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758A - Fire extinguisher for a blind person - Google Patents
Fire extinguisher for a blind pers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2758A KR20200042758A KR1020180123335A KR20180123335A KR20200042758A KR 20200042758 A KR20200042758 A KR 20200042758A KR 1020180123335 A KR1020180123335 A KR 1020180123335A KR 20180123335 A KR20180123335 A KR 20180123335A KR 20200042758 A KR20200042758 A KR 202000427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flame
- detection sensor
- visually impaired
- flame det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4449 Ha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PXBRQCKWGAHEHS-UHFFFAOYSA-N dichlorodi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F)(Cl)Cl PXBRQCKWGAHE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WNROFYMDJYEPJX-UHFFFAOYSA-K alumi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OH-].[Al+3] WNROFYMDJYEPJ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89 carb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356 Congenital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034 Frostb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7853 Sarothamnus scop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31 Visual acuity reduc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IZPMCHEQGEION-UHFFFAOYSA-H aluminium sulf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Al+3].[Al+3].[O-]S([O-])(=O)=O.[O-]S([O-])(=O)=O.[O-]S([O-])(=O)=O DIZPMCHEQGEION-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LFVGISIMTYGQHF-UHFFFAOYSA-N ammonium di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H4+].OP(O)([O-])=O LFVGISIMTYGQ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CXJVPUVTGWSNB-UHFFFAOYSA-N nitroge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N]=O JCXJVPUVTGWS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85 thermal hair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9—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easurement of ultraviolet ligh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 시 시각장애인이 지정된 장소에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 지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소화약제가 본체용기 내부에 설정된 압력으로 채워지고, 안전핀을 탈거시킨 상태로 손잡이 측으로 레버를 가압하면 분사호스를 통해 소화약제 외부로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호스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화재가 일어난 곳의 불꽃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불꽃감지센서와, 상기 불꽃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면 그 감지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일측에 구비된 음향부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용기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음향정보가 제공되어 상기 레버를 가압하면 분사호스에서 분사된 소화약제가 화재 지점으로 정확히 분사되도록 상기 불꽃감지센서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불꽃을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부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감지영역제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so that a fire-fighting agent can extinguish a fire quickly and accurately by using a fire extinguisher provided at a designated place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configuration, the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configured to be filled with the pressure set inside the main body container and press the lever toward the handle while the safety pin is remov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out through the spray hose.
The flame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injection hose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from the injection hose, and a flame detection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flame in a fire, and when the flame detection sensor detects a fire, It is formed to provide the acoustic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the acoustic unit provided on one side by receiving the sensed information through wired or wireless control means installed separately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container, and acoustic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ntrol means When the lever is pressed, the flame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to detect the flame only within a set angle range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from the injection hose is accurately fired to the fire point, and is fixed with a fixing means at the end of the injection ho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nsing area limiting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요인으로 시각에 이상이 생겨 눈이 보이지 않거나 시력이 몹시 약한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시각장애인이 지정된 장소에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 지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for a visually impaired visually impaired due to a congenital or acquired factor that causes blindness in vision or has very poor vision. It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so that a fire can be extinguished by spraying an extinguishing agent quickly and accurately.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연소물질을 냉각시키고 화염으로부터 산소를 차단하거나, 화염을 일으키는 화학반응을 방해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휴대용 또는 이동식 기구를 말한다.In general, fire extinguishers are portable or portable devices for early extinguishing a fire by using a substance that cools combustion materials and blocks oxygen from a flame, or interferes with a chemical reaction that causes a flame.
이러한 소화기는 목재나 섬유 등으로 인한 일반화재, 가솔린 등의 유류나 화학약품으로 인한 화재, 전기로 인한 화재 등에 따라 크게 포말 소화기,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로 구분된다.Such fire extinguisher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foam fire extinguishers, powder fire extinguishers,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ers, and halon fire extinguishers according to general fires caused by wood or fiber, oil fires such as gasoline, chemical fires, and electric fires.
상기의 소화기들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포말 소화기는 소화기를 거꾸로 흔들면 내부에 수용된 탄산수소나트륨 용액과 황산알루미늄 용액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이산화탄소와 수산화알루미늄이 생겨나도록 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거품과 수산화알루미늄의 거품이 공기의 공급을 차단해 불을 끄도록 된 것이며, 일반화재, 유류/화학약품 화재에는 적합하나 전기화재는 감전 위험이 있어 부적합하다.To briefly describe the above fire extinguishers, the foam fire extinguisher causes the chemical reaction of the sodium hydrogen carbonate solution and the aluminum sulfate solution contained therein by shaking the fire extinguisher upside down, thereby generating carbon dioxide and aluminum hydroxide, thereby causing bubbles of carbon dioxide and aluminum hydroxide to form. It is intended to extinguish the fire by shutting off the supply of air, and is suitable for general fires, oil / chemical fires, but electric fires are not suitable due to the risk of electric shock.
분말 소화기는 질소나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불연성 고압 기체를 이용하여 소화 약품인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이나 제1인산암모늄 분말을 뿌려 불을 끄도록 된 것이며, 유류/화학약품 화재와 전기화재에 적합하다.The powder fire extinguisher is designed to extinguish the fire by spraying sodium hydrogen carbonate powder or ammonium monophosphate powder, which is an extinguishing agent, by using a non-flammable high-pressure gas such as nitrogen or carbon dioxide, and is suitable for oil / chemical fires and electric fires.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액화 상태로 수용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면 고체 상태인 드라이아이스로 변하면서 화재가 난 곳을 이산화탄소 가스로 덮어 공기의 공급을 차단해 불을 끄도록 된 것으로써, 물이나 분말 가루를 남기지 않기 때문에 전기 화재를 끄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나, 드라이아이스 상태의 온도가 -78.5℃까지 급격히 낮아지므로 동상(凍傷)을 입지 않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를 방출시키기 위한 노즐을 잡을 때 반드시 손잡이를 잡아야 한다.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ers are converted to solid dry ice when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liquefied state is discharged, and the fire is covered with carbon dioxide gas to cut off the supply of air to turn off the fire. It is useful for extinguishing electric fires, but the temperature of dry ice is rapidly lowered to -78.5 ℃, so to avoid frostbite, you must hold the handle when holding the nozzle to release carbon dioxide.
할론 소화기는 할론가스를 채워 무색투명한 방사성이 있는 증발성 액체로 방사된 소화 분말이 기화하여 질식 및 억제작용을 함에 따라 불을 끄도록 된 것으로, 일반화재, 유류/화학약품 화재 및 전기화재에 유류화재에 적합하나, 할론가스가 지구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어 할론 소화기를 청정 소화기로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다.Halon fire extinguishers are made to extinguish the fire as the fire extinguishing powder, which is filled with halon gas and discharged as a colorless and transparent radioactive evaporating liquid, suffocates and suppresses the fire, and is used for general fires, oil / chemical fires, and electric fires. It is suitable for fire, but it is the trend that halon gas is replaced with clean fire extinguisher because halon gas is the cause of destruction of the earth's ozone layer.
또한 상기의 소화기들은 가압 방식에 따라서 가압식과 축압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축압식 소화기는 본체용기 내에 소화약제와 질소 등의 압축가스를 봉입시켜 두었다가 안전핀을 제거하고 손잡이를 누르면 압축가스에 의해 소화약제가 본체용기 밖으로 방출되도록 된 것으로써,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일반화재나 유류/화학약품 화재 또는 전기화재에 두루 사용이 가능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이다.In addition, the above fire extinguishers can be divided into a pressurized type and a compressed type according to the pressurization method. Among them, the compressed fire extinguishers contain a compressed gas such as a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nitrogen in the main body container, and then remove the safety pin and press the handle to extinguis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by compressed gas. Since it is intended to be discharged out of the main body container, it is not only easy to operate, but can be used for general fires, oil / chemical fires, or electric fires, making it the most commonly used fire extinguisher.
그러나 상기의 축압식 소화기는 육안으로 화재가 난 지점에 직접 분사해야 화재 진압 효율이 상승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쉽게 사용이 가능하나, 앞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은 소화기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화재 발생 지점을 제대로 찾지 못해 화재를 진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는 결국 화재로 인한 가스질식 등에 의해 사망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fire extinguishers can be easi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because the fire suppression efficiency increases only when the fire is directly sprayed to the point where the fire has occurred, but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cannot see the fire can properly fire the fi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extinguish the fire because it could not be found, and this problem frequently led to death due to gas suffocation due to fire.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소화기와 관련된 발명은 음성안내를 통해 소화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거나 분사면적을 넓게 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부분 일반인들을 위한 것이어서, 시각장애인들이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자신이 직접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찾아 불을 끌 수 있는 소화기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었다.Nevertheless, the invention related to the conventional fire extinguisher is mostly for the general public, such as making it possible to quickly extinguish the fire by conveniently using the fire extinguisher through a voice guide or by increasing the spray area, so that visually impaired people do not rely on others. It was a desperate need to develop a fire extinguisher that could find out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extinguish i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 시각장애인이 직접 실내에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 지점에 소화약제를 정확히 분사해, 신속히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시각장애인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event of a fire, a visually impaired person directly sprays an extinguishing agent at a fire point using a fire extinguisher placed in the room to quickly extinguish the fire and simultaneously prevent the spread of the fi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can prevent the accident of the visually impaired.
또한, 일반인이 사용하도록 제조된 소화기를 시각장애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와 분해가 간편해 사용 및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 fire extinguisher manufactured for use by the general public can be used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is eas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installation, as well as providing a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It has a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소화약제가 본체용기(10) 내부에 설정된 압력으로 채워지고, 안전핀(20)을 탈거시킨 상태로 손잡이(30) 측으로 레버(40)를 가압하면 소화약제가 분사호스(50)를 통해 상기 본체용기(10)의 외부로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소화기(1)에 있어서, 상기 분사호스(50)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상기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화재가 일어난 곳의 불꽃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불꽃감지센서(100)와,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화재를 감지하면 그 감지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일측에 구비된 음향부(210)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용기(10)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제어수단(200)과,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해 음향정보가 제공되어 상기 레버(40)를 가압하면 분사호스(50)에서 분사된 소화약제가 화재 지점으로 정확히 분사되도록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불꽃을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고정수단(400)으로 고정되는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the extinguishing agent is filled with a pressure set inside the
여기서 상기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상의 불투명 관으로 이루어지고, 불꽃감지센서(10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는 각도가 10°~30°범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etection
또한 상기 불꽃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정보가 유선으로 제어수단(200)에 전달되게 설치된 경우, 상기 불꽃감지센서(100)와 제어수단(200)은 상호 전선(2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선(230)은 일정 간격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클램핑수단(235)에 의해 상기 분사호스(50)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의 일 표면에는 자성(磁性)을 띤 자력부재(25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용기(10)의 외면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는, The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첫째, 시각장애인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지점을 찾아 소화약제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압함과 동시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Firs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quickly and accurately locate the fire point and spray the extinguishing agent to quickly extinguish the fire and prevent the spread of the fire.
둘째, 소화약제를 화재 지점에 분사하고 난 후에는 불꽃감지센서를 이용해 불이 제대로 꺼졌는지 확인하거나 화재 대피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Second, after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to the fire point, it is possible to use the flame detection sensor to check whether the fire is off properly or to use it as a fire evacuation product.
셋째, 기존의 소화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및 설치의 편의성은 증대되는데 비해 제조비용은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since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 the existing fire extinguisher, the convenience of use and installation increases, bu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의 불꽃감지센서가 감지영역제한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의 사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의 제어수단이 본체용기에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e extinguisher for a blin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ut-away view showing the flame detection sensor of the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detection area limiting member,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use of a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means of the visually impaired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container.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일반적인 소화기는 방염(防炎) 성능이 있는 소화약제가 본체용기(10) 내부에 설정된 압력으로 채워지고, 안전핀(20)을 탈거시킨 상태로 손잡이(30) 측으로 레버(40)를 가압하면 소화약제가 분사호스(50)를 통해 본체용기(10)의 외부로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일반적인 소화기에 불꽃감지센서(100)와, 제어수단(200) 및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eneral fire extinguisher is a fire extinguishing agent having a flame retardant performance and is filled with the pressure set inside the
상기의 불꽃감지센서(100)는 화재가 일어난 곳의 불꽃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분사호스(50)의 끝단부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The
여기서 불꽃감지센서(100)의 설치위치는 분사호스(50)와 동일한 방향에서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면서도 분사호스(50)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었을 때 이 소화약제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위치 즉,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설치하되 그 끝단부보다 돌출되지 않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이때 불꽃감지센서(100)는 적외선 LED를 통해 화재시 연소 반응에 의해 불꽃에서 파생되는 근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불꽃감지센서(10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최대 거리는 3m 이내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소화기의 작동범위가 3m인 것을 감안해 불꽃감지센서(100)가 화재 지점의 불꽃을 감지하여 레버(40)를 가압하였을 때 분사호스(50)에서 분사된 소화약제가 화재 지점까지 충분히 도달하여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set the maximum distance that can be detected through the
상기의 제어수단(200)은 불꽃감지센서(10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일측에 구비된 음향부(210)를 통해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제어수단(200)은 상기 본체용기(10)의 일측 외면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means 200 is formed to provide sound information to a visually impaired user through the
여기서 음향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음향정보는 비프음이나 경고음 또는 음성메세지와 같은 안내멘트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Here, the sound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이때 제어수단(200)은 불꽃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내부 일측에는 불꽃감지센서(100)에서 전달된 정보의 수신 및 음향부(21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0)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전원공급부(220)는 일반 건전지 또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모두 사용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200 is to receive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첨부한 도면에서는 불꽃감지센서(100)와 제어수단(200)이 전선(230)에 의해 유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와 같이 전선(230)에 의해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의 전선(230)이 화재로 인한 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열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이러한 전선(230)은 분사호스(50)를 상,하,좌,우로 움직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선(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클램핑수단(235)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때의 클램핑수단(235)은 분사호스(50)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선(230)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se
또한 제어수단(200)에는 전원공급부(220)에 의한 제어수단(2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On/Off 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원스위치(2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스위치(240)가 구비된 경우에는 전원이 켜지거나 꺼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의 음향부(210)를 통해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200 may be provided with a
더불어 제어수단(200)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밴드나 클램프, 또는 자석을 매개로 하여 본체용기(10)에 직접 고정되거나, 제어수단(20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된 별도의 케이스가 제어수단(20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이 케이스 내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200 is directly fixed to the
상기의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꽃감지센서(100)의 전방 외측부분을 가려 불꽃감지센서(100)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불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해 음향정보가 제공되어 레버(40)를 가압하였을 시 분사호스(50)에서 분사된 소화약제가 화재 지점으로 정확히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detection
이때의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불꽃감지센서(100)에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또는 클램프 등을 이용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불꽃감지센서(100)에 설치된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클램프, 절연테이프, 케이블타이 등과 같은 고정수단(400)에 의해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ction
이러한 고정수단(400)은 별도로 구비되어 분사호스(50) 및 감지영역제한부재(30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의 전선(230)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클램핑수단(235)과 같이 감지영역제한부재(300)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effect of the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를 사용하기에 앞서 기본적으로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소화기가 비치된 위치와 사용방법을 사전에 숙지시키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First of all, prior to using a fire extinguisher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asically be preceded by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be familiar with the lo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fire extinguisher.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의 사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화재 발생 인지, 소화기 확보, 안전핀 분리, 화재 지점 파악, 소화약제 분사, 화재 진압 확인 순서로 이루어진다.The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largely made in the order of recognition of fire occurrence, securing of the fire extinguisher, separation of safety pins, identification of fire points, inject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and fire suppression.
시각장애인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경보기가 작동하면, 시각장애인은 정해진 위치에 있는 소화기를 찾아 안전핀을 뽑은 상태에서 분사호스(50)가 자신의 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며 화재 지점을 찾는다. When a fire occurs in a space wher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lives, and the fire alarm operates,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finds a fire extinguisher in a fixed position and pulls out a safety pin while the
이때 본체용기(10)에 부착된 제어수단(200)에 전원스위치(240)이 구비된 경우에는 안전핀을 뽑기 전 전원스위치(240)를 켜 불꽃감지센서(100) 및 제어수단(200)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화재 지점을 찾기 위해 분사호스(5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불꽃감지센서(100)가 불꽃을 감지하게 되면, 음향부(210)에서는 정해진 음향정보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알리게 된다.When the
시각장애인은 음향부(210)에서 지속적인 음향정보가 제공되는 곳으로 분사호스(50)의 방향을 고정시키고, 이후 레버(40)를 손잡이(30) 측으로 가압하여 소화약제를 분사하면 되는데, 소화약제가 분사될 때에는 빗자루를 쓸듯이 분사호스(5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direction of the
소화약제를 충분히 분사하고 난 후에는 레버(4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소화약제를 분사한 주변에서 음향부(210)를 통해 음향정보가 제공되는지 확인하며, 더이상 음향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면 소화약제를 분사한 지점에서의 화재가 진압되었다고 판단한다.After sufficiently extinguish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release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소화약제를 분사한 지점에서 화재가 진압되었다고 판단한 이후에는 다른 곳으로 이동하며 분사호스(50)의 방향을 전환해, 불꽃감지센서(100)가 여분의 불씨 또는 다른 곳으로 번진 불씨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은 동작을 충분히 반복하였음에도 음향부(210)에서 불씨를 감지하였을 때의 음향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면 시각장애인은 화재가 모두 진압된 것으로 판단한다.After determining that the fire has been extinguished at the point where the extinguishing agent was sprayed, it moves to another place and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spraying
상기와 같이 화재가 발생한 경우 시각장애인이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 지점을 신속히 찾고, 화재 지점에 정확히 소화약제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시각장애인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When a fire occurs as described above, a blind person can quickly find a fire point using a fire extinguisher and spray fire extinguishing agents accurately to extinguish the fire, thereby quickly extinguishing a fire caused by a blind person. .
아울러 타인에 의해 발생한 화재의 경우에는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이때의 경우에는 안전핀(20)을 제거한 후 불꽃감지센서(100)가 시각장애인의 전방에 위치한 불꽃을 감지할 수 있게 분사호스(50)를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고,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음향부(210)에서 알람이 울릴 때마다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면서 대피가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ire caused by another person, it can be used for a purpose to safely evacuate from the fire. In this case, after removing the
이처럼, 화재가 발생한 경우 시각장애인이 직접 화재를 진압하거나 또는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화재로 인한 시각장애인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when a fire occurs, the visually impaired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extinguishing the fire directly or evacuating it safely, thereby preventing the visually impaired human accident caused by the fire.
한편 상기의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불꽃감지센서(100)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상의 불투명 관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이처럼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불투명 재질의 관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불꽃감지센서(100)가 사방(四方)으로 균일한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불꽃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또한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불꽃감지센서(10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는 각도가 10°~30°범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각도 범위 내에서 불꽃을 감지하도록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설치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detection
먼저 불꽃감지센서(100)에 의해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각도를 10°미만이 되도록 한 경우에는 불꽃을 감지하는 범위가 40㎝ 이내로 좁아져 불꽃을 찾는 시간이 오래걸리게 되고, 반대로 30°를 초과하도록 한 경우 불꽃을 감지하는 범위가 1.5m 이상이 되어 빠른 시간 내에 불꽃을 감지할 수는 있으나 화재 지점을 정확하게 찾기 어려워 자칫 엉뚱한 곳에 소화약제를 분사함으로써 신속히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First, when the angle at which the flame can be detected by the
이에 더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200)의 일 표면에는 자성(磁性)을 띤 자력부재(25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금속재질의 본체용기(10) 외면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어수단(200)을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어 기존의 소화기는 물론 소화약제를 분사하고 난 소화기에서 분리시킨 후 새로운 소화기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o this,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hat a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는 시각장애인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지점을 찾아 소화약제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압함과 동시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소화약제를 화재 지점에 분사하고 난 후에는 불꽃감지센서를 이용해 불이 제대로 꺼졌는지 확인하거나 화재 대피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시각장애인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소화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및 설치의 편의성은 증대되는데 비해 제조비용은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such, the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accurately find a fire point by spraying an extinguishing agent and quickly extinguish the fir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spread of the fire, spray the extinguishing agent to the fire point, After the fire, the flame detection sensor can be used to check whether the fire is off properly or can be used as a fire evacuation device to prevent visually impaired human accidents. In addition, the existing fire extinguisher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which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use and installation,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1 : 소화기
10 : 본체용기
20 : 안전핀
30 : 손잡이
40 : 레버
50 : 분사호스
100 : 불꽃감지센서
200 : 제어수단
210 : 음향부
220 : 전원공급부
230 : 전선
235 : 클램핑수단
240 : 전원스위치
250 : 자력부재
300 : 감지영역제한부재
400 : 고정수단1: fire extinguisher
10: main body container 20: safety pin
30: handle 40: lever
50: spray hose
100: flame detection sensor
200: control means 210: sound unit
220: power supply 230: electric wire
235: clamping means 240: power switch
250: magnetic force member
300: detection area limiting member
400: fixing means
Claims (4)
상기 분사호스(50)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상기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화재가 일어난 곳의 불꽃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불꽃감지센서(100)와,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화재를 감지하면 그 감지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일측에 구비된 음향부(210)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용기(10)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제어수단(200)과,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해 음향정보가 제공되어 상기 레버(40)를 가압하면 분사호스(50)에서 분사된 소화약제가 화재 지점으로 정확히 분사되도록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불꽃을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고정수단(400)으로 고정되는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Whe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with flame retardant performance is filled with the pressure set inside the main body container 10, and the lever 40 is pressed toward the handle 30 with the safety pin 20 remove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hose. In the fire extinguisher (1)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made to be spray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ontainer (10) through (50),
The flame detection sensor 10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injection hose 50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from the injection hose 50, and is configured to detect the flame in the fire,
When the flame detection sensor 100 detects a fire, the det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wire or wirelessly, and is formed to provide acoustic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the acoustic unit 210 provided at one side. Control means 200 is installed detachably coupled to the,
When the sound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ntrol means 200 and the lever 40 is pressed, the flame detection sensor 100 is within a set angle range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from the injection hose 50 is accurately sprayed to the fire point.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ction area limiting member (300) that is installed to detect the flame only, and is fixed by a fixing means (400) at the end of the injection hose (50).
상기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상의 불투명 관으로 이루어지고, 불꽃감지센서(10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는 각도가 10°~30°범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area limiting member 300 is made of a circular or elliptical opaque tube into which the flame detection sensor 100 can be fitted, and the angle at which the flame is sensed by the flame detection sensor 100 is 10 ° to 30 °.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form a range.
상기 불꽃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정보가 유선으로 제어수단(200)에 전달되게 설치된 경우, 상기 불꽃감지센서(100)와 제어수단(200)은 상호 전선(2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선(230)은 일정 간격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클램핑수단(235)에 의해 상기 분사호스(50)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lame detection sensor 100 is insta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means 200 by wire, the flame detection sensor 100 and the control means 200 are connected by mutual wires 230, and Electric wire 230 is a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injection hose 50 by a clamping means 235 formed to be integr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제어수단(200)의 일 표면에는 자성(磁性)을 띤 자력부재(25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용기(10)의 외면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According to claim 1,
A fire extinguisher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ic member 250 having a magnetic property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control means 200 to be separable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tainer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3335A KR102135029B1 (en) | 2018-10-16 | 2018-10-16 | Fire extinguisher for a blind pers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3335A KR102135029B1 (en) | 2018-10-16 | 2018-10-16 | Fire extinguisher for a blind pers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2758A true KR20200042758A (en) | 2020-04-24 |
KR102135029B1 KR102135029B1 (en) | 2020-07-17 |
Family
ID=7046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3335A Active KR102135029B1 (en) | 2018-10-16 | 2018-10-16 | Fire extinguisher for a blind pers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502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6215A (en) | 2022-12-29 | 2024-07-08 | 이어진 | Fire extinguisher for the disable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5981B1 (en) | 2001-01-03 | 2003-06-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Print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automatically perceiving cassette(s) and automatic perception method thereof |
KR20030070659A (en) * | 2002-02-26 | 2003-09-02 |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 A fire fighting nozzle for sensing ultraviolet rays |
KR200408959Y1 (en) * | 2005-11-28 | 2006-02-15 | 송길봉 | Fire hose protective jacket |
KR20090129000A (en) | 2008-06-12 | 2009-12-16 | 이강민 | Fire extinguisher |
KR101757760B1 (en) | 2016-08-29 | 2017-07-14 | 박종두 | A fire detection means with Fire extinguisher |
KR20170140649A (en) * | 2016-06-13 | 2017-12-21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Fire extinguisher provided warning light |
-
2018
- 2018-10-16 KR KR1020180123335A patent/KR1021350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5981B1 (en) | 2001-01-03 | 2003-06-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Print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automatically perceiving cassette(s) and automatic perception method thereof |
KR20030070659A (en) * | 2002-02-26 | 2003-09-02 |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 A fire fighting nozzle for sensing ultraviolet rays |
KR200408959Y1 (en) * | 2005-11-28 | 2006-02-15 | 송길봉 | Fire hose protective jacket |
KR20090129000A (en) | 2008-06-12 | 2009-12-16 | 이강민 | Fire extinguisher |
KR20170140649A (en) * | 2016-06-13 | 2017-12-21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Fire extinguisher provided warning light |
KR101757760B1 (en) | 2016-08-29 | 2017-07-14 | 박종두 | A fire detection means with Fire extinguish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6215A (en) | 2022-12-29 | 2024-07-08 | 이어진 | Fire extinguisher for the disable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5029B1 (en) | 2020-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72247B1 (en) | Fire Extinguising Gas Spray Device and Disaster Warning System | |
JP5230476B2 (en) | Fire extinguishing gas injector and disaster warning system | |
KR101676813B1 (en) | A alarm for saving a life | |
US8651195B2 (en) | Jetting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gas and disaster warning system | |
JP5073296B2 (en) | Fire extinguisher gas injector | |
KR102135029B1 (en) | Fire extinguisher for a blind person | |
KR101003795B1 (en) | Fire extinguisher | |
KR100519426B1 (en) | Digestion device for removable urgency fire suppression that bubble woe is emited by nitrogen gas | |
JPH09225056A (en) | Fire extinguisher | |
KR20200099289A (en) | Fire extinguisher M without gripping the safety pin | |
KR20180068507A (en) | Protective device for fire extinguishers with decoration | |
KR102298628B1 (en) | Fire extinguisher | |
CN210873877U (en) | Fire extinguishing device | |
CN210228970U (en) | Intelligent fire-fighting water spray nozzle | |
CN212593599U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vehicle | |
LU103120B1 (en) | Portable fire extinguisher | |
KR102069048B1 (en) | A safety handle of the fire-extinguisher for making a guide voice | |
CN211188876U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dry powder fire extinguisher | |
KR100719759B1 (en) | Safety Spray Nozzle | |
CN217489608U (en) | Wisdom fire control is with fire extinguisher of thermal-insulated shield formula | |
KR200483699Y1 (en) | Portable Breathing Device for Location Tracking | |
KR200164198Y1 (en) | Air-sol easy fire extinguisher | |
KR102723053B1 (en) | Firefighting Equipment | |
KR100716471B1 (en) | Sprinkler Head | |
KR200366060Y1 (en) | The fire fighting equipment of home use 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