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963A -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 Google Patents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4963A KR20200054963A KR1020207007132A KR20207007132A KR20200054963A KR 20200054963 A KR20200054963 A KR 20200054963A KR 1020207007132 A KR1020207007132 A KR 1020207007132A KR 20207007132 A KR20207007132 A KR 20207007132A KR 20200054963 A KR20200054963 A KR 202000549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chromatography medium
- microporous membrane
- polyolefin microporous
- stretc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12501 chromatography mediu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9000012982 microporous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3317 immunochromatograph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9832 plasma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9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7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NNBZCPXTIHJBJL-UHFFFAOYSA-N decalin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C21 NNBZCPXTIHJBJ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699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GVGUFUZHNYFZLC-UHFFFAOYSA-N dodecyl benzenesulfonate;sodium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C1=CC=CC=C1 GVGUFUZHNYFZ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2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12
- 229940080264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0785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523 l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288 Glyc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3886 Glyc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856 Lec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1090 Lec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998 heat s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QKNYBSVHEMOAJP-UHFFFAOYSA-N 2-amino-2-(hydroxymethyl)propane-1,3-diol;hydron;chloride Chemical compound Cl.OCC(N)(CO)CO QKNYBSVHEMOA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100 immo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PXXNTAGJWPJAGM-UHFFFAOYSA-N vertaline Natural products C1C2C=3C=C(OC)C(OC)=CC=3OC(C=C3)=CC=C3CCC(=O)OC1CC1N2CCCC1 PXXNTAGJWPJA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472 biological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2000044158 nucleic acid binding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700020942 nucleic acid binding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102000011022 Chorionic Gonadotrop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62540 Chorionic Gonadotropin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532 enzym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8091008039 hormone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29940084986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5532 enzym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123 point-of-care t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35 sensit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CXWXQJXEFPUFDZ-UHFFFAOYSA-N tetralin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2=C1 CXWXQJXEFPUFD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FFLAFLAYFXFSW-UHFFFAOYSA-N 1,2-dichloro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Cl RFFLAFLAYFXF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88751 Album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9027 Album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3635 Alpha-feto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38 BE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4051 C-Reactive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2752 C-reactive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9151 Luteinizing Hormon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3521 Luteinizing Horm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2866 Prostate-Specific Anti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7066 Prostate-Specific Anti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45 a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3 buffer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93 cat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4723 immunosuppressive acidic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9 inorganic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0129 luteinizing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6619 mouse monoclonal antibody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3575 sodium dodecyl sulf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33 sodium lauryl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6 target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QXYBDVZAUEPDL-UHFFFAOYSA-N 2-methylidene-5-phenylpent-4-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1=CC=CC=C1 JQXYBDVZAUEP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36 Agar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6161 Chlamyd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7 Dextr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IMROMDMJAWUWLK-UHFFFAOYSA-N Ethenol Chemical compound OC=C IMROMDMJAWUW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IICEJLVQHRZGT-UHFFFAOYSA-N Eth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CN PIICEJLVQHRZ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2673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9345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XRSQZLOMIGNAQ-UHFFFAOYSA-N Glutar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CCC=O SXRSQZLOMIGNA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ol Natural products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6217 Glycolip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6771 Gonadotrop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6677 Gonadotrop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1554 Hemoglob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4147 Hemoglob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623901 Homo sapiens Mucin-16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1024605 Homo sapiens Next to BRCA1 gene 1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1012157 Homo sapiens Receptor tyrosine-protein kinase erbB-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100023123 Mucin-1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WHNWPMSKXPGLAX-UHFFFAOYSA-N N-Vinyl-2-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CN1CCCC1=O WHNWPMSKXPGL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4 Polysorbate 6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0086 Receptor tyrosine-protein kinase erbB-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6071 Rhino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101 Rhino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2670 Rota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1390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562 Serum Album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87 Silane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3809 Suppu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394 Troponin I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729 Troponin I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987 Troponin T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108 Troponin T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CWGJBBRZFIPXNZ-UHFFFAOYSA-N [C-]#N.Br Chemical compound [C-]#N.Br CWGJBBRZFIPXN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OYDIJNAPDJBBL-UHFFFAOYSA-N [H]C([H])=CC=O.[H]C([H])(O)C([H])([H])O Chemical compound [H]C([H])=CC=O.[H]C([H])(O)C([H])([H])O SOYDIJNAPDJB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73 alkyl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055 alkyl aryl sulfo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215 alkyl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037 alkyl ph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051 alkyl sulf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052 alkyl sulfo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6331 alpha-Fet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0 amphoter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01 blood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18 carbodii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592 cardiac fibrill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ECPQYXYKAMYBN-UHFFFAOYSA-N casein, tech. Chemical compound NCCCCC(C(O)=O)N=C(O)C(CC(O)=O)N=C(O)C(CCC(O)=N)N=C(O)C(CC(C)C)N=C(O)C(CCC(O)=O)N=C(O)C(CC(O)=O)N=C(O)C(CCC(O)=O)N=C(O)C(C(C)O)N=C(O)C(CCC(O)=N)N=C(O)C(CCC(O)=N)N=C(O)C(CCC(O)=N)N=C(O)C(CCC(O)=O)N=C(O)C(CCC(O)=O)N=C(O)C(COP(O)(O)=O)N=C(O)C(CCC(O)=N)N=C(O)C(N)CC1=CC=CC=C1 BECPQYXYKAMYB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5 commerci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10 complex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51 coron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YRIUSKIDOIARQF-UHFFFAOYSA-N dodecyl benze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S(=O)(=O)C1=CC=CC=C1 YRIUSKIDOIARQ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1161 dodecylbenzene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5694 estrogen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8795 estrogen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05 fe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00 fibrill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8334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DWREHZXQUYJFJ-UHFFFAOYSA-M gold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u+] FDWREHZXQUYJ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22 gonadotrop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59 graft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672 hepatitis B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62 imidazol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24 immunological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000 influenz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3 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534 mechanism of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45 methacrylic acid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7841 methacrylic acid copolymer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20 organ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4 poly(glycidyl meth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01 polyacry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48 polybut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6 polymethylpen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5 pregnanc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98 progesterone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468 progesterone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15 p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1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5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42 quaternary ammon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3 skimm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9 sod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LJMYIDDQXHKNR-UHFFFAOYSA-K sod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O.O.[Na+].[Na+].[Na+].[O-]C(=O)CC(O)(CC([O-])=O)C([O-])=O NLJMYIDDQXHKNR-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379 syphil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38 tea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701161 unidentified adeno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12461 unidentified influenza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49 vacuum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LVXSWCKKBEXTG-UHFFFAOYSA-N vinyl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C=C NLVXSWCKKBEX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 G01N33/545—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93—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or stability, e.g. by coating or irradiation of surface, by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by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이 구비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에 사용하기 위한 기재로서,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60도이고,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5초/4㎝∼300초/4㎝인,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검사 시간을 단축하는, 의사의 즉시 판단과 처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 의사와 환자와의 의사 소통을 향상시키는 것 등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부터, Point of Care Testing(POCT, 임상 현장 즉시 검사)의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법은 POCT에 유용하고, 혈액이나 소변 등의 샘플을 시험 스트립 상에 직접 적하하는 것 등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샘플 중의 대상 물질을 간편하며 또한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는, 일반적으로는, 항원과 이것에 대한 항체에 의한 특이적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한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샘플 패드, 컨주게이트 패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흡수 패드로 구성된다. 샘플 패드에 샘플이 부여되면,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이 컨주게이트 패드에 포함되어 있는 표지 항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해서 복합체를 형성하고, 다음으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를 하류에 전개해 간다. 복합체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에 고정화된 검출용 항체에 포착되고, 정색(呈色) 반응에 의해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 일반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로서는,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5 참조).
그러나, 종래의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을 사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는, 니트로셀룰로오스가 천연 섬유를 가공한 소재이기 때문에,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이 크고, 시약에 의한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조정 등의 번잡한 작업이 필요했다. 한편,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는 검사의 신속성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상기 상황에 의거해서 이루어졌다.
본 개시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이 구비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에 사용하기 위한 기재로서,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이 작으며, 또한, 검사 속도가 우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는, 이하의 태양이 포함된다.
[1]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이 구비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에 사용하기 위한 기재로서,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60도이고,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5초/4㎝∼300초/4㎝인,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2]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가 20㎛∼450㎛인, 상기 [1]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3]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이 70%∼95%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4]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BET 비표면적이 1㎡/g∼30㎡/g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5]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평균 유량 공경이 0.02㎛∼5㎛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6]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계면활성제가 부착한 미다공막인,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7]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플라스마 처리가 실시된 미다공막인, 상기 [1]∼[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8]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와,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마련된 검출부로서,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화된 검출부를 구비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9] 상기 [8]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본 개시에 의하면,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이 구비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에 사용하기 위한 기재로서,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이 작으며, 또한, 검사 속도가 우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일반적인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일반적인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이하에,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들 설명 및 실시예는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 기술하는 작용 메커니즘은 추정을 포함하고 있고, 그 정부(正否)는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할 경우, 당해 실시형태의 구성은 도면에 나타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크기는 개념적인 것이고, 부재 간의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를 사용해서 나타난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본 개시 중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하나의 수치 범위로 기재된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다른 단계적인 기재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본 개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표시되어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공정」이란 단어는, 독립한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여도 그 공정의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양에 대하여 언급할 경우,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종 존재하는 경우에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 종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기계 방향」이란, 장척상으로 제조되는 기재에 있어서 장척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이란,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기계 방향」을 「MD 방향」이라고도 하며, 「폭 방향」을 「TD 방향」이라고도 한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본 개시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immunochromatographic strip)이 구비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chromatography media)에 사용하기 위한 기재(본 개시에 있어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라 한다)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는,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60도이고,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5초/4㎝∼300초/4㎝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이 작으며, 또한, 검사 속도가 우수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는,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진다.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해서 구성된 친수성의 미다공막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란, 피브릴상의 폴리올레핀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의 미세공을 갖고, 이들 미세공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어, 한쪽의 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면으로 기체 혹은 액체가 통과 가능하게 된 막을 의미한다.
폴리올레핀은 소수성의 수지이므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그 자체는 소수성이다.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있어서의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친수화 처리에 의해 친수성이 부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친수화 처리의 방법의 상세는 후술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친수성이라는 것은,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60도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은,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접촉각]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즉,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는,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60도이다.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가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을 구성할 때,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있어서의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60도인 면이, 피검출 물질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액체상의 샘플을 수용하는 측의 면으로 된다.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는, 양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즉,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에 대하여,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은, 하기의 측정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온도 24℃이며 또한 상대 습도 60%의 분위기에 24시간 이상 방치해서 조습(調濕)한 후, 같은 온도 및 습도의 분위기에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표면에 주사기로 1μL의 수적을 떨어뜨리고, 적하 1초 후의 물의 정적 접촉각을, 전자동 접촉각계를 사용해서 θ/2법에 의해 측정한다.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즉,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는,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60도 이하이다. 이것에 의해서, 검사 속도가 향상하며 또한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이 저감된다. 이 관점에서는,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은 5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도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검사 정도(精度)의 향상의 관점에서는,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은 1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캐필러리 플로 타임]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즉,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는,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5초/4㎝∼300초/4㎝이다.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대하여, 캐필러리 플로 타임은, 하기의 흡수 시험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이다.
흡수 시험 :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TD 방향 6㎝이며 또한 MD 방향 1㎝의 장방형으로 잘라낸다. 이 절단편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점착 테이프를 붙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판의 위에 절단편을 고정한다. 절단편의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20도로 되도록 판을 기울이고, 물이 든 비커에, 절단편을 상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판을 끼워넣고, 절단편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물에 1㎝ 침지시킨다. 이 상태를 대기 중 상압 하, 온도 24℃, 상대 습도 60%에 있어서 유지한다. 절단편을 물에 침지시킨 시점을 기점으로 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절단편 상을 이동하고, 절단편에 있어서의 물에 젖은 부분과 젖어 있지 않은 부분과의 계면 모두가, 비커 내의 수면으로부터 절단편의 길이 방향 4㎝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이 시간을 캐필러리 플로 타임으로 한다.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는,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5초/4㎝ 이상임에 의해서, 검사 정도가 향상한다. 이 관점에서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은 10초/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초/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는,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300초/4㎝ 이하임에 의해서, 검사 속도가 우수하며 또한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이 저감된다. 이 관점에서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은 250초/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초/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즉,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있어서의 물의 접촉각 및 캐필러리 플로 타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다공질 구조, 공경 및 공공률의 조정;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친수화 처리의 방법 및 정도(程度);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부착시키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부착량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인 친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및 친수화 처리 전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친수성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친수화 처리 전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공통하는 특성에 대해서는, 단순히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기재해서 특성을 설명한다.
[평균 유량 공경]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평균 유량 공경이 0.02㎛∼5㎛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평균 유량 공경이 0.02㎛ 이상이면,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 되고, 검사 속도가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평균 유량 공경은 0.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평균 유량 공경이 5㎛ 이하이면, 충분한 검사 정도를 얻기 쉽다. 이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평균 유량 공경은 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평균 유량 공경은, PMI샤의 펌 포로미터(형식 : CFP-1200-AEXL)를 사용하고, 침액(浸液)에 PMI샤제의 가르윅(표면 장력 15.9dyn/㎝)을 사용해서, ASTM E1294-89에 규정하는 하프드라이법에 의거하여 구한다.
[막두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는 20㎛∼4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가 450㎛ 이하이면, 사용하는 샘플양의 저감 또는 검사 정도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는 3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가 20㎛ 이상이면,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 되고, 검사 속도가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는 2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공공률]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은 70%∼95%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이 70% 이상이면,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 되고, 검사 속도가 향상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은 7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이 95% 이하이면, 막의 역학 강도가 양호하게 되고 핸들링성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은 9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은,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한다.
공공률(%)={1-(Wa/xa+Wb/xb+Wc/xc+…+Wn/xn)/t}×100
여기에,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구성 재료가 a, b, c, …, n이고, 상기 구성 재료의 질량이 각각 Wa, Wb, Wc, …, Wn(g/㎠)이고, 상기 구성 재료의 진밀도가 각각 xa, xb, xc, …, xn(g/㎤)이고,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가 t(㎝)이다.
[비표면적]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BET 비표면적은 1㎡/g∼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BET 비표면적이 30㎡/g 이하이면,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 되고, 검사 속도가 향상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BET 비표면적은 25㎡/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g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BET 비표면적이 1㎡/g 이상이면, 막의 역학 강도가 양호하게 되고 핸들링성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BET 비표면적은 2㎡/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BET 비표면적은, 마이크로트랙·벨가부시키가이샤의 비표면적 측정 장치(형식 : BELSORP-mini)를 사용하여, 액체 질소 온도 하에 있어서의 질소 가스 흡착법으로, 설정 상대압 : 1.0×10-3∼0.35의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고, BET법으로 해석해서 구한 값이다.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메틸펜텐,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혼합물 등이 호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서는, 포함되는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만인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이 호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폴리올레핀 조성물(본 개시에 있어서,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하고, 포함되는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만인 경우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이라 한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연신 시의 피브릴화에 수반해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을 증가시키는 효용이 있다.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9×105 이상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5질량%∼30질량%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5질량%∼25질량%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5질량%∼15질량%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더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전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105∼2×106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9×105 이상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중량 평균 분자량이 2×105∼8×105이고 밀도가 0.92g/㎤∼0.96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질량비 5:95∼30:70으로 혼합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o-디클로로벤젠 중에 가열 용해하고,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시스템 : Waters사제 Alliance GPC 2000형, 칼럼 : GMH6-HT 및 GMH6-HTL)에 의해, 칼럼 온도 135℃, 유속 1.0mL/분의 조건에서 측정을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분자량의 교정에는 분자량 단분산 폴리스티렌(도소샤제)을 사용한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조 방법]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예를 들면, 하기의 공정(I)∼(IV)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공정(I) :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과 대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210℃ 미만인 휘발성의 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
공정(II) : 상기 용액을 용융 혼련(混練)하여, 얻어진 용융 혼련물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냉각 고화(固化)해서 제1 겔상 성형물을 얻는 공정.
공정(III) : 상기 제1 겔상 성형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일차 연신)하며 또한 용제의 건조를 행하여 제2 겔상 성형물을 얻는 공정.
공정(IV) : 상기 제2 겔상 성형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이차 연신)하는 공정.
공정(I)은, 폴리올레핀 조성물과 대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210℃ 미만인 휘발성의 용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이다. 상기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역적 졸겔 용액이고,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용제에 가열 용해시킴에 의해 졸화시켜서, 열가역적 졸겔 용액을 조제한다. 대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210℃ 미만인 휘발성의 용제로서는 폴리올레핀을 충분히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휘발성의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랄린(206℃∼208℃), 에틸렌글리콜(197.3℃), 데칼린(데카히드로나프탈렌, 187℃∼196℃), 톨루엔(110.6℃), 자일렌(138℃∼144℃), 디에틸트리아민(107℃), 에틸렌디아민(116℃), 디메틸설폭시드(189℃), 헥산(69℃) 등을 들 수 있고, 데칼린 또는 자일렌이 바람직하다(괄호 내의 온도는, 대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이다). 상기 휘발성의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공정(I)에 있어서 조제하는 용액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농도가 10질량%∼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3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농도가 10질량% 이상이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막 공정에 있어서 절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역학 강도가 높아지고 핸들링성이 향상한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농도가 40질량% 이하이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이 형성되기 쉽다.
공정(II)은, 공정(I)에서 조제한 용액을 용융 혼련하여, 얻어진 용융 혼련물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냉각 고화해서 제1 겔상 성형물을 얻는 공정이다. 공정(II)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융점 내지 융점 +65℃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다이로부터 압출해서 압출물을 얻고, 다음으로 상기 압출물을 냉각해서 제1 겔상 성형물을 얻는다. 제1 겔상 성형물은 시트상으로 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은, 물 또는 유기 용매에의 침지에 의해서 행해도 되고, 냉각된 금속 롤에의 접촉에 의해서 행해도 되고, 일반적으로는 공정(I)에 사용한 휘발성의 용제에의 침지에 의해서 행해진다.
공정(III)은, 제1 겔상 성형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일차 연신)하며 또한 용제의 건조를 행하여 제2 겔상 성형물을 얻는 공정이다. 공정(III)의 연신 공정은, 이축 연신이 바람직하고, 종연신과 횡연신을 별도로 실시하는 축차 이축 연신이어도 되고, 종연신과 횡연신을 동시에 실시하는 동시 이축 연신이어도 된다. 일차 연신의 연신 배율(종연신 배율과 횡연신 배율의 곱)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1.1배 내지 3배가 바람직하고, 연신 시의 온도는 75℃ 이하가 바람직하다. 공정(III)의 건조 공정은 제2 겔상 성형물이 변형하지 않는 온도이면 특히 제한 없이 실시되지만, 60℃ 이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III)의 연신 공정과 건조 공정은, 동시에 행해도 되고, 단계적으로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예비 건조하면서 일차 연신하고, 다음으로 본 건조를 행해도 되고, 예비 건조와 본 건조와의 사이에 일차 연신을 행해도 된다. 일차 연신은, 건조를 제어하고, 용제를 호적한 상태로 잔존시킨 상태에서도 행할 수 있다.
공정(IV)은, 제2 겔상 성형물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이차 연신)하는 공정이다. 공정(IV)의 연신 공정은, 이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공정(IV)의 연신 공정은, 종연신과 횡연신을 별도로 실시하는 축차 이축 연신; 종연신과 횡연신을 동시에 실시하는 동시 이축 연신; 종방향으로 복수 회 연신한 후에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 종방향으로 연신하고 횡방향으로 복수 회 연신하는 공정; 축차 이축 연신한 후에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1회 또는 복수 회 더 연신하는 공정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차 연신의 연신 배율(종연신 배율과 횡연신 배율의 곱)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배∼65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배∼55배이다. 연신 배율을 크게 하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막에 있어서 절단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연신 배율을 낮게 하면 두께 불균일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연신은, 용제가 제거된 후에 행해지지만, 건조를 제어하고, 용제를 호적한 상태로 잔존시킨 상태에서 행할 수도 있다. 이차 연신의 연신 온도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90℃∼135℃가 바람직하고, 90℃∼125℃가 보다 바람직하다.
공정(IV)에 이어서 열고정 처리를 행해도 된다. 열고정 온도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120℃∼160℃가 바람직하고, 125℃∼150℃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고정 온도를 높게 하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제막에 있어서 절단의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상기한 제조 방법에 의해, 고도의 다공질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친수화 처리]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친수화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UV 오존 처리, 계면활성제 또는 친수성 재료의 코팅, 친수성 모노머의 그래프트 중합을 들 수 있다.
검출 정도의 향상의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 및/또는 공공 내표면에 플라스마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을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계면활성제에 의해 처리해서, 친수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을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 및/또는 공공 내표면에는 계면활성제가 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일 실시형태로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플라스마 처리가 실시되며,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계면활성제가 부착한 미다공막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검출 정도의 향상과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의 저감을 모두 실현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형태이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표면 처리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兩性) 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고급 아민할로겐산염, 할로겐화알킬피리디늄,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고급 지방산알칼리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설폰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포스폰산염, 알킬황산염, 알킬벤젠황산염, 알킬설폰산염, 알킬아릴설폰산염, 설포숙신산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벤젠설폰산염이 바람직하고,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SDBS)이 특히 바람직하다.
양성 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베타인계 화합물, 이미다졸린계 화합물, 알킬아민옥사이드, 비스옥시보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코팅하는 친수성 재료로서는,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에 그래프트 중합하는 친수성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알코올, N-비닐-2-피롤리돈, 비닐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은, 피검출 물질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는 액체상의 샘플을 검사하기 위한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이다.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 샘플을 수용하는 샘플 패드와,
상기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 물질을 함유하는 컨주게이트 패드와,
상기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화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를 구비한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이다.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형상 및 폭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조작하기 쉬운 형상 및 폭이면 문제 없다.
도 1에,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형태예를 나타낸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A는, 전개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서, 적하된 샘플을 수용하는 샘플 패드(2), 표지 물질을 함유하는 컨주게이트 패드(3),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화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1), 여분의 샘플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4)가 이 순서로,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척상의 지지체판(5) 상에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1)는,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와, 당해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마련된 검출부(11)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부(11)는,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화된 영역이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는, 필름에 의한 뒷면 대기 가공이 행해진 후에, 크로마토그래피 매체(1)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1)는,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포함한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1)의 일례에 있어서는,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TD 방향과, 샘플의 전개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이 일치한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1)의 다른 일례에 있어서는,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MD 방향과, 샘플의 전개 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이 일치한다.
검출부(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전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검출부(11)의 형상은 직선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형의 스폿, 숫자, 문자, 기호(예를 들면, +, -) 등이어도 된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A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도 2∼도 3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도 3은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A의 두께 방향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피검출 물질(101)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샘플을 샘플 패드(2) 상에 적하하면, 측정에 불필요한 성분이 적의(適宜) 제거된 후에, 컨주게이트 패드(3)로 샘플이 이동한다. 컨주게이트 패드(3)에는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101)과 결합 가능한 결합부(예를 들면, 항체)를 포함하는 표지 물질(102)이 포함되어 있고, 컨주게이트 패드(3)에 있어서 피검출 물질(101)과 표지 물질(102)이 결합해서 복합체(103)가 형성된다. 복합체(103)를 포함한 샘플이, 컨주게이트 패드(3)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 매체(1)에 이동한다(도 3의 (a)의 상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1)에 있어서 샘플은, 검출 시약(104)을 포함하는 검출부(11)를 향해서 이동한다. 샘플 중에 피검출 물질(101)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검출부(11)에 있어서 복합체(103)가 검출 시약(104)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에 의해, 검출부(11)에 표지 물질(102)이 농축된다(도 3의 (b)의 상태). 농축된 표지 물질(102)이 목시 또는 기기를 사용해서 검출되고, 이것에 의해, 샘플 중에 피검출 물질(101)이 존재하는 것을 정성적으로 및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 후, 흡수 패드(4)에 있어서, 여분의 샘플이 흡수된다.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을 사용한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에서는, 필요하면 전개액을 사용해도 된다. 전개액은,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법에 있어서 이동상을 구성하는 액체이고, 크로마토그래피 매체를, 피검출 물질을 포함하는 샘플과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은 전개액이면, 어떠한 액체여도 된다. 전개액은, 샘플이 부여되는 경로와 같은 경로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에 부여되어도 되고, 샘플이 부여되는 경로와는 다른 경로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에 부여되어도 된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용도로서는, 인플루엔자, B형 간염, 식중독 등의 감염증 진단; 임신 진단; 심근 경색 등의 각종 질환마다의 바이오마커 진단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할 수 있는 샘플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에 포함되는 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샘플]
본 개시의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샘플은, 피검출 물질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샘플인 한 한정되지 않는다. 샘플로서는, 예를 들면, 동물(특히 사람)의 체액(예를 들면, 혈액, 혈청, 혈장, 수액, 누액(淚液), 땀, 소변, 고름, 콧물, 객담(喀痰)); 동물(특히 사람)의 배설물(예를 들면, 분변); 동물(특히 사람)의 장기, 조직, 점막, 피부, 그들을 포함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 착과(搾過) 검체, 스왑 또는 가글액; 동물 또는 식물 그 자체; 동물 또는 식물의 건조체; 식물의 추출액; 식품의 추출액 등의 생물학적 시료를 들 수 있다.
피검출 물질로서는, 그것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피검출 물질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단백질, 펩티드, 핵산, 당, 당단백질, 당지질, 복합 당질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란, 생체 분자가 갖는 친화력에 의거해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친화력에 의거한 결합으로서는, 항원과 항체와의 결합, 당과 렉틴과의 결합, 호르몬과 수용체와의 결합, 효소와 저해제와의 결합, 상보적(相補的) 핵산끼리의 결합, 핵산과 핵산 결합 단백질과의 결합 등을 들 수 있다. 피검출 물질이 항원성을 가질 경우, 피검출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로서는 폴리클론성 항체 또는 모노클론성 항체를 예시할 수 있다. 피검출 물질이 당 또는 당단백질일 경우, 피검출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로서는 렉틴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피검출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암태아성 항원(CEA), HER2 단백, 전립선 특이 항원(PSA), CA19-9, α-페토프로테인(AFP), 면역억제산성 단백(IAP), CA15-3, CA125, 트로포닌I, 트로포닌T, CK-MB, C반응성 단백(CRP), 에스트로겐 리셉터, 프로게스테론 리셉터, 사람융모성 고나도트로핀(hCG), 황체 형성 호르몬(LH), 난포 자극 호르몬(FSH), 사람 헤모글로빈, 알부민, 당화알부민, 변잠혈, 매독 항체, 클라미디아 항원, A군 β 용연균 항원, HBs 항체, HBs 항원,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샘플 패드에 적하하는 샘플은, 하기의 (i)∼(v)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i) 생물학적 시료 그 자체.
(ii)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추출용 용매를 사용해서 추출한 추출액.
(iii) 생물학적 시료 또는 추출액을 희석제로 희석한 희석액.
(iv) 생물학적 시료 또는 추출액을 농축한 농축액.
(v) (i)∼(iv)의 어느 하나에 표지 물질을 혼합하고 표지 물질과 피검출 물질을 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액체.
추출용 용매 또는 희석제로서는, 통상의 면역학적 분석법에서 사용되는 용매(예를 들면, 물, 생리식염액, 완충액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샘플 패드]
샘플 패드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유리, 폴리우레탄, 폴리아세테이트,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나일론, 폴리올레핀, 면 등의 각종 섬유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직포, 지상체, 미다공막을 들 수 있다. 샘플 패드는, 샘플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샘플 중의 불용물 입자 등을 여과하는 기능도 겸한다. 검사 시에,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이 샘플 패드에 비특이적으로 흡착하여 검사 정도가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샘플 패드에 대해서 미리 비특이적 흡착 방지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샘플 패드는, 상기한 부직포 등 단독의 시트뿐만 아니라, 상기한 부직포 등과 혈구 분리막 등을 적층한 적층체여도 된다.
[컨주게이트 패드]
컨주게이트 패드는, 샘플 중의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 물질을 포함하는 다공질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컨주게이트 패드는, 표지 물질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다공질막에 함침시키고, 건조시켜서 제작할 수 있다. 컨주게이트 패드를 구성하는 다공질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유리, 폴리우레탄, 폴리아세테이트,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나일론, 폴리올레핀, 면 등의 각종 섬유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직포, 지상체, 미다공막을 들 수 있다.
[표지 물질]
표지 물질은,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와, 목시 또는 기기에 의해 검출되는 표지부를 갖는다.
표지 물질의 결합부는, 대상으로 하는 피검출 물질에 따라서 적의 선정하면 된다. 피검출 물질과 표지 물질의 결합부와의 조합(피검출 물질/표지 물질의 결합부)으로서는, 예를 들면, 항원/항체, 당/렉틴, 당단백질/렉틴, 호르몬/호르몬 수용체, 효소/효소저해제, 핵산/상보적 핵산, 핵산/핵산 결합 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표지 물질의 표지부로서는, 불용성 담체, 효소 등을 들 수 있고, 목시로 검출되기 쉬운 점에서 불용성 담체가 바람직하다. 표지 물질의 표지부로서 불용성 담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결합부를 불용성 담체에 감작(感作)함에 의해 표지 물질을 조제할 수 있다.
불용성 담체로서는, 금, 은, 백금 등의 콜로이드상 금속 입자, 산화철 등의 콜로이드상 금속 산화물 입자, 황 등의 콜로이드상 비금속 입자, 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라텍스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불용성 담체로서는, 검출이 간편한 관점에서, 금 콜로이드가 바람직하다.
불용성 담체는, 목시에 의한 검출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유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콜로이드상 금속 입자 및 콜로이드상 금속 산화물 입자는, 입자 자체가 입경에 따른 특정의 색을 나타내므로, 그 색채를 표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콜로이드상 금속 입자 또는 콜로이드상 금속 산화물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콜로이드상 금 입자, 콜로이드상 은 입자, 콜로이드상 백금 입자, 콜로이드상 산화철 입자, 콜로이드상 산화알루미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콜로이드상 금속 입자 또는 콜로이드상 금속 산화물 입자의 평균 입경은, 강한 색조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1㎚∼500㎚가 바람직하고, 10㎚∼150㎚가 보다 바람직하고, 20㎚∼100㎚가 더 바람직하다. 콜로이드상 금 입자와 콜로이드상 은 입자가, 각각의 적당한 입경에 있어서, 콜로이드상 금 입자는 적색, 콜로이드상 은 입자는 황색을 나타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콜로이드상 금 입자는, 시판의 입자여도 되고, 통상의 방법(예를 들면, 염화금산을 시트르산나트륨으로 환원하는 방법)에 의해 조제한 입자여도 된다.
결합부를 콜로이드상 금속 입자 또는 콜로이드상 금속 산화물 입자에 감작하는 방법으로서는, 물리 흡착 또는 화학 결합을 응용한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콜로이드상 금 입자에 항체를 감작한 표지 물질은, 금 입자가 콜로이드상으로 분산한 분산액에 항체를 더해서 물리 흡착시킨 후, 소혈청알부민 용액을 첨가해서 항체가 미결합인 입자 표면을 블로킹함에 의해 조제한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크로마토그래피 매체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와,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마련된 검출부로서,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화된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부는,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화된 영역이다. 피검출 물질이 복수 종 있는 경우는, 각각에 대응한 검출 시약을 고정화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복수의 검출부를 형성해도 된다.
검출 시약은,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이다. 피검출 물질과, 표지 물질의 결합부와, 검출 시약과의 조합(피검출 물질/표지 물질의 결합부/검출 시약)으로는, 예를 들면, 항원/항원에 대한 제1 항체/항원에 대한 제2 항체, 당/제1 렉틴/제2 렉틴, 당단백질/당단백질에 대한 항체/렉틴, 당단백질/렉틴/당단백질에 대한 항체, 호르몬/호르몬 수용체/호르몬에 대한 항체, 호르몬/호르몬에 대한 항체/호르몬 수용체, 효소/효소저해제/효소에 대한 항체, 효소/효소에 대한 항체/효소저해제, 핵산/제1 상보적 핵산/제2 상보적 핵산, 핵산/상보적 핵산/핵산 결합 단백질, 핵산/핵산 결합 단백질/상보적 핵산 등을 들 수 있다.
검출 시약을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고정화하는 방법으로서는, 검출 시약을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직접 고정화하는 방법과, 검출 시약을 라텍스 입자 등의 미립자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하고, 이 미립자를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고정화하는 방법(즉, 간접적인 고정화 방법)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감도 조정의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직접 고정화가 바람직하다.
검출 시약을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직접 고정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물리 흡착, 공유 결합을 들 수 있다. 공유 결합에 의해서 검출 시약을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고정화할 경우, 브롬화시안, 글루타르알데히드, 카르보디이미드 등을 결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검출 시약을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간접적으로 고정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검출 시약을 결합한 불용성 미립자를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고정화하는 방법이 있다. 불용성 미립자로서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포착되어 이동할 수 없는 입경(예를 들면, 평균 입경 5㎛ 정도 이상)의 미립자를 선택한다. 불용성 미립자로서 항원 항체 반응에 사용되는 입자가 각종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아크롤레인-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유기 고분자의 미립자; 젤라틴, 벤토나이트, 아가로오스, 가교 덱스트란 등의 미립자;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등의 무기 산화물 입자; 무기 산화물 입자에 실란커플링제 등으로 관능기를 도입한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검출 시약 또는 검출 시약을 결합한 불용성 미립자를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부여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시린지, 조절 펌프 부착 펜, 잉크 분사 인쇄 등의 수단을 들 수 있다.
검출 시약을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고정화한 후, 비특이적인 흡착에 의해 분석의 정도가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공지의 방법으로 블로킹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블로킹 처리에는, 소혈청알부민, 스킴 밀크, 카세인, 젤라틴 등의 단백질이 호적하게 사용된다. 블로킹 처리 후, 필요에 따라서, Tween20, TritonX-100, SDS(도데실황산나트륨), SDBS(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등의 계면활성제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세정해도 된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는, 검출부의 하류에, 표지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컨트롤용 물질을 고정화한 영역인 컨트롤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가 검출부의 하류에 컨트롤부를 가질 경우, 샘플이 검출부를 통과한 후에 컨트롤부에 이동하면, 검출부에 포착되지 않는 표지 물질(즉, 피검출 물질이 결합하고 있지 않은 표지 물질)이 컨트롤용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에 의해, 컨트롤부에 표지 물질이 농축된다. 이것에 의해, 목시 또는 적당한 기기를 사용해서 컨트롤부까지 샘플이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검사의 완료를 파악할 수 있다. 컨트롤용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표지 물질의 결합부에 대한 항체를 들 수 있다.
[흡수 패드]
흡수 패드는, 전개 방향의 하류로 흘러 도착한 샘플을 흡수하는 부재이다. 흡수 패드로서는, 예를 들면, 여과지, 부직포, 포,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막 등의 흡수성 재료가 사용된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를 이동하고 있는 샘플의 최선단부가 흡수 패드에 도달한 후의 전개 속도는, 흡수 패드의 재질 및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르므로, 흡수 패드의 재질 및 크기의 선정에 따라 피검출 물질의 검출에 적합한 전개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수순 등은, 본 개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의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물성의 측정 방법>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이하 「기재」라고도 한다)에 적용한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막두께]
기재의 막두께는, 접촉식의 막두께계(미쓰토요샤제)로 20점 측정하고, 이것을 평균함으로써 구했다. 접촉 단자는 저면이 직경 0.5㎝인 원주상의 단자를 사용했다. 측정압은 0.1N으로 했다.
[평량]
기재의 평량(1㎡당의 질량, g/㎡)은, 기재를 10㎝×10㎝의 정방형으로 잘라내고, 질량을 측정하고, 질량을 면적으로 나눠서 구했다.
[공공률]
기재의 공공률 ε(%)는 하기의 식에 의해 구했다.
ε={1-(Wa/xa+Wb/xb+Wc/xc+…+Wn/xn)/t}×100
여기에, 구성 재료가 a, b, c, …, n이고, 구성 재료의 질량이 각각 Wa, Wb, Wc, …, Wn(g/㎠)이고, 구성 재료의 진밀도가 각각 xa, xb, xc, …, xn(g/㎤)이고, 막두께가 t(㎝)이다.
[걸리값]
JIS P8117:2009에 따라서, 면적 642㎟의 기재의 공기 투과 시간 T(초/100mL)를 측정하고, 하기의 식에 의해, 두께 1㎛당의 공기 투과 시간 τ(초/100mL/㎛)를 구했다.
τ=T/t
T : JIS P8117:2009에 따라 측정한 공기 투과 시간(초/100mL), t : 기재의 막두께(㎛).
[BET 비표면적]
기재에 대한 전처리로서, 측정 전에 마이크로트랙·벨가부시키가이샤의 흡착 측정용 전처리 장치(Belprep vac-II)에서 실온에서의 진공 탈기를 행했다. 측정 장치로서 마이크로트랙·벨가부시키가이샤의 비표면적 측정 장치(형식 : BELSORP-mini)를 사용하여, 액체 질소 온도 하에 있어서의 질소 가스 흡착법으로 설정 상대압 : 1.0×10-3∼0.35의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고, BET법으로 해석함으로써, 기재의 BET 비표면적(㎡/g)을 구했다.
[평균 유량 공경]
기재의 평균 유량 공경(㎛)은, PMI샤의 펌 포로미터(형식 : CFP-1200-AEXL)를 사용하고, 침액에 PMI샤제의 가르윅(표면 장력 15.9dyn/㎝)을 사용해서, ASTM E1294-89에 규정하는 하프드라이법에 의해 구했다. 측정 온도는 25℃이고, 측정 압력은 0∼150psi의 범위에서 변화시켰다.
[접촉각]
기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을, 교와가이멘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의 전자동 접촉각계 DMs-401과 해석 소프트웨어 FAMAS(interFAce Measurement and Analysis System)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대기 중 상압 하, 온도 24℃, 상대 습도 60%의 분위기에 있어서, 1μL의 물(이온 교환수)을 기재에 적하하고, 적하 1초 후의 정적 접촉각을 측정했다. 수적의 형성에는, SUS(스테인리스강)제의 22G 침을 구비한 시린지를 사용했다. 실시예 8 및 실시예 9의 기재에 대해서는, 플라스마 처리를 행한 측의 면에 있어서 물의 접촉각을 측정했다.
[캐필러리 플로 타임]
이하의 흡수 시험에 의해, 기재의 캐필러리 플로 타임을 측정했다. 도 4가, 흡수 시험의 모식도이다.
기재를, TD 방향 6㎝이며 또한 MD 방향 1㎝의 장방형으로 잘라내서, 절단편(절단편(6)이라 한다)을 얻었다. 절단편(6)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점착 테이프(8)를 붙이고, 폴리프로필렌제의 판(7)(길이 121㎜, 폭 52㎜)의 위에 절단편(6)을 고정했다. 절단편(6)의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20도로 되도록 판(7)을 기울이고, 물(10)(이온 교환수)이 든 비커(9)에, 절단편(6)을 상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판(7)을 끼워넣고, 절단편(6)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물(10)에 1㎝ 침지시켰다. 이 상태를 대기 중 상압 하, 온도 24℃, 상대 습도 60%에 있어서 유지했다. 절단편(6)을 물(10)에 침지시킨 시점을 기점으로 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절단편(6) 상을 화살표 Y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절단편(6)에 있어서의 물에 젖은 부분과 젖어 있지 않은 부분과의 계면 모두가, 물(10)의 수면으로부터 절단편(6)의 길이 방향 4㎝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이 시간을 캐필러리 플로 타임으로 했다. 절단편(6)을 5개 준비하고, 각각에 대하여 흡수 시험을 실시하고,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평균값을 구했다.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
5개의 절단편(6)의 각 캐필러리 플로 타임으로부터, 하기의 식에 의해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을 구했다.
s :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불균일, n :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측정 점수, xi :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각 측정값, 바를 위에 부여한 x : 캐필러리 플로 타임의 평균값.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제작>
(실시예 1)
중량 평균 분자량 460만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하 「UHMWPE」라 한다) 1.25질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 56만이며 또한 밀도 950kg/㎥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이하 「HDPE」라 한다) 23.75질량부를 혼합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준비했다. 폴리머 농도가 25질량%로 되도록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데칼린을 혼합하여 폴리에틸렌 용액을 조제했다. 폴리에틸렌 용액을 온도 148℃에서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다음으로 압출물을 수온 20℃의 수욕 중에서 냉각하여, 제1 겔상 시트를 얻었다.
제1 겔상 시트를 70℃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10분간 예비 건조하고, 다음으로, MD 방향으로 1.4배로 일차 연신을 하고, 다음으로, 본 건조를 57℃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5분간 행해서, 제2 겔상 시트(베이스 테이프)를 얻었다(제2 겔상 시트 중의 용제의 잔류량은 1% 미만으로 했다). 다음으로 이차 연신으로서, 제2 겔상 시트(베이스 테이프)를 MD 방향으로 온도 100℃에서 배율 3.0배로 연신하고 계속해서 TD 방향으로 온도 125℃에서 배율 9.0배로 연신하고, 그 후 바로 127℃에서 열처리(열고정)를 행해서,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얻었다.
상기한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양면에, 플라스마 처리(Nordson MARCH사제 AP-300 : 출력 150W, 처리 압력 400mTorr, 가스 유량 160sc㎝, 처리 시간 135초)를 실시했다.
플라스마 처리 후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에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SDBS) 1질량%의 수용액을 함침시키고, 상온에서 24시간 건조시켜서,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에 SDBS를 코팅했다.
상기한 플라스마 처리 및 SDBS 코팅을 거쳐, 친수성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 즉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얻었다.
상기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가 부착된 PET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
플라스마 처리 후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에 SDBS를 코팅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및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3)
일차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연신 배율을 1.8배, 이차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연신 배율을 2.0배, TD 방향의 연신 온도를 120℃, TD 방향의 연신 배율을 4.4배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및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4)
일차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연신 배율을 1.2배, 이차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연신 온도를 90℃, 열처리(열고정)의 온도를 145℃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및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5)
플라스마 처리 후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에 SDBS를 코팅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및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6)
UHMWPE 3.75질량부와, HDPE 21.25질량부를 혼합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사용하고, 다이의 온도를 152℃, 일차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연신 배율을 1.2배, 이차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연신 온도를 90℃, MD 방향의 연신 배율을 4.0배, 열처리(열고정)의 온도를 144℃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및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7)
UHMWPE 4.05질량부와 HDPE 22.95질량부를 혼합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준비했다. 폴리머 농도가 27질량%로 되도록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데칼린을 혼합하여 폴리에틸렌 용액을 조제했다. 이 폴리에틸렌 용액을 사용하고, 이차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연신 온도를 90℃, 열고정의 온도를 144℃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및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8)
다이의 온도를 152℃, 이차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연신 온도를 90℃, 열고정의 온도를 145℃로 하고, 플라스마 처리를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편면에만 실시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제작했다.
상기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플라스마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에, 점착제가 부착된 PET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9)
플라스마 처리 후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에 SDBS를 코팅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및 적층체를 제작했다.
(비교예 1)
UHMWPE 7.5질량부와, HDPE 17.5질량부를 혼합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사용하고, 일차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연신 배율을 1.1배, 이차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의 연신 온도를 90℃, MD 방향의 연신 배율을 6.5배, TD 방향의 연신 온도를 130℃, TD 방향의 연신 배율을 13.5배, 열고정의 온도를 142℃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및 적층체를 제작했다.
(비교예 2)
UHMWPE 10.2질량부와 HDPE 6.8질량부를 혼합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준비했다. 데칼린 8질량부와 유동 파라핀 75질량부를 혼합한 혼합 용제를 준비했다. 폴리머 농도가 17질량%로 되도록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혼합 용제를 혼합하여 폴리에틸렌 용액을 조제했다. 이 폴리에틸렌 용액을 온도 153℃에서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계속해서 압출물을 수온 20℃의 수욕 중에서 냉각하여, 겔상 시트를 제작했다.
상기한 겔상 시트(베이스 테이프)를 MD 방향으로 온도 90℃에서 배율3.0배로 연신하고, 계속해서 TD 방향으로 온도 105℃에서 배율 9.0배로 연신하고, 그 후 바로 141℃에서 열처리(열고정)를 행했다. 다음으로, 시트를, 2조(槽)로 나뉜 염화메틸렌욕에 각각 30초간씩 연속해서 침지시키면서, 유동 파라핀을 추출했다. 시트를 염화메틸렌욕으로부터 반출한 후, 40℃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염화메틸렌을 건조 제거하고, 120℃로 가열한 롤러 상을 반송시키면서 어닐 처리를 함으로써,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얻었다.
상기한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플라스마 처리 및 SDBS 코팅을 실시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얻었다.
상기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가 부착된 PET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3)
UHMWPE 3.4질량부와 HDPE 13.6질량부를 혼합한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준비했다. 데칼린 45질량부와 유동 파라핀 38질량부를 혼합한 혼합 용제를 준비했다. 폴리머 농도가 17질량%로 되도록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혼합 용제를 혼합하여 폴리에틸렌 용액을 조제했다. 이 폴리에틸렌 용액을 온도 157℃에서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계속해서 압출물을 수온 20℃의 수욕 중에서 냉각하여, 겔상 시트를 제작했다.
상기한 겔상 시트를 95℃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10분간 예비 건조를 행해서, 베이스 테이프를 얻었다(베이스 테이프 중의 용제의 잔류량은 1% 미만으로 했다). 다음으로, 이차 연신으로서 베이스 테이프를 MD 방향으로 온도 90℃에서 배율 5.5배로 연신하고, 계속해서 TD 방향으로 온도 105℃에서 배율 10배로 연신하고, 그 후 바로 140℃에서 열처리(열고정)를 행했다. 다음으로,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염화메틸렌욕에의 침지, 건조 처리 및 어닐 처리를 행하여,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얻었다.
상기한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플라스마 처리 및 SDBS 코팅을 실시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얻었다.
상기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가 부착된 PET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제조한 친수화 처리 전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로 했다.
상기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가 부착된 PET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5)
시판되고 있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니트로셀룰로오스막(MILLIPORE사제, SHF1200425)을,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로 했다. 당해 시판품은, PET 필름의 편면에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이 적층된 적층체이다.
표 1에, 실시예 1∼9 및 비교예 1∼4의 각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조성 및 제조 조건을 나타낸다.
[표 1]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제작>
실시예 1∼9 또는 비교예 1∼5의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를 사용해서, hCG(사람융모성 고나도트로핀)를 피검출 물질로 하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을 이하의 수순에 따라서 제작했다.
(1)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의 제작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이하 「기재」라 한다)와 PET 필름과의 적층체를, 기재의 MD 방향 및 TD 방향을 따라서, MD 방향 150㎜이며 또한 TD 방향 25㎜의 장방형으로 잘라냈다. 0.5mg/mL의 항hCG-α 서브 유닛 항체(마우스 모노클론성 항체)를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pH7.2)을, 잘라낸 적층체의 기재측의 면에, 한쪽의 장변으로부터 8㎜의 위치에 장변에 대해서 평행으로 직선상으로 도포하고(도포량은 1μL/㎝), 온도 50℃의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건조시켜서 검출부를 형성했다.
(2) 표지 물질 분산액의 제작
입자경 40㎚의 금 콜로이드(표지부)를, 50mM의 KH2PO4 완충액(pH7.0)으로 60μg/mL의 농도로 희석한 분산액 10mL에, 항hCG 항체(마우스 모노클론성 항체)(결합부)를 1mL 더하고, 실온에서 10분간 정치했다. 다음으로, 1질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의 수용액 0.5mL를 금 콜로이드 및 항hCG 항체를 포함하는 분산액에 더하고 교반한 후, 10질량%의 BSA(소혈청알부민)의 수용액 1mL를 더하고 더 교반했다. 다음으로, 원심 가속도 7,000G로 15분간 원심 분리를 행하여, 상청(上淸)을 제거했다. 다음으로, 침전물에, PEG(중량 평균 분자량 20,000)를 0.05질량%, NaCl을 0.009질량%, BSA를 1질량% 및 NaN3를 0.095질량% 포함하는 20mM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8.2)을 더하고, 표지 물질(금 콜로이드에 의해서 표지된 항hCG 항체)을 분산시켰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표지 물질 분산액을 제작했다.
(3) 컨주게이트 패드의 제작
상기에서 제작한 표지 물질 분산액 0.7mL에, PEG(중량 평균 분자량 20,000)를 0.05질량% 및 수크로오스를 3.5질량% 포함하는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8.2)을 2.1mL 더하고 교반하여, 도포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도포액을 150㎜×8㎜×400㎛의 글라스파이버제의 패드(Ahlstrom제)에 균등하게 도포한 후, 진공 건조기로 건조시켜서, 컨주게이트 패드를 제작했다.
(4) 샘플 패드의 제작
150㎜×18㎜×340㎛의 셀룰로오스제의 패드(Ahlstrom제)에,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8.2) 0.6mL를 균등하게 도포한 후, 온도 50℃에서 1시간 건조시켜서, 샘플 패드를 제작했다.
(5) 흡수 패드의 준비
흡수 패드로서, 150㎜×20㎜의 여과지(Lohmann제)를 준비했다.
(6)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제작
편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배킹 시트(Lohmann제, 150㎜×60㎜)에, 상기에서 제작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컨주게이트 패드, 샘플 패드 및 흡수 패드를, 도 1에 나타내는 겹침 방식으로 첩합하여, 복합 시트를 얻었다. 그때, 샘플 패드와 컨주게이트 패드의 겹침폭은 4㎜, 컨주게이트 패드와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의 겹침폭은 2㎜,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와 흡수 패드의 겹침폭은 5㎜로 하고,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의 검출부가 컨주게이트 패드보다도 흡수 패드에 가깝게 되도록 했다. 복합 시트 전체를 길이 방향으로 5㎜폭마다 절단해서,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의 스트립(전개 방향의 전장 60㎜, 폭 5㎜. 기재의 TD 방향이 샘플의 전개 방향이다)을 얻었다.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성능 평가>
이하의 성능 평가 시험은, 온도 24℃이며 또한 상대 습도 60%의 분위기에 있어서 행했다.
[검사 속도]
hCG 항원(피검출 물질)을 16.7nkat로 되도록, BSA를 1질량% 및 NaN3를 0.095질량%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에 희석하여, 샘플을 제작했다. 샘플 100μL를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샘플 패드에 적하해서 전개시키고, 검출부의 발색을 목시로 확인했다. 샘플을 샘플 패드에 적하한 시점을 기점으로 해서, 검출부의 발색(적색)을 목시로 확인한 시점까지의 시간(검출 시간이라 한다)을 측정하고, 하기의 3단계로 분류했다.
A : 검출 시간이 60초 미만
B : 검출 시간이 60초 이상 80초 미만
C : 검출 시간이 80초 이상
[검사 정도]
검출 시간의 측정과 동시에, 검출부의 발색(적색)의 명료함을 목시에 의해 판정하고, 하기의 3단계로 분류했다.
A : 검출부에 적색 선을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음
B : 검출부에 적색 선을 확인할 수 있음
C : 검출부에 적색 선을 확인할 수 있지만 불명료
표 2에, 실시예 1∼9 및 비교예 1∼5의 각 폴리에틸렌 미다공막(PE 미다공막) 또는 니트로셀룰로오스막(NC막)의 물성과,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2]
2017년 9월 20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번호 제2017-180169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일본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일본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구체적이며 또한 개별적으로 기재된 경우와 동(同)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도입된다.
A :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X : 전개 방향
1 :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2 : 샘플 패드
3 : 컨주게이트 패드
4 : 흡수 패드
5 : 지지체판
11 : 검출부
101 : 피검출 물질
102 : 표지 물질
103 : 복합체
104 : 검출 시약
Y : 물의 이동 방향
6 :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절단편
7 : 폴리프로필렌제의 판
8 : 점착 테이프
9 : 비커
10 : 물
X : 전개 방향
1 :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2 : 샘플 패드
3 : 컨주게이트 패드
4 : 흡수 패드
5 : 지지체판
11 : 검출부
101 : 피검출 물질
102 : 표지 물질
103 : 복합체
104 : 검출 시약
Y : 물의 이동 방향
6 :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의 절단편
7 : 폴리프로필렌제의 판
8 : 점착 테이프
9 : 비커
10 : 물
Claims (9)
-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이 구비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에 사용하기 위한 기재로서,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있어서 적하 1초 후의 물의 접촉각이 0도∼60도이고,
캐필러리 플로 타임이 5초/4㎝∼300초/4㎝인,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막두께가 20㎛∼450㎛인,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이 70%∼95%인,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BET 비표면적이 1㎡/g∼30㎡/g인,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평균 유량 공경이 0.02㎛∼5㎛인,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계면활성제가 부착한 미다공막인,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표면 및 공공 내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플라스마 처리가 실시된 미다공막인,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와,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에 마련된 검출부로서,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검출 시약이 고정화된 검출부
를 구비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 제8항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피 매체를 포함하는,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80169 | 2017-09-20 | ||
JP2017180169 | 2017-09-20 | ||
PCT/JP2018/031822 WO2019058903A1 (ja) | 2017-09-20 | 2018-08-28 | クロマトグラフィー媒体用基材、クロマトグラフィー媒体及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ストリップ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4963A true KR20200054963A (ko) | 2020-05-20 |
Family
ID=6581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7132A Withdrawn KR20200054963A (ko) | 2017-09-20 | 2018-08-28 | 크로마토그래피 매체용 기재, 크로마토그래피 매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217842A1 (ko) |
EP (1) | EP3686600A4 (ko) |
JP (1) | JP6572404B2 (ko) |
KR (1) | KR20200054963A (ko) |
CN (1) | CN111094980A (ko) |
WO (1) | WO201905890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3179838A1 (en) * | 2020-06-09 | 2021-12-16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Biological fluid separation device |
JP7216949B1 (ja) * | 2021-08-12 | 2023-02-02 |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 等電点9.5以上のタンパク質の免疫測定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検体希釈液、並びに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キット |
JP2025101043A (ja) * | 2023-12-25 | 2025-07-07 |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 シート状構造物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92326A (ja) | 2007-05-24 | 2008-12-04 | Bl:Kk | ヒアルロン酸存在下における免疫測定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物 |
JP2009150869A (ja) | 2007-11-29 | 2009-07-09 | Fujifilm Corp |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方法 |
JP2010261912A (ja) | 2009-05-11 | 2010-11-18 | Bl:Kk | ヒト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h3亜型の免疫学的検出法 |
JP2013174607A (ja) | 2005-12-26 | 2013-09-05 | Bl:Kk | A型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h5亜型の検出法 |
JP2014062820A (ja) | 2012-09-21 | 2014-04-10 | Toyo Roshi Kaisha Ltd |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試験ストリップ用メンブレン、試験ストリップ及び検査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33172A (en) * | 1987-04-24 | 1989-05-23 | Ppg Industries, Inc. | Stretched microporous material |
DK1086372T3 (da) * | 1998-03-30 | 2006-09-18 | Orasure Technologies Inc | Opsamlingsindretning til enkelttrinsanalyse af mundvæsker |
US7456025B2 (en) * | 2001-08-28 | 2008-11-25 | Porex Corporation | Sintered polymer membrane for analyte detection device |
JP2005510608A (ja) * | 2001-11-21 | 2005-04-21 | ポ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 個別の親水性−疎水性多孔質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7148070B2 (en) * | 2003-01-24 | 2006-12-12 | Minter Jimmy C | Diagnostic detection method |
WO2005031355A1 (en) * | 2003-09-22 | 2005-04-07 | Quidel Corporation | Devices for the detection of multiple analytes in a sample |
US20070020699A1 (en) * | 2005-07-19 | 2007-01-25 | Idexx Laboratories, Inc. | Lateral flow assay and device using magnetic particles |
WO2008030546A2 (en) * | 2006-09-06 | 2008-03-13 | Ouantrx Biomedical Corporation | Lateral flow test strip with migrating label |
US9128038B2 (en) * | 2012-06-21 | 2015-09-08 | Lifescan Scotland Limited | Analytical test strip with capillary sample-receiving chambers separated by a physical barrier island |
JPWO2014077142A1 (ja) * | 2012-11-14 | 2017-01-05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クロマトグラフィー試験片、クロマトグラフィー試験方法及びメンブレン |
CN105492181B (zh) * | 2013-08-30 | 2018-08-07 | 艺术科技股份有限公司 | 织物状模内用片、其制造方法、预成型体、织物状树脂成型体及其制造方法 |
JP2017067542A (ja) * | 2015-09-29 | 2017-04-06 | 株式会社 ベセル | イムノクロマト法における検査方法及び試験片装置 |
JP2017180169A (ja) | 2016-03-29 | 2017-10-05 | 大阪瓦斯株式会社 | 排気ガスタービン過給機用の補助機構、補助機構を備えた発電設備及び補助機構の制御方法 |
-
2018
- 2018-08-28 EP EP18857801.7A patent/EP368660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8-08-28 US US16/647,704 patent/US2020021784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8-28 KR KR1020207007132A patent/KR20200054963A/ko not_active Withdrawn
- 2018-08-28 WO PCT/JP2018/031822 patent/WO2019058903A1/ja unknown
- 2018-08-28 CN CN201880059796.4A patent/CN111094980A/zh not_active Withdrawn
- 2018-08-28 JP JP2019503376A patent/JP657240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74607A (ja) | 2005-12-26 | 2013-09-05 | Bl:Kk | A型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h5亜型の検出法 |
JP2008292326A (ja) | 2007-05-24 | 2008-12-04 | Bl:Kk | ヒアルロン酸存在下における免疫測定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物 |
JP2009150869A (ja) | 2007-11-29 | 2009-07-09 | Fujifilm Corp |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方法 |
JP2010261912A (ja) | 2009-05-11 | 2010-11-18 | Bl:Kk | ヒト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h3亜型の免疫学的検出法 |
JP2014062820A (ja) | 2012-09-21 | 2014-04-10 | Toyo Roshi Kaisha Ltd |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試験ストリップ用メンブレン、試験ストリップ及び検査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094980A (zh) | 2020-05-01 |
WO2019058903A1 (ja) | 2019-03-28 |
JPWO2019058903A1 (ja) | 2019-11-14 |
EP3686600A1 (en) | 2020-07-29 |
US20200217842A1 (en) | 2020-07-09 |
JP6572404B2 (ja) | 2019-09-11 |
EP3686600A4 (en) | 2021-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56025B2 (en) | Sintered polymer membrane for analyte detection device | |
US10591470B2 (en) | Immunochromatographic analysis method | |
JP6572404B2 (ja) | クロマトグラフィー媒体用基材、クロマトグラフィー媒体及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ストリップ | |
JP6008670B2 (ja) |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試験ストリップ用メンブレン、試験ストリップ及び検査方法 | |
JP5917201B2 (ja) |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試験ストリップ | |
JP2820785B2 (ja) | クロマトグラフアッセイ用多孔質膜装置およびその製法 | |
TWI734361B (zh) | 免疫層析診斷套組用吸收墊及免疫層析診斷套組 | |
TW201839398A (zh) | 用以萃取並測定醣鏈抗原之免疫層析裝置 | |
KR102491301B1 (ko)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및 이뮤노크로마토그래프용 스트립 | |
TW201839397A (zh) | 可防止非特異性反應、用以萃取並測定醣鏈抗原之免疫層析試驗片 | |
KR102102237B1 (ko) | 크로마토 분석 장치 및 크로마토 분석 방법 | |
CN106461650A (zh) | 测试装置、测试盒、转印部件、测试装置制作方法和测试方法 | |
WO2018179983A1 (ja) |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血球分離膜及び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用ストリップ | |
JP7475999B2 (ja) | イムノクロマト展開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迅速検査キット | |
US10393664B2 (en) | Point-of-care test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sample | |
JP7539796B2 (ja) | 多孔質焼結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イムノクロマト展開膜、並びに迅速検査キット | |
US20150369802A1 (en) | Biomolecule Binding Composite Surfaces, Methods Of Making Such Surfaces, Devices Incorporating Such Surfaces, And Methods Of Using Such Surfaces In Biomolecule Binding Assays, And Devices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11222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