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110A - Duct connection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Duct connection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1110A KR20200081110A KR1020180171255A KR20180171255A KR20200081110A KR 20200081110 A KR20200081110 A KR 20200081110A KR 1020180171255 A KR1020180171255 A KR 1020180171255A KR 20180171255 A KR20180171255 A KR 20180171255A KR 20200081110 A KR20200081110 A KR 202000811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air
- connection
- air conditioner
- dischar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 내부에서 공기의 재순환 영역을 없애고 공기의 유속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덕트 내부의 정압을 균일하게 낮춤으로써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덕트 연결부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메인덕트;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측에 연결되는 토출덕트; 및 상기 메인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토출덕트의 배출구 사이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며 연결되되,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이 전환되는 부위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덕트;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recirculation area of the air inside the duct through which the air flows and uniformly lowers the static pressure inside the duct by uniformly distributing the flow rate of the air, and also allows the air to flow smoothly and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uct connection. The object is to provide a duct connection of an air conditioner with improved convenience.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the main duct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passes through the air conditioner; A discharge duct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And a connection duct formed by changing a flow direction of air between the inlet of the main duct and the outlet of the discharge duct, and a portion in which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switched is cur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덕트 내부의 정압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덕트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connection par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ct connection part of an air conditioner that minimizes the static pressure inside the duct so that the air flows smoothly and improves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work of the duct. .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adjusts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or ventilates indoor air according to a user's needs to keep the room comfortable.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냉방, 난방,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by add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dehumidification, humidification, cooling, heating, air purification, and ventilation to an air conditioner,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maintain indoor air comfortably according to a change of seas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이러한 공기조화기에는 실내측 또는 실외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 연결부가 연결 설치된다.In such an air conditioner, a duct connection part providing a flow path for flowing air to the indoor or outdoor side is install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로 공기조화기(3)는 본체(1)의 상부에 증발냉각부(2)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냉각부(2)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 토출측에는 공기조화기(3)를 통과하며 냉각된 공기를 실내측으로 급기하는 연결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연결부(30)가 구비된다. 1 to 3, in one embodiment, the
종래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30)는, 실내측으로 급기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메인덕트(10)와, 상기 공기조화기(3)의 공기 토출측과 메인덕트(10)를 연결하는 토출덕트(20)를 포함한다.The
상기 메인덕트(10)는 단면이 사각 형상인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일측에 개구된 유입구(12), 및 상기 몸체(11)의 타측에 개구된 배출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출덕트(20)는 공기조화기(3)로부터 횡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종방향으로 전환시켜 메인덕트(10)의 유입구(12)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에 개구된 유입구(22), 및 상기 몸체(21)의 상측에 개구된 배출구(23)를 포함한다.The
도 3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3)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토출덕트(2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유입되고, 토출덕트(20)를 통과하면서 유동방향이 종방향으로 전환된 후에 메인덕트(10)로 공급된다.As shown by the arrow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 Figure 3, the air supplied from the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30)는, 메인덕트(10)와 토출덕트(20)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메인덕트(1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2)를 통해 메인덕트(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사각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메인덕트의 상단 절곡부(10a) 근방에서 재순환되며 정체됨으로써 재순환 영역(A1)에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또한, 상기 상단 절곡부(10a)와 대향되는 측에 위치하는 사각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하단 절곡부(10b) 근방을 통과하는 공기는 유동 방향이 급격하게 전환됨에 따라 메인덕트(10)의 상부에는 고속 유동 영역(A2)이 형성되고, 메인덕트(10)의 하부에는 저속 유동 영역(A3)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vicinity of the
이와 같이 메인덕트(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분포가 불균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메인덕트(10) 내부에는 정압이 변동되어 정압이 상승하는 영역에서는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such, as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종래 덕트 연결구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공개특허 제10-2018-0098818호에 개시되어 있다.Prior art related to a conventional duct connector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98818.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 내부에서 공기의 재순환 영역을 없애고 공기의 유속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덕트 내부의 정압을 균일하게 낮춤으로써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덕트 연결부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air flows smoothly by eliminating the recirculation area of the air inside the duct through which the air flows and uniformly lowering the static pressure inside the duct by uniformizing the flow rate distribution of the ai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ct connection part of an air conditioner, which improves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work and a duct connection par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메인덕트;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측에 연결되는 토출덕트; 및 상기 메인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토출덕트의 배출구 사이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며 연결되되,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이 전환되는 부위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덕트;를 포함한다.The duct connection par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main duct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air conditioner flows; A discharge duct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And a connection duct formed by changing a flow direction of air between the inlet of the main duct and the outlet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portion in which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switched is curved.
상기 연결덕트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종방향에서 횡방향으로 전환시키되, 상기 종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부딪쳐 횡방향으로 전환되는 부위에는 제1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곡면부와 대향되며 공기가 종방향에서 횡방향으로 전환되는 부위에는 제2곡면부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duct converts the flow direction of air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first curved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air flo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llided and converted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opposite to the first curved portion. A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air is switched from a longitudinal direction to a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연결덕트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덕트에는 상기 연결덕트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inlets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duct, and a plurality of outlet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lets formed in the connection duct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duct.
상기 연결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토출덕트의 배출구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let of the connection duct and the outlet of the discharge duct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상기 연결덕트의 복수의 유입구와 상기 토출덕트의 복수의 배출구를 각각 연결하며,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플렉시블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inlets of the connection duct and the plurality of outlets of the discharge duc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lexible ducts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상기 연결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토출덕트의 배출구, 및 상기 플렉시블덕트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let port of the connection duct, the outlet port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flexible duct may each be made of a pair.
상기 토출덕트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전환시키되, 상기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부딪쳐 종방향으로 전환되는 부위에는 곡면부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duct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the flow direction of air from a transverse direction to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urved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air flow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ollides and is converted into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토출덕트의 곡면부의 상단과, 상기 토출덕트의 배출구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곡면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an inclined portion for guiding air passing through the curved portion toward the outlet may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에 의하면, 메인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전환되는 부위를 곡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 내부에서 공기의 재순환 영역을 없애고 공기의 유속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덕트 내부의 정압을 균일하게 낮춤으로써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uct connecting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ortion in which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switched in the connecting duct connecting the main duct and the discharge duct, a recirculation region of air in the duct through which the air flows By eliminating and uniformizing the flow velocity distribution of the air, the static pressure inside the duct is uniformly lowered, so that the air flows smoothly.
또한, 연결덕트의 유입구와 토출덕트의 배출구 및 플렉시블덕트를 각각 복수로 구비하고 단면이 원형인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덕트 연결부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uct connec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each of the inlet of the connecting duct, the outlet of the discharge duct, and a flexible duct,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에서 공기의 유동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connection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ct connection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flow of air in the duct connection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ct conn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igure 7 is a front view of Figure 4,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of Figure 7 for explaining the ac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uct conn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100)는, 메인덕트(110), 토출덕트(120), 연결덕트(130) 및 플렉시블덕트(140)를 포함한다.4 to 8, the
상기 메인덕트(110)는 공기조화기(3)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메인 유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일실시예로, 상기 메인덕트(110)는 공기조화기(3)의 증발냉각부(2)를 통과하며 냉각된 공기가 실내측으로 급기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The
상기 메인덕트(110)는 단면이 사각 형상인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개구된 유입구(112), 및 상기 몸체(111)의 타측에 개구된 배출구(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토출덕트(120)는 공기조화기(3)의 공기 토출측에 연결되어 공기의 토출유로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토출덕트(120)는 공기조화기(3)의 증발냉각부(2)를 통과하며 냉각된 공기를 유입받아 상기 메인덕트(110)의 유입구(112)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The
상기 토출덕트(120)는 공기조화기(3)의 공기 토출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종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토출덕트(120)는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일측에 개구된 유입구(122), 및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 개구된 배출구(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상기 토출덕트(120)의 몸체(121)에는 상기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부딪쳐 종방향으로 전환되는 부위에 곡면부(121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곡면부(121a)를 따라 상향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되며 곡면 형상을 따라 유동하게 되므로 유동저항이 최소화되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The
상기 토출덕트(120)는 단일의 유입구(122)와 복수의 배출구(123;123a,123b)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배출구(123;123a,123b)는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123;123a,123b)는 단면이 원형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토출덕트(120)의 곡면부(121a)의 상단과, 상기 토출덕트(120)의 배출구(123;123a,123b)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곡면부(121a)를 통과한 공기를 정압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배출구(123;123a,123b)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경사부(124;124a,124b)가 형성된다.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상기 연결덕트(13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메인덕트(110)의 유입구(112)와 상기 토출덕트(120)의 배출구(123)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일실시예로, 상기 연결덕트(130)는 토출덕트(120)를 통과하여 종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횡방향으로 전환시켜 상기 메인덕트(110)의 유입구(112) 측으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연결덕트(130)는 곡면 형상으로 만곡된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32;132a,132b), 및 상기 몸체(131)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 configuration for this, the
상기 연결덕트(130)의 몸체(131)에는, 상기 종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부딪쳐 횡방향으로 전환되는 부위에는 제1곡면부(131a)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곡면부(131a)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공기가 종방향에서 횡방향으로 전환되는 부위에는 제2곡면부(131b)가 형성된다.In the
상기 제1곡면부(131a)를 형성함에 따른 공기 재순환 방지 및 상기 제2곡면부(131b)를 형성함에 따른 공기 유속 나뉨 현상 방지 효과를 위하여 상기 제1곡면부(131a)와 제2곡면부(131b)의 곡률 반경은 설치 환경에 따라 최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곡률 반경의 변화는 정압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덕트(130) 및 이에 연결되는 메인덕트(110) 내부에서의 정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상기 제1곡면부(131a)와 제2곡면부(131b)의 곡률 반경을 설정하여 설계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이와 같이 상기 연결덕트(130)의 몸체(131)에 제1곡면부(131a)를 형성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덕트 내부의 재순환 영역을 없앨 수 있어, 공기가 재순환 및 정체 현상 없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으며, 곡률 반경을 최적화 설계하여 정압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us, by forming the first
또한, 상기 연결덕트(130)의 몸체(131)에 제2곡면부(131b)를 형성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공기의 유속이 불균일해 짐에 따른 덕트 내부의 정압 상승의 요인을 없앨 수 있어, 연결덕트(130) 및 이에 연결된 메인덕트(110) 내부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공기의 유속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덕트 내부의 정압 상승 및 이에 따른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second
상기 연결덕트(130)의 유입구(132;132a,132b)는 상기 토출덕트(120)의 배출구(123;123a,123b)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단면이 원형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연결덕트(130)의 배출구(133)는 메인덕트(110)의 유입구(112)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사각형인 단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플렉시블덕트(140;140a,140b)는, 신축성 및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연결덕트(130)의 복수의 유입구(132;132a,132b)와 상기 토출덕트(120)의 복수의 배출구(123;123a,123b)를 각각 연결하며, 단면이 원형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lexible duct (140; 140a, 140b)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a plurality of inlets 132 (132a, 132b) of the
상기 플렉시블덕트(140;140a,140b)의 하단은 토출덕트(120)의 배출구(123;123a,123b)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플렉시블덕트(140;140a,140b)의 상단은 연결덕트(130)의 유입구(132;132a,132b)에 각각 연결된다. The lower ends of the
상기 플렉시블덕트(140;140a,140b)에 의해 연결덕트(130)의 유입구(132;132a,132b)와 토출덕트(120)의 배출구(123;123a,123b)를 연결함으로써, 연결덕트(130)의 유입구(132;132a,132b)와 토출덕트(120)의 배출구(123;123a,123b) 사이의 간격이 설치 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경우라도 플렉시블덕트(140;140a,140b)가 갖는 신축성 및 가요성에 의해 연결덕트(130)의 유입구(132;132a,132b)와 토출덕트(120)의 배출구(123;123a,123b)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By connecting the
상기 플렉시블 덕트(140;140a,140b)는 누기를 막고, 최대 공기량이 전달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호일(Foil)이나 피브이씨(PVC) 난연 재질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덕트(140;140a,140b)의 높이는 정압을 최소화 하며 설치성을 고려한 최적화 된 높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The flexible duct (140; 140a, 140b) may prevent leakage, and a product of aluminum foil (Foil) or PVC (FVC) flame retardant material may be used so that the maximum amount of air can be delive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상기 토출덕트(120)의 배출구(123;123a,123b)와 플렉시블덕트(140;140a,140b) 및 연결덕트(130)의 유입구(132;132a,132b)는 서로 대응되는 복수로 이루어지되, 토출덕트(120)와 메인덕트(110) 사이의 정압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제작 공수를 줄이고, 누기의 우려 및 설치 시공성, 덕트의 금형구조 구현의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도 8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3)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토출덕트(12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유입되고, 토출덕트(120)의 몸체(121)에 형성된 곡면부(121a)를 따라 종방향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되며, 플렉시블덕트(140)를 경유하여 연결덕트(130)로 유입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by the arrow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in FIG. 8, the air supplied from the
상기 연결덕트(130)에 종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연결덕트(130)의 몸체(131)에 형성된 제1곡면부(131a)와 제2곡면부(131b)를 따라 횡방향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되며, 이때 연결덕트(130)를 통과하는 공기는 재순환과 유속 변동 및 정압 상승 없이 일정한 유속 및 정압 상태를 유지하면서 메인덕트(110)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130)의 유입구(132;132a,132b)와 토출덕트(120)의 배출구(123;123a,123b) 및 플렉시블덕트(140;140a,140b)를 각각 복수로 구비하고 단면이 원형인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구성부품들(132,123,140)을 단일 구조로 구비한 경우와 비교하여, 각각의 구성부품들(132,123,140)의 직경을 줄일 수 있어 덕트 연결부(100)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air introdu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또한, 상기 구성부품들(132,123,140)을 원형 단면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각진 단면 구조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기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그리고, 제1곡면부(131a) 및 제2곡면부(131b)의 곡률 반경을 최적화 된 규격으로 설계함으로써 공기의 재순환과 유속 변동 및 정압 상승 요인을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d, by designing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modified implementation obvious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본체
2 : 증발냉각부
3 : 공기조화기
10 : 메인덕트
10a : 상단 절곡부
10b : 하단 절곡부
11 : 몸체
12 : 유입구
13 : 배출구
20 : 토출덕트
21 : 몸체
22 : 유입구
23 : 배출구
30 : 덕트 연결부
A1 : 재순환 영역
A2 : 고속 유동 영역
A3 : 저속 유동 영역
100 : 덕트 연결부
110 : 메인덕트
111 : 몸체
122 : 유입구
123 : 배출구
120 : 토출덕트
121 : 몸체
121a : 곡면부
122 : 유입구
123,123a,123b : 배출구
124,124a,124b : 경사부
130 : 연결덕트
131 : 몸체
131a : 제1곡면부
131b : 제2곡면부
132,132a,132b : 유입구
133 : 배출구
140,140a,140b : 플렉시블덕트1: Main body 2: Evaporative cooling section
3: Air conditioner 10: Main duct
10a:
11: Body 12: Inlet
13: outlet 20: discharge duct
21: body 22: inlet
23: outlet 30: duct connection
A1: Recirculation zone A2: High-speed flow zone
A3: low-speed flow area 100: duct connection
110: main duct 111: body
122: inlet 123: outlet
120: discharge duct 121: body
121a: curved portion 122: inlet
123,123a,123b: outlet 124,124a,124b: slope
130: connecting duct 131: body
131a: first
132,132a,132b: inlet 133: outlet
140,140a,140b: Flexible duct
Claims (8)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측에 연결되는 토출덕트; 및
상기 메인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토출덕트의 배출구 사이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며 연결되되,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이 전환되는 부위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덕트;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A main duct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air conditioner flows;
A discharge duct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And
Connected while switch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between the inlet of the main duct and the outlet of the discharge duct, the portion of the air flow direction is switched connection duct consisting of a curved surface;
Duct conn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상기 연결덕트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종방향에서 횡방향으로 전환시키되, 상기 종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부딪쳐 횡방향으로 전환되는 부위에는 제1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곡면부와 대향되며 공기가 종방향에서 횡방향으로 전환되는 부위에는 제2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duct converts the flow direction of air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first curved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air flo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llided and converted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opposite to the first curved portion. A duct connecting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curved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air is switched from a longitudinal direction to a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연결덕트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덕트에는 상기 연결덕트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inlets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s formed in the connection duct,
The discharge duct has a plurality of outlet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lets formed in the connection duct, the duct connection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연결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토출덕트의 배출구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According to claim 3,
The duct connection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of the connection duct and the outlet of the discharge duct are circular in cross section.
상기 연결덕트의 복수의 유입구와 상기 토출덕트의 복수의 배출구를 각각 연결하며,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플렉시블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According to claim 4,
A duct connection part of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lexible ducts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ach connecting a plurality of inlets of the connection duct and a plurality of outlets of the discharge duct.
상기 연결덕트의 유입구와, 상기 토출덕트의 배출구, 및 상기 플렉시블덕트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The method of claim 5,
The inlet of the connection duct, the outlet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flexible duct, the duct conn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a pair.
상기 토출덕트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전환시키되, 상기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부딪쳐 종방향으로 전환되는 부위에는 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duct convert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rom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uct connecting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curved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air flow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bumped and converted in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토출덕트의 곡면부의 상단과, 상기 토출덕트의 배출구의 하단 사이에는, 상기 곡면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덕트 연결부.
The method of claim 7,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discharge duct a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the duct connecting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to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urved portion toward the outl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1255A KR20200081110A (en) | 2018-12-27 | 2018-12-27 | Duct connection of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1255A KR20200081110A (en) | 2018-12-27 | 2018-12-27 | Duct connection of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1110A true KR20200081110A (en) | 2020-07-07 |
Family
ID=7160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1255A Withdrawn KR20200081110A (en) | 2018-12-27 | 2018-12-27 | Duct connection of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81110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585861A1 (en) | 2024-01-11 | 2025-07-16 | Hephzibah Co., Ltd. | Duct connec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2018
- 2018-12-27 KR KR1020180171255A patent/KR20200081110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585861A1 (en) | 2024-01-11 | 2025-07-16 | Hephzibah Co., Ltd. | Duct connec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2252875U (en) |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AU2018250394B2 (en) | Ceiling-mounted air-conditioner indoor-unit system | |
CN109931294B (en) | Double-vortex bidirectional blower | |
US5163871A (en) | Floor register grill | |
US8721408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US7468084B2 (en) | Device for conditioning recirculating air, especially clean room air | |
EP3604937A1 (en) | Housing assembly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CN212657786U (en) |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 |
AU2014379851A1 (en) | Air conditioner | |
KR20200081110A (en) | Duct connection of air conditioner | |
CN105091090A (en) | Air conditioner | |
CN213872909U (en) | Air outlet assembly with long air supply distance and air duct machine | |
EP2394100B1 (en) | Supply air terminal device | |
CN105091084A (en) | Air conditioner indoor machine | |
CN105091118A (en) | Air conditioner | |
CN117704480A (en) | Air duct structure, air duct design method, air conditioner and air outlet control method | |
KR101525763B1 (en) | Ventilation seat apparatus for vehicle | |
CN213778127U (en) | Flow guide devic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CN105091086A (en) | Air conditioner | |
CN114608070A (en) | Air conditioner | |
CN220169561U (en) | Air conditioner | |
CN219367792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front panel | |
CN220524218U (en) | Air conditioner | |
CN105091088A (en) | Air conditioner indoor machine with air supply device | |
CN222514063U (en) | Air distribution box and ground air supply fresh ai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