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81021A -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 Google Patents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021A
KR20200081021A KR1020180171100A KR20180171100A KR20200081021A KR 20200081021 A KR20200081021 A KR 20200081021A KR 1020180171100 A KR1020180171100 A KR 1020180171100A KR 20180171100 A KR20180171100 A KR 20180171100A KR 20200081021 A KR20200081021 A KR 20200081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locking means
inner case
seat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환
최광현
Original Assignee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최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최광현 filed Critical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1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1021A/ko
Publication of KR20200081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02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8Means for plugging to the electrical power supply of the vehicle, e.g. by using cigarette lighter s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 설치되는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일측면에 등받이 내부로 일정 깊이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케이스;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외측으로 인출 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납함체; 상기 수납함체를 내부케이스에 고정하여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잠금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함체와 내부케이스 사이 또는 상기 수납함체와 수용홈 사이에 설치되는 잠금수단; 상기 잠금수단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상기 수납함체에 내장 설치되는 잠금수단 제어부; 상기 잠금수단 및 잠금수단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홈 또는 수납함체에 내장되어 교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수납함체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관된 물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Car seat equipped with side pocket}
본 고안은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과 같이 독립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되어 필요시 외부로 인출되거나 개폐되는 수납함체가 구비되어 운전자의 신변물품이나 운전보조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과 더불어 대중교통 수단 또한 증가하고 있지만, 특히 자가용 승용차는 주차공간이 부족할 정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사업용 대중교통차량이나 영업용 승합차량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자가용 차량의 경우 1인 운전자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 내부에 다양한 개인 신변물품 뿐만 아니라 운전보조물품을 싣고 다니면서 수시로 이용하고 있다.
차량에 가지고 다니는 운전자의 개인 신변물품이나 운전 보조용 물품의 경우, 그 부피가 크거나 중량물인 경우는 트렁크에 싣고 다니게 되고, 크기나 부피가 작은 물품은 운전자의 손길이 닿는 운전대 주변에 마련된 수납공간에 보관하면서 이용하고 있다.
일반 승용차의 경우, 운전석 주변에 운전자의 필요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도어 내측이나 변속기어 주변, 조수석 전방,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 사이의 공간 등을 이용하여 물품 수납공간을 마련해두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승용차 내부에 마련된 수납공간만으로는 다소 부족하다는 인식을 운전자 대부분이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운전석 주변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은 대부분 개방된 상태이거나 개방이 용이한 구조여서 개방된 수납공간에 개인 신변물품을 싣고 다닐 경우 차량 내부가 지저분해보이거나 제3자의 손길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상태에 놓여져 있어서 비밀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특히, 손님을 모시거나 동승자를 태워야 하는 경우, 남에게 보여주기 어렵거나 보여서는 안되는 중요한 개인 신변 물품을 공개된 수납공간에 싣고 다니는 것 역시 불편한 상황이다.
또한, 계절에 따라 차량 내부 온도변화가 심해 온도에 민감한 물품을 차량 실내에 두고 다닐 경우, 차량 실내의 온도 변화에 따라 차량 실내에 두고 다니는 신변물품이 쉽게 변질되거나 훼손될 수 있고, 차량 외부에서 식별가능한 경우 운전자의 개인 프라이버시가 노출될 수 있음은 물론 고가의 물품인 경우 도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다.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340호(등록일:2015.05.26, 고안의 명칭: 냉온 보관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수납포켓) -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50724호(공개일:2005.06.01, 발명의 명칭: 시트백 내장형 개폐형 포켓) - 한국 공개실용신안 실2000-0000548호(공개일:2000.01.15,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컵 포켓)
본 발명은 운전자들이 종래의 승용차에 구비된 수납공간을 이용함에 있어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의 중요한 개인 신변물품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따로 보관 가능하고, 운전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도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기상상태나 화재 발생시에 차량 실내에 둔 개인 신변물품이나 운전 보조물품이 온도 변화에 따라 변질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독립 설치되는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일측면에 등받이 내부로 일정 깊이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케이스;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외측으로 인출 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납함체; 상기 수납함체를 내부케이스에 고정하여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잠금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함체와 내부케이스 사이 또는 상기 수납함체와 수용홈 사이에 설치되는 잠금수단; 상기 잠금수단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상기 수납함체에 내장 설치되는 잠금수단 제어부; 상기 잠금수단 및 잠금수단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홈 또는 수납함체에 내장되어 교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내부케이스 및 수납함체는 수납함체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이 외부 기온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내화성 및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함체의 외측면에는 차량측 전원에 연결되는 충전케이블의 단자가 입력되어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단자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낮아질 경우 점등 또는 점멸되는 방전경고 표시등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독립형 시트, 즉 운전석과 조수석의 등받이에 일체로 구성되어 차량의 실내 및 차체에 구비되는 포켓 이외에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개인 신변물품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른 사람들의 눈에 쉽게 띄지 않도록 하여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 일체로 구비되는 수납함체는 운전자가 직접 비밀번호 등을 설정할 수 있어 다른 사람들이 수납함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여 도난이나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등받이에 구비되는 수납함체가 내화성 및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져 차량 화재시 수납함체에 보관중인 개인 물품이 전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중 조수석 시트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트에서 등받이에 구비된 수납함체의 개방된 상태도,
도 3은 운전석 시트에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의 외관 사시도 및 수납함체의 개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에서 수납함체의 개폐를 위해 비밀번호입력부가 활성화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승용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과 같이 차량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성된 차량의 시트에서 있어서 시트를 구성하는 등받이의 일측면에 등받이 쿠션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수용홈을 형성하고, 이 수용홈에 수용되는 크기의 수납함체를 설치하되, 상기 수납함체는 운전자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자신의 신변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제3자의 개방이 어렵도록 수납함체를 전자식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운전자 본인만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수납함체를 내열성 및 내화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 더운 여름철이나 추운 겨울철과 같이 외부 기온변화에 따라 차량 실내의 온도가 심하게 변화되거나 또는 차량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도 수납함체에 보관된 물품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공지된 기술수단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안출할 수 있는 기술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하게 기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성용어는 시트를 기준으로 사람이 착석하는 착석부가 위치하는 쪽을 전방, 등받이 뒷쪽을 후방, 등받이의 좌우 양쪽을 측면으로 표현하고, 차량 내측방향 또는 차량 중심부는 시트가 장착되는 차량의 폭방향의 중심부를 의미하거나 그 중심부를 향하는 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트 등받이에 구비된 수납함체(50)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는 차량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시트 중 조수석 시트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1인 전용으로 제작된 자동차용 시트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자동차용 시트는 착석부(10)와 등받이부(20), 머리받침부(30)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특징부인 수납함체(50)는 시트의 등받이부(2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시트의 등받이부(20)는 착석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면서 일정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의 발포제로 성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받이부(20)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중심부를 향하는 내측면에 등받이부(20)의 두께와 높이에 따라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깊이를 갖도록 등받이부(20)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수용홈(4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40)의 형상은 직육면체 구조의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40)의 내측에는 내열성(耐熱性) 및 내화성(耐火性) 재질로 구성되어 일측이 개방된 구조의 사각박스형 내부케이스(42)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내부케이스(42)는 발포성형되는 시트 등받이부의 성형시 금형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등받이부 발포성형과 함께 등받이부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등받이부의 발포 성형된 후에 수용홈을 가공하고, 가공된 수용홈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등받이부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42)의 내측으로는 하단부가 내측케이스(42)의 개방된 입구 하단부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 회동 가능한 구조의 수납함체(50)가 설치되어 하단 힌지고정부(47)를 기준으로 수납함체(50)의 상단부가 상하 회동되면서 상기 수용홈(40) 내측에 설치된 내부케이스(42)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운전자의 물품 수납 편리를 위해 안출된 것이어서, 도 1 및 도 2의 조수석 시트는 운전자쪽을 향하는 등받이부(20)의 내측면에 상기 수용홈(4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0) 내측으로 내부케이스(42)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케이스(42)의 내측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수납함체(50)가 수용되어 운전자쪽으로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수납함체(50)의 내부에 물품을 편리하게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납함체(50)는 수용홈(40)의 형상과 동일하게 직육면체 구조의 사각 박스형으로 이루어지며, 사방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개방시 상방을 향하는 상면이 개방가능하도록 개폐도어(56)가 구비되어 수납함(54)의 내측 수납부(54)에 수용되는 물품이 수납함체(50)의 개폐시에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납함체(50) 역시 상술한 수용홈(40)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케이스(42)와 마찬가지로 내열성(耐熱性) 및 내화성(耐火性)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4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케이스(42)와, 상기 내부케이스(42)에 수용되는 수납함체(50)가 모두 내열성(耐熱性) 및 내화성(耐火性) 재질로 이루지면서 일정 두께의 등받이부(20) 내측에 수용되기 때문에 차량 실내의 온도 변화에도 수납함체(50)의 수납부(54)에 수용된 물품은 외부 기온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차량 화재시에도 전소(全燒)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가 운행중에 화재가 발생하는 사례가 자주 있는데, 차량 화재시 차량 실내에 둔 운전자의 개인 신변물품은 화재에 의해 모두 소실되는 상황이 발생되어 운전자는 많은 경제적 손실은 물론 개인적인 어려움에 처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트는 비록 발포제로 이루어진 시트 및 등받이부가 화재시 소실되더라도 내부케이스(42)와 수납함체(50)가 내열성 및 내화성 재질로 이루어져 화재 발생시 소실되지 않고 수납부(54)에 수납된 개인 신변물품은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납함체(50)와 내부케이스(42) 사이 또는 수납함체(50)와 수용홈(40) 사이에는 소정의 잠금수단(45,55)이 구비되어 수납함체(50)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수단(45,55)은 운전자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전자제어를 통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전자식 잠금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함체(50)의 내부에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전자식 도어락 형태의 잠금수단이 내장하도록 구성되고, 전자식 잠금수단은 운전자의 지문이나 비밀번호 입력, 전자인식가 등을 이용하여 개폐할 수 있는 전자식 잠금수단 제어부(58)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수용함체(50)에 구성되는 전자식 잠금수단이나 잠금수단제어부는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전자식 잠금수단을 채택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것이어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40) 내측이나 수납함체(50)에는 상기 전자식 잠금수단의 개폐를 위한 충방전 및 교체가 가능한 배터리(60)도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함체(50)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배터리 방전 상태를 운전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방전 경고표시등(65)이 더 구비되고, 방전된 배터리를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케이블의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충전단자(62)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터리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USB단자에 연결되어 차량측 전원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USB 충전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운전석 시트의 일 측면에 수납함체(50)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운전석 시트는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수석 시트와 대향되는 위치, 즉 차량의 중심부를 향하는 운전석 시트의 등받이부(20) 내측면에 수납함체(50)가 구비되어 개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는 운전석 시트와 조수석 시트가 각각 독립적으로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발췌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조수석 시트의 등받이 내측면에 구비된 수용홈에 설치된 수납함체를 열어 필요한 물품을 수납함 내부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납함체에 구비되는 잠금수단 제어부의 일실시예로, 터치식 잠금수단 제어부가 설치된 일례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함체(50)의 외표면에 터치식 패널(70)이 구비된 전자식 잠금수단 제어부는 운전자가 수납함체의 외부를 터치할 경우, 수납함체의 외부면에 설치된 터치식 패널(70)이 활성화되면서 비밀번호/지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 입력부 또는 지문입력부가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이 설정한 방식으로 비밀번호/지문 등을 입력하게 되면, 수용홈의 내부케이스에 결합된 전자식 잠금수단이 해제되고, 잠금수단이 해제되면서 수납함체의 상단부가 바깥쪽으로 젖혀지면서 하강되고, 하강된 수납함체의 상부 개폐도어를 열고 수납함에 물품을 넣거나 보관중인 물품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사용중인 수납함체를 다시 수용홈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전자식 잠금장수단에 의해 수납함체가 내부케이스 또는 수용홈의 잠금수단에 결합되면서 고정상태가 유지되어 수납함체를 견고하게 밀폐시켜 수납부에 수용된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10 : 착석부 20 : 등받이
30 : 머리받침부
40 : 수용홈 42 : 내부케이스
45 : 잠금수단 47 : 힌지고정부
50 : 수납함체 52 : 수납함
54 : 수납부 55 : 잠금수단
56 : 개폐도어 58 : 잠금수단 제어부
60 : 배터리 62 : 충전단자
65 : 방전경고표시등
70 : 터치식패널
100 : 시트

Claims (2)

  1. 독립 설치되는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일측면에 등받이 내부로 일정 깊이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케이스;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외측으로 인출 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납함체;
    상기 수납함체를 내부케이스에 고정하여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잠금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함체와 내부케이스 사이 또는 상기 수납함체와 수용홈 사이에 설치되는 잠금수단;
    상기 잠금수단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상기 수납함체에 내장 설치되는 잠금수단 제어부;
    상기 잠금수단 및 잠금수단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홈 또는 수납함체에 내장되어 교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 및 수납함체는 수납함체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이 외부 기온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내화성 및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함체의 외측면에는 차량측 전원에 연결되는 충전케이블의 단자가 입력되어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단자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낮아질 경우 점등 또는 점멸되는 방전경고 표시등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KR1020180171100A 2018-12-27 2018-12-27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Ceased KR20200081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100A KR20200081021A (ko) 2018-12-27 2018-12-27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100A KR20200081021A (ko) 2018-12-27 2018-12-27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021A true KR20200081021A (ko) 2020-07-07

Family

ID=7160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100A Ceased KR20200081021A (ko) 2018-12-27 2018-12-27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10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662A1 (en) * 2021-09-30 2023-04-06 Irving Meisler Vehicle headrest saf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48A (ko) 1998-06-01 2000-01-15 구자홍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광막구조
KR20050050724A (ko) 2003-11-26 2005-06-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트백 내장형 개폐형 포켓
KR200477340Y1 (ko) 2014-09-11 2015-06-03 이미영 냉온 보관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수납포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48A (ko) 1998-06-01 2000-01-15 구자홍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광막구조
KR20050050724A (ko) 2003-11-26 2005-06-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시트백 내장형 개폐형 포켓
KR200477340Y1 (ko) 2014-09-11 2015-06-03 이미영 냉온 보관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용 수납포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662A1 (en) * 2021-09-30 2023-04-06 Irving Meisler Vehicle headrest saf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1448A (en) Receptacle armrest for motor vehicles
US12208719B2 (en) Vehicle headrest safe
CN101519049A (zh) 汽车座椅
KR20200081021A (ko) 수납함체가 일체로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US3413031A (en) Rumble seat insert for automobile
JP2001322501A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CN201694113U (zh) 前座中央防盗扶手箱
RU144751U1 (ru) Вещевой отсек дл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AU2018253558B2 (en) Vehicle
CN211196125U (zh) 车内围挡及车辆
US8336941B1 (en) Arrangement for housing a device in an interior of a vehicle
JP2019059259A (ja) 車両の荷物受取装置
CN109131109A (zh) 用于存储物品的机动车辆的乘客座椅和机动车辆
CN216915631U (zh) 一种带有保险箱的汽车座椅及具有其的汽车
US20140374454A1 (en) Receiving system for a safety vest unit in a vehicle interior
KR20140091212A (ko) 자동차 실내 우산보관함
JP3072305B2 (ja) 小型トラックの後部座席装置
CN211441918U (zh) 一种靠近报警的汽车舱门
KR100946861B1 (ko) 액자가 구비된 자동차용 어퍼 컴파트먼트
KR20170105899A (ko) 업무용 자동차
KR0116920Y1 (ko) 자동차 트렁크로 통하는 도어가 부착된 백셀프트림
BE1015955A6 (nl) Minibus.
KR101418913B1 (ko)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도어트림
TW201522761A (zh) 機車行李箱自動啓閉單箱或多箱連動鎖裝置
CZ9903U1 (cs) Vestavný trezor pro osobní automobi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6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