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77140A - 방수 원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수 원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140A
KR20200077140A KR1020180166359A KR20180166359A KR20200077140A KR 20200077140 A KR20200077140 A KR 20200077140A KR 1020180166359 A KR1020180166359 A KR 1020180166359A KR 20180166359 A KR20180166359 A KR 20180166359A KR 20200077140 A KR20200077140 A KR 20200077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esin
water
manufacturing
waterproo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쇼미미디어앤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쇼미미디어앤트레이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쇼미미디어앤트레이딩
Priority to PCT/KR2018/01634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30193A1/ko
Priority to KR1020180166359A priority patent/KR20200077140A/ko
Publication of KR20200077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14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8Organic compounds
    • D06M10/10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8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reactive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수 원단 제조방법은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및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 원단 제조방법{Waterproof Fabric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방수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을 한 후, 상기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방수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의류의 원단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데님(denim)은, 인디고 계열의 염료로 염색되어 그 겉면은 남색이고 안쪽은 흰색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한 인디고 계열의 염료는 데님 원단에 백퍼센트 고착된 것이 아니다. 그래서 세탁시 또는 일상생활 중 청의류가 물에 젖었을 때 염료가 조금씩 빠져 나가기 때문에 함께 세탁하는 다른 세탁물이나 또는 특히 함께 입거나 신고 있는 다른 옷이나 양말 등으로 이염(移染)될 수 있다.
또한, 청의류가 빗물에 젖으면 무거워지고 특히 예컨대 바지의 경우 다리에 달라붙어 다리를 감아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져 불쾌하기까지 하다.
따라서 이러한 청의류의 이염이나 착용감의 저하는, 청의류가 물에 젖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므로 청의류 제작시 원단에 코팅 및 발수가공 함으로써 물에 젖지 않게 하는 가공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773900호. 2017.08.28.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방수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원단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제조방법은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및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는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 및 직조된 원단를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는 D타입의 CD SLUB 7수와 777번 타입의 CD SLUB 7수의 혼용인 경사 및 POLY SLUB 10수인 위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경사 3올과 위사 1올을 교차시켜 우능직(Right Twill Weave)으로 직조하는 단계이고, 그리고 경사는 D타입의 CD SLUB 7수와 777번 타입의 CD SLUB 7수를 1대1 비율로 혼용한 경사이고, 경사의 중량은 310g/yd이고, 상기 위사의 중량은 195g/yd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조된 원단를 염색하는 단계는 직조된 원단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불순물을 제거한 원단을 표백하는 단계 및 표백한 원단을 염액에 침지하여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염액은, 반응성 염료(Reactive Dye)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준비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는 이형지에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 레진이 도포된 이형지에 열을 가해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필름을 상기 준비된 원단에 부착하는 단계,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 및 숙성된 원단에서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형지에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는 이형지에 레진 100g/m 내지 160g/m의 양을 도포하는 단계이고, 레진은 폴리우레탄 레진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진이 도포된 이형지에 열을 가해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레진을 도포한 후, 100도 내지 160도의 온도로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는 필름이 부탁된 원단을 50도 내지 90도에서 적어도 25시간 이상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는 원단에 발수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원단에 도포된 발수물질을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원단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누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수물질은 발수제와 물을 1대4 비율로 혼합한 물질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단에 도포된 발수물질을 건조하는 단계는 발수물질을 도포한 후, 100도 내지 160도 온도에서 2분 내지 5분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고,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여 제조하는 방수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는 원사를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데님처럼 보이는 원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는 원사를 우능직으로 직조함으로써 데님처럼 보이는 원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반응성 염료(Reactive Dye)를 사용하여 염색함으로써, 데님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원사를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데님 원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데님처럼 보이는 원단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반응성 염료(Reactive Dye)를 사용하여 염색함으로써, 원단의 색상을 선명하게 할 수 있고, 원단의 마찰 견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는 폴리우레탄 레진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팅함으로써, 원단 표면을 보호할 수 있고, 원단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는 발수제와 물의 혼합 용액인 발수물질을 사용하여 발수가공 함으로써, 원단을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 내용의 특징들이 상세하게,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도록,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또한, 도면과의 유사한 참조번호는 여려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원단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수가공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원단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방수 원단 제조방법(S100)은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S110), 준비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 및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비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 및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3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S110)는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 및 직조된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는 경사와 위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경사 3올과 위사 1올을 교차시켜 우능직(Right Twill Weave)으로 직조할 수 있다. 경사는 D타입의 CD SLUB 7수 및 777번 타입의 CD SLUB 7수의 혼용일 수 있다. 또한, 경사는 D타입의 CD SLUB 7수와 777번 타입의 CD SLUB 7수를 1대1 비율로 혼용한 경사일 수 있다. 위사는 POLY SLUB 10수일 수 있다. 경사의 중량은 310g/yd이고, 위사의 중량은 195g/yd일 수 있다. 상기의 경사와 위사를 경사 3올과 위사 1올을 교차시켜 우능직(Right Twill Weave)으로 직조함으로써 데님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능직(Twill Weave)은, 경사 2올에 위사 1올 또는 경사3 올에 위사1올을 교차시켜 직조하는 것이고, 직물 표면에 이랑무늬를 형성하는 조직일 수 있다. 능직(Twill Weave)의 직물은 조직이 촘촘하며 광택이 나는 특징이 있다. 능직(Twill Weave)은 능선의 방향과 각도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능직(Twill Weave)의 예로는 서지, 개버딘, 헤링본 등을 대표적인 것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는 원사를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데님처럼 보이는 원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는 원사를 우능직(Right Twill Weave)으로 직조하여 데님처럼 보이는 원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반응성 염료(Reactive Dye)를 사용하여 염색함으로써, 데님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원사를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데님 원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데님처럼 보이는 원단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직조된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직조된 원단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불순물을 제거한 원단을 표백하는 단계 및 표백한 원단을 염액에 침지하여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액은, 반응성 염료(Reactive Dye)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원단을 후공정 가공에 맞게 연폭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을 한 후,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원단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불순물을 제거한 원단을 표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표백한 원단을 염액에 침지하여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염색된 직물을 텐타공정으로 폭을 고정시켜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액은 반응성 염료(Reactive Dye)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염료는 유기적 결합을 하는 화합물이다. 염료는 직접 염료, 분산 염료, 반응성 염료, 산성 염료, 형광 염료, VAT 염료 및 아조익 염료가 있다. 반응성 염료(Reactive Dye)는 수용성 염료 알칼리 용액에서 활성화 되며 셀룰로오스계 섬유에 주로 사용되지만, 단백질 섬유에도 사용될 수 있다. 반응성 염료(Reactive Dye)의 사용은 원단의 색상을 선명하게 할 수 있고, 원단의 마찰 견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텐타공정은 원단의 마무리 공정으로써, 원단의 폭을 일정하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단을 염색하는 단계는 반응성 염료(Reactive Dye)를 사용하여 염색함으로써, 원단의 색상을 선명하게 할 수 있고, 원단의 마찰 견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수 원단 제조방법(S100)은 준비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는 이형지에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S131), 레진이 도포된 이형지에 열을 가해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S133), 형성된 필름을 상기 준비된 원단에 부착하는 단계(S135),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S137) 및 숙성된 원단에서 이형지를 분리하는 단계(S1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비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라미네이팅은 대상이 되는 원단에 1겹 이상의 얇은 레이어를 덧씌워 표면을 보호하고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을 말한다. 폴리우레탄 라미네이팅은 석유화학처리 과정에서 우레탄 결합을 통한 액체 타입의 수지를 원단에 도포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는 폴리우레탄 레진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팅 함으로써, 원단 표면을 보호하고, 원단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수 원단 제조방법(S100)은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는 원단에 발수물질을 도포하는 단계(S151), 원단에 도포된 발수물질을 건조하는 단계(S153) 및 건조된 원단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누르는 단계(S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는 발수제와 물의 혼합 용액인 발수물질을 사용하여 발수가공 함으로써, 원단을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는 이형지에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S131), 레진이 도포된 이형지에 열을 가해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S133), 형성된 필름을 상기 준비된 원단에 부착하는 단계(S135),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S137) 및 숙성된 원단에서 이형지를 분리하는 단계(S13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는 이형지에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S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형지에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S131)는 이형지에 레진 100g/m 내지 160g/m의 양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진은, 폴리우레탄 레진일 수 있다. 이형지는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해 뒷면에 붙인 종이를 의미하고, 박리지라고도 한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는 레진이 도포된 이형지에 열을 가해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S133)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진이 도포된 이형지에 열을 가해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S133)는 레진을 도포한 후, 100도 내지 160도의 온도로 열을 가하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는 형성된 필름을 상기 준비된 원단에 부착하는 단계(S135)를 포함할 수 있다. 형성된 필름을 상기 준비된 원단에 부착하는 단계(S135)는 프레스를 이용해서 원단과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는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S137)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S137)는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50도 내지 90도에서 적어도 25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는 숙성된 원단에서 이형지를 분리하는 단계(S13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S130)는 폴리우레탄 레진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팅 함으로써, 원단 표면을 보호하고, 원단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수가공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는 원단에 발수물질을 도포하는 단계(S151), 원단에 도포된 발수물질을 건조하는 단계(S153) 및 건조된 원단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누르는 단계(S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는 원단에 발수물질을 도포하는 단계(S151)를 포함할 수 있다. 발수물질은, 발수제와 물을 1대4 비율로 혼합한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는 원단에 도포된 발수물질을 건조하는 단계(S153)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에 도포된 발수물질을 건조하는 단계(S153)는 발수물질을 도포한 직후, 100도 내지 160도 온도에서 2분 내지 5분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는 건조된 원단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누르는 단계(S15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S150)는 발수제와 물의 혼합 용액인 발수물질을 사용하여 발수가공 함으로써, 원단을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방수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및
    상기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 원단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는,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 및
    상기 직조된 원단를 염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 원단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는,
    D타입의 CD SLUB 7수와 777번 타입의 CD SLUB 7수의 혼용인 경사 및 POLY SLUB 10수인 위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경사 3올과 위사 1올을 교차시켜 우능직(Right Twill Weave)으로 직조하는 단계이고, 그리고
    상기 경사는 D타입의 CD SLUB 7수와 777번 타입의 CD SLUB 7수를 1대1 비율로 혼용한 경사이고,
    상기 경사의 중량은 310g/yd이고, 상기 위사의 중량은 195g/yd인,
    방수 원단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된 원단를 염색하는 단계는,
    상기 직조된 원단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원단을 표백하는 단계; 및
    상기 표백한 원단을 염액에 침지하여 염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염액은,
    반응성 염료(Reactive Dye)인,
    방수 원단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된 원단에 레진을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는,
    이형지에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레진이 도포된 이형지에 열을 가해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필름을 상기 준비된 원단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원단에서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 원단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에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지에 레진 100g/m 내지 160g/m의 양을 도포하는 단계이고,
    상기 레진은,
    폴리우레탄 레진인,
    방수 원단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이 도포된 이형지에 열을 가해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진을 도포한 후, 100도 내지 160도의 온도로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원단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숙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이 부탁된 원단을 50도 내지 90도에서 적어도 25시간 이상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원단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된 원단에 발수물질을 발수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원단에 발수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도포된 발수물질을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원단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누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 원단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물질은,
    발수제와 물을 1대4 비율로 혼합한 물질인,
    방수 원단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에 도포된 발수물질을 건조하는 단계는,
    발수물질을 도포한 후, 100도 내지 160도 온도에서 2분 내지 5분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원단 제조방법.
KR1020180166359A 2018-12-20 2018-12-20 방수 원단 제조방법 Ceased KR20200077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6345 WO2020130193A1 (ko) 2018-12-20 2018-12-20 방수 원단 제조방법
KR1020180166359A KR20200077140A (ko) 2018-12-20 2018-12-20 방수 원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359A KR20200077140A (ko) 2018-12-20 2018-12-20 방수 원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40A true KR20200077140A (ko) 2020-06-30

Family

ID=7110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359A Ceased KR20200077140A (ko) 2018-12-20 2018-12-20 방수 원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77140A (ko)
WO (1) WO20201301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742B1 (ko) * 2022-06-23 2022-07-26 주식회사 휴먼텍스 친환경 원단 염색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00B1 (ko) 2016-04-27 2017-09-12 주식회사 동진상사 캠핑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076A (ja) * 2000-06-26 2002-01-18 Unitica Fibers Ltd 結露防止性に優れた透湿防水布帛
JP4837996B2 (ja) * 2006-01-17 2011-12-14 セーレン株式会社 撥水撥油性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
JP5110993B2 (ja) * 2007-07-18 2012-12-26 小松精練株式会社 透湿性防水布帛
KR101333452B1 (ko) * 2012-05-18 2013-11-26 조은효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
KR101852941B1 (ko) * 2016-07-21 2018-06-20 (주)부성텍스텍 방수 원단 및 방수 원단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00B1 (ko) 2016-04-27 2017-09-12 주식회사 동진상사 캠핑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742B1 (ko) * 2022-06-23 2022-07-26 주식회사 휴먼텍스 친환경 원단 염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193A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05978A1 (en) Ring dyed 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08041570A1 (fr) Matière fibreuse pour teinture en pièce
KR20200077140A (ko) 방수 원단 제조방법
CN108774790A (zh) 一种弹力春亚纺机织面料生产工艺
US2808635A (en) Ornamentation of textile fabrics
JP5139172B2 (ja) カラーフロップ性を有する着色布帛
KR20200117252A (ko) 이염 방지 처리된 청바지의 제조방법
WO2018216650A1 (ja) セルロース撥水繊維を含む繊維集合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繊維製品
WO2019116812A1 (ja) 印刷付起毛シート及び印刷用起毛シート
KR20080042309A (ko) 투습방수용 코팅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무공형투습방수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238655A1 (en) Multilayer colored 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0292266A (ja) 防水性高密度織物の製造方法
KR102569125B1 (ko) 발수기능성보유 리사이클 나일론사를 사용한 친환경 다운프루프 직물의 제조방법
JPH11302944A (ja) 高密度織物の製造方法
JP7247313B2 (ja) 多層着色織布の製造方法
KR102569123B1 (ko) 이형단면 리사이클 나일론사를 사용한 친환경 다운프루프 직물의 제조방법
CN110130126B (zh) 一种面料涂料印花的方法
JP7311359B2 (ja) 布帛、衣服および布帛の製造方法
KR102165956B1 (ko)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 섬유사를 이용한 직물 제조방법
JPH07305275A (ja) 防水織物の製造方法
JP2820150B2 (ja) 深色化繊維構造物
JP2011226039A (ja) デニム用糸の樹脂加工方法及びデニム生地
JP2003041415A (ja) 防水衣料及び防水衣料用目止めテープ
JPS6321977A (ja) コ−テイング布帛縫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58977A (ja) 耐久性防汚布帛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