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195A -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assembly of Hanok architecture - Google Patents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assembly of Hanok archite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6195A KR20200076195A KR1020180165066A KR20180165066A KR20200076195A KR 20200076195 A KR20200076195 A KR 20200076195A KR 1020180165066 A KR1020180165066 A KR 1020180165066A KR 20180165066 A KR20180165066 A KR 20180165066A KR 20200076195 A KR20200076195 A KR 202000761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inner steel
- steel plate
- pillar
- hano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wood and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more specifically
한옥이란 한국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을 말하는데, 상기 한옥은 친환경적이고, 건강하며, 세계의 어느 나라 어느 민족의 전통건축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을 만큼의 독특한 전통미가 있고, 무엇보다도 자연과의 조화가 두드러지며, 이로 인해 거주자에게 심리적 안정감 주는 장점이 있다.Hanok refers to a building built with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 The hanok is eco-friendly, healthy, and has a unique traditional beauty comparable to that of any nation in any country in the world, and above all, harmony with nature is outstanding.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residents.
반면, 한옥은 현대인이 생활하기에는 각 실이 좁고, 겨울에 추우며, 관리하기 어렵고, 건축비가 다른 건축방식에 비해 많이 든다는 이유로 그동안 외면을 당해왔으나, 최근 위와 같은 한옥의 장점이 재조명되고 있으며, 전통 한옥의 장점과 현대주택의 기능을 접목한 '신한옥'이 등장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Hanok has been outlooked for a long time because each room is narrow for modern people to live, cold in winter, difficult to manage, and the cost of construction is higher than other construction methods. 'Shin Hanok', which combines the advantages of Hanok with the functions of modern housing, is emerging.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은 기둥, 보 등의 주구조부가 목구조 방식이고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등의 현대적 구조를 융합한 복합구조로서 가변적 공간계획을 통해 다양한 공간을 창조하며, 한옥의 특성을 계승, 발전 및 창조적으로 재해석한 계획요소와 미래지향적 디자인 요소 등을 반영한 건축물과 그 부속 건축물 및 한식옥외공간을 포함한 것을 의미하는데, 특히 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공공공간으로서 주민의 복지, 문화혜택, 교류 등을 증진시키는 공공시설물의 역할과 가치를 가지며, 이러한 공공주택의 부대 및 복리시설을 신한옥형 건축물로 공급함으로써 한옥에 대한 국민의 인식개선을 도모하고, 신한옥형 건축물 보급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Shinhanok-type public building' is a composite structure in which the main structures of pillars, beams, etc. are wooden structures, and modern structures such as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steel structures are fused to create various spaces through variable spatial planning. It means the building that reflects the succession, development, and creatively reinterpreted planning elements and future-oriented design elements, and its subsidiary buildings and Korean-style outdoor spaces. In particular, it is a public space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the residents and the welfare of residents , It has the role and value of public facilities that promote cultural benefits, exchanges, etc., by providing these units and welfare facilities of public housing as new hanok-type buildings, thereby promoting public awareness of hanok, and scaffolding for the distribution of new hanok-type buildings Will be able to arrange.
이러한, 신한옥형 건축물은 기둥, 보, 도리, 동자주, 중도리, 대공, 마루도리, 지붕틀, 추녀, 서까재, 인방, 문골, 마루귀틀, 마룻널, 천장귀틀 순으로 뼈대를 짜맞추고 지붕을 이으면 기둥과 인방을 벽면보다 두드러지게 황토로 심벽을 치거나 황토벽돌을 쌓는다.These, Hanok-type buildings are framed in the order of pillars, beams, torii, Dongjaju, Jungdori, Daegong, Marudori, truss, ugly, rafters, lintel, door frame, floor frame, floor board, ceiling frame If you do, hit the pillars and seals with ocher to make the walls of the heart stand out or build ocher bricks.
한편, 한옥의 주구조인 기둥이나 보를 마련하는 것에 있어서, 원목을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providing pillars or beams, which are the main structure of hanok,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when using wood.
첫째, 원목의 목구조는 내진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Fir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od structures of wood are vulnerable to earthquake resistance.
둘째, 기둥과 보간 결합부위가 목재로 구성됨에 따라, 결합부위의 강도가 다른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하고, 온도 변화에 따라 목재의 수축 팽창이 발생하여 결하부위에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Second, as the pillars and interpolation joints are made of wood, the strength of the joints i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other part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wood occurs and the clearance occurs at the conjunctive part as the temperature changes.
셋째, 건축 기간이 지남에 따라 목재의 강도가 떨어져 취약한 결합위가 손상되는 등 전체적인 한옥 건축물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Thi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overall hanok building is deteriorated, such as the strength of the wood is reduced and the vulnerable bonding site is damaged as the construction period passe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공간 한옥 건축물에 사용되는 기둥 및 보의 강성을 높이고, 이웃하는 기둥과 보간 연결 시공의 편의성을 높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rigidity of pillars and beams used in large-space hanok buildings, and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ng connections between neighboring pillars and beam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a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옥 기둥의 너비에 대응되는 금속의 제1내부강판과, 상기 제1내부강판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집성목과, 상기 집성목을 상기 제1내부강판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기둥 조립체;한옥 보의 너비에 대응되는 금속의 제2내부강판과, 상기 제2내부강판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집성목과, 상기 집성목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보 조립체:로 구성되되, 상기 기둥 조립체와 보 조립체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내부강판과 제2내부강판은 서로 집성목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맞대인 상태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the first inner steel plate of the metal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hanok column, the collecting woo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ner steel plate, and the collecting wood to the first inner steel plate A pillar assembly including a fixing means; a second inner steel plate of a metal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a hanok beam, a collecting tre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inner steel plate, and a beam assembly including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llecting tree: It is configured, the pillar assembly and the beam assembly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irst inner steel plate and the second inner steel plate is extended to the outside from the collecting wood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astened in abutting state to each other It provide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the Hanok building.
이때, 상기 제1내부강판은 양측의 집성목 상면을 향해 연장되어 그 상면을 덮어씌운 제1연장날개와, 제1연장날개의 상방을 향해 연장된 제1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내부강판은 양측의 집성목 일면을 향해 연장되어 그 일면을 덮어씌운 제2연장날개와, 상기 제1체결판을 향해 연장되어 제1체결판과 중첩될 수 있게 구성된 제2체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inner steel plate includes a first extension blade exten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wood on both sides and covering the upper surface, and a first fastening plate extending upwardly of the first extension wing, and the second inner steel plat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extending plate extending toward one side of the collecting wood on both sides and covering the one side, and a second engaging plate extending toward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overlapping with the first fastening plate. .
이때, 상기 기둥 조립체의 상부와 상기 보 조립체 사이에 설치된 받침보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보의 일면은 제1연장날개에 지지되고, 받침보의 일면에 이웃하는 이웃면은 제2연장날개에 밀착되며, 상기 받침보는 고정수단을 통해 제2연장날개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cluding a support beam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assembly and the beam assembly, one surface of the support beam is supported by a first extension wing, a neighboring surface adjacent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bea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extension wing ,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eam is fixed to the second extension blade through a fixing means.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 및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is preferably a bolt and a nut.
또한, 상기 제2체결판은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체결판이 제2체결판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fastening plate is composed of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astening plate is configur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the hanok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금속의 내부강판과 집성목이 결합되어 기둥이나 보로 제공됨으로써, 한옥의 주구조인 기둥 및 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pillars and beams, which are the main structures of hanok, by combining the inner steel sheets of metal and the aggregate wood and providing them as pillars or beams.
둘째, 내부강판을 사이에 두고 내부강판의 양측에 집성목이 볼팅 결합됨으로써, 현장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lumber is bolt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steel sheet with the inner steel sheet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on site.
셋째, 접성목 사이에 내부강판이 개재되되, 상기 내부강판은 접성목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기둥이나 보의 내부강판에 맞대어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둥과 보의 연결 시공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연결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an inner steel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grafted trees, and the inner steel plate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one end or both ends of the grafted tree and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against the inner steel plate of a neighboring pillar or beam, thereby construc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pillar and the beam I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for, and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nection stiffnes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의 기둥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의 보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의 보 조립체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illar assembl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m assembly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eam assembl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erms can be properly defined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이하,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ures 1 to 5,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the hanok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to be described do.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는 금속의 강재와 집성목을 결합하여 보와 기둥으로 제공됨으로써 한옥의 기둥 및 보의 강성을 높이고, 금속의 강재끼리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보와 기둥간 시공의 편의성 및 연결부위 강성을 높였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is provided as a beam and a pillar by combining a steel material and a composite wood,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pillars and beams of a hanok and allowing the steel materials of metal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construction between the beam and the pillars and rigidity of the connecting parts. Increased.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조립체(100)와, 보 조립체(200)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ynthetic wood assembly includes a
기둥 조립체(100)는 한옥 건축물의 기둥을 제공하며, 금속 및 목재로 구성된다.The
기둥 조립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강판(110)과, 집성목(120)을 포함한다.
내부강판(110)은 기둥 조립체(100)의 강성을 위해 제공되며, 금속의 패널로 구성된다.The
이때, 기둥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내부강판(110)은 설명의 편의상, 제1내부강판(110)이라 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제1내부강판(110)에는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되며, 제1내부강판(110)의 양측면에는 각각 집성목(120)이 고정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제1내부강판(110)의 상단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날개(112)와 체결판(113)이 형성된다.1 and 2, an
연장날개(112)는 제1내부강판(110)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사각 플레이트로 형성된다.The
이때, 연장날개(112)의 너비는 기둥의 너비에 대응된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기둥 조립체(100)는 사각의 직육면체로 구성됨을 이해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상기 기둥 조립체(100)의 연장날개(112)는 설명의 편의상 제1연장날개(112)라 한다.The
체결판(113)은 후술하는 보 조립체(200)와의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써, 제1연장날개(112)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다.The
이때, 체결판(113)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공(113a)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상기 기둥 조립체(100)의 체결판(113)은 설명의 편의상, 제1체결판(113)이라 한다.The
집성목(120)은 제1내부강판(110)과 함께 한옥 건축물의 기둥을 구성한다.The collecting
집성목(120)은 제1내부강판(110)의 양측면에 고정된다.The
상기 집성목(120)은 공지 기술이며,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The
상기 집성목(120)의 전체 너비는 제1연장날개(112)의 너비에 대응된다.The overall width of the gathered
집성목(120)은 제1내부강판(110)을 기준으로 양측에 반(半)씩 고정된다.
상기 집성목(120)에는 제1내부강판(110)의 체결공(111)에 대응되는 체결공(121)이 형성된다.A
이는, 후술하는 고정수단을 통해 제1내부강판(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be able to be fixed to the first
이때, 집성목(120)의 노출면에 형성된 체결공(121)은 집성목(120)의 노출면과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이는, 후술하는 고정수단이 제1내부강판(110)에 집성목(120)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고정수단의 양단부가 집성목(120)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is is to prevent both ends of the fixing means fro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제1내부강판(110)을 기준으로 양측의 집성목(120) 중, 일측의 집성목(120) 하단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개구된 삽입홈(122)이 형성된다.1, the
삽입홈(1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조립체(100)가 고정되기 위한 기초철물(300)의 삽입편(310)이 삽입 배치되도록 한 구성이다.The
다음으로, 보 조립체(200)는 한옥 건축물의 보를 구성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 조립체(100)에 연결된다.Next, the
보 조립체(200)는 기둥 조립체(10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며, 그의 일단부가 기둥 조립체(100)의 상단부에 연결된다.The
보 조립체(200)는 내부강판(210)과, 집성목(220)을 포함한다.The
내부강판(210)은 보 조립체(200)의 강성을 높이며, 집성목(220)이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내부강판(210)은 금속의 패널로 구성되며, 설명의 편의상 상기 보 조립체(200)의 내부강판은 제2내부강판(210)이라 한다.The
제2내부강판(210)에는 집성목(220)의 체결을 위한 복수이 체결공(211)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제2내부강판(210)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날개(212)와 체결판(213)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econd
연장날개(212)는 제2내부강판(210)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제2내부강판(210)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상기 보 조립체(200)의 연장날개(212)는 설명의 편의상 제2연장날개(212)라 한다.The
상기 보 조립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제2연장날개(212) 사이의 간격은 집성목(220) 길이에 대응되며, 그의 형태는 사각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The distance between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 조립체(200) 역시 사각의 직육면체로 구성됨을 이해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이때, 제2연장날개(212)의 너비는 집성목(22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상기와 같이 제2연장날개(212)의 너비가 집성목(22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장날개(212)는 집성목(220)의 외측으로 튀어나오며, 그 튀어나온 부위에는 후술하는 받침보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212a)이 형성된다.Since the width of the
체결판(213)은 상기 기둥 조립체(100)와의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써, 각각의 제2연장날개(212)로부터 외측을 향해 형성된다.The
상기 보 조립체(200)의 체결판(213)은 설명의 편의상, 제2체결판(213)이라 한다.The
이때, 제2체결판(213)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공(213a)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213a)은 제1체결판(113)에 형성된 체결공(113a)에 대응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즉, 체1체결판(113)과 제2체결판(213)을 맞댄 상태로 볼트와 너트 체결을 통해 기둥 조립체(100)와 보 조립체(20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집성목(220)은 제2내부강판(210)과 함께 한옥 건축물의 보를 구성한다.The collecting
집성목(220)은 제2내부강판(210)의 양측면에 고정된다.The collecting
상기 집성목(220)은 공지 기술이며,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The
집성목(220)은 제2내부강판(210)을 기준으로 양측에 반(半)씩 고정된다. The collected
상기 집성목(220)에는 제2내부강판(210)의 체결공(211)에 대응되는 체결공(221)이 형성된다.A
이는, 후술하는 고정수단을 통해 제2내부강판(210)에 집성목(2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able the collecting
이때, 집성목(220)의 노출면에 형성된 체결공(221)은 집성목(220)의 노출면과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이는, 후술하는 고정수단이 제2내부강판(210)에 집성목(220)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고정수단의 양단부가 집성목으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is is to prevent both ends of the fixing means fro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llecting tree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collecting
한편, 상기 제2내부강판(210)의 상부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부강판(210)의 길이 방향으로 보강판(230)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보강판(230)은 보 조립체(20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The reinforcing
보강판(230)이 제2내부강판(210)에 형성됨으로써, 제2내부강판(210)의 정단면 형태는 "T"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reinforcing
한편, 고정수단(400)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수단(400)은 내부강판(110,210)에 집성목(120,22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a fixing means 400 is provided, and the fixing means 400 serves to fix the collecting
고정수단(400)은 현장에서 기둥 조립체 및 보 조립체 조립을 위한 시공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볼트(410)와 너트(420)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ans 4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즉, 볼트(4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집성목(120,220)의 체결공(121,221)을 통해 내부강판(110,210)의 체결공(111,211) 그리고 타측 집성목(120,220)의 체결공(121,221)을 통해 노출되며, 너트(420)는 노출된 볼트(410)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내부강판(110,210)에 집성목(120,22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이때, 볼트(410)의 헤드부는 일측 집성목(120,220)의 단차진 홈부에 위치되고, 너트(420)는 타측 집성목(120,220)의 단차진 홈부에 위치됨으로써 집성목(120,220) 외부로 고정수단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기둥 조립체의 외관을 깔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of the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둥 조립체 및 보 조립체 시공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pillar assembly and the beam assembly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집성목(120,220)을 내부강판(110,210)의 양측에 각각 맞댄다.The collected
이때, 집성목(120,220)의 위치는 연장날개(112,212)를 통해 가이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ollecting wood (120,220) can be guided through the extension wings (112,212).
이후, 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집성목(120,220)을 내부강판(110,210)에 고정시킨다.Thereafter, the collecting
이때, 볼트(410)의 헤드부와 너트는 집성목(120,220)의 단차진 홈부에 위치되므로, 각 기둥 조립체(100) 및 보 조립체(200)는 깔끔하게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head portion and the nut of the
다음으로, 기둥 조립체(100)를 먼저 기초철물(300)에 고정시킨다.Next, the
이때, 기초철물(300)의 삽입편(310)은 기둥 조립체(100) 하단부의 삽입홈(122)에 삽입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400)을 통해 기둥 조립체(100)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보 조립체(200)의 제2체결판(213)을 기둥 조립체(100)의 제1체결판(113)에 중첩시킨다.Next, the
이때, 제1체결판(113)의 체결공(113a)은 제2체결판(213)의 체결공(213a)에 대응된다. At this time, the
이후, 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제1체결판(113)과 제2체결판(213)을 서로 체결시킨다.Thereafter, the
이로써, 기둥 조립체(100)와 보 조립체(200)의 연결이 완료된다.Thus, the connection of the
다음으로, 기둥 조립체(100)와 보 조립체(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장여라 불리는 받침보(500)를 시공한다.Next, in the state where the
이를 위해, 받침보(500)의 일단부는 기둥 조립체(100)의 제1연장날개(112)에 안착시킨다.To this end, one end of the
이때, 받침보(500)의 저면은 제1연장날개(112)에 밀착되고, 받침보(500)의 저면과 이웃하는 받침보(500)의 일면은 보 조립체(200)의 제2연장날개(212)에 밀착된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받침보(500)의 상면은 보강판(230)에 밀착이 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받침보(500)의 삼면이 기둥 조립체(100) 및 보 조립체(200)에 지지됨으로써, 받침보(500)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Thus, the three sides of the
다음으로, 고정수단(400)을 이용해 받침보(500)를 보 조립체(200)의 제2연장날개(212)에 고정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옥의 주구조 연결이 완료된다.Next, by fixing the
이후,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면서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공사를 연이어 실시한다.Subsequently, pillars and beams of the Hanok building are successively performed while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한편, 기둥 조립체(100)와 보 조립체(200)를 서로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기둥 조립체(100)의 제1체결판(113) 일면에 보 조립체(200)의 제2체결판(213) 일면을 더욱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is is present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ferre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2체결판(214)은 제2연장날개(21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The
이때, 한 쌍의 제2체결판(214)이 형성하는 간격은 기둥 조립체(100)의 제1체결판(113) 두께에 대응된다.At this time, the gap formed by the pair of
즉, 제2체결판(214) 사이에 제1체결판(113)이 개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이에 따라, 기둥 조립체(100)와 보 조립체(200)를 체결하기 위해서, 제1체결판(113)을 제2체결판(214) 사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fasten th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는 금속의 내부강판을 이용하여 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내진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내부강판 연장을 통한 기둥과 보간 연결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현장 시공의 편의성 및 구조 강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the hanok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stiffness by using the inner steel plate of metal, thereby increasing the seismic efficiency, and connecting the pillars and interpolation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inner steel plate Since the construction can be made easily and robust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structural rigidity of construction on sit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0 : 기둥 조립체
110 : 제1내부강판
111,113a,121,211,221,212a,213a : 체결공
112 : 제1연장날개
113 : 제1체결판
120,220 : 집성목
122 : 삽입홈
200 : 보 조립체
212 : 제2연장날개
213,214 : 제2체결판
230 : 보강판
300 : 기초철물
310 : 삽입편
400 : 고정수단
410 : 볼트
420 : 너트
500 : 받침보100: pillar assembly 110: the first inner steel sheet
111,113a,121,211,221,212a,213a: Fastener 112: First extension wing
113: 1st edition 120,220: Gongseongmok
122: insertion groove 200: beam assembly
212: 2nd extension wing 213,214: 2nd conclusion
230: Reinforcing plate 300: Basic hardware
310: Insertion piece 400: Fixing means
410: bolt 420: nut
500: supporting beam
Claims (5)
한옥 보의 너비에 대응되는 금속의 제2내부강판과, 상기 제2내부강판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집성목과, 상기 집성목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보 조립체:로 구성되되,
상기 기둥 조립체와 보 조립체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내부강판과 제2내부강판은 서로 집성목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맞대인 상태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A pillar assembly including a first inner steel plate made of metal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a hanok pillar, a collecting tre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ner steel plate,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llecting tree to the first inner steel plate;
A beam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inner steel plate of metal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a hanok beam, a collecting tre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inner steel plate,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ollecting tree;
The pillar assembly and the beam assembly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first inner steel plate and the second inner steel plate extend outwardly from each other, and are configured to be fastened in a state where they face each other. Connection structure of pillar and beam composite wood assembly.
상기 제1내부강판은 양측의 집성목 상면을 향해 연장되어 그 상면을 덮어씌운 제1연장날개와, 제1연장날개의 상방을 향해 연장된 제1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내부강판은 양측의 집성목 일면을 향해 연장되어 그 일면을 덮어씌운 제2연장날개와, 상기 제1체결판을 향해 연장되어 제1체결판과 중첩될 수 있게 구성된 제2체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ner steel plate includes a first extension blade exten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wood on both sides and covering the upper surface, and a first fastening plate extending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wing,
The second inner steel plate includes a second extending blade extending toward one side of the collecting wood on both sides and covering the one side,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extending toward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overlapping with the first fasten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상기 기둥 조립체의 상부와 상기 보 조립체 사이에 설치된 받침보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보의 일면은 제1연장날개에 지지되고, 받침보의 일면에 이웃하는 이웃면은 제2연장날개에 밀착되며,
상기 받침보는 고정수단을 통해 제2연장날개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According to claim 2,
It includes a support beam installed between the top of the pillar assembly and the beam assembly,
One surface of the support beam is supported by the first extension wing, and a neighboring surface adjacent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bea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extension wing,
The support beam is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second extension wing through a fixing means.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 및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xing means is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a hanok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bolt and a nut.
상기 제2체결판은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체결판이 제2체결판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건축물의 기둥 및 보 합성 집성목 조립체의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second fastening plate is composed of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fastening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lates, so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llar and beam composite aggregate wood assembly of the hanok bui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5066A KR102200714B1 (en) | 2018-12-19 | 2018-12-19 |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assembly of Hanok archite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5066A KR102200714B1 (en) | 2018-12-19 | 2018-12-19 |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assembly of Hanok archite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6195A true KR20200076195A (en) | 2020-06-29 |
KR102200714B1 KR102200714B1 (en) | 2021-01-12 |
Family
ID=7140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5066A Active KR102200714B1 (en) | 2018-12-19 | 2018-12-19 |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assembly of Hanok archite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0714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65872A (en) * | 1995-12-15 | 1997-06-24 | Izumi Naruse | Composite building material |
JP2003096912A (en) * | 2001-09-19 | 2003-04-03 | Misawa Homes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
JP2009155960A (en) * | 2007-12-27 | 2009-07-16 | Tatsumi Tanaka | Truss member |
KR101673850B1 (en) | 2016-08-29 | 2016-11-16 | 경민산업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of Cross Laminated Timber And Its Products |
JP2017155413A (en) * | 2016-02-29 | 2017-09-07 | 幹夫 田代 | Steel-built-in wood column-beam joint structure |
-
2018
- 2018-12-19 KR KR1020180165066A patent/KR1022007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65872A (en) * | 1995-12-15 | 1997-06-24 | Izumi Naruse | Composite building material |
JP2003096912A (en) * | 2001-09-19 | 2003-04-03 | Misawa Homes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
JP2009155960A (en) * | 2007-12-27 | 2009-07-16 | Tatsumi Tanaka | Truss member |
JP2017155413A (en) * | 2016-02-29 | 2017-09-07 | 幹夫 田代 | Steel-built-in wood column-beam joint structure |
KR101673850B1 (en) | 2016-08-29 | 2016-11-16 | 경민산업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of Cross Laminated Timber And Its Produc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0714B1 (en) | 2021-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365579A (en) |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 |
JP3581426B2 (en) | Structural materials and floor and roof structures of wooden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m | |
JPH02504533A (en) | building buildings | |
US20080148678A1 (en) | Frames For Buildings | |
JP6687681B2 (en) | Wooden unit type build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US5718093A (en) | Floor panel joint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 wooden building with the same | |
KR20200076195A (en) |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assembly of Hanok architecture | |
JP7387125B2 (en) | arched structure | |
US20070283659A1 (en) | Modular truss system | |
JP4870645B2 (en) | housing complex | |
CA2509410C (en) | Wood arch frame system | |
JPS60141937A (en) | Prefabricated house | |
JP3986379B2 (en) | Wooden frame for wall member of unit type transparent material wall structure building, transparent material wall member, transparent material wall structure building unit set and unit type transparent material wall structure building | |
RU218165U1 (en) | WOODEN I-BEAM CONNECTOR | |
RU2826688C1 (en) | Method of constructing wooden frame of building | |
CN109457862A (en) | A kind of plank memb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or wallboard assembling | |
JPH0791863B2 (en) | Wooden frame structure of building | |
JPH0633055Y2 (en) | Exterior wall panel joint structure | |
JP4507987B2 (en) | Stiffening structure of sloped roof construction surface | |
KR101209945B1 (en) | The Prefabcated Hanok | |
JP7105344B1 (en) | Wall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wooden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698660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structure to create open interior space with free partition | |
JPS62258031A (en) | Building structure | |
JPH10317540A (en) | Combined building method, unit component, and binding material | |
JPH10280599A (en) | Interstory partitioning structure for wooden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