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100A -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bluetooth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bluetoo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3100A KR20200053100A KR1020180136274A KR20180136274A KR20200053100A KR 20200053100 A KR20200053100 A KR 20200053100A KR 1020180136274 A KR1020180136274 A KR 1020180136274A KR 20180136274 A KR20180136274 A KR 20180136274A KR 20200053100 A KR20200053100 A KR 202000531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uetooth
- audio device
- content
- bluetooth audio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1469 Cry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376 Panthera tig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13 ear cana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04L65/4069—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태그 고유정보가 기록된 식별 태그를 구비하고 있으며, 식별 태그를 판독한 통신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수신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식별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태그 고유정보가 판독되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와 블루투스 페어링이 수행됨과 더불어 미리 등록된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는 음원 재생 어플리케션이 자동 실행되며, 접속된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콘텐츠를 블루투스 페어링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블루투스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 콘텐츠를 스트리밍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tag in which tag unique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 Bluetooth audio device that outputs content received by Bluetooth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reading the identification tag; When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in the Bluetooth audio device is read, Bluetooth pairing is performed with the Bluetooth audio device from which the tag unique information is read, and a sound source playback application that accesses a pre-registered content server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the connected content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ransmits the content streamed from the server to a Bluetooth paired Bluetooth audio device; And a content server for streaming conten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as a content providing system.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 등의 보급에 힙입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적어도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통신 단말기의 사용량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직장인인 경우 업무 수행을 위해, 학생인 경우에는 과제를 위해 컴퓨터 앞에 앉게 된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s and the like, most users use at least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ag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ing. So, in the case of an office worker, he sits in front of a computer for work, and for a student.
한편,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중계장치인 블루투스를 매개로 하여 통신 단말기 연결되어 벨/멜로디, 영상 데이터 등을 상호 교환하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via Bluetooth, which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relay device,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to exchange bell / melody, video data, and the like.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한다.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Bluetooth (Bluetooth) refers to a short-range wireless technology standard that exchanges information by connecting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laptops, earphones, and headphones. It is mainly used when a low-power wireless connection is required at a very short distance of about 10 meters or more.
방송 폰이나 PMP 폰 등 멀티미디어가 통신 단말기의 주요 기능으로 내장됨에 따라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콘텐츠들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스피커, 블루투스 헤드셋, 블루투스 이어폰 등의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 내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As multimedia, such as broadcast phones and PMP phones, are built in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contents can be viewed using the Bluetooth func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listen to music in a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Bluetooth audio device such as a Bluetooth speaker, a Bluetooth headset, and a Bluetooth earphone.
그러나 기존의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를 이용하여 음원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와 통신 단말기를 블루투스 페어링시켜야 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reproduce a sound source using an existing Bluetooth audio device, there is a hassle of a user who needs to pair the Bluetooth audio device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 연결되는 통신 단말기 내부에 음원 등의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어야만 해서, 다양한 음원 재생에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since content such as a sound source must be stor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Bluetooth audio device, there are limitations in playing various sound sourc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 등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to efficiently use a Bluetooth audio device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태그 고유정보가 기록된 식별 태그를 구비하고 있으며, 식별 태그를 판독한 통신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수신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식별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태그 고유정보가 판독되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와 블루투스 페어링이 수행됨과 더불어 미리 등록된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는 음원 재생 어플리케션이 자동 실행되며, 접속된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콘텐츠를 블루투스 페어링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블루투스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 콘텐츠를 스트리밍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tag in which tag unique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 Bluetooth audio device that outputs content received by Bluetooth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reading the identification tag; When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in the Bluetooth audio device is read, Bluetooth pairing is performed with the Bluetooth audio device from which the tag unique information is read, and a sound source playback application that accesses a pre-registered content server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the connected content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ransmits the content streamed from the server to a Bluetooth paired Bluetooth audio device; And a content server for streaming conten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는, 블루투스 스피커, 블루투스 헤드셋, 블루투스 이어폰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uetooth audio device may include a Bluetooth speaker, a Bluetooth headset, and a Bluetooth earphone.
상기 식별 태그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tag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luetooth audio device or provided inside the Bluetooth audio device.
상기 식별 태그는, NFC 태그, RFID 칩, QR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tag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NFC tags, RFID chips, and QR codes.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가 NFC 태그, RFID 칩, QR 코드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한 경우, 통신 단말기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NFC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NFC 태그의 NFC 고유정보에 할당된 제1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며,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RFID 칩이 판독되는 경우 RFID 칩의 RFID 고유정보에 할당된 제2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며,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QR 코드가 판독되는 경우 QR 코드의 QR 고유정보에 할당된 제2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Bluetooth audio device has at least two of the NFC tag, RFID chip, and QR code,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first content allocated to the NFC unique information of the NFC tag when the NFC tag provided in the Bluetooth audio device is read. Streaming receiving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ting to the Bluetooth audio device. When the RFID chip provided in the Bluetooth audio device is read, the second content allocated to the RFID chip's unique RFID information is streamed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audio device. When the QR code provided in the Bluetooth audio device is read, the second content allocated to the QR unique information of the QR code can be streamed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audio device.
상기 통신 단말기는, 피규어, 인형, 악세서리를 포함하는 상품에 식별 태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태그를 판독하는 통신 단말기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페어링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tag on a product including figures, dolls, and accessories,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ading the identification tag receives content streaming from a content server and transmits it to a Bluetooth paired Bluetooth audio device. It can be characterized by.
상품에 구비된 식별 태그에는,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상품 고유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판독되는 상품 고유정보에 할당된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in the product, product-specific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product is recorde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receive the content allocated to the product-specific information to be read and streamed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 it to the Bluetooth audio device. .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나 상품에 마련된 NFC 태그, RFID칩, QR코드 등의 식별 태그를 이용하여 서버에 등록된 콘텐츠를 손쉽게 재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lay content registered in the server by using an identification tag such as an NFC tag, RFID chip, or QR code provided in a Bluetooth audio device or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는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에 마련된 식별 태그 판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로의 출력 흐름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 마련된 식별 태그 판독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으로의 출력 흐름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 마련된 식별 태그 판독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으로의 출력 흐름을 도시한 그림.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a content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output flow to the Bluetooth speaker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tag readout provided in the Bluetooth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output flow to the Bluetooth headse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tag readout provided in the Bluetooth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the output flow to the Bluetooth earphon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tag readout provided in the Bluetooth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s such,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는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된 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에 마련된 식별 태그 판독에 따른 블루투스 스피커로의 출력 흐름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 마련된 식별 태그 판독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으로의 출력 흐름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에 마련된 식별 태그 판독에 따른 블루투스 이어폰으로의 출력 흐름을 도시한 그림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ntent list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uetooth speaker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tag readout provided in the Bluetooth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output flow,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output flow to the Bluetooth headse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tag readout provided in the Bluetooth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ue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agram shows the output flow to the Bluetooth earphone according to the reading of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in the earphone.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그 고유정보가 기록된 식별 태그를 구비하고 있으며 식별 태그를 판독한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블루투스 수신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와,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에 구비된 식별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태그 고유정보가 판독되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와 블루투스 페어링이 수행됨과 더불어 미리 등록된 콘텐츠 서버(300)에 접속하는 음원 재생 어플리케션이 자동 실행되며, 접속된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콘텐츠를 블루투스 페어링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로 블루투스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 단말기(200)에 콘텐츠를 스트리밍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The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has an identification tag in which tag unique information is recorded, and outputs Bluetooth-received content from the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는, 태그 고유정보가 기록된 식별 태그를 구비하고 있으며, 식별 태그를 판독한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블루투스 수신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오디오 기기이다. 이러한 식별 태그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The Bluetooth
식별 태그라 함은, NFC 태그, RFID 칩, QR 코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NFC 태그에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의 고유정보가 NFC 태그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으며, RFID 칩에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의 고유정보가 칩에 기록되어 있으며, QR 코드에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의 고유정보가 QR 코드 패터닝되어 기록되어 있다. 참고로, QR 코드의 경우, 데이터 영역의‘바둑판 무늬’가 밝은 색이냐 어두운색이냐에 따라 0과 1을 구분하는 것이다. 바둑판무늬가 조밀할수록 많은 데이터를 넣을 수 있다. 들어가는 정보량에 따라 바둑판의 개수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 현재 버전1(바둑판무늬가 가로 21개×세로 21개)부터 버전40(177×177)까지 가능하다. The identification tag may correspond to an NFC tag, RFID chip, or QR code. In the NFC ta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또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라 함은,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콘텐츠(음성, 음향, 영상, 문자, 부호 등)을 출력하는 오디오 기기로서, 블루투스 스피커(100a), 블루투스 헤드셋(100b), 블루투스 이어폰(100c)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참고로, 블루투스 통신이란, 는 무선 통신 기기 간에 근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으로 이도 컴퓨터, 휴대폰, 헤드셋,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인쇄기 등의 기기 간에 정보 전송을 처리한다. 블루투스는 통상 10미터에서 최대 수백 미터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이다. 블루투스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대칭인 경우 4339kbps, 비대칭인 통신 모드의 경우 7232kbps이다. 음성 전송의 경우 64kbps동기 전송 방식 등이 사용된다. 블루투스는 무선 헤드셋, 무선 키보드, PDA, 노트북, 카메라, 이동단말기와 주변장치 간의 무선접속, 이동통신을 통한 조회기능 들을 처리하고 있다In addition, the Bluetooth
콘텐츠 서버(300)는, 복수개의 콘텐츠를 저장하여 등록하고 있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음원 제공 서버, 동영상 제공 서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서버(300)는, 통신 단말기(200)에 콘텐츠를 스트리밍(다운로드) 제공할 수 있다.The
콘텐츠 서버(300)는, 상기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operation, the
참고로 콘텐츠 서버(300)와 통신 단말기(200)간에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데,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refere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통신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인터넷망, WiFi 등을 통하여 콘텐츠 서버(300)와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밖에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MP3P(MPEG layer 3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통신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에 구비된 식별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태그 고유정보가 판독되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와 블루투스 페어링이 수행됨과 더불어 미리 등록된 콘텐츠 서버(300)에 접속하는 음원 재생 어플리케션이 자동 실행되며, 접속된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콘텐츠를 블루투스 페어링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로 블루투스 전송한다.When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in the
이를 위하여 통신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210), 단말기 저장부(220), 단말기 표시부(230), 단말기 입력부(240), 식별 태그 판독부(250), 블루투스 통신부(260), 및 단말기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단말기 통신부(2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
단말기 저장부(2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 대화평가기준, 화면 그래픽 인터페이스(GUI) 정보 등이 저장된 저장체이다. 이러한 저장체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단말기 표시부(230)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모듈이다.The
단말기 입력부(240)는, 단말기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된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모듈이다. 이러한 단말기 입력부(240)와 단말기 표시부(230)는 터치스크린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The
식별 태그 판독부(250)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에 마련된 NFC 태그, RFID 칩, QR 코드 등의 식별 태그를 판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NFC 태그의 NFC 고유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NFC 판독 모듈, RFID 칩의 칩 고유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RFID 칩 판독 모듈, QR 코드의 패턴을 판독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블루투스 통신부(260)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이다.The
단말기 제어부(270)는, 통신 단말기(200)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되어, 콘텐츠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참고로,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통신 단말기(2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The
따라서 단말기 제어부(270)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에 구비된 식별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태그 고유정보가 판독되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와 블루투스 페어링이 수행됨과 더불어 미리 등록된 콘텐츠 서버(300)에 접속하는 음원 재생 어플리케션이 자동 실행되며, 접속된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한다. 그리고,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콘텐츠를 블루투스 페어링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로 블루투스 전송한다.Accordingly, when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in the
따라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가 블루투스 스피커(100a)로 구현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스피커(100a)에 마련된 식별 태그를 판독하여 블루투스 페어링 및 콘텐츠 서버(300) 접속을 통하여 블루투스 스피커(100a)로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가 블루투스 헤드셋(100b)으로 구현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헤드셋(100b)에 마련된 식별 태그를 판독하여 블루투스 페어링 및 콘텐츠 서버(300) 접속을 통하여 블루투스 헤드셋(100b)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Similarly, when the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가 블루투스 이어폰(100c)으로 구현되는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이어폰(100c)에 마련된 식별 태그를 판독하여 블루투스 페어링 및 콘텐츠 서버(300) 접속을 통하여 블루투스 이어폰(100c)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Similarly, when the
한편,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에 마련되는 식별 태그는, NFC 태그, RFID 칩, QR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동일한 블루투스 제1오디오 기기에 NFC 태그와 RFID 칩이 마련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제1오디오 기기에 NFC 태그와 QR 코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제1오디오 기기에 RFID 칩과 RFID 칩이 마련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제1오디오 기기에 NFC 태그, RFID 칩, 및 RFID 칩이 모두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in the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가 NFC 태그, RFID 칩, QR 코드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한 경우, 통신 단말기(200)는, 판독되는 식별 태그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현한다.When the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에 구비된 NFC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NFC 태그의 NFC 고유정보에 할당된 제1콘텐츠를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FC tag provided in the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에 구비된 RFID 칩이 판독되는 경우 RFID 칩의 RFID 고유정보에 할당된 제2콘텐츠를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RFID chip provided in the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에 구비된 QR 코드가 판독되는 경우 QR 코드의 QR 고유정보에 할당된 제2콘텐츠를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로 전송할 수 있다.Likewise, when the QR code provided in the
한편, 식별 태그가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가 아니라, 피규어, 인형, 악세서리 등의 일반적인 상품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식별 태그를 판독하는 통신 단말기(200)는,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콘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페어링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the identification tag may be provided on a general product such as a figure, a doll, and an accessory, rather than the
이때 상품에 구비된 식별 태그에는,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상품 고유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통신 단말기(200)는, 판독되는 상품 고유정보에 할당된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in the product, product-specific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product is recorded, and the
예를 들어, 호랑이 피규어에 마련된 식별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호랑이 울음 소리가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강아지 피규어에 마련된 식별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강아지 울음 소리가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on the tiger figure is read, the tiger crying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따라서 상품 종류에 따라 매칭되는 맞춤형 오디오가 믈루투스 스피커 등의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10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상품 호감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customized audio matching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can be output through th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and presented as the most preferable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among various possible example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블루투스 오디오 기기
200:통신 단말기
300:콘텐츠 서버100: Bluetooth audio device
200: communication terminal
300: content server
Claims (7)
상기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식별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태그 고유정보가 판독되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와 블루투스 페어링이 수행됨과 더불어 미리 등록된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는 음원 재생 어플리케션이 자동 실행되며, 접속된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콘텐츠를 블루투스 페어링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블루투스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 콘텐츠를 스트리밍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A Bluetooth audio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tag in which tag unique information is recorded, and outputting Bluetooth received content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reading the identification tag;
When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in the Bluetooth audio device is read, Bluetooth pairing is performed with the Bluetooth audio device from which the tag unique information is read, and a sound source playback application that accesses a pre-registered content server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the connected content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transmits the content streamed from the server to a Bluetooth paired Bluetooth audio device; And
A content server for streaming conten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including.
블루투스 스피커, 블루투스 헤드셋, 블루투스 이어폰을 포함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uetooth audio device,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including a Bluetooth speaker, a Bluetooth headset, and a Bluetooth earphone.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tag,
Bluetooth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luetooth audio device or provided inside the Bluetooth audio device.
NFC 태그, RFID 칩, QR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tag,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including any one of NFC tags, RFID chips, and QR codes.
통신 단말기는,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NFC 태그가 판독되는 경우 NFC 태그의 NFC 고유정보에 할당된 제1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며,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RFID 칩이 판독되는 경우 RFID 칩의 RFID 고유정보에 할당된 제2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며,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QR 코드가 판독되는 경우 QR 코드의 QR 고유정보에 할당된 제2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f the Bluetooth audio device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of the NFC tag, RFID chip, QR code,
When the NFC tag provided in the Bluetooth audio device is read,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first content assigned to the NFC unique information of the NFC tag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Bluetooth audio device.
When the RFID chip provided in the Bluetooth audio device is read, the second content allocated to the RFID chip's unique RFID information is streamed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audio device.
When the QR code provided in the Bluetooth audio device is read,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that streams the second content assigned to the QR unique information of the QR code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Bluetooth audio device.
피규어, 인형, 악세서리를 포함하는 상품에 식별 태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태그를 판독하는 통신 단말기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페어링된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ducts that include figures, dolls, and accessories are equipped with identification tags,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ading the identification tag,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characterized in that for streaming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and transmits to the Bluetooth paired Bluetooth audio device.
상품에 구비된 식별 태그에는,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상품 고유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기는, 판독되는 상품 고유정보에 할당된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수신하여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identification tag provided on the product, product-specific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product is record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assigned to the unique product information to be read and streamed from a content server to a Bluetooth audio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274A KR20200053100A (en) | 2018-11-08 | 2018-11-08 |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bluetooth |
PCT/KR2019/003143 WO2020096142A1 (en) | 2018-11-08 | 2019-03-18 | Contents providing system using bluetoo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274A KR20200053100A (en) | 2018-11-08 | 2018-11-08 |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bluetoo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3100A true KR20200053100A (en) | 2020-05-18 |
Family
ID=7061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6274A Abandoned KR20200053100A (en) | 2018-11-08 | 2018-11-08 |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bluetooth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53100A (en) |
WO (1) | WO2020096142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3337A (en) | 2008-01-29 | 2010-09-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contents sharing servic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9631A (en) * | 2001-05-23 | 2002-11-30 | (주)오픈브레인테크 | System for providing music data using a bluetooth headset |
US7107010B2 (en) * | 2003-04-16 | 2006-09-12 | Nokia Corporation | Short-range radio terminal adapted for data streaming and real time services |
KR101417760B1 (en) * | 2010-08-09 | 2014-07-09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s using of exterior speaker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
KR20120068646A (en) * | 2010-12-18 | 2012-06-27 | (주)오픈브레인테크 | I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ing bluetooth feature in smart phone |
KR101552830B1 (en) * | 2014-11-10 | 2015-09-14 |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 Method for implementing a bluetooth headset using smart devices |
-
2018
- 2018-11-08 KR KR1020180136274A patent/KR20200053100A/en not_active Abandoned
-
2019
- 2019-03-18 WO PCT/KR2019/003143 patent/WO202009614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03337A (en) | 2008-01-29 | 2010-09-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contents sharing ser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96142A1 (en) | 2020-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023866A (en) | Easy sharing of wireless audio signals | |
CN109274405A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KR20150089666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based on geofence | |
US20150026229A1 (en) |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anothe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US2020031074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output | |
CN115396520A (en) |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KR20130017269A (en) | The terminal display devices mirroring and remote control with smartphone's screen, video and audio | |
CN103687063A (en) | Network connecting method, network connecting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 |
CN104159167A (en) | Wireless audio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CN112788581A (en) | NFC interaction panel, interaction system, interaction method, interac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105407160A (en) |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 |
CN104768084A (en) | Talkback achiev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
KR20150017691A (en) | An electronic-mat and of the operating method, for supplying stories to children using toy figures within an electronic balance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 RFID Tag reader. | |
CN106454299A (en) | Screen projection method and device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 |
KR20200053100A (en) |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bluetooth | |
KR102404364B1 (en) | Electronic apparatus paired with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20097552A (en) | Method for access to internet by watching advertisement | |
CN109155803A (en) |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2015008532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lp of user device | |
JP2017504892A (en) | Data tag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audio frequency | |
CN110719582A (en) | Method for connecting network device with WiFi network and WiFi loudspeaker | |
KR102617419B1 (en) |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access point, system for provi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 |
US20130070575A1 (en) | Alarm method and apparatus in portable terminal | |
KR20080071379A (en) | Local area network operating method using Bluetooth and its terminal device | |
CN109121087A (en) | Communication means,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6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6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0212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0728 Appeal identifier: 2019101002511 Request date: 20190726 Patent event date: 2019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90923 Appeal identifier: 2019101002509 Request date: 20190726 |
|
PJ0801 | Rejection of trial |
Patent event date: 20190923 Patent event code: PJ08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Decision date: 2019092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9101002509 Request date: 201907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51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26 Effective date: 20200728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7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0726 Decision date: 20200728 Appeal identifier: 2019101002511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22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9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