인 구성은 차량 충돌을 1차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구비된 충돌판과, 상기 완충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격판과, 충격완충장치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격판과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환봉 형상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판과 지지프레임의 사이에는 다양한 구조의 완충수단들이 위치하게 되는데, 대부분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완충수단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shock absorbers have recently been devised,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which is a collision plate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member for absorbing a vehicle collision primarily, and a plate installed behi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 It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hock absorber and comprises a support frame fixed to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rod-shaped guide members installed between the plate and the support frame. The cushioning means of the structure are positioned, and most of the cushioning means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re used.
하지만 상기와 같이 완충수단으로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스프링의 탄성 반발에 의한 2차 사고의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스프링의 탄성 반발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들이 필요하므로 충격완충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다른 완충수단을 사용하는 종래의 충격완충장치들도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spring as a shock absorber as described above, not only is the risk of a secondary accident due to the elastic rebound of the spring when the vehicle collides, but also a separate device for controlling the elastic rebound of the spring is needed to absorb the sho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cost to manufacture the device, and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ers using other buffer means have a complicated configuration, which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difficult to maintain.
또한 종래의 충격완충장치는 충격에 의하여 장치의 일부만 파손되더라도 충격완충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됨으로써 파손되지 않은 멀쩡한 부품을 포함한 장치의 전체를 교체해야 되므로 자원의 낭비와 교체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er has a problem in that even if only a part of the device is damaged by the impact, the function of the shock absorber is completely lost, and thus the entire device including the undamaged parts must be replaced. .
아울러 최근 우리나라 고속도로의 충격흡수시설의 기준이 상향 조정됨으로써기존의 충격완충장치보다 향상된 충격완충 기능을 갖으면서도 충격에 의해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는 충격완충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as the standards of shock absorbing facilities on Korean highways have recently been increase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hock absorber that can replace only parts damaged by an impact while having an improved shock absorbing function than existing shock absorber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충격완충장치는 완충수단의 탄성반발에 의한 2차 사고의 위험이 높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어려운 한편, 기존 설치구간에 완충효과를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완충부를 전, 후방 2개로 분리 설치하여 차량 충돌 발생시 전방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격판을 이용한 제1완충부에서 1차로 충격을 완충시킨 후 후방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격판을 이용한 제2완충부에서 2차로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2중으로 충격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후방의 제2완충부가 전방의 제1완충부보다 충격완충 기능을 크게 함으로써 차량충돌 등에 의한 충격을 제1완충부에서 좀더 부드럽게 1차 흡수시키고 제2완충부에서 완전히 흡수함으로써 차량이나 사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충격에 의해 장치의 일부가 파손되었더라도 파손된 완충부만을 교체함으로써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로용 충격완충장치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er has a high risk of secondary accidents due to elastic repulsion of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making manufacturing difficult as well as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shock absorbing effect in the existing installation section, and to solve this problem, the shock absorber is installed in two front and rear parts to solve this problem. After the shock is first buffered, the shock absorbing effect can be obtained in double by buffering the shock second in the second buffer using a plurality of diaphragms located at the rear, and the second shock absorber in the rear is the first shock absorber in the front. By making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larger, the impact from vehicle collisions, etc., is first gently absorbed by the first shock absorber and completely absorbed by the second shock absorber, thereby minimizing the impact on the vehicle or people, and part of the device is damaged by the shock.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hock absorber for roads that can reduce work time and cost by replacing only the damaged buffer pa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이 발생하는 제1완충부와 상기 제1완충부의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제1완충부의 완충작용이 없어진 후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이 발생하는 제2완충부와 상기 제2완충부(30)의 후방에 위치하고, 지면 또는 가이드레일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완충장치를 제시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buffer portion and the first buffer portion where the buffering action occurs while moving rearward, but after the buffering action of the first buffer portion disappears, the buffer is moved backwa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ck absorber for a ro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ing frame tha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완충부는 전후방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마모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격판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시 상기 제1마모부를 마모시키되, 상기 제1격판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충격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buff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a plurality of at least one first guide member and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member is forme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wea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guide member, and wears the first abrasion part when moving, and comprises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irst plate. Is don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완충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후방에 위치되고, 전후방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 제2마모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격판의 후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2가이드부재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격판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시 상기 제2마모부를 마모시키되, 상기 제2격판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충격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uff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guide member,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while at least one second guide member and the first plate formed with a second wear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guide member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guide member through which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and wear the second abrasion part when mov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hock-absorbing member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second plat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격판에는 제1관통홀의 하부에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to penetrate the second guide member.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충격완충장치는 차량 충돌에 의해 발생된 충격을 격판 또는 가이드부재가 마모되어 상기 충격을 순차적으로 완충시켜 차량의 심한 파손이나 운전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돌시 반발력에 의한 추가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shock absorber for a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s described above can not only reduce severe damage to the vehicle or injuries to the driver by sequentially cushioning the shock generat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due to the wear of a plate or guide member. ,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accidents due to the reaction forc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를 전, 후방 2개로 분리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충격을 완충시키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마모된 격판 또는 가이드부재만을 교체하게 되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방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격판에 의해 충격을 1차 완충시킨 후 후방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격판에 의한 새로운 완충효과로 2차 완충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2중의 충격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separately in the front and rear two shock absorbers in order to buffer the shock in order to replace only the worn plate or guide member by the impact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the plurality of plates located in the front After the shock is first buffere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proved double shock absorbing effect by second cushioning with a new buffering effect by a plurality of plates located at the rear.
또한 후방의 제2완충부가 전방의 제1완충부보다 충격완충 기능을 크게 함으로써 차량충돌 등에 의한 충격을 제1완충부에서 좀더 부드럽게 1차 흡수시키고 제2완충부에서 완전히 흡수하게 되어 차량의 파손이나 사람의 상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경미한 충격은 제1완충부에서 흡수하게 되어 충격에 의해 장치의 일부가 파손되었더라도 파손된 완충부만을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econd shock absorber in the rear increases the shock absorber function than the first shock absorber in the front, the first shock absorbs the shock caused by vehicle collisions more gently from the first shock absorber and completely absorbs the shock from the second shock absorber. Minimize the impact on human injury, and the slight impact is absorbed by the first buffer, so even if a part of the device is damaged by the impact, only the damaged buffer is replaced, making maintenance convenient and saving work time and cost. Can achieve th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완충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격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3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2격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완충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완충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2충격완충부재와 제1, 2가이드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7의 (c), (d)는 본 발명의 제1, 2충격완충부재와 제1, 2가이드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격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b)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s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7 (c) and (d)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s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로용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나들목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 차도의 입구, 교각, 진입로 등에 설치된 중앙 분리대나 가이드레일 등의 도로상의 고정구조물의 전방에 설치되어 정상 주행진로를 벗어난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켜 시설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차량 및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경미한 충격은 제1완충부(20)에서 흡수하되 보다 큰 충격은 제1완충부(20)에 의해 1차 완충작용 후 제1완충부(20)의 완충작용이 사라진 후 제2완충부(30)에 의해 2차 완충작용으로 완전히 흡수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돌에 의해 파손된 격판과 가이드부재만을 교체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로용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road, and in more detail, it is installed in front of a fixed structure on a road such as a central separator or a guide rail installed at a junction, a tunnel or an underground driveway, a pier, an access road, etc.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a vehicle outside the driving path, the shock is buffered to protect the facilities and to protect the vehicle and the driver, while a slight impact is absorbed by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후방으로 이동되며 완충작용이 발생되는 제1완충부(20);와 상기 제1완충부(20)의 후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1완충부(20)의 완충작용이 없어진 후 완충작용이 발생되는 제2완충부(30);와 상기 제2완충부(30)의 후방에 위치되고, 지면 또는 가이드레일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moved to the rear and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완충부(20)는 전후방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마모부(22a)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부재(22);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22)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24a)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격판(24);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시 상기 제1마모부(22a)를 마모시키되, 상기 제1격판(2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충격완충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완충부(30)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후방에 위치되고, 전후방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 제2마모부(32a)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부재(32);와 상기 제1격판(24)의 후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2가이드부재(32)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34a)이 형성되는 제2격판(34);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32)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시 상기 제2마모부(32a)를 마모시키되, 상기 제2격판(3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충격완충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완충부(30)는 상기 제1완충부(20)보다 완충작용의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2마모부(22a)(32a)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되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제1, 2마모부(22a)(32a)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거나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제1, 2마모부(22a)(32a)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되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제1, 2마모부(22a)(32a)는 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충돌판(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에 위치되어 차량과 1차 접촉되고, 내부에는 완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방 외측에는 야간에 운전자가 쉽게 본 발명의 충격완충장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의 반사지 또는 반사램프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1완충부(20)는 상기 충돌판(10)의 후방에 위치되고,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완충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이후에 설명될 제1충격완충부재(25)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며 충돌판(10)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완충부(20)는 상기 충돌판(10)의 후방에 위치되되, 전후방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마모부(22a)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부재(22);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22)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24a)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격판(24);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시 상기 제1마모부(22a)를 마모시키되, 상기 제1격판(2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충격완충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상기 제1가이드부재(22)는 이후에 설명될 제2가이드부재(32)와 마찬가지로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후에 설명될 가이드레일과 지지프레임(4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단순히 충격흡수를 위해 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이나 충돌시 충격완충장치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만을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충돌사고시의 충격을 외주연에 형성된 제1마모부(22a)가 마모됨으로써 완충시키는 역할도 한다.The
아울러 본 발명의 충격완충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전방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전방에 위치되되,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전방이 고정설치되어 지지된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front so that the front of the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재(22)는 복수 개의 제1격판(24) 중 최후방에 위치되는 제1격판(24)의 제1관통홀(24a)에 후방 말단이 지지될 수 있으나, 상기 제1격판(24) 중 최후방에 위치되는 제1격판(24)도 완충작용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최후방에 위치되는 제1격판(24)의 후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에서 최후방에 위치되는 제1격판(24)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정길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격판(34)과의 이격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고, 상기 제1격판(24) 각각의 완충크기 즉, 저항이 점진적으로 크게 발생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 충돌발생 이후 제2격판(34)과 별도로 해체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격판(34) 중 최전방의 제2격판(34)의 전면으로부터 말단이 이격되게 설치되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from the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부재(22)는 외주면에 제1마모부(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제1마모부(22a)는 제1격판(24)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충격완충부재(25)에 의해 마모되어 상기 제1격판(24)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재(22)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1격판(24)이 안정되게 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해 두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갯수가 증가될수록 제1격판(24)의 후방 이동에 따라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갯수와 직경 및 제1마모부(22a)에 의한 완충작용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치됨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 제1격판(24)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22)가 제1관통홀(24a)에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충돌판(10)과 지지프레임(40)의 사이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사고 발생시 충돌판(10)으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면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후에 설명될 후방에 설치되는 제1완충부재(25)에 의해 제1마모부(22a)를 마모시킴으로써 완충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아울러 상기 제1격판(24)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충돌판(10)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1관통홀(24a)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22)가 관통되어 제1격판(24)이 원활하게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측 후방에 이후에 설명될 제1충격완충부재(25)의 외측 전방이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
즉 상기 제1격판(24)은 사고 발생시 충돌판(1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최전방에 위치되는 제1격판(24)에 충격이 전달되고, 상기 최전방에 위치되는 제1격판(24)은 후방으로 이동되며 설치된 제1충격완충부재(25)에 의해 제1가이드부재(22)의 제1마모부(22a)를 마모시키며 후방으로 이동되어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복수 개의 제1격판(24)이 순차적으로 충격을 전달받아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격판(24)은 제1가이드부재(22)의 후방에 위치할수록 완충작용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사고 발생시 발생되는 충격을 후방으로 갈수록 크게 완충 즉,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차량의 파손이나 탑승자의 상해를 줄여주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격판(24)의 완충작용의 크기를 크게하기 위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제1마모부(22a)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는 상기 제1격판(2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후방으로 이동될 때, 후방에 위치한 제1격판(24)에 의해 제1마모부(22a)가 마모되었더라도 전방에 위치한 제1격판(24)이 후방에 위치한 제1격판(24)에 의해 마모된 제1마모부(22a)를 다시 마모시키며 완충작용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ncrease the size of the buffering action of the
상기 제1충격완충부재(25)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외주연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격판(24)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제1마모부(22a)를 마모시키되, 상기 제1격판(24)의 후방 즉, 상기 제1격판(24)의 제1관통홀(24a)의 내측 후방에 외측 전방이 결합되어 설치됨으로써, 제1격판(24)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작용을 발생시킨다.The first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2완충부(30)는 상기 제1완충부(20)의 후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1완충부(20)의 완충작용에 의한 저항이 완전히 없어진 후 다시 새로운 완충작용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완충작용의 강약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전달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즉 본 발명의 제2완충부(30)는 사고 발생시 제1완충부(20)의 완충작용의 크기가 점점 커지게되면 이에 따라 완충작용에 따른 탄성반발 또한 커지게 되어 상기 탄성반발에 의해 2차 사고가 발생하므로, 차량이 제1가이드부재(22)를 통과하게 되면 다시 새로운 완충작용이 발생하도록 하여 강한 탄성반발에 따른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새로운 완충작용에 의해 더욱더 안정적으로 차량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사고 발생시 발생되는 충격을 1차로 흡수시키고, 2차에서도 후방으로 갈수록 크게 완충 즉,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차량의 파손이나 탑승자의 상해를 줄여주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at is, when the size of the buffering action of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완충부(30)는 상기 충돌판(10)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후방에 위치되고, 전후방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 제2마모부(32a)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부재(32);와 상기 제1격판(24)의 후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2가이드부재(32)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34a)이 형성되는 제2격판(34);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32)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시 상기 제2마모부(32a)를 마모시키되, 상기 제2격판(3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충격완충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격판(24)은 제1가이드부재(22)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 이후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제2격판(34)과 안정적으로 적층되기 위해 상기 제2가이드부재(32)를 관통시키고 제1관통홀(24a)의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홈(24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the
상기 제2가이드부재(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최후방에 위치한 제1격판(24)과 지지프레임(4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와 마찬가지로 충돌사고시의 충격을 이후에 설명될 제2완충부재(35)와 함께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아울러 상기 제2가이드부재(32)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전방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와 마찬가지로 지면 또는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고정결합되어 지지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제2마모부(32a)는 적층된 제1격판(24)에 의해 충격이 전달된 제2격판(34)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후에 설명될 상기 제2격판(3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충격완충부재(35)에 의해 마모되어 상기 제2격판(34)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제2가이드부재(32)는 앞서 설명한 제1가이드부재(22)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2격판(34)과 제1격판(24)의 안정적인 후방 이동을 위해 두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갯수와 직경 및 제2마모부(32a)에 의한 완충작용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치됨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 제2격판(34)은 상기 제1격판(24)의 후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2가이드부재(32)가 제2관통홀(34a)에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격판(24)과 지지프레임(40)의 사이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사고 발생시 제1격판(24)으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면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후에 설명될 후방에 설치되는 제2충격완충부재(35)에 의해 상기 제2마모부(32a)를 마모시킴으로써 완충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아울러 상기 제2격판(34) 또한 제1격판(24)과 마찬가지로 충격에 의한 파손을 줄이기 위해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제1격판(24)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실현케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2관통홀(34a)은 상기 제2가이드부재(32)가 관통되어 제2격판(34)이 원활하게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부재(3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앞서 제1관통홀(24a)과 마찬가지로, 내측 후방에는 이후에 설명될 제2충격완충부재(35)의 외측 전방이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through
즉 상기 제2격판(34)은 제1격판(24)과 마찬가지로 사고 발생시 제1격판(24)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복수 개의 제2격판(34) 중 최전방에 위치되는 제2격판(34)에 충격이 전달되고, 상기 최전방에 위치되는 제2격판(34)은 제2가이드부재(32)의 제2마모부(32a)를 마모시키며 후방으로 이동되어 충격을 완충시키게되며, 복수 개의 제2격판(34)이 순차적으로 충격을 전달받아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제2격판(34)은 제1격판(24)과 마찬가지로 제2가이드부재(32)의 후방에 위치할수록 완충작용의 크기가 크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사고 발생시 발생되는 충격을 후방으로 갈수록 크게 완충 즉,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차량의 파손이나 탑승자의 상해를 줄여주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앞서 설명한 제1충격완충부재(25)와 같이, 상기 제2충격완충부재(35)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32)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격판(34)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제2마모부(32a)를 마모시키되, 상기 제2격판(34)의 후방 즉, 상기 제2격판(34)의 제2관통홀(34a)의 내측 후방에 외측 전방이 결합되어 설치됨으로써, 제2격판(34)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작용을 발생시킨다.Like the first shock-absorbing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 2마모부(22a)(32a)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거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되 단턱이 형성되거나,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되 단턱이 형성되고,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first and
즉, 상기 제1, 2마모부(22a)(32a)는 제1, 2격판(24)(34)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2충격완충부재(25)(35)에 의해 마모되어 완충작용이 발생되고, 상기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실시 가능하다.That is, the first and
부가하여, 상기 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2마모부(22a)(32a)는 후방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하거나, 나사산의 피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완충작용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충돌사고시 발생되는 충격을 점진적으로 완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다시 말해, 상기 제1, 2마모부(22a)(32a)는 테이퍼의 각도, 단턱의 높이, 나나산의 높이, 나사산의 피치 간격을 조절하여 완충작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제1, 2가이드부재(22)(32)의 갯수와 함께 이를 고려하여 각각의 격판의 완충작용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first and
아울러 앞서 설명된 제1가이드부재(22)와 제2가이드부재(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지면과 이격된 공간 즉, 제1, 2격판(22)(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고 발생시 차량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이 파손되지 않도록 함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the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제2완충부(30)는 제1완충부(20)보다 완충작용의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일예로, 제1완충부(20)의 복수 개의 제1격판(24)중 최전방의 제1격판(24)의 완충작용의 크기가 20이라 하고, 이후 10씩 증가한다고 할 때[일예로, 제1격판(24)이 3개일 경우, 제1격판(24)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발생되는 완충작용의 크기: 20->30->40], 제2완충부(30)의 복수 개의 제2격판(34) 중 최전방의 제2격판(34)의 완충작용의 크기는 20을 초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완충부(20)를 통과한 차량의 충격을 제2완충부(30)에서 모두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부가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속도가 100km/h이고 이때 발생되는 충격의 크기가 200일 때, 상기 충격이 완충되는 것을 설명하면,[충돌판(10)에 의해 발생되는 완충작용은 설명에서 제외하고, 제1, 2격판(24)(34)이 3개일 경우로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100 km/h and the magnitude of the impact generated at this time is 200, explaining that the impact is buffered, the buffering action generated by the
먼저, 본 발명의 제1완충부(20)가 일예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전방의 제1격판(24)의 완충작용의 크기가 20이고, 상기 최전방의 제1격판(24)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다른 제1격판(24)과 적층된 후 발생되는 완충작용의 크기가 30, 이후의 제1격판(24)과 적층된 후 발생되는 완충작용의 크기가 40일 경우, 차량의 충격을 최초 20 상쇄시키고, 이후 다시 30과 40을 상쇄시키면 110의 충격량이 남게 되며, 충격을 상쇄시킬 때 발생되는 완충작용에 비례하여 충격량은 줄어들게 된다.First, the
그러나 상기 제1완충부의 완충작용에 의해 완충되고 남은 충격량로 인해 차량은 계속 후방으로 이동되고, 본 발명의 제2완충부(30)가 일예로, 최전방의 제2격판(34)의 완충작용의 크기가 30이고, 상기 최전방의 제2격판(34)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다른 제2격판(34)과 적층된 후 발생되는 완충작용의 크기가 40, 이후의 제2격판(34)과 적층된 후 발생되는 완충작용의 크기가 50일 경우, 차량의 남은 충격을 최초 30 상쇄시키고, 이후 다시 40과 50을 상쇄시키면 마지막 제2격판(34)에서 충격을 모두 상쇄시켜 차량이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2완충부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완충작용에 의해 차량의 파손이나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는 영향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vehicle is continuously moved to the rear due to the amount of impact remaining after being buffered by the buffering action of the first buffer, and the
즉 본 발명의 충격완충장치는 제1완충부(20)에서 충격의 일부를 흡수한 후 다시 제2완충부(30)에서 나머지 충격을 흡수하는 즉, 2차례에 걸쳐 충격을 안정적으로 완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hock absor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a part of the shock from the
또한 본 발명의 충격완충장치는 경미한 충격인 경우 제1완충부(20)에서 충격량을 모두 흡수하게 되어 파손된 제1완충부(20)만을 교체 즉, 충돌판(10)과 제1완충부(20)인 제1가이드부재(22), 제1격판(24), 제1충격완충부재(25)만을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더욱이 별도의 파손된 격판과 마모가 진행된 가이드부재만을 교체함으로써, 더욱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all the amount of impact from the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충격완충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제1완충부(20)에서 충격량이 모두 흡수되어 상기 차량이 정지된 경우, 제1완충부(20)만 파손되고, 제2완충부(30)는 파손되지 않았으므로, 제2완충부(30)와 연결되지 않은 제1완충부(20)만 쉽게 교체에 의한 유지관리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므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vehicle is stopped due to the impact amount absorbed by the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지지프레임(40)은 충격완충장치의 최후방에 위치하여 지면 또는 가이드레일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충돌사고 발생시 충격완충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30)에는 제2가이드부재(32)의 후방이 결합되고, 후면에는 H빔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가 연결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됨으로써, 향상된 지지력 및 구조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The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40)은 지면에 직접 고정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제1, 2격판(23)(34)의 이동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완충부재는 제1, 2격판(24)(34)의 안정적인 이동과 제1, 2가이드부재(22)(32)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지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앞서 설명된 지지블럭과 지지프레임(40)이 설치되어 본 발명의 충격완충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9, the shock absorb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and second plates (24, 34) for stable movement and stable install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22, 32) groun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the support block and the
특히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1, 2격판(24)(34)의 안정적인 후방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는데, 이는 상기 제1, 2격판(24)(34)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때, 상기 제1, 2격판(24)(34)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더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In particular, the guide rail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of allowing the first and
아울러 본 발명의 충격완충부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환경, 비 또는 눈 및 자외선으로부터 내부구조물 즉, 제1, 2격판(24)(34)과 제1, 2가이드부재(22)(32) 및 지지블럭과 지지프레임(40)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측면가이드프레임과 상부가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과 상부가이드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 2격판(24)(34)의 측면과 상부에 결합되며, 충돌 발생시 충돌에 의한 충격에 의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0, the internal structur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rain or snow and ultraviolet rays, that is, the first and
또한 상기 측면가이드프레임은 제1, 2격판(24)(34)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2가이드부재(22)(32)와 가이드레일과 함께 안정적으로 후방으로만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in.
10 : 충돌판
20 : 제1완충부
22 : 제1가이드부재
22a : 제1마모부
24 : 제1격판
24a : 제1관통홀
24b : 관통홈
25 : 제1충격완충부재
30 : 제2완충부
32 : 제2가이드부재
32a : 제2마모부
34 : 제2격판
34a : 제2관통홀
35 : 제2충격완충부재10: collision plate 20: first buffer
22:
24:
24b: through groove 25: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30: 2nd buffer part 32: 2nd guide member
32a: second wear part 34: second plate
34a: 2nd through hole 35: 2nd shock absorbing member
Claims (4)
상기 제1완충부(20)의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제1완충부(20)의 완충작용이 없어진 후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완충작용이 발생하는 제2완충부(30);와
상기 제2완충부(30)의 후방에 위치하고, 지면 또는 가이드레일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완충장치.
The first buffer portion 20 is generated while moving to the rear buffer action; And
A second buffer portion 30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rst buffer portion 20, and having a buffering effect while moving backward after the buffering effect of the first buffer portion 20 is lost; and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roa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frame 40, which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buffer part 30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or guide rail.
상기 제1완충부(20)는
전후방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마모부(22a)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부재(22);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22)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24a)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격판(24);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시 상기 제1마모부(22a)를 마모시키되, 상기 제1격판(2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충격완충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완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uffer portion 20
At least one first guide member 2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the first wear portion 22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first plate plates 24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member 22 penetrates the first through hole 24a; And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25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guide member 22, and wears the first abrasion part 22a when moving, bu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irst plate 24 ); shock absorber for the roa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제2완충부(30)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2)의 후방에 위치되고, 전후방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 제2마모부(32a)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부재(32);와
상기 제1격판(24)의 후방에 위치되되, 상기 제2가이드부재(32)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34a)이 형성되는 제2격판(34);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32)의 외주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동시 상기 제2마모부(32a)를 마모시키되, 상기 제2격판(3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충격완충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완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cond buffer portion 30
At least one second guide member 32 which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guide member 22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on which the second wear part 32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cond plate 34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rst plate 24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34a through which the second guide member 32 penetrates;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35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guide member 32, and wears the second wear part 32a when moving, bu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cond partition plate 34. ); shock absorber for the roa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제1격판(24)에는 제1관통홀(24a)의 하부에 상기 제2가이드부재(32)를 관통시킬 수 있는 관통홈(2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완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road,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groove (24b) capable of penetrating the second guide member (32) is formed under the first through hole (24a) in the first plate (2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2571A KR20200086430A (en) | 2019-01-09 | 2019-01-09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o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2571A KR20200086430A (en) | 2019-01-09 | 2019-01-09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oa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6430A true KR20200086430A (en) | 2020-07-17 |
Family
ID=7183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2571A Abandoned KR20200086430A (en) | 2019-01-09 | 2019-01-09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o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86430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4297B1 (en) | 2001-07-20 | 2004-03-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me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KR100798346B1 (en) | 2006-09-04 | 2008-01-28 | 주식회사 코트라스 | Vehicle crash shock absorber |
KR101053878B1 (en) | 2009-03-13 | 2011-08-03 | 장기숙 | Road Shock Absorber |
-
2019
- 2019-01-09 KR KR1020190002571A patent/KR20200086430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4297B1 (en) | 2001-07-20 | 2004-03-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me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KR100798346B1 (en) | 2006-09-04 | 2008-01-28 | 주식회사 코트라스 | Vehicle crash shock absorber |
KR101053878B1 (en) | 2009-03-13 | 2011-08-03 | 장기숙 | Road Shock Absorb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3878B1 (en) | Road Shock Absorber | |
JP5592013B2 (en) | Shock absorber | |
KR101022533B1 (en) | Diffusion Shock Absorber | |
KR100798346B1 (en) | Vehicle crash shock absorber | |
KR102100439B1 (en) | Shock absorber in case of vehicle collision | |
CN102021892A (en) | Shock energy absorbing device | |
KR102082861B1 (en) | Shock absorber in case of vehicle collision | |
KR20150111765A (en) |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for crash barrier | |
KR101063322B1 (en) | Vehicle shock absorber installed on the road | |
KR20110043005A (en) | Shock mitigation high performance guard rail using sliding beam | |
KR100603511B1 (en) | Road tunnel entrance shock absorber | |
KR101381407B1 (en) | The shock absorber for cars | |
KR20200086430A (en)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oad | |
KR102118206B1 (en)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oad | |
KR101644909B1 (en) |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for crash barrier | |
CN210797384U (en) | Highway roadside buffering protection system | |
KR101411424B1 (en) | Vehicle impact absorb device equipped with brake pad for crash barrier | |
KR200424297Y1 (en) | Vehicle crash shock absorber | |
KR101287856B1 (en) | a apparatus for vehicle-impact absorbing of road | |
CN219992311U (en) | Anti-collision pad structure | |
KR100903214B1 (en) | Guardrail | |
KR101134717B1 (en) | Median Strip Guardrail | |
CN221566957U (en) | Traffic transportation buffer stop | |
KR101351445B1 (en) | a buffer for collision | |
KR200382801Y1 (en) | Median strip for buffer possibles to control the hei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