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49786A - 족저근막염의 치료 및 지방 이식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족저근막염의 치료 및 지방 이식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786A
KR20200049786A KR1020207007650A KR20207007650A KR20200049786A KR 20200049786 A KR20200049786 A KR 20200049786A KR 1020207007650 A KR1020207007650 A KR 1020207007650A KR 20207007650 A KR20207007650 A KR 20207007650A KR 20200049786 A KR20200049786 A KR 20200049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fat
inner body
guide
plant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863B1 (ko
Inventor
제프리 에이. 구세노프
베쓰 알. 구세노프
Original Assignee
유니버시티 오브 피츠버그-오브 더 커먼웰쓰 시스템 오브 하이어 에듀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시티 오브 피츠버그-오브 더 커먼웰쓰 시스템 오브 하이어 에듀케이션 filed Critical 유니버시티 오브 피츠버그-오브 더 커먼웰쓰 시스템 오브 하이어 에듀케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49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8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83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rotational translation, i.e. movement of piston rod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user activated actuator and the piston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4Foo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5Means for agitating or shaking bl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81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transfusion, e.g. washing, filtering or tha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A61M1/815Piston pumps, e.g. syringes the barrel serving as aspiration container, e.g. in a breast p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8Means for causing or aiding aspiration or plunger re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25Dosing
    • A61M5/31526Dosing by means of stepwise axial movements, e.g. ratchet mechanisms or de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25Dosing
    • A61M5/31528Dosing by means of rotational movements, e.g. screw-thread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7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e.g. vein location means using ultrasonic waves, injection site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8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with vacuum aspiration, e.g. caused by retractable plunger or by connected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1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with guides for needles or instruments, e.g. arcuate slides or bal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8Lip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9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8Limbs
    • A61M2210/086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rosthes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지방 이식 및 환자에게 지방 조직 이식편을 전달하기 위한 지방 처리에 유용한 장치가 본원에 제공된다. 지방 이식 및 족저근막염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족저근막염의 치료 및 지방 이식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7년 8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50,966호의 이점을 주장하고, 이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족저근막(plantar fascia)은 발 뒤꿈치 뼈에서 시작하여 족저에서 중족골(metatarsal bones)의 헤드에 삽입되는 섬유성 밴드이다. 급성 족저근막염(acute plantar fasciitis)은 자세 및 보행 중 인대에 과도한 양의 견인력으로 인해 발생한다. 족저근막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휴식 상태에서 일어날 때 발 뒤꿈치의 통증을 포함한다. 급성 족저근막염에서 통증은 족저근막이 따뜻해지고 더 유연해짐에 따라 보행 중에 개선될 것이다. 하루가 끝날 때에 발 뒤꿈치가 또한 욱신거릴 수 있다.
급성 족저근막염 통증이 해결되지 않으면, 만성 족저근막염(chronic plantar fasciitis) 또는 족저근막증이 발병할 수 있다. 염증 과정의 장기간 존재에 반응하여, 족저근막은 비후해지고 발 뒤꿈치 부착시 단편화 및 퇴화를 일으킬 수 있다. 족저근막증은 초기 족저근막염 제시 후 6 내지 10개월 일찍 발병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족저근막의 크기를 정량하기 위해 초음파 촬영을 사용했다. .4cm 미만의 두께는 정상적인 족저근막 측정으로 간주된다. .4cm 초과의 두께는 병원성인 것으로 간주되고, 족저근막증/만성 족저근막염의 존재를 확인한다. 족저근막염은 발 뒤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모든 발 문제의 11% 내지 15%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급성 족저근막염(90%)은 다른 치료법 중에서도 스트레칭, 얼음, 항염증성 약물, 및 야간 부목으로 보수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그러나, 족저근막염이 있는 집단의 10%의 경우, 재발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치료 옵션은 발 뒤꿈치 통증을 돕지 못한다. 만성 족저근막염은 또한 족저근막증이라 지칭되기도 한다. 만성 족저근막염에 대한 현재의 치료는 여분의 체외 충격파 요법(초음파), 혈소판 풍부 혈장 주사, 개방 족저 근막절개, 내시경 족저 근막절개, 및 다른 침습적 절차(invasive procedure)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에 대한 만족도는 50 내지 95%이지만, 족저근막의 외과적 방출로 인한 합병증은 긴 회복, 신경 손상 및 마비, 상처 감염, 고정으로 인한 심정맥 혈전증, 종골 입방체 증후군(측면 발 통증), 중족골 피로 골절(metatarsal stress fractures), 흉터 형성, 재발성 족저근막염을 포함한다.
지방 이식은 2015년에 70,000건 이상의 그러한 절차로 연조직을 채우는 데 유용함을 발견하는 개발 기술이다. 지방 이식 전문 분야는 다음을 포함한다: 성형 수술; 귀, 코, 목(ENT) 및 안면 성형 수술; 안과 또는 안구 성형 수술; 피부과학 및 코스메틱 피부과학; 경구 및 상악안면 수술; 및 미적 의학. 지방 이식에서, 자가 지방(autologous fat)은, 예를 들어, 지방 흡인 기술에 의해 수득된다. 이어서, 지방 흡입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수득된 지방은 오일, 지방 및 수성 분획으로 분리되고, 지방 분획은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례에서, 스트레이너는 지방 분획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예에서, 지방은 거즈, 예를 들어, TELFA®로 롤링된다. 추가의 예에서, 지방은 원심분리에 의해 분별화된다. 이러한 현재의 분별화 공정은 고가이고, 노동 집약적이고/이거나 지방을 환경에 노출시켜 감염 위험을 증가시킨다. LIPIVAGE®은 개방형 시스템에서 개선된 진공 여과 장치이지만, 진공 시스템과 이후 전달 시스템으로의 이송을 필요로 한다. 수확을 위하고, 각 단계가 비용, 노동 비용, 및 오염 위험을 추가하는 환경 노출 및 여러 장치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빠르고 사용하기 쉽고 저렴한 장치 및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라서, 지방 이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루멘(lumen), 회전축(axis of rotation), 상기 루멘으로부터의 중앙 출구를 포함하는 제1 단부(first end), 상기 루멘 내에 지방 조직 또는 세포를 유지하고 벽을 통해 액체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벽(porous wall),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개구(opening)를 갖는 제2 단부(second end)를 갖는 회전가능한 내부 본체(internal body);
상기 내부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내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외부 본체(external body)로서, 상기 내부 본체의 중앙 출구의 적어도 일부와 정렬되고 상기 내부 본체의 중앙 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임의로 둘러싸는 루어 어댑터(Luer adaptor)와 같은 캐뉼라 어댑터(cannula adaptor)를 포함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갖는, 외부 본체;
상기 내부 본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부 본체의 다공성 벽의 내부 표면과 맞물리는 주변 시일(peripheral seal)을 갖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부착되고 중앙 공동(central cavity)을 규정하는 내부 플런저 본체(internal plunger body);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외부 본체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외부 플런저 본체(external plunger body); 및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 내에,
나선형 쓰레드(spiral thread)를 갖는 원통형 플런저(cylindrical plunger), 상기 플런저의 나선형 쓰레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칫(rachet), 및 상기 래칫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에 부착된 리테이너(retainer), 또는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의 내부 표면 상의 나선형 쓰레드, 플런저, 및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상기 플런저에 부착된 래칫으로서,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의 내부 표면 상의 상기 나선형 쓰레드와 맞물리는 래칫을 포함하는 구동 조립체(drive assembly)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와 피스톤이 회전될 때 상기 내부 본체가 회전하도록 상기 내부 본체와 맞물린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라서, 다음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족저근막 랜드마크를 식별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인간의 발에 적합화된 가이드 장치(guide device)가 제공된다:
지지 부재로서,
예를 들어, 곡선의 내부에 주 표면이 있고, 측면(lateral) 및 내측 단부(medial end)를 갖는 발 뒤꿈치의 후방 표면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곡선의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내측 단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어 연장되고, 임의로 발 뒤꿈치로부터 발의 아치까지 연장되는 발의 내측에 측면으로 직면하거나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주 표면을 갖는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발의 아치에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제3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의 주 표면이 발의 측면을 향하는 측면 방향으로 직면하는 것으로부터 발의 족저 표면(plantar surface)을 향한 상위 방향으로 직면하도록 회전하는 비틀림을 포함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제3 부분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부분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발의 발가락을 향해 연장되고 임의로 발의 족저 표면에 직면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제4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상위로 직면하는 제1 주 표면을 갖는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발 뒤꿈치의 족저 표면을 교차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발 뒤꿈치 가이드로서,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의 제1 또는 제2 부분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고, 임의로 전방 오목면을 갖는 아치형인 발 뒤꿈치 가이드;
상기 발 뒤꿈치 가이드에 부착된 제1 단부,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제4 부분에 고정된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부재가 족저근막에 대해 정렬될 때 족저근막의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가이드 개구를 규정하는 가이드 부재 스트립으로서, 임의로 원위 중족골 헤드 및 종골 뼈를 통과하고, 상기 랜드마크가 족저근막 상의 주사 부위, 예를 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RP(혈소판 풍부 혈장), SVF(간질 혈관 분획) 또는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의 주사 부위인 가이드 부재 스트립.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 다음 단계를 포함하여,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및 조직을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재된 장치의 내부 본체 또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국면에 따르는 주사기 장치 내로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을 끌어들이는(drawing) 단계;
상기 원통형 플런저를 상기 래칫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치의 내부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래칫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본체로부터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을 배출하는(ejecting) 단계.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에 따라서, 다음 단계를 포함하여,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및 조직을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뉼라를 통해 그리고 상기한 장치의 내부 본체, 또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국면에 따르는 주사기 장치 내로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을 끌어들이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런저를 상기 래칫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치의 내부 본체를 회전시켜 상기 래칫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본체로부터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을 주사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라서, 지방 세포를 환자의 족저근막염을 치료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환자의 족저근막으로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족저근막염을 치료하는 방법. 상기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국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족저근막 랜드마크를 식별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상기한 장치, 또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국면에 따르는 주사기 장치, 및/또는 인간 발에 적합화된 가이드 장치를 임의로 이용했다.
도면은 본원에 기재된 장치 및/또는 방법의 다양한 국면의 묘사를 제공하고, 단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족저근막을 보여주는 왼발 족저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가이드 장치의 하나의 국면 또는 구현예를 도시하며, 도 2a는 상기 장치의 족저 도면을 제공하고, 도 2b는 인간 발에 배치된 장치의 정면도를 제공한다.
도 3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가이드 장치의 제2 국면 또는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가이드 장치의 추가의 국면 또는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지방 처리 장치의 한 국면 또는 구현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질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기재된 바와 같은 지방 처리 장치의 한 국면 또는 구현예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각각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지방 처리 장치의 한 국면의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도 8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지방 처리 장치의 한 국면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b-9h는 도 8 및 9a에 도시된 장치의 요소들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지방 처리 장치의 한 국면의 정면도 및 분해도이다.
달리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본 출원에 명시된 다양한 범위에서의 수치 사용은 언급된 범위 내의 최소값 및 최대값은 둘 다 단어 "약"이 선행되는 바와 같이 근사치로서 언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언급된 범위의 위 및 아래의 약간의 변동이 그 범위 내의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이들 범위의 개시는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모든 값을 포함하는 연속 범위로서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포함하는", "포함하다" 또는 "포함된" 및 이의 변형은 개방형인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a" 및 "an"은 하나 이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태, 상처 또는 결함의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바람직한 임상적/의료적 종점을 달성할 목적으로 조성물, 장치 또는 구조물의 임의의 적합한 투여 섭생, 절차 및/또는 투여 경로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함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환자" 또는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동물계의 구성원을 지칭하고, "포유동물"은 인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모든 포유동물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명시된 해부학적 구조의 "위" 또는 "아래"에 있는 언급된 위치 또는 랜드마크와 관련하여, 이들 용어는 명시된 해부학적 구조, 예를 들어, 뼈, 인대, 힘줄 또는 족저근막에 대해 환자 피부의 대향 측면 위의 위치를 지칭하는 것 이외에 임의의 고정된 특정 방향성을 지칭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전방, 후방, 축 또는 내측과 같은 해부학적 방향에 대한 참조 및 원위 및 근위와 같은 생성물의 사용자에 대한 위치의 참조는 단지 장치(device) 또는 기구(apparatus)의 요소의 상대적 방향, 구성, 적응 및 배열을 기재하기 위해 사용되고, 예를 들어, 특정 환자 또는 장치의 최종 사용자와 관련하여 장치의 고정된 공간적 방향을 요구하는 것으로 달리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발 뒤꿈치) 종골 뼈(12), 족저근막(14)(족저건막(plantar aponeurosis)으로 지칭되기도 함) 및 족저근막염에서 염증의 전형적인 부위(15)를 나타내는 인간 왼발(10)의 족저면의 단면도이다. 본원에 기재된 항섬유성 지방 이식 방법뿐만 아니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간단한 외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족저근막염의 치료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가 본원에 제공된다.
족저근막 각도기는 발에서 족저근막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그것은, 예를 들어, 급성 또는 만성 족저근막염을 치료하기 위해 스테로이드, PRP(혈소판 풍부 혈장), SVF(기질 혈관 분획), 또는 지방 세포 또는 조직과 같은 치료적 조성물을 족저근막에 주사하기 위한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도록 한다.
족저근막의 위치의 현재 결정은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신체 검사 또는 초음파의 사용에 달려 있다. 발 뒤꿈치의 잘못된 위치에 스테로이드를 주사하면 만성 발 뒤꿈치 통증 및 보행불능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상태인 지방 패드 위축(fat pad atrophy)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만성 족저근막염 개입은 현재 보다 침습적인 수술 절차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지방 주사에 의한 낮은 침습성 경피적 천공을 위한 수술적 가이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4를 추가로 참고하여 기재된 바와 같이, 장치를 먼저 장치에 굽힘이 있는 발 뒤꿈치를 따라 배치한 다음, 상부 부분은 제1 중족골을 따라 배치시킨다. 발의 내측을 따라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장치에 비틀림이 있다. 이어서, 이동가능한 각도기/나침반 암은 발의 족저근막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족저근막의 다양한 치료 옵션에 대한 정확한 마커를 제공한다. 그것은 다른 크기의 발에 맞게 조정가능할 수 있다.
이 저렴하고 재사용가능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장치는 발 및 발목 외과 의사, 발병 전문의는 물론 성형 외과 의사 및 심지어 실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여 급성 족저근막염을 안전하게 치료하기를 원하는 내과 의사의 훈련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발병 전문의 또는 발 및 발목 외과 의사는 발 해부학에 익숙할 수 있지만, 스테로이드 주사는 종종 잘못 배치되어 치명적인 지방 패드 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성형 외과 의사 또는 족저근막 천공 지방 주사의 새로운 기술을 시도하는 모든 외과 의사는 발 해부학에 대한 정확한 지식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족저근막 마킹 장치는 주로 족저근막 방출에 대한 내시경적 접근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측면 접근법으로 수행된다. 본 설계는 본 발명자들이 다양한 최소 침습적 절차를 위한 족저근막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족저 접근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장치는 초음파 장치의 필요성을 없애고, 의사가 스테로이드의 주사 위치를 확인하여 지방 패드로의 부주의한 주사를 피하도록 도와준다.
한 측면에서, 족저근막염의 치료를 위한 내부 랜드마크를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용이한 참조를 위해, 도 2a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방향성은 장치가 인체에 배치될 때의 표준 해부학적 방향, 즉 도 2a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A, 전면을 향해), 후방(P, 후면을 향해), 내측(M, 신체의 정중선을 향해) 및 측면(L, 신체의 정중선으로부터 멀어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S, 헤드를 향해), 및 하부(I, 발의 바닥을 향해)를 참조하고, 본원에서 임의의 방향의 언급은 지구의 중심 또는 장치 외부의 임의의 물체에 대한 방향을 지칭하지 않는다. 또한, 요소, 부분 또는 구성 요소가 특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요소, 부분 또는 구성 요소가 선형이 아닐 수 있거나, 또한 다른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또한 내측 또는 측면으로 및/또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국면에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5)는 왼발(10)의 족저 측면에서 도시된다. 장치(15)는 제1 단부(21), 제2 단부(22), 제1 부분(23), 제2 부분(24), 제3 부분(25) 및 제4 부분(26)을 갖는 지지 부재(20)를 포함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부분(23)은 아치형이며, 발의 측면으로부터 발 뒤꿈치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발의 발 뒤꿈치 주위에 그리고 발의 발 뒤꿈치에 맞도록 구성되거나 적합화된다. 제2 부분(24)은 제1 부분(23)의 전방, 중간 단부에 연결되고, 지지 부재(20)의 제2 단부(22)를 향해 전방 방향에서 발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제3 부분(25)은 제1 부분(23)에 대향하는 제2 부분(24)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내측으로부터 왼발(10)의 아치 표면을 따라 왼발(10)의 족저 표면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지지 부재(20)의 제4 부분(26)은 제3 부분(25)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제2 단부(22)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왼발(10)의 족저 표면 상의 제1 중족골과 지골의 관절에서 원위 제1 중족골 헤드 위로 연장된다.
제4 부분(26)은 왼발(10)의 족저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평면에 있는 주 표면을 갖는 스트립이다. 금속 또는 다른 재료의 스트립과 관련하여, 스트립은 2개의 주 표면 및 2개의 에지를 갖고, 여기서 주 표면의 폭이 실질적으로, 예를 들어, 스트립의 두께보다 적어도 5배 더 크다. 예시를 위해, 지지 부재(20)의 주 표면(20a)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 부재(20)는 제4 부분(26)의 제1 주 표면이 제2 부분(24)의 주 표면의 평면을 가로 지르는 평면 상에 있도록 제3 부분(25)에서 비틀린다. 실제로, 지지 부재(20)는 제4 부분(26)의 제1 주 표면이 제2 부분(24)의 주 표면의 평면에 대한 각도로, 예를 들어, 75°내지 90°범위의 각도로 평면에 있도록 제3 부분(25)에서 비틀릴 수 있다. 제4 부분(26)은 가이드 홀(28), 예를 들어,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쓰레드화 홀을 포함한다.
지지 부재(20)에 연결된 아치형 발 뒤꿈치 가이드(30)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발 뒤꿈치 가이드(30)는 왼발(10)의 발 뒤꿈치를 교차하도록 구성된 주 표면을 갖고, 도시된 바와 같이, 왼발(10)의 발 뒤꿈치의 족저 표면에 접촉하거나 평행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왼발(10)의 종골(가상)를 통과하는 금속 스트립이다. 발 뒤꿈치 가이드(30)의 주 표면은 제4 부분(26)의 주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곡선 슬롯(32)은 발 뒤꿈치 가이드(30)에 의해 규정된다.
근위 단부(41) 및 원위 단부(42)를 갖는 가이드 부재(40)는 제1의 이형가능 패스너(44)에 의해 이의 근위 단부(41)에서 발 뒤꿈치 가이드(30)에 부착되고, 제2의 이형가능 패스너(46)에 의해 원위 단부(42)에서 지지 부재(20)의 제4 부분(26)에 부착된다. 제1 및 제2의 이형가능 패스너(44, 46)는 너트와 볼트, 너트와 유지형 볼트, 스프링 하중식 핀(spring-loaded pin), 나사, 마찰 피팅, 또는 클립과 같은, 맞물린 위치 및 맞물리지 않은 위치로부터 이행가능할 수 있는 임의의 패스너일 수 있다. 적합한 패스너 또는 리테이너는 기계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제1의 이형가능 패스너(44)는 그것이 발 뒤꿈치 가이드(30)에 대해 가이드 부재(40)의 위치를 유지하는 경우 맞물린 위치에, 가이드 부재(40)가 발 뒤꿈치 가이드(30)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경우 맞물리지 않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이형가능 패스너(46)는 그것이 지지 부재(20)에 대해 가이드 부재(40)의 위치를 유지하는 경우 맞물린 위치에, 가이드 부재(40)가 지지 부재(20)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경우 맞물리지 않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40)를 발 뒤꿈치 가이드(30)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패스너(44)는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유지되고 곡선 슬롯(32)을 통해 통과하고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발 뒤꿈치 가이드(30)와 맞물리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 발 뒤꿈치 가이드(30)와 분리되는 마찰 피팅으로 종결되는 마찰 피팅이다. 패스너(46)는 나사로 고정될 때 가이드 홀(28)과 맞물리고 나사를 풀 때 분리되는 유지 나사이다. 가이드 부재(40)는 또한 가이드 부재를 통해 통과하는 주사 가이드 개구(48a, 48b, 48c, 및 48d)를 규정한다. 주사 가이드 개구(48d)는 센터링 가이드(49)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장치(15)의 후방 단부(23a)로부터 대략 3개의 손가락 폭, 예를 들어, 2"에 위치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부위는 발(10)의 족저 표면에 X로 표시되고, 또한 가이드 부재(40) 상에 마킹(48a)으로 표시된다. 발(10)이 X 또는 등가의 마킹으로 마킹되면, 장치(15)는 주사 전에 발(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사용 시, 장치(15)는 환자의 왼발에 배치되고, 지지 부재의 제1 부분(23)은 환자의 발 뒤꿈치에 배치되고, 제4 부분(26)은 제1 중족골의 원위 헤드 위로 통과한다. 가이드 부재(40)의 원위 단부(42)는 제1 중족골의 원위 헤드에서 제 위치에 고정되어 유지되고, 가이드 부재(40)의 근위 단부(41)는 환자의 종골 위 제 위치에 고정되어 유지되어 주사 가이드 개구가 족저근막을 통과한다. 가이드 부재(40)의 위치 설정은 족저근막의 내측 구성 요소의 위치를 노출시키기 위해 왼발(10)의 엄지 발가락의 굴곡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다. 발(10)에 장치(15)를 배치하기 전에, 족저근막의 내측 구성 요소의 위치를 식별하는 선 또는 다른 마크가 환자의 발에 그려질 수 있고, 이어서 장치는 환자의 발에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부재는 마크 위에 정렬된다. 사용 시,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RP, SVF, 또는 지방 세포 또는 조직 주사의 경우, 장치는, 예를 들어, 장치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거나 지지 부재(20)를 환자의 발에 테이핑함으로써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고, 주사는 주사 가이드 개구(48a, 48b, 48c, 및 48d)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주사 가이드 개구(48a)는 종골 조면에 대한 족저근막의 부착부에 인접한 족저근막의 후방 부분 위로, 예를 들어, 그리고 제한 없이, 1.75 내지 2.25in 내, 예를 들어, 장치의 후방 단부로부터 2in 내로 떨어지고, 예를 들어, 종골 조면 및/또는 패스너(44)에 대한 족저근막의 부착부로부터 0.5 내지 2in 연장된다. 주사 가이드 개구(48a, 48b, 48c, 및 48d)는, 예를 들어,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족저근막염의 치료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RP, SVF, 또는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의 주사 부위를 위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장치(15)는 제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지시된 바와 같이 조정된 가이드 부재(40) 및 하나 이상의 주사 가이드 개구(48a, 48b, 48c, 및 48d)는 스텐실로서 사용될 수 있어서 의사는 환자의 발 위의 하나 이상의 주사 가이드 개구(48a, 48b, 48c, 및 48d)의 윤곽을 추적할 수 있고, 장치는 주사 전에 제거된다.
도 2b는 동일한 구조를 나타내는 유사한 참조번호와 함께 도 2a의 장치(15)의 정면도를 제공한다. 도 2a에서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크 및 루프 패스너(55)(예: VELCRO® 패스너)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장치를 발(10) 위의 제자리에 유지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2b의 장치(15)의 정면도는 또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내측 주사를 위한 내측 가이드 홀(56) 또는 주사 가이드를 도시한다. 추가의 스트랩, 후크 및 루프 패스너, 스트링, 벨트 또는 임의의 구성 또는 구조의 등가 구조물이 장치(15)에 통합되어 장치를 제자리에 추가로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b는 제3 위치(25')에서 지지 부재(20)의 굽힘을 예시하고, 제1 부분(23')은 제3 및 제4 위치(25' 및 26')보다 상위이다. 하나의 국면에서, 내측 가이드 부재(56) 및 제1 주사 가이드 개구(48a)는 3개의 손가락 폭, 또는 1.5" 내지 2.5", 예를 들어, 장치(15)의 후방 단부로부터 2"에 위치된다.
도 3은 유사한 요소를 참조하는 유사 번호와 함께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대안적인 버전을 도시한다. 도 3의 장치에서, 지지 부재의 제4 부분(26)은 측면 및 내측 방향으로 대각선으로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와 대조적으로, 가이드 부재(40)는 맞물리지 않을 때 패스너(46)가 슬라이딩되는 슬롯을 규정한다. 가이드 부재(40)는 또한 추가의 주사 가이드 개구(48e)를 규정하고, 주사 가이드 개구(48a, 48b, 48c, 48d, 및 48e)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지만, 주사 가이드 개구(48a, 48b, 48c, 48d, 및 48e)가 가이드 부재(40)의 노치(50)에 의해 구별되는 연속 개구 주사의 일부이다.
도 4는 환자의 오른발(11)에 적합화된, 도 2a 및 2b에 도시된 장치의 대안적인 버전을 도시하고, 도 2a에 도시된 유사 요소에 대한 참조번호는 아포스트로피로 식별된다. 따라서, 장치(15')는 제1, 제2, 제3 및 제 4 부분(각각, 23', 24', 25', 및 26')을 갖는 지지 부재(20'), 슬롯(32')를 포함하고 환자의 발에 장착시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2 슬롯(33)을 포함하는 발 뒤꿈치 가이드(30'), 주사 가이드 개구(48a', 48b', 48c', 및 48d')를 규정하는 가이드 부재(40'), 패스너(44' 및 46')를 포함한다. 패스너(44')는 슬롯(32') 내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형되어 슬롯(3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가이드 부재(40')를 전방 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해 제2 슬롯(33)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도 2a의 장치의 홀(28)과 대조적으로, 노치 슬롯(29)이 도 4의 장치에 제공되고, 사용 시, 장치(15')가 환자의 발에 장착될 때, 패스너(44')는 가이드 부재(40')가 환자의 족저근막 위에 적절하게 배치될 때까지 슬롯(32' 및 33)을 따라 및 슬롯(32' 및 33)사이에서, 그리고 노치 슬롯(29) 내에서 이동한다.
도 2a 내지 4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20, 20'), 발 뒤꿈치 가이드(30, 30') 및 가이드 부재(40, 40')는 사용 및 저장 동안 실질적인 변형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는 강성 또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금속 스트립이다. 지지 부재(20, 20'), 발 뒤꿈치 가이드(30, 30') 및 가이드 부재(40, 40')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와 독립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국면에서, 지지 부재(20, 20'), 발 뒤꿈치 가이드(30, 30') 및 가이드 부재(40, 40')는 금속성이고,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지만, 실제로 지지 부재(20, 20'), 발 뒤꿈치 가이드(30, 30') 및 가이드 부재(40, 40')는, 제한 없이, 금속, 급속 합금, 세라믹,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 탄소 섬유 또는 이의 조성물 또는 복합체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실제로, 상기 장치가 환자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그것은 열, 화학물질 또는 임의의 다른 허용가능한 수단에 의해 멸균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도 2a 내지 4에 도시된 장치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고, 이의 구성 요소 또는 요소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장치 및 이의 요소는 도 2a 내지 4의 장치의 임의의 국면에 대해 지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a 내지 4에 도시된 상이한 요소, 형상 및 구조물은 상호교환될 수 있다.
도 2a 내지 4에 도시된 장치는 예시를 위한 것이고, 임의의 적합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장치의 위치, 크기, 및 홀, 슬롯 또는 패스너의 수, 또는 전체적인 기하학은 가변적이고 최적화 가능하다.
다른 국면에서, 오염 없이 단일 장치로 지방 흡인, 원심분리 및 환자에게 다시 주사하도록 하는 "푸시 투 스핀(push to spin)" 주사기가 제공된다. 지방흡인으로부터 현재 지방 수확 방법은 자가 지방 이식을 위해 환자에게 다시 주사하기 전에 처리하기 위해 주사기로부터 다른 장치로 지방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최근 시스템은 매우 비싸고, 시간 소모적이거나 다루기 힘들다. 상기 장치는 지방을 배출하기 위해 적절한 음압을 허용하고, 푸시 탑이 지방을 정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지방흡인물로부터 유체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미세다공성 내부 챔버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잠금장치(lock)를 갖는다. 이어서, 지방은 동일한 장치로부터 환자에게 직접 다시 주사될 수 있다. 이 장치는 안면 미용(facial aesthetics) 및 유방암 복원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복원을 포함하는 지방 이식의 오피스 절차에 이상적이다. 최종 사용자는 성형 외과의사, ENT, 구강 악안면외과, 피부과 전문의, 안구 성형 외과의사 및 미용 의학 전문가를 포함한다.
단일 장치로 지방을 흡인시킨 다음, 지방 노출 없이 환자에게 재주사될 수 있다. 현재의 방법은 지방을 공기에 개방 롤링하고, 공기에 개방 원심분리하고 거즈로 심지하고, 스트레이너를 사용하고, 진공, 또는 지방을 정제하기 위한 복잡한 튜브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TELFA®을 필요로 한다. 이 장치는 전형적인 플라스틱 및 다른 재료,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의료용 주사기 및 의료 장치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체, 실리콘, 세라믹, 금속 등으로부터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고, 그래서, 하나의 국면에서, 환자에서의 단일 사용 또는 다중 사용 후 일회용으로 의도된다. 이 장치는 임의로 동일한 환자의 경우, 또는 환자 사이에서 멸균을 견딜 수 있는 적합한 재료로 구성된 경우 재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실습 비용을 절약하고, 주사를 위해 다른 주사기로 옮길 필요가 없고, 안면 확대, 발 또는 손에의 지방 이식, 유방, 또는 다른 향장학적 또는 복원 조짐과 같은 작은 용적의 지방 이식 절차를 위해 오피스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이식 목적을 위한 생지방(지방) 조직을 수득, 처리 및 전달하기 위한 "푸시-투-스핀" 주사기(100)를 도시한다. 주사기(100)는 슬립 또는 록킹 어댑터와 같은 루어 어댑터(111)를 갖는 외부 본체(110),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어 어뎁터(111)로 돌출되는 제1 개구(116a), 및 내부 본체(115)와 본질적으로 직경이 동일한 제2 개구(116b)를 갖는 원통형 다공성 내부 본체(115)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루어 어댑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임의의 적합한 록킹 또는 비록킹 어댑터가 장치에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117a 및 117b)은 내부 본체(115)를 지지하여 내부 본체(115)가 외부 본체(110)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 본체(110)는 루어 어댑터(111)에 대향하는 단부에 릿지 실리콘 시일과 같은 시일(119)을 포함하는 제2 개구(118)를 갖는다.
내부 본체(115)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외부 직경을 갖고 외부 본체(110)의 제2 개구(118)를 통해 통과하는 원통형 외부 플런저 본체(120)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외부 플런저 본체(120)는 내부 본체(115)로 연장되고 시일(119)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고, 그렇지 않으면 제2 개구(118) 내에 유지될 수 있는 제1 단부(121a)를 갖는다. 외부 플런저 본체(120)는 또한 쓰레드화 개구(123)를 규정하는 캡 부분(122)을 갖는 제2 단부(121b)를 갖는다. 니들 베어링(124)은 외부 플런저 본체의 내벽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내부 본체(115) 및 내부 플런저 본체(125)는 각각 외부 본체(110) 및 외부 플런저 본체(120) 내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회전가능하게 유지된"이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사용하여 외부 본체 내에서 중심 축 중심으로 내부 본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내부 본체를 유지시킴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베어링"은 구 또는 실린더와 같은 물체를 롤링하는 기계적 조립체 및 물체를 롤링하기 위한 리테이너, 또는 하나의 기계 부품이 다른 기계 부품과 관련하여 자유로운 이동, 예를 들어, 장치와 관련하여 회전을 허용하고 다른 유용한 구조물, 예를 들어, 인접한 저마찰 표면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구조일 수 있다.
도 5에서, 내부 본체(115) 및 내부 플런저 본체(125)는 기계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베어링에 의해 유지되고, 적합한 물리적 공차(physical tolerance)를 갖는 적합한 베어링이 장치(110)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 베어링(124)은 장치의 사용 동안 인가된 전형적인 축의 힘을 견디기 위해 충분한 축 유지력을 갖도록 선택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매우 다양한 베어링 및 베어링 유형이 있기 때문에, 상이한 베어링 유형이 치환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은 적절한 경우 생략될 수 있고, 대신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그래핀 표면과 같은 저마찰 표면이, 예를 들어, 외부 본체(110)와 만나는 내부 본체(115)의 제1 단부(116a)에 사용될 수 있고, 인접하는 표면 둘 다는 PTFE, 그래핀, 또는 다른 저마찰 재료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플런저 본체(120)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고 니들 베어링(124)과 맞물려서 외부 플런저 본체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원통형 내부 플런저 본체(125)가 도시되어 있다. 니들 베어링(124)은 내부 플런저 본체(125)가 외부 플런저 본체(120)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추가로 유지한다. 내부 플런저 본체(125)는 외부 플런저 본체의 제1 단부(121a)를 넘어 내부 본체 내에서 연장되는 제1 단부(127a), 및 제2 단부(121b) 또는 외부 플런저 본체(120)에 인접한 제2 단부(127b)를 갖는다. 피스톤(129)은 제1 단부(127a) 또는 내부 플런저 본체(125)에 연결되고, 내부 본체 내의 지방 세포 또는 조직과 같은 재료가 피스톤(129)을 제1 개구를 향해 밀어냄으로써 제1 개구(116a)를 통해 강제될 수 있도록 내부 본체(115)의 내벽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피스톤(129)은 릿지 실리콘 또는 다른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표준 의료용 주사기 피스톤일 수 있다. 도 5는 내부 본체(115)의 제2 개구(116b)에서 또는 제2 개구(116b)의 근처에서 제1 위치 중 피스톤(129)을 도시한다. 피스톤(129)이 내부 본체 내의 위치와 관계없이 내부 본체(115)의 내벽과 맞물리지만, 피스톤(129)이 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129)은 내부 플런저 본체(125)의 스피닝, 따라서 피스톤(129)이 내부 본체(115)의 스피닝을 초래하도록 내부 본체(115)의 내벽과 충분한 마찰 또는 맞물림을 가져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내부 본체의 내벽 부분의 직경은 제1 위치에서 피스톤(129)의 맞물림 지점에서 협소할 수 있고, 내부 본체(115), 또는 노치, 기어, 돌기(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지 부재가 내부 본체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노치, 기어, 돌기(들) 또는 내부 본체(115)의 다른 구조와 적절히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정합 구조가 피스톤(129)에 제공되어 내부 플런저 본체(120)의 스피닝이 내부 본체(115)의 회전을 초래하도록 피스톤(129)을 효과적으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는 내부 플런저 본체(125)를 회전시켜 내부 본체(115)를 스피닝하는데 사용된다. 내부 본체(115)를 스피닝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간단한 기계 시스템은 샐러드 스피너(salad spinner)와 관련되는 미국 특허 제7,111,546호에 도시되어 있다. 나선형 쓰레드를 갖는 원통형 플런저(130)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플런저(130)는 한 말단에서 스페이서(132)에 연결되고, 외부 플런저 본체(120)의 외부로 연장된다. 플런저(130)는 피스톤(129)으로부터 멀어지는 플런저(130)를 편향(biasing)시키고, 플런저(130)를 피스톤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축 스프링(134)과 함께, 피스톤(129)을 향해 그리고 피스톤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도 5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드화 개구(123) 내에서 이동한다. 플런저(130)는 외부 플런저 본체(120)의 외부에 있는 노브(136) 및 외부 플런저 본체(120)의 쓰레드화 개구(123)을 맞물려서 플런저(130)를 외부 플런저 본체(120)에 대해 제자리에 록킹하는 쓰레드화 베이스(138)에 연결된다. 외부 본체(110), 외부 플런저 본체(120) 및/또는 노브(136)는 적합한 손 또는 손가락 그립 또는 루프로 구성될 수 있거나 그립핑 및 장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면이 변형될 수 있다.
플런저(130)와 스크류 타입 방식으로 맞물리고 플런저(130)의 축 방향 운동으로 플런저(130)에 대해 스피닝하는 슬롯, 쓰레드 또는 다른 메카니즘을 갖는 래칫(140)이 플런저(130)와 동축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래칫"은 운동이 휠 또는 바에 부여되고, 한 방향으로만 효과적인 운동을 허용하도록 통제되거나 방지될 수 있도록 멈춤쇠가 떨어지는 경사진 이빨을 갖는 바 또는 휠로 구성되는 메카니즘, 또는 제2의 반대 회전 방향이 아니라 한 회전 방향으로의 맞물림을 허용하는 등가의 구조이다. 본원에 기재된 장치와 관련하여, 래칫은 플런저가 가압될 때 래칫, 프런저 및 내부 플런저 본체 조합이 맞물려서 래칫을 한 방향으로 스피닝하고 내부 플런저 본체를 회전시키고, 플런저가 장치의 본체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달리 편향될 때 래칫, 플런저 및 내부 플런저 본체 조합이 풀어져서 플런저가 내부 플런저 본체의 회전을 정지 또는 역전시키지 않고 연장되도록 하는 임의의 기계적 또는 전자기계적 구조를 포함한다. 래칫이 사용될 때, 플런저가 압축될 때, 또는 플런저가 당겨지거나,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에 의해 외부 본체로부터 멀리 편향될 때 래칫이 맞물릴 수 있는 방향이 주목된다. 하나의 국면에서, 스프링의 압축력 및 나선형 쓰레드의 각도 또는 피치에 의해 내부 본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플런저가,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에 의해 외부 본체로부터 멀리 편향되는 경우 래칫은 맞물리고 내부 본체의 회전을 야기한다.
내부 플런저 본체(125)는 래칫(140)을 내부 플런저 본체(125) 내의 제자리에 유지하고, 래칫(140)을 제1 회전 방향으로 맞물리도록 하여 플런저(130)가 피스톤(129)을 향해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내부 플런저 본체를 회전시키고, 래칫(140)을 제2 회전 방향으로 맞물리지 않도록 하여 래칫(140)이 임의의 상당한 회전력을 내부 플런저 본체(125)에 인가하지 않고 리테이너(142)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수 있게 하여 피스톤(129)를 향해 플런저(130)를 가압하면 내부 플런저 본체(125), 따라서, 내부 본체(115)를 회전시키고, 내부 플런저 본체(125) 및 내부 본체(115)가 플런저가 압축 스프링(134)에 의해 제1 위치를 향해 편향될 때 스피닝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쓰레드화 개구(123)와 맞물리는 노브(136)의 쓰레드화 베이스(138)의 사용이 내부 본체(115)의 스피닝 없이 피스톤(129)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다수의 가능한 대안적인 록킹 메카니즘의 유일한 예임이 기계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쓰레드화 개구(123) 및 쓰레드화 베이스(138)는 장치(110)의 기능을 위해 전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노브(136)를 외부 플런저 본체(120)에 근접하게 유지하고 내부 본체(115)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사용 시 바람직할 수 있다.
출구(146)가 외부 본체(110)의 숄더에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외부 본체(110) 내에서 연장되는 튜브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출구(146)는 사용 동안 외부 본체(110)로부터 액체 또는 다른 재료를 배출 또는 흡인하기 위한 배출 포트이다.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출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출구는 지방을 흡인시 부압을 유지하기 위해 캡 또는 잠금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환자로부터 지방 조직을 흡인하거나 지방 조직을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제2 위치에 외부 플런저 본체(120), 내부 플런저 본체(125), 피스톤(129) 및 플런저(130)를 갖는 도 5의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5 및 6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조를 지칭한다. 이 위치에서, 노브(136)의 쓰레드화 베이스(138)가 쓰레드화 개구(123)와 맞물려서 노브(136) 및 외부 플런저 본체(125)가 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도 6의 구성에서, 노브(136) 또는 외부 본체(110)에 대한 외부 플런저 본체(120)의 이동은 제1 개구(116a) 및 루어 어댑터(111)를 향해 또는 이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으로 피스톤(129)을 이동시킬 것이다. 도 6에 암 루어 어댑터(female Luer adaptor)(154)가 구비된 캐뉼라(니들)(152)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외부 본체(110)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일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원통형이다. 내부 본체(115)의 벽은 내부 본체 내에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및 조직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기공, 슬롯 또는 홀을 갖는 다공성인 반면, 내부 본체(115)는 스피닝하고, 액체가 막힘없이 내부 본체(115)의 외부로 통과하도록 한다. 내부 본체의 벽에 적합한 재료 또는 구조물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고, 제한 없이, 일반적으로 폭 또는 직경이 100μM 미만인 개구를 일반적으로 갖는 슬롯화 또는 천공된 재료, 메시, 다공성 중합체 또는 다공성 소결된 금속을 포함한다. 메시는 메시 외부의 내부 본체(115)의 벽에서 임의의 적합한 구성의 다공성 프레임워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장치(100)는 임의의 유용한 크기 또는 용적일 수 있다. 양태에서, 장치(100)가 양 손으로 용이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크기이지만, 장치(100)의 용적, 예를 들어, 외부 본체(110) 또는 내부 본체의 용적은, 예를 들어, 제한 없이, 1cc (입방 센티미터) 내지 100cc, 예를 들어, 1, 2,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또는 100cc의 범위일 수 있다.
사용 시, 장치(100)는 캐뉼라(152)가 장착되고, 노브(136), 내부 플런저 본체(125) 및 피스톤(129)이 압축되고, 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도록 노브(136)의 쓰레드화 베이스(138)는 쓰레드화 개구(123)와 맞물린다. 이 구성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환자로부터 지방 조직을 끌어들이기 위해, 캐뉼라(152)는 환자의 지방 침착물로 삽입되고, 지방 조직은 노브(136) 또는 외부 플런저 본체(12), 및 따라서 피스톤(129)을 제1 개구(116a)로부터 멀어지게 축 방향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외부 본체(110) 내에 부압을 생성시킴으로써, 전형적인 지방 흡인 기술에서와 같이 환자로부터 끌어들여진다.
충분한 양의 지방이 환자로부터 끌어들여지면, 캐뉼라(152)는 환자로부터 제거되고, 장치(100)로부터 제거된다.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50)에 배치되고, 노브(136)의 쓰레드화 베이스(138)는 풀리고 쓰레드화 개구(123)로부터 이형되어 노브(136) 및 플런저(130)가 축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노브(136), 따라서 플런저(130)의 펌핑은 래칫(140), 따라서 리테이너(142), 내부 플런저 본체(125) 및 피스톤(129)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피스톤(129)과 내부 바디(115)의 맞물림으로 인해, 내부 본체(115)는 내부 본체(115) 벽의 개구를 통해 관성 강제 액체와 함께 회전하며, 내부 본체(115)는 지방 세포 및 조직을 유지한다. 액체는 외부 본체(110)의 개구(146)를 통해 흡인되거나 달리 배출되거나 제거된다.
충분한 지방 및 수성 액체가 지방 조직으로부터 분리될 때, 새로운 캐뉼라(152)가 장치(100)에 부착되고, 노브(136)의 쓰레드화 베이스(138)는 쓰레드화 개구(123)에 나사결합되어 플런저(130)의 운동을 제한하고, 캐뉼라는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의 전달을 위해 환자의 부위에 삽입된다. 노브(136)는 제1 개구(116a)를 향해 축 방향으로 가압되어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을 환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장치(100) 또는 등가의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지방 조직 또는 지방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그 장치를 사용하여 지방 조직 또는 세포를 무세포 액체, 예를 들어, 지질 및 수성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의 부위에 세포를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자가 지방 조직을 이식하는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도 5 및 6의 맥락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도 7a 및 7b는 다양한 요소의 크기 및 형상, 그리고 방향이 변경된 도 5 및 6의 장치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푸시 투 스핀 주사기(100')가 도시되어 있고, 참조번호 및 요소는 도 5 및 6에 도시된 장치에 상응하고, 주사기(100')를 기재하는데 불필요한 참조번호는 생략한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주사기(100')의 요소의 기능은 본질적으로 도 5 및 6의 주사기(100)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다. 주사기(100')는 루어 어댑터(111')가 장착된 외부 본체(110')를 포함한다. 루어 어댑터(111')의 루멘 내로 통과하는 제1 개구(116')를 갖는 다공성 내부 본체(115')가 도시되어 있다. 내부 본체(115')는 베어링(117')에 의해 외부 본체(110') 내에 유지된다. 주사기의 모든 국면에서, 베어링은 임의적이다. 외부 플런저 본체(120')는 의료용 주사기를 위한 실리콘 피스톤과 같은 피스톤(129')이 장착된 내부 플런저 본체(125')와 같이 내부 본체(115')의 내벽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플런저(130')는 외부 표면에 나선형 또는 나선형 쓰레드를 갖고, 플런저 리테이너(131')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압축 스프링(134')은 플런저(130')를 둘러싸고, 스프링(134')에 의해 외부 본체(110')로부터 멀리 편향되고, 예를 들어, 릿지(120a'), 또는 외부 플런저 본체(120') 및/또는 플런저 캡(136')에 형성된 다른 적합한 유지 구조물과 맞물리는 캡의 주변 바브(136a')에 의해 외부 플런저 본체(12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유된 플런저 캡(136')과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래칫 리테이너(142')와 맞물리는 래칫(140')이 도시되고, 이는 또한 내부 플런저 본체(125')와 맞물린다. 사용 시, 지방은 루어 어댑터(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 프런저 본체(120')의 이동에 의해 내부 본체(115')로 끌어들여진다. 지방이 내부 본체(115')로 끌어들여지면, 사용자는 외부 플런저 본체(120')를 유지하여 플런저(130')가 래칫(140') 내 및 이에 대해 이동하도록 하여 래칫(140') 및 차례로 래칫 리테이너(142'), 내부 플런저 본체(125')를 야기하고, 내부 본체(115')의 내부 표면에 대한 피스톤(129')의 마찰에 의해 내부 본체(115')를 회전하도록 하여 내부 본체(115')로 끌어들여진 지방 물질로부터 액체를 스피닝하면서 플런저 캡(136')을 루어 어댑터(111')를 향하는 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가압한다. 스피닝이 완료되면, 지방은 플런저 캡(136')을 루어 어댑터(111')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예를 들어, 니들 또는 캐뉼라를 통해 환자의 목적하는 위치로 주사될 수 있다.
도 8(단면도) 및 9a-9h는 루어 어댑터(211)를 갖는 외부 본체(210)를 포함하는 "푸시-투-스핀" 주사기(200)의 추가의 국면을 도시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루어 어댑터는 단지 예시적이고, 임의의 적합한 록킹 또는 비록킹 어댑터가 장치에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본체(210)의 내부에 외부 본체(210) 내에서 회전하고 제1 개구(216)를 포함하는 내부 본체(215)가 배치된다. 상기한 내부 본체(115)와 같이, 내부 본체(215)는 다공성 벽을 갖는다. 도 9b는 액체가 통과할 수 없는 고체 부분(215a), 및 지방 조직이 아니라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부분(215b), 예를 들어, 100마이크론(μ) 기공의 패턴을 나타내는 내부 본체를 도시한다. 도 9c의 내부 본체(215)의 단면은 고체 부분(215a) 및 다공성 부분(215b)의 균일한 간격을 보여준다. 외부 플런저 본체(220)는 내부 부분(115)과 함께 배치되고, 플러그(222)에 의해 외부 본체(210) 내에 정렬되고 밀봉된다. 내부 플런저 본체(225)는 외부 플런저 본체(220) 내에 배치된다. 내부 플런저 본체(225)는 제1 단부, 이하 기재된 플런저 캡의 쓰레드화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쓰레드화 부분(227), 및 내부 나선형 또는 나선형 쓰레드(228)를 갖는다. 피스톤(229)은 내부 플런저 본체(225)의 제2 단부에 부착된다. 플런저(230)는 내부 플런저 본체(228)의 쓰레드(228)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칫(231)을 갖는 내부 플런저 본체(225) 내에 배치된다. 래칫(231)은, 플런저가 루어 어댑터(211)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고, 플런저가 루어 어댑터(211)를 향해 가압되어 내부 본체(215)를 회전시킬 때 래칫(231)의 회전이, 예를 들어, 멈춤쇠에 의해 방지되는 동안 래칫(231)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는, 예를 들어, 멈춤쇠를 포함하는 래칫 메카니즘 및 나선형 쓰레드(228)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갖는다. 쓰레드화 베이스(238)가 장착된 캡(236)이 플런저에 부착된다. 쓰레드화 베이스(238)는 내부 플런저 본체(225)의 쓰레드화 부분(227)과 맞물리고, 풀릴 때(나사 풀릴때) 플런저(230) 및 래칫(231)이 내부 플런저 본체(225) 내에서 이동하게 하여 내부 플런저 본체(225), 따라서 내부 본체(215)를 회전시킨다. 실제로, 이 장치가 올바르게 기능하기 위해 베어링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었다. 주사기(200)의 다양한 요소를 밀봉 및/또는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O-링(245)이 제공된다.
도 8 및 9a-9h를 추가로 참조하고,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푸시-투-스핀 주사기에 적용 가능한, 내부 본체(115, 215) 등의 기공의 기공 크기는 지방 조직이 수집되는 동안 적절한 흡인의 생성을 허용하기에 너무 크거나 지방 조직이 전달될 때 지방 조직이 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에 너무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내부 본체(115, 215) 등의 기공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실드(250)가 제공된다. 실드(250)는 내부 본체(215)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는 내부 표면을 갖는다. 도 8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본체는 돌기(251)를 포함하고, 도 9d-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250)는 돌기(251)가 연장되는 L-형 트랙(252)을 포함한다. 내부 본체의 고체 부분(215a) 및 다공성 부분(215b)과 정렬되는 커버 부분(253) 및 갭(254)이 도시된다. 도 8 및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250)는 내부 본체(215)의 제1 개구(216)가 통과하는 개구(255)를 포함한다. 사용 시, 실드(250)는 내부 본체(215)에 대해 2개의 위치를 갖는다. 도 9g에서, 커버 부분(253)은 내부 본체(215)의 다공성 부분(215b)과 정렬되고 효과적으로 밀봉한다. 도 9h에서, 커버 부분(253)은 내부 본체(215)의 고체 부분(215a)과 정렬된다. 사용 시, 환자로부터 지방을 흡인하는 동안 흡인을 증가시키고 지방 조직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동안 기공을 통해 세포 및 조직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해, 실드(250)는 내부 본체의 다공성 부분(215b)을 커버하도록 회전된다. 내부 본체(215)가 회전하여 흡인된 지방 조직으로부터 액체를 제거하는 경우, 실드(250)는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부분(215b)을 개방하도록 회전된다. 도 8 및 9a-9h의 장치에서, 내부 본체(215)에 대해 실드(250)를 회전시키기 위해 캡(222), 따라서 주사기(200)의 내부 요소가 외부 본체(210)로부터 제거된다. 내부 캐치 또는 장치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레버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이 내부 본체(215)에 대해 실드(250)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내부 본체(215)의 실드(250) 및 다공성 부분(215b)의 다른 구성은 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 한, 즉 내부 본체(215) 내로 지방을 끌어들이고, 액체가 내부 본체(215) 외부를 통과하도록 내부 본체(215)를 회전시키고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을 캐뉼라를 통해 내부 본체(215)로부터 주사하는 능력이 손상되지 않는 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250)는 하나의 커버 부분(253)만을 가질 수 있고, 내부 본체(215)는 하나의 다공성 부분(215b)만을 가질 것이다. 마찬가지로, 실드(250)는 1, 2, 3, 4, 5, 6개 또는 그 이상의 커버 부분(253)을 가질 수 있고, 내부 본체(215)는 각각 1, 2, 3, 4, 5, 6개 또는 그 이상의 다공성 부분(215b)을 가질 것이다.
도 9a는 외부 본체(210) 내부에 있는 트랙(252) 및 돌기(251)를 도시하고, 이 경우, 내부 본체(215)에 대해 실드(250)를 이동시키기 위해, 실드(250) 및 내부에 함유된 요소는 캡(222)을 당겨서 외부 본체(210)로부터 제거된다. 이어서, 내부 본체(215)에 대한 실드(250)의 위치는 손으로 쉽게 변경될 수 있고, 실드(250) 및 내부에 함유된 요소는 외부 본체에 다시 삽입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국면에서, 가압되지 않는 한 실드(250)와 접촉하지 않도록 외부 방향으로 편향되는 외부 본체의 벽 내에 그리고 이를 통해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이것은 내부 본체(215)에 대해 실드(25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가압되지 않을 경우, 버튼은 장치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버튼은 실드(250)에 부착될 수 있고, 유체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임의로 밀봉되는 슬롯 또는 홀을 통해 외부 본체(210)의 벽을 통해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 본체(210)는 내부 본체(215) 및 실드(250)와 함께 회전한다. 도 5에 도시된 스탠드(150)와 유사한 스탠드에 장치를 배치하면, "푸시-투-스핀" 메카니즘이 활성화될 때 전체 주사기 장치의 회전을 허용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통상의 기술자 인식되는 바와 같이, 실드의 포함 및 내부 본체에 대해 실드를 회전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여 주사기(200)의 구조에 대한 이러한 변형은 본원에 기재된 주사기 장치, 예를 들어, 도 5 내지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사기 장치(100, 100', 200, 및 300)의 임의의 국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드의 포함 및 내부 본체에 대해 실드를 회전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여 주사기(200)의 구조에 대한 변형은 내부 본체에 대해 실드의 방향을 회전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의 예시일 뿐이다.
또 다른 국면에서, 도 10a 및 10b(분해도)를 참조하면, 실드(250가 도시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도 8 및 9a-9h의 주사기와 동일한 "푸시-투-스핀" 주사기(300)가 제공된다. 주사기(300)는 외부 본체(310), 내부 본체(315), 외부 플런저 본체(320), 플러그(222), 내부 플런저 본체(225), 피스톤(329), 플런저(330), 가이드(331), 캡(236) 및 O-링(245)을 포함하는 주사기(300)가 도시되어 있다. 국면에서, 내부 부분의 기공 크기는 지방 조직을 흡인하고 주사기(330)로부터 지방 세포의 주사 동안 내부 본체(215)의 기공을 통해 상당한 양의 세포 재료의 통과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흡인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작다.
중요한 것은, 래칫이 한 방향으로만 내부 본체의 스피닝을 허용하는 주사기(100, 100', 200, 및 300)와 관련하여 도시되거나 기재되어 있지만, 구조의 래칫팅 능력은 두 회전 방향에서 맞물림을 위해 생략될 수 있어서 플런저를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방향으로의 스피닝을 유도하고, 플런저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반대 방행으로의 스피닝을 유도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기능적, 인체공학적 또는 심미적 목적으로 제한 없이 최적화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외부 본체가 내부 본체 및, 존재하는 경우, 실드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내부 본체 및 외부 본체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예를 들어,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거나, 예를 들어, 화학, 용매 또는 열 용접 공정에 의해 결합된 단일 구조일 수 있다. 외부 본체가 회전하는 경우, 장치(100, 100', 200, 또는 300)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탠드, 예를 들어 스탠드(150)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는 임의로 장치의 자유로운 스피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사기와 접촉하는 베어링 또는 다른 저마찰 메카니즘 또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기(100, 100', 200, 및 300) 및, 관련되는 경우,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외부 본체, 내부 본체, 실드 및 스피닝 메카니즘의 특정 요소와 같은 그들의 요소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지만, 이는 테이퍼형, 원추형 또는 다른 형상이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추가의 국면에서, 족저근막염의 치료를 위해 도 5 및 6에 예시되고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의 사용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주사기(100, 100', 200, 또는 300) 또는 등가의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지방 조직 또는 지방 세포를 수득하는 단계, 그 장치를 사용하여 지질 및 수성 액체와 같은 무세포 액체로부터 지방 조직 또는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및 족저근막염을 갖는 환자의 족저근막 부위에 세포를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 족저근막염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환자에서 족저근막염을 치료하기에 효과적인 양의 살아 있는 지방 세포를 환자의 족저근막에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세포는 자가(autologous)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 자가이다. 다중 주사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족저근막의 염증, 통증 또는 비후 부위에서 환자의 족저근막에 제공된다. 별도의 날에 다수 계열의 주사가 수행될 수 있다. 지방 세포를 주사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세포는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국면에 따라 상기 기재된 "푸시-투-스핀" 주사기를 사용하여 수득되고 전달될 수 있고, 주사 위치는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국면에 따르는 가이드 장치를 사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실시예 1 - 샘플 족저근막염 치료 프로토콜
족저근막염 및 근막증에 대한 천공 지방 주사
1. 올바른 환자는 병력 및 신체 검사로 식별된다.
2. 초음파는 족저근막의 두께(일반적으로 4mm 초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3. 주사를 위한 족저근막 위치가 식별된다(족저근막의 식별을 돕기 위해 새로운 장치가 발명될 수 있다).
4. 위치는 환자의 촉진 및 통증 반응에 의해 확인된다.
5. 지방 수확을 위한 공여자 부위를 식별하고, 주사 부위에서 1% 리도카인 및 에피네프린을 먼저 주사한다.
6. 60-120cc의 종괴(tumescence)에 무딘 캐뉼라를 주사한다.
7. 적절한 시간(15분)을 기다린 후, 추출 캐뉼라를 사용하여 지방을 수확한다.
8. 이어서, 지방을 3000rpm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기에 삽입한다.
9. 오일 층은 빨아 올리고, 수성 층은 배출한다.
10. 이어서, 지방을 10cc 주사기에서 1cc 주사기로 주입한다.
11. 발은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여 마비시킨다.
12. 족저근막의 내측 밴드에 대해 이전에 식별된 주사 영역의 단일 부위가 식별된다.
13. 엄지발가락이 발과 함께 구부러져 천공에 대한 근막의 최대 장력을 보장한다(이를 위해 특정 장치를 생성시킬 수 있고, 가능하게는 수술 후 부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14. 이어서, 지방을 주사 천공 기술을 사용하여 단일 부위를 통해 족저근막에 주사한다. 이는 무딘 캐뉼라의 사용을 포함한다.
15. 근막은 저항 또는 팝에 의해 느껴지고, 캐뉼라는 근막을 통해 통과된다. 지방은 캐뉼라가 추출될 때 각 천공에 주사된다. 저항이 느껴지지 않을 때까지 다수의 패스가 1mm 미만 간격으로 수행된다(현재, 본 발명자들은 10-30 범위를 갖지만, 근막의 전체 길이에 따라 더 많이 필요할 수 있다). 결과는 족저근막 내에서 지방 방울의 메시 패턴이다
16. 단계 5 내지 12, 14-15에 단일 지방 제조 장치,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푸시-투-스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17. 수술 후 초음파가 족저근막의 두께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18. 수술 후 간호는 수술 후 연장 부목 또는 야간 부목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 절차를 위해 필요한 경우 발의 압력 감소 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 이식 절차를 촉진시키는 특수 수술 후 양말 또는 신발이 개발될 수 있다.
19. 수술 후 스트레칭이 권장된다.
실시예 2 - 임상 결과
지방 이식은 연조직 두께, 형상 및 완전성을 개선하는 것을 돕기 위해 때때로 사용되는 향장학적 및 복원 절차이다. 자가 지방 이식은 상당량의 지방을 갖는 영역(즉, 복부 또는 허벅지)로부터 작은 지방흡인 튜브로 채취한 다음 환자의 다른 부위, 이 경우에 섬유성 족저근막으로 옮겨지는 환자 자신의 지방을 사용하는 절차이다. 천공이 족저근막에서 생성되고, 지방이 주사되어 족저근막을 메쉬함으로써 그것을 팽창시키는 동시에 재생 특성을 위해 지방을 첨가한다. 예비 결과는 이것이 급성 또는 재발성 족저근막염의 치료에 성공적일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것은 환자의 다운타임을 감소시키고 통증 감소와 함께 신체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최소 침습적 무절개 단일 또는 다중 부위 주사 기술이다. 그것은 오피스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저렴한 외래 환자 절차이다. 만성 족저근막염에 대한 현재의 치료는 추가적인 체외 충격파 요법(초음파), 혈소판 풍부 혈장 주사, 개방 족저 근막절개, 내시경 족저 근막절개 및 다른 침습적 절차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에 의한 만족도는 50-95%이지만, 족저근막의 외과적 방출로 인한 합병증은 긴 회복, 신경 손상 및 마비, 상처 감염, 고정으로 인한 심정맥 혈전증, 종골 입방체 증후군(측면 발 통증), 중족골 피로 골절, 흉터 형성 및 재발성 족저근막염을 포함한다.
족저근막의 자가 지방 침윤과 함께 비후성 퇴화 조직을 천공하는 이러한 방법은 그것을 회복시키고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방은 지방 유래 줄기 세포를 함유하고, 지방 자체는 흉터 및 염증 중 하나가 아닌 재생 치유 과정을 자극하는 능력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적으로 지방 이식의 재생 특성은 흉터 형성을 최소화하면서 족저근막의 완전성을 복원하여 개선시키고, 발 뒤꿈치 통증이 가라 앉을 것이다.
이것은 20명의 환자의 무작위 크로스오버 임상 시험에서 연구되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 참여자 중 한 명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왼쪽 발 뒤꿈치 통증의 3년 병력을 나타냈다. 그녀는 침대에서 첫 발을 내딛고 앉은 자리에서 일어날 때마다 왼쪽 발 뒤꿈치에 날카로운 통증과 하루가 끝날 때까지 욱신거리는 통증을 보고했다. 그녀는 코르티손 주사, 물리 치료, 정형외과 관리 및 야간 부목의 사용을 포함하는 보존 치료에 실패했다. 그녀의 초기 스크린에서, 왼발 족저근막의 초음파 측정은 .56cm 두께였다. 무증상 오른발 족저근막은 .3cm 두께로 측정됐다. 그녀는 표준 치료 그룹으로 무작위화되고, 야간 부목 및 지지 스트랩 사용을 6개월 동안 시도했다. 그녀는 보존 치료 6개월 후 불편함이 증가하였음을 주목했다.
6개월 후, 그녀는 족저근막에 지방 주사를 받았다. 지방은 국소 마취하에 그녀의 복부에서 수확했다. 지방을 표준 방식으로 처리하고, 국소 마취하에 단일 주사 부위를 통해 3ml를 왼발에 주사했다. 수술 후 1개월 후 그녀의 통증은 기준선으로 되돌아 갔고, 그녀의 초음파 족저근막 두께 측정은 .49cm였다. 그녀는 다음 달 야간 부목으로 그녀의 발을 적극적으로 스트레칭할 것을 권고받았다. 2개월 후, 그녀는 통증이 개선된 "좋은 날"의 수가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초음파시, 그녀의 족저근막 평균 두께 측정은 .29cm였다. 그녀는 발을 계속 적극적으로 스트레칭하고 4개월 동안(수술 후 6개월) 재평가로 보다 정상적인 활동으로 복귀할 것을 권고받았다.
만성 족저근막염을 위한 지방 이식으로 개선이 주목된다. 절차 및 치료 프로토콜은 증가된 주사 부위, 증가된 지방 침윤 및 보다 적극적인 수술 후 스트레칭으로 변경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더 큰 개선이 관찰된다.
실시예 3
도입: 족저근막염(PF)은 발 뒤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만성 PF는 재발성 염증 및 종골 조면에서 족저근막 삽입의 퇴행으로 인한 고통스러운 상태이다. 근막 비후는 엄청난 통증을 유발하고 삶의 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의 치료 옵션은 합병증 위험이 있는 침습적이거나 결과가 일관성이 없는 비침습적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족저근막을 재생하고 통증을 감소시키고 삶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방 주사를 천공하는 새로운 방법을 평가했다.
방법: 본 발명자들은 전향적인 무작위화 크로스오버 파일롯 연구를 보고한다. 포함된 환자는 비후(>4mm)를 갖는 만성 PF를 가졌고, 6개월 동안 표준 치료에 실패했다. 대상체는 관찰 또는 중재 그룹으로 무작위화했다. 중재는 다중 부위에서 PF에 자가 지방 주사를 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대상체는 기준선 1-/2-/6-개월에 평가했다. 결과는 검증된 발 통증 및 기능 설문, 족저근막 두께, 및 신체 검사를 포함했다. 짝을 이루지 않은 t-테스트가 사용되었다(p<0.05).
결과: >4년 동안 만성 PF의 진단 후 15명의 인간 대상체를 등록하고 무작위화하였다(14명의 여성: 평균 연령 49.9±12.4세, 평균 BMI 29.1±4.8; 관찰, n=6; 중재, n=9). 평균 주사 용적은 2.6±1.6cc/발이었다. 기준선에서,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중재 6개월 및 12개월 후, 실험 그룹은 초음파로 측정된 상당히 덜 두꺼운 족저근막((p<0.05)을 갖는 반면, 관찰 그룹은 족저근막 두께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실험 그룹은 수술 후 1, 2, 6, 및 12개월에 통증이 개선된(p<0.05) 반면, 관찰 그룹은 1 및 2개월에 수술 전(p>0.05)과 비교하여 동일한 통증 수준에 이어, 수술 후 6개월에 개선을 보고했다(p=0.03). 두 그룹은 모두 절차 후 개선된 기능성을 보고했다(p<0.05). 예상치 못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족저근막에 지방 주사를 천공하는 것은 통증 및 일상 활동에서 유망한 개선을 입증한다. 자가 지방 이식은 만성적으로 비후된 족저근막을 리모델링하고 통증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재생 가능성을 갖는 것으로 입증된다.
다음 번호가 매겨진 항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국면을 기재한다.
1. 지방 이식 장치로서,
루멘, 회전축, 상기 루멘으로부터의 중앙 출구를 포함하는 제1 단부, 상기 루멘 내에 지방 조직 또는 세포를 유지하고 벽을 통해 액체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벽,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갖는 회전가능한 내부 본체;
상기 내부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내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외부 본체로서, 상기 내부 본체의 중앙 출구의 적어도 일부와 정렬되고 상기 내부 본체의 중앙 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임의로 둘러싸는 루어 어댑터와 같은 캐뉼라 어댑터를 포함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갖는, 외부 본체;
상기 내부 본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부 본체의 다공성 벽의 내부 표면과 맞물리는 주변 시일을 갖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부착되고 중앙 공동을 규정하는 내부 플런저 본체;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외부 본체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외부 플런저 본체; 및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 내에
나선형 쓰레드를 갖는 원통형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나선형 쓰레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칫, 및 상기 래칫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에 부착된 리테이너, 또는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의 내부 표면 상의 나선형 쓰레드, 플런저, 및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상기 플런저에 부착된 래칫으로서,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의 내부 표면 상의 상기 나선형 쓰레드와 맞물리는 래칫을 포함하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와 피스톤이 회전될 때 상기 내부 본체가 회전하도록 상기 내부 본체와 맞물리는, 지방 이식 장치.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가 나선형 쓰레드를 갖는 원통형 플런저, 플런저의 나선형 쓰레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칫, 및 래칫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내부 플런저 본체에 부착된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지방 이식 장치.
3. 항목 2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래칫이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래칫과만 맞물리는, 지방 이식 장치.
4. 항목 3에 있어서, 상기 래칫 및 리테이너가 맞물려서 상기 원통형 플런저가 상기 외부 본체를 향한 한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방향으로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원통형 플런저가 상기 외부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풀리는, 지방 이식 장치.
5.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가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부착되고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의 내부 표면에서 나선형 쓰레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칫을 포함하는, 지방 이식 장치.
6.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중앙 캐뉼라 어댑터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편향(biasing)시키는 압축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방 이식 장치.
7.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가 배출구(drain outlet)를 추가로 포함하는, 지방 이식 장치.
8. 항목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의 벽은 외부 표면을 갖고, 하나 이상의 다공성 영역 및 하나 이상의 비다공성 영역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내부 본체의 벽의 외부 표면 외부에, 그리고 상기 내부 본체의 벽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는 이동가능한 실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상기 실드는 밀폐된 위치로부터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부 본체의 하나 이상의 다공성 영역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캐뉼라 어뎁터에 부착된 캐뉼라를 통해 지방의 흡인 동안 기공을 통해 공기가 상기 내부 본체로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캐뉼라 어뎁터에 부착된 캐뉼라를 통해 지방 주사 동안 기공을 통해 세포가, 상기 내부 본체가 회전될 때 하나 이상의 다공성 영역을 통해 액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지방 이식 장치.
9. 항목 8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의 벽은 상기 내부 본체의 벽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 3, 4, 5 또는 6개의 균일한 간격의 다공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갭에 의해 분리되는 동일한 수의 실드 부분으로서, 상기 내부 본체의 다공성 영역과 정렬되고, 상기 내부 본체의 다공성 영역과 동일하거나 더 큰 크기이며, 상기 내부 본체 주위의 제1 회전 위치에서는 상기 다공성 영역을 덮고, 상기 내부 본체 주위의 제2 회전 위치에서는 상기 다공성 영역을 덮지 않는 동일한 수의 실드 부분을 포함하는, 지방 이식 장치.
10. 하나 이상의 족저근막 랜드마크를 식별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인간 발에 적합화된 가이드 장치로서,
지지 부재로서,
예를 들어, 곡선의 내부에 주 표면이 있고, 측면 및 내측 단부를 갖는 발 뒤꿈치의 후방 표면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곡선의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내측 단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어 연장되고, 임의로 발 뒤꿈치로부터 발의 아치까지 연장되는 발의 내측에 측면으로 직면하거나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주 표면을 갖는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발의 아치에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제3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의 주 표면이 발의 측면을 향하는 측면 방향으로 직면하는 것으로부터 발의 족저 표면을 향한 상위 방향으로 직면하도록 회전하는 비틀림을 포함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제3 부분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부분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발의 발가락을 향해 연장되고 임의로 발의 족저 표면에 직면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제4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상위로 직면하는 제1 주 표면을 갖는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발 뒤꿈치의 족저 표면을 교차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발 뒤꿈치 가이드로서,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의 제1 또는 제2 부분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고, 임의로 전방 오목면을 갖는 아치형인 발 뒤꿈치 가이드; 및
상기 발 뒤꿈치 가이드에 부착된 제1 단부,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제4 부분에 고정된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부재가 족저근막에 대해 정렬될 때 족저근막의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가이드 개구를 규정하는 가이드 부재 스트립으로서, 임의로 상기 가이드 부재 스트림은 원위 중족골 헤드 및 종골 뼈를 통과하고, 상기 랜드마크가 족저근막 상의 주사 부위, 예를 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RP(혈소판 풍부 혈장), SVF(간질 혈관 분획) 또는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의 주사 부위인 가이드 부재 스트립을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
11. 항목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 스트립이 패스너, 예를 들어, 스크류, 핀 또는 클램프로 상기 발 뒤꿈치 가이드 및/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제4 부분에 가역적으로(reversibly)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 스트립의 방향이 조정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개별 환자의 족저근막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장치.
12. 항목 11에 있어서, 상기 발 뒤꿈치 가이드 및/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제4 부분이 하나의 패스너와 가역적으로 맞물리도록 적합화된 홀 또는 슬롯을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
13. 항목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족저근막으로 내측 주사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내측 주사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
14.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및 조직을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의 장치의 내부 본체로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을 끌어들이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런저를 상기 래칫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치의 내부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래칫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본체로부터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및 조직을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뉼라를 통해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의 장치의 내부 본체로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을 끌어들이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런저를 상기 래칫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치의 내부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래칫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본체로부터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을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항목 10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족저근막에 족저근막염을 갖고, 상기 지방 세포가 상기 족저근막에, 예를 들어, 족저근막에 따르는 패턴으로 수회 주사되어 환자에서 하나 이상의 족저근막염 증상을 개선시키는, 예를 들어, 통증을 감소시키고 족저근막의 염증을 감소시키거나 족저근막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법.
17. 항목 11에 있어서, 항목 10 내지 13 중 어느 한 항목의 가이드 장치를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을 주사하기 전에 환자의 발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부재 스트립의 가이드 개구로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의 족저근막으로의 주사를 가이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항목 17에 있어서, 발에 상기 가이드 부재 스트립의 가이드 개구의 윤곽을 그리는 단계 및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의 주사 전에 발로부터 상기 가이드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항목 15 내지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은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이 주사되는 환자에게 자가(autologous)인, 방법.
20. 환자의 족저근막염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지방 세포를 환자의 족저근막염을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상기 환자의 족저근막에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항목 20에 있어서, 상기 지방 세포의 주사가 환자에서 족저근막염과 관련된 염증, 통증 또는 족저근막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법.
22. 항목 20에 있어서, 상기 지방 세포가 환자의 족저근막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주사되는, 방법.
23. 항목 20에 있어서, 상기 지방 세포의 주사가 다른 날에 반복되는, 방법.
구현예는 다양한 예를 참조하여 기재되었다. 상기 실시예를 읽고 이해하면 다른 것들에 대해 변형 및 변경이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3)

  1. 지방 이식 장치로서,
    루멘, 회전축, 상기 루멘으로부터의 중앙 출구를 포함하는 제1 단부, 상기 루멘 내에 지방 조직 또는 세포를 유지하고 벽을 통해 액체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벽,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갖는 회전가능한 내부 본체;
    상기 내부 본체를 둘러싸고 상기 내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외부 본체로서, 상기 내부 본체의 중앙 출구의 적어도 일부와 정렬되고 상기 내부 본체의 중앙 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임의로 둘러싸는 루어 어댑터와 같은 캐뉼라 어댑터를 포함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갖는, 외부 본체;
    상기 내부 본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부 본체의 다공성 벽의 내부 표면과 맞물리는 주변 시일을 갖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부착되고, 중앙 공동을 규정하는 내부 플런저 본체;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외부 본체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외부 플런저 본체; 및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 내에,
    나선형 쓰레드를 갖는 원통형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나선형 쓰레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칫, 및 상기 래칫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내부 플런저 본체에 부착된 리테이너, 또는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의 내부 표면 상의 나선형 쓰레드, 플런저, 및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상기 플런저에 부착된 래칫으로서,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의 내부 표면 상의 상기 나선형 쓰레드와 맞물리는 래칫을 포함하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와 피스톤이 회전될 때 상기 내부 본체가 회전하도록 상기 내부 본체와 맞물리는, 지방 이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가 나선형 쓰레드를 갖는 원통형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나선형 쓰레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칫, 및 상기 래칫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에 부착된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지방 이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래칫이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래칫과만 맞물리는, 지방 이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및 리테이너는, 맞물림에 따라 상기 원통형 플런저가 상기 외부 본체를 향한 한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방향으로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원통형 플런저가 상기 외부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풀리는, 지방 이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부착되고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내부 플런저 본체의 내부 표면에서 나선형 쓰레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칫을 포함하는, 지방 이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캐뉼라 어댑터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편향시키는 압축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방 이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가 배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지방 이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의 벽은 외부 표면을 갖고, 하나 이상의 다공성 영역 및 하나 이상의 비다공성 영역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내부 본체의 벽의 외부 표면 외부에, 그리고 상기 내부 본체의 벽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는 이동가능한 실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밀폐된 위치로부터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부 본체의 하나 이상의 다공성 영역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캐뉼라 어뎁터에 부착된 캐뉼라를 통해 지방의 흡인 동안 기공을 통해 공기가 상기 내부 본체로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캐뉼라 어뎁터에 부착된 캐뉼라를 통해 지방 주사 동안 기공을 통해 세포가, 상기 내부 본체가 회전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다공성 영역을 통해 액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위치로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지방 이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의 벽은 상기 내부 본체의 벽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 3, 4, 5 또는 6개의 균일한 간격의 다공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갭에 의해 분리되는 동일한 수의 실드 부분으로서, 상기 내부 본체의 다공성 영역과 정렬되고, 상기 내부 본체의 다공성 영역과 동일하거나 더 큰 크기이며, 상기 내부 본체 주위의 제1 회전 위치에서는 상기 다공성 영역을 덮고, 상기 내부 본체 주위의 제2 회전 위치에서는 상기 다공성 영역을 덮지 않는 동일한 수의 실드 부분을 포함하는, 지방 이식 장치.
  10. 하나 이상의 족저근막 랜드마크를 식별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인간 발에 적합화된 가이드 장치로서,
    지지 부재로서,
    예를 들어, 곡선의 내부에 주 표면이 있고, 측면 및 내측 단부를 갖는 발 뒤꿈치의 후방 표면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곡선의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의 내측 단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어 연장되고, 임의로 발 뒤꿈치로부터 발의 아치까지 연장되는 발의 내측에 측면으로 직면하거나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주 표면을 갖는 제2 부분;
    상기 제2 부분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발의 아치에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제3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의 주 표면이 발의 측면을 향하는 측면 방향으로 직면하는 것으로부터 발의 족저 표면을 향한 상위 방향으로 직면하도록 회전하는 비틀림을 포함하는 제3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제3 부분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부분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발의 발가락을 향해 연장되고 임의로 발의 족저 표면에 직면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제4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상위로 직면하는 제1 주 표면을 갖는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발 뒤꿈치의 족저 표면을 교차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발 뒤꿈치 가이드로서,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의 제1 또는 제2 부분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고, 임의로 전방 오목면을 갖는 아치형인 발 뒤꿈치 가이드; 및
    상기 발 뒤꿈치 가이드에 부착된 제1 단부,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제4 부분에 고정된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부재가 족저근막에 대해 정렬될 때 족저근막의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하도록 적합화되거나 구성된 가이드 개구를 규정하는 가이드 부재 스트립으로서, 임의로 원위 중족골 헤드 및 종골 뼈를 통과하고, 상기 랜드마크가 족저근막 상의 주사 부위, 예를 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PRP(혈소판 풍부 혈장), SVF(간질 혈관 분획) 또는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의 주사 부위인 가이드 부재 스트립을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 스트립이 패스너, 예를 들어, 스크류, 핀 또는 클램프로 상기 발 뒤꿈치 가이드 및/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제4 부분에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 스트립의 방향이 조정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개별 환자의 족저근막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 뒤꿈치 가이드 및/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제4 부분이 하나의 패스너와 가역적으로 맞물리도록 적합화된 홀 또는 슬롯을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족저근막으로 내측 주사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내측 주사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
  14.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및 조직을 액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의 내부 본체로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을 끌어들이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런저를 상기 래칫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치의 내부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래칫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본체로부터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및 조직을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뉼라를 통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의 내부 본체로 살아 있는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을 끌어들이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런저를 상기 래칫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치의 내부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래칫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부 본체의 제1 단부를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본체로부터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을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족저근막에 족저근막염을 갖고, 상기 지방 세포가 상기 족저근막에, 예를 들어, 족저근막에 따르는 패턴으로 수회 주사되어 환자에서 하나 이상의 족저근막염 증상을 개선시키는, 예를 들어, 통증을 감소시키고 족저근막의 염증을 감소시키거나 족저근막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이드 장치를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을 주사하기 전에 환자의 발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부재 스트립의 가이드 개구로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조직의 족저근막으로의 주사를 가이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발에 가이드 부재 스트립의 가이드 개구의 윤곽을 그리는 단계, 및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의 주사 전에 발로부터 상기 가이드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은 상기 지방 세포 또는 지방 조직이 주사되는 환자에게 자가인, 방법.
  20. 환자의 족저근막염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지방 세포를 환자의 족저근막염을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상기 환자의 족저근막에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세포의 주사가 환자의 족저근막염과 관련된 염증, 통증 또는 족저근막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세포가 환자의 족저근막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주사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세포의 주사가 다른 날에 반복되는, 방법.
KR1020207007650A 2017-08-28 2018-08-28 족저근막염의 치료 및 지방 이식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568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50966P 2017-08-28 2017-08-28
US62/550966 2017-08-28
PCT/US2018/048278 WO2019046256A1 (en) 2017-08-28 2018-08-28 METHODS AND DEVICE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LANTARIC APONEVROSITY AND GREASE TRANS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786A true KR20200049786A (ko) 2020-05-08
KR102568863B1 KR102568863B1 (ko) 2023-08-22

Family

ID=6552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650A Active KR102568863B1 (ko) 2017-08-28 2018-08-28 족저근막염의 치료 및 지방 이식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918793B2 (ko)
EP (1) EP3675933A4 (ko)
JP (1) JP7322003B2 (ko)
KR (1) KR102568863B1 (ko)
CA (1) CA3073811A1 (ko)
MX (1) MX2020002092A (ko)
WO (1) WO2019046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30034A1 (en) * 2023-08-02 2025-02-06 Microvention, Inc. Aspirating filter syrin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0322A1 (en) * 2011-07-29 2013-01-31 New York University Tissue collection system
US9581942B1 (en) * 2005-03-23 2017-02-28 Shippert Enterprises, Llc Tissue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3659A (en) 1992-07-14 1993-10-19 Endoscopic Heel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endoscopic surgery at locations where tissue inserts into bone
US5786207A (en) * 1997-05-28 1998-07-28 University Of Pittsburgh Tissue dissociating system and method
US7111546B2 (en) * 2004-03-19 2006-09-26 Lifetime Brands, Inc. Salad spinner with improved drive assembly
US8216162B2 (en) * 2004-04-02 2012-07-10 Applied Biokinetics, Llc System for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JP2006232834A (ja) 2005-02-23 2006-09-07 Allan Mishra 組織損傷の治療のための方法及びキット
US7789872B2 (en) * 2005-03-23 2010-09-07 Shippert Ronald D Tissue trans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80171951A1 (en) 2005-03-23 2008-07-17 Claude Fell Integrated System for Collecting, Processing and Transplanting Cell Subsets, Including Adult Stem Cells, for Regenerative Medicine
US7794449B2 (en) * 2005-03-23 2010-09-14 Shippert Ronald D Tissue trans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10037292A (ja) 2008-08-06 2010-02-18 Univ Of Tokyo 脂肪由来幹細胞と塩基性線維芽細胞増殖因子を組み合わせた線維性病変の治療法
US8540078B2 (en) * 2009-06-16 2013-09-24 Biomet Biologics, Llc Liquid separation from adipose tissue
CN108504539B (zh) * 2010-08-06 2021-11-02 通用医院公司以麻省总医院名义经营 用于细胞处理相关应用的系统和设备
US8672866B2 (en) * 2012-08-19 2014-03-18 Christopher Aaron Coates Foot support strap
US20140066847A1 (en) * 2012-08-31 2014-03-06 Allergan, Inc. Foot implant and method for treating a foot
GB2509780B (en) * 2013-01-15 2019-08-28 Brightwake Ltd Fat Processing Device
TWI689326B (zh) * 2014-08-06 2020-04-01 加拿大商複製細胞生命科學公司 注射裝置
DE102015118011A1 (de) * 2015-10-22 2017-04-27 Human Med Ag Vorrichtung zur Transplantation von Körperfett
US11724036B2 (en) * 2016-12-12 2023-08-15 Orchid Holdings, Llc Syringe for processing fat graft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1942B1 (en) * 2005-03-23 2017-02-28 Shippert Enterprises, Llc Tissue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US20130030322A1 (en) * 2011-07-29 2013-01-31 New York University Tissue coll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57059A1 (en) 2024-05-16
WO2019046256A1 (en) 2019-03-07
EP3675933A4 (en) 2021-09-08
MX2020002092A (es) 2020-11-09
JP7322003B2 (ja) 2023-08-07
JP2020531194A (ja) 2020-11-05
US11918793B2 (en) 2024-03-05
KR102568863B1 (ko) 2023-08-22
CA3073811A1 (en) 2019-03-07
EP3675933A1 (en) 2020-07-08
US20200188602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5417B2 (ja) 組織へ治療剤を投与するための装置
BR112019022400A2 (pt) cateter ureteral e sistema para induzir pressão negativa em uma porção do trato urinário de um paciente
KR20180014814A (ko) 임플란트 배치 및 제거 시스템들
TW200835530A (en) Intraosseous device and methods for accessing bone marrow in the sternum and other target areas
US11406806B2 (en) Atraumatic trocar apparatus, system and kit
CA2883536A1 (en) A segmental reconstructive intramedullary nail and delivery system
Fathi et al. Ozone therapy in diabetic foot and chronic, nonhealing wounds
US2024015705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Use in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and Fat Grafting
US10856907B2 (en) Atraumatic trocar medication delivery method
KR101622245B1 (ko) 카테터 고정장치
Hillock et al. Stage II Osteointegration Implant (OI) Skin Coupling Procedure (Continuation from Case Report September 2013)
US20070255224A1 (en) Facet injection kit
Lewis Disappearing plastic cannula
Keys et al. Vascular distribution of contrast medium during intraosseous regional perfusion of the distal portion of the equine forelimb
El-Sayed Ibrahim El-Nagar et al. Endoscopic release of resistant plantar fasciopathy
US10166324B2 (en) Methods and system for treating arthritis
US20220241076A1 (en) Orthopaedic implant to administer a medical substance
RU2536283C1 (ru) Способ новокаиновой блокады
TR2023004507A2 (tr) Geni̇tal prp (trombosi̇t zengi̇n plazma) ki̇ti̇
Chung et al. Cleansing and Care of a Deep and Narrow Wound with Easily Accessible Medical Equipment
Sonakshi et al. IMPORTANCE OF UPYANTRA IN SHALYA CHIKITSA
RU61564U1 (ru) Вагинальный, ректальный тампон-инъектор
RU2306110C2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го лечения огнестрельных переломов
RU2139692C1 (ru) Извлечение от вросшего ногтя без удаления ногтя, операция клокова
Kambe et al. Clinical Study to View Significance of Raktamokshana in the Management of Ghridhra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