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228A - Wall decoration sheet with function of sound absorption - Google Patents
Wall decoration sheet with function of sound absorp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4228A KR20200044228A KR1020180124108A KR20180124108A KR20200044228A KR 20200044228 A KR20200044228 A KR 20200044228A KR 1020180124108 A KR1020180124108 A KR 1020180124108A KR 20180124108 A KR20180124108 A KR 20180124108A KR 20200044228 A KR20200044228 A KR 202000442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member
- sheet
- decorative
- sound
- dimensio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9—Sound-absorbing elements sheet-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벽면 장식재는, 열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구비되되, 설정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판재형상으로 구비되며, 일면에 볼록 또는 오목하게 3차원 형상을 가지는 입체장식을 가지며, 타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흡음홈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일면에 상기 입체장식과 대응하는 장식패턴이 인쇄되고, 타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면 중 상기 입체장식이 형성된 일면에 합지되어 구비되는 장식시트;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면 중 상기 복수의 흡음홈이 형성된 면에 합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흡음홈을 차폐하는 알루미늄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패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입체장식에 정합되어 배치되는 흡음성능을 가진다.The disclosed wall decoration material is provided with a synthetic resin capable of being deformed by heat, and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 set width, length, and thickness. A bas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grooves formed; A decorative sheet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nd length as the base member, the decorativ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s print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base member on which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s formed; And an aluminum sheet provided on the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being laminated on the surface where the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grooves are formed, and shielding the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grooves, wherein the decorative pattern is matched to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of the base member. And has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Description
본 발명(Disclsoure)은, 벽체에 부착되거나 설치되어 사용되며, 다양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시트 형태의 벽면 장식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흡음성능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며, 장식 면에 형성된 입체형상과 그 입체형상에 대응하는 장식무늬가 서로 매칭되도록 형성되어, 입체형상 사이의 간격과 장식무늬 사이의 간격이 일치되어 형성되는 벽면 장식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soure) is attached to or installed on a wall, is used, and relates to a sheet-shaped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aesthetics, specifically having a structure having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nd a three-dimensional shape formed on the decorative surface and The decorative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are formed to match each other, and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shapes and the spacing between the decorative patterns are related to the wall decoration material.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 the background 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nd they do not necessarily mean the prior art.
소비자의 취향이 날로 다각화 또는 고급화됨에 따라 실내 인테리어 분야는 유행에 민감한 분야가 되었으며, 미적 효과의 개선을 위한 매우 다양한 수단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 인테리어에 따라 해당 공간의 분위기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그만큼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는 것은 당연하다. As the consumer's taste is diversified or advanced, the interior decoration field has become a fashion-sensitive field, and a wide variety of means for improving the aesthetic effect have been proposed. Since the atmosphere of the space can be chang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interior of the room, it is natural that various products are released.
근간에는 건강이나 환경에 유익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었으며, 화재발생시에도 인명피해를 주지 않기 위한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many products that are beneficial to health and the environment have been released, and products that do not cause personal injury even in the event of a fire have been released.
다른 한편 DIY 문화의 보급에 따라 개인이 스스로 시공할 수 있는 제품들도 출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ith the spread of DIY culture, products that individuals can construct themselves are also being released.
이처럼 근래 제안되고 있는 인테리어 소재들은 단순한 미적 감흥을 넘어 다양한 기능적 내지 미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Interior materials that have been proposed in recent years have various functional or aesthetic characteristics beyond simple aesthetic inspiration.
한편, 종래 벽면을 장식하는 부재로는, 벽지와 같이 일면에 장식문양이 인쇄된 시트지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들어 실제와 같은 문양, 즉 3차원 형상을 가지는 장식문양이 형성된 장식 부재가 종종 소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ember for decorating a conventional wall surface, a sheet with a decorative pattern printed on one surface, such as a wallpaper, is mainly used, but recently, a decorative member having a realistic pattern, that is, a decorative pattern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s often introduced. Is becoming.
일 예로, 벽돌이 축조된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3차원 형상의 벽돌이 표현된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그 표면에 색상을 입혀 더욱 현실감 있게 표현한 예도 찾아볼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express a shape in which a brick is constructed, a brick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s represented. In addition, you can find examples of coloring the surface with more realistic expression.
그러나 장식을 위한 면에 3차원 형상이 형성된 것들은 3차원 형상과 그것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지 않아 이미지의 고급화가 미흡한 문제가 있으며, 특히 벽돌 이미지와 같이, 3차원 형상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 벽돌부분과 그 외의 부분 사이의 색 또는 이미지의 구분이 필요한데, 이러한 구분이 정확하게 이루어진 장식부재는 존재하지 않고, 단지 3차원 형상만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부여하는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However, the three-dimensional shape formed on the surface for decoration does not match the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i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image is insufficient. Especially, such as a brick image, the three-dimensional shap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possibl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color or image between the brick part and the other parts, and there is no decorative member in which such a distinction is accurately made, and the level of gi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using only a three-dimensional shape is maintained.
더불어, 최근 수요자들은 벽면 장식재의 인테리어 기능에 만족하지 않고, 실내소음 방지 기능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recently, consum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interior function of the wall decoration material, and a technology for this has not been proposed even though it requires an indoor noise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Discloure)은, 흡음성능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며, 장식 면에 형성된 입체형상과 그 입체형상에 대응하는 장식무늬가 서로 매칭되도록 형성되어, 입체형상 사이의 간격과 장식무늬 사이의 간격이 일치되어 형성되는 벽면 장식재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ure) has a structure having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nd is formed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shape formed on the decorative surface and the decorativ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match each other, and the spacing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shapes and the spacing between the decorative patterns coinc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corative wall surface formed.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Here, an overall summ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hich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the periph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벽면 장식재는, 열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구비되되, 설정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판재형상으로 구비되며, 일면에 볼록 또는 오목하게 3차원 형상을 가지는 입체장식을 가지며, 타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흡음홈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일면에 상기 입체장식과 대응하는 장식패턴이 인쇄되고, 타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면 중 상기 입체장식이 형성된 일면에 합지되어 구비되는 장식시트;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면 중 상기 복수의 흡음홈이 형성된 면에 합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흡음홈을 차폐하는 알루미늄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패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입체장식에 정합되어 배치되는 흡음성능을 가진다.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ynthetic resin capable of being deformed by heat, and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 set width, length, and thickness, and convex on one surface or A base member having a three-dimensional decoration having a concave three-dimensional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grooves formed concavely on the other surface; A decorative sheet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nd length as the base member, the decorativ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s print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base member on which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s formed; And an aluminum sheet provided on the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being laminated on the surface where the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grooves are formed, and shielding the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grooves, wherein the decorative pattern is matched to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of the base member. And has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벽면 장식재에서, 상기 장식패턴은, 상기 장식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주기(P)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all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ative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orative sheet is repeated at a period (P).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벽면 장식재에서, 상기 장식패턴은, 복수의 서브패턴이 서로 간격을 가지도록 분리되어 배치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입체장식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정합되어 배치된다.In the wall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ative patterns are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sub-patter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paces are arranged to match grooves form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s. .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벽면 장식재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입체장식이 형성되며 시트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시트부재;와 상기 제1 시트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제2 시트부재가 상기 제1 시트부재에 합지되어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흡음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all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ember,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s formed, the first sheet member is provided in a sheet shape; and the first sheet member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and a plurality of perforation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heet member is formed is laminated on the first sheet member to form the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grooves.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벽면 장식재에서, 상기 제1 시트부재는, 상기 제2 시트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타공에 비해 직경이 작은 복수의 흡음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ee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holes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in the second sheet member is formed.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벽면 장식재에서, 상기 복수의 흡음공과 상기 복수의 타공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시트부재와 상기 제2 시트부재가 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all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at member and the second seat member are laminated so that the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holes and the plurality of perforatio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벽면 장식재에서, 상기 장식시트 위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장식 사이의 간격을 메우도록 끼워져 고정되는 메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지부재는 상기 입체장식 사이의 간격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체장식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후면에 상기 입체장식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면과 흡음공간을 형성하는 요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all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sposed on the decorative sheet,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meji member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n a state fixed to the ga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groove forming a sound-absorbing space and a surface forming a gap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ornaments on a rear surface in a direction interpos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ornaments.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흡음홈에 의해 베이스 부재로 입사되는 소음의 주파수를 낮출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ower the frequency of noise entering the base member by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grooves formed in the base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에 합비된 장식시트의 장식패턴과 일치되도록 베이스 부재의 입체장식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입체장식의 실재감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of the base member can be formed to match the decoration pattern of the decorative sheet combined with the base member, it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realism of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를 제1,2 시트부재로 분리하여 각각에 흡음공과 타공을 형성하여 합지함으로써, 흡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ound absorption effect by separating the base member into first and second sheet members to form sound-absorbing holes and perforations on each of them, and laminating them.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체장식 사이의 간격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메지부재를 구비하고, 메지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입체장식 사이의 간격에 형성된 홈의 저면과 간격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베이스 부재로 유입되는 소리를 공명에 의해 흡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member is provided by having a meji member fit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s, and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gap of the groove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s in a state where the meji member is fitt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bsorb the incoming sound by reson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사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실시형태에서 흡음성능을 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장식재의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 순서도.
도 7은 도 6에서 입체장식 형성 방법을 보인 공정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장식재 중간물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장식재 제조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A를 확대하여 이송유닛을 보인 도면.
도 11은 도 9에서 가열유닛을 보인 도면.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ll decorative material having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for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in the embodiment of FIG.
Figure 6 is a process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ll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rocess flow chart showing a three-dimensional decoration forming method in FIG.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termediate wall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all surface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unit by enlarging A in FIG. 9;
11 is a view showing a heating unit in FIG. 9;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a wall decorative material having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technical spirit as the present disclosure. Although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as a method of substitution or modification, it is revealed tha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after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n grasping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interpreted appropriately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n embodiment of a wall decorative material having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사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실시형태에서 흡음성능을 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having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for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in the embodiment of FIG. 1.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100)는, 베이스 부재(110), 장식시트(120), 알루미늄 시트(15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wall
베이스 부재(110)는, 열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구비되되, 설정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판재형상으로 구비된다.The
또한, 베이스 부재(110)는, 일면에 볼록 또는 오목하게 3차원 형상을 가지는 입체장식(140)을 가지며, 타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흡음홈(160)을 가진다.In addition, the
장식시트(120)는, 베이스 부재(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일면에 입체장식(140)과 대응하는 장식패턴(130)이 인쇄되고, 타면은 베이스 부재(110)의 양면 중 입체장식(140)이 형성된 일면에 합지되어 구비된다.The
알루미늄 시트(150)는 벽면 부착을 위한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되는 자리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베이스 부재(110)의 양면 중 복수의 흡음홈(160)이 형성된 면에 합지되어 구비되며, 복수의 흡음홈(160)을 차폐하도록 구비된다.The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장식패턴(130)은, 베이스 부재(110)의 입체장식(140)에 정합되어 배치된다. 이에 의해, 입체장식(140)의 실재감이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형태에서, 장식패턴(130)은, 장식시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주기(P)로 반복되는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소비자에 의해 벽면 설치시에도 반복 무늬에 의해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설치의 편의성도 제공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wall is installed by the consum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by the repeat pattern, and also provides convenience of installation.
본 실시형태에서, 장식패턴(130)은, 복수의 서브패턴(131)이 서로 간격을 가지도록 분리되어 배치되며, 간격(132)은 입체장식 사이에 형성되는 홈(142)에 정합되어 배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100)에서, 베이스 부재(110)는 각각 구비되는 제1,2 시트부재(111,112)가 서로 합지되어 구비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3, in the
제1 시트부재(111)는, 입체장식(140)이 형성되며 시트형상으로 구비된다.The
제2 시트부재(112)는, 제1 시트부재(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복수의 타공(161)이 형성되어 제1 시트부재(111)에 합지되어 구비된다.The
이에 의해, 앞선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복수의 흡음홈(160)을 형성한다.Thereby, the plurality of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100)은, 도 3의 벽면 장식재(100)에서, 제1 시트부재(111)에는, 제2 시트부재(112)에 형성되는 복수의 타공(161)에 비해 직경이 작은 복수의 흡음공(162)이 형성된다.Next, referring to FIG. 4, the wall
여기서, 복수의 흡음공(162)과 복수의 타공(161)은 서로 연통되도록 제1 시트부재(111)와 제2 시트부재(112)가 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는 소음의 소멸 경로를 길게하며, 직경이 작은 쪽으로 입사되어 확관이 되므로 소음의 소멸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is lengthens the extinction path of noise, and can be enhanced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incident side toward a smaller diameter, thereby improving the extinction effect of noise.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100)은, 도 3의 벽면 장식재(100)에서, 메지부재(180)를 더 포함한다.Next, referring to FIG. 5, the wall surface
메지부재(180)는, 장식시트(120) 위에 배치되며, 입체장식(140) 사이의 간격을 메우도록 끼워져 고정된다. The
또한, 메지부재(180)는 입체장식(140) 사이의 간격에 고정된 상태에서, 입체장식(140)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후면에 입체장식(140)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면과 흡음공간(181)을 형성하는 요홈(180a)을 가진다.In addition, the
이에 의하면, 메지부재(180)와 입체장식(140) 사이의 간격 사이의 틈을 통해 소음이 직접 흡음공간(181)으로 유입되므로, 흡음효과를 배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since the noise directly flows into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장식재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장식재의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 순서도, 도 7은 도 6에서 입체장식 형성 방법을 보인 공정 순서도이다.6 is a process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ll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rocess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n FIG. 6.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벽면 장식재의 제조방법(S10)은, 흡음홈을 가지는 베이스 준비 단계(S11), 장식시트 준비 단계(S12), 포지션 마커 표시 단계(S13), 장식시트 합지 단계(S14) 및 입체장식 형성 단계(S20)를 포함한다.6 and 7, the method (S10) of manufacturing a wall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preparation step (S11) having a sound absorbing groove, a decoration sheet preparation step (S12), and a position marker display step (S13). , Decorative sheet laminating step (S14) and three-dimensional decorative forming step (S20).
베이스 준비 단계(S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구비되되, 설정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판재형상으로 구비된다. 베이스 부재(110)는, 길이방향으로 말려진 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preparation step (S11) is provided with a synthetic resin capable of being deformed by heat as described above, but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 set width, length, and thickness. The
장식시트 준비 단계(S12)는, 장식패턴(130)이 일면에 부가된 장식시트(120)로 준비된다. In the decorative sheet preparation step (S12), the
장식패턴(130)은, 장식시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주기(P)로 반복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장식패턴(130)은, 복수의 서브패턴이 서로 간격을 가지도록 분리되어 배치된다.The
포지션 마커 표시 단계(S13)는, 장식시트(120)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구비되며, 장식시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주기(P)의 설정된 배수를 주기(P')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포지션 마커(150)를 표시한다.The position marker display step (S13)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포지션 마커(150)는 주변과 명암이 대비되는 색상(주로 검은색)의 띠 모양 표시로 구비될 수 있다.The
포지션 마커(150)는,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인식장치에 의해 장식패턴(130)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기 위함이다.The
장식시트 합지 단계(S14)는, 베이스 부재(110)의 일면에 포지션 마커(150)와 장식패턴(130)이 인쇄된 장식시트(120)를 열 융착, 접착 등의 방법으로 합지 하는 공정이다.The decorative sheet laminating step (S14) is a process of laminating the
입체장식 형성 단계(S20)는, 장식시트(120)가 합지된 베이스 부재(110)를 압착하여 장식패턴(130)에 정합되는 입체장식(14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forming step (S20) is a process of forming a three-
이는, 포지션 마커(150)를 기준으로 베이스 부재(110)를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베이스 부재(110)를 두께방향으로 압착하여 입체장식(140)을 형성한다.This is to place the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벽면 장식재의 제조방법의 입체장식 형성 단계(S20)는, 가열 단계(S21), 배치 단계(S22), 압착 단계(S2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forming step (S20)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eating step (S21), a placement step (S22), and a pressing step (S23).
가열 단계(S21)는, 장식시트(120)가 합지된 베이스 부재(110)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부와 하부에서 열을 가하는 공정이다.The heating step (S21) is a process of applying heat from the top and bottom while conveying the
이는 압착 단계(S23)에서 가열된 베이스 부재(110)를 냉각시키며 압착하여 입체장식(14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cool the
그 결과로, 입체장식(140)과 장식패턴(130)의 정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As a result, the matching of the three-
배치 단계(S22)는, 장식시트(120)가 합지된 베이스 부재(110)를 포지션 마커(150)를 기준으로 설정된 위치에 배치 시키는 공정이다.The placement step S22 is a process of placing the
이는 압착 단계(S23)에서 금형에 의해 압착되는 위치와 장식패턴(130)을 일치시키기 위함이다.This is to match the
압착 단계(S23)는, 장식시트(120)가 합지된 베이스 부재(110)의 하면을 지지하고, 입체장식(140)에 대응하는 형상이 새겨진 압착면을 가진 금형으로 상면에서 압착하여 입체장식(14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In the pressing step (S23), the
여기서, 장식시트(120)가 합지된 베이스 부재(110)가 금형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장식시트(120)가 합지된 베이스 부재(110)의 길이방향 이송은, 베이스 부재(110)의 폭방향 양측을 각각 물고 이송하는 이송유닛에 의해 직선이동거리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wise transfer of the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의 양측은 가열 단계(S21)에 의한 열의 전달이 제한되는 효과를 가진다. 그 결과로, 이송유닛의 이동거리와 이송유닛에 물려 이송되는 베이스 부재(110) 양측의 이동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by, both sides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장식재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벽면 장식재 중간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intermediate of the wall decoration material use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all decora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장식재 중간물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termediate wall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벽면 장식재 중간물(10)은, 베이스 부재(110), 장식시트(120), 장식패턴(130), 포지션 마커(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wall decoration material intermedi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베이스 부재(110)는, 열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구비되되, 설정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판재형상으로 구비된다.The
장식시트(120)는, 베이스 부재(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베이스 부재(110)의 일면에 합지되어 구비된다.The
장식패턴(130)은, 장식시트(120)의 일면에 인쇄되어 구비되며, 장식시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주기(P)로 반복된다.The
포지션 마커(150)는, 장식시트(120)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구비되며, 장식시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주기(P)의 설정된 배수를 주기(P')로 이격되어 구비된다.The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벽면 장식재 중간물(10)은 앞서 설명한 가열과 압착 공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장식재(100)로 제조된다. The wall decorative material intermedi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the wall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장식재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장식재 제조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이송유닛을 보인 도면, 도 11은 도 9에서 가열유닛을 보인 도면이다.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unit in FIG. 9,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 heating unit in FIG. 9.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벽면 장식재 제조장치(200)는, 이송유닛(210), 가열유닛(220), 금형유닛(230) 및 위치정렬부재(240)를 포함한다.9 to 11, the wall surface decorative
이송유닛(210)은, 베이스 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장식시트(120)가 합지된 베이스 부재(110)를 이송시키는 구성이다.The
이송유닛(210)은, 밸트부재(211), 스프로켓(213) 및 지지부재(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밸트부재(211)는, 베이스 부재(1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며, 베이스 부재(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베이스 부재(110)의 폭방향 양측을 압착하여 물고 이동하는 구성이다.The
밸트부재(211)는, 이동시 슬립이 발생 되지 않는 체인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의 이송거리를 일정하게 또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reby, the transfer distance of the
스프로켓(213)은, 베이스 부재(110)의 이송방향으로 상류와 하류에 배치되어 밸트부재(21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The
지지부재(215)는, 베이스 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밸트부재(211)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밸트부재(211)가 베이스 부재(110)를 가압하는 것을 지지하는 구성이다.The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는 밸트부재(211)의 외면과 지지부재(215) 사이에 삽입되어 물려진 상태로 이송된다.Thereby, the
가열유닛(220)은, 이송유닛(210)에 의해 이송되는 베이스 부재(1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베이스 부재(110)에 열을 가하는 구성이다.The
금형유닛(230)은, 베이스 부재(110)의 이송방향으로 가열유닛(220)의 하류에 배치되며, 베이스 부재(110)를 상하면에서 압착하여 입체장식(140)을 형성하는 구성이다.The
금형유닛(230)은, 입체장식(140)에 대응하는 형상이 새겨진 압착면을 가진 제1 금형(231)과, 베이스 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제1 금형(23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베이스 부재(110)를 지지하는 제2 금형(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위치정렬부재(240)는, 장식시트(120)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구비되며, 장식시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주기(P)의 설정된 배수를 주기(P')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포지션 마커(150)를 인식하여, 장식패턴(130)이 제1 금형(231)에 새겨진 입체장식(140)에 대응하는 형상과 정합되도록 베이스 부재(110)의 위치를 정렬하는 구성이다.The
위치정렬부재(240)는 포지션 마커(150)와 그 주변의 명암 차이를 감지하는 광학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The
본 실시형태에서, 밸트부재(211)는, 이송되는 베이스 부재(110)의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일 측을 베이스 부재(11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돌기(211a)를 가지며, 결합돌기(211a)는 밸트부재(211)의 길이방향으로 이산되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이에 의해, 밸트부재(211)의 이동거리와 베이스 부재(110)의 이송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베이스 부재(110)의 이송거리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oving distance of the
본 실시형태에서, 가열유닛(220)은,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와 하부에서 베이스 부재(110)의 상하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2 면 발열체(221,222)로 구비되며, 제1,2 면 발열체(221,222)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가열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히터(SH)로 구비되고, 제1,2 면 발열체(221,222)는 복수의 서브 히터(SH)의 배열을 서로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서브 히터(SH)는 단수 또는 복수의 단위 히터(H)로 구성된다.The sub heater SH is composed of a single unit or a plurality of unit heaters H.
여기서, 복수의 서브 히터(SH)에 의해 제1 면 발열체(221)에서 위치에 따른 온도구배를 형성하며, 같은 원리에 의해 제2 면 발열체(222)에서도 위치에 따른 온도구배를 형성한다.Here, the temperature gradi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is formed in the first
더하여, 제1,2 면 발열체(221,222)의 온도분포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first and second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가 가열유닛(220)에 의해 변형되어 제1 면 발열체(221) 또는 제2 면 발열체(222)에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베이스 부재(110)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제1,2 금형(231,232)은, 베이스 부재(110)의 냉각을 위해 내부에 설정된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경로로 제공되는 냉각유로(233)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이에 의해, 가열유닛(220)에 의해 가열된 베이스 부재(110)에 입체장식(140)을 형성함과 동시에 냉각이 이루어져 베이스 부재(110)가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three-
Claims (7)
상기 베이스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일면에 상기 입체장식과 대응하는 장식패턴이 인쇄되고, 타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면 중 상기 입체장식이 형성된 일면에 합지되어 구비되는 장식시트;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면 중 상기 복수의 흡음홈이 형성된 면에 합지되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흡음홈을 차폐하는 알루미늄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패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입체장식에 정합되어 배치되는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It is provided with a synthetic resin that can be deformed by heat, and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 set width, length, and thickness, has a three-dimensional decoration with a convex or concave three-dimensional shape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grooves concave on the other side Base member having a;
A decorative sheet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nd length as the base member, the decorativ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s print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on which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is formed; And
Inclu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grooves formed on the lamination, aluminum sheet for shielding the plurality of sound-absorbing grooves; includes,
The decorative pattern is a wall decorative material having a sound absorbing performance that is arranged in conformity with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of the base member.
상기 장식패턴은, 상기 장식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주기(P)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corative pattern is a wall decorative material having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orative sheet is repeated at a period (P).
상기 장식패턴은, 복수의 서브패턴이 서로 간격을 가지도록 분리되어 배치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입체장식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정합되어 배치되는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corative pattern, a plurality of sub-patter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pacing is a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having a sound absorbing performance that is arranged to match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입체장식이 형성되며 시트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시트부재;와 상기 제1 시트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제2 시트부재가 상기 제1 시트부재에 합지되어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흡음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member may include a first sheet member having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nd provided in a sheet shape; and a second sheet member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heet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on the first sheet member. The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having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form the plurality of sound absorption grooves.
상기 제1 시트부재는, 상기 제2 시트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타공에 비해 직경이 작은 복수의 흡음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sheet member, a wall surface decorative material having a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holes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in the second sheet member is formed.
상기 복수의 흡음공과 상기 복수의 타공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시트부재와 상기 제2 시트부재가 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 wall decoration material having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heet member and the second sheet member are laminated so that the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holes and the plurality of perforatio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장식시트 위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장식 사이의 간격을 메우도록 끼워져 고정되는 메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지부재는 상기 입체장식 사이의 간격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입체장식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후면에 상기 입체장식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면과 흡음공간을 형성하는 요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성능을 가지는 벽면 장식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It is disposed on the decorative sheet, the mating member is fixed to be sandwiched so as to fill the gap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 further includes,
The meji member is fixed to the gap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groove forming a sound-absorbing space and a surface forming a gap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s on the rear side in a direction sandwich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ecorations. Wall decorative material with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4108A KR20200044228A (en) | 2018-10-18 | 2018-10-18 | Wall decoration sheet with function of sound absorp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4108A KR20200044228A (en) | 2018-10-18 | 2018-10-18 | Wall decoration sheet with function of sound absorp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4228A true KR20200044228A (en) | 2020-04-29 |
Family
ID=7046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4108A Abandoned KR20200044228A (en) | 2018-10-18 | 2018-10-18 | Wall decoration sheet with function of sound absorp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44228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9802A (en) | 2016-03-22 | 2017-10-10 | (주)엘림론 | Wall Decorating Members For Interi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18
- 2018-10-18 KR KR1020180124108A patent/KR20200044228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9802A (en) | 2016-03-22 | 2017-10-10 | (주)엘림론 | Wall Decorating Members For Interi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9044865A1 (en) | Release sheet with emboss patter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EP1800860B2 (en) | Method of making a textured structure | |
WO2008149680A1 (en) | Process for producing oriented thermoplastic resin film, apparatus therefor and base film for optical film | |
JP2008260217A (en) | Printed matter having three dimensional steric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WO1987002944A1 (en) | Transfer paper for imparting solid pattern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 |
KR20200044228A (en) | Wall decoration sheet with function of sound absorption | |
CN102001243A (en) | Multi-thermal transfer method and multi-thermal transfer system | |
KR102006483B1 (en) | Wall decoration 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machine | |
JP4459770B2 (en) | Embossed tun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aminate obtained by laminating the same | |
KR19990060551A (en) | Fashion gla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104249594A (en) | Method and equipment for making multi-layer stereo pattern | |
JP2019064168A (en) | Wood vene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sert-molded article using the wood veneer | |
KR20150124663A (en) | Laminated plate | |
KR20150069676A (en) | The flooring having the effect of hologram scattered reflec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1613365A (en) | Decorative covering for camera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 |
JP2018072660A (en) | Metal gloss embossment decorative sheet,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device of metal gloss embossment decorative sheet | |
KR20200128788A (en) |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of panel using natural materials | |
JP3860832B1 (en) | Method for producing metal substrate having resin film adhered thereto | |
KR100918650B1 (en) | Method for producing flooring having at least one of letters and patterns including garun and flooring manufactured thereby | |
KR100623073B1 (en) | Advertising pad having both matte surface and glossy surfa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CN109797586B (en) | Naked eye three-dimensional printing method and naked eye three-dimensional fabric | |
KR102813670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on film comprising color composite sheet | |
KR200465688Y1 (en) | MDF panels where the color is formed in the sound each three-dimensional pattern inside | |
US20040137143A1 (en) | Forming method using thermal transfer printing sheet | |
JP2009000955A (en) | Label manufacturing method and foil stamping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7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