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74081A -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081A
KR20200074081A KR1020207003130A KR20207003130A KR20200074081A KR 20200074081 A KR20200074081 A KR 20200074081A KR 1020207003130 A KR1020207003130 A KR 1020207003130A KR 20207003130 A KR20207003130 A KR 20207003130A KR 20200074081 A KR20200074081 A KR 20200074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ding unit
current block
coding
intra predi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영
최나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7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08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획득하는 단계, 및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를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하는 단계, 및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에 따라 현재 블록을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호화 모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높은 화질의 비디오는 부호화시 많은 양의 데이터가 요구된다. 그러나 비디오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허용되는 대역폭은 한정되어 있어, 비디오 데이터 전송시 적용되는 데이터 레이트가 제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화질의 열화를 최소화하면서 압축률을 증가시킨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이 필요하다.
비디오 데이터는 픽셀들 간의 공간적 중복성 및 시간적 중복성을 제거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인접한 픽셀들 간에 공통된 특징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인접한 픽셀들 간의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픽셀들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로 부호화 정보가 전송된다.
데이터 단위에 포함된 픽셀들의 픽셀 값은 직접 전송되지 않고, 픽셀 값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 전송된다. 픽셀 값을 원본 값과 유사하게 예측하는 예측 방법이 데이터 단위마다 결정되며, 예측 방법에 대한 부호화 정보가 부호화기에서 복호화기로 전송된다. 또한 예측 값이 원본 값과 완전히 동일하지 않으므로, 원본 값과 예측 값의 차이에 대한 레지듀얼 데이터가 부호화기에서 복호화기로 전송된다.
예측이 정확해질수록 예측 방법을 특정하는데 필요한 부호화 정보가 증가되지만, 레지듀얼 데이터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부호화 정보와 레지듀얼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예측 방법이 결정된다. 특히, 픽처에서 분할된 데이터 단위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데, 데이터 단위의 크기가 클수록 예측의 정확도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은 대신, 부호화 정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픽처의 특성에 맞게 블록의 크기가 결정된다.
또한 예측 방법에는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이 있다. 인트라 예측은 블록의 주변 픽셀들로부터 블록의 픽셀들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인터 예측은 블록이 포함된 픽처가 참조하는 다른 픽처의 픽셀을 참조하여 픽셀들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인트라 예측에 의하여 공간적 중복성이 제거되고, 인터 예측에 의하여 시간적 중복성이 제거된다.
예측 방법의 수가 증가할수록 예측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부호화 정보의 양은 증가한다. 따라서 블록에 적용되는 부호화 정보 역시 다른 블록으로부터 예측하여 부호화 정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인간의 시각이 인지하지 못하는 한도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손실이 허용되는 바, 레지듀얼 데이터를 변환 및 양자화 과정에 따라 손실 압축(lossy compression)하여 레지듀얼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블록에 대하여 결합 모드에 관한 부호화 정보를 생성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결합 모드에 관한 부호화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을 복호화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개시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상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상기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상기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상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상기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상기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하는 부호화 모드 결정부,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이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과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모드 플래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을 결정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이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과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생성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결합 모드 플래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비트스트림 생성부를 포함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기록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결합 모드가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를 포함할 때, 결합 모드에 관련된 신택스 엘리먼트만 비트스트림에 포함시키고, 결합 모드에 포함된 부호화 모드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신택스 엘리먼트는 생략함으로써 이미지의 부호화율이 증가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의 형태인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순서로 부호화 단위가 처리될 수 없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간의 처리 순서가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가 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심도 및 부호화 단위 구분을 위한 인덱스(part index, 이하 PID)를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된 것을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다.
도 16은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결합 모드에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와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가 포함될 때,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18a 및 도 18b는 결합 모드에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변환 모드들 중 하나가 포함될 때,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19a 및 도 19b는 결합 모드에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변환 모드들 중 하나가 포함되고, 추가적으로 부호화 모드 m1의 적용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때,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20은 결합 모드에 부호화 모드 m1, m3 적용 여부와 부호화 모드 m2의 세부 모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때,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21a 는 인터 슬라이스(P 슬라이스 또는 B 슬라이스)에서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도 21b는 인트라 슬라이스(I 슬라이스)에서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2a는 인터 슬라이스(P 슬라이스 또는 B 슬라이스)에서 DC 모드를 포함하는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도 22b는 인트라 슬라이스(I 슬라이스)에서 DC 모드를 포함하는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3은 결합 모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호화 단위의 신택스이다.
도 24에는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방법(2400)이 도시되어 있다.
도25에는 부호화 모드에 따라 결합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25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에는 부호화 모드에 따라 결합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2600)이 도시되어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상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상기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상기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은 현재 부호화 또는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 중 하나를 의미한다. 만약,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측 단위, 변환 단위 등 기타 종류의 블록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는 "현재 부호화 블록", "현재 예측 블록", "현재 변환 블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위 블록"은 "현재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위 블록"은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 "샘플"은, 영상의 샘플링 위치에 할당된 데이터로서 프로세싱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간영역의 영상에서 픽셀값, 변환 영역 상의 변환 계수들이 샘플들일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단위를 블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결정부(110),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 결정부(11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 픽처 또는 픽처에 포함된 슬라이스를 복수의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는 크기 32x32, 64x64, 128x128, 256x256 등의 데이터 단위로, 가로 및 세로 크기가 2의 자승인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 결정부(11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최대 부호화 단위 크기 정보를 출력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30)는 최대 부호화 단위 크기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부호화 단위를 결정한다. 부호화 단위는 최대 크기 및 심도로 결정될 수 있다. 심도란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부호화 단위가 공간적으로 분할된 횟수로 정의될 수 있다. 심도가 1 증가할 때마다, 부호화 단위는 2개 이상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다. 따라서 심도가 증가할수록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감소한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는 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에 의하여 부호화 단위의 분할이 효율적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플래그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너비와 높이가 절반인 4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너비가 절반인 2개의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높이가 절반인 2개의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너비 또는 높이를 1:2:1로 분할함으로써 세 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너비가 높이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2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너비가 높이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2개의 너비가 높이의 4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너비가 높이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너비를 1:2:1로 분할함으로써 2개의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와 한 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높이가 너비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2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높이가 너비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2개의 높이가 너비의 4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높이가 너비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높이를 1:2:1로 분할함으로써 2개의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와 한 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서 2개 이상의 분할 방법이 사용가능한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서 사용가능한 분할 방법 중 부호화 단위에 사용될 수 있는 분할 방법에 대한 정보가 픽처마다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픽처마다 특정한 분할 방법들만이 사용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영상 부호화 장치(100)가 하나의 분할 방법만을 사용할 경우, 부호화 단위에 사용될 수 있는 분할 방법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결정되지 않는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 정보가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낼 때,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만약 부호화 단위가 속한 픽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분할 방법이 하나인 경우, 분할 형태 정보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분할 방법이 부호화 단위 주변의 부호화 정보에 적응적으로 결정될 경우, 분할 형태 정보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는 최소 부호화 단위 크기 정보에 따라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 분할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최상위 심도이며 최소 부호화 단위가 최하위 심도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복수 개의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현재 픽처의 영상 데이터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다. 그리고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로 분할되는 부호화 단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별로 분할되므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공간 영역(spatial domain)의 영상 데이터가 심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최대 횟수를 제한하는 최대 심도 또는 부호화 단위의 최소 크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분할하였을 때의 부호화 효율과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았을 때의 부호화 효율을 비교한다. 그리고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비교 결과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부호화 단위의 분할이 더 효율적이라고 결정된 경우,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분할한다. 만약 비교 결과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결정된 경우,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는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는 인접한 다른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에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는 부호화 과정에서 심도가 큰 부호화 단위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심도의 부호화 단위와 최대 심도보다 1만큼 작은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효율이 비교되어, 최대 부호화 단위의 각 영역마다 최대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과 최대 심도보다 1만큼 작은 부호화 단위들 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으로 부호화되는지 판단된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의 각 영역마다 최대 심도보다 1만큼 작은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가 결정된다. 그 후 최대 부호화 단위의 각 영역마다 최대 심도보다 2만큼 작은 부호화 단위들과 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최대 심도보다 1만큼 작은 부호화 단위들과 최소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의 조합 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으로 부호화되는지 판단된다. 동일한 판단 과정이 심도가 작은 부호화 단위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최종적으로 최대 부호화 단위와 최대 부호화 단위가 계층적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계층 구조 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으로 부호화되는지 여부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가 결정된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는 부호화 과정에서 심도가 작은 부호화 단위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부호화 단위와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1만큼 심도가 큰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효율이 비교되어, 최대 부호화 단위와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1만큼 심도가 큰 부호화 단위들 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으로 부호화되는지 판단된다. 만약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효율이 더 좋을 경우,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분할되지 않는다. 만약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1만큼 심도가 큰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 효율이 더 좋을 경우,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분할되고, 분할된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동일한 비교 과정이 반복된다.
심도가 큰 부호화 단위부터 부호화 효율을 검토할 경우, 연산량이 많으나 부호화 효율이 높은 트리 구조를 획득할 수 있다. 반대로 심도가 작은 부호화 단위부터 부호화 효율을 검토할 경우, 연산량이 적으나 부호화 효율이 낮은 트리 구조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부호화 효율과 연산량을 고려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계층적 트리 구조를 획득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부호화 단위에 가장 효율적인 예측 및 변환 방법을 결정한다. 부호화 단위는 가장 효율적인 예측 및 변환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데이터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데이터 단위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은 파티션 모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단, N은 양의 정수)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지 않는 경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의 크기는 2Nx2N이 된다. 크기 2Nx2N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경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의 크기는 파티션 모드에 따라 2NxN, Nx2N, NxN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모드는 부호화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가 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대칭적 데이터 단위들뿐만 아니라, 1:n 또는 n:1과 같이 비대칭적 비율로 분할된 데이터 단위들, 사선 방향으로 분할된 데이터 단위들, 기타 기하학적인 형태로 분할된 데이터 단위들, 임의적 형태의 데이터 단위들을 생성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데이터 단위를 기준으로 예측 및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예측을 위한 데이터 단위와 변환을 위한 데이터 단위가 별도로 결정될 수 있다. 예측을 위한 데이터 단위는 예측 단위로, 변환을 위한 데이터 단위는 변환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예측 단위에서 적용되는 파티션 모드와 변환 단위에서 적용되는 파티션 모드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부호화 단위에서 예측 단위의 예측과 변환 단위의 변환은 병렬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는 효율적인 예측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의 예측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호화 단위는 효율적인 변환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한 개 이상의 변환 단위로 분할 될 수 있다. 예측 단위의 분할과 변환 단위의 분할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부호화 단위 내부의 복원 샘플이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 또는 변환 단위들 간에 종속적 관계가 형성되므로 예측 단위와 변환 단위의 분할이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는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에 의하여 예측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은 예측 단위 주변의 참조 샘플들을 이용하여 예측 단위의 샘플들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인터 예측은 현재 픽처가 참조하는 참조 픽처로부터 참조 샘플을 획득하여 예측 단위의 샘플들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인트라 예측을 위하여 복수의 인트라 예측 방법을 예측 단위에 적용하여, 가장 효율적인 인트라 예측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방법에는 DC 모드, 플래너(Planar) 모드, 수직 모드 및 수평 모드와 같은 방향성(directional) 모드 등이 포함된다.
인트라 예측은 부호화 단위 주변의 복원 샘플을 참조 샘플로 사용하는 경우 예측 단위마다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부호화 단위 내부의 복원 샘플이 참조 샘플로 사용될 경우, 부호화 단위 내부의 참조 샘플의 복원이 예측보다 우선되어야 하므로, 변환 단위의 변환 순서에 예측 단위의 예측 순서가 종속될 수 있다. 따라서 부호화 단위 내부의 복원 샘플이 참조 샘플로 사용될 경우, 예측 단위에 대하여 예측 단위에 대응되는 변환 단위들에 대한 인트라 예측 방법만이 결정되고, 실질적인 인트라 예측은 변환 단위마다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최적의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를 결정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인 인터 예측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인터 예측을 위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공간적, 시간적으로 이웃한 부호화 단위로부터 복수의 움직임 벡터 후보를 결정하고, 그 중 가장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를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공간적, 시간적으로 이웃한 부호화 단위로부터 복수의 참조 픽처 후보를 결정하고, 그 중 가장 효율적인 참조 픽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참조 픽처는 현재 픽처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참조 픽처 리스트들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예측의 정확성을 위하여 복수의 움직임 벡터 후보 중 가장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를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하고, 예측 움직임 벡터를 보정하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은 부호화 단위 내부의 예측 단위별마다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스킵 모드에 따라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획득하여 부호화 단위를 복원할 수 있다. 스킵 모드에 의하면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외하고 잔차 신호를 포함한 모든 부호화 정보가 생략된다. 잔차 신호가 생략되므로 예측의 정확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 스킵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측 단위에 대한 예측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파티션 모드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예측에는 2Nx2N, NxN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한 파티션 모드만이 적용되는 반면, 인터 예측에는 2Nx2N, 2NxN, Nx2N, NxN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한 파티션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 예측의 스킵 모드에는 2Nx2N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한 파티션 모드만이 적용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서 각 예측 방법에 대하여 허용되는 파티션 모드는 부호화 효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 또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를 기준으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픽셀들에 대한 원본 값과 예측 값의 차이 값인 레지듀얼 데이터를 소정의 과정을 거쳐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레지듀얼 데이터를 양자화 및 DCT/DST 변환을 통해 손실 압축을 할 수 있다. 또는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레지듀얼 데이터를 양자화 없이 무손실 압축을 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양자화 및 변환에 가장 효율적인 변환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부호화 단위 내의 변환 단위도 재귀적으로 더 작은 크기의 변환 단위로 분할되면서,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데이터가 변환 심도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변환 단위에 따라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결정된 변환 단위의 트리 구조에 따라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분할에 대한 변환 분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가 분할하여 변환 단위에 이르기까지의 분할 횟수를 나타내는 변환 심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 2Nx2N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의 크기가 2Nx2N이라면 변환 심도 0, 변환 단위의 크기가 NxN이라면 변환 심도 1, 변환 단위의 크기가 N/2xN/2이라면 변환 심도 2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변환 심도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변환 단위가 설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인터 예측 방법 중 현재 예측 단위에 가장 효율적인 예측 방법을 결정한다. 그리고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예측 결과에 따른 부호화 효율에 따라 예측 단위 결정 방식을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변환 결과에 따른 부호화 효율에 따라 변환 단위 결정 방식을 판단한다. 가장 효율적인 예측 단위와 변환 단위의 결정 방식에 따라 최종적으로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효율이 결정된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각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효율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를 확정한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효율성, 예측 방법들의 예측 효율성 등을 라그랑지 곱(Lagrangian Multiplier) 기반의 율-왜곡 최적화 기법(Rate-Distortion Optimization)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결정된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심도별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분할이 완료된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예측 단위의 결정을 위한 파티션 모드 정보 및 변환 단위의 결정을 위한 변환 단위 분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이 2개 이상인 경우, 분할 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를 분할 정보와 함께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에 사용된 예측 방법 및 변환 방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 결정부(110) 및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가 생성한 정보들을 비트스트림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의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결정 방식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 장치(15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신부(160),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 및 복호화부(18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50)의 복호화 동작을 위한 부호화 단위, 심도, 예측 단위, 변환 단위, 각종 분할 정보 등 각종 용어의 정의는, 도 1 및 영상 부호화 장치(100)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50)의 목적이 영상 데이터의 복원인 바,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서 사용된 다양한 부호화 방법들이 영상 복호화 장치(150)에 적용될 수 있다.
수신부(160)는 부호화된 비디오에 대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여 파싱한다.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는 파싱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복호화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복호화부(180)에 제공한다.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는 현재 픽처에 대한 헤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또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현재 픽처의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는 파싱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최종 심도 및 분할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최종 심도 및 분할정보는 복호화부(180)로 출력된다. 복호화부(180)는 최대 부호화 단위를 추출된 최종 심도 및 분할정보에 따라 분할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의 트리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가 추출한 분할정보는,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 의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트리 구조에 대한 분할정보다. 따라서,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키는 부호화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와 같은 데이터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는 예측 단위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파티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는 변환 단위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트리 구조에 대한 변환 분할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는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예측 단위들에 대하여 가장 효율적인 예측 방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는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변환 단위들에 대하여 가장 효율적인 변환 방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부호화 정보 추출부(170)는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출력부(130)에서 비트스트림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한다.
복호화부(180)는 분할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를 가장 효율적인 트리구조를 가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복호화부(180)는 파티션 모드에 관한 정보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복호화부(180)는 변환 분할 정보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변환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복호화부(180)는 예측 단위를 예측 방법에 대한 정보에 따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복호화부(180)는 변환 단위를 변환 방법에 대한 정보에 따라 픽셀의 원본 값과 예측 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레지듀얼 데이터를 역양자화 및 역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부(180)는 예측 단위의 예측 결과와 변환 단위의 변환 결과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픽셀들을 복원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분할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가 어떤 형태로 분할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이용하는 블록 형태 정보가 어떤 블록 형태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나타내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을지, 수직으로 분할할지, 수평으로 분할할지, 4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200)의 블록 형태 정보가 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복호화부(180)는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20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210a)를 분할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된 부호화 단위(210b, 210c, 210d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200)를 수직방향으로 분할한 두개의 부호화 단위(210b)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200)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두개의 부호화 단위(210c)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200)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네개의 부호화 단위(210d)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분할 형태는 상술한 형태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분할 형태 정보가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소정의 분할 형태들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비-정사각형의 형태인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비-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비-정사각형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을지 소정의 방법으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의 블록 형태 정보가 비-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310 또는 360)를 분할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분할된 부호화 단위(320a, 320b, 330a, 330b, 330c, 370a, 370b, 380a, 380b, 380c)를 결정할 수 있다.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소정의 분할 방법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분할 형태 정보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분할 형태 정보가 두개의 부호화 단위로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를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두개의 부호화 단위(320a, 320b, 또는 370a, 37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사각형의 형태의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를 분할하는 경우, 비-정사각형의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의 긴 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의 형태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의 긴 변을 분할하는 방향으로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홀수개의 블록으로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 형태 정보가 3개의 부호화 단위로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를 3개의 부호화 단위(330a, 330b, 330c, 380a, 380b, 380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의 크기 모두가 동일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정된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330a, 330b, 330c, 380a, 380b, 380c)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330b 또는 380b)의 크기는 다른 부호화 단위(330a, 330c, 380a, 380c)들과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가 분할되어 결정될 수 있는 부호화 단위는 복수의 종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홀수개의 블록으로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하여 생성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가 분할되어 생성된 3개의 부호화 단위(330a, 330b, 330c, 380a, 380b, 380c)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330b, 380b)에 대한 복호화 과정을 다른 부호화 단위(330a, 330c, 380a, 380c)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중앙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330b, 380b)에 대하여는 다른 부호화 단위(330a, 330c, 380a, 380c)와 달리 더 이상 분할되지 않도록 제한하거나, 소정의 횟수만큼만 분할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400)를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수평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400)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4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제1 부호화 단위, 제2 부호화 단위, 제3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간의 분할 전후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이용된 용어이다. 예를 들면,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면 제2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고,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면 제3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용되는 제1 부호화 단위, 제2 부호화 단위 및 제3 부호화 단위의 관계는 상술한 특징에 따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410)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400)를 분할하여 결정된 비-정사각형의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410)를 적어도 하나의 제3 부호화 단위(420a, 420b, 420c, 420d 등)로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410)를 분할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400)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410)를 분할할 수 있으며, 제2 부호화 단위(41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400)가 분할된 방식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400)가 제1 부호화 단위(400)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410)로 분할된 경우, 제2 부호화 단위(410) 역시 제2 부호화 단위(410)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420a, 420b, 420c, 420d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각각에 관련된 분할 형태 정보 및 블록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 분할에 이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부호화 단위(420a, 420b, 420c, 420d 등) 각각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410)를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410)를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420b, 420c, 420d)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420b, 420c, 420d) 중 소정의 제3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420b, 420c, 420d)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420c)에 대하여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것으로 제한하거나 또는 설정 가능한 횟수로 분할되어야 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41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420b, 420c, 420d)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420c)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 형태로 분할(예를 들면 4개의 부호화 단위로만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410)가 분할된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분할)되는 것으로 제한하거나, 소정의 횟수로만 분할(예를 들면 n회만 분할, n>0)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만 가운데에 위치한 부호화 단위(420c)에 대한 상기 제한은 단순한 실시예들에 불과하므로 상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가운데에 위치한 부호화 단위(420c)가 다른 부호화 단위(420b, 420d)와 다르게 복호화 될 수 있는 다양한 제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기 위해 이용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현재 부호화 단위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1300)의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현재 부호화 단위(13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샘플 중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1340))에서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될 수 있는 현재 부호화 단위(1300) 내의 소정 위치가 도 13에서 도시하는 가운데 위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소정 위치에는 현재 부호화 단위(1300)내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예를 들면, 최상단, 최하단, 좌측, 우측,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또는 우측하단 등)가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소정 위치로부터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개수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된 경우 그 중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 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고,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에 포함되는 소정의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픽처 내에서의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에 포함되는 부호화단위(520a, 520b, 520c)들의 너비 또는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너비 또는 높이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픽처 내에서의 좌표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픽처 내에서의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직접 이용하거나 좌표간의 차이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 부호화 단위(5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a, ya)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b, yb)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하단 부호화 단위(5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c, yc)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좌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530b)의 좌표인 (xb, yb)를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현재 부호화 단위(5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는 픽처 내에서의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나아가 상단 부호화 단위(5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a)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b)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dxb, dyb)좌표, 하단 부호화 단위(5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c)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dxc, dyc)좌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해당 샘플의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샘플의 좌표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산술적 방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로 분할할 수 있고,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들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중 크기가 다른 부호화 단위(520b)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부호화 단위(5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a, ya) 좌표,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b, yb) 좌표, 하단 부호화 단위(5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c, yc) 좌표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각각의 너비 또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인 (xa, ya), (xb, yb), (xc, yc)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각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부호화 단위(520a)의 너비를 xb-xa로 결정할 수 있고 높이를 yb-ya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의 너비를 xc-xb로 결정할 수 있고 높이를 yc-yb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하단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와 상단 부호화 단위(520a) 및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의 너비 및 높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결정된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너비 및 높이에 기초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부호화 단위(520a) 및 하단 부호화 단위(520c)의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샘플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소정의 샘플 좌표에 따라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다양한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부호화 단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고려하는 샘플의 위치는 상술한 좌측 상단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임의의 샘플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라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평 방향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 하는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한을 둘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가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라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직 방향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 하는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한을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고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도 5에서 상술한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예를 들면, 가운데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응하는 과정일 수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과정에서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복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과정에서 가운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샘플에 저장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500)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로 분할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540)에서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형태 정보 및 상기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500)가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로 분할된 경우 상기 샘플(540)을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는, 결정하려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소정의 샘플에서 획득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복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500) 내의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에서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블록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소정 위치의 샘플을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들 중, 소정의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이 포함된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서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540)을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이러한 샘플(540)이 포함되는 부호화 단위(520b)를 복호화 과정에서의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다만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는 상술한 위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제한을 두기 위해 결정하려는 부호화 단위(520b)에 포함되는 임의의 위치의 샘플들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형태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가 정사각형인지 또는 비-정사각형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형태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대한 정보 및 높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하는 경계 상에 위치하는 샘플을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관련된 블록 형태 정보가 비-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을 반으로 분할하는 경계에 인접하는 샘플 중 하나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에서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생성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 각각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로부터 획득되는 분할 형태 정보 및 블록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각각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에서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 분할 과정에 대하여는 도 4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복호화되는 순서를 소정의 블록(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610a, 610b)를 결정하거나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630a, 630b)를 결정하거나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650a, 650b, 650c, 650d)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610a, 610b)를 수평 방향(610c)으로 처리되도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630a, 630b)의 처리 순서를 수직 방향(630c)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650a, 650b, 650c, 650d)를 하나의 행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된 후 다음 행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래스터 스캔 순서((raster scan order) 또는 z 스캔 순서(z scan order)(650e)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들을 재귀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600)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10a, 610b, 630a, 630b, 650a, 650b, 650c, 650d)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10a, 610b, 630a, 630b, 650a, 650b, 650c, 650d) 각각을 재귀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10a, 610b, 630a, 630b, 650a, 650b, 650c, 650d)을 분할하는 방법은 제1 부호화 단위(600)를 분할하는 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10a, 610b, 630a, 630b, 650a, 650b, 650c, 650d)은 각각 독립적으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610a, 610b)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제2 부호화 단위(610a, 610b) 각각을 독립적으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620a, 620b)로 분할할 수 있고,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b)는 분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는 분할되기 직전의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a)가 분할되어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620a, 620b)가 처리되는 순서를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b)와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a)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3 부호화 단위(620a, 620b)가 결정되었으므로 제3 부호화 단위(620a, 620b)는 수직 방향(620c)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a) 및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b)가 처리되는 순서는 수평 방향(610c)에 해당하므로,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620a, 620b)가 수직 방향(620c)으로 처리된 후에 우측 부호화 단위(610b)가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부호화 단위들이 각각 분할 전의 부호화 단위에 따라 처리 순서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형태로 분할되어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들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소정의 순서로 부호화 단위가 처리될 수 없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획득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700)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로 분할될 수 있고,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 720c, 720d, 720e)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 중 좌측 부호화 단위(710a)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를 결정할 수 있고, 우측 부호화 단위(710b)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720c, 720d, 720e)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3 부호화 단위들(720a, 720b, 720c, 720d, 720e)이 소정의 순서로 처리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 720c, 720d, 720e)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700),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 또는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 720c, 720d, 720e)가 분할되는 형태 중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 중 우측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720c, 720d, 720e)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부호화 단위(7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는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z-스캔 순서(z-scan order)(730))가 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우측 제2 부호화 단위(710b)가 홀수개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720c, 720d, 720e)가 상기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700)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 720c, 720d, 720e)가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 720c, 720d, 720e)의 경계에 따라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예를 들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좌측 제2 부호화 단위(710a)의 높이를 반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는 조건을 만족하지만, 우측 제2 부호화 단위(710b)를 3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720c, 720d, 720e)들의 경계가 우측 제2 부호화 단위(710b)의 너비 또는 높이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3 부호화 단위(720c, 720d, 720e)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이러한 조건 불만족의 경우 스캔 순서의 단절(disconnection)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우측 제2 부호화 단위(710b)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 내용 또는 소정 위치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제1 부호화 단위(800)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신부(160)를 통해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800)를 분할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는 4개의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거나 또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면, 블록 형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800)는 정사각형임을 나타내고 분할 형태 정보가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800)를 복수개의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형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800)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을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810c) 또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800)에 포함되는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810c, 820a, 820b, 820c)가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810c, 820a, 820b, 820c)의 경계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800)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810c)들의 경계가 제1 부호화 단위(800)의 너비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8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들의 경계가 제1 부호화 단위(800)의 너비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8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이러한 조건 불만족의 경우 스캔 순서의 단절(disconnection)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8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 내용 또는 소정 위치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30 또는 850)를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제1 부호화 단위(9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신부(160)를 통해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20a, 920b)로 분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20a, 920b)는 독립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20a, 920b) 각각에 관련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직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9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좌측 제2 부호화 단위(9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912a, 912b)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9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 우측 제2 부호화 단위(910b)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910a)가 분할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분할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만일 우측 제2 부호화 단위(910b)가 동일한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3 부호화 단위(914a, 914b)가 결정된 경우, 좌측 제2 부호화 단위(910a) 및 우측 제2 부호화 단위(910b)가 수평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됨으로써 제3 부호화 단위(912a, 912b, 914a, 914b)가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9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930a, 930b, 930c, 930d)로 분할한 것과 동일한 결과이며 이는 영상 복호화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평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33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920a 또는 920b)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922a, 922b, 924a, 924b)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 중 하나(예를 들면 상단 제2 부호화 단위(920a))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 상술한 이유에 따라 다른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하단 부호화 단위(920b))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920a)가 분할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직 방향으로 분할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000)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분할 형태 정보에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정보에는 정사각형 형태의 4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분할 형태 정보에 따르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0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30a, 1030b, 1030c, 1030d)로 분할하지 못한다.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등)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재귀적인 방법을 통해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등) 각각이 소정의 순서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는 방법에 대응하는 분할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12a, 1012b)를 결정할 수 있고,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14a, 1014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 및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 모두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16a, 1016b, 1016c, 1016d)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30a, 1030b, 1030c, 1030d)로 분할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020a)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22a, 1022b)를 결정할 수 있고,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020b)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24a, 1024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020a) 및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020b) 모두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22a, 1022b, 1024a, 1024b)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30a, 1030b, 1030c, 1030d)로 분할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간의 처리 순서가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분할할 수 있다. 블록 형태 정보가 정사각형 형태를 나타내고, 분할 형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110a, 1110b, 1120a, 1120b, 1130a, 1130b, 1130c, 1130d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만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는 각각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120a, 112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 1126c, 1126d)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의 분할 과정은 도 9와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처리할 수 있다. 소정의 순서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처리에 대한 특징은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분할하여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 1126a, 1126b, 1126c, 1126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분할되는 형태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 1126a, 1126b, 1126c, 1126d)의 처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11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를 수직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110b)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116c, 1116d)를 수직 방향으로 처리하는 순서(1117)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120a, 1120b)를 수직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 1126c, 1126d)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12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를 수평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120b)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126c, 1126d)를 수평 방향으로 처리하는 순서(1127)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 1126c, 1126d)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가 각각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 1126a, 1126b, 1126c, 1126d)가 결정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120a, 1120b)는 서로 다른 형태로 분할된 것이지만, 이후에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 1126a, 1126b, 1126c, 1126d)에 따르면 결국 동일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로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분할된 결과가 된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이한 과정을 통해 재귀적으로 부호화 단위를 분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더라도, 동일한 형태로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서로 다른 순서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가 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의 심도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기준은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가 분할되기 전의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보다 2n (n>0) 배로 분할된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분할되기 전의 부호화 단위의 심도보다 n만큼 심도가 증가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심도가 증가된 부호화 단위를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표현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는 ′0: SQUARE′를 나타낼 수 있음)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인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하여 하위 심도의 제2 부호화 단위(1202), 제3 부호화 단위(1204)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크기를 2Nx2N이라고 한다면,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너비 및 높이를 1/21배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202)는 NxN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부호화 단위(1202)의 너비 및 높이를 1/2크기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1204)는 N/2xN/2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 부호화 단위(1204)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1/22배에 해당한다.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심도가 D인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너비 및 높이의 1/21배인 제2 부호화 단위(1202)의 심도는 D+1일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너비 및 높이의 1/22배인 제3 부호화 단위(1204)의 심도는 D+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임을 나타내는 ′1: NS_VER′ 또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임을 나타내는 ′2: NS_HOR′를 나타낼 수 있음)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정사각형 형태인 제1 부호화 단위(1210 또는 1220)를 분할하여 하위 심도의 제2 부호화 단위(1212 또는 1222), 제3 부호화 단위(1214 또는 1224)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10)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2, 1212, 1222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21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02) 또는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22)를 결정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1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2Nx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20) 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2, 1212, 1222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22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02) 또는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12)를 결정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2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02) 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4, 1214, 12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1202)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04)를 결정하거나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14)를 결정하거나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2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12)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4, 1214, 12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1212)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04) 또는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24)를 결정하거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1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14)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4, 1214, 12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1212)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04) 또는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14)를 결정하거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2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0, 1202, 1204)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10)를 결정하거나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2Nx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2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가 부호화 단위의 가장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2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00, 1202 또는 1204)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200, 1202 또는 1204)의 심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14 또는 1224)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부호화 단위(1210 또는 1220)의 1/2배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부호화 단위(1210 또는 1220)의 심도가 D인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210 또는 122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2 부호화 단위(1212 또는 1214)의 심도는 D+1일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210 또는 122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3 부호화 단위(1214 또는 1224)의 심도는 D+2일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심도 및 부호화 단위 구분을 위한 인덱스(part index, 이하 PID)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 1306a, 1306b, 1306c, 1306d)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에 대한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 1306a, 1306b, 1306c, 1306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00)에 대한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 1306a, 1306b, 1306c, 1306d)는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한 변의 길이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의 긴 변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1300)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의 심도는 D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06a, 1306b, 1306c, 1306d)로 분할한 경우,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06a, 1306b, 1306c, 1306d)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 이므로, 제2 부호화 단위(1306a, 1306b, 1306c, 1306d)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심도인 D보다 한 심도 하위인 D+1의 심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312a, 1312b, 1314a, 1314b, 1314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20)를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322a, 1322b, 1324a, 1324b, 1324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에 대한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1312a, 1312b, 1314a, 1314b, 1316a, 1316b, 1316c, 1316d)는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12a, 1312b)의 한 변의 길이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이므로,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의 심도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심도 D보다 한 심도 하위의 심도인 D+1이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홀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로 분할할 수 있다. 홀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a, 1314c) 및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a, 1314c)의 긴 변의 길이 및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b)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 이므로, 제2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심도인 D보다 한 심도 하위인 D+1의 심도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310)와 관련된 부호화 단위들의 심도를 결정하는 상기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20)와 관련된 부호화 단위들의 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PID)를 결정함에 있어서,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 경우, 부호화 단위들 간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b, 1314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c)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른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c)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c)의 두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캔 순서에 따라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b)의 인덱스(PID)가 1이라면 그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c)는 인덱스가 2가 증가한 3일수 있다. 즉 인덱스의 값의 불연속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이러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간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의 불연속성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되어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구분하기 위한 인덱스의 값에 기초하여 특정 분할 형태로 분할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분할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1312a, 1312b)를 결정하거나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 각각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 부호화 단위를 나타내는 인덱스(PID)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ID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의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좌측 상단 샘플)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를 이용하여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가 너비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에 대한 분할 형태 정보가 3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3개의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3개의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 각각에 대한 인덱스를 할당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덱스를 비교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인덱스들 중 가운데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갖는 부호화 단위(1314b)를, 제1 부호화 단위(1310)가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를 결정함에 있어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 경우, 부호화 단위들 간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1310)가 분할되어 생성된 부호화 단위(13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c)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른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c)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b)의 인덱스(PID)가 1이라면 그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c)는 인덱스가 2가 증가한 3일수 있다. 이러한 경우처럼 균일하게 인덱스가 증가하다가 증가폭이 달라지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과 다른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가운데 부호화 단위)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크기가 다른 형태로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덱스(PID)를 이용하여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인덱스, 결정하고자 하는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 또는 위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특정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다양한 인덱스, 부호화 단위의 위치 및 크기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인 분할이 시작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처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된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는 부호화 단위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되기 시작하는 데이터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현재 픽처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최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상 편의를 위해 이러한 소정의 데이터 단위를 기준 데이터 단위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데이터 단위는 소정의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는 MxN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며, 2의 승수로 표현되는 정수일 수 있다. 즉, 기준 데이터 단위는 정사각형 또는 비-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후에 정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픽처를 복수개의 기준 데이터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픽처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기준 데이터 단위를 각각의 기준 데이터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데이터 단위의 분할 과정은 쿼드 트리(quad-tree)구조를 이용한 분할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기준 데이터 단위가 가질 수 있는 최소 크기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최소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갖는 다양한 크기의 기준 데이터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기준 데이터 단위를 기준으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400)를 이용할 수 있고, 또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40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시퀀스(sequence), 픽처(picture), 슬라이스(slice), 슬라이스 세그먼트(slice segment), 최대부호화단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의 수신부(160)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양한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4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은 도 10의 현재 부호화 단위(300)가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상술하였고, 비-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4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은 도 11의 현재 부호화 단위(1100 또는 1150)가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되는 일부 데이터 단위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수신부(16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다양한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최대부호화단위 등) 중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슬라이스 이하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을 만족하는 데이터 단위로서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최대부호화 단위 등 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의 식별을 위한 인덱스만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인덱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단위마다 기준 데이터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하는 경우, 비트스트림의 이용 효율이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하는 대신 상기 인덱스만을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내는 인덱스에 대응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미리 결정된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인덱스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인덱스 획득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 단위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영상을 분할하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포함될 수 있고, 각각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인 분할 과정을 통해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정수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최대부호화단위를 쿼드 트리 구조에 따라 n번 분할한 크기일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최대부호화단위를 쿼드 트리 구조에 따라 n 번 분할하여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처(1500)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픽처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이란, 영상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로서, 프로세싱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는 특정 순서대로 결정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에서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는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는 다양한 순서의 종류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에서 결정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는 프로세싱 블록마다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마다 결정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는 래스터 스캔(raster scan), Z 스캔(Z-scan), N 스캔(N-scan), 우상향 대각 스캔(up-right diagonal scan), 수평적 스캔(horizontal scan), 수직적 스캔(vertical scan) 등 다양한 순서 중 하나일 수 있으나, 결정될 수 있는 순서는 상기 스캔 순서들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 단위의 소정의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의 수신부(16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특정의 데이터 단위마다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는 영상,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등의 데이터 단위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즉 수신부(160)는 상기 여러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획득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픽처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정수배의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픽처(1500)에 포함되는 프로세싱 블록(1502, 1512)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 블록(1502, 1512)의 가로크기를 기준 부호화 단위 가로크기의 4배, 세로크기를 기준 부호화 단위의 세로크기의 4배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픽처(1500)에 포함되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502, 1512)을 결정할 수 있고, 프로세싱 블록(1502, 151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은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 기준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순서 또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기준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순서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마다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특정 데이터 단위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160)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영상,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프로세싱 블록 등의 데이터 단위로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의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를 나타내므로,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정수개의 프로세싱 블록을 포함하는 특정 데이터 단위 마다 획득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16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1502, 1512)과 관련된 정보로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기 프로세싱 블록(1502, 151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순서를 결정하고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따라 픽처(15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502, 1512)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1504, 1514)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가 프로세싱 블록마다 획득되는 경우,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502, 151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는 프로세싱 블록마다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150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1504)가 래스터 스캔(raster scan)순서인 경우, 프로세싱 블록(1502)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는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른 프로세싱 블록(151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1514)가 래스터 스캔 순서의 역순인 경우, 프로세싱 블록(1512)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는 래스터 스캔 순서의 역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 15에서는 영상을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고,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는 방법이 설명되었다. 도 16 내지 도 26에서는 결합 모드를 이용하여,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설명된다.
결합 모드(Coupling Mode)는 블록에 대하여 같이 적용되는 부호화 모드들의 세트를 의미한다. 부호화단에서 현재 블록에 결합 모드가 적용되면, 결합 모드에 관련된 신택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만 비트스트림에 포함시키고, 결합 모드에 포함된 부호화 모드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신택스 엘리먼트는 생략함으로써 이미지의 부호화율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같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거나, 같이 사용될 경우 부호화 효율성이 높은 부호화 모드들을 결합 모드로 지정함으로써, 이미지의 부호화율이 증가된다. 이하 결합 모드의 적용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된다.
도 16은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는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 및 복호화부(1620)를 포함한다. 도 16에서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 및 복호화부(1620)는 별도의 구성 단위로 표현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 및 복호화부(1620)는 합쳐져 하나의 구성 단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6에서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 및 복호화부(1620)는 하나의 장치에 위치한 구성 단위로 표현되었지만,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 및 복호화부(1620)의 각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인접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 및 복호화부(1620)가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 및 복호화부(1620)는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획득한다.
결합 모드에는 현재 블록에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부호화 모드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서로 양립불가능한 부호화 모드들은 하나의 결합 모드에 포함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 모드와 수직 모드는 같이 결합 모드에 포함될 수 없다.
결합 모드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인트라 기술에 관한 부호화 모드, 인터 기술에 관한 부호화 모드, 변환 모드, 인루프 필터 모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트라 기술에 관한 부호화 모드에는 CCIP(Cross Component Intra Prediction) 모드, MPI(Multi Parameter Intra-prediction) 모드, MIP(Multi-combined Intra Prediction)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인터 기술에 관한 부호화 모드에는 어파인(Affine) 모드, AMVR(Adaptive Motion Vector Resolution) 모드, 조명 보상(Illumination Compensation)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변환 모드에는 EMT 모드(Enhanced Multiple Transform), NSST(Non-Separable Secondary Transform) 모드, ROT(Rotational Transform)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인루프 필터 모드에는 디블록킹 필터 모드, SAO(Sample Adaptive Offset) 필터 모드, 양방향(Bilateral) 필터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결합 모드는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와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같이 사용될 확률이 높은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의 조합의 개수에 따라 결합 모드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모드에 포함되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는 DC모드이고,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는 LM 크로마 모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모두 DC 모드일 수 있다.
또한, 결합 모드에 포함되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는 모두 MPM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MPM 모드는 현재 블록에서 가장 사용될 확률이 높은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결합 모드에 포함되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두 MPM 모드일 경우, 부호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결합 모드는 현재 블록에 인접한 특정 위치의 인접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가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블록에 상기 결합 모드가 적용될 경우, 현재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는 특정 위치의 인접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하도록 결정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결합 모드는 현재 또는 이전 픽처를 분석하여 획득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픽처의 예측 모드 빈도수를 분석하여 최빈도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최빈도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합 모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결합 모드는 복수의 변환 모드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모드는 변환 모드와 함께,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모드는 변환 모드와 함께,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같이 사용될 확률이 높은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및 변환 모드의 조합의 개수에 따라 결합 모드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결합 모드는 같이 사용될 확률이 높은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변환 모드를 포함하여, 비디오 부호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변환 모드의 상관관계가 높으므로, 결합 모드에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변환 모드 쌍을 포함할 경우, 비디오 부호화 효율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결합 모드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모드가 포함되고,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 모드 또는 LM 크로마 모드가 포함되고, 변환 모드로서 DCT 변환 모드 또는 DST 변환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결합 모드에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및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MPM 모드 또는 주변 블록의 모드가 포함되고, 변환 모드로서 DCT 변환 모드 또는 DST 변환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변환 모드 간에 서로 양립가능하기 때문에, 결합 모드는 복수의 변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계적으로 같이 선택될 확률이 높은 변환 모드를 결합 모드에 포함시킬 경우, 비디오 부호화 효율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다.
결합 모드는 특정 부호화 모드의 적용 여부, 적용 방법 및 적용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모드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결과를 필터링하는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에 따른 예측 블록은 주파수 변환에 적합하지 않은 평탄하지 않고 부자연스러운 패턴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인트라 예측 모드와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를 결합 모드에 포함시켜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모드와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가 현재 블록에 대하여 적용된다는 정보를 포함할 경우, 추가적인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에 대한 부호화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하지 않고, 현재 블록에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또한 현재 블록에 인터 모드가 적용될 경우, 결합 정보는 아핀 모드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정보와 조명 보상 모드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모드에 통계적으로 같이 사용될 확률이 높거나 같이 사용될 확률이 낮은 부호화 모드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킬 경우, 비디오 부호화 효율이 향상될 가능성이 높다.
결합 모드는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변환 모드들 중 하나 및 특정 부호화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같이 사용될 확률이 높은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변환 모드 및 특정 부호화 모드의 조합의 개수에 따라 결합 모드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특정 부호화 모드는 앞서 언급된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일 수 있다. 또는 특정 부호화 모드는 인루프 필터 모드일 수 있다. 부호화 모드들 간에 양립 가능하다면, 결합 모드에 부호화 모드들에 대한 정보가 2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모드가 포함되는 경우,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에 포함되는 MPI 모드 또는 MIP 모드를 적용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C 모드의 예측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DC 모드에 따른 예측 블록에 대하여 경계 필터링이 요구된다. MPI 모드 또는 MIP 모드가 적용되면, DC 모드에 경계 필터링을 적용하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DC 모드와 MPI 모드 또는 MIP 모드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 변환 모드에 관한 정보 및 특정 부호화 모드에 대한 정보를 한 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모드에 포함되는 모든 부호화 모드의 조합은 결합 모드에 포함된 부호화 모드들 간에 양립 가능하다면 허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LM 크로마 모드, MPI 모드 또는 MIP 모드를 적용하는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MPI 모드는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현재 샘플에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샘플들을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이다. 구체적으로 MPI 모드에 따르면 현재 샘플의 예측 값, 현재 샘플의 상측 인접 샘플의 예측 값, 현재 샘플의 좌측 또는 우측 인접 샘플의 예측 값의 가중 평균 값을 현재 샘플의 새로운 예측 값으로 결정된다. 현재 블록의 모든 샘플들에 대하여 인접 샘플들에 기초한 가중 평균 값을 새로운 예측 값으로 결정함으로써, 현재 블록이 필터링된다.
MIP 모드는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현재 샘플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현재 블록에 인접한 적어도 2개의 참조 샘플을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이다. 구체적으로 MIP 모드에 따르면 현재 샘플의 예측 값, 현재 샘플과 x좌표가 동일한 참조 샘플의 값, 현재 샘플과 y좌표가 동일한 참조 샘플의 값의 가중 평균 값을 현재 샘플의 새로운 예측 값으로 결정된다. 현재 블록의 모든 샘플들에 대하여 참조 샘플들에 기초한 가중 평균 값을 새로운 예측 값으로 결정함으로써, 현재 블록이 필터링된다.
현재 블록이 포함된 현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타입에 따라, 결합 모드에 포함되는 부호화 모드가 상이할 수 있다. I 슬라이스 타입의 경우, 더 높은 압축 효율을 위해 루마 픽처와 크로마 픽처의 블록 분할이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루마 픽처와 크로마 픽처 간에 블록 구조의 연관성이 낮을 수 있다. 반면 P 슬라이스 타입 및 B 슬라이스 타입의 경우, 크로마 픽처는 루마 픽처의 블록 구조에 기초하여 블록 분할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루마 픽처와 크로마 픽처의 블록 구조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P 슬라이스 타입 및 B 슬라이스 타입에 대하여, 결합 모드에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와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가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면, 현재 슬라이스가 I 슬라이스 타입일 때, 결합 모드는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만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I 슬라이스 타입에서 루마 픽처와 크로마 픽처의 블록 구조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면, 현재 슬라이스가 I 슬라이스 타입일 경우에도, 결합 모드가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와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가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루마 픽처와 크로마 픽처의 블록 분할이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도,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이 대응될 수 있다면, 결합 모드에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가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의 대응 여부는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의 크기 및 위치의 차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의 크기 및 위치가 동일할 경우,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이 대응된다고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의 크기가 다를 경우, 주어진 크로마 블록의 좌측 상단 또는 가운데에 위치한 루마 블록과 대응된다고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슬라이스가 P 슬라이스 타입 또는 B 슬라이스 타입일 때, 결합 모드는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및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면, 현재 슬라이스가 I 슬라이스 타입일 때, 결합 모드는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와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슬라이스가 I 슬라이스 타입일 때, 현재 슬라이스에 포함된 모든 블록들에 대하여 결합 모드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슬라이스가 P 슬라이스 타입 또는 B 슬라이스 타입일 때에만, 결합 모드가 허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는 현재 슬라이스가 I 슬라이스 타입일 때, 결합 모드 플래그를 획득하지 않고, 현재 블록에 대하여 결합 모드가 사용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를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한다. 결합 모드 플래그는 0 또는 1의 값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 모드 플래그가 0일 때,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지 않는다. 반대로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일 때,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된다.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복수의 결합 모드들 중 하나의 결합 모드를 나타내는 결합 모드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는 결합 모드 인덱스가 나타내는 결합 모드의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 모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는 부호화 모드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는 현재 블록이 포함된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결합 모드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결합 모드 허용 플래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 모드 결정부(1610)는 결합 모드 허용 플래그가 현재 블록이 포함된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결합 모드가 허용됨을 나타낼 때, 현재 블록에 대한 결합 모드 허용 플래그를 획득할 수 있다.
복호화부(1620)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에 따라 현재 블록을 복호화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22b는 결합 모드 플래그 및 결합 모드 인덱스에 따라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7a 및 도 17b는 결합 모드에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와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가 포함될 때,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17a에서 결합 모드의 종류가 하나일 때, 결합 모드 플래그에 따른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17a에서 결합 모드는 예측 모드 l과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c를 포함한다. 따라서 결합 모드 플래그가 1 일 때,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l,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가 적용된다. 그러나 결합 모드 플래그가 0 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획득되고,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및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각각 결정된다.
도 17b에서 결합 모드의 종류가 둘일 때, 결합 모드 플래그와 결합 모드 인덱스에 따른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17b에서 제1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1과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c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2과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c2를 포함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0일 때, 제1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l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1가 적용된다. 그리고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1일 때, 제2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l2,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2가 적용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0 일 때, 도 17a와 마찬가지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및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각각 결정된다.
도 18a 및 도 18b는 결합 모드에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변환 모드들 중 하나가 포함될 때,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18a에서 결합 모드의 종류가 하나일 때, 결합 모드 플래그에 따른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18a에서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과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c와 변환 모드t를 포함한다. 따라서 결합 모드 플래그가 1 일 때,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l,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 변환 모드 t가 적용된다. 그러나 결합 모드 플래그가 0 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 변환 모드에 대한 변환 모드 정보가 획득되고,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 변환 모드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및 변환 모드가 각각 결정된다.
도 18b에서 결합 모드의 종류가 둘일 때, 결합 모드 플래그와 결합 모드 인덱스에 따른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18b에서 제1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1과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c1과 변환 모드 t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2과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c2 과 변환 모드 t2를 포함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0일 때, 제1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1, 변환 모드 t1이 적용된다. 그리고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1일 때, 제2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2,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2, 변환 모드 t2가 적용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0 일 때, 도 18a와 마찬가지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 변환 모드 정보에 따라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변환 모드가 결정된다.
도 19a 및 도 19b는 결합 모드에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 복수의 변환 모드들 중 하나가 포함되고, 추가적으로 부호화 모드 m1의 적용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때,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19a는 결합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합 모드 플래그와 결합 모드 인덱스로 분리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9a에서 제1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c1, 변환 모드 t1 및 부호화 모드 m1의 적용 신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c1, 변환 모드 t1 및 부호화 모드 m1의 미적용 신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2,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c2, 변환 모드 t2 및 부호화 모드 m1의 적용 신호를 포함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0일 때, 제1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1, 변환 모드 t1, 부호화 모드 m1이 적용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10일 때, 제2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1, 변환 모드 t1이 적용되고, 부호화 모드 m1은 미적용되도록 결정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11일 때, 제3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2,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2, 변환 모드 t2, 부호화 모드 m1이 적용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결합 모드, 제2 결합 모드, 제3 결합 모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합 모드의 결합 모드 인덱스 번호가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0 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 변환 모드에 대한 변환 모드 정보, 부호화 모드 m1에 대한 m1 정보가 획득되고,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변환 모드 정보 및 m1 정보에 따라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변환 모드이 결정되고, 부호화 모드 m1 적용 여부가 결정된다.
도 19b는 결합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합 모드 인덱스만 있는 경우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결합 모드 인덱스의 첫 번째 빈(bin)이 결합 모드 플래그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도19b의 실시 예와 도 19a의 실시 예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9b에 따르면 결합 모드 인덱스가 10일 때, 제1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1, 변환 모드 t1, 부호화 모드 m1이 적용된다. 결합 모드 인덱스가 110일 때, 제2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1, 변환 모드 t1이 적용되고, 부호화 모드 m1은 미적용되도록 결정된다. 결합 모드 인덱스가 111일 때, 제3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2,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2, 변환 모드 t2, 부호화 모드 m1이 적용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결합 모드, 제2 결합 모드, 제3 결합 모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합 모드의 결합 모드 인덱스 번호가10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결합 모드 인덱스가 0 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변환 모드 정보 및 m1 정보에 따라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변환 모드이 결정되고, 부호화 모드 m1 적용 여부가 결정된다.
도 20은 결합 모드에 부호화 모드 m1, m3 적용 여부와 부호화 모드 m2의 세부 모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때,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20에서 제1 결합 모드는 부호화 모드 m1의 적용 신호, 부호화 모드 m2에 대한 세부 모드1 및 부호화 모드 m3의 미적용 신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결합 모드는 부호화 모드 m1의 적용 신호, 부호화 모드 m2에 대한 세부 모드2 및 부호화 모드 m3의 미적용 신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결합 모드는 부호화 모드 m1의 적용 신호, 부호화 모드 m2에 대한 세부 모드1 및 부호화 모드 m3의 적용 신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4 결합 모드는 부호화 모드 m1의 미적용 신호, 부호화 모드 m2에 대한 세부 모드1 및 부호화 모드 m3의 적용 신호를 포함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00일 때, 제1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부호화 모드 m1, 부호화 모드 m2의 세부 모드1이 적용되고, 부호화 모드 m3는 현재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01일 때, 제2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부호화 모드 m1, 부호화 모드 m2의 세부 모드2가 적용되고, 부호화 모드 m3는 현재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10일 때, 제3 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부호화 모드 m1, 부호화 모드 m2의 세부 모드1, 부호화 모드 m3이 적용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이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11일 때, 제4결합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에는 부호화 모드 m2의 세부 모드1, 부호화 모드 m3가 적용되고, 부호화 모드 m1는 현재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0 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 모드 m1에 대한 부호화 정보, 부호화 모드 m2에 대한 부호화 정보, 부호화 모드 m3에 대한 부호화 정보가 획득되고, 획득된 부호화 정보에 따라 부호화 모드 m1, m3의 적용 여부와 부호화 모드 m2의 세부 모드가 결정된다.
도 21a 는 인터 슬라이스(P 슬라이스 또는 B 슬라이스)에서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도 21b는 인트라 슬라이스(I 슬라이스)에서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1a에서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 부호화 모드 m1 및 m2의 적용 신호를 포함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일 때,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c, 부호화 모드 m1 및 m2가 적용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0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부호화 모드 m1에 대한 부호화 정보 및 부호화 모드 m2에 대한 부호화 정보가 획득된다. 그리고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부호화 m1에 관한 부호화 정보, 부호화 m2에 관한 부호화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되고 부호화 모드 m1 및 m2의 적용 여부가 결정된다.
도 21b에서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 부호화 모드 m1 및 m2의 적용 신호를 포함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일 때,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l, 부호화 모드 m1 및 m2가 적용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0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부호화 모드 m1에 대한 부호화 정보 및 부호화 모드 m2에 대한 부호화 정보가 획득된다. 그리고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부호화 m1에 관한 부호화 정보, 부호화 m2에 관한 부호화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되고 부호화 모드 m1 및 m2의 적용 여부가 결정된다.
도 21a 및 도 21b의 부호화 모드 m1 및 m2 중 적어도 하나는 인트라 예측 후 적용되는 후필터(post filter)일 수 있다.
도 22a는 인터 슬라이스(P 슬라이스 또는 B 슬라이스)에서 DC 모드를 포함하는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도 22b는 인트라 슬라이스(I 슬라이스)에서 DC 모드를 포함하는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2a에서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LM 크로마 모드, MPI 모드를 포함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일 때,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LM 크로마 모드, MPI 모드가 적용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0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MPI에 대한 부호화 정보가 획득된다. 그리고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MPI에 대한 부호화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 MPI의 적용 여부가 결정된다.
도 22b에서 결합 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모드와 MPI 모드를 포함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1일 때, 현재 블록에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모드와 MPI 모드가 적용된다. 결합 모드 플래그가 0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MPI모드에 대한 부호화 정보가 획득된다. 그리고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MPI모드에 대한 부호화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MPI모드의 적용 여부가 결정된다.
도22a 및 22b에서는 MPI 모드가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MIP 모드가 MPI 모드 대신 적용될 수 있다.
도 21b와 도22b에서는 인트라 슬라이스에서 결합 모드가 적용된다고 설명되어 있으나, 인트라 슬라이스에서 결합 모드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3은 결합 모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호화 단위의 신택스이다. 도23에 의하면, 결합 모드 플래그에 해당되는 lccm_flag[x0][y0]는 슬라이스 타입에 해당되는 slice_type이 I슬라이스 타입이 아닐 때 획득된다(if(slice_type !=I)). 다만, 실시 예에 따라, 도23의 개시와 달리 slice_type이 I슬라이스 타입일 때도, lccm_flag[x0][y0]이 획득될 수 있다.
결합 모드 플래그에 해당되는 lccm_flag[x0][y0]가 0일 경우, 일반적인 복호화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우선, MPM 모드 정보와 PIMS 모드 정보가 파싱되어,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인트라 예측 필터링 모드를 나타내는 MPI 모드 정보와 MIP 모드 정보가 파싱되어,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필터링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lccm_flag[x0][y0]가 1일 경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MPM 모드 정보와 PIMS 모드 정보 및, 인트라 예측 필터링 모드를 나타내는 MPI 모드 정보와 MIP 모드 정보는 파싱되지 않는다.
상기 부호화 정보의 파싱 없이, (x0, y0)에 위치한 현재 블록에 대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ipm[x0][y0][0]은 결합 모드에 따른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인 LCCM_LUMA로 결정된다. LCCM_LUMA는 DC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x0, y0)에 위치한 현재 블록에 대한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ipm[x0][y0][1]은 결합 모드에 따른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인 LCCM_CHROMA로 결정된다. LCCM_CHROMA 는 LM 크로마 모드일 수 있다. (x0, y0)에 위치한 현재 블록에 MPI 모드의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mpi_idx[x0][y0]는 1로 결정된다. 따라서 현재 블록에 MPI 모드가 적용된다. 다만 통상의 기술자는 현재 블록에 MPI 모드 대신 MIP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만약 도23의 개시와 달리 slice_type이 I슬라이스 타입일 때도, lccm_flag[x0][y0]이 획득되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ipm[x0][y0][0] 가 LCCM_LUMA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블록에 MPI 모드의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mpi_idx[x0][y0]는 1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4에는 결합 모드에 따라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방법(2400)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2410에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획득된다. 결합 모드는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와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모드는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 모드를,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LM 크로마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모드는 제1변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모드는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결과를 필터링하는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는 MPI 모드 또는 MPI 모드일 수 있다.
결합 모드는 현재 블록이 포함된 현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슬라이스가 P 슬라이스 타입 또는 B 슬라이스 타입일 때, 결합 모드는 복수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와 복수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슬라이스가 I 슬라이스 타입일 때, 결합 모드는 제1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슬라이스가 I 슬라이스 타입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획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슬라이스가 I 슬라이스 타입일 경우, 결합 모드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이 포함된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결합 모드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결합 모드 허용 플래그를 획득될 수 있다. 결합 모드 허용 플래그가 현재 블록이 포함된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결합 모드가 허용됨을 나타낼 때, 현재 블록에 대한 결합 모드 플래그가 획득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결합 모드 허용 플래그가 상기 현재 블록이 포함된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결합 모드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때, 현재 블록에 대한 결합 모드 플래그는 획득되지 않는다.
단계 2420에서.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된다.
결합 모드에 포함된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가 현재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변환 모드가 현재 블록의 변환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결합 모드에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가 포함된 경우, 현재 블록에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를 적용하도록 결정하 결정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복수의 결합 모드들 중 하나의 결합 모드를 나타내는 결합 모드 인덱스가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모드 인덱스가 나타내는 결합 모드의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때,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 모드 정보가 획득되고, 상기 부호화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2430에서,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에 따라 현재 블록이 복호화된다.
도 16에서 설명된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의 기능이 도 24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2400)에 포함될 수 있다.
도25에는 부호화 모드에 따라 결합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2500)가 도시되어 있다.
비디오 부호화 장치(2500)는 부호화부(2510)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2520)를 포함한다. 도 25에서 부호화부(2510)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25120)는 별도의 구성 단위로 표현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부호화부(2510)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2520)는 합쳐져 하나의 구성 단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5에서 부호화부(2510)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2520)는 하나의 장치에 위치한 구성 단위로 표현되었지만, 부호화부(2510)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2520)의 각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인접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 부호화부(2510)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2520)가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부호화부(2510)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2520)는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부호화부(2510)는 현재 블록에 최적화된 부호화 모드들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부(2510)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이 결합 모드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생성한다. 도16 내지 도24에서 논의된 결합 모드의 실시 예는 도 25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2500)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부호화부(2510)는 현재 슬라이스가 P 슬라이스 타입 또는 B 슬라이스 타입일 때에만,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부호화부(2510)는 현재 슬라이스가 I 슬라이스 타입일 때,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생성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부호화부(2510)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2500)에서 사용하는 결합 모드의 개수가 2개 이상일 때, 복수의 결합 모드들 중 하나의 결합 모드를 나타내는 결합 모드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부(2510)는 현재 블록의 상위 데이터 단위에 결합 모드가 사용된 블록이 있는지 여부 및 현재 블록의 상위 데이터 단위에 결합 모드가 허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현재 블록의 상위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결합 모드 허용 플래그를 생성할 수 있다.
부호화부(2510)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이 결합 모드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에 관한 부호화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 생성부(2520)는 결합 모드 플래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도 25의 부호화부(2510)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2520)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도1a의 비트스트림 생성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5의 비디오 부호화 장치(2500)는 도 16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에서 수행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에 대응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6에는 부호화 모드에 따라 결합 모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2600)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2610에서,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이 결정된다.
단계 2620에서,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이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과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생성된다.
단계 2630에서, 결합 모드 플래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생성된다.
도 25에서 설명된 비디오 부호화 장치(2500)의 기능이 도 26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260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26를 참조하여 전술된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기법에 따라,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공간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부호화되며,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에 기초한 비디오 복호화 기법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복호화가 수행되면서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복원되어, 픽처 및 픽처 시퀀스인 비디오가 복원될 수 있다. 복원된 비디오는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거나,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최상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외에 본 발명에 대체, 변형 및 수정이 적용된 발명들은 전술한 설명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즉,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대체, 변형 및 수정된 발명을 포함하도록 해석한다. 그러므로 이 명세서 및 도면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Claims (15)

  1.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상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상기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상기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모드는 제1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제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모드들의 결정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의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제1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제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는 DC모드이고,
    상기 제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는 LM 크로마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모드는 제1변환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모드들의 결정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의 변환 모드를 제1변환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모드는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결과를 필터링하는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에 인트라 예측 필터 모드를 적용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상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상기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복수의 결합 모드들 중 하나의 결합 모드를 나타내는 결합 모드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결합 모드 인덱스가 나타내는 결합 모드의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모드는 상기 현재 블록이 포함된 현재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타입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모드는,
    상기 현재 슬라이스가 P 슬라이스 타입 또는 B 슬라이스 타입일 때, 제1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와 제1 크로마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슬라이스가 I 슬라이스 타입일 때, 제1 루마 인트라 예측 모드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모드 플래그 획득 단계는,
    상기 부호화부(2510)는 현재 슬라이스가 P 슬라이스 타입 또는 B 슬라이스 타입일 때,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상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상기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때,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 모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호화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블록이 포함된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결합 모드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결합 모드 허용 플래그를 획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결합 모드 플래그 획득 단계는,
    상기 결합 모드 허용 플래그가 상기 현재 블록이 포함된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결합 모드가 허용됨을 나타낼 때,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결합 모드 허용 플래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12.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가 상기 결합 모드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이 상기 현재 블록에 같이 적용됨을 나타낼 때, 상기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로 결정하는 부호화 모드 결정부; 및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13.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부호화 모드들이 결합 모드의 복수의 부호화 모드들과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결합 모드 플래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모드 플래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기록가능한 기록매체.
  15. 제13항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기록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7003130A 2017-11-14 2018-03-30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Withdrawn KR202000740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85774P 2017-11-14 2017-11-14
US62/585,774 2017-11-14
PCT/KR2018/003821 WO2019098464A1 (ko) 2017-11-14 2018-03-30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081A true KR20200074081A (ko) 2020-06-24

Family

ID=6653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130A Withdrawn KR20200074081A (ko) 2017-11-14 2018-03-30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74081A (ko)
WO (1) WO2019098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5566B (zh) * 2019-04-27 2024-09-20 数码士有限公司 基于帧内预测处理视频信号的方法和设备
CN113950834B (zh) 2019-05-31 2024-07-09 交互数字Vc控股公司 用于隐式多变换选择的变换选择
CN117241014A (zh) * 2019-06-05 2023-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Mpm列表构建方法、色度块的帧内预测模式获取方法及装置
KR20210158385A (ko) * 2019-06-13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트라 예측 모드 변환에 기반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AU2019204437B2 (en) 2019-06-24 2022-02-0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a block of video samples
SG11202106235VA (en) * 2019-06-25 2021-07-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apping method, encoder, decod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9629366A (zh) 2019-07-07 2025-03-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预测方法、编码器、解码器以及存储介质
CN112616057B (zh) * 2019-10-04 2024-08-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预测方法、编码器、解码器以及存储介质
CN119946275A (zh) 2019-12-31 2025-05-06 Lg电子株式会社 图像解码方法、图像编码方法及比特流发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974B1 (ko) * 2009-01-05 2015-11-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블록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2128453A1 (ko) * 2011-03-21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3109026A1 (ko) * 2012-01-18 2013-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엔트로피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13524A (ko) * 2014-03-31 2015-10-0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향상된 화면 내 블록 복사 기반의 예측 모드를 이용한 영상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US10666940B2 (en) * 2014-11-06 2020-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8464A1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588B1 (ko) 부호화 순서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EP3691265B1 (en) Encoding method and device, and decoding method and device
KR20200074081A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55109A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AU2023254882B2 (en)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2504877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45668B1 (ko) 부호화 순서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84387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23836A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20605A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86463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