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46761A -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761A
KR20200046761A KR1020180128344A KR20180128344A KR20200046761A KR 20200046761 A KR20200046761 A KR 20200046761A KR 1020180128344 A KR1020180128344 A KR 1020180128344A KR 20180128344 A KR20180128344 A KR 20180128344A KR 20200046761 A KR20200046761 A KR 20200046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battery
sulfuric acid
vibration resistance
circu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모
김진구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to KR102018012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6761A/ko
Publication of KR2020004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76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70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 H01M2/3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024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12Monobloc comprising multiple compart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05Acid electrolytes
    • H01M2300/0011Sulfuric acid-b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 전해액 상면(4)의 저비중의 황산이, 하측에 형성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거쳐 올라온 고비중의 황산과 혼합공간에서 섞여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도록 전해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배터리 내부에 고른 비중 분포를 제공하여 전해액 상하부가 균일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층화 현상을 방지하는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배터리 내부에 고른 비중 분포를 제공하여 전해액 상하부가 균일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층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극판 전체에 고르게 전압을 형성하여 배터리 충전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내구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전해액 순환장치의 하단에 스트랍(5) 하부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트랍고정핀(6)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진동에 의한 부품 간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내진동성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Electrolyte Circulation Device Improved Circulation Capacity and Vibration Resistance of Lead-acid Battery Electrolyte}
본 발명은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 전해액 상면(4)의 저비중의 황산이, 하측에 형성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거쳐 올라온 고비중의 황산과 혼합공간에서 섞여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도록 전해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배터리 내부에 고른 비중 분포를 제공하여 전해액 상하부가 균일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층화 현상을 방지하는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납축전지는 2차전지로써 납과 황산의 화학 반응을 통하여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것이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납축전지의 충전은 차량의 알터네이터를 통해 이루어지며 알터네이터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전압 충전을 실시한다.
실제 차량의 주행조건에서는 정전압 충전이 이루어지는데, 해당 정전압 충전은 납축전지의 전압이 높을수록 충전량이 적어지며, 전압이 낮을수록 전류가 높아 충전특성이 높아진다.
충전특성이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전류가 충전될수록 높아지며, 납축전지의 방전 후 충전특성이 높으면 납축전지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납축전지 전해액의 층화 현상이 생기면 이에 따른 가전압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원만하지 못하여 전해액은 사용기간이 지날수록 저비중은 위로 뜨고, 고비중은 가라앉게 되는 층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가전압에 의한 배터리 충전은 납축전지의 수명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납축전지에 층화 현상이 발생되면 배터리 내부의 납에 산화가 더욱 빠르게 일어나며, 제 기능을 100% 발휘하기 어렵게 되어 성능저하 또한 발생시킬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따라 황산을 순환시키는 구조를 통하여 배터리의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048324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 전해액 상면(4)의 저비중의 황산이, 하측에 형성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거쳐 올라온 고비중의 황산과 혼합공간에서 섞여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도록 전해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배터리 내부에 고른 비중 분포를 제공하여 전해액 상하부가 균일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층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해액 순환장치의 하단에 스트랍(5) 하부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트랍고정핀(6)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진동에 의한 부품 간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내진동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는,
배터리 각 셀(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되, 배터리 내부케이스의 벽인 전조벽(11)과 벽면이 접촉되게 위치하며, 혼합공간을 가지고 있는 전해액혼합공간부(3);와
상기 전해액혼합공간부(3)의 하단에 연이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황산이 유동될 경우에 고비중의 황산을 통과시켜 혼합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를 통해, 외력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 전해액 상면(4)의 저비중의 황산이, 하측에 형성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거쳐 올라온 고비중의 황산과 혼합공간에서 섞여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도록 전해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배터리 내부에 고른 비중 분포를 제공하여 전해액 상하부가 균일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층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극판 전체에 고르게 전압을 형성하여 배터리 충전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내구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전해액 순환장치의 하단에 스트랍(5) 하부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트랍고정핀(6)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진동에 의한 부품 간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내진동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가 납축전지에 장착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개선품과 종래품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미국 자동차 기술자 협회 규격에 따라 고온 환경에서 수명을 검증한 그래프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는,
배터리 각 셀(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되, 배터리 내부케이스의 벽인 전조벽(11)과 벽면이 접촉되게 위치하며, 혼합공간을 가지고 있는 전해액혼합공간부(3);와
상기 전해액혼합공간부(3)의 하단에 연이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황산이 유동될 경우에 고비중의 황산을 통과시켜 혼합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저비중의 황산은,
전해액혼합공간부(3)의 상부를 통과하여 혼합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혼합공간에서 저비중 황산과 고비중 황산이 혼합되어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액 순환장치 하단에 스트랍(5) 하부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게 다수 형성되는 스트랍고정핀(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전해액 순환장치는,
외력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 전해액 상면(4)의 저비중의 황산이, 하측에 형성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거쳐 올라온 고비중의 황산과 혼합공간에서 섞여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도록 전해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배터리 내부에 고른 비중 분포를 제공하여 전해액 상하부가 균일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층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트랍고정핀(6)은,
외부 진동에 의한 부품 간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내진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가 납축전지에 장착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는,
배터리 각 셀(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되, 배터리 내부케이스의 벽인 전조벽(11)과 벽면이 접촉되게 위치하며, 혼합공간을 가지고 있는 전해액혼합공간부(3);와
상기 전해액혼합공간부(3)의 하단에 연이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황산이 유동될 경우에 고비중의 황산을 통과시켜 혼합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전해액 순환장치를 납축전지에 장착하게 되면, 납축전지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어 고비중의 전해액과 저비중의 전해액이 비교적 쉽게 결합되어 층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전해액혼합공간부(3)가 배터리 각 셀(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데, 실시예에서는 전면에 1개, 후면에 2개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갯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때, 상기 전해액혼합공간부(3)는 배터리 내부케이스의 벽인 전조벽(11)과 벽면이 접촉되게 위치하며, 혼합공간을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혼합공간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 저비중 황산과 고비중 황산이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비중황산유입구(2)는 상기 전해액혼합공간부(3)의 하단에 연이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 구성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다란 원통형상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형상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황산이 유동될 경우에 고비중의 황산을 통과시켜 혼합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저비중의 황산은 상기 전해액혼합공간부(3)의 형성에 따라 전해액혼합공간부(3)의 상부를 통과하여 혼합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혼합공간에서 저비중 황산과 고비중 황산이 혼합되어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비중황산유입구(2)의 가로 길이는 상기 전해액혼합공간부의 가로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고비중의 황산이 빠르게 혼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렇게 혼입되어 황산이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 상면(4)으로 떨어져 섞이게 되는 과정을 반복해서 하게 되면, 배터리 전체적으로 고른 비중 분포를 가질 수 있게 되어 배터리의 가전압 상태를 억제하고 차량의 알터네이터를 통한 정전압 충전시에 빠른 충전 특성을 지닐 수 있어 높을 충전특성을 띄게 되고, 배터리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전해액 순환장치의 하단에 스트랍(5) 하부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게 다수 형성되는 스트랍고정핀(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납축전지 내부 부품을 고정하게 만들어 주어 내진동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스트랍고정핀(6)은,
외부 진동에 의한 부품 간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내진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인 전해액 순환장치는,
외력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 전해액 상면(4)의 저비중의 황산이, 하측에 형성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거쳐 올라온 고비중의 황산과 혼합공간에서 섞여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도록 전해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배터리 내부에 고른 비중 분포를 제공하여 전해액 상하부가 균일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층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종래 방식의 납축전지 완제품과 본 발명의 방식인 전해액 순환장치가 장착된 납축전지 완제품을 제작하였다.
위 발명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종래의 극판을 제작하고 조립 및 화성하여 기초성능, 수명시험 및 진동 시험을 하였다.
또한, 최종적인 120Ah의 용량을 갖는 제품을 제작하였으며, 고온에서의 수명을 검증하기 위해 SAE J2801(수명시험), EN50342(진동시험) 규격에 따라 수명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보유용량에서 120Ah의 용량과 수명이 304사이클에서 종지되었으며, 진동 시험은 V3 LEVEL을 달성하였다.
이는 종래품 대비 보유용량에서 10%, 수명에서는 11% 향상되었다.
이에 대한 시험 자료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개선품과 종래품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미국 자동차 기술자 협회 규격에 따라 고온 환경에서 수명을 검증한 그래프 도면이다.
<시험예>
후술하는 종래품이라 함은, 출원인이 제조하는 납축전지(BX120)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제품을 말하며, 개선품은 본 발명의 전해액 순환장치를 포함시켜 제조된 제품을 말한다.
구분 종래품 개선품
CCA 875A 900A
C20 120Ah 130Ah
내구성(SAE J2801) 274 Cycle 304 Cycle
내진동성(EN50342) V2 V3
상기 표 1은 종래의 납축전지와 본 발명의 납축전지의 성능 시험결과로서, 내구성이 종래품의 경우, 274 cycle을 나타냈으며, 개선품의 경우, 304 Cycle을 나타내고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종래의 종래품보다 내구성이 11% 향상되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1) 저온시동전류(CCA : Cold Cranking Ampere)
일반적으로 축전지의 급속방전 특성은 -10℃이하에서 급속히 저하되는데, 저온시동전류(CCA)는 저온에서의 자동차 시동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고율방전시험으로서, 만충전 완료 후 -18℃에서 630A로 30초 방전시의 전압을 측정한다.
이 시험에 있어서는 30초 때의 전압이 7.2V이상 요구되며, 높을수록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발명에서는 (30초 전압÷6-0.25)×860의 보정식을 사용하여 CCA를 계산하였다.
시험결과, 표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30초 전압은 7.78V, 환산 CCA는 900A로 기존제품에 대비하여 3%의 성능향상 효과를 보임으로써 전해액 순환장치를 포함한 납축전지를 제작하였을 경우 저온시동전류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20 시간율 용량(AH)
이는 저율방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축전지 용량에 대해 비교적 적은 전류인 3.75A로 연속 방전시켜, 전압이 10.5V에 도달할 때까지의 방전용량(AH)을 측정하는 것이다.
시험 결과, 125AH ~ 135AH로, 정확하게는 130AH로 기존제품에 대비하여 8%의 성능향상 효과를 보임으로써, 전해액 순환장치를 포함한 납축전지를 제작하였을 경우에 20 시간율 용량(AH)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수명 검증 시험(SAE J2801, Cycle)
미국 자동차 기술자 협회 규격에 따라 75℃ 환경에서 수명을 검증한 그래프(J2801)로서, 상기 시험 규격은 납축전지가 고온(75℃)에서 충전/방전을 반복하여 수명이 종지될 때까지의 사이클을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다.
(1사이클 : 25A 18초 방전, 14.2V[최대 25A] 정전압 30분 충전- 5회 반복시 1Cycle)
본 시험은 1주 동안 34회 반복하며, 그 후 56시간 정치 후 200A 고율로 방전하여 30초 시점에서의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배터리의 상태를 판정한다.
30초 시점의 전압이 7.2V 이상이면 배터리를 온전한 상태로 판정하여 위의 싸이클을 반복하며, 7.2V 이하이면 배터리를 수명종지로 판정하여, 시험을 중단한다.
시험 결과, 종래품에 대비하여 수명에서 11% 향상되는 효과를 보임으로써 전해액 순환장치를 포함한 납축전지를 제작하였을 경우, 수명 증가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4) 내진동시험(EN50342, LEVEL)
유럽 배터리 규정에 따은 시험으로 진동 시간 및 진동량을 기준으로 하여 진동특성을 LEVEL로 표기한 시험 방법이다.
본 시험은 2시간동안 진행되며. 각 LEVEL의 진동 주파수로 2시간 동안 진동을 주고 1일 보관 후 0.6*CCA로 고율방전을 하여 60초 전압이 7.5V 이상이 되어 야 한다.
시험 결과, 종래품에 대비하여 수명에서 1LEVEL 33% 향상되는 효과를 보임으로써 전해액 순환장치를 포함한 납축전지를 제작하였을 경우, 내진동성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전해액 순환장치를 통해, 상부 전해액과 하부 전해액이 장치 내부의 공간을 통해 쉽게 혼합되어 층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조물은 스트랍과 사출물에 고정되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행 간 발생할 수 있는 진동에 대한 내성을 강화시키게 된다.
즉, 외력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 전해액 상면(4)의 저비중의 황산이, 하측에 형성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거쳐 올라온 고비중의 황산과 혼합공간에서 섞여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도록 전해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배터리 내부에 고른 비중 분포를 제공하여 전해액 상하부가 균일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층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극판 전체에 고르게 전압을 형성하여 배터리 충전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내구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전해액 순환장치의 하단에 스트랍(5) 하부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트랍고정핀(6)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진동에 의한 부품 간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내진동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 : 전조
2 : 고비중황산유입구
3 : 전해액혼합공간부
4 : 전해액 상면
5 : 스트랍
6 : 스트랍고정핀
10 : 배터리 셀
11 : 전조벽

Claims (6)

  1.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각 셀(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되되, 배터리 내부케이스의 벽인 전조벽(11)과 벽면이 접촉되게 위치하며, 혼합공간을 가지고 있는 전해액혼합공간부(3);와
    상기 전해액혼합공간부(3)의 하단에 연이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황산이 유동될 경우에 고비중의 황산을 통과시켜 혼합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저비중의 황산은,
    전해액혼합공간부(3)의 상부를 통과하여 혼합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혼합공간에서 저비중 황산과 고비중 황산이 혼합되어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하단에 스트랍(5) 하부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게 다수 형성되는 스트랍고정핀(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순환장치는,
    외력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 전해액 상면(4)의 저비중의 황산이, 하측에 형성된 고비중황산유입구(2)를 거쳐 올라온 고비중의 황산과 혼합공간에서 섞여 전해액 상면(4)으로 혼입되도록 전해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배터리 내부에 고른 비중 분포를 제공하여 전해액 상하부가 균일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층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랍고정핀(6)은,
    외부 진동에 의한 부품 간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내진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KR1020180128344A 2018-10-25 2018-10-25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Ceased KR20200046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44A KR20200046761A (ko) 2018-10-25 2018-10-25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344A KR20200046761A (ko) 2018-10-25 2018-10-25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761A true KR20200046761A (ko) 2020-05-07

Family

ID=7073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344A Ceased KR20200046761A (ko) 2018-10-25 2018-10-25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67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877A (ko) * 2021-09-27 2023-04-04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전해액 순환을 위한 써큘레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246B1 (ko) 2000-11-09 2005-04-15 가부시키가이샤 유아사코오포레이션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납축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246B1 (ko) 2000-11-09 2005-04-15 가부시키가이샤 유아사코오포레이션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납축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877A (ko) * 2021-09-27 2023-04-04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전해액 순환을 위한 써큘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m et al. Development of ultra-battery for hybrid-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Savoye et al. Impact of periodic current pulses on Li-ion battery performance
US9160002B2 (en) Lead-acid battery
USRE40223E1 (en) Method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US9054396B2 (en) Method for charging a lithium ion battery by increasing a charge limit voltage to compensate for internal battery voltage drop
KR101494156B1 (ko) 이차전지의 충전방법
US9091733B2 (en) Method of inspecting secondary battery
KR101776546B1 (ko) 전지 시스템
Valenciano et al. Graphite and fiberglass additives for improving high-rate partial-state-of-charge cycle life of valve-regulated lead-acid batteries
KR101504804B1 (ko) 노화를 고려한 이차 전지의 상태 추정 방법 및 장치
CN103931043B (zh) 铅蓄电池
KR20170021630A (ko) 전지 충전 한계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지 급속 충전 방법 및 장치
US20110027653A1 (en) Negative plate for lead acid battery
KR20130033349A (ko) 납 축전지
EP3021415B1 (en) Additive for electrolyte of lead-acid batteries
US10014520B2 (en) Composition that enhances deep cycle performance of valve-regulated lead-acid batteries filled with gel electrolyte
US20140120386A1 (en) Over-Saturated Absorbed Glass Mat Valve Regulated Lead-Acid Battery Comprising Carbon Additives
CN107649412A (zh) 一种配组电池筛选方法
KR20060055910A (ko) 납축전지의 전해액 조성물
KR20200046761A (ko) 납축전지 전해액 순환성 향상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전해액 순환장치
Gelbke et al. Flooded starting-lighting-ignition (SLI) and enhanced flooded batteries (EFBs): State-of-the-art
JP6954879B2 (ja) 鉛蓄電池
US20110300434A1 (en) Lead-acid battery
JP2007273403A (ja) 制御弁式鉛蓄電池とその充電方法
CN107836054B (zh) 电极的快速化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