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66437A - Armrest for work vehicle - Google Patents

Armrest for work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437A
KR20200066437A KR1020180152408A KR20180152408A KR20200066437A KR 20200066437 A KR20200066437 A KR 20200066437A KR 1020180152408 A KR1020180152408 A KR 1020180152408A KR 20180152408 A KR20180152408 A KR 20180152408A KR 20200066437 A KR20200066437 A KR 20200066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driver
sliding rail
sliding
work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대승
조영민
Original Assignee
한국체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체인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체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6437A/en
Publication of KR2020006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437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3Longitudinal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량용 암레스트는 2개씩의 앞바퀴와 뒷바퀴를 가지며, 상기 뒷바퀴의 상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형태의 운전석이 마련되며, 상기 운전석 앞쪽으로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되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한쌍의 운전 레버를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에 구비되는 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운전석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팔걸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운전자의 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팔걸이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용 차량 운전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rmrest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front wheels and a rear wheel, and a driver-shaped driver's sea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wheel, an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in the front-rear, left-right direction. It may be a member provided in a work vehicle that includes a pair of driving levers that are operated to perform a direction change, and are disposed on top of armrests that are horizont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river's seat, and the armrest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er's arm. Sliding motion can be made at the top of the can improve convenience when driving a work vehicle.

Description

작업차량용 암레스트{Armrest for work vehicle}Armrest for work vehicle

본 발명은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잔디를 깎는데에 사용되는 작업차량에 장착되어 운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차량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mr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mrest for a work vehicle that can be mounted on a work vehicle used to mow the law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driving.

일반적으로 예초 장치는 곡식, 풀, 잡목 등 초목을 절단하기 위한 기구로, 사용용도와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대에는 농기계의 기계화가 실현되어 농기계에 부착한 작업기 형태의 예초기가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나, 효용가치가 떨어짐에 따라 최근에는 제초작업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엔진이 탑재된 승용식 제초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the mowing device is a mechanism for cutting vegetation such as grain, grass, and wood, and variously developed and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form of use. In modern times, the mechanization of agricultural machinery has been realized, and a mower type in the form of a work machine attached to the agricultural machinery has been developed and used.However, as the utility value has decreased, a riding type weed device equipped with an engine capable of professionally mowing work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have.

도 1은 이러한 예초 장치가 작업차량으로 제조된 제로턴 모어를 도시한 것으로, 앞바퀴(14) 2개와 뒷바퀴(12)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앞바퀴(14)와 뒷바퀴의 상부에 본체 프레임(11)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11)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형태의 운전석(15)이 마련되며, 상기 운전석(15) 앞쪽으로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조작되며 제로턴 모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한쌍의 운전 레버(17, 18)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상기 운전 레버를 조작하면, 제로턴 모어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마련된 데크(13)에 의해 하방에 위치한 잔디 또는 초목들이 예초될 수 있다. FIG. 1 shows a zero-turn mower in which the mower is made of a working vehicle, consisting of two front wheels 14 and two rear wheels 12, and a body frame 11 on top of the front wheels 14 and rear wheels. This is provided, the inside of the body frame 11 is provided with a driver seat 15 in the form of a chair for a user to sit on, and the front of the driver seat 15 is operated by the user's hand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zero-turn mower. A pair of control levers 17 and 18 that can be controlled is provid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driving lever, the lawn or vegetation located below may be mowed by the deck 13 provid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while the zero-turn mower move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로턴 모어는 좌우 바퀴를 개별 트랜스액슬(유압 트랜스미션, 유압모터, 액슬)로 각각 구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회전반경이 0이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선회가 자유로운 장점을 가지는 예초기이다. 상기 제로턴 모어를 운행함에 있어서, 운전자는 운전 레버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당기는 행위를 반복하게 되는데, 운전 레버를 손으로 잡고 있는 경우 팔의 하중으로 인해 팔이 쉽게 피곤해져 정밀한 조작이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팔걸이에 팔을 지지한 상태로 운전시에는 운전 레버의 조작 반경이 줄어드는 문제로 제로턴 모어의 정교한 운행 제어가 힘든 상황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 레버를 이용하여 조향하면서 잔디를 깎는 탑승장비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면서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The zero-turn mower is a mower that has the advantage of free rotation in a narrow space because the rotation radius is zero by using a method in which the left and right wheels are driven by individual transaxles (hydraulic transmission, hydraulic motor, and axle), respectively. In the operation of the zero-turn mower, the driver repeats the act of pulling the driving lever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holding the driving lever by hand, the arm is easily fatigued due to the load of the arm, and precise operation is difficult. , When driving with the arm supported on the armrest, the operation radius of the driving lever is reduced, which causes a situation in which precise operation control of the zero-turn mower is difficult. Therefore, a vehicle for mowing the lawn while steering using the lever in this way needs a means to assist the user's arm while assisting movement.

본 발명은 레버를 이용하여 조향하면서 잔디를 깎는 작업차량에서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부분에 팔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작업차량용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mrest for a work vehicle that assists the movement of an arm in a portion where a user's arm is seated in a work vehicle for mowing the lawn while steering using a lev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2개씩의 앞바퀴와 뒷바퀴를 가지며, 상기 뒷바퀴의 상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형태의 운전석이 마련되며, 상기 운전석 앞쪽으로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되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한쌍의 운전 레버를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상기 운전석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팔걸이의 상부에 배치된 암레스트이며,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팔걸이에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운전자가 운전 레버를 잡았을 때 팔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운전자의 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팔걸이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front wheels and a rear wheel, and a driver-shaped driver's sea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wheel to seat the user. As a member provided in a work vehicle including a pair of driving levers for performing a switch, the armres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dispose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driver's seat, and the armrest is fixedly placed on the upper armrest. It includes a sliding portion that is movable while sli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sliding portion is disposed in an area where an elbow is located when the driver holds the driving lever, and the armres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rm of the driver Sliding motion can be made at the top of the.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 내측으로는 상기 지지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하부 슬라이딩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은 상면이 오픈된 육각면체의 구조이고 상측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ower sliding rail is dispos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lower sliding rail has a structure of a hexagonal body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on the upper side is on both sides. Can be formed.

이 때,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면 내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부 슬라이딩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은 하면이 오픈된 육각면체의 구조이고 하측에는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n upper sliding rail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ortion, and the upper sliding rail is a structure of a hexagonal face with an open lower surfac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in the lower side on both sides. Can be formed on.

여기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의 폭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의 폭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 상부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돌출부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고립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이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width of the upper sliding rail is formed by combining the width of the lower sliding rail and the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liding rail,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isolated by the first protrusion The upper sliding rail may be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wer sliding rail.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홈부는 운전자의 팔꿈치가 안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연장방향의 중심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roov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along a central reg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ortion so that an elbow of the driver is se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작업차량에 탑승하여 팔을 팔걸이에 얹고 운전 레버의 조작을 통해 제초를 하는 과정에서, 팔걸이에 마련된 암레스트가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따라 일정 범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작업차량 조작시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the driver riding on the work vehicle, placing the arm on the armrest and weeding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lever, the armrest provided on the armrest can be moved to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user's arm movement Since it is form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convenience when operating the driver's work vehicle.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암레스트는 운전자의 팔의 피로를 경감시킬뿐만 아니라, 이에 작업차량의 운행시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고, 장시간의 운전시에도 운전 레버의 조작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차량의 목적인 제초의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armrest provide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reduces fatigue of the driver's arm, but also extends the operating time of the working vehicle, and maintains the operation accuracy of the driving lever even during long driving, which is the purpose of the working vehicle. Weed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제초에 사용되는 작업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용 암레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용 암레스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용 암레스트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ing vehicle used for conventional weeding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mrest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mrest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shape of the armrest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의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scriptions b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용 암레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구체적으로 도 1의 작업차량의 운전석(15) 양측에 구비된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팔걸이(16)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20)는 팔걸이(16)의 상측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서 운전자의 팔꿈치가 닿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mrest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 view showing an enlarged area of the armrest 16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iver's seat 15 of the work vehicle of FIG. 1 to be. Referring to FIG. 2, the armrest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rovid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armrest 16, and preferably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driver's elbow touches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driver. .

실시예의 암레스트(20)는 하부에 배치된 지지부(22)와 상기 지지부(22)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부(2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21)는 상기 지지부(22)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팔걸이(16)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움직일 수 있다. The armrest 20 of the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support portion 22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and a sliding portion 21 movabl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2. The sliding portion 21 may slide and move in one directio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rmrest 16 in a state where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2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용 암레스트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rmrest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용 암레스트(20)는 지지부(22)와 슬라이딩부(21)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1)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22)와 슬라이딩부(21)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상기 지지부(22)의 상면과 슬라이딩부(21)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armrest 20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ade to move the sliding portion 21 in a state where the supporting portion 22 and the sliding portion 2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ing portion 22 And a structure for coupling the sliding portion 2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21.

우선, 상기 지지부(22)는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22)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출부로 형성된 고정부(27)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7)는 상기 지지부(22)를 팔걸이(16)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팔걸이(16)에는 상기 고정부(27)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홀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고정부(27)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여유분의 홀들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적합한 위치에 상기 고정부(27)를 결합시켜 상기 지지부(2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First, the support part 22 is formed with a fixing part 27 form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22, and the fixing part 27 armrests 16 of the support part 22. ). The armrest 16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27, and additional holes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27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In addition, the user can fix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22 by combining the fixing part 27 in a suitable position.

그리고, 상기 지지부(22)의 상면 내측으로는 상기 지지부(22)의 연장방향을 따라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은 상면이 오픈된 육각면체의 구조가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4a)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은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볼트(26)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22)의 하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ower sliding rail 24 may be dispos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2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22. The lower sliding rail 24 may have a hexagonal body structure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a first protrusion 24a protruding outwar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The lower sliding rail 24 may be fixed by being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2 by inserting a plurality of bolts 26 along an extending direction.

상기 슬라이딩부(21)의 하면 내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딩부(2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부 슬라이딩 레일(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23)은 하면이 오픈된 육각면체의 구조가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에는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23a)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23)은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볼트(25)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21)의 하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In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21, an upper sliding rail 23 may be dispos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ortion 21. The upper sliding rail 23 may have a hexagonal face structure with an open lower surface, and a second protrusion 23a protruding in an inner direc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The upper sliding rail 23 may be fixed by being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21 by inserting a plurality of bolts 25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이 때,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23)의 폭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의 폭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의 상부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돌출부(24a)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upper sliding rail 23 is formed to be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lower sliding rail 24 and the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s 24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liding rail 24. Can be.

여기서, 상기 제2 돌출부(23a)는 상기 제1 돌출부(24a)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24a)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돌출부(23a)는 안쪽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부(21)는 상기 제1 돌출부(24a)에 의해 상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도록 고립된다. Here, since the second protrusion 23a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protrusion 24a, the first protrusion 24a protrudes outward and the second protrusion 23a protrudes inward. The sliding portion 21 is insulated from being moved upward by the first protrusion 24a.

상기 슬라이딩부(21)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23)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의 맞물리는 배치에 의해 상기 지지부(22)의 상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21)의 일부분이 상기 지지부(22)를 이탈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The sliding part 21 may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2 by the interlocking arrangement of the upper sliding rail 23 and the lower sliding rail 24. That is, a part of the sliding portion 21 may move while leaving the support portion 2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용 암레스트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용 암레스트(20)는 팔걸이(16)의 상부에 하면이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20)는 상부의 슬라이딩부(21)와 하부의 지지부(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2)는 상기 팔걸이(16)에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21)는 상기 지지부(22)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21)의 일부분이 상기 지지부(22)에서 이탈하도록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shape of an armrest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armrest 20 for th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disposed with the lower surfac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16. The armrest 2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sliding portion 21 and a lower supporting portion 22, the supporting portion 22 can be fixed in its position on the armrest 16, the sliding portion 21 may move while sliding a portion of the sliding portion 21 away from the supporting portion 22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22.

상기 슬라이딩부(21)는 운전자의 팔이 접촉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21)의 이동은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종속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21)의 상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부(2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홈부(28)는 운전자의 팔꿈치를 포함한 팔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연장방향의 중심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1)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liding portion 21 is an area in which the driver's arm is in contact, and substantiall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portion 21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A groove portion 28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21. The groove portion 28 may be formed along a central reg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ortion so that a part of the arm including the driver's elbow is seated, and in this state, the sliding portion 21 may be moved.

상기 홈부(28)는 사용자의 팔과 상기 슬라이딩부(21)의 결합력을 더욱 높여주기 위한 구성이며, 이에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21)의 움직임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홈부(26)에 팔의 일부가 안착됨에 따라 슬라이딩부(21)의 표면이 평평한 상태일때보다 팔의 편안함을 더욱 느낄 수 있다. The groove portion 28 is configured to further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user's arm and the sliding portion 21, and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portion 21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In addition, the user can feel the comfort of the arm more than when the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21 is flat as a portion of the arm is seated in the groove 2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용 암레스트는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운전을 조작하기 위한 부재가 레버로 이루어져 전후좌우의 움직임이 필요한 작업용 차량에 적용될 시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The armrest for a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many advantages when applied to a work vehicle that requires movement of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because a member for manipulating a driving is made of a lever as disclosed in FIG. 1.

운전자가 운전 레버를 이용한 조작을 수행할 시 팔꿈치를 포함한 영역이 팔걸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데, 팔걸이에 마련된 암레스트가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따라 일정한 범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팔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하면서 운전 레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driver performs the operation using the driving lever, the area including the elbow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armrest. Since the armrest provided on the armrest is formed to move 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user's arm movement, the driver is exerted on the arm.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rol of the driving lever while minimizing the force.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암레스트는 운전자의 팔의 피로를 경감시킬뿐만 아니라, 이에 작업차량의 운행시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고, 장시간의 운전시에도 운전 레버의 조작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차량의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armrest provide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reduces fatigue of the driver's arm, but also extends the operating time of the working vehicle, and maintains the operation accuracy of the driving lever even during long driving, thereby working the working vehicle.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its preferred embodiment,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abov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20: 암레스트
21: 슬라이딩부
22: 지지부
23: 상부 슬라이딩 레일
23a: 제2 돌출부
24: 하부 슬라이딩 레일
24a: 제1 돌출부
25, 26: 볼트
27: 고정부
28: 홈부
20: Armrest
21: sliding part
22: support
23: upper sliding rail
23a: second protrusion
24: lower sliding rail
24a: first protrusion
25, 26: bolt
27: fixing part
28: Home part

Claims (5)

2개씩의 앞바퀴와 뒷바퀴를 가지며, 상기 뒷바퀴의 상부에 운전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형태의 운전석이 마련되며, 상기 운전석 앞쪽으로는 운전자의 손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조작되어 방향 전환을 수행하는 한쌍의 운전 레버를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상기 운전석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팔걸이의 상부에 배치된 암레스트이며,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팔걸이에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운전자가 운전 레버를 잡았을 때 팔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운전자의 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팔걸이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지는 작업차량용 암레스트.
A pair of seats having two front wheels and a rear wheel, and a driver seat in the form of a chair for a driver to sit on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rear wheel, and a pair of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hands operated by a driver's hand to perform a direction change As a member provided in a work vehicle including a driving lever,
It is an armres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dispose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driver's seat, and the armrest includes a support portion fixedly disposed on the armrest and a sliding portion movable while sliding horizontally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liding portion is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elbow is positioned when the driver holds the driving lever, and an armrest for a work vehicle in which a sliding motion is per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rm of the dri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면 내측으로는 상기 지지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하부 슬라이딩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은 상면이 오픈된 육각면체의 구조이고 상측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가 양측에 형성되는 작업차량용 암레스트.
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 lower sliding rail is dispos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liding rail is a structure of a hexagonal body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a first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 on the upper side is formed on both sides. Armrest for work vehicl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면 내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부 슬라이딩 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은 하면이 오픈된 육각면체의 구조이고 하측에는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가 양측에 형성되는 작업차량용 암레스트.
According to claim 2,
In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an upper sliding rail is dispos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ortion, and the upper sliding rail is a structure of a hexagonal face with an open lower surfac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in the lower side is formed on both sides. Armrest for work vehicl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의 폭은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의 폭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 상부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돌출부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고립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이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업차량용 암레스트.
According to claim 3,
The width of the upper sliding rail is formed by combining the width of the lower sliding rail and the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liding rail,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isolated by the first protrusion, so that the upper An armrest for a work vehicle in which a sliding rail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wer sliding rai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홈부는 운전자의 팔꿈치를 포함하는 팔의 일부 영역이 안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연장방향의 중심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작업차량용 암레스트.
According to claim 1,
A groov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is an armrest for a work vehicle that is formed along a central reg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or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arm including the driver's elbow is seated.
KR1020180152408A 2018-11-30 2018-11-30 Armrest for work vehicle Withdrawn KR202000664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408A KR20200066437A (en) 2018-11-30 2018-11-30 Armrest for work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408A KR20200066437A (en) 2018-11-30 2018-11-30 Armrest for work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437A true KR20200066437A (en) 2020-06-10

Family

ID=7108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408A Withdrawn KR20200066437A (en) 2018-11-30 2018-11-30 Armrest for work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643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9692B2 (en) Walk-behind tiller with adjustable handle mechanism
US9352673B2 (en) Armrest
EP3178305B1 (en) Grass mower
JP6478889B2 (en) Work vehicle
US20140041952A1 (en) Zero-turn lawnmower with improved control handles
KR20200066437A (en) Armrest for work vehicle
JP5719533B2 (en) Management machine
AU2015213288B2 (en) Cutting deck height adjustment assembly
JP2021078424A (en) Working vehicle
JP2016007157A (en) Mower
JP7057614B2 (en) Riding mower
KR20200075165A (en) Working vehicle having vibration reduction suspension apparatus
JP4478076B2 (en) Tractor armrest structure
CN108781768B (en) Control part structure
JP4802412B2 (en) Tractor
JP2019213565A (en) Work vehicle
JP6436259B1 (en) Control structure
JP6562140B1 (en) Control structure
JP6667406B2 (en) Work vehicle
KR20230032270A (en) Agricultural Vehicle
JP2009090701A (en) Mower
JPH0458818A (en) Combine harvester passenger operation device
JPH0726903Y2 (en) Reaper binding machine
JP5518590B2 (en) Agricultural tractor
JP2015123760A (en) Service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