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72145A - 표현형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표현형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145A
KR20200072145A KR1020180159992A KR20180159992A KR20200072145A KR 20200072145 A KR20200072145 A KR 20200072145A KR 1020180159992 A KR1020180159992 A KR 1020180159992A KR 20180159992 A KR20180159992 A KR 20180159992A KR 20200072145 A KR20200072145 A KR 20200072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type
embedded body
measurement
battery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866B1 (ko
Inventor
백정호
김경환
지현소
최인찬
김송림
이은경
김년희
이홍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8015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8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8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66Investigation of vegetal material, e.g. leaves, plants, fr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표형형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맞게 프로그래밍하여 맞춤형 측정이 가능하고, 센서모듈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른 항목에 대한 장치의 활용성이 우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현형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PHENOTYPE}
본 출원은 표현형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진국에서 시작된 작물표현체학은 작물의 형태와 색상을 이용하여 생산량 증대, 기후변화 대응, 고부가 작물 등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품종을 육성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작물의 표현형을 살펴보는 장비들은 초음파와 같은 비파괴적인 방법과 파괴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들은 고정된 위치에서 측정하여 휴대성이 떨어진다.
특히 표현형 측정 장비들은 측정 후 컴퓨터로 데이터를 입력하여 별도의 데이터 분석 작업이 필요하여 즉각적인 결과를 얻기 힘든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표현형 측정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휴대가 간편하고,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맞게 프로그래밍하여 맞춤형 측정이 가능하고, 센서모듈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른 항목에 대한 장치의 활용성이 우수한 표현형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는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파악하기 위한 제어부를 갖는 임베디드 본체; 상기 임베디드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측정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어느 한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서부와 대향하도록 임베디드 본체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RGB, IR, NIR, 초음파 및 형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외부에 마련된 서버;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로부터 다운받은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에 업로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형질에 맞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한 측면에 마련된 데이터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에 의하면, 휴대가 간편하고,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맞게 프로그래밍하여 맞춤형 측정이 가능하고, 센서모듈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른 항목에 대한 장치의 활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형형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콩 종자 개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식물체의 표현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각각의 콩 종자의 표현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콩 종자의 특징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를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는 임베디드 본체(110), 센서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는 휴대가 간편하고,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맞게 프로그래밍하여 맞춤형 측정이 가능하고, 센서모듈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른 항목에 대한 장치의 활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는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파악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갖는 단말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제어부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사용된 알고리즘으로는 당업계에 상용화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Segmentation 알고리즘, Equalize Histogram 알고리즘, Subtraction 알고리즘 및 Watershed 알고리즘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대상은 예를 들어, 콩 또는 벼 등의 종자; 또는, 식물체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는 사람이 한손 또는 두손으로 조작 및 활용이 가능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크기는 가로형으로 4 인치 내지 13 인치, 5 인치 내지 12 인치, 6 인치 내지 11 인치, 7 인치 내지 10 인치 또는 8 인치 내지 9 인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크기는 세로형으로 4 인치 내지 13 인치, 5 인치 내지 12 인치, 6 인치 내지 11 인치, 7 인치 내지 10 인치 또는 8 인치 내지 9 인치일 수 있다. 상기 인치는 상기 인베디드 본체의 가장 넓은 면의 대각선 방향을 측정한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크기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휴대가 편리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측정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센서부(120)에서 측정 대상을 감지하여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제어부의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임베디드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고, 원하는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센서부(120)는 RGB, IR, NIR, 초음파 및 형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전술한 종류의 센서모듈을 통해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상기 임비디드 본체의 어느 한 측면에 부착할 수 있고, 원하는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제어부에서 파악된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센서부(120)와 대향하도록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비이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표현형 측정장치의 휴대가 편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로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아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충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40)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충전부(140)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충전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충전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하여, 상기 베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서버(150) 및 무선통신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150)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은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상기 서버(150)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서버(150)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로부터 다운받은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에 업로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형질에 맞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15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로부터 다운받은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에 업로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형질에 맞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15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로부터 다운받은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에 업로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형질에 맞는 프로그램을 저장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크기 또는 개수에 상관없이 표형형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데이터 출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출력부(170)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한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데이터 출력부(170)를 더 포함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표현형 측정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콩 종자 개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센서모듈을 적용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콩 종자 개수를 측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식물체의 표현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IR, 형광 및 초음파 센서모듈을 적용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 장치를 통해 식물체의 표현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식물체의 면적 및/또는 길이와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각각의 콩 종자의 표현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센서모듈을 적용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 장치를 통해 콩 종자의 표현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콩 종자의 면적 및/또는 길이와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콩 종자의 특징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센서모듈을 적용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 장치를 통해 콩 종자의 특징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콩 종자의 색상을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110: 임베디드 본체
120: 센서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충전부
150: 서버
160: 무선통신모듈
170: 데이터 출력부

Claims (10)

  1.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파악하기 위한 제어부를 갖는 임베디드 본체;
    상기 임베디드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측정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표현형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어느 한 측면에 마련되는 표현형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서부와 대향하도록 임베디드 본체의 측면에 마련되는 표현형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RGB, IR, NIR, 초음파 및 형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표현형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표현형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인 표현형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표현형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외부에 마련된 서버;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표현형 측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로부터 다운받은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에 업로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형질에 맞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표형형 측정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한 측면에 마련된 데이터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표현형 측정장치.
KR1020180159992A 2018-12-12 2018-12-12 표현형 측정장치 Active KR102194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92A KR102194866B1 (ko) 2018-12-12 2018-12-12 표현형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92A KR102194866B1 (ko) 2018-12-12 2018-12-12 표현형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45A true KR20200072145A (ko) 2020-06-22
KR102194866B1 KR102194866B1 (ko) 2020-12-23

Family

ID=7114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92A Active KR102194866B1 (ko) 2018-12-12 2018-12-12 표현형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8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956A (ko) * 2010-05-14 2011-11-2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형 진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동 분석 시스템
KR20160139377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956A (ko) * 2010-05-14 2011-11-2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형 진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동 분석 시스템
KR20160139377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n Behmann 외 11명. Specim IQ: Evaluation of a New, Miniaturized Handheld Hyperspectral Camera and Its Application for Plant Phenotyping and Disease Detection. Sensors. 2018.2.2., pp1-20* *
Sebastian Kuhlgert 외 10명. MultispeQ Beta: a tool for large-scale plant phenotyping connected to the open PhotosynQ network. ROYAL SOCIETY OPEN SCIENCE. 2016.12., pp1-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866B1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76937A1 (en) Display of images from an imaging tool embedded or attached to a test and measurement tool
CN108140210B (zh) 用于提供产品推荐的方法和系统
US11064910B2 (en)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system
JP6839433B2 (ja) 萎れ具合予測システム及び萎れ具合予測方法
CN101294792B (zh) 具有自动校准功能的植物形态参数视觉测量仪
US20160076936A1 (en) Method of attaching camera or imaging sensor to test and measurement tools
CN205493836U (zh) 可穿戴柔性电子贴片式监测系统
WO2016044521A1 (en) Test and measurement system with removable imaging tool
US20180235535A1 (en) Device
US20200098174A1 (en) System that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beauty assessment that includes region specific sensor data and recommended courses of action
CN105823508B (zh) 温湿度的检测系统和温湿度的检测方法
US20160076943A1 (en) Mobile device used with isolated test and measurement input block
CN104939826A (zh) 基于双频生物电阻抗测量和云计算的智能人体成分秤
CN118536854A (zh) 一种牧草种子质量智能检测与筛选的方法和装置
KR102194866B1 (ko) 표현형 측정장치
EP3449170A1 (en) Improved handhel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scanning with a smartphone
CN114098695A (zh) 人体成分检测的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I778824B (zh) 環境空間防霉ai黴菌監測系統
CN107219225A (zh) 一种多通道胶体金读取仪及其检测方法
CN204744099U (zh) 一种数字式摄影验光装置
KR101788818B1 (ko)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및 시스템
JP2020111854A (ja) ウイッグ、情報処理装置、頭部測定方法、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WO201901399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ANCE MONITORING
TWM552986U (zh) 農產品檢測用電子裝置
CN208076393U (zh) 一种便携式粉状食品掺假快速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217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17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