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045A - Autolight Sensor Module for wide spread Sensing - Google Patents
Autolight Sensor Module for wide spread Sens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8045A KR20200048045A KR1020180129674A KR20180129674A KR20200048045A KR 20200048045 A KR20200048045 A KR 20200048045A KR 1020180129674 A KR1020180129674 A KR 1020180129674A KR 20180129674 A KR20180129674 A KR 20180129674A KR 20200048045 A KR20200048045 A KR 202000480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light sensor
- auto light
- vehicle
- surface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60Q2300/337—Tunnels or b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통합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오토라이트센서, 상방 오토라이트센서, 레인센서, 포토센서, 디포그센서를 통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설치한 통합센서에 있어서, 상방 오토라이트센서의 렌즈를 개선하여 상측의 넓은 범위의 공간을 감광하고, 이를 통해 실내외 조명장치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라이트센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상방의 광각에 걸쳐 명도를 감지함으로써, 보다 신뢰도 있는 측정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형상의 렌즈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제조 비용의 큰 증가 없이 명도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senso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sensor installed in one module by integrating a front auto light sensor, an upward auto light sensor, a rain sensor, a photo sensor, and a defog sensor, the upper auto light It relates to an auto light sensor that improves the lens of a sensor to sense a wide range of space on the upper side, and thereby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indoor and outdoor lighting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derive a more reliable measurement result by sensing brightness over a wide angle above the driv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rightness detection performance without a significant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nly by adding a lens of an improved shap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통합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오토라이트센서, 상방 오토라이트센서, 레인센서, 포토센서, 디포그센서를 통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설치한 통합센서에 있어서, 상방 오토라이트센서의 렌즈를 개선하여 상측의 넓은 범위의 공간을 감광하고, 이를 통해 실내외 조명장치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라이트센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senso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sensor installed in one module by integrating a front auto light sensor, an upward auto light sensor, a rain sensor, a photo sensor, and a defog sensor, the upper auto light It relates to an auto light sensor that improves the lens of a sensor to sense a wide range of space on the upper side, and thereby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indoor and outdoor lighting devices.
차량의 전방유리에는 차량의 헤드램프나 내부 조명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오토라이트 센서, 비의 양을 감지하여 윈도우와이퍼를 제어하기 위한 레인센서, 실내 온도 및 공조 제어를 위한 포토센서,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디포그센서가 구비된다.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re is an auto light senso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dlamp or interior lighting device of the vehicle, a rain sensor for controlling the window wiper by detecting the amount of rain, a photo sensor for controll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air conditioning, and Kim Seorim A defog sensor is provided to prevent it.
최근에는 이러한 센서들을 하나의 패키지 안에 모두 포함시킨 통합센서가 출시되고 있는데, 여기에 포함된 오토라이트센서는 외부의 빛의 밝기(이하 명도라 통칭함)를 감지하여, 야간시나 터널에 진입하여 빛이 어두운 경우 차량의 헤드램프나 내부램프를 켜고, 주간시나 터널에서 나와 빛이 밝은 경우에는 이를 끄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 램프의 조도를 더욱 높이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Recently, an integrated sensor that includes all of these sensors in a single package has been released. The auto light sensor included here detects the brightness of the external l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rightness), and enters the light at night or in a tunnel. In this dark case, the headlamp or interior lamp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nd when the light comes out of the daytime or tunnel, it is turned off or, if necessary, information is provided to further increase the illumination of the lamp.
차량이 교각, 고가도로의 하측을 지나며 일시적, 국부적으로 명도가 변하는 경우에 오토라이트센서의 감지 범위가 좁다면, 헤드램프나 내부 조명장치가 너무 빈번하게 점멸을 반복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만약 오토라이트센서가 넓은 범위의 명도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면, 이를 복합적으로 분석하고 연산하여, 운전자에게 적합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detection range of the auto light sensor is narrow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pier and the elevated road and the brightness changes temporarily and loc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d lamp or the internal lighting device repeats flashing too frequently. If the auto-light sensor is capable of collecting a wide range of brightness, it will be able to analyze and calculate it in a complex manner to provide appropriate control to the driver.
즉, 보다 신뢰도 있고 사용자 편의에 걸맞는 다양한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오토라이트센서의 감지 범위가 상방의 최대한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감지센서유닛의 성능이나 스펙이 좋은 것을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That is, in order to provide more reliable and various controls suitable for user convenience, it is necessary to enable the detection range of the auto light sensor to cover the widest range as far as possible, and for this purpose, use the sensor sensor unit with good performance or specifications. I had to.
따라서 고가의 감지센서유닛을 도입하지 않더라도, 보다 넓은 범위의 명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오토라이트센서 모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even without introducing an expensive sensing sensor unit, there is a need for an auto light sensor module capable of measuring a wider range of brightnes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의 상면, 즉 수직 위치의 최대한 넓은 범위를 감지할 수 있는 차량용 오토라이트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 light sensor for a vehicle capable of detecting a maximum wide range of a vertical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형상의 렌즈를 활용하는 것만으로, 광각의 범위에 걸쳐 균일한 명도 감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차량용 오토라이트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 light sensor for a vehicle that can exhibit uniform brightness detection performance over a wide angle range only by utilizing an improved shape le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하우징(3)과 커버(2)의 사이에 수용되는 기판(4)을 포함하는 차량용 오토라이트센서(8) 모듈에 있어서, 차량 상방 주변광의 명도를 검출하기 위한 감광소자(81); 상기 감광소자(81)에서 검출된 명도에 따라 차량의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감광소자(81)가 차량의 상면을 넓게 감지할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의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굴절시키는 상면렌즈(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영역이 증대된 오토라이트센서를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vehicle auto light sensor (8) module including a substrate (4) accommodated between the housing (3) and the cover (2), the brightness of the ambient light above the vehicle A
상기 정면렌즈(80)는: 차량의 외측을 향하는 상면부(802); 및 내측의 상기 감광소자(81)를 향하는 내면부(80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내면부(801)에는 다수의 굴절발생부(80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굴절발생부(804)는: 상기 내면부(801)로부터 돌출되며 경사진 측방경사면(805); 및 상기 측방경사면(805)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단면(8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굴절발생부(804)는: 상기 내면부(801)의 전체 면적에 비해 작고, 다수의 굴절발생부(804)가 상기 내면부(801) 상에 가로 세로 일정 간격으로 반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상단면(806)은 상기 내면부(801)의 외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평한 면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은 운전자의 상방의 광각에 걸쳐 명도를 감지함으로써, 보다 신뢰도 있는 측정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derive a more reliable measurement result by sensing brightness over a wide angle above the driver.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형상의 렌즈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제조 비용의 큰 증가 없이 명도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rightness detection performance without a significant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nly by adding a lens of an improved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통합센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센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오토라이트센서 모듈을 측방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면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면렌즈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면렌즈를 측방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integrated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ntegrated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auto light sens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6 is a view showing the imag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imag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imag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teral cross s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통합센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센서(1)는 커버(2)가 차량의 앞유리에 밀착되도록 하는데, 앞유리를 향해 연성기판(5), 레인센서모듈(6), 정면 오토라이트센서모듈(7), 상면 오토라이트센서모듈(8), 포토센서(9)가 배치된다. 연성기판(5)이 노출되는 부분에는 서미스터와 같은 온도센서유닛이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연성기판(5) 기준으로 유리창의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통합센서(1)는 하나의 패키지 내에 오토라이트센서(7)(8), 포토센서, 레인센서모듈(6), 디포그센서를 모두 갖추고 있다.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integrated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integrated sensor 1 allows the cover 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
도 2는 본 발명의 통합센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센서(1)는 하우징(3)과 커버(2)의 사이에 기판(4)을 수용하고, 하우징(3)의 하부에는 커버(2)를 향해 돌출되는 밀착지지부(31)가 돌출 형성된다.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ntegrated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integrated sensor 1 accommodates the
기판(4)의 하부에는 밀착지지부(31)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41)에는 연성기판(5)도 U형태로 삽입되어 밀착지지부(31)가 내입되면 그 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A through
밀착지지부(31)의 단부는 커버(2)의 하부에 형성된 노출공(21)을 향하므로, 밀착지지부(31)를 감싸는 연성기판(5)의 일 부분은 노출공(21)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며, 이 노출된 부분이 차량의 앞유리에 밀착된다.Since the end portion of the close
레인센서(6)모듈, 정면 오토라이트센서모듈(7), 상면 오토라이트센서모듈(8), 포토센서(9)는 기판(4)과 커버(2)에 복합적으로 연계 배치된다.The rain sensor (6) module, the front auto light sensor module (7), the top auto light sensor module (8), and the photo sensor (9) are arranged in a complex connection to the substrate (4) and the cover (2).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오토라이트센서 모듈을 측방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면 오토라이트센서모듈(8)는 기판(4)에 구비되는 감광소자(81)와 그 전방의 차량 앞유리(w)에 근접 배치되는 상면렌즈(80)를 구비한다. 상면렌즈(80)의 형상에 의해 감광소자(81)는 상방의 전후좌우 90도 영역의 명도를 폭넓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감지범위가 40~60도 수준에 머물렀다면, 다양한 위치의 굴절 및 난반사를 유발하는 상면렌즈(80)로 인해 상방 90도 영역까지 폭넓게 명도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auto light sens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4 and 5, the top surface auto
상면렌즈(80)는 차량 앞유리(w)에 대응되는 부분은 평평하게 구성되고, 감광소자(81) 쪽으로 소형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상면렌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상면렌즈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면렌즈(80)는 일면은 내면부(801)가 형성되고, 타면은 상면부(802)가 형성된다. 상면부(802)는 차량의 앞유리(w)를 대면하며, 앞유리(w) 면과 마찬가지로 경사진 평면을 유지하며 전방 상부를 비스듬하게 향하고 있다.FIG. 6 is a view showing the imag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imag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ross section. 6 and 7, the
내면부(801)는 내측의 감광소자(81)를 대면하며 그 방향으로 요철부분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빛을 굴절시킨다. 이 때 내면부(801)는 가로 세로 일정 간격으로 반복 배치되는 다수의 굴절발생부(804)를 구비하고 있다. The
굴절발생부(804)는 경사면과 평면을 포함하고, 전체 내면부(801) 크기의 1/7~1/10 정도의 폭으로 구성되어, 내면부(801)에 40~50개 정도가 집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굴절발생부(804)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경사면과 평면, 그리고 각각의 분할된 지점에서 난반사와 굴절을 유도하므로, 기존의 볼록렌즈가 제한된 범위의 감광을 하는 것과 달리 폭넓은 범위의 광 경로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상면렌즈(80)의 측방으로는 위치확인돌기(803)가 돌출되어, 케이스(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홈(내지는 홀)에 인입되도록 한다. 위치확인돌기(703)와 케이스(2)의 홈(내지는 홀)의 결합으로 인해, 상면렌즈(80)의 결합 방향이나 각도가 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8은 본 발명의 상면렌즈를 측방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면렌즈(80)는 차량의 앞유리(w)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상면부(802)도 경사지게 형성한다. 경사진 상면부(802)의 내부 측에는 내면부(801)가 후측 하방을 바라보도록 한다. Fig. 8 is a view showing the imag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teral cross section. Referring to FIG. 8, the
이 때 내면부(801)에는 단면상 사다리꼴 형태 즉, 내면부(801)와 평행을 이루는 동일한 상단면(806)과 그 상단면까지 원뿔형으로 경사지며 연결되는 측방경사면(805)을 구비하는 굴절발생부(804)가 집적으로 다수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굴절발생부(804)는 상단면(806)을 통한 직진성의 광 경로에 따른 명도 측정은 물론, 360도에 걸쳐 경사각을 형성시키는 측방경사면(805)으로 인해 굴절되거나 난반사된 광 경로도 유도될 수가 있게 되어, 감광소자(81)는 훨씬 다양하고 넓은 위치의 광 경로를 따라 명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굴절발생부(804)는 하나의 내면부(801)에 40~50개 정도가 형성되므로, 40~50개가 위치된 각각의 지점에서의 다양한 굴절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The
따라서 기존의 감광소자(81)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상면렌즈(80)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보다 넓은 면적의, 바람직하게는 90도 너비의 상방에 대한 명도를 감지할 수 있다. 특별히 90도로 특정할 것은 아니지만, 평면형 내지는 완만한 볼록 형상의 렌즈에 비해 여러 위치에서의 굴절과 난반사를 유도하며, 그에 따라 기존에는 수용할 수 없었던 광경로가 감광소자(81)로 유입될 수 있게 되는 점은 분명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굴절발생부(804)를 끝이 뾰족한 원뿔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직진성 광경로를 가질 수 없게 되나, 원뿔형을 유지하면서도 상부는 평면의 상단면(806)을 갖도록 하는 점에서, 직진성 광경로도 포집,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적 특이점이 있다.Therefore, while using the existing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통합센서
2: 커버
3: 하우징
4: 기판
5: 연성기판
6: 레인센서모듈
7: 정면 오토라이트센서
8: 상면 오토라이트센서
80: 상면렌즈
81: 감광소자
801: 내면부
802: 상면부
803: 위치확인돌기
804: 굴절발생부
805: 측방경사면
806: 상단면
9: 포토센서1: Integrated sensor 2: Cover
3: housing 4: substrate
5: Flexible substrate 6: Rain sensor module
7: Front auto light sensor
8: Upper surface auto light sensor
80: top lens
81: photosensitive element 801: inner surface
802: upper surface 803: positioning projection
804: refraction generating unit 805: lateral slope
806: top side
9: Photo sensor
Claims (6)
차량 상방 주변광의 명도를 검출하기 위한 감광소자(81);
상기 감광소자(81)에서 검출된 명도에 따라 차량의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감광소자(81)가 차량의 상면을 넓게 감지할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의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굴절시키는 상면렌즈(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영역이 증대된 오토라이트센서.
In the vehicle auto light sensor (8) module including a substrate (4) accommodated between the housing (3) and the cover (2),
A photosensitive element 81 for detecting the brightness of ambient light above the vehicl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brightness detected by the photosensitive element 81;
An auto light sensor having an increased photosensitive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tosensitive element (81) comprises a top surface lens (80) that refracts to receive light from the top surface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vehicle can be widely detected.
상기 정면렌즈(80)는:
차량의 외측을 향하는 상면부(802); 및
내측의 상기 감광소자(81)를 향하는 내면부(80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영역이 증대된 오토라이트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lens 80 is:
An upper surface portion 802 faci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An autolite sensor having an increased photosensitive area, comprising an inner surface portion (801) facing the photosensitive element (81) inside.
상기 내면부(801)에는 다수의 굴절발생부(80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영역이 증대된 오토라이트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surface portion 80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fraction generating unit 804, an auto light sensor having an increased photosensitive area,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상기 굴절발생부(804)는:
상기 내면부(801)로부터 돌출되며 경사진 측방경사면(805); 및
상기 측방경사면(805)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단면(8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영역이 증대된 오토라이트센서.
The method of claim 3,
The refraction generating unit 804 is:
A lateral inclined surface 805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portion 801; And
An auto light sensor having an increased photosensitive area, comprising an upper surface (806)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ateral inclined surface (805).
상기 굴절발생부(804)는: 상기 내면부(801)의 전체 면적에 비해 작고, 다수의 굴절발생부(804)가 상기 내면부(801) 상에 가로 세로 일정 간격으로 반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영역이 증대된 오토라이트센서.
The method of claim 4,
The refraction generating unit 804 is smaller than the total area of the inner surface portion 801, and a plurality of refraction generating portions 804 are repeatedly arranged at regular and horizontal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portion 801. Auto light sensor with increased photosensitive area.
상기 상단면(806)은 상기 내면부(801)의 외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평한 면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영역이 증대된 오토라이트센서.The method of claim 4,
The upper surface 806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surface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portion 801, the auto-light sensor having an increased photosensitive are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9674A KR20200048045A (en) | 2018-10-29 | 2018-10-29 | Autolight Sensor Module for wide spread Sens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9674A KR20200048045A (en) | 2018-10-29 | 2018-10-29 | Autolight Sensor Module for wide spread Sens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8045A true KR20200048045A (en) | 2020-05-08 |
Family
ID=7067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9674A Ceased KR20200048045A (en) | 2018-10-29 | 2018-10-29 | Autolight Sensor Module for wide spread Sens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48045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2479B1 (en) | 2007-12-13 | 2013-06-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Illumination sensor device of vehicle headlight |
-
2018
- 2018-10-29 KR KR1020180129674A patent/KR20200048045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2479B1 (en) | 2007-12-13 | 2013-06-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Illumination sensor device of vehicle headligh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297288T3 (en) | OPTICAL SENSOR. | |
CN1170706C (en) | Sensor device for detecting moisture on window panes | |
CN102279194B (en) | Sensor device on motor vehicle | |
ES2216945T3 (en) | SENSOR UNIT SENSITIVE TO LIGHT, ESPECIALLY FOR THE AUTOMATIC CONNECTION OF LIGHTING DEVICES. | |
US7348586B2 (en) | Exterior element sensor | |
JP5154556B2 (en) | Solar sensor | |
KR20150040353A (en) | Reflective material sensor | |
JP6331550B2 (en) | Integrated device | |
US8389966B2 (en) | Ambient light detecting device for a vehicle | |
KR101004477B1 (en) | Prismatic Rain Sensor with Double Detection | |
KR20200048045A (en) | Autolight Sensor Module for wide spread Sensing | |
JPH0471169B2 (en) | ||
WO2013157258A1 (en) | Optical sensor | |
CN209054491U (en) | Adjustable type lighting device suitable for tunnel | |
KR100981196B1 (en) | Prism-mediated rain sensor | |
TWM458553U (en) | Rain drop sensing device | |
KR101160348B1 (en) | Complex sensor device | |
KR100981217B1 (en) | Compact rain sensor | |
KR100981215B1 (en) | Rain sensor | |
KR102156975B1 (en) | Autolight Sensor Module with Aspherical Lens | |
CN109916857B (en) | Glass for identifying vehicle fog and fog detecting device | |
KR100862415B1 (en) | Automotive Solar Sensor | |
KR102121398B1 (en) | Rain Sensor Module with Aspherical Lens | |
JP2000258557A (en) | Snowfall sensor | |
KR101141827B1 (en) | Automotive Solar Sen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