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557A - Smart by pass device - Google Patents
Smart by pass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1557A KR20200071557A KR1020180159408A KR20180159408A KR20200071557A KR 20200071557 A KR20200071557 A KR 20200071557A KR 1020180159408 A KR1020180159408 A KR 1020180159408A KR 20180159408 A KR20180159408 A KR 20180159408A KR 20200071557 A KR20200071557 A KR 202000715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smart
- bypass device
- smart bypass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활선 작업 최소화 및 간접활선 사용으로 배전공사시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electric shock accidents during distribution construction by minimizing direct live work and using indirect live work.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접활선 공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ypass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bypass device that can be used in an indirect live-line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 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배전 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공법이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in response to the rapid increase in power demand, power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is are continuously expanding, and as the demand level for electric power users increases, instantaneous power outages are also subject to complaints, and collective actions of electric users such as compensation claims As the number of litigation cases is increasing, an uninterrupted electrotechnical method is underway in which power is not cut off in order to supply high-quality electricity during distribution construction.
이러한 종래의 특고압 배전선로 무정전공법 중의 하나인 바이패스 케이블을 이용한 임시송전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특고압 3상을 공사용개폐기 및 3상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50m 마다 중간접속재를 이용하여 임시로 접속하고, 작업구간에 변압기가 있을 경우에는 변압기 설치 개소마다 분기 접속재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무정전변압기장치에 공급하고, 분기선로가 있을 경우에는 분기접속재를 사용하여 분기선로로 공급하여 1회 작업구간이 200~300m 정도로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Although the temporary transmission method using a bypass cable, which is one of the unprecedente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conventional high-voltage distribution line, is used, this is a temporary high-voltage three-phase using a switch for construction and a three-phase bypass cable using an intermediate connection material every 50m. If there is a transformer in the working section, branch off from the branch connecting material at each transformer installation location and supply it to each uninterruptible transformer device, and if there is a branch line, use a branch connecting material to supply it to the branch line for one working section. The work has been done around 200~300m.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전압강하 등 불안정한 임시접속개소가 많고,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을 임시로 지상에 포설하고 작업완료 후 다시 철거하는 등 부대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및 기타 직접 활선작업시 작업구간 양측에 전선연선 후 긴선작업시 활선상태의 3가닥의 전선과 사선상태의 3가닥의 전선이 혼재하여 혼촉 및 혼동에 의한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활선전공 노조원을 중심으로 직접활선을 기피하는 추세로 새로운 공법 및 대체기술 없이 직접활선 공법인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공법 활용이 중단되어, 중부하선로의 경우 부하절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바이패스 케이블공법으로 무정전작업이 불가능하여 발주된 공사의 취소 또는 정전작업에 따른 작업정전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se operations have a lot of unstable temporary connection points such as voltage drop, and the three-phase bypass cable is temporarily placed on the ground, and after completion of the work, it takes a lot of work time for additional work, and the wire transfer mechanism When using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and other direct live wire work, after twisting the wires on both sides of the work section, during the long wire work, 3 wires in the live state and 3 wires in the diagonal state are mixed and exposed to the danger of safety accidents due to contact and confusion. As the trend of avoiding direct liveliness centered around unionists in live wire majors, the use of the uninterrupted electric power method using the wire transfer mechanism, which is a direct live wire construction method, is discontinued without a new construction method or alternative technology. Uninterruptible work is not possible due to the construction method, so the ordered cancellation or power outage due to power outage is increasing.
이외에, 현재 바이패스 케이블을 활용한 모든 공법은 스마트 스틱의 적용이 불가능하여 간접활선이 아닌 직접활선작업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중에 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all the methods using the bypass cable are not applicable to the smart stick because of the inability to apply the direct stick work instead of the indirect live work, there is a great risk of accidents occurring during work.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 간접활선 공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 smart bypass device that can be used in an indirect live-line construction method.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단이 전주를 연결하는 전선에 연결되는 전선 접촉부; 상기 전선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connecting the pole;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smart bypass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wire contact.
또한, 상기 연결부는, 스틱 또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tick or a cable.
또한, 상기 연결부는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hape.
또한, 무정선 상태에서 고압선이 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voltage line is attached in a non-stationary state.
또한, 상기 연결부는 38sq 이상 60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38sq 60sq.
또한, 상기 전선 접촉부가 상기 전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점퍼선이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jumper wire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wire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wire.
또한, 상기 전선 접촉부가 상기 전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점퍼선이 절단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jumper wire is located in a cut state while the wire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wire.
또한, 상기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는 상기 전선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mart bypass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parallel to the wire.
또한, 상기 전선 접촉부가 상기 전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점퍼선이 절단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jumper wire is located in a cut state while the wire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wire.
또한, 상기 점퍼선이 절단된 상태에서 피뢰기가 인접하게 위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jumper wire is cu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esters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nnec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는, 직접활선 작업 최소화 및 간접활선 사용으로 배전공사시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 bypass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electric shock accidents during distribution work by minimizing direct live work and using indirect live work.
또한, 배전공사 간접활선 확대 적용으로 작업자과실로 인한 정전사고를 예방하고, 전기 품질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it prevents power failure accidents due to worker negligence and improves electricity quality by applying the indirect extension of distribution work.
또한, 직접활선 고비용의 활선품 절약으로, 도급비 투자비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budget for the contract cost and investment cost by saving high-cost live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사용될 때, 스마트 임시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사용될 때, 스마트 임시걸이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사용될 때, 스마트 클램프 회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사용될 때, 스마트 클램프 회전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구비되고, 점퍼선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구비된 상태에서 스마트 스틱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temporary hook when the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ure 6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temporary hook when the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lamp rotator when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8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lamp rotator when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a smart bypass device is provided and a jumper wire is c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rt stick is used in a state in which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a smart bypass device,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사용될 때, 스마트 임시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사용될 때, 스마트 임시걸이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temporary hook when the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nd FIG. 6 is a smart temporary device when the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ok.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사용될 때, 스마트 클램프 회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사용될 때, 스마트 클램프 회전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lamp rotator when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nd FIG. 8 is a smart clamp when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o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는 전선 접촉부(110, 210) 및 연결부(130, 2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상기 전선 접촉부(110, 210)는, 양단이 각 전주를 연결하는 전선에 연결된다.The
상기 연결부(130, 230)는, 상기 전선 접촉부(110, 2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선 접촉부(110, 210)를 지난 전류가 유입되도록 상기 각 전선 접촉부(110, 210)를 연결한다.The
여기서, 상기 연결부(130, 230)는, 스틱 또는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부(130, 230)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portion (130, 230), may be made of a stick or cable,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130, 230) may be cylindrical.
또한, 상기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는, 무정선 상태에서 고압선이 부착되게 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130, 230)의 두께는, 38sq 이상 60sq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전선 접촉부(110, 210)가 상기 전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점퍼선(150)이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전선 접촉부(110, 210)가 상기 전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점퍼선(150)이 절단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는 상기 전선과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전선 접촉부(110, 210)가 상기 전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점퍼선(150)이 절단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점퍼선(150)이 절단된 상태에서 피뢰기가 인접하게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arrester may be connected adjacently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하,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의 설치와 철거과정을 설명하면,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를 설치하고, 점퍼선(150)을 절단 한 다음 피뢰기를 설치한 후, 차단기 인하선을 연결하고, 개폐기(600)를 투입상태로 조절한 후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를 철거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and demolition process of the
철거시, 접지선을 철거하고, 전원측 점퍼선(150)을 연결한 다음 부하측 점퍼선(150)을 연결하고, 개폐기(600)를 개방상태로 조절한 후 장치(100, 200)와 부속자재를 철거한다.When dismantling, remove the ground wire, connect the power-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가 사용될 때, 스마트 임시걸이(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가 사용될 때, 스마트 임시걸이(300)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임시걸이(300)는,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이동용 변압기차, 공사용 개폐기(600) 공법시 입상 케이블을 임시거치할 때 이용한다.5 and 6, the smart
이외에,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가 사용될 때, 스마트 클램프 회전기(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가 사용될 때, 스마트 클램프 회전기(400)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클램프 회전기(400)는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시 사용되며, 로터스틱에 연결하여 수동 및 전동으로 특고압 전선과 바이패스 케이블을 접속할 때 사용한다.7 and 8, th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구비되고, 점퍼선(150)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가 구비된 상태에서 스마트 스틱(500)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smart bypa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100, 200)는 전주에 연결되는 전선에 접촉하여 위치하고, 설치시에는 점퍼선(150)을 절단하는 과정을 거친다.9 and 10, the
또한, 장치를 설치한 뒤에는 스마트 스틱(500)을 이용하여 고압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device is installed, a high-voltage line ope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직접활선 작업을 최소화하고, 간접활선 사용으로 배전공사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inimizes direct live wire work and prevents electric shock accidents during distribution work by using indirect live wire.
또한, 배전공사의 간접활선 확대 적용으로, 작업자의 과실로 인한 정전사고를 예방하고, 전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utage accident due to an operator's negligence and to improve the electrical quality by applying an indirect live wire extension of the distribution work.
또한, 직접활선 고비용의 활선품 절약으로, 도급비 투자비 예산을 절감하게 한다.In addition, direct cost saving of high-cost live products reduces contract cost and investment cos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nd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embodiment.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200: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110, 210, 전선 접촉부
130, 230: 연결부 150: 점퍼선
300: 스마트 임시걸이 400: 클램프 회전기
500: 스마트 스틱 600: 개폐기100, 200:
130, 230: Connection 150: Jumper wire
300: smart temporary hook 400: clamp rotator
500: Smart Stick 600: Switchgear
Claims (10)
상기 전선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A wire contact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a wir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electric pol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wire contact portion;
Smart bypass device comprising a
상기 연결부는,
스틱 또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Smart bypass device comprising a stick or cable.
상기 연결부는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on unit is a smart bypas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hape.
무정선 상태에서 고압선이 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According to claim 3,
Smart bypas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attach the high-voltage line in a stateless.
상기 연결부는 38sq 이상 60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The method of claim 4,
Smart bypas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more than 38sq 60sq.
상기 전선 접촉부가 상기 전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점퍼선이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Smart bypas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jumper wire is located adjacent to the wire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wire.
상기 전선 접촉부가 상기 전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점퍼선이 절단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Smart bypas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jumper wire is located in the cut state while the wire contact is connected to the wire.
상기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는 상기 전선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mart bypass device is a smart bypas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parallel with the wire.
상기 전선 접촉부가 상기 전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점퍼선이 절단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Smart bypas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jumper wire is located in the cut state while the wire contact is connected to the wire.
상기 점퍼선이 절단된 상태에서 피뢰기가 인접하게 위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Smart bypas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jumper wire is connected to the arrester is located adjacent to the cut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9408A KR102179905B1 (en) | 2018-12-11 | 2018-12-11 | Smart by pass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9408A KR102179905B1 (en) | 2018-12-11 | 2018-12-11 | Smart by pass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1557A true KR20200071557A (en) | 2020-06-19 |
KR102179905B1 KR102179905B1 (en) | 2020-11-17 |
Family
ID=7113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9408A Active KR102179905B1 (en) | 2018-12-11 | 2018-12-11 | Smart by pass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990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1953A (en) * | 2021-06-29 | 2023-01-05 | 한국전력공사 | Uninterruptible working device by means of indirect live wire for standing cab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7579A (en) * | 1992-09-14 | 1994-04-08 | Toshiba Corp | Semiconductor laser array |
JPH06176625A (en) * | 1992-12-10 | 1994-06-24 |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 Link type cable |
KR20110045837A (en) * | 2009-10-28 | 2011-05-04 | 세종전기주식회사 | Transformer Uninterruptible Replacement |
KR101726802B1 (en) * | 2016-09-12 | 2017-04-13 | (주)한성전기 | Switch construction method of reverse transmission for electric pole |
-
2018
- 2018-12-11 KR KR1020180159408A patent/KR1021799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7579A (en) * | 1992-09-14 | 1994-04-08 | Toshiba Corp | Semiconductor laser array |
JPH06176625A (en) * | 1992-12-10 | 1994-06-24 |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 Link type cable |
KR20110045837A (en) * | 2009-10-28 | 2011-05-04 | 세종전기주식회사 | Transformer Uninterruptible Replacement |
KR101726802B1 (en) * | 2016-09-12 | 2017-04-13 | (주)한성전기 | Switch construction method of reverse transmission for electric po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1953A (en) * | 2021-06-29 | 2023-01-05 | 한국전력공사 | Uninterruptible working device by means of indirect live wire for standing cab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9905B1 (en) | 2020-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3553B1 (en) | Uninterrupted Bypass Method for Distribution Lines Using Insulating Guiders for Space Maintenance | |
KR101777080B1 (en) | Uninterrupted power distribution method in which wires are separated in de-energized power lines state by using insulated live wire grip and bypass jumper cables | |
KR20100054948A (en) | By-pass construction method for replacement of pole-top transformer (1phase/3phase) using 1phase portable transformer | |
CN103532047B (en) | A kind of operational method and device changing fuse switch on 10kV post | |
CN109787145B (en) | 10kV load replacement side phase isolating switch device and method | |
KR100769583B1 (en) | Ground Transformer Replacement Method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by Uninterruptible Construction Method | |
CN108155501A (en) | 10KV outlet cables and overhead transmission line lap works rod-type arc-extinction device | |
CN107482535A (en) | The Method of Installing Segment Switch on Straight Rod of 10KV Line with Load Breaking | |
KR20200071557A (en) | Smart by pass device | |
KR100479320B1 (en) | Uninterruptable distributing method of single-phase wire using temporary line | |
CN210866095U (en) | A special shunt device for replacing drop fuse with load | |
KR102598786B1 (en) |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work method for low voltage line | |
KR102631021B1 (en) | Line construction method | |
CN106129912B (en) | A kind of drainage plate electric transmission line hot-line defect elimination power tool | |
CN104538888B (en) | A kind of distribution line straight line pole cross-arm charged for replacement method | |
CN105576550B (en) | A kind of charged for replacement UHV transmission line single chip tension insulator method | |
CN106486920A (en) | Extra high voltage line wire jumper drainage plate loose contact electrical treatment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 |
CN206225847U (en) | The universal attachment means of power supply vehicle of meet an emergency and low pressure aerial condutor | |
KR102662819B1 (en) | No blackout exchange method for transformer | |
KR102622675B1 (en) | The ground transformer uninterruptible replacement method using the ground transformer elbow connector three phase batch separation connection apparatus and feed through | |
KR102789003B1 (en) | An electrostatic replacement device and a electrostatic replacement method using it | |
KR102714707B1 (en) | Bypass cable for Uninterruptible power | |
AU2017272328B2 (en) | A circuit arrangement and a switchboard with the circuit arrangement | |
KR102751687B1 (en) | Indirect live wire type suspension insulator replacement method | |
CN103354325A (en) | Method for changing load switch in on-load man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