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898A - Device for correction nose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rrection no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1898A KR20200081898A KR1020180171882A KR20180171882A KR20200081898A KR 20200081898 A KR20200081898 A KR 20200081898A KR 1020180171882 A KR1020180171882 A KR 1020180171882A KR 20180171882 A KR20180171882 A KR 20180171882A KR 20200081898 A KR20200081898 A KR 202000818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se
- rear body
- front insertion
- self
- cartil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36407 pai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2184 nasal cartilag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380 skin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537 nasal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625 sku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9101 Rhino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083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99259 vasel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091 Ana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6071 Rhino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05 anaesthes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256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753 nasal dischar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111 ocular hyper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71 petrol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7 sensitive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944 turbina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 자가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기 사용자가 본인의 변형된 코 연골을 자가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코 자가 교정기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se self-brac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se self-bracer configured to enable a user of the corrector to self-correct his deformed nose cartilage.
사람의 코는 공기의 흡입 통로로서 매우 중요한 신체 기관 중 하나인데, 냄새를 맡는 역할 뿐 아니라 폐로 공급되는 공기를 폐가 받아들이기에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The human nos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ody organs as an intake channel for air, and it serves not only to smell, but also to heat the air supplied to the lungs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lungs to receive.
코는 두개골의 코뼈와 코뼈에 부착된 연골 및 이를 감싸는 근육과 피부 조직을 포함한다.The nose includes the nasal bones of the skull, cartilage attached to the nasal bones, and muscle and skin tissue surrounding it.
도 1 은 신체 얼굴 부분의 내부 구조도이며, 코를 구성하는 중심부 연골(100) 주위에는 비갑개(140)와 부비동(120, 130)이 위치한다.1 is an internal structural view of a body face part, and the
이비인후과 의사들에 의하면, 사람의 코 연골이 변형될 수 있는 요인으로서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인을 든다.According to otolaryngologists, there are two main factors that can deform the human cartilage:
먼저, 신생아는 아직 뼈와 연골이 매우 부드러운 상태로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신생아 출생 시 머리 부분부터 어머니의 골반을 통해 빠져나오기에, 돌출된 코 부분이 어머니의 골반으로부터 작용되는 압력에 의해 다소간 변형될 수 있다.First, the newborn baby is still very soft with bones and cartilage, and can be easily deformed. When the newborn is born, the head comes out through the mother's pelvis, so the protruding nose is somewhat affected by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mother's pelvis. It can be transformed.
그리하여, 비강 내부의 중심부 연골의 형태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른 형태를 갖는다.Thus, the shape of the central cartilage inside the nasal cavity is slightly different from person to person.
또 다른 요인으로서는, 성장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코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연골(100)이 일측으로 휘어지는 경우가 있다.As another factor, the
이러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코의 중심 부분 연골(100)이 비강 내에서 한쪽으로 휘어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휘어진 연골부분(105)과 코 내부 측면 부분(110) 또는 비갑개(140)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게 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비강이 좁아지면 좁아진 비강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어, 비강 내부 점막이 건조한 상태가 되기 쉬우며, 이에 의해 특히 기온이 낮아지는 겨울에는 코감기와 비염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When the nasal cavity is narrowed as described above, the speed of air supplied into the narrowed nasal cavity increases, and the mucous membrane inside the nasal cavity is likely to be dry,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nasal colds and rhinitis, especially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is low. .
그리하여, 비염 즉, 비강 내부에 발생된 염증과 휘어진 연골로 인해 심지어 한쪽 비강이 거의 막히다시피 좁아지는 경우도 있다.As a result, rhinitis, that is, inflammation generated inside the nasal cavity and curved cartilage, even narrows the nasal cavity almost as if it were almost blocked.
상기된 바와 같이, 비강은 폐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비강과 연통되는 부비동(120, 13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뇌와 눈, 귀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nasal cavity not only serves as a passage for supplying air to the lungs, but also circulates outside air into the
그렇기에 한쪽 비강이 좁아진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사람이 느끼는 답답함은 매우 크며, 또한 눈과 두뇌의 피로감과 두통, 집중력 저하, 눈 충혈 등의 다양한 증상들을 유발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narrowing of one nasal cavity persists for a long period of time, a person feels very frustrated, and may also cause various symptoms such as fatigue of the eyes and brain, headache, decreased concentration, and eye redness.
종래 각종 사유로 휘어진 코의 연골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전문 병원과 의사에 의한 수술적 처치가 이루어진다.In order to correct the cartilage of the bent nose for various reasons, surgical treatment is performed by a specialized hospital and a doctor.
그런데, 수술적 처치는 마취와 신체 조직 절개에 따른 각종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비용 및 수술과 그 후의 회복을 위한 시간 역시 부담이 되는 경우가 많다.However, surgical treatment has a risk of causing various side effects due to anesthesia and incision of body tissues, and often costs and time for surgery and recovery thereafter.
본 발명자는 휘어진 코뼈로 인해 한쪽 비강이 좁아진 상태로 장기간 생활함에 따른 불편함을 직접 경험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하며 오랜 시간 동안 고민해 왔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시도와 고민의 결과로서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or has directly experienced the discomfort of living for a long time in a state where one nasal cavity is narrowed due to a curved nose bone, and has tried and tried various methods to solve it for a long tim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ult of such various attempts and worries. It is done.
본 발명자는 코의 중심 부분 연골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그 형태가 변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중심 부분 연골을 바로 잡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압력을 가하면 역시 그 형태가 교정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본 발명을 창작하였다.The present inventor looked at the idea that the shape could be corrected by repeatedly applying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correcting the central cartilage, just as the shape is deformed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central cartilage of the nose. Created the invention.
마치 치아를 교정하는 것과 같이, 치아에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로 장기간 압력을 가할 경우 치아의 위치가 조금씩 변화되는 것과 동일하게, 코를 구성하는 연골 역시 반복적으로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변형될 것이라고 생각했었다.As if a tooth is corrected, the cartilage constituting the nose will be deformed if the force is applied repeatedly in one direction, as if the tooth is gradually changed when the brace is applied to the tooth for a long time. I thought.
그런데, 본 발명자의 반복된 시험 결과, 장기간 반복적으로 코의 중심 부분 연골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연골의 형태는 서서히 매우 조금씩 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코 연골의 자가 교정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However, as a result of repeated tests of the present inventors, it has been found that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cartilag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nose repeated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shape of the cartilage gradually changes little by little, thereby enabling self-correction of the cartilage of the nose.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기 사용자 본인이 직접 자가교정을 통해 코의 연골을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코 자가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e self-correcting device configured to allow a user of the nose self-corr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directly deform the cartilage of the nose through self-correct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강 내부로 부드럽게 삽입이 가능하면서도, 강한 힘에도 용이하게 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코 자가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e self-correcting device configured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but not easily bent even under strong for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가교정자 본인이 코 내부의 교정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코 자가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correcting nose, which is configured to enable the self-correcting person to check the correcting position inside the no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 내부 조직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는 코 자가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sal self-bracer configured to minimize impact on internal tissue of the no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가 교정 시 힘을 가하기 용이하면서도 외부 물체에 부딪힐 가능성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는 코 자가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e self-bracer configured to easily apply a force during self-calibration while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hitting an external obj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 교정기는 코의 연골을 교정하기 위한 코 자가 교정기로서, 비강 내 삽입을 위한 전방삽입부와, 상기 전방삽입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몸체부와, 상기 후방몸체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삽입부와 후방몸체부와 손잡이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전방삽입부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삽입부를 비강 내로 삽입하여 비강 내부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후방몸체부와 손잡이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전방삽입부로 비강 내부 피부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방삽입부는 선단부로부터 상기 후방몸체부와의 경계부분을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se br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nose self-brace for correcting cartilage of the nose, the front insertion part for intranasal insertion, the rear body part formed behind the front insertion part, and the rear It includes a handle portion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the rear body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and the skin inside the nasal cavity In contact with, is configured to apply pressure to the inner body of the nasal cavity by applying a force to the rear body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is gradually gradually toward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rear body portion from the front e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of a diameter that increas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삽입부와 후방몸체부와 손잡이부는 합성수지재로써 일체 형성된다.Preferably, the front insertion portion, the rear body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여기서, 상기 전방삽입부는 선단부가 가장 작은 폭(직경)으로 형성되고, 후단부가 가장 큰 폭(직경)으로 형성된다.Here, the front insertion portion is formed with the smallest width (diameter) at the tip, and the rear end is formed with the largest width (diamet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삽입부와 후방몸체부 사이의 경계 부분 표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된다.Preferably, a concave portion is no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and the rear body portion, and is formed as a continuous surface.
그리고, 상기 전방삽입부 또는 후방몸체부에는 상기 전방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istance from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or the rear body portion.
또한, 상기 전방삽입부의 선단부 부분은 측단면 상 원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arc on the side end face.
여기서, 상기 표시부의 시작 부분은 상기 전방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Here, the start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insertion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의 시작 부분은 상기 전방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4 cm 이상 7 cm 이하의 영역에서부터 시작되어 상기 후방몸체부의 후단부를 향하여 형성된다.Preferably, the starting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s formed from an area of 4 cm or more and 7 cm or less from the front end of the front insertion portion and is form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rear body portion.
또한, 상기 원호가 시작되는 부분의 폭은 1.5 mm 내지 3.5 mm 의 범위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tarting portion of the arc is formed in a range of 1.5 mm to 3.5 mm.
그리고, 상기 전방삽입부의 길이는 2.5 cm 내지 6 cm 범위로 형성된다.And, the length of the front insert is formed in the range of 2.5 cm to 6 cm.
한편, 상기 후방몸체부의 단면적은 3 × 3 × 3.14 (㎟) 이상 및 5 × 5 × 3.14 (㎟) 이하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body is 3 × 3 × 3.14 (㎟) or more and 5 × 5 × 3.14 (㎟) or less.
또한, 상기 후방몸체부는 6 mm 내지 10 mm 직경 범위의 원형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ar body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of a circular cross section in a diameter range of 6 mm to 10 mm.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 자가 교정기는 전체 길이가 20 cm 내지 26 cm 의 범위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nose brace is formed in a total length of 20 cm to 26 cm.
본 발명에 의해, 코 자가 교정기 사용자 본인이 직접 자가교정을 통해 코의 중심부분 연골을 변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nose self-correcting device can directly deform the cartilag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nose through self-calibration.
또한, 비강 내로 부드럽게 삽입이 가능하면서도, 강한 힘에도 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코 자가 교정 시 느끼는 통증을 최소화하고, 코 연골 교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ently insert into the nasal cavity, but is configured not to bend even with strong force, thereby minimizing the pain felt during self-correcting the nose and improving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nose cartilage.
또한, 자가교정자 본인이 코 내부로 교정기가 삽입된 깊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f-calibrator himself can easily check the depth of the corrector inserted into the nose.
또한, 코 조직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어 코 연골을 감싸는 피부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effect on the nasal tissue to prevent skin damage and contamination surrounding the nasal cartilage.
또한, 자가 교정 시 힘을 가하기 용이하면서도 외부 물체에 부딪힐 가능성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어, 교정의 효과를 높이고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apply force during self-calibration, but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hitting an external object, thereby improving the effect of calibration and preventing injury.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신체 얼굴 부분의 내부 구조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기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교정기의 전방삽입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방삽입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교정기의 부분별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교정기의 사용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details shown in the following drawings.
1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of a body face p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se self-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front insert of the corrector,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inse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rector,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r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calibra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dictionary meaning, an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express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equivalents can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기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교정기의 전방삽입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방삽입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교정기의 부분별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기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교정기의 사용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ose self-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insert of the corrector,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inse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It is a sectional view of each part of the calibrator,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lib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calibrator.
도 2 내지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기는 코의 연골을 교정하기 위한 코 자가 교정기로서, 비강 내 삽입을 위한 전방삽입부(10)와, 상기 전방삽입부(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몸체부(20)와, 상기 후방몸체부(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와 손잡이부(50)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50)는 상기 전방삽입부(10)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삽입부(10)를 비강 내로 삽입하여 비강 내부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후방몸체부(20)와 손잡이부(5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전방삽입부(10)로 비강 내부 피부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방삽입부(10)는 선단부(T)로부터 상기 후방몸체부(20)와의 경계부분(C)을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o 7, the nose self-corr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se self-correcting device for correcting the cartilage of the nose, the
본 발명에서 "교정"이라는 의미는 엄격한 의미에서 코의 중심부분 연골을 바르게 잡는다는 의미라기 보다는, 코의 중심부분 연골의 변형으로 인해 한쪽 비강이 좁아져 답답한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좁아진 비강이 넓어지는 쪽으로 코의 연골을 변형시킨다는 의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orrection" does not mean that the cartilag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nose is correctly held in a strict sense, but rather, the narrowed nasal cavity is widened in order to resolve the tightness of one nasal cavity due to deformation of the cartilag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nose. It means that it deforms the cartilage of the nose towards the losing side.
즉, 좁아진 비강 내부로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기의 전방삽입부(10)를 삽입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좁아진 비강 내로 돌출된 코의 중심부분 연골을 변형시켜 비강을 넓히는 것을 의미한다.That is, it means that the cartilag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nose protruding into the narrowed nasal cavity is deformed by expanding the nasal cavity by inserting a force into the narrowed nasal cavity by inserting the force by inserting the
상기 전방삽입부(10)는 비강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전체가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전방삽입부에서 선단부(T) 부분의 최전방부는 가장 좁은 폭(직경)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몸체부(20)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큰 폭(직경)이 되도록 형성된다.I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the foremost portion of the tip portion T is formed to have the narrowest width (diameter), and is gradually formed to have a larger width (diameter) toward the
그리하여,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선단부(T) 부분이 매우 좁은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코 연골의 변형으로 인해 비강 내부가 매우 좁아진 사람도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선단부(T) 부분을 비강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Thus, the tip portion (T) of the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선단부(T) 부분은 측단면 상 대략 원호의 부드러운 곡선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front end portion T of the
그리고, 상기 원호가 시작되는 부분(T')의 폭(t)은 1.5 mm 내지 3.5 mm 범위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width t of the portion T'where the circular arc starts is formed in a range of 1.5 mm to 3.5 mm.
상기 원호가 시작되는 부분(T') 부분의 폭(t)이 상기 범위로 형성된 상태에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호가 시작되는 부분(T')의 전방 부분은 측단면 상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width t of the portion where the circular arc starts (T') is formed in the above range, as shown in FIG. 3, the front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circular arc starts (T') is an arc on a side cross-section.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상기 원호가 시작되는 부분(T')의 폭이 1.5 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단부(T)가 지나치게 뾰족해져 부드럽고 매우 민감한 비강 내부의 피부에 상처와 이에 의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When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circular arc starts (T') is formed to be less than 1.5 mm, the tip portion T becomes excessively sharp and may cause wounds and infections on the skin inside the soft and very sensitive nasal cavity.
또한, 상기 원호가 시작되는 부분(T')의 폭이 3.5 mm 보다 큰 경우에는, 코의 연골이 변형되어 비강이 매우 좁아진 사람의 경우, 비강 내부로 상기 전방삽입부(10)가 부드럽게 삽입되지 못하고 삽입에 고통이 따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circular arc starts (T') is greater than 3.5 mm, in the case of a person whose nasal cartilage is very narrow due to deformed cartilage of the nose, the
본 발명자는, 상기 선단부(T) 부분에서 상기 원호가 시작되는 부분(T')의 폭을 상기 범위로 하면서, 상기 선단부(T) 부분을 측단면 상 원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매우 좁은 비강 내부로도 상기 전방삽입부(10)를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 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비강 내부의 부드러운 피부에 상처를 유발하지 않는 것을 알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 forms a very narrow nasal cavity by forming the tip portion T in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arc on a side cross-section, with the width of the portion T'where the circular arc starts at the tip portion T as the above range. It has been found that the
또한, 상기 전방삽입부(10)가 선단부(T)로부터 후방(전방삽입부와 후방몸체부의 경계부분)을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어느 부분이 부드러운 비강 내부의 피부에 접촉되더라도 부분적으로 압력이 집중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후방몸체부(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직경의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후방몸체부(20)는 상기 손잡이부(50)와 함께 손잡이로서의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후방몸체부(20)에 강한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측면을 통해 코의 연골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The
따라서, 상기 전방삽입부(10)는 대략 긴 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몸체부(20)는 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가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다.Therefore, the
그리고, 상기 전방삽입부(10)는 대략 긴 원추 형태로 형성되는데, 후방몸체부(20)와의 경계 부분(C) 부근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측단면 상 연속적인 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후방몸체부(20)를 통해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의 경계 부분(C) 부근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오목부가 마치 노치(Notch)와 같은 효과를 작용하게 되어, 오목부 부근의 변형 또는 파손을 일으킬 수 있다.When a large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따라서, 상기 후방몸체부(20)를 통해 큰 힘을 전방삽입부(10)로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 사이의 경계 부분에는 오목부와 같은 노치부가 형성되지 않고, 부드럽게 연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 notch such as a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그리하여, 비강 내로 삽입되어 코의 연골에 압력을 가하는 상기 전방삽입부(10)에 작용되는 힘을, 점차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상기 전방삽입부(10)의 후방 부분과 상기 후방몸체부(20) 부분이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연골 변형을 위한 큰 힘이 작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기의 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us, the force applied to the
이러한 견지에서, 상기 전방삽입부(10)의 길이(L1)는 2.5 cm 내지 6 cm 범위로 형성된다.In view of this, the length L1 of the
상기 전방삽입부(10)의 길이(L1)는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선단부(T)로부터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의 경계부분(C)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The length L1 of the
도 3 에서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전방삽입부(10)가 6 cm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전방 부분에 작용되는 강한 힘(반력)에 의해 상기 전방삽입부(10)가 휘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FIG. 3, when the
또한, 상기 전방삽입부(10)가 2.5 cm 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단부(T)로부터 상기 경계부분(C)까지의 길이가 지나치게 작아져, 상기 전방삽입부(10)의 단면 직경이 상기 경계부분(C)을 향할수록 지나치게 급격하게 증가된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하여, 상기 전방삽입부(10)를 좁아진 비강 내부 깊은 곳까지 부드럽게 삽입할 수 없게 된다.Thus, it is impossible to gently insert the
코 내부에서 양쪽 코구멍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연골 중 코구멍 입구 부근에 위치하는 연골은 두개골의 코뼈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충격에 의해 그 위치가 변화되더라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Of the cartilage located in the middle of both nose holes inside the nose, the cartilage located near the mouth of the nose hole is not fixed to the nose bone of the skull, so even if the position is changed by the impact, it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그런데, 두개골의 코뼈에 단단히 고정된 연골의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그 위치가 변화되면, 코뼈와의 작용에 의해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지 못하고 변화된 위치에 고정된다.However, in the case of cartilage firmly fixed to the nasal bone of the skull, when its position is changed by an external impact, it cannot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due to the action with the nasal bone and is fixed to the changed position.
따라서, 사람의 비강을 좁힌 상태로 고정되는 코 연골의 변형은 코구멍 입구로부터 코 내부로 어느 정도의 깊이 들어간 부분(대략 5 cm 내외)이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깊이 내부로 상기 전방삽입부(10)를 삽입한 상태에서 연골에 힘을 가해야 변형된 연골에 대한 교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refore, the deformation of the nasal cartilage that is fixed in a narrowed state of the nasal cavity of a person is a part that is deep into the nose from the mouth of the nose hole (approximately 5 cm or so), and thus the
따라서, 상기 전방삽입부(10)의 길이를 2.5 cm 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에는 비강 내부의 깊은 부분까지 상기 전방삽입부(10)를 원활히 삽입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when the length of the
그리고, 코 내부로 상기 전방삽입부(10) 삽입 시 코의 중간부분 연골 중 휘어진 부분에 접촉되는 전방삽입부(10) 부분은 상기 전방삽입부(10)에서 앞부분인데, 상기 전방삽입부(10)의 길이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코의 휘어진 연골에 접촉되는 부분의 전방삽입부(10)의 직경이 적절한 크기가 되어, 큰 힘을 작용시키는 경우에도 통증이 작아진다.In addition, when the
만약, 코의 휘어진 연골 부분에 접촉되는 전방삽입부(10) 부분의 직경이 지나치게 작아질 경우에는, 손을 통해 힘을 가하는 경우 연골에 작용되는 압력이 크게 상승되어 통증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If, when the diameter of the
이러한 견지에서,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선단부(T)로부터 후방몸체부(20)를 향하여 측단면 상 직선적으로 폭(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4 에서와 같이 측단면 상 포물선과 유사한 형태로 폭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regard, as shown in FIG. 3, the width (diameter) of the
이러한 때에는,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선단부(T) 부분이 연골이 휘어져 좁아진 비강 내부로 약간의 거리만 진입되더라도, 코의 연골 부분 피부와 접촉되는 전방삽입부(10) 부분의 폭(직경)이 커져, 큰 힘을 가하는 경우에도 코의 연골 부분 피부에 작용되는 압력을 분산 감소시킬 수 있어(접촉 면적이 커지므로) 고통이 작아지게 된다.In this case, even if the tip portion (T) portion of the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중실(中實) 형으로 형성되어, 강한 힘에도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된다.The
상기와 같이 전방삽입부(10)에 작용되는 힘을 충분히 지지하기 위해, 상기 후방몸체부(20)는 6 mm 내지 10 mm 직경 범위의 원형 단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In order to sufficiently support the force acting on the
상기 후방몸체부(20)가 6 mm 이하의 직경 범위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연골을 변형시키기 위한 강한 힘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기가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When the
또한, 만약 상기 후방몸체부(20)가 10 mm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몸체부(10)와 후방몸체부(20)의 경계부분(C)이 비강 내부로 원활히 진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In addition, if the
상기 전방삽입부(10)를 비강 내부의 깊은 곳까지 삽입함으로써, 상기 경계부분(C) 역시 비강 내부로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By inserting the
그런데, 만약 상기 후방몸체부(20)를 10 mm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힘을 지지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는 발휘할 수 있지만, 상기 경계부분(C)이 비강 내부로 삽입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However, if the
따라서, 상기 후방몸체부(20)를 원형 단면으로 형성하되, 그 직경을 상기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필요 시 상기 경계부분(C)이 비강 내부로 원활히 진입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전방삽입부(10)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강하게 지지하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the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의 경계부분(C) 부근은 비강 내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경계부분(C) 부근의 후방몸체부(20)는 원형 단면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나머지 상기 후방몸체부(20)의 끝부분(E)까지의 영역은 사각 또는 팔각 단면의 각진 단면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Since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portion C of the
상기 경계부분(C) 부근에서 후방몸체부(20)가 원형 단면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는 것에서 상기 "부근"의 의미는, 상기 경계부분(C)으로부터 상기 후방몸체부(20)의 끝부분(E)을 향해 4 cm 내지 7 cm 까지의 범위 영역을 의미한다. In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portion (C), the meaning of the "near" in that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기에서 코의 연골 부분 피부에 접촉되어 큰 힘을 가하는 부분은 상기 전방삽입부(10)이고, 상기 후방몸체부(20) 부분은 코구멍 입구 부분의 피부에 접촉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nose self-corr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that contacts the skin of the cartilage portion of the nose and applies a large force is the
코구멍 입구 부분의 피부는 코 내부 깊숙한 부분의 연골 부분을 감싸는 피부보다는 덜 민감하므로, 상기 후방몸체부(20)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Since the skin at the entrance portion of the nose hole is less sensitive than the skin surrounding the cartilage portion of the deep portion inside the nose, the
따라서, 상기 후방몸체부(20) 부분 전체를 사각 또는 팔각 단면의 각진 단면의 기둥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entire
또는, 도 6 에서와 같이, 원형 단면에서 상부와 하부 부분을 직선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측부가 원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may be formed in a straight cross-sectional shape, and as a result, the side portion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후방몸체부(20)가 다양한 형태의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단면적은 3 × 3 × 3.14 (㎟) 이상 및 5 × 5 × 3.14 (㎟) 이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큰 힘을 작용하는 경우에도 변형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비강 내부로 상기 경계부분(C)이 원활히 진입되도록 하기에 바람직하다.When the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와 손잡이부(50)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써 일체 형성된다.The
비강 내부 피부 점막의 경우, 온도가 저하되면 부푸는 특성이 있고, 코물을 유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mucous membrane inside the nasal cavity,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s, it has a swelling characteristic and may cause nasal discharge.
만약, 비강 내부의 피부에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가 교정작업 수행을 위한 수 분 동안 접촉되어 열을 전달하는 경우, 신체 면역력이 낮은 사람의 경우 자칫 코감기를 유발할 수도 있다.I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is contacted with the skin inside the nasal cavity for a few minutes to perform the corrective action, and transfers heat, a person with a low body immunity may cause a cold.
그러므로,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와 손잡이부(50)가 전체적으로 합성수지재로써 일체 형성됨으로써, 비강 내 피부로부터의 열전달이 작도록 하여 비강 내부 피부 점막의 팽창 및 코물 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 내부(단면에서 반경 방향 중심 부분)에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금속재 봉(미도시)이 배치된 상태에서, 그 외부에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비강 내부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의 표면 부분은 열전달 특성이 낮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side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장치는 그 전체 길이(L1 + L2 + L3)가 20 cm 내지 26 cm 범위로 형성된다.And, the nose self-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total length (L1 + L2 + L3) of 20 cm to 26 cm.
상기 전체 길이가 20 cm 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전방삽입부(10)를 비강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후방몸체부(20)와 손잡이부(5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연골의 교정 효과를 발휘할 정도의 큰 힘을 가하기 어렵다.When the total length is less than 20 cm, the
실제 교정 작업 시 상기 전방삽입부(10) 중 상기 경계부분(C) 부근까지는 코구멍 내로 삽입되고, 통상 한쪽 손의 엄지와 검지가 상기 경계부분(C) 부근의 후방몸체부(20)를 잡게 된다.During the actual calibration opera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기를 통해 연골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된 바와 같이, 코뼈에 고정된 연골 부분까지 상기 전방삽입부(1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후방몸체부(20)와 손잡이부(50)에 힘을 가해야 한다.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artilage through the nose self-corr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 이용자의 한쪽 손으로 상기 후방몸체부(20)와 손잡이부(50)에 힘을 가하는 경우는 충분한 힘을 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교정기의 위치를 미세하게 변화시키는 조절이 어렵게 된다.At this time, when applying a force to the
즉, 비강 내에서 연골을 원하는 위치로 가압하는 일은 매우 예민한 작업이며, 자칫 의도된 위치를 벗어나서 상기 전방삽입부(10)에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비강 내부의 비갑개(140)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때에는 큰 통증을 느끼게 된다.That is, pressing the cartilage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nasal cavity is a very sensitive operation, an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또한, 상기 비갑개(140) 부분은 매우 부드럽고 연한 조직으로 구성되기에 자칫 상처에 의한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따라서, 상기 전방삽입부(10)를 비강 내부로 깊숙이 삽입하고, 연골이 변형될 정도의 강한 힘을 가하면서도 세심하게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 사용자가 상기 후방몸체부(20)와 손잡이부(50)를 반드시 두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힘을 가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carefully insert the
따라서, 사람의 두 손이 모두 상기 후방몸체부(20)와 손잡이부(50)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기 위해서는, 상기 교정기 전체의 길이가 20 c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for both hands of the person to be formed to hold the
또한, 큰 힘을 가하면서 위치를 세심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두 손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후방몸체부(20)를 잡는 상태보다는, 두 손이 일부 겹쳐진 상태에서 힘을 가하는 것이 유리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carefully adjust the position while applying a large force, it is advantageous to apply a force in a state where the two hands are partially overlapped, rather than a state in which the two han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old the
즉,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경우 대부분 먼저 오른손으로 상기 후방몸체부 (20)의 후방부와 손잡이부(50)의 전방부를 잡은 상태(상기 경계부(C) 부근의 후방몸체부(20)를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가 잡은 상태)에서, 왼손의 엄지와 검지 부분을 오른손의 소지 또는 약지 부분에 겹치고 왼손의 약지와 소지 부분으로는 손잡이부(50)를 잡은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위치를 조절하고 왼손은 오른손과 함께 동시에 힘을 가하는 것이, 큰 힘을 가하면서 세심하게 위치를 조절하기에 유리하다.That is, in the case of a right-handed user, most of them hold the rear part of the
더구나, 비강 내부 피부는 매우 민감하고, 비강 내부의 비갑개(140)에 상기 전방삽입부(10)가 힘을 가하는 경우 고통을 유발하게 되므로, 연골의 변화를 위한 큰 힘을 가하면서도 세심한 위치 조절을 위해, 마치 골프 퍼팅의 경우와 같이 사람은 거의 직감적으로 두 손의 일부가 겹쳐진 상태로 힘을 가하게 된다.Moreover, the skin inside the nasal cavity is very sensitive, and when the
그러므로, 상기 코 자가 교정기의 전체 길이를 20 cm 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후방몸체부(20)와 손잡이부(50)를 두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교정 작업에 요구되는 큰 힘을 가하기 어렵게 된다.Therefore,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nose self-bracer is formed to be less than 20 cm, it is difficult to apply a large force required for the correction work while holding the
그런데, 만약 상기 전체 길이를 26 cm 보다 크게 할 경우에는 교정기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져, 교정 작업 중 외부의 물체에 부딪히기 쉬운 단점이 있다.However, if the total length is larger than 26 cm, the length of the straightener becomes too long,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easy to hit an external object during the straightening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어느 정도 상기 전방삽입부(10)가 비강 내부로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교정기에 형성된 거리 표시용 눈금과 숫자를 거울을 보며 확인하는 것이 요구된다.In order to use th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또한, 상기 전방삽입부(10)가 비강 내 피부와 접촉됨에 따른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방삽입부(10) 부분은 사용 이전에 소독하는 작업이 요구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infection due to the
그리고, 상기 전방삽입부(10)를 비강 내부로 부드럽게 삽입하기 위해, 상기 전방삽입부(10) 부분에 바세린과 같은 윤활제를 바르는 것도 요구된다.And, in order to gently insert the
그런데, 상기 전방삽입부(10)를 비강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는 상기 교정기의 끝부분(E)을 본인의 시야로 확인하기 어렵게 되는데, 만약 상기 교정기의 전체 길이가 26 cm 보다 클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를 비강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 또는 삽입 후 상기 교정기의 끝부분(E)이 거울, 알콜병, 윤활제 용기 또는 타인 등에 예기치 않게 닿을 수 있다.By the way, in the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상기 전체 길이를 상기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후방몸체부(20)의 끝부분(E)이 예기치 않게 다른 물체 또는 사람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the entire length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d portion E of the
이러한 견지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기의 전체 길이는 21 cm 내지 25 cm 범위로 형성된다.More preferably from this standpoint, the entire length of the straightener is formed in the range of 21 cm to 25 cm.
한편, 상기 전방삽입부(10) 또는 후방몸체부(20)에는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선단부(T)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 또는 숫자가 표시되며, 바람직하게는 눈금과 숫자가 함께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눈금과 숫자를 표시함으로써, 교정기 사용자는 자신의 비강 내부로 상기 전방삽입부(10)가 삽입된 깊이를 거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By displaying the scale and the number as described above, the corrector user can check the depth in which the
사람은 자신의 비강 내부 연골 중 어느 부분이 변형되었는지를 본인 스스로 알 수는 없다.A person cannot know for himself which part of his cartilage is deformed.
따라서, 병원의 비강 내시경을 이용하는 의사를 통해 연골이 변형된 위치를 전달받을 수 있다.Therefore, the position where the cartilage is deformed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doctor using a nasal endoscope in a hospital.
이러한 경우, 중심부분 연골(100)의 변형 위치(105)를 전달받을 수 있는 방법은, 코구멍으로부터 어느 정도 깊이의 코 중간부분 연골(100) 부분이 변형되었는지를 수치로써 전달받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thod of receiving the
즉, 사람은 본인의 코 내부를 들여다볼 수가 없기에, 상기 변형 위치(105)를 객관적이고 명확히 전달받을 수 있는 방법은 코구멍으로부터의 깊이를 수치로 표현하는 것이다.That is, since a person cannot look into the inside of his nose, a method to objectively and clearly receive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선단부(T)로부터의 거리를 눈금 또는 숫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정기 사용자 본인이 거울을 통해 코구멍 입구로부터 어느 정도의 깊이로 상기 선단부(T)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 가능해진다.Therefore, by allowing the distance from the tip portion T to be checked through a scale or a number as described above, whether or not the tip portion T is inserted at a certain depth from the mouth of the nose through the mirror user himself or herself. It becomes possible to confirm.
바람직하게는, 상기 눈금 또는 숫자의 시작 부분(30, 예를 들어 "5")은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선단부(T)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나머지 눈금과 숫자들이 상기 후방몸체부(20)의 끝 부분(D)을 향해 형성된다.Preferably, the start portion 30 (eg, “5”) of the scale or numb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portion T of the
통상적으로, 상기 눈금과 숫자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상기 교정기의 표면에 잉크를 이용하여 눈금과 숫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눈금과 숫자가 형성될 부분에 음각으로 눈금과 숫자를 형성하고, 그 부분에 잉크를 채워 표시하는 방법이 이용된다.Typically, as a method for forming the scale and the number, the scale and the number are displayed using ink on the surface of the calibrator, or the scale and the number are formed at an intaglio at a portion where the scale and the number are to be formed. A method of filling and displaying ink on a portion is used.
그런데, 코 내부의 피부는 점막으로 형성되어 매우 예민하고 통증에 민감한 특성이 있는데, 상기 눈금과 숫자를 음각으로 형성하는 경우 음각으로 형성된 눈금과 숫자의 모서리 부분이 교정을 위한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코 내부의 피부에 큰 압력을 가할 수 있다. However, the skin inside the nose is formed of a mucous membrane and has very sensitive and pain-sensitive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forming the scale and numbers as intaglio, the nose and the corners of the figures formed as intaglio apply the force for correction in the nose. It can put a lot of pressure on the skin inside.
또한, 비강 피부 표면에는 콧물과 점액질이 분포되므로, 상기 점막에 잉크와 같은 미세한 입자 물질이 묻는 경우 흡수될 수도 있는데, 장기간의 반복된 교정 작업에 있어서 이러한 점은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since the runny nose and mucus are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nasal skin, the mucous membrane may be absorbed when a fine particle material such as ink is applied, which is undesirable in a long-term repeated orthodontic operation.
그러므로,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선단부(T)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눈금과 숫자를 형성하는 것은, 피부 점막의 손상과 잉크에 의한 비강 내 피부 오염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Therefore, it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damage to the skin mucous membrane and skin contamination in the nasal cavity due to ink to form a scale and a number at a position close to the tip T of the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눈금 또는 숫자의 시작 부분(30)은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선단부(T)로부터 4 cm 이상 7 cm 이하의 영역에서부터 시작되어, 상기 후방몸체부(20)의 후단부(D)를 향하여 형성된다.Therefore, preferably, the
그리하여, 장기간의 반복 사용에 따른 잉크에 의한 비강 내 피부 오염과 잉크 성분의 신체 침투를 방지하고, 음각으로 형성되는 눈금과 숫자 부분이 비강 내부의 예민한 피부에 접촉되어 힘을 가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피부 손상과 그에 의한 염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skin contamination in the nasal cavity by ink and body penetration of ink components due to long-term repeated use, and may occur when a scale and a numeric part formed by engraving contact the sensitive skin inside the nasal cavity and apply force. It is configured to prevent skin damage and inflammation.
비록, 도 2 에서는 상기 선단부(T)로부터 5 cm 이격되어 눈금 또는 숫자가 시작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 cm 또는 7 cm 거리 이격된 상태로 4 또는 7 숫자와 눈금부터 시작될 수도 있다.Although, in FIG. 2, it is illustrated that the scale or the number starts at a distance of 5 cm from the tip portion 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start from the 4 or 7 number and the scale at a distance of 4 cm or 7 cm. .
또는, 도 6 에서와 같이 상기 선단부(T)로부터의 거리를 점으로 표시하되, 미리 지정된 소정의 거리마다 점의 갯수를 달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the distance from the tip portion T is displayed as a dot, but the number of dots may be displayed at different predetermined distances.
즉, 점 사이의 거리를 1 cm 로 정한 상태에서, 만약 최초 하나의 점의 위치를 상기 선단부(T)로부터 5 cm 되는 거리에 표시하고, 두개의 점은 6 cm 거리에 표시할 수도 있다.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is set to 1 cm, if the position of the first one point is displayed at a distance of 5 cm from the tip T, the two points may be displayed at a distance of 6 cm.
상기 눈금 또는 숫자의 시작 부분(30)은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가 만나는 경계부분(C)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만나는 경계부분(C) 부근의 의미는 상기 경계부분(C)으로부터 상기 선단부(T)를 향하여는 1 cm 범위가 바람직하며, 상기 경계부분(C)으로부터 상기 후방몸체부(20)의 후단부(D)를 향하여는 2 cm 범위가 바람직하다.The meaning of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portion (C) that meets is preferably a 1 cm range from the boundary portion (C) toward the tip portion (T),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ear body portion (20) from the boundary portion (C). The range of 2 cm is preferable toward (D).
한편, 상기 손잡이부(50)를 사각 또는 육각 또는 팔각 단면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50)를 잡은 상태에서 힘을 가하기가 보다 용이해진다.On the other hand, by forming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 교정기를 테이블 등의 바닥에 놓는 경우에도 상기 전방삽입부(10) 부분이 상기 바닥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nose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such as a ta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본 발명에 따른 코 교정기를 이용하는 때에는 민감한 코 내부 피부와의 접촉 시 가해지는 접촉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세린 등의 윤활제를 상기 전방삽입부(10)에 바르고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using the nose br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a lubricant such as petroleum jelly to the
왜냐하면, 상기 전방삽입부(10)를 코 내부에 삽입하여 강한 힘을 작용할 경우, 상기 전방삽입부(10)가 코 내부 피부를 강하게 압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힘을 가하는 와중에도 사람은 호흡을 하며, 이러한 호흡에 의해 상기 전방삽입부(10)와 코 내부 피부 역시 유동된다.Because, when a strong force is applied by inserting the
특히, 상기 전방삽입부(10)를 코 내부 피부에 강하게 압박하는 와중에는 사람의 손을 통해 코 내부의 특정 위치에 상기 전방삽입부(10)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호흡에 의해 코 내부 피부가 미세하게 유동되는 경우, 코 내부의 피부 손상과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고통도 수반된다.In particular, while strongly pressing the
따라서, 호흡에 의한 코 내부 피부의 미세한 유동에 의한 피부 손상과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방삽입부(10)는 소독제를 통해 소독 후 그 표면에 바세린 등의 윤활제를 충분히 도포한 상태에서 비강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kin damage and bleeding due to micro-flow of the skin inside the nose due to breathing, the anterior
그런데, 상기 전방삽입부(10)에 윤활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테이블 또는 바닥에 놓을 경우, 상기 전방삽입부(10)가 테이블 또는 바닥과 접촉되고 윤활제가 오염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이것은 감염 방지의 차원에서 바람직한 것이 아니며, 그러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코 교정기를 계속 손으로 들고 있거나, 상기 전방삽입부(10)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특정 물체에 거치시켜야 한다.This is not desirable in terms of prevention of infection, and in order to prevent such contamination, the nose braces must be held by hand or mounted on a specific object so that the
그런데, 특정 물체에 거치시키는 경우, 상기 전방삽입부(10)와 후방몸체부(20)는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가 굴러 낙하되어 상기 전방삽입부(10)의 윤활제가 오염될 수 있다.However, when mounted on a specific object, since the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50)를 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을 이용하여 힘을 가하기에도 용이해지고, 교정장치의 구름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전방삽입부(10)가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by forming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코 자가 교정기를 이용하여, 코 자가 교정기 사용자 본인이 직접 거울을 보며 교정기가 삽입된 깊이를 확인하면서 코의 연골을 자가교정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By using the nose self-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of the nose self-corrector can directly deform the cartilage of the nose while self-calibrating while checking the depth at which the corrector is inserted.
그리하여, 코 연골을 바로잡기 위한 수술 없이도 코의 연골을 교정할 수 있다.Thus, the cartilage of the nose can be corrected without surgery to correct the nasal cartil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를 비강 내부로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으면서도, 강한 힘을 가할 수 있어 코 연골 교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br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tly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a strong force can be applied to enhance the effect of nasal cartilage correction.
또한, 상기 전방삽입부(10)에 작용되는 강한 압력에도 교정기가 용이하게 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교장기를 장기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e is configured to not bend easily even under strong pressure applied to the
또한, 코 조직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어 코 연골을 감싸는 피부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effect on the nasal tissue to prevent skin damage and contamination surrounding the nasal cartilage.
또한, 자가 교정 시 힘을 가하기 용이하면서도 외부 물체에 부딪힐 가능성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어, 교정의 효과를 높이고 부주의에 의한 부상과 통증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apply force during self-correction and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hitting an external object, thereby improving the effect of correction and preventing injury and pain due to carelessness.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a limited number of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an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전방삽입부
20: 후방몸체부
30: 경계부분
50: 손잡이부 10: front insert
20: rear body
30: boundary
50: handle
Claims (13)
비강 내 삽입을 위한 전방삽입부와;
상기 전방삽입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몸체부와;
상기 후방몸체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삽입부와 후방몸체부와 손잡이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전방삽입부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삽입부를 비강 내로 삽입하여 비강 내부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후방몸체부와 손잡이부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전방삽입부로 비강 내부 피부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방삽입부는 선단부로부터 상기 후방몸체부와의 경계부분을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As a nose self-correcting device for correcting the cartilage of the nose,
An anterior insert for intranasal insertion;
A rear body portion formed behind the front insertion portion;
It includes a handle formed at the rear of the rear body portio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the rear body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anterior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kin inside the nasal cavity, it is configured to apply a force to the rear body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to apply pressure to the skin inside the nasal cavity with the anterior insertion portion,
The nose insertion straighte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of a diameter that gradually increases as it goes toward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rear body portion from the front end.
상기 전방삽입부와 후방몸체부와 손잡이부는 합성수지재로써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According to claim 1,
The nose insertion br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insertion portion, the rear body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전방삽입부는 선단부가 가장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후단부가 가장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According to claim 1,
The nose insertion br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insertion portion is formed with the smallest width at the leading end and the largest width at the rear end.
상기 전방삽입부와 후방몸체부 사이의 경계 부분 표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According to claim 1,
A nose self-corr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 portion is no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and the rear body portion, and is formed as a continuous surface.
상기 전방삽입부 또는 후방몸체부에는 상기 전방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According to claim 1,
A nose self-correcting device is formed on the front insertion portion or the rear body portion to form a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a distance from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insertion portion.
상기 전방삽입부의 선단부 부분은 측단면 상 원호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According to claim 1,
Nose self-corr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portion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arc on the side cross-section.
상기 표시부의 시작 부분은 상기 전방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The method of claim 5,
The nose self-correc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insertion portion.
상기 표시부의 시작 부분은 상기 전방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4 cm 이상 7 cm 이하의 영역에서부터 시작되어 상기 후방몸체부의 후단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The method of claim 7,
A nose self-corr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from an area of 4 cm or more and 7 cm or less from the front end of the front insertion portion and toward the rear end of the rear body portion.
상기 원호가 시작되는 부분의 폭은 1.5 mm 내지 3.5 mm 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The method of claim 6,
The nose self-correc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starting portion of the arc is formed in a range of 1.5 mm to 3.5 mm.
상기 전방삽입부의 길이는 2.5 cm 내지 6 c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According to claim 1,
The nose insertion straighte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front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range of 2.5 cm to 6 cm.
상기 후방몸체부의 단면적은,
3 × 3 × 3.14 (㎟) 이상 및 5 × 5 × 3.14 (㎟)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According to claim 1,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body portion,
3 × 3 × 3.14 (㎟) or more and 5 × 5 × 3.14 (㎟) or less nose self-corr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후방몸체부는 6 mm 내지 10 mm 직경 범위의 원형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According to claim 1,
Nose self-corr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e range of 6 mm to 10 mm diameter.
상기 코 자가 교정기는 전체 길이가 20 cm 내지 26 cm 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자가 교정기.According to claim 1,
The nose self-corr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length is formed in the range of 20 cm to 26 c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1882A KR102197672B1 (en) | 2018-12-28 | 2018-12-28 | Device for correction no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1882A KR102197672B1 (en) | 2018-12-28 | 2018-12-28 | Device for correction no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1898A true KR20200081898A (en) | 2020-07-08 |
KR102197672B1 KR102197672B1 (en) | 2021-01-04 |
Family
ID=7160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1882A Expired - Fee Related KR102197672B1 (en) | 2018-12-28 | 2018-12-28 | Device for correction no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767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7051A (en) * | 2021-07-05 | 2023-01-12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Closed reduction tool for nasal bone fra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4497Y1 (en) * | 2002-02-04 | 2002-05-04 | 권영갑 | Foot shiatsu |
KR200279986Y1 (en) * | 2002-03-26 | 2002-07-02 | (주)위그로 | massage bar combined acupressure bar |
JP3100123U (en) * | 2003-08-28 | 2004-04-30 | 小柳 潤一 | Nasal appliance |
JP2010155038A (en) * | 2009-01-01 | 2010-07-15 | Toshinao Endo | Cotton swab |
-
2018
- 2018-12-28 KR KR1020180171882A patent/KR10219767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4497Y1 (en) * | 2002-02-04 | 2002-05-04 | 권영갑 | Foot shiatsu |
KR200279986Y1 (en) * | 2002-03-26 | 2002-07-02 | (주)위그로 | massage bar combined acupressure bar |
JP3100123U (en) * | 2003-08-28 | 2004-04-30 | 小柳 潤一 | Nasal appliance |
JP2010155038A (en) * | 2009-01-01 | 2010-07-15 | Toshinao Endo | Cotton swab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7051A (en) * | 2021-07-05 | 2023-01-12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Closed reduction tool for nasal bone fracture |
KR20230168988A (en) * | 2021-07-05 | 2023-12-15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Closed reduction tool for nasal bone fra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7672B1 (en) | 2021-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386065B (en) | Vagina endoscope | |
US6344047B1 (en) | Instrument for inserting a punctum plu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nstrument | |
US8974486B2 (en) |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unobstructed nasal passageways after nasal surgery | |
JP4416176B2 (en) | Vision correction jig and cooling fluid injection tool for the same | |
HK1177412A1 (en) | Uterine therapy device | |
US5662686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structural imbalance in a human spine | |
KR20200081898A (en) | Device for correction nose | |
KR20180060045A (en) | Nasal Splint Tube | |
CN205626040U (en) | Be arranged in half month festival of trigeminal nerve to oppress art pjncture needle subassembly | |
US8591484B2 (en) | Lacrimal punctum measurement and occlusion | |
US20070135819A1 (en) | Transvaginal tube | |
CN208573818U (en) | A femoral locator f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
KR20200055964A (en) | Device for correction nose | |
JPH0715554Y2 (en) | Fiber type laser therapy device | |
CN216823626U (en) | Cervical vertebra side block screw positioner | |
KR101982450B1 (en) | Endoscope guide device for nasal cavity and endoscop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20110106094A1 (en) | Mandibular distrac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 |
CN203852417U (en) | Pedicle screw sleeve | |
CN209847759U (en) | Improved structure of duckbilled mouth opening trainer | |
CN222075496U (en) | Adjustable headrest for endoscope diagnosis and treatment | |
KR20220013808A (en) | Acupressure tool | |
CN207356170U (en) | The device of eyelid eyelashes is protected in a kind of ophthalmology plastic operation | |
JP4302848B2 (en) | Dental cooling and analgesic device | |
CN218128716U (en) | Fracture reduction forceps with lateral pressurizing function | |
CN209966540U (en) | Adjustable guide for inserting cannulated screw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