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894A -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Google Patents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9894A KR20200069894A KR1020180157462A KR20180157462A KR20200069894A KR 20200069894 A KR20200069894 A KR 20200069894A KR 1020180157462 A KR1020180157462 A KR 1020180157462A KR 20180157462 A KR20180157462 A KR 20180157462A KR 20200069894 A KR20200069894 A KR 202000698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air inlet
- vehicle
- air conditioning
- inlet du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50 conditi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seat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차량용 공조장치는 컨트롤러가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압축기, 송풍팬, 각종 도어 등의 공조유닛을 자동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controller receives the temperature detected by various sensors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air conditioning units such as a compressor, a fan, and various doors based on the temperatur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대시보드에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 공조장치를 의미한다.In general, a vehicle air conditioner means a front air condition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on a dashboard.
하지만, 예를 들어 SUV(Sports Utility Vehicle)와 같이 넓은 실내 공간으로 인해 프론트 공조장치만으로는 충분한 냉난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중대형 차량에서는 후석 공조장치가 추가 설치되기도 한다.However, due to the large indoor space such as, for example, SUV (Sports Utility Vehicle), the rear air condition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a medium to large vehicl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ufficient air conditioning effect with the front air conditioner alone.
후석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의 외측패널과 내측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공조케이스의 공기유입구 측에는 송풍기 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air conditioning case of the rear seat air conditioning apparatus is usually disposed between the outer and inner panels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vehicle, and a blower unit is generally provided on the air in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종래의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 있어서, 송풍기 유닛의 블로어 모터는 편리한 유지보수를 위해 차량의 내측패널을 향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공기유입구는 차량의 외측패널을 향해 배치되어 차실 공기가 아닌 차량의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하지만,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 질이 이슈화 됨에 따라, 차실 공기를 순환시켜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고, 특히 필터의 주기적인 교체가 용이한 구조 설계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In a conventional vehicle rear air conditioner, the blower motor of the blower unit is generally disposed toward the inner panel of the vehicle for convenient maintenance. Accordingly, the air intake port is disposed toward the outer panel of the vehicle to suck air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of the vehicle, not the cabin air. However, as air quality due to fine dust has become an issu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structure design that can filter fine dust by circulating air in the vehicle compartment, and in particular, it is easy to periodically replace the filt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실 공기를 순환시켜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고, 필터 교환이 용이한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ar seat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filter fine dust by circulating the air in the vehicle compartment and easily changing the filt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후방의 외측패널과 러기지 트림 사이에 구비되고, 일측에 공기유입구 및 제1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공기유입구에 연결되는 공기유입 덕트; 및 상기 공기유입 덕트 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conditioning case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panel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luggage trim, and an air inlet and a first air outlet are formed on one side; A blower fan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suck air through the air inlet; An air inlet duct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a filter disposed in the air inlet duct.
상기 공기유입구 및 상기 제1 공기토출구는 상기 러기지 트림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The air inlet and the first air outlet may be arranged toward the luggage trim.
상기 공기유입 덕트는 상기 러기지 트림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The air inlet duct may be connected to an air inlet formed in the luggage trim.
상기 공기흡입구에는 상기 공기유입 덕트와 차실을 연결하는 관통 홀을 구비하는 구조체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structure having a through hole connecting the air inlet duct and the vehicle compartmen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ir inlet.
상기 필터는 상기 구조체의 탈거 후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 덕트 내로 삽입될 수 있다.The filter may be inserted into the air inlet duct through the air intake port after the structure is removed.
상기 공기유입 덕트는 상기 필터가 상기 공기유입 덕트 내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상기 필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inlet duct may include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ilter so that the filter is slidingly inserted into the air inlet duct.
상기 공조케이스의 타측에 결합되는 팬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fan moto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상기 공조케이스는 일측에 상기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팬 모터가 결합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송풍유닛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conditioning case includes a blowing unit in which the air inle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an motor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the blowing fan may be disposed in the blowing unit.
상기 공기유입구 및 상기 제1 공기토출구는 제1 방향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공기유입 덕트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air inlet and the first air outlet may be open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and the air inlet duct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유입구 및 제1 공기토출구를 같은 방향, 예를 들어 러기지 트림을 향한 제1 방향으로 개방되게 공조케이스의 일측에 배치함으로써, 차실 공기를 공조케이스 내로 순환시켜 필터에 의해 미세먼지를 필터링 할 수 있다. 특히, 필터를 차실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 덕트 내에 배치함으로써, 러기지 트림을 분리하지 않고도 공기유입 덕트의 입구를 통해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air inlet and the first air outlet in the same direction, for example, on one side of the air-conditioning case to be opened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luggage trim, the air is circulated into the air-conditioning case to filter Fine dust can be filtered by. In particular, by arranging the filter in the air inlet duct through which the cabin air flows,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through the inlet of the air inlet duct without removing the luggage tri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제2 공기토출구에 공기배출 덕트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1의 장착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외측패널에 러기지 트림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구조체 탈거 후 필터 장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eat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A of Figure 2,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of Figure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ir discharge duct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outlet of FIG. 1,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ounting example of Figure 1,
7 is a front view of a luggage trim coupled to the outer panel of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mounting process after removing the structure of FIG. 7.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결합 또는 연결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Further, the term "joining or connecting" does not only mean that physical contact is directly made between components, but when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and each componen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used as a concept encompass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ar seat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overlapped therewith.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seat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10)는 공조케이스(100), 공기유입 덕트(200) 및 필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rear seat
공조케이스(100)에는 공기유입구(101), 제1 공기토출구(103) 및 제2 공기토출구(105)가 형성될 수 있다.An
공기유입구(101) 및 제1 공기토출구(103)는 공조케이스(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기유입구(101)와 제1 공기토출구(103)는 공조케이스(100)의 같은 측에 배 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입구(101)는 제1 공기토출구(103)와 동일하게 X축 방향(제1 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공조케이스(100)는 송풍유닛(100a)을 포함할 수 있다.The
송풍유닛(100a)의 일측에는 공기유입구(101)가 형성될 수 있고, 송풍유닛(100a)의 타측에는 팬 모터(110a)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팬 모터(110a)는 공조케이스(100)의 타측, 즉 공기유입구(101) 및 제1 공기토출구(103)의 반대 측에 결합될 수 있다.An
팬 모터(110a)는 송풍유닛(100a) 내에 배치되는 송풍팬(110)을 구동할 수 있다.The
도 4는 도 1의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공조케이스(100) 내에는 송풍팬(110), 증발기(120) 및 히터코어(130)가 탑재될 수 있고, 공조케이스(100)에는 템프 도어(140)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송풍팬(110)은 차실 공기가 공기유입구(101)를 통해 공조케이스(100) 내로 유입되어 증발기(120)를 거쳐 제1 공기토출구(103) 및 제2 공기토출구(105)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조케이스(100) 내의 공기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The blowing
송풍팬(110)은 송풍유닛(100a)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lowing
증발기(120) 및 히터코어(130)는 공조케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증발기(120)는 증발기(120)에 접촉하는 공기를 냉매의 증발 잠열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다.The
증발기(120)에서 기체 상태로 배출된 냉매는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차례로 거쳐 저온의 액체 상태로 변환된 후 다시 증발기(1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discharged in the gaseous state from the
증발기(120)를 거친 공기는 히터코어(130)를 선택적으로 거칠 수 있다.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이를 위해, 공조케이스(100)는, 증발기(120)를 거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거치는 난방 유로(100b), 증발기(120)를 거친 공기가 히터코어(130)를 거치지 않는 냉방 유로(100c), 및 난방 유로(100b)와 냉방 유로(100c)가 합류하는 믹싱 챔버(100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100)에는 난방 유로(100b) 및 냉방 유로(100c)를 개폐하는 템프 도어(140)가 결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히터코어(130)는 히터코어(130)에 접촉하는 공기를 냉각수와의 열 교환에 의해 가열할 수 있다.The
히터코어(130)에서 냉각된 상태로 배출된 냉각수는 엔진, 전기히터 등의 열원(미도시)을 거쳐 가열된 후 다시 히터코어(130)로 유입될 수 있다.The cooling water discharged in the cooled state from the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유입 덕트(200)는 공기유입구(101)에 연결될 수 있고, 필터(300)는 공기유입 덕트(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공기유입 덕트(200)는 필터(300)가 공기유입 덕트(200) 내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필터(30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200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00a)는 공기유입 덕트(200)의 입구로부터 연장되어 필터(300)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돌기는 공기유입 덕트(20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공기유입 덕트(200)는 X축 방향에 수직인 Y축 방향(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외측패널과 러기지 트림 사이의 X축 방향으로의 짧은 간격에도 불구하고, 공기유입 덕트(200) 내에 필터 설치에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공기유입 덕트(200)의 양단은 각각 X축 방향 및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필터(300)는 Y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300)는 X축 방향에 대하여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입 덕트(2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필터(300)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필터링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필터(300)의 교체가 보다 용이해질 수도 있다.The
도 5는 도 1의 제2 공기토출구에 공기배출 덕트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ir discharge duct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outlet of FIG. 1.
도 5를 참조하면, 공기배출 덕트(210)는 공조케이스(100)의 제2 공기토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공조케이스(100)가 차량의 일측, 예를 들어 우측에 배치되는 경우, 공기배출 덕트(210)는 차량의 타측, 예를 들어 좌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좌우측에서 각각 차실 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도 6는 도 1의 장착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외측패널에 러기지 트림이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구조체 탈거 후 필터 장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ounting example of FIG. 1, FIG. 7 is a front view of a luggage trim coupled to the outer panel of FIG. 6,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ter mounting process after removing the structure of FIG. 7.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공조케이스(100)는 차량의 외측패널(20)과 내측 패널, 예를 들어 러기지 트림(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구 및 제1 공기토출구(103)는 러기지 트림(30)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6 to 8, the
공기유입 덕트(200)는 러기지 트림(30)에 형성된 공기흡입구(3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공기토출구(103)는 러기지 트림(3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33)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31)에는 공기유입 덕트(200)와 차실을 연결하는 관통 홀을 구비하는 구조체, 예를 들어 그릴 구조체(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러기지 트림(30) 전체를 분리하지 않아도 그릴 구조체(40)만을 분리한 후 공기유입 덕트(200)의 입구를 통해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Th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and it will be said that it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공조장치
20: 외측패널
30: 러기지 트림
31: 공기흡입구
33: 공기배출구
40: 그릴 구조체
100: 공조케이스
100a: 송풍유닛
100b: 난방 유로
100c: 냉방 유로
100d: 믹싱 챔버
101: 공기유입구
103: 제1 공기토출구
105: 제2 공기토출구
110: 송풍팬
110a: 팬 모터
120: 증발기
130: 히터코어
140: 템프 도어
200: 공기유입 덕트
200a: 가이드부
210: 공기배출 덕트
300: 필터10: air conditioning unit 20: outer panel
30: luggage trim 31: air intake
33: air outlet 40: grill structure
100:
100b:
100d: mixing chamber 101: air inlet
103: first air outlet 105: second air outlet
110:
120: evaporator 130: heater core
140: temp door 200: air inlet duct
200a: Guide portion 210: Air exhaust duct
300: filter
Claims (10)
상기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공기유입구에 연결되는 공기유입 덕트; 및
상기 공기유입 덕트 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An air conditioning case provided between the outer panel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luggage trim, and having an air inlet and a first air outlet on one side;
A blower fan dispos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suck air through the air inlet;
An air inlet duct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a filter disposed in the air inlet duct.
상기 공기유입구 및 상기 제1 공기토출구는 상기 러기지 트림을 향해 배치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inlet and the first air outlet are rear seat air conditioners for a vehicle which are arranged toward the luggage trim.
상기 공기유입 덕트는 상기 러기지 트림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에 연결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ir inlet duct is a vehicle seat air conditioning device connected to the air intake formed in the luggage trim.
상기 공기흡입구에는 상기 공기유입 덕트와 차실을 연결하는 관통 홀을 구비하는 구조체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air intake is a vehicle seat air conditioning devic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ructure having a through hole connecting the air inlet duct and the vehicle cabin.
상기 필터는 상기 구조체의 탈거 후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 덕트 내로 삽입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ter is a vehicle seat air conditioning device after removal of the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air inlet duct through the air intake.
상기 공기유입 덕트는 상기 필터가 상기 공기유입 덕트 내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상기 필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air inlet duct includes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ilter so that the filter is slidingly inserted into the air inlet duct.
상기 공조케이스의 타측에 결합되는 팬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Vehicle rear seat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a fan moto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상기 공조케이스는 일측에 상기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팬 모터가 결합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송풍유닛 내에 배치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air-conditioning case includes a blowing unit in which the air inle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an motor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The blowing fan is a rear seat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disposed in the blowing unit.
상기 공기유입구 및 상기 제1 공기토출구는 제1 방향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공기유입 덕트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inlet and the first air outlet are open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The air inlet duct is a rear seat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9,
The filter, the rear seat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7462A KR102702456B1 (en) | 2018-12-07 | 2018-12-07 |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7462A KR102702456B1 (en) | 2018-12-07 | 2018-12-07 |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9894A true KR20200069894A (en) | 2020-06-17 |
KR102702456B1 KR102702456B1 (en) | 2024-09-05 |
Family
ID=7140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7462A Active KR102702456B1 (en) | 2018-12-07 | 2018-12-07 |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245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9989A (en) * | 2021-10-27 | 2023-05-04 | 주식회사 서연이화 | ruggage room heating and cooling device for vehicles |
KR20240000738A (en) * | 2022-06-24 | 2024-01-03 | 카이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ventilating door trim of vehic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7910U (en) * | 1990-05-11 | 1992-01-24 | ||
JPH1134654A (en) * | 1997-07-23 | 1999-02-09 | Kansei Corp | Air cleaner for vehicle |
JP2002274153A (en) * | 2001-03-16 | 2002-09-25 | Denso Corp | Vehicle air conditioner |
KR101492152B1 (en) | 2012-10-30 | 2015-02-1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2018
- 2018-12-07 KR KR1020180157462A patent/KR1027024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7910U (en) * | 1990-05-11 | 1992-01-24 | ||
JPH1134654A (en) * | 1997-07-23 | 1999-02-09 | Kansei Corp | Air cleaner for vehicle |
JP2002274153A (en) * | 2001-03-16 | 2002-09-25 | Denso Corp | Vehicle air conditioner |
KR101492152B1 (en) | 2012-10-30 | 2015-02-1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9989A (en) * | 2021-10-27 | 2023-05-04 | 주식회사 서연이화 | ruggage room heating and cooling device for vehicles |
KR20240000738A (en) * | 2022-06-24 | 2024-01-03 | 카이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ventilating door trim of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2456B1 (en) | 2024-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914542B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 |
RU2566163C2 (en) | Cabin of agricultural vehicle, which is provided with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JP4899186B2 (en) | Automotive air conditioner | |
JP4951133B1 (en) | In-vehicle air conditioner | |
JP6729606B2 (en) | Vehicle air conditioner | |
JP6357321B2 (en) | Automotive air conditioner | |
JP6357322B2 (en) | Automotive air conditioner | |
CN107199848A (en) | Split type electrical motorcar air conditioner | |
US20090133422A1 (en) | Air conditioner | |
JP6500995B2 (en) | Vehicle air conditioner | |
KR20200069894A (en) |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
CN207059687U (en) | Split type electrical motorcar air conditioner | |
KR20210103612A (en) | Vehicle air conditioner | |
JP2001080339A (en) |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 conditioner | |
KR102612668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
JP2002307935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2135274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JPH08188043A (en) | Vehicular air-conditioning system | |
JP2002019454A (en) | Air conditioner | |
KR20140112930A (en) | Rear Air Conditioner for Motor Vehicle | |
JP2013203252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automobile | |
JP4228981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US9533543B2 (en) | Multi-blower HVAC layout for improved evaporator performance | |
JP2004249921A (en) | Case structure of vehicular air conditioner | |
JPH106740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8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