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111A -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8111A KR20200058111A KR1020180142702A KR20180142702A KR20200058111A KR 20200058111 A KR20200058111 A KR 20200058111A KR 1020180142702 A KR1020180142702 A KR 1020180142702A KR 20180142702 A KR20180142702 A KR 20180142702A KR 20200058111 A KR20200058111 A KR 202000581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co
- current blocking
- battery pack
- assembly
- lead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01M2/348—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01M2/1022—
-
- H01M2/1072—
-
- H01M2/26—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내 전류차단용 어셈블리의 분해 구조도.
도 4-(a)는 종래의 전류차단용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류차단용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방법 중 연결영역 절곡단계의 배터리 팩 A면 구조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방법 중 연결영역 절곡단계의 배터리 팩 B면 구조도.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방법 중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탑재단계의 배터리 팩 A면 구조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방법 중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탑재단계의 배터리 팩 B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방법 중 커버부 절곡단계의 배터리 팩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팩의 구조도.
110: 배터리 셀 케이스
111: 양극 리드부 또는 음극 리드부
112: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수용부
113: 전지조립체 수용영역
114: 전지 조립체
120: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121: TCO 소자부
121_1: TCO 연결부
121_2: 제1 TCO 소자
121_3: 제2 TCO 소자
122: 제1 전도성 연결부재
122_1: 리드부 접합부
122_2: 제1 TCO 소자부 접합부
122_3: 커버부
123: 제2 전도성 연결부재
123_1: PCM 접합부
123_2: 제2 TCO 소자부 접합부
130: 보호회로 모듈(PCM)
Claims (13)
- 배터리 팩에 있어서,
전지 조립체(114);
내부에 상기 전지 조립체를 탑재하고, 일측에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셀 케이스(110);
상기 배터리 셀 케이스의 양극 리드부 또는 음극 리드부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셀 케이스의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수용부에 탑재되는 전류차단용 어셈블리(120); 및
상기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및 전류차단용 어셈블리와 연결되지 않은 배터리 셀 케이스의 양극 리드부 또는 음극 리드부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 모듈(PCM, 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용 어셈블리는,
TCO(Thermal Cut-Off) 소자가 복수개 적층되어 병렬 연결된 TCO 소자부(121);
상기 전류차단용 어셈블리(120)가 연결되는 상기 배터리 셀 케이스의 양극 리드부 또는 음극 리드부 중 하나와 상기 TCO 소자부(121)의 사이에 게재되며, 일측은 상기 전류차단용 어셈블리(120)가 연결되는 상기 배터리 셀 케이스의 양극 리드부 또는 음극 리드부 중 하나와 접합되고, 타측은 상기 TCO소자부의 일측과 접합되는 판상형의 제1 전도성 연결부재(122); 및
상기 TCO 소자부와 상기 보호회로 모듈(PCM) 사이에 게재되며, 일측은 상기 TCO소자부의 타측과 접합되고, 타측은 상기 보호회로 모듈(PCM)과 접합되는 제2 전도성 연결부재(12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연결부재는,
상기 배터리 셀 케이스의 양극 리드부 또는 음극 리드부와 접합되는 소정너비의 리드부 접합부(122_1);
상기 리드부 접합부의 장변으로부터 연장되어 TCO 소자부의 일측과 접합하는 제1 TCO 소자부 접합부(122_2); 및
상기 리드부 접합부의 단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절곡되어 상기 제1 TCO 소자부 접합부를 덮는 커버부(122_3);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전도성 연결부재는, 상기 리드부 접합부, 제1 TCO 소자부 접합부, 커버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리드부 접합부와의 연장영역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연결부재의 리드부 접합부, 제1 TCO 소자부 접합부 및 커버부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TCO 소자부는, 복수개의 TCO 소자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TCO 소자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TCO 연결부(121_1)가 각각 제1 전도성 연결부재 및 제2 전도성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연결부재(123)는,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PCM과 접합되는 PCM 접합부(123_1); 및
상기 TCO 소자부의 타측과 접합되는 제2 TCO 소자부 접합부(123_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케이스는, 상기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수용부와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전지조립체가 수용되는 전지조립체 수용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청구항 1 내지 7에 따른 대용량 배터리 팩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
-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셀 케이스 내측에 전지 조립체를 탑재하여 배터리 셀을 생성하는 배터리 셀 생성단계;
복수개가 병렬 연결된 TCO 소자를 포함하는 전류차단용 어셈블리를 상기 배터리 셀 케이스의 양극 리드부 또는 음극 리드부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리드부 연결단계; 및
상기 양극 리드부 또는 음극 리드부 중 하나와 연결된 전류차단용 어셈블리를 배터리 셀 케이스의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수용부에 탑재시키는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탑재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제조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 연결단계 전에, 복수개의 TCO 소자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한 후, 각각의 TCO 소자의 TCO 연결부(121_1)를 제1 전도성 연결부재 및 제2 전도성 연결부재에 접합하여 전류차단용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형성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탑재단계 전에,
리드부 접합부와 제1 TCO 소자부 접합부의 연결영역을 절곡하는 연결영역 절곡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제조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탑재단계는,
전류차단용 어셈블리의 리드부 접합부와 접합된 배터리 셀 케이스의 양극 리드부 또는 음극 리드부 중 하나를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전류차단용 어셈블리 탑재단계 후에,
리드부 접합부와 커버부가 연결된 연결영역을 절곡하는 커버부 절곡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2702A KR102696175B1 (ko) | 2018-11-19 | 2018-11-19 |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2702A KR102696175B1 (ko) | 2018-11-19 | 2018-11-19 |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8111A true KR20200058111A (ko) | 2020-05-27 |
KR102696175B1 KR102696175B1 (ko) | 2024-08-19 |
Family
ID=7091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2702A Active KR102696175B1 (ko) | 2018-11-19 | 2018-11-19 |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617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30900A (ja) * | 2008-03-19 | 2009-10-08 | Toshiba Corp | 非水電解質二次電池パック |
KR20140033994A (ko) | 2012-09-11 | 2014-03-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20150025974A (ko) * | 2013-08-30 | 2015-03-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20170006647A (ko) * | 2015-07-09 | 2017-01-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과전류 및 과열을 방지하는 안전 소자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2018
- 2018-11-19 KR KR1020180142702A patent/KR10269617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30900A (ja) * | 2008-03-19 | 2009-10-08 | Toshiba Corp | 非水電解質二次電池パック |
KR20140033994A (ko) | 2012-09-11 | 2014-03-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20150025974A (ko) * | 2013-08-30 | 2015-03-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20170006647A (ko) * | 2015-07-09 | 2017-01-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과전류 및 과열을 방지하는 안전 소자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6175B1 (ko) | 2024-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3248B1 (ko)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0496305B1 (ko) |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 |
JP6153182B2 (ja) | 二次電池用回路基板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 |
KR102168675B1 (ko) |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 |
EP2083460B1 (en) | Battery pack | |
EP3035413B1 (en) | Battery pack compris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fixing tape | |
KR101734703B1 (ko) | 배터리 셀 | |
KR101984314B1 (ko) | 이차전지 | |
JP2012182133A (ja) | バッテリパック | |
KR102179687B1 (ko) |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40087773A (ko) | 안정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 |
EP3038191A1 (en) | Battery pack compris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case | |
US9240618B2 (en) |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 |
EP2763212A1 (en) | Battery pack | |
CN110247058A (zh) | 可再充电电池 | |
CN110785875A (zh) | 圆柱形二次电池模块 | |
KR102006227B1 (ko) | 과전류 및 과열을 방지하는 안전 소자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CN113692673B (zh) | 汇流条模块、其制造方法及电池模块 | |
KR101539788B1 (ko) |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 |
KR20150072236A (ko) | 테라스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의 패키징 구조 및 그 방법 | |
KR101770328B1 (ko) | 과충전 방지 전지팩 | |
KR102236056B1 (ko) | 과충전 방지부재를 가지는 배터리 셀 | |
KR20170012971A (ko) |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 | |
KR102696175B1 (ko) | 배터리 팩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KR20140014982A (ko) | 두가지 금속이 결합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