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578A - System for sharing screen using inaudible sound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sharing screen using inaudible sound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0578A KR20200050578A KR1020180133345A KR20180133345A KR20200050578A KR 20200050578 A KR20200050578 A KR 20200050578A KR 1020180133345 A KR1020180133345 A KR 1020180133345A KR 20180133345 A KR20180133345 A KR 20180133345A KR 20200050578 A KR20200050578 A KR 202000505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screen sharing
- sharing
- providing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유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면 공유 장치에서 비가청 음파를 통해 식별 정보를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여러 화면 제공 단말로 브로드캐스팅하여 각 화면 제공 단말에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해 자신의 화면을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로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로 브로드캐스팅 (broadcasting)하는 화면 공유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 중, 상기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을 발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을 상기 화면 공유 장치와 페어링하는 화면 공유 서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페어링된 상기 화면 공유 장치로 전송하여 공유 화면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sharing system and apparatus using non-audible sound waves, and more specifically, from a screen sharing device controlling a shared display, broadca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non-audible sound waves to various screen providing terminals located in a specific sp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sharing system and apparatus using non-audible sound waves that allow each screen providing terminal to easily share its screen with the shared displa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sharing apparatus for encoding one'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inaudible sound wave and broadcasting it to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And among the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receiving the inaudible sound wave, deco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haring the screen with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hat has sent a pairing request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creen sharing server paired with a device, wherein the screen sharing server transmits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o the paired screen sharing device to provide the shared screen. Disclosed is a screen sharing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유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면 공유 장치에서 비가청 음파를 통해 식별 정보를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여러 화면 제공 단말로 브로드캐스팅하여 각 화면 제공 단말에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해 자신의 화면을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로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sharing system and apparatus using non-audible sound waves, and more specifically, from a screen sharing device controlling a shared display, broadca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non-audible sound waves to various screen providing terminals located in a specific sp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sharing system and apparatus using non-audible sound waves that allow each screen providing terminal to easily share its screen with the shared displa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종래에는 회의 등의 진행 상황에 따라 회의 참가자들 등 다수의 사용자들이 노트북 등 각자의 단말 화면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하기 위하여 RGB 케이블이나 HDMI 케이블 등 유선 케이블을 수시로 바꿔 끼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Conventionally,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a conference, a large number of users, such as conference participants, have the inconvenience of changing a wired cable such as an RGB cable or an HDMI cable from time to time in order to share their terminal screens such as a laptop with other users.
또한, 상기 유선 케이블 외에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등 무선 연결을 이용하여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도 있으나, 위와 같이 무선 연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연동 규격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가 공유 디스플레이 등을 특정하여 무선 연결을 위한 여러 설정들을 직접 세팅하여야 하는 등 오히려 소요되는 시간과 불편함이 가중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여러 회의 참가자가 수시로 화면을 바꾸면서 회의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가 따랐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sharing a screen using a wireless connection such as Wi-Fi Direct or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in addition to the wired cable, but when using a wireless 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interlocking specifications are not only complicated. Rather, each user specified a shared display and manually set various settings for a wireless connection, which could increase the time and inconvenience, and furthermore, when several conference participants change the screen from time to time to proceed with the conference,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the user's discomfort was exacerbated.
이에 따라, 회의 참가자 등 다수의 사용자들이 각자의 단말 화면을 공유 디스플레이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공유할 수 있는 화면 공유 기술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명쾌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Accordingly, a demand for a screen sharing technology that allows multiple users, such as conference participants, to share their terminal screens more easily and quickly with a shared display continues, but a clear solution to this has not yet been propo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회의 참가자 등 다수의 사용자들이 노트북 등 각자의 단말 화면을 공유 디스플레이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 screen sharing system and apparatus that allows a plurality of users, such as conference participants, to share their terminal screens such as a laptop more easily and quickly with a shared display. It aims to provide.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아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detail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is technical field through specific contents described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화면 공유 시스템은,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화면 공유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 중, 상기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pairing) 요청을 발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을 상기 화면 공유 장치와 페어링하는 화면 공유 서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페어링된 상기 화면 공유 장치로 전송하여 공유 화면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encod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an inaudible sound wave and broadcasts it to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Screen sharing device; And among the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receiving the inaudible sound wave, deco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including a pairing request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creen sharing server paired with the screen sharing device, wherein the screen sharing server transmits shared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o the paired screen sharing device to provide a shared screen. It is characterized by.
이때,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자신의 식별 정보(=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을 상기 화면 공유 서버로 발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may send a pairing request including the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creen sharing server.
또한,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화면 공유 장치 및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의 페어링 허용 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 상기 페어링 허용 여부를 회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sharing server,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the pairing of the screen sharing device and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may reply to whether the pairing is allowed to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또한,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화면 공유 장치가 다른 화면 제공 단말과 페어링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 공유 장치 및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의 페어링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른 화면 제공 단말에 대한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creen sharing server receives a pairing request of the screen sharing device and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while the screen sharing device is paired with another screen providing terminal, the screen sharing server performs pairing with the other screen providing terminal. Release, and pairing may be performed on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또한,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은, 상기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서버로 전송함에 있어, 상기 화면 공유 장치의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may transmit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to the screen sharing server, together with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creen sharing device.
또한,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이 현재 상기 화면 공유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증한 후,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한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verifying whether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is currently paired with the screen sharing device, the screen sharing server transmits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o the screen sharing device. Can be.
또한, 상기 화면 공유 장치는, 상기 비가청 음파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sharing apparatus may repeatedly broadcast the inaudible sound wa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면 공유 장치는, 화면 제공 정보의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화면 공유 장치에 있어서,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비가청 음파 브로드캐스팅부; 및 화면 공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전송받아 공유 화면으로 제공하는 공유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 중, 상기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pairing) 요청을 발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을 상기 화면 공유 장치와 페어링하고,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페어링된 상기 공유 화면 제공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reen sha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creen sharing device that receives and provides shared screen information of screen providing information, encod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an inaudible sound wave ( an inaudible sound wave broadcasting unit encoding and broadcasting to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And a sharing screen providing unit receiving the sharing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creen sharing server and providing the shared screen as a sharing screen, wherein the screen sharing server receives the inaudible sound waves from among the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Deco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iring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hat has sent a pairing request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creen sharing device, and receiving from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aired sharing screen provid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면 공유 서버는,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 중, 화면 공유 장치가 발신한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pairing) 요청을 발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을 상기 화면 공유 장치와 페어링하는 페어링 처리부; 및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페어링된 상기 화면 공유 장치로 전송하는 공유 화면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면 공유 장치는,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공유 화면 전송부로부터 전송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공유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reen sharing serv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receives the inaudible sound wave transmitted by the screen sharing device, decode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e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airing processor configured to pair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hat has sent a pairing request to the screen sharing device; And a shared scree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o the paired screen sharing device, wherein the screen sharing device ha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ncoded (broadcasting) to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and receiving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hared screen transmit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shared scree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에서는, 공유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면 공유 장치에서 비가청 음파를 통해 식별 정보를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여러 화면 제공 단말로 브로드캐스팅하여 각 화면 제공 단말에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해 자신의 화면을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로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screen sharing system and apparatus using an audible sound 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sharing device controlling a shared display is provided with multiple screen providing terminals located in a specific space through the audible sound wave By broadcasting, each screen providing terminal can easily share its screen with the shared displa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에서의 페어링 단말의 교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에서의 화면 공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에서의 화면 공유 서버의 구성도이다.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scrib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creen sharing system using inaudible sound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screen sharing method using inaudible sound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creen sharing system using inaudible sound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placement of a pairing terminal in a screen sharing system using inaudible sound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creen sharing apparatus in a screen sharing system using inaudible sound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creen sharing server in a screen sharing system using inaudible sound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limiting. Unless expressly used otherwise, a singular form includes a plural form.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including” or “equipment”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characteristic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other than described.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characteristic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or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Further,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Used only.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을 유발하는 작업 장치에 대한 음성 인식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a work device causing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10)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10)은,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300)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화면 공유 장치(10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300) 중, 상기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pairing) 요청을 발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을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와 페어링하는 화면 공유 서버(20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페어링된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여 공유 화면으로 제공하도록 하게 된다.First,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이때,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는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가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다른 서버 등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와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자신의 식별 정보(=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을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로 발신하여,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가 상기 1 화면 제공 단말(300a)과 화면 공유 장치(100)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또한,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에 대하여,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 및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의 페어링 허용 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 상기 페어링 허용 여부를 회신하여,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가 페어링 허용 여부에 따라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로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이나 화면 데이터 등 공유 화면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또한,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가 다른 화면 제공 단말(도 1의 300b, 300c)과 페어링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 및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의 페어링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른 화면 제공 단말(도 1의 300b, 300c)에 대한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각 단말의 사용자가 수시로 페어링을 요청하면서 간편하게 화면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은, 상기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로 전송함에 있어,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의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에서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 수신한 공유 화면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 수신한 공유 화면 정보를 여러 화면 공유 장치(100) 중 어떤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여 공유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또한,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이 현재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와 페어링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증한 후,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 수신한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여러 화면 제공 단말(300)에서의 페어링 연결의 전환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나아가,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는, 상기 비가청 음파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함으로써, 회의 등의 중간에 들고나는 참여자의 변경이 있더라도 새로운 참여자도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간편하게 자신의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다른 화면 공유 장치(100)와의 식별 정보 중복 등에 따라 식별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각 참여자가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의 변경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에서는, 공유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하는 화면 공유 장치(100)에서 비가청 음파를 통해 식별 정보를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여러 화면 제공 단말(300)로 브로드캐스팅하여 각 화면 제공 단말(300)에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해 자신의 화면을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150)로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screen sharing system and apparatus using an audible sound 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located in a specific space through the audible sound wave in the
또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은, 화면 공유 장치(100)가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300)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단계(S100), 화면 공유 서버(200)가, 상기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300) 중, 상기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을 발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을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와 페어링하는 단계(S200) 및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가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페어링된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여 공유 화면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게 된다.2 is a flowchart of a screen sharing method using inaudible sound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 2, in the screen sharing method using the inaudible sound 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각 구성별로 나누어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Hereinafter, a screen sharing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an inaudible sound 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vided for each configuration and examined in detail.
먼저,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에서는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게 된다(도 3의 ②).First,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는 상기 비가청 음파를 생성할 수 있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화면 공유 서버(200)에서 생성되어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복수의 화면 공유 장치(100)에 대하여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도 3의 ①), 나아가 상기 다수의 화면 제공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분류하여 페어링된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그러나, 본 발명에서 반드시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가 상기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가 스스로 상기 식별 정보를 생성하거나 다른 서버 등에서 상기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어서, 상기 화면 제공 단말(300)은 상기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여 획득할 수 있다(도 3의 ③). Subsequently,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면 제공 단말(300)은 상기 비가청 음파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이에 따라,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의 제1 식별 정보를 획득한 단말 중,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와 연동된 공유 디스플레이(150)로 자신의 화면을 공유하고자 하는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은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을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로 발신하게 된다(도 3의 ④).Accordingly, among the terminals that have obtaine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이때,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자신의 식별 정보(=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을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로 발신하여,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가 상기 1 화면 제공 단말(300a)과 화면 공유 장치(100)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300a transmits a pairing request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여기서, 상기 화면 제공 단말(300)은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와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AN(Local Area Network) 등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거나,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Here, the
이에 따라,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에 대하여,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 및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의 페어링 허용 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 상기 페어링 허용 여부를 회신하게 된다(도 3의 ⑥). Accordingly, the
나아가,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로도 상기 페어링 결과를 전송하여(도 3의 ⑤),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도 자신과 페어링된 제1 화면 공유 장치(300a)를 인식하고, 상기 제1 화면 공유 장치(300a)로부터 전송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검증하거나 상기 제1 화면 공유 장치(300a)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화면 공유 장치(300a)가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의 설정이나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150)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상기 제1 화면 공유 장치(300a)의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이에 따라,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에서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도 3의 ⑦), 상기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도 3의 ⑧). 이에 따라,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는 상기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150)에 제공하게 된다(도 3의 ⑨).Accordingly, the
이때,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은 자신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동영상 포맷으로 생성하여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정지 화면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등 다양한 포맷으로 공유 화면 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이때,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공유 화면 정보를 송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과 페어링된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여 공유 화면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은, 상기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의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화면 공유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공유 화면 정보를 여러 화면 공유 장치(100) 중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여 공유 디스플레이(150)에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나아가,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이 현재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와 페어링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증한 후,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 수신한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하여 여러 화면 제공 단말(300)에서의 페어링 연결의 전환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오류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화면 공유 장치(100)가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과 페어링된 상태(도 4의 ①)에서 다른 제2 화면 제공 단말(300b)가 페어링 요청을 발신하는 경우(도 4의 ②),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에 대한 페어링을 해제하면서(도 4의 ③) 바로 상기 제2 화면 제공 단말(300b)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도 4의 ④)함으로써, 여러 화면 제공 단말(300)의 사용자들이 수시로 페어링을 요청하여 공유 디스플레이(150)에 공유되는 화면을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a screen sha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non-audible sound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또한, 도 5와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에서의 화면 공유 장치(100) 및 화면 공유 서버(200)의 구성도를 예시하고 있다.5 and 6 illustrate the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먼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공유 장치(100)는,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300)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비가청 음파 브로드캐스팅부(110) 및 화면 공유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전송받아 공유 화면으로 제공하는 공유 화면 제공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300) 중, 상기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pairing) 요청을 발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을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와 페어링하고,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공유 화면 제공부(120)로 전송하게 된다.First, as can be seen in FIG. 5, the
또한,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공유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300) 중, 화면 공유 장치(100)가 발신한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pairing) 요청을 발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을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와 페어링하는 페어링 처리부(210) 및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300a)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는 공유 화면 정보 전송부(22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는,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300)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공유 화면 전송부(220)로부터 전송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공유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6,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에서는, 공유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면 공유 장치(100)에서 비가청 음파를 통해 식별 정보를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여러 화면 제공 단말(300)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각 화면 제공 단말(300)에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해 자신의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서버(200)를 거쳐 상기 화면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여 공유 디스플레이(150)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회의 참가자 등 다수의 사용자들이 노트북 등 각자의 화면 제공 단말(300)의 화면을 공유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screen sharing system and apparatus using an audible sound 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m, and are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화면 공유 시스템
100 : 화면 공유 장치
110 : 비가청 음파 브로드캐스팅부
120 : 공유 화면 제공부
150 : 공유 디스플레이
200 : 화면 공유 서버
210 : 페어링 처리부
220 : 공유 화면 전송부
300 : 화면 제공 단말
300a : 제1 화면 제공 단말
10: screen sharing system
100: screen sharing device
110: inaudible sound wave broadcasting unit
120: sharing screen providing unit
150: shared display
200: screen sharing server
210: pairing processing unit
220: shared screen transmission unit
300: screen providing terminal
300a: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Claims (9)
상기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 중, 상기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pairing) 요청을 발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을 상기 화면 공유 장치와 페어링하는 화면 공유 서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페어링된 상기 화면 공유 장치로 전송하여 공유 화면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A screen sharing device for encoding one'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n inaudible sound wave and broadcasting it to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And
Among the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hat receives the inaudible sound wave, decode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 pairing request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creen sharing server that is paired with a screen sharing device.
Here, the screen sharing server, the screen sha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transmit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o the paired screen sharing device to provide a shared screen.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자신의 식별 정보(=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을 상기 화면 공유 서버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Screen sha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pairing request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creen sharing server.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화면 공유 장치 및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의 페어링 허용 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 상기 페어링 허용 여부를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sharing server,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pairing of the screen sharing device and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Screen sha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reply to the pairing is allowed to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화면 공유 장치가 다른 화면 제공 단말과 페어링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 공유 장치 및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의 페어링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른 화면 제공 단말에 대한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sharing server,
When the screen sharing device receives a pairing request of the screen sharing device and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while the screen sharing device is paired with another screen providing terminal,
Unpair the other screen providing terminal,
Screen sha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pairing for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은,
상기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서버로 전송함에 있어,
상기 화면 공유 장치의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In transmitting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to the screen sharing server,
And transmitt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creen sharing device.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이 현재 상기 화면 공유 장치와 페어링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증한 후,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한 공유 화면 정보를 상기 화면 공유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sharing server,
After verifying whether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is currently paired with the screen sharing device,
Screen sha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o the screen sharing device.
상기 화면 공유 장치는,
상기 비가청 음파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sharing device,
Screen sharing system characterized by repeatedly broadcasting the inaudible sound wa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비가청 음파 브로드캐스팅부; 및
화면 공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전송받아 공유 화면으로 제공하는 공유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면 공유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 중, 상기 비가청 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복호화(decoding)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pairing) 요청을 발신한 제1 화면 제공 단말을 상기 화면 공유 장치와 페어링하고,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페어링된 상기 공유 화면 제공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장치.A screen sharing device for receiving and providing screen information sharing screen information,
An inaudible sound wave broadcasting unit that encode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inaudible sound wave and broadcasts it to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And
It includes; a sharing screen providing unit that receives the sharing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creen sharing server and provides it as a sharing screen;
Here, the screen sharing server, among the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receives the inaudible sound wave, decode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 pairing request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screen sha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is paired with the screen sharing device, and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paired sharing screen providing unit.
상기 제1 화면 제공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페어링된 상기 화면 공유 장치로 전송하는 공유 화면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면 공유 장치는, 비가청 음파에 자신의 식별 정보(=제1 식별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여 하나 이상의 화면 제공 단말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공유 화면 전송부로부터 전송되는 공유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공유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서버.
Among the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a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hat receives an inaudible sound wave transmitted by a screen sharing device and decodes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 pairing request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airing processor that pairs the screen with the screen sharing device; And
Includes a shared scree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creen providing terminal to the paired screen sharing device;
Here, the screen sharing device encodes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an inaudible sound wave and broadcasts it to one or more screen providing terminals, and is transmitted from the shared screen transmission unit Screen shar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shared screen by receiving the shared screen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345A KR102646375B1 (en) | 2018-11-02 | 2018-11-02 | System for sharing screen using inaudible sound and apparatus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345A KR102646375B1 (en) | 2018-11-02 | 2018-11-02 | System for sharing screen using inaudible sound and apparatus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0578A true KR20200050578A (en) | 2020-05-12 |
KR102646375B1 KR102646375B1 (en) | 2024-03-12 |
Family
ID=7067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3345A Active KR102646375B1 (en) | 2018-11-02 | 2018-11-02 | System for sharing screen using inaudible sound and apparatus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6375B1 (en)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7111A (en) | 2008-03-10 | 2009-09-15 | (주)유프리즘 | Shared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multi-party electronic conference system |
KR20110095931A (en) * | 2008-12-10 | 2011-08-25 |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 Share content |
KR20120122164A (en) * | 2011-04-28 | 2012-11-07 | 주식회사 케이티 |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by near field communication |
KR20150041677A (en) * | 2013-10-08 | 2015-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ng between mobile devices using sound wave |
KR20150067521A (en) * | 2013-12-10 | 2015-06-1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scrren sharing, scrren sharing service system |
KR20150074446A (en) * | 2013-12-24 | 2015-07-02 |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user contents service using external dongle |
KR20170064417A (en) * | 2015-12-01 | 2017-06-09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s sharing of source device |
KR20180017303A (en) * | 2016-08-08 | 2018-02-21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Method for Providing Asynchronous Reverse Direction Payment based on Application Interlocking by using Affiliated Store's Mobile Device with Sound Signal Sending |
KR20180022748A (en) * | 2018-02-22 | 2018-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
KR101855336B1 (en) * | 2016-11-28 | 2018-05-09 | 주식회사 사운들리 |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volume in audio outputting device |
-
2018
- 2018-11-02 KR KR1020180133345A patent/KR10264637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7111A (en) | 2008-03-10 | 2009-09-15 | (주)유프리즘 | Shared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multi-party electronic conference system |
KR20110095931A (en) * | 2008-12-10 | 2011-08-25 |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 Share content |
KR20120122164A (en) * | 2011-04-28 | 2012-11-07 | 주식회사 케이티 |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by near field communication |
KR20150041677A (en) * | 2013-10-08 | 2015-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ng between mobile devices using sound wave |
KR20150067521A (en) * | 2013-12-10 | 2015-06-1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scrren sharing, scrren sharing service system |
KR20150074446A (en) * | 2013-12-24 | 2015-07-02 |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user contents service using external dongle |
KR20170064417A (en) * | 2015-12-01 | 2017-06-09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s sharing of source device |
KR20180017303A (en) * | 2016-08-08 | 2018-02-21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Method for Providing Asynchronous Reverse Direction Payment based on Application Interlocking by using Affiliated Store's Mobile Device with Sound Signal Sending |
KR101855336B1 (en) * | 2016-11-28 | 2018-05-09 | 주식회사 사운들리 |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volume in audio outputting device |
KR20180022748A (en) * | 2018-02-22 | 2018-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6375B1 (en) | 2024-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20369B2 (en) | Wireless connection establishing methods and wireless connection establishing apparatuses | |
EP2405622A1 (en) | Device communication | |
US20170086233A1 (en) | Connection method for multimedia playing device, main device, and control terminal | |
US9445223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nection method thereof | |
CN104754286B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of calling terminal membership | |
AU201229503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ervice | |
CN105472309B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
CN111726886A (en) |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2393290B1 (en) | Remote control, electronic apparatus and pairing method thereof | |
CN105472306A (en) | Video conference data shar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 |
CN108055497A (en) | A kind of conference signal playing method and device, video conference terminal, mobile equipment | |
US20160134837A1 (en) |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udio and video transmission | |
CN107079383B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jection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3010880B (en) | Elevator accessory authentication method, system, server and storage medium | |
GB2598190A (en) | A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device | |
KR2022002087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Mobile Terminal with Set-top Box | |
KR20200050578A (en) | System for sharing screen using inaudible sound and apparatus thereof | |
WO2016101623A1 (en) | Remote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in multipoint audio and video communication | |
US10362453B2 (en) | PTT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multiple PTT channels | |
WO2014155710A1 (en) |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terminal, and program for terminal | |
CN104952224A (en) | Method for transmitting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terminal and household appliances | |
CN114842981A (en) | A health data reporting and health data query method and device | |
US20200015149A1 (en) | Method of wireless network identification | |
WO200801069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CN110995958A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