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776A -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oniz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oniz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8776A KR20200078776A KR1020180167441A KR20180167441A KR20200078776A KR 20200078776 A KR20200078776 A KR 20200078776A KR 1020180167441 A KR1020180167441 A KR 1020180167441A KR 20180167441 A KR20180167441 A KR 20180167441A KR 20200078776 A KR20200078776 A KR 202000787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unit
- ionizer
- master
- slave
-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8—Connectivity information upd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당수의 이오나이저를 필요로 하는 제조시스템에서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효율적이고 누락없이 모니터링할 있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으로서, 복수 개의 센서부와;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과; 게이트웨이 모듈과;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that monitors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and in detail, efficiently and seamlessly monitors the performance of an ionizer in a manufacturing system requiring a large number of ionizers using a wireless network. It is related to the ionizer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 plurality of slave modules; At least one master module; A gateway module; And a management ser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 또는 이오나이저의 제전대상인 대전체의 정전압을 모니터링을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당수의 이오나이저를 필요로 하는 제조시스템에서 이오나이저의 성능 또는 대전체의 정전압을 모니터링을 효율적이고 누락없이 모니터링할 있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that monitors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or the constant voltage of a large object that is the target of static elimination of an ioniz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and seamlessly monitoring the entire constant voltage.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LCD, 반도체 등의 제조 공정에서는 전자기기, LCD, 반도체 웨이퍼에 미세한 먼지가 부착되거나 정전기에 의하여 소자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기 제거 장치, 즉 이오나이저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general,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electronic devices, LCDs, semiconductors, etc.,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such as fine dust adhering to the electronic devices, LCDs, and semiconductor wafers, or damage to devices due to static electricity, an electrostatic removal device, that is, an ionizer is used. It is common to install.
이러한 이오나이저는 크게 코로나 방전식 장치와 엑스선 방사식 장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코로나 방전식 장치가 갖는 고전압 방전에 의한 스퍼터링 현상, 오존가스 발생, 이온 밸런스 조정에 따른 불편 등의 단점을 극복한 엑스선 방사식 장치, 즉 엑스선 이오나이저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These ionizer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a corona discharge type device and an X-ray radiation type device. Recently, the ionizer has overcome disadvantages such as sputtering caused by high voltage discharge, ozone gas generation, and inconvenience caused by ion balance adjustment. X-ray radiation devices, that is, X-ray ionizers are mainly used.
상기 엑스선 이오나이저는 엑스선을 생성하고 이를 방사하여 기체 분자를 이온화함으로써 제전 대상 물체 표면의 정전기를 중화하는 장치로, 주로 연엑스선(soft x-ray)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엑스선 이오나이저는 미세먼지를 발생시키지 않고 공기를 대류시킬 필요도 없기 때문에 더욱 적합한 방식으로 각광받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어 왔다.The X-ray ionizer is a device that neutralizes static electricity on the surface of a static elimination object by generating X-rays and emitting them to ionize gas molecules, and is mainly implemented by a method of irradiating soft x-rays. Since the X-ray ionizer does not generate fine dust and does not need to convect air, it has been spotlighted in a more suitable manner and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이러한 이오나이저는 전자기기, LCD, 반도체 등의 제조 공정에서 상당히 많은 수량이 작동되고 있으며, 이렇게 상당히 많은 수량의 이오나이저 중에서 일부 이오나이저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전체 제조 공정에서 엄청난 수량의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는바, 수많은 이오나이저의 성능이 적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These ionizers are operated in a large numbe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electronic devices, LCDs, semiconductors, etc. If the performance of some ionizers among such a large number of ionizers is deteriorated, a huge number of defective products may occur in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As it ca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whether the performance of numerous ionizers is maintained above an appropriate level, and for this,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is being develop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은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 센서부(1)들이 직렬로 유선 통신방식(예를 들어, RS-232, RS-485 등)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센서 열은 게이트웨이(3)를 통하여 서버(4)로 이오나이저 성능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e ioniz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plurality of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의 경우, 성능감시 센서부들 사이가, 그리고 센서부와 게이트웨이가 직렬 유선 통신방식(2a)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선 연결로 인한 결선 복잡성이 증가되는 시공상의 불편함이 존재하여 왔고, 이에 과도한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을 필요로 하여 왔으며, 각 노드인 센서부와 게이트웨이를 특정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ioniz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performance monitoring sensor units and the sensor unit and the gateway are connected by a serial wired communication method (2a), the wiring complexity due to the wired connection increases. Inconvenience has existed, and thus, excessiv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time have been required,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manage each node, the sensor unit and the gateway.
게다가, 종래기술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이 직렬 유선 통신방식(2a)을 사용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경로 상에 하나의 통신단절이 발생하는 경우 통신단절(2b)이 발생된 부위로부터 하위 노드인 센서부들의 센싱정보는 서버로 전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In addition, when the ioniz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s the seri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당히 많은 수의 이오나이저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이며 누락없이 모니터링할 있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systematically and without missing a large number of ionizers.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으로서,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이오나이저마다 또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진 단위 정전기 제거작업공간마다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센서부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 각각에 연결 또는 구비되는 슬레이브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정전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수집, 보관 및 관리하는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통신부를 다수 개씩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그룹화된 다수 개의 슬레이브 통신부 각각과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마스터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 수신된 다수 개의 상기 감지데이터를 보관 및 관리 그리고 무선 데이터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통신부 각각과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 각각으로부터 무선 데이터 수신된 상기 다수 개의 감지데이터를 보관 및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모듈과;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와 무선 또는 유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에서 수신된 감지데이터들을 관리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that monitors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for each ionizer or in order to sense the performance of the ionizer A plurality of sensor units provided for each unit static elimination work space composed of two ionizers; A plurality of slave modules connected to or provide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the plurality of slave modules collecting, storing and managing detection data sensed by the electrostatic sensor unit through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fter grouping the plurality of slave communication units into at least one or more groups, a master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each of the grouped plurality of slave communication units by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data received through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t least one master module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the sensed data and to transmit the wireless data; And a gateway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each of the at least one master communication unit by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a gateway module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plurality of detection data received by wireless data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master module through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and; It is connected to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in a wireless or wire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data received from the gateway module to the management terminal; Ionizer management to monitor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 comprising a System.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와 상기 마스터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는, 메쉬 네트워크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마스터 통신부의 하위에 위치하는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와, 상기 하나의 마스터 통신부의 하위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는, 메쉬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것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network between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is made of a mesh network, and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located below on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another located below the one master communication unit. The network between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esh network.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터 통신부와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는, 메쉬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network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esh network.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 상기 마스터 통신부,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 상호간에는, 지그비(ZigBee) 통신 및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중 하나의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ZigBee (ZigBee) communication and Bluetooth (Bluetooth) communication is us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 네트워크는,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와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경로를 결정할 때, 또는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와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에 대응되는 마스터 통신부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경로를 결정할 때, 하나의 통신부를 기준으로 수신신호강도가 가장 강한 다른 하나의 통신부를 우선 순위 통신경로로 결정하여 데이터 통신하고, 상기 우선 순위 통신경로 상에 있는 상기 다른 하나의 통신부로부터의 수신신호강도가 낮아지거나 제거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통신부를 기준으로 수신신호강도가 가장 강한 또 다른 하나의 통신부를 우선 순위 통신경로로 재결정하여 데이터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preferably, the mesh network, when determining a data communication path between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other slave communication unit, 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When determining a route,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determining another communication unit having the highest received signal strength as a priority communication path based on one communication unit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and receiving signals from the other communication unit on the priority communication path. When the strength is lowered or remov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determine another communication unit having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as a priority communication path based on the one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은,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 및 상기 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의 수량을 감지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에 대해,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것으로 감지된 마스터 모듈의 수량만큼 상기 감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gateway module, after detecting the number of the at least one master modul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ateway module through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for the at least one master module ,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detection data by the number of master modules detected as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gateway modul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터 모듈은, 상기 마스터 통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상기 다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의 수량을 감지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에 대해, 상기 마스터 모듈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것으로 감지된 슬레이브 모듈의 수량만큼 상기 감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master module, after detecting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lave module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ster module through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for the plurality of slave modules,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detection data is requested by the number of slave modules detected as being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under the master modul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 각각을, 상기 그룹화에 사용된 그룹번호와, 해당 모듈을 지칭하는 어드레스 번호로 이루어진 두개 좌표값으로 특정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management server, the gateway module, the at least one master modul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lave modules, the group coordinates used in the grouping, and two coordinates consisting of an address number indicating the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specifying and managing by value.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각각의 센서부에 연결된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과, 게이트웨이 모듈이 서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무선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당히 많은 수의 센서부에서부터 관리서버로 센싱값들을 전송하기 위해서 유선 결선이 불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의 구축 및/또는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means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slave modules connected to each sensor unit, at least one master module, and a gateway modu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enab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n order to transmit sensing values from a large number of sensor units to the management server, wired wiring becomes unnecessary,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construction of the ionizer management system, and consequently the construction and/or construction cost of the ionizer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tim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슬레이브 통신부와 마스터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 그리고 하나의 마스터 통신부의 하위에 위치하는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와, 상기 하나의 마스터 통신부의 하위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가 메쉬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레이브 통신부와 마스터 통신부 사이에 통신단절이나 통신오류가 있는 통신경로가 존재하더라도 이러한 문제 통신경로의 하위에 존재하는 노드인 센서부들로부터 감지된 감지데이터들이 누락되지 않고 메쉬 네트워크로 재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해 마스터 모듈 및 게이트웨이 모듈을 거쳐 관리서버로 전달되어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twork between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located below on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a network between another slave communication unit located below the one master communication unit. By being configured to consist of, even if there is a communication path with a communication disconnection or communication error between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the detection data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s, which are nodes located below the communication path, are not missed, and the mesh network is not omitted. It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by being delivered to the management server via the master module and gateway module through the reset communication path.
그리고, 본 발명은 메쉬 네트워크로 통신경로를 재설정할 때 수신신호강도를 기준으로 통신경로를 재설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문제 통신경로를 대체할 통신경로의 재설정과정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set the communication path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when resetting the communication path to the mesh network, so that the process of resetting the communication path to replace the problem communication path can be efficiently and quickly processed.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가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 각각을, 상기 그룹화에 사용된 그룹번호와, 해당 모듈을 지칭하는 어드레스 번호로 이루어진 두개 좌표값으로 특정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의 관리개체가 상당히 많은 수로 증가하더라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오나이저의 성능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specifies the gateway module, the at least one master modul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lave modules as two coordinate values consisting of a group number used in the grouping and an address number indicating the corresponding module. By being configured to manage, even if the number of management objects of the ionizer management system increases significantly, it has the effect of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managing the performance state of the ioniz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오나이저 공정상태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의 노드 등록 및 관리방안에 대해 나타내는 개략적인 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에 포함되는 메쉬 네트워크에 대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onizer process stat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mmunication network of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table showing a node regist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ioniz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sh network included in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are conventiona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knowledgeabl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components than those mention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오나이저(100) 공정상태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1000)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1000)의 노드 등록 관리방안에 대해 나타내는 개략적인 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메쉬 네트워크(MN)에 대한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오나이저(100) 공정상태를 살펴보면, 상당히 많은 수의 이오나이저(100)가 대전체(10)에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looking at the process state of the
여기서, 이오나이저(100)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수명이 고갈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센서부(200)가 이오나이저(100) 공정과정에 구비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또한,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이오나이저의 제전대상인 대전체의 정전압을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further embodiment, the
이때, 상기 센서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오나이저(100)마다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추가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하나의 센서부(200)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100)로 이루어진 단위 정전기 제거작업공간(20)마다 구비될 수도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n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1000)은, 복수 개의 센서부(200)와, 상기 센서부(200) 각각에 연결된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300)과,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300)을 그룹화하여 감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400)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400)에 대해 감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게이트웨이 모듈(500)과,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전송받는 관리서버(600)를 포함한다.3 and 4,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200)는 이오나이저가 정전기를 제거하고자 하는 대전체(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정전하량 또는 정전압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대전체(10)에 대해 비접촉 방식으로 정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to 4, the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부(200)는 정전기 제거작업공간(20)의 환경정보를 추가 수집하기 위한 센서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전기 제거작업공간(20)에 대한 온도센서, 습도센서, 전압센서, 전류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the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모듈(300)은 상기 센서부(200) 각각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부(200)에 일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300)은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1000)에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모듈(300)은 225개(= 15 x 15)가 구비될 수 있다.3 to 6, the
상기 슬레이브 모듈(300)은 상기 센서부(200) 각각에 연결 또는 구비되는 슬레이브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정전기 센서부(200)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수집, 보관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300)(또는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은 전체 시스템에서 또는 전체 네트워크에서 최하위 노드로서, 대응되는 센서부(200)로부터 감지된 감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 보관, 관리하며, 대응되는 마스터 모듈(400)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감지된 감지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마스터 모듈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And, the slave module 300 (or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is the lowest node in the entire system or in the entire network, and periodically collects, stores, and manages the sensed data sensed from the correspond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레이브 모듈(300)은 그룹넘버가 '0'이 아니고, 어드레스가 '0'이 아닌 것으로 지정된 노드로 특정된다.As shown in FIG. 5, the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400)은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통신부를 다수 개씩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모듈(300)은 225개(= 15 x 15)가 구비되고, 상기 마스터 모듈(400)은 15개 구비되며, 상기 마스터 모듈(400) 각각은 15개씩의 슬레이브 모듈(300)을 그룹화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터 모듈(400)은 마스터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부는 그룹화된 다수 개의 슬레이브 통신부 각각과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마스터 모듈(400)은 상기 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 수신된 다수 개의 상기 감지데이터를 보관 및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로 상기 감지데이터(들)를 무선 데이터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모듈(400)은 그룹넘버가 '0'이 아니고, 어드레스가 '0'인 것으로 지정된 노드로 특정된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마스터 모듈(400)은 상기 슬레이브 모듈(300)의 상위 노드이자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의 하위 노드로서, 중계기 역할을 하며, 상기 슬레이브 모듈(300)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터 모듈(400)은 주기적으로 슬레이브 모듈(300)의 감지데이터를 수집, 보관 및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이렇게 수집, 보관 및 관리된 감지데이터(들)을 게이트웨이 모듈(500)의 전송 요청이 있을 때 (예를 들어, 패킷 방식으로) 일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이렇게, 마스터 모듈(400)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수집된 감지데이터(들)을 보관하여 관리한 후 일괄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게이트웨이 모듈(500)이 각각의 슬레이브 모듈(300) 또는 센서부에 개별적으로 감지데이터 요청하여 데이터 수집하는 경우보다 통신패킷 관점에서 그리고 통신 시간 관점에서 이득이 되기 때문이다.In this way, the
상기 마스터 모듈(400)의 감지데이터 정보요청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마스터 모듈(400)은, 상기 마스터 통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400)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상기 다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300)의 수량을 감지한다.Looking at the sensing data information request process of the
이후, 상기 마스터 모듈은 상기 다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300)에 대해, 상기 마스터 모듈(400)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것으로 감지된 슬레이브 모듈(300)의 수량만큼 상기 감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도록 감지데이터 요청과정을 실행한다.Subsequently, the master module detects the plurality of
그리고, 게이트웨이 모듈(50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통신부 각각과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게이트웨이 통신부와, 상기 관리서버(600)와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게이트웨이 통신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1 게이트웨이 통신부는 무선 데이터 통신모듈이고,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은 상기 제1 게이트웨이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400) 각각으로부터 무선 데이터 수신된 상기 다수 개의 감지데이터를 보관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gateway communication unit is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상기 제2 게이트웨이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모듈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모듈일 수 있다. The second gateway communication unit may be a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Wi-Fi module.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은 관리서버(600) 하위의 시스템 또는 관리서버(600) 하위의 네트워크, 즉 단일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기준에서 최상위 노드이고, 각 슬레이브 모듈(300)로부터 수집된 감지 데이터(들)을 예를 들어 TCP/IP를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지인 관리서버(600)로 취합된 감지데이터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은 그룹넘버가 '0'이고, 어드레스가 '0'인 것으로 지정된 노드로 특정된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의 감지데이터 정보요청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은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 및 상기 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400)의 수량을 감지한다.Looking at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detection data information of the
이후,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400)에 대해,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것으로 감지된 마스터 모듈(400)의 수량만큼 상기 감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도록 감지데이터 요청과정을 실행한다.Subsequently,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와 상기 마스터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는, 메쉬 네트워크(MN)로 이루어진다.6, the network between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is made of a mesh network (MN).
도 6을 참고하면, 하나의 마스터 통신부의 하위에 위치하는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와, 상기 하나의 마스터 통신부의 하위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는, 메쉬 네트워크(MN)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마스터 통신부에 의해 그룹화된 슬레이브 모듈(300)들끼리는 서로 일정 거리에서 메쉬 네트워크(MN)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a network between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located below on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another slave communication unit located below the one master communication unit is formed of a mesh network (MN). That is, the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마스터 통신부와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 또한 메쉬 네트워크(MN)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the network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may also be formed of a mesh network (MN).
메쉬 네트워크(MN)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 상기 마스터 통신부,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 상호간에는,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UWB, Z-wave 중 하나의 통신방식을 사용한다.In order to form a mesh network (MN), one of ZigBee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UWB, and Z-wave is used between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
예를 들어,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 상기 마스터 통신부는 지그비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게이트웨이 통신부도 지그비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first gateway communication unit may also includ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여기서, 지그비(ZigBee)는 IEEE 802.15.4에서 네트워크 및 보안계층, 네트워크 토플로지를 확장한 기술로서, 라우팅 알고리즘과 Ad-hoc, Star, Mesh 네트워크 등 다양한 네트워크 구성을 지원한다. 이러한 지그부(ZigBee)는 평균 전력소모가 50mW 정도인 저전력 특성을 가지면,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하여 GTS(Guaranteed Time Slot) 데이터 전송 매커니즘을 지원한다.Here, ZigBee is a technology that extends the network, security layer, and network topology in IEEE 802.15.4, and supports various network configurations such as routing algorithms, Ad-hoc, Star, and Mesh networks. The ZigBee supports a GTS (Guaranteed Time Slot) data transmission mechanism to ensure QoS (Quality of Service) when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has a low power characteristic of about 50 mW.
그리고, 블루투스는 휴대용 장치 간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복잡한 케이블 없이 저가격으로 구현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 24 GHz ISM 대역의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하고,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도 무선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으며, 0 ~ 10m 점 대 다점 네트워크인 피코넷에서 데이터와 음성을 통신하는 저비용, 저전력, 단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Bluetoot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realizing two-way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portable devices at low cost without complicated cables. It uses radio frequencies in the 24 GHz ISM band and can implement wireless data communication even when there are obstacles. It is characterized by low-cost, low-power,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at allows data and voice to be communicated in the piconet, a point-to-multipoint network.
그리고, UWB는 IEEE 1394를 대체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의 무선통신 기술로, 최대 20m의 단거리에서 480Mbps 이상의 대용량 전송이 가능하고, 반송파를 이용하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함으로 소형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UWB는 복수 경로로 인한 신호 간섭에 영향을 덜 받는다는 특징도 있다.In addition, UWB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home entertainment network that replaces IEEE 1394.It is capable of manufacturing at a small and inexpensive size by enabling large-capacity transmission over 480 Mbps at short distances of up to 20 m and enabling communication without using a carrier. to provide. UWB is also characterized by being less susceptible to signal interference due to multiple paths.
또한, Z-Wave는 상호 운영성을 가지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서, 주거공간과 HAVC 제어, 조명제어, 가전기기의 제어, 침입과 화재감지, 계량기 측정 등의 목적으로 설계된 무선 RF 기반의 통신 기술이며, 독립적인 디바이스를 지능형 네트워크 디바이스화 하여 제어와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 Z-Wave는 개별 네트워크 인식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간의 간섭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라우팅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신호의 전송경로를 선택하여 안전한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고안되었다.In addition, Z-Wav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with interoperability, and is a wireless RF-based communication technology designed for the purpose of residential space and HAVC control, lighting control, home appliance control, intrusion and fire detection, meter measurement, etc., Independent devices become intelligent network devices, enabling control and monitoring. Z-Wave is designed to enable individual network recognition, to avoid interference problems between networks, and to securely transmit signals by automatically selecting the transmission path of signals in routing.
이렇게 슬레이브 통신부와 마스터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 그리고 하나의 마스터 통신부의 하위에 위치하는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와, 상기 하나의 마스터 통신부의 하위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가 메쉬 네트워크(MN)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레이브 통신부와 마스터 통신부 사이에 통신단절이나 통신오류가 있는 통신경로가 존재하더라도 이러한 문제 통신경로의 하위에 존재하는 노드인 센서부들로부터 감지된 감지데이터들이 누락되지 않고 메쉬 네트워크(MN)로 재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해 마스터 모듈(400) 및 게이트웨이 모듈을 거쳐 관리서버(600)로 전달되어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network between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located below the on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the other slave communication unit located below the one master communication unit is a mesh network (MN). By being configured to be made, even if there is a communication path with a communication disconnection or communication error between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detection data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s, which are nodes located below the communication path, are not missed and the mesh network (MN )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by being delivered to the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M1 마스터 모듈(400)과 S3 슬레이브 모듈(300) 사이에 직접 연결 데이터 통신경로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S3 슬레이브 모듈(300)의 감지 데이터는 S4 슬레이브 모듈(300) 및 S1 슬레이브 모듈(300)을 경유하여 M1 마스터 모듈(400)로 전송되거나, 또는 S1 슬레이브 모듈(300)을 경유하여 M1 마스터 모듈(400)로 전송되거나, 또는 S4 슬레이브 모듈(300), S2 슬레이브 모듈(300) 및 S1 슬레이브 모듈(300)을 경유하여 M1 마스터 모듈(400)로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when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in a direct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쉬 네트워크(MN)는,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와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 사이에서 복수 개의 데이터 통신경로 중 데이터 통신경로를 결정할 때, 또는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와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에 대응되는 마스터 통신부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경로를 결정할 때, 하나의 통신부를 기준으로 수신신호강도가 가장 강한 다른 하나의 통신부를 우선 순위 통신경로로 결정하여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Prefera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network (MN), when determining a data communication path among a plurality of data communication paths between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another slave communication unit, or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one When determining the dat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s corresponding to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the other communication unit having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based on one communication unit may be determined as the priority communication path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이후, 상기 메쉬 네트워크(MN)는 상기 우선 순위 통신경로 상에 있는 상기 다른 하나의 통신부로부터의 수신신호강도가 낮아지거나 제거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통신부를 기준으로 수신신호강도가 가장 강한 또 다른 하나의 통신부를 우선 순위 통신경로로 재결정하여 데이터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reafter, the mesh network (MN) is another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based on the on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rom the other communication unit on the priority communication path is lowered or removed.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re-determine a priority communication path to communicate data.
이렇게, 메쉬 네트워크(MN)로 통신경로를 재설정할 때 수신신호강도를 기준으로 통신경로를 재설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문제 통신경로를 대체할 통신경로의 재설정과정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In this way, by re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path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when resetting the communication path to the mesh network (M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quickly process the process of resetting the communication path to replace the problem communication path.
관리서버(600)는 상기 제2 게이트웨이 통신부와 무선 또는 유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에서 수신된 감지데이터들을 관리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서버(600)는,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400)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300) 각각을, 상기 그룹화에 사용된 그룹번호와, 해당 모듈을 지칭하는 어드레스 번호로 이루어진 두개 좌표값으로 특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5, the
이를 위하여, 상기 관리서버(600) 또는 각 모듈에는 그룹설정 스위치와 어드레스 설정 스위치가 구비되고, 바람직하게는 설정된 그룹번호 및 어드레스 번호가 시각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상기 관리서버(600)는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50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400)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300) 각각을 상기 두 개의 좌표값으로 특정하여 관리하면서 동시에, 각 좌표값에 대한 실제 위치정보도 함께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The
이로 인해, 만약 하나의 슬레이브 모듈(300)의 감지데이터가 누락되는 경우, 이를 해당 슬레이브 모듈(300)에 연결된 센서부(200)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렇게 고장으로 판단된 센서부(200)의 위치를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이오나이저(100) 및 센서부(200)의 관리를 효율적이고 체계화할 수 있다.Due to this, if the detection data of on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s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1000 :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
100 : 이오나이저
200 : 센서부
300 : 슬레이브 모듈
400 : 마스터 모듈
500 : 게이트웨이 모듈
600 : 관리서버1000: Ionizer management system
100: ionizer
200: sensor unit
300: slave module
400: master module
500: gateway module
600: management server
Claims (8)
이오나이저의 성능 또는 상기 이오나이저의 제전대상인 대전체의 정전압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이오나이저마다 또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진 단위 정전기 제거작업공간마다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센서부와;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 각각에 연결 또는 구비되는 슬레이브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정전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수집, 보관 및 관리하는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통신부를 다수 개씩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그룹화된 다수 개의 슬레이브 통신부 각각과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마스터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무선 데이터 수신된 다수 개의 상기 감지데이터를 보관 및 관리 그리고 무선 데이터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통신부 각각과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 각각으로부터 무선 데이터 수신된 상기 다수 개의 감지데이터를 보관 및 관리하는 게이트웨이 모듈과;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와 무선 또는 유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에서 수신된 감지데이터들을 관리단말기에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An ionizer management system that monitors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or the constant voltage of a large object that is the target of static elimination of the ionizer,
A plurality of sensor units provided for each ionizer or for each unit static elimination work sp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onizers in order to sense the performance of the ionizer or the constant voltage of the electrification object, which is a target of static elimination of the ionizer;
A plurality of slave modules connected to or provide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the plurality of slave modules collecting, storing and managing detection data sensed by the electrostatic sensor unit through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fter grouping the plurality of slave communication units into at least one or more groups, a master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each of the grouped plurality of slave communication units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data received through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t least one master module configured to store, manage and transmit the sensed data in a wireless data manner;
And a gateway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each of the at least one master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a gateway module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plurality of detection data received by wireless data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master module through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and;
It is connected to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in a wireless or wire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data received from the gateway module to the management terminal; Ionizer management to monitor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 comprising a system.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와 상기 마스터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는, 메쉬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network between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the ionizer management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esh network.
상기 마스터 통신부와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 사이의 네트워크는, 메쉬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2,
The network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the ionizer management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esh network.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 상기 마스터 통신부,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 상호간에는, 지그비(ZigBee) 통신 및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중 하나의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between each other, ZigBee (ZigBee) communication and Bluetooth (Bluetooth) communic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ioniz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 of a plurality of ionizer management system.
상기 메쉬 네트워크는,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와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경로를 결정할 때, 또는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와 상기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부에 대응되는 마스터 통신부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경로를 결정할 때,
하나의 통신부를 기준으로 수신신호강도가 가장 강한 다른 하나의 통신부를 우선 순위 통신경로로 결정하여 데이터 통신하고, 상기 우선 순위 통신경로 상에 있는 상기 다른 하나의 통신부로부터의 수신신호강도가 낮아지거나 제거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통신부를 기준으로 수신신호강도가 가장 강한 또 다른 하나의 통신부를 우선 순위 통신경로로 재결정하여 데이터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mesh network,
When determining a data communication path between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another slave communication unit, or when determining a data communication path between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and a master communic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one slav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one communication unit, the other communication unit having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is determined as a priority communication path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rom the other communication unit on the priority communication path is lowered or eliminated. If possible,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that monitors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determine another communication unit having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as a priority communication path based on the one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은,
상기 게이트웨이 통신부 및 상기 마스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의 수량을 감지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에 대해,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것으로 감지된 마스터 모듈의 수량만큼 상기 감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gateway module,
After detecting the quantity of the at least one master modul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ateway module through the gateway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Ionizer management to monitor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detection data for the at least one master module, the number of master modules detected as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gateway module. system.
상기 마스터 모듈은,
상기 마스터 통신부 및 상기 슬레이브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상기 다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의 수량을 감지한 후,
상기 다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에 대해, 상기 마스터 모듈의 하위에 무선 통신연결된 것으로 감지된 슬레이브 모듈의 수량만큼 상기 감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The method of claim 6,
The master module,
After detecting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lave module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ster module through the master communication unit and the slave communication unit,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characterized by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detection data for the number of slave modules detected as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ster module for the plurality of slave modules. .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스터 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모듈 각각을, 상기 그룹화에 사용된 그룹번호와, 해당 모듈을 지칭하는 어드레스 번호로 이루어진 두개 좌표값으로 특정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이오나이저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이오나이저 관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The gateway module, each of the at least one master module and the plurality of slave modu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p number used for the grouping, and the plurality of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by specifying two coordinate values consisting of an address number indicating the module An ionizer management system that monitors the performance of two ionizer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441A KR102140316B1 (en) | 2018-12-21 | 2018-12-21 |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onizer |
CN201911101713.6A CN111356106B (en) | 2018-12-21 | 2019-11-12 | Ionizer management system for monitoring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ioniz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441A KR102140316B1 (en) | 2018-12-21 | 2018-12-21 |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oniz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8776A true KR20200078776A (en) | 2020-07-02 |
KR102140316B1 KR102140316B1 (en) | 2020-08-12 |
Family
ID=7119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7441A Active KR102140316B1 (en) | 2018-12-21 | 2018-12-21 |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oniz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0316B1 (en) |
CN (1) | CN111356106B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01058A1 (en) * | 2021-11-30 | 2023-06-08 | (주)선재하이테크 | Bar-type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x-ray tube individual modul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1619A (en) * | 2002-03-01 | 2003-09-06 |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 Ionizer control system |
KR200385373Y1 (en) * | 2005-02-22 | 2005-05-27 | 김병삼 | Real time electrostatic detecting-discharging system based on network |
KR20170127052A (en) * | 2015-02-03 | 2017-11-20 | 구글 엘엘씨 | Mesh network addressing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325961A4 (en) * | 2008-08-28 | 2016-04-13 | Sharp Kk | Ion detection device and ion generation device |
DE102011006786B4 (en) * | 2011-04-05 | 2013-04-11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Product sensor, product with product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product sensor and system |
CN103650527B (en) * | 2011-08-10 | 2017-03-29 |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 Method, the system of earpiece data are collected from mobile terminal |
EP2976928B1 (en) * | 2013-03-18 | 2020-02-26 | Signify Holding B.V. | Methods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of outdoor lighting networks |
KR101761257B1 (en) * | 2015-10-23 | 2017-07-26 | 주식회사 영신알에프 | Atmospheric pressure plasma generating apparatus having integrated RF matching and analysis sensor unit |
-
2018
- 2018-12-21 KR KR1020180167441A patent/KR102140316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11-12 CN CN201911101713.6A patent/CN111356106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1619A (en) * | 2002-03-01 | 2003-09-06 |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 Ionizer control system |
KR200385373Y1 (en) * | 2005-02-22 | 2005-05-27 | 김병삼 | Real time electrostatic detecting-discharging system based on network |
KR20170127052A (en) * | 2015-02-03 | 2017-11-20 | 구글 엘엘씨 | Mesh network addressi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01058A1 (en) * | 2021-11-30 | 2023-06-08 | (주)선재하이테크 | Bar-type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x-ray tube individual modu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0316B1 (en) | 2020-08-12 |
CN111356106A (en) | 2020-06-30 |
CN111356106B (en) | 2022-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803309B (en) | Method and system of routing in a utility smart-grid network | |
KR102114243B1 (en) | Network, master, hub, and method for providing a bluetooth infrastructure | |
CN109416389B (en) | Wireless sensor for battery system | |
TWI391007B (en) | Load management in wireless mesh communication networks | |
CN109891937B (en) | Lighting Control Automation System | |
Rodriguez et al. | Wireless sensor network for data-center environmental monitoring | |
US881137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rumenting devices to measure power usage using a multi-tier wireless network | |
US20160081127A1 (en) | Smart home device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 | |
US10440648B2 (en) | Sleeping and wake-up methods and apparatuses of master-slave network, and power saving system of master-slave network | |
US20110077788A1 (en) | Wireless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Device | |
JP2022534984A (en) | Manage outage detection and reporting | |
US20120147899A1 (en) |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PLC) | |
WO2012082744A1 (en) | Media access control laye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
US20160070718A1 (en) |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mirror device | |
KR102140316B1 (en) |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onizer | |
CN112703787B (en) | Time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the like | |
US20160050040A1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 |
WO2014068665A1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over network to which terminals are to belong | |
US20080064407A1 (en) | Congestion arbitration for a wireless network | |
Reddy et al. | Metro overhead tanks monitoring system using ZigBee based WSN | |
US9602159B2 (en) | Communication channel identification in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 |
JP5621032B2 (en) | Remote meter reading system, terminal station used in it, master station | |
Siddikov et al. | Data Transfer Methods and Algorithm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IoT-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of Hybrid Energy Supply Sources | |
CN103327561A (en) | Network route partition scheduling method based on industrial wireless sensors | |
WO2020021779A1 (en) | Communication system, host device, collec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