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35735A - Cleaner a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leaner a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735A
KR20200035735A KR1020180115224A KR20180115224A KR20200035735A KR 20200035735 A KR20200035735 A KR 20200035735A KR 1020180115224 A KR1020180115224 A KR 1020180115224A KR 20180115224 A KR20180115224 A KR 20180115224A KR 20200035735 A KR20200035735 A KR 20200035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motor
handle
driving
suction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형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5735A/en
Publication of KR2020003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735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는, 내측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를 구비하고, 외측에 핸들을 구비한 청소기 본체; 및 연장관을 통해 상기 핸들과 연결되며,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 핸들에 구비되어,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핸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감지된 핸들의 움직임의 변화량이 기준범위 이내인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흡입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vacuum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 suction motor that generates suction power therein and a handle on the outside; And an inhalation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handle through an extension pipe and inhales external dust by suction force. It is provided on the handle, th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while the suction motor is driven;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stop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n response to a state in which a condition that satisfies a condition in which the change amount of movement of the detected handle is within a reference ran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CLEANER A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Vacuum cleaner and its control method {CLEANER A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본체의 진공 청소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of a main body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하는 장치를 가리킨다.The vacuum cleaner refers to a device that sucks dust and air using suction power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cleaner body, separates dust from the air, and collects dust.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캐니스터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스틱 청소기, 핸디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로 구분된다. 캐니스터 청소기의 경우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이 청소기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며, 연결장치에 의해 청소기 본체와 흡입 노즐이 서로 연결된다. 업라이트 청소기의 경우 흡입 노즐이 청소기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틱 청소기와 핸디 청소기의 경우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된다. 다만, 스틱 청소기의 경우 흡입 모터가 흡입 노즐에 가깝게 배치되고(하중심), 핸디 청소기의 경우 흡입 모터가 파지부에 가깝게 배치된다(상중심). 로봇 청소기는 자율 주행 시스템을 통해 스스로 주행하면서 스스로 청소를 수행한다. These vacuum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canister cleaners, upright cleaners, stick cleaners, handy cleaners, and robot cleaners. In the case of a canister cleaner,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dus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leaner body, and the cleaner body and the suction nozz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device. In the case of an upright cleaner, the suction nozzl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In the case of a stick cleaner and a handy cleaner, it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user holds the cleaner body by hand. However, in the case of a stick cleaner, the suction motor is disposed close to the suction nozzle (lower center), and in the case of a handy cleaner, the suction motor is disposed close to the gripping portion (upper center). The robot cleaner cleans itself while driving itself through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한편, 스틱 청소기나 핸디 청소기의 경우 사용 편의성을 위해 제품이 가볍게 제작되는데, 이로 인하여 청소기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용량이 제한된다. 그리고, 배터리의 용량 제한은 청소기 사용 시간의 감소로 이어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tick cleaner or a handy cleaner, the product is lightly manufactured for ease of use, thereby limit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cleaner. In addition, limit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leads to a reduction in the use time of the cleaner.

따라서, 제한된 배터리 용량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실제로 청소를 하는 동안에만 청소기가 동작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limited battery capacity, the cleaner needs to operate only while the user actually cleans.

이를 위해, 미국 공개특허US 20130205538 A1 및 미국 공개특허US 20170209014 A1 에는 청소기의 핸들 부분에 스위치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스위치 버튼을 푸쉬(push)하는 동안 전원 연결 접점부가 온(on) 상태가 되면서 전원이 공급되어 청소기가 동작하고, 사용자가 스위치 버튼을 푸쉬(push)하지 않는 동안은 전원이 차단되어 청소기가 동작을 멈추도록 구현하였다.To this end, the US Patent Publication US 20130205538 A1 and US Patent Publication US 20170209014 A1 are provided with a switch button on the handle portion of the cleaner, so that the power connection contact is turned on while the user pushes the switch button. The cleaner is operated because power is supplied and the power is cut off while the user does not push the switch button to stop the cleaner.

그러나, 이는 사용자가 청소를 하는 동안 스위치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을 야기했다. 또한, 스위치 버튼을 누르면서 동시에 흡입력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오히려 사용 편리성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is caused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keep pressing the switch button while cleaning.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uction power at the same time while pressing the switch button, but rather, the convenience of use is deteriorated.

미국 공개특허US 20130205538 A1 (2013.08.15 공개)US Published Patent US 20130205538 A1 (2013.08.15 published) 미국 공개특허US 20170209014 A1 (2017.07.27 공개)US Published Patent US 20170209014 A1 (released on July 27, 2017)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 입력 없이 실제 청소 중인지를 자연스럽게 파악하여 청소 중에만 청소기를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공 청소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implemented so that the cleaner can be operated only during cleaning by naturally grasping whether it is actually being cleaned without user inpu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청소기를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구동을 정지시켜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고 사용 시간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that can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and further increase the use time by stopping the motor driving that generates suction power while the user is not actually using the cleaner. hav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 구동의 정지 후 사용자가 청소기를 다시 사용하려는 경우, 추가 입력 없이 자연스럽게 청소 동작을 이어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공 청소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o implement a cleaning operation naturally without additional input when the user intends to use the cleaner again after the motor is stopp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내측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를 구비하고, 외측에 핸들을 구비한 청소기 본체; 및 연장관을 통해 상기 핸들과 연결되며, 상기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핸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변화량이 기준범위 이내인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on the inside, a cleaner body having a handle on the outside; And an intake unit connected to the handle through an extension pipe and inhaling external dust by the suction force. It is provided on the handle, th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while the suction motor is driven;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stop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n response to a state in which a condition in which the detected change amount of motion is within a reference ran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연속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핸들의 3축 방향의 속도 변화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3축 방향의 속도 변화량이 상기 기준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cts a speed change amount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based on a signal continuously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he detected speed change amount in the 3-axis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range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핸들의 움직임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재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ovement change of the handl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the suction motor is restarted.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 후 상기 정해진 시간 동안은 상기 센싱부의 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핸들의 움직임 변화를 감지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after the suspension of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the activated state of the sensing unit is maintained for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nsing unit generates a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in the activated state. Is don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 후 상기 정해진 시간 동안은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the power-on state for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 후 일정 시간 내에 핸들의 움직임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본체를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the main body is turned off.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를 재구동하기 위한 상기 핸들의 최소변화량은, 상기 흡입 모터를 구동중단하기 위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의 최소변화량보다 적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nimum change amount of the handle for restarting the suction motor is less than the minimum change amount of the stat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는, 3축 가속도 센서, IMU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 IMU sensor, a 3-axis gyro sensor.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시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모드 및 구동속도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흡입 모터의 재구동시, 상기 저장된 구동모드 및 구동속도로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stores the driving mode and driving speed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and when the driving motor is restarted, the suction is driven by the stored driving mode and driving speed.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motor to driv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공 청소기는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부족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충전량 부족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핸들의 움직임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흡입 모터를 구동속도를 감소시킨 절약모드로 재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vacuum cleaner further includes a battery detach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ler detects a state of insufficient charge of the battery, and stops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n the state of insufficient charge. Afterwards, if a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detected within a certain time, the suction motor is re-driven to a saving mode in which the driving speed is reduced.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와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indicating a stat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and the drive stop of the suction mot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동작방법은, 청소기의 전원 온 상태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흡입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핸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움직임의 변화량이 기준범위 이내인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흡입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er-on state of the cleaner, driving the suction motor to generate suction force; Sens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while the suction motor is driving; Monitoring whether a state that satisfies a condition in which the detected change amount of motion is within a reference ran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while maintaining the power-on state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핸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핸들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핸들의 3축 방향의 속도 변화량을 감지하여 상기 기준범위 이내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based on a signal received through a sensor provided on the handle, and detects a speed change amount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to conditions within the reference ran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atisfactory.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핸들의 움직임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재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if a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rive motor is stopped, it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starting the suction mo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청소 공간을 청소하는 동안 핸들의 공간 움직임의 변화량을 기초로 실제 청소 중인지를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공간 움직임의 변화량을 기초로 청소 중이 아닌 것으로 파악되면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의 최소화를 동시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 충전 후 청소기의 사용 시간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모터의 동작이 정지된 후 일정 시간 내에 다시 핸들의 공간 움직임의 변화가 감지되면, 다시 청소가 시작된 것으로 자연스럽게 인식함으로써, 동작 재개를 위한 사용자의 추가 입력 없이 자연스럽게 청소 동작을 이어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lean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user is cleaning the cleaning space, it is possible to naturally grasp whether it is actually being cleaned based on the change amount of the space movement of the handle, and clean based on the change amount of the space move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in the middl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simplicity of use and minimization of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For this reason, the use time of the cleaner after charging the battery is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when a change in the spatial movement of the handle is detected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motor operation is stopped, it is naturally recognized that the cleaning has started again, so that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additional user input for resuming the opera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세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핸들의 3축 방향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부족 상황에서 흡입 모터의 재구동시 동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이다.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화면 예시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ree-axis movement of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n exemplary screen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when the suction motor is restarted in a low battery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and 6C are examples of different screens showing stopping of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를 내측에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10)와,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20) 및 상기 청소기 본체(10)와 상기 흡입부(120)를 연결하는 연장관(17)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10 having a suction motor therein for generating suction power, and a suction unit for sucking air containing dust ( 120) and an extension tube 17 connecting the cleaner body 10 and the suction part 120.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연장관(17) 없이도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suction unit 1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10 without the extension tube 17.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부(20)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는 상기 연장관(17)을 통해 상기 먼지통(12)에 저장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0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12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air is stored. Accordingly, dust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art 20 may be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12 through the extension tube 17.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핸들(13)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13)을 파지한 상태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A handle 13 for a user to grip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10. The user can perform cleaning while holding the handle 13.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수용부(15)는 핸들(1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cleaner body 10 is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and the cleaner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5 in which the battery is accommodated. For example,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15 may be provided under the handle 13.

또, 상기 배터리는 상기 흡입부(120)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상기 배터리는 본체(10)에 내장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한다. In addition, the battery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120 to supply power to the suction unit 100. In addition, the battery is built into the main body 10 to supply power to a suction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suction power.

한편, 입력부(110)는 청소기 본체(10)를 전원 온(off) 또는 오프(off)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상기 입력부(110)는 청소의 수행에 따라 흡입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는 동안 흡입 모터의 파워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상기 입력부(110)는 기설정된 다양한 청소 동작모드를 설정,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turning on or off the cleaner body 10. 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adjusting the power level of the suction motor while the suction motor (not shown) is driven according to the cleaning. 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user input for setting and changing various preset cleaning operation modes.

이하,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진공 청소기(100)의 세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Hereinafter,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specifically describ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00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진공 청소기(100)는 청소기 또는 핸디 청소기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들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vacuum cleaner 100 may be referred to as a cleaner or a handy cleaner, and these may be used in the same sens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는, 입력부(110), 흡입부(120), 흡입 모터(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7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요소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110, the suction unit 120, the suction motor 130, the sensing unit 140, the output unit 150, the memory 17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components, and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or one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as necessary.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청소기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10)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입력부(110)는 하드 키나 소프트 키, 터치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핸들(13)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입력부(110)는 출력부(150)와 함께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various control commands for the cleaner from the user.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buttons. 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may be made of a hard key, a soft key, a touch pad, or the like, and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3. 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may have a form of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output unit 150.

흡입부(120)는, 청소 공간의 먼지를 비산시키는 브러쉬(미도시)를 통해 주변의 먼지를 비산시킨 다음, 흡입 모터(13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흡입력을 통해 먼지를 흡입한다. 흡입부(120)는 노즐 또는 흡입노즐로 명명될 수 있다. 흡입부(120)는 연장관을 통해 본체(10)와 연결된다. The suction unit 120 scatters surrounding dust through a brush (not shown) that scatters dust in the cleaning space, and then suctions dust through suction power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130. The suction unit 120 may be referred to as a nozzle or a suction nozzle. The suc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an extension pipe.

흡입 모터(130)는 본체(10) 내측에 내장되며,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구동된다. 흡입 모터(13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흡입력은 연장관을 통해 흡입부(120)애 공급되어 먼지를 흡입한다. 흡입 모터(130)의 구동속도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청소 공간의 먼지농도에 따라, 파워 레벨을 조절하여 가변될 수 있다.The suction motor 130 is built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he suction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130 is supplied to the suction unit 120 through an extension pipe to suck dust. The driving speed of the suction motor 130 may be varied by adjusting the power level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r dust concentration in the cleaning space.

센싱부(140)는, 청소기 외부의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장애물 정보 등을 감지한다. 또, 센싱부(140)는 청소기 내부의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청소기에 포함된 각 구성들, 예를 들어 배터리의 남은 충전량을 감지한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state information outside the cleaner, for example, obstacl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40 detects state information inside the cleaner, for exampl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leaner, for example, the remaining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또한, 센싱부(140)는 핸들(13)의 공간 움직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핸들(13)은 청소 중에 앞, 뒤, 좌, 우 등으로 자연스럽게 움직이므로, x, y, z 축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된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a change in spatial movement of the handle 13. Since the handle 13 naturally moves forward, backward, left, right, etc. during cleaning, displacement occurs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센싱부(140)는 이러한 x, y, z 축 방향의 변위를 감지하여, 핸들의 공간 움직임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싱부(140)는 3축 가속도 센서, IMU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는 핸들(13)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displacements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and detect a change in spatial movement of the handle.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 IMU sensor, and a 3-axis gyro sensor, and such a sens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handle 13.

출력부(150)는, 음향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각종 신호음이나, 정해진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출력부(15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청소기의 동작 상태, 배터리의 잔존량, 전원의 온/오프, 흡입 파워 상태 등의 정보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The output unit 150 may output various beeper sounds or predetermined voices using sound output means. Further, when at least a part of the input unit 110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may serve as the output unit 150. In this case,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ean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the power on / off, and the suction power state may be output through the touch screen.

메모리(170)는, 청소기를 제어 또는 구동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70)는 청소기 동작이 정지되기 이전에 실행되었던 동작모드, 파워레벨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70 stores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or driving the cleaner and data corresponding thereto. For example, the memory 17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on mode and power level that were executed before the cleaner operation was stopped.

전원부(190)는 외부 상용 전원에 의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청소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90)는 청소기에 포함된 각 구성들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 청소기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청소기 중앙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좌,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rovided with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to supply power to the cleaner.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supply driving power to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leaner, and supply operating power required for the cleaner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e battery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enter of the cleaner, or may be located on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제어부(180)는 청소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입력부(110)에 인가된 신호를 기초로 청소기의 전원 온/오프(on/off), 파워 레벨 등을 가변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신호를 기초로, 청소기의 동작과 전원의 차단 여부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leaner.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80 generates a control signal that varies power on / off, power level, etc. of the cleaner based on the signal applied to the input unit 110. An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and whether the power is off.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0)는 제품의 경량화를 위해 배터리 용량이 제한되는 코드제로 핸디 청소기 또는 스틱 청소기에서, 사용 편의성과 동시에 배터리 소모 최소화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d-free handy cleaner or a stick cleaner with a limited battery capacity for weight reduction of products, so as to be able to satisfy convenience and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at the same time. Was implemented.

청소기를 동작하여 청소를 개시한 후, 실제로는 사용자가 쉬지 않고 청소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예를 들어, 청소 동작 중에 잠시 스트레칭을 수행하거나, 걸려온 전화를 받는다거나, 청소중에 갑자기 발생한 상황(예, 초인종 울림, 물 끓음 등)을 해결하기 위해 잠시 청소를 멈추게 된다. 이때에, 사용자가 청소기의 전원을 끄지 않고 위에 나열된 작업 중 하나를 수행할 경우, 실제로는 청소를 수행하지 않음에도 배터리만 낭비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는, 청소기의 사용 시간 감소로 이어진다.After starting the cleaning by operating the cleaner, in practice, there will be many cases where the user does not rest and does not perform cleaning. For example, during a cleaning operation, stretching may be briefly performed, an incoming call may be answered, or cleaning may be temporarily stopped to solve a sudden situation (eg, doorbell ringing, boiling water, etc.) during cleaning. At this time, if the user performs one of the tasks listed above without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cleaner, a situation occurs in which only the battery is wasted even though the cleaning is not actually performed. This leads to a reduction in the use time of the cleaner.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실제 청소 중에만 청소기가 동작을 수행하고 실제로 청소를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는 청소기가 동작을 정지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의도적으로 배제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켰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performs an operation only during actual cleaning and implements the cleaner to stop the operation while not actually performing the cleaning.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the user's additional input is intentionally excluded,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usability.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청소기의 핸들(13)에 핸들의 공간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140)를 구비하였다. 센싱부(140)는 청소기(100)가 전원 온(on) 상태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또, 센싱부(140)는 청소기 본체(10)에 내장된 흡입 모터(130)가 구동되는 동안 핸들(13)의 3축 방향의 가속도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140 for sensing the spatial movement of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handle 13 of the cleaner. The sensing unit 140 may be activated when the cleaner 100 is powered on.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the acceleration displacement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13 while the suction motor 130 built in the cleaner body 10 is driven.

청소기(100)의 제어부(180)는 흡입 모터(130)가 구동되는 동안, 센싱부(140)를 통해 핸들(13)의 공간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While the suction motor 130 is driven, the controller 180 of the cleaner 100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movement of the handle 13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또,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핸들(13)의 공간 움직임의 변화량이 기준범위 이내인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결정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state that satisfies a condition in which the amount of change in spatial motion of the handle 13 is within a reference ran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여기에서, 상기 공간 움직임의 변화량은 핸들(13)이 x, y, z 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여서 3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변위가 발생한 경우, 각 변위값의 합을 의미한다. Her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patial motion means the sum of the respective displacement values when the handle 13 moves in at least one of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and displacement occur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three axes.

또, 상기 기준범위는 실제 청소 동작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공간 움직임의 변화량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준범위 이내인 조건이란, 핸들(13)이 x, y, z 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거의 움직이지 않거나 매우 조금 움직인 경우로, 실제로는 청소 동작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는 공간 움직임 변화량을 의미한다. 이는, 청소기의 동작을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1조건으로, 동작 중단 개시 요건 또는 동작 유지 요건이라 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range refers to the maximum value of the amount of change in spatial motion to be determined that the actual cleaning operation is not being performed. Accordingly, the condition within the reference range is a case where the handle 13 hardly moves or moves very little in at least one of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and in reality, the spatial movement determined to be the cleaning operation is stopped. It means the amount of change. This is a first condition for deciding whethe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and can be said to be an operation stop start requirement or an operation maintenance requirement.

또, 상기 정해진 시간이란, 상기 동작 중단 개시 요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지속되어 오류 없이 동작을 중단하기 위해 필요한 임계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오동작 없이 청소기 동작을 실제로 중단하기 위해 필요한 제2조건으로, 제1조건의 만족을 전제로 하므로 동작 중단 충족 요건이라 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time means a critical time required to stop the operation without error because a state that satisfies the operation stop start requirement continues. This is a second condition necessary to actually stop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without a malfunction, and can be said to be a condition for satisfying the operation interruption, assuming tha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제어부(180)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면, 즉 제1조건과 제2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흡입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8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흡입 모터(130)의 구동이 정지된다.The controller 180 generates a control signal that stops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condition satisfying the condi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when both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are satisfied. Then,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130 is stopp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

도 3은 청소기의 핸들(13)에 구비된 센싱부(140)를 통해, 핸들(13)의 3축 방향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핸들(13)의 내측에 내장된 센싱부(140)는, 3축 가속도 센서, IMU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movement of the handle 13 in the 3-axis direction is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provided in the handle 13 of the cleaner. The sensing unit 140 embedded inside the handle 13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 IMU sensor, and a 3-axis gyro sensor.

가속도 센서는 지구의 중력가속도를 기준으로 물체가 얼마만큼의 힘을 받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3축 가속도 센서란 X, Y, Z 축 방향의 가속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속도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고, 2개가 적용된 6축 가속도 센서, 또는 3개가 적용된 9축 가속도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An acceleration sensor is a sensor that measures how much force an object is receiving based on the Earth's gravitational acceleration.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means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magnitude of acceleration in the X, Y, and Z axis directions. Such an acceleration sensor may be used as only one 3-axis acceleration sensor, or may be used as a 6-axis acceleration sensor to which two are applied, or a 9-axis acceleration sensor to which three are applied.

3축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롤(roll, X축에 대한 회전)과 피치(pitch, Y축에 대한 회전)를 산출할 수 있다. 단위는 [g]을 사용한다. 한편, 중력가속도 방향과 일치하는 Z축에 대한 대한 회전, 즉 요(yaw, Z축에 대한 회전) 값은 3축 자이로 센서나 지자기 센서(magnetometer)를 추가로 적용해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물체가 정지하지 않은 움직임 상태에서는 3축 가속도 센서만으로 기울기 값을 감지할 수 없다. Using the sensing values of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roll (roll, rotation about the X axis) and pitch (pitch, rotation about the Y axis) can be calculated. The unit is [g]. 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about the Z-axis, that is, the yaw (rotation about the Z-axis) value coinciding with the direction of gravitational acceleration can be calculated by additionally applying a 3-axis gyro sensor or a magnetometer. In addition, the tilt value cannot be detected by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only when the object is not in motion.

3축 자이로 센서는, 물체의 자세 제어를 위한 센서로, X, Y, Z 축 방향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여기서 각속도란 시간당 회전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단위는 [degree/sec]를 사용한다. The 3-axis gyro sensor is a sensor for controlling the posture of an object, and is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in the X, Y, and Z axis directions, where the angular velocity means an angle rotating per hour. The unit is [degree / sec].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는 3축의 가속도 센서와 3축의 자이로 센서를 조합한 센서이다. 또는, IMU 센서는 축의 가속도 센서와 3축의 자이로 센서와 3축 지자기 센서를 내장한 9축 센서이다. 이와 같은 IMU 센서를 이용하면, 위에서 설명한 롤(roll), 피치(pitch), 요(yaw)의 값을 모두 산출할 수 있다. The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is a combination of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a 3-axis gyro sensor. Alternatively, the IMU sensor is a 9-axis sensor that incorporates an axis acceleration sensor, a 3-axis gyro sensor, and a 3-axis geomagnetic sensor. If such an IMU sensor is us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values of the roll, pitch, and yaw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는 핸들의 3축 방향의 속도 변화량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3축 자이로 센서와 3축 가속도 센서가 내장되거나 또는 IMU 센서로 구성된 센싱부(140)가 핸들(13)에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3-axis gyro sensor and a 3-axis acceleration sensor may be built in, or a sensing unit 140 composed of an IMU sensor may be embedded in the handle 13 so that all speed changes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can be detected. will be.

제어부(180)는 이와 같은 센싱부(140)를 통해 연속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핸들(13)의 3축 방향의 속도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3축 방향의 속도 변화량이 기준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the amount of speed change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13 based on the signal continuously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amount of speed change in the 3-axis direction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within a reference range.

도 3을 참조하면, 핸들(13)은 청소 동작에 따라 앞, 뒤, 좌, 우 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핸들(13)에 내장된 센싱부(140)는 이러한 x, y, z 축 방향의 공간 움직임에 대응되는 변위값을 신호 형태로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handle 13 is mov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leaning operation, the front, back, left, right direction, or a combination of these. The sensing unit 140 embedded in the handle 13 detects displacement values corresponding to spatial movements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in the form of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ler 180.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핸들(13)의 움직임 변화량을 감지하고, 실제 청소 동작 중인지 아니면 청소 동작이 중단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13)의 움직임 변화량이 청소 동작이 중단된 것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움직임, 즉 기준범위 이하이고, 이러한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되면, 배터리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흡입 모터(130)의 구동을 중단한다. 다만, 핸들(13)의 움직임 변화량이 일시적으로 기준범위 이하였다가 다시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변화량이 감지되면 흡입 모터(130)의 구동을 중단하지 않을 수 있다.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the controller 180 can detect the amount of movement change of the handle 13 and recognize whether the actual cleaning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or the cleaning operation is stopped. Specifically,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13 is such that the cleaning operation is considered to be stopped, that is, below the reference range, and this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uction motor 130 is minimized to minimize battery waste. Stop driving. However,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13 is temporarily below the reference range and then again, the amount of change exceeding the reference range is detected,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130 may not be stopped.

이하,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 동작방법의 전체 동작 과정을 설명하겠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the entire operation process of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100)의 동작방법은, 흡입 모터의 구동을 감지하는 과정으로 개시된다(S10). 흡입 모터의 구동은 사용자가 핸들(13)의 입력부(110)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전원을 켜면 개시된다.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는 입력부(110)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흡입 모터의 구동 모드나 파워 레벨(즉, 구동 속도)을 조절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rted as a process of sens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S10).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started whe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by operating a key provided on the input unit 110 of the handle 13. In the power-on state, a driving mode or power level (ie, driving speed) of the suction motor may be adjusted by operating a key provided in the input unit 110.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핸들(13)의 센싱부(140)를 통해 핸들의 공간 움직임을 감지한다(S20). 제어부(180)는 감지된 공간 움직임의 변화량이 기준범위 이내인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30). 여기에서, 감지된 공간 움직임의 변화량이 기준범위 이내인 조건은 위에서 설명한 제1조건이고, 제1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될 것은 위에서 설명한 제2조건이다. 제2조건은 제1조건이 만족된 것을 전제로 판단된다.While the suction motor is being driven, the spatial movement of the handle is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of the handle 13 (S20). The controller 180 monitors whether or not a state that satisfies a condition in which the detected change in spatial motion is within a reference ran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S30). Here, the condition in which the amount of change of the detected spatial motion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is the first condition described above, and the condition that satisfies the first condition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the second condition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dition is determined on the premise tha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다음, 제어부(180)는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청소기 본체의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흡입 모터의 구동만 중단한다(S40). 구체적으로, 제1조건과 제2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흡입 모터만 오프(off)된다. 이때에, 청소기는 전원 온 (on) 상태를 유지하므로, 청소기가 꺼진 것은 아니며 “¡°일시 중단”¡± 상태로 볼 수 있다. 청소기(100)의 배터리 충전량은,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에 가장 많이 소모되므로, 흡입 모터가 오프(off)되는 것만으로도 불필요한 배터리 낭비의 최소화 구현이 가능해진다. Next, the controller 180 maintains the power-on state of the cleaner body on the basis of monitoring, and stops only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S40). Specifically, when both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are satisfied, only the suction motor is turned off. At this time, since the vacuum cleaner maintains a power-on state, the vacuum cleaner is not turned off and can be viewed as a “¡° pause” ¡± state. Since the battery charge amount of the cleaner 100 is consumed the most while the suction motor is being driven, it is possible to minimize unnecessary battery waste by simply turning off the suction motor.

한편, 청소기를 실제로 사용하지 않아 흡입 모터의 구동이 중단된 후, 예상되는 사용자의 동작 시나리오는 두 가지를 고려할 수 있다. 하나는 잠시 후에 다시 청소를 이어서 수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청소를 오랜 시간 수행하지 않거나 청소를 그대로 완료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안정성과 배터리 낭비 최소화 측면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because the cleaner is not actually used, two possible scenarios of the user's operation may be considered. One is to continue cleaning again after a while, and the other is to not perform cleaning for a long time or to complete the cleaning as it is. In the former case, user convenience should be considered, and in the latter case, stability and battery waste minimization should be considered.

이하, 도 5는 위의 두 가지 상황을 모두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동작방법의 구체적인 과정들을 보인 것이다.Hereinafter, FIG. 5 shows specific processes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both of the above situations.

도 5를 참조하면, 청소기 전원 온 상태에서(S501)에서 핸들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3축 가속도 신호를 수신한다(S502). 청소기 전원 온 상태는, 핸들(13)에 구비된 전원 키를 조작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최초에 전원 키를 푸쉬(push)하게 되면 흡입 모터의 구동도 함께 온(on) 상태로 활성화된다.Referring to FIG. 5,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is powered on (S501), a 3-axis accel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received (S502). The cleaner power-on state can be activated by operating the power key provided on the handle 13. When the power key is first pushed,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also activated on.

흡입 모터의 구동이 온(on) 상태이면(S503),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504). When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on (S50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504).

여기에서, 상기 3축 가속도 변위는 센싱부(140)를 통해 감지되는 x, y, z 축 방향의 움직임 변화량에 대응되는 값을 의미한다. 즉, 전술한 3축 방향 움직임 변화량의 의미와 유사하다. 다만, 3축 가속도 센서만으로는 z 축의 가속도 변위를 감지할 수 없으므로, 여기서는 3축 자이로 센서나 3축 지자기 센서를 함께 사용하거나 또는 IMU 센서를 사용하여 3축 가속도 변위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hree-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mean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motion change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That is, it is similar to the meaning of the amount of movement change in the 3-axis direction described above. However, since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alone cannot detect the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z-axis, the 3-axis gyro sensor or the 3-axis geomagnetic sensor may be used together, or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may be detected using the IMU sensor.

또, 여기에서, 상기 일정 범위 이내는 청소 동작이 수행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정도의 움직임 변화량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핸들(13)이 x, y, z 축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전혀 움직이지 않거나 또는 3축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청소 중으로 보기 어려운 작은 움직임 변화량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일정 범위 이내는 위에서 설명한 기준 범위 이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In addition, here, it means the amount of movement change to the extent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clean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Specifically, it means that the handle 13 does not move at all in any of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or even if displacement occurs in the 3-axis direction, there is a small amount of movement change that is difficult to see during cleaning. That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is used in the same sense as within the reference range described above.

상기 일정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핸들의 움직임 변화값들 또는 상기 일정 범위에 대응되는 최대 움직임 변화값이 청소기의 메모리(17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싱부(140)를 통해 감지된 움직임 변화량과 상기 메모리(170)로부터 검출된 움직임 변화값이 비교된다. The movement change values of the handl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range or the maximum movement chan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range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70 of the cleaner. In this case, the amount of motion change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40 and the value of motion change detected from the memory 170 are compared.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 이내에 해당하면, 이러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계속 모니터링한다(S505). If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falls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continuously monitored whether this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505).

이를 위해, 진공 청소기(100)의 제어부(180)는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 이내인 상태를 검출하고, 그러한 상태가 검출된 시점부터 타이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180 of the vacuum cleaner 100 may detect a state in which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perform a timer operation from the time when the state is detected.

상기 타이머 동작은 상기 상태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정해진 시점까지 카운트(count)를 수행한다. 상기 상태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카운트(count) 도중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3축 가속도 변위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카운트(count)를 '0'으로 초기화한다. 이후에는,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를 다시 모니터링한다. 한편, 상기 상태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카운트(count)의 수행 후 정해진 시점에 도달되면, 상기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하의 동작을 수행한다. The timer operation counts from a time when the state is detected to a predetermined time.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a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exceeding a predetermined range is received during the count from the time when the state is detected, the count is initialized to '0'. Thereafter,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is monitored again. On the other hand, if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after performing the count from the time when the state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and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다시 말해,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 이내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흡입 모터의 구동을 중단한다(S506). In other word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in which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S506).

다만, 여기에서,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은 청소기 본체의 전원 오프(off) 상태를 의미하지 않는다. 즉, 흡입 모터의 구동만 일시 중단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90000rmp의 구동속도로 구동하던 흡입 모터에만 전류 인가가 차단되며, 청소기의 나머지 구성에는 전류 인가가 계속 유지된다. However, here,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does not mean a power-off state of the cleaner body. That is, only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temporarily suspended. Accordingly, for example, current application is blocked only in the suction motor that was driven at a driving speed of 90000 rmp, and current applic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cleaner.

위의 단계 S504에서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도록 움직이는 동안은, 사용자가 청소 동작을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보고, 핸들의 3축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502를 반복하여 수행한다.In step S504, while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is moved to exceed a predetermined range, the user sees that the cleaning oper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repeats step S502 of receiving the 3-axis acceleration signal of the handle.

또, 위의 단계 S505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도록 움직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청소 동작을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보고, 핸들의 3축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502를 반복하여 수행한다.In addition, in step S505, even if it is detected that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mov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is regarded as maintaining the cleaning operation and receiving the 3-axis acceleration signal of the handle. S502 is repeated.

흡입 모터의 구동이 중단된 후에는, 위에서 설명한 두 가지 예상 시나리오를 모두 고려하여, 다시 핸들의 3축 가속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502로 회귀하는 동작 'A'를 수행한다. 즉, 동작 'A'는 전원 온 상태에서 흡입 모터의 구동이 중단된 이후, 청소기(100)의 동작 흐름을 모두 포함한다.After the driving of the intake motor is stopped, taking into account both expected scenarios described above, operation 'A' is performed to return to step S502 of receiving the 3-axis acceleration signal of the handle again. That is, the operation 'A' includes all of the operation flow of the cleaner 100 after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while the power is on.

즉, 도 5는 청소기의 흡입 모터의 구동이 일단 중단된 후에도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의 추가적인 키 입력 없이 흡입 모터가 재구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작 'A'는 단계 S502로 회귀한 후 단계 S507로 분기된다.That is, FIG. 5 shows that once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of the cleaner is stopped, if a certain condition is satisfied, the suction motor may be restarted without additional user input. Here, the operation 'A' returns to step S502 and then branches to step S507.

구체적으로, 단계 위의 단계 S503에서 청소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흡입 모터가 구동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면,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 이내인지를 모니터링한다(S507). 그리고, 이와 같이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 이내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S508).Specifically, in step S503 above the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ction motor is driven off while the cleaner is powered on, it is monitored whether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is within a certain range (S507).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a state in which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508).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 이내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이는 사용자가 장시간 청소를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청소를 완료하려는 것으로 인식하다. 그리하여, 안정성과 대기 전력 소모를 절약하기 위해 전원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한다(S509). 이후에는, 초기 동작 이전의 상태로 회귀하는 동작 'B'를 수행한다. 즉, 동작 'B 단계에서 청소기 동작을 재개하려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핸들(13)의 전원 키를 조작하여 전원 온 상태(S501)로 전환해주어야 할 것이다.If the state in which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is within a certain ran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 does not perform cleaning for a long time or intends to complete the cleaning. Thus, in order to save stability and standby power consumption, the power is switched off (S509). Thereafter, an operation 'B' is performed to return to the state before the initial operation. That is, in order to resume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in step 'B', the user must intentionally switch to the power-on state (S501) by manipulating the power key of the handle 13.

반면,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 이내인 상태는 만족하였으나, 아직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 상태를 유지한다(S506). 이후는, 전술한 동작 'A'는 단계 S502로 회귀한 후 다시 단계 S507로 분기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state in which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is within a certain range is satisfied,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yet elapsed, the driving state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S506). Thereafter,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 repeats the process of returning to step S502 and then branching back to step S507.

한편, 단계 S507에서 흡입 모터는 꺼진 상태이지만,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다시 청소 동작을 수행하려는 것으로 인지한다. 그에 따라, 흡입 모터를 구동하는 동작(S510)을 수행한다. 이후에는, 단계 S502로 회귀한 후 단계 S504로 분기되는 동작 'A'를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507, the suction motor is turned off, bu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exceeds a certain range,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 intends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again. Accordingly, an operation (S510) for driving the suction motor is performed. Thereafter, after returning to step S502, an operation 'A' that branches to step S504 is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제어부(180)는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 후에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핸들의 움직임 변화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의도적인 입력 없이도, 흡입 모터를 재구동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vement change of the handle is sens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the controller 180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tarts the suction motor without intentional input by the user.

이를 위해, 핸들에 구비된 센싱부(140)는 흡입 모터가 구동 중단된 후에도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하여,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기초로, 핸들의 3축 가속도 변위에 대응되는 움직임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140 provided on the handle maintains an active state for at least a predetermined time even after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Thus, the controller 180 continuously monitors the movement change corresponding to the 3-axis acceleration displacement of the handl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40.

이와 같이, 흡입 모터가 꺼진 동안에는 센싱부(140)와 제어부(180)가 동작하기 위하여,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 후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은 전원 온(on) 상태를 유지한다.In this way, while the suction motor is off, the sensing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80 operate, so that the power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또, 제어부(180)는,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 후 일정 시간 내에 핸들의 움직임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청소기 본체를 전원 오프(off) 상태로 전환한다. 이로써, 안정성 향상과 함께 대기전력 소모의 최소화 효과가 발휘된다.In addition, if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the controller 180 switches the cleaner body to a power off stat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minimiz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한편, 일 실시 예에서, 흡입 모터의 구동을 중단시키기 위한 일정 범위 또는 기준 범위에 대응되는 움직임 변화량(이하, ‘구동 중단 조건 움직임 변화량’으로 명명할 수 있음)과 구동 중단된 흡입 모터를 재구동하기 위한 조건인 움직임 변화량(이하, ‘구동 재개 조건 움직임 변화량’)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the amount of motion change corresponding to a certain range or a reference range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movement stopping condition motion change amount') and the driving motor that has stopped driving again. The amount of motion chan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mount of motion change in the condition for resuming driving'), which is a condition for doing so, may be set differently.

청소 동작 중에 흡입 모터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것은, 배터리 소모 최소화와 동시에 오류 없는 동작이 고려되어야한다. 따라서, 구동 중단 조건 움직임 변화량은, 움직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보다는 오류 없는 판단에 중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구동 재개 조건 움직임 변화량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움직임 변화에 좀더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동 재개 조건 움직임 변화량이 일정 시간 유지될 것을 조건으로 하지 않았다. In order to stop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error-free operation should be considered while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Therefore, the amount of motion change in the stoppage condition should focus on error-free judgment rather than sensitively reacting to the motion change. However, since the amount of motion change in the driving resume condition is for user convenience, it is necessary to react more sensitively to the motion chang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a condition that the amount of movement change in the driving resume condition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흡입 모터를 재구동하기 위한 핸들의 최소변화량은, 흡입 모터를 구동 중단하기 위한 전술한 조건(제1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의 최소변화량보다 적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작은 움직임에도 흡입 모터가 재구동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the minimum change amount of the handle for restarting the suction motor may be set to a value less than the minimum change amount in a state that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condition (first condition) for stopping driving the suction motor. . Accordingly, the suction motor is re-driven even with a smaller movement,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또한, 일 실시 예에서는, 흡입 모터의 재구동이 보다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동 재개 조건 움직임 변화량의 만족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의 처리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ing priority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atisfaction of the movement change amount of the drive resumption condition may be set high so that the re-drive of the suction motor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시 수행되던 흡입 모터의 구동모드와 구동속도를 메모리(170)에 저장한 다음에, 흡입 모터를 구동 중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입 모터의 재구동 조건을 만족하였을 때, 메모리(170)에 저장된 이전 구동모드와 구동속도로 흡입 모터가 재구동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store the driving mode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suction motor, which were performed when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in the memory 170, and then stop the suction motor. In this case, when the re-drive condition of the suction motor is satisfied, the suction motor is restarted at the previous driving mode and driving speed stored in the memory 17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 전, 소음 최소화 구동모드로 청소 동작을 수행했다면, 흡입 모터 구동 중단 후 다시 핸들을 잡고 앞뒤로 스윙(swing)하는 경우 다시 소음 최소화 구동모드로 흡입 모터가 재구동될 것이다.For example, if the user performs the cleaning operation in the noise-minimizing driving mode before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f the user holds the handle again and swings back and forth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the suction motor restarts in the noise-minimizing driving mode again. Will be driven.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상황에서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 또는 구동 재개와 관련된 피드백 출력의 예시들을 보인 것이다. 6A to 6C show examples of feedback output related to stopping or resuming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n various situations.

도 6a는 배터리 부족 상황에서, 중단된 흡입 모터가 재구동되는 경우 흡입모터의 파워레벨(즉, 구동속도)를 보여주는 예시 화면이다.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은 동작중인 흡입 모터의 파워 레벨(예, Level 3)을 나타내는 이미지(601)가 입력부(110)의 터치 스크린 등에 표시될 수 있다. 6A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a power level (ie, driving speed) of the suction motor when the stopped suction motor is restarted in a low battery situation.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an image 601 indicating the power level (eg, Level 3) of the intake motor in oper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input unit 110.

여기에서, 터치 스크린 등이란, 터치 스크린과 음향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정보는, 터치 스크린 대신에 음향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입력부(110)의 일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출력부(150)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touch screen or the like is a concept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ound output means. Accordingly, information output on the touch screen may be output through sound output means instead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when a part of the input unit 110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may mean the output unit 150.

다음, 핸들의 움직임이 없어, 흡입 모터가 구동 중단되면, 입력부(110)의 터치 스크린 등에 배터리 상태 정보(602)가 표시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량이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핸들의 움직임에 따라 흡입 모터의 재구동시, 배터리 절약을 위해 이전 보다 감소된 파워 레벨로 재구동될 수 있다. Next, when there is no movement of the handle and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the battery status information 602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input unit 1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charge is insufficient, when the suction motor is restar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andle, it may be restarted to a reduced power level than before to save the battery.

즉, 제어부(180)는 배터리의 충전량 부족 상태에서 흡입 모터가 재구동되면, 흡입 모터의 구동속도를 이전보다 감소시킨 절약모드로 재구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전보다 감소된 파워 레벨(예, Level 2)을 나타내는 이미지(603)가 입력부(110)의 터치 스크린 등에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uction motor is restarted in a state where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is insufficient, the controller 180 may restart the suction motor in a saving mode in which the driving speed of the suction motor is reduced as before. Accordingly, an image 603 indicating a reduced power level (eg, Level 2) than before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input unit 110.

도 6b 및 도 6c는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화면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6B and 6C show different screen images showing the stoppage of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터치 스크린에는, 핸들의 3축 방향의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 범위 이내를 만족하는 상태, 즉 제1조건을 만족하는 상태,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을 위한 제2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정보가 각각 출력될 수 있다.The touch screen includes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amount of motion change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satisfies within a reference range, that is, a state that satisfies a first condition, and a condition that satisfies a second condition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Can be output.

도 6b는, 제1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는 생략되고, 제2조건의 만족시 흡입 모터가 일시 중단된 것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입력부(110)의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것을 보여준다. 청소 동작 중과 제1조건을 만족하는 상태(a)에서는 전원 온(on)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600)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2조건의 만족시(b)에는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을 나타내는 일시 중단 이미지(604)가 표시될 수 있다. FIG. 6B shows that an image satisfying the first condition is omitted, and an image indicating that the suction motor is temporarily suspended when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is output on the touch screen of the input unit 110.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and in a state (a) that satisfies the first condition, an image 600 indicating a power-on state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b), a pause image 604 indicating the stoppage of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may be displayed.

도 6c는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흡입 모터의 구동이 중단될 시점을 미리 예상할 수 있도록 카운트 형태로 정보가 출력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FIG. 6C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tate satisfying the first condition is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touch screen or the like, but information is output in the form of a count in order to predict in advance when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청소 동작 중(a)에는 전원 온(on)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600)가 표시된다. 그리고, 핸들의 3축 방향의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 범위 이내를 만족하는 상태가 검출되면(b), 터치 스크린 등에 카운트 정보(605)가 표시된다. 제1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표시된 카운트 정보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되는 형태로 가변(606)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 4, 3, 2,?1'의 형태로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 시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카운트 정보가 '1'이 된 후에 또는 카운트 정보가 '0'이 됨과 동시에 흡입 모터의 구동이 중단된다.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a), an image 600 indicating a power-on state is displayed. Then, when a state in which the amount of motion change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satisfies the reference range is detected (b), count information 605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condition that satisfies the first condition is maintained, the displayed count information may be varied 606 in a form that decreases over time. For example, by displaying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stop of the suction motor in the form of '5, 4, 3, 2,? 1', the user can predict the stop time of the drive of the suction motor in advance.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after the count information becomes '1' or at the same time as the count information becomes '0'.

카운트 정보(605, 606)가 표시되는 동안 핸들의 3축 방향의 움직임 변화가 감지되면, 카운트가 초기화되고, 다시 전원 온(on)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600)가 표시된다(a).If the movement change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is detected while the count information 605 and 606 are displayed, the count is initialized and the image 600 indicating the power-on state is displayed again (a).

한편, 또 다른 예로서, 흡입 모터 구동 중단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 조건이 가중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의 3축 방향의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라도, 흡입부(120)를 통해 흡입된 먼지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정도로 크면, 제2조건(일정 시간 유지)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개시 시점을 좀 더 뒤로 하거나 또는 제2조건에 대응되는 일정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an error in stopping the suction motor driving, additional conditions may be weighted. Specifically, even if the amount of movement change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is within a reference range, if the dust concentration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condition (maintaining a certain time) is satisfied The starting time point may be set a little further back, or a predetermined tim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dition may be increased.

이는, 청소 동작 중에 먼지가 많은 스팟(spot)이 발견된 경우, 사용자가 해당 스팟에서 충분히 먼지가 흡입될 수 있도록 움직이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This is to consider a case where a user does not move so that a dusty spot is found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sufficiently suck dust from the corresponding spo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청소 공간을 청소하는 동안 핸들의 공간 움직임의 변화량을 기초로 실제 청소 중인지를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공간 움직임의 변화량을 기초로 청소 중이 아닌것으로 파악되면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의 최소화를 동시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 충전 후 청소기의 사용 시간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모터의 동작이 정지된 후 일정 시간 내에 다시 핸들의 공간 움직임의 변화가 감지되면, 다시 청소가 시작된 것으로 자연스럽게 인식함으로써, 동작 재개를 위한 사용자의 추가 입력 없이 자연스럽게 청소 동작을 이어서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according to the cleaner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patial movement of the handle while the user is cleaning the cleaning spa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grasp whether it is actually being clean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being clean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space movement,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convenience of use and minimization of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For this reason, the use time of the cleaner after charging the battery is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when a change in the spatial movement of the handle is detected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motor operation is stopped, it is naturally recognized that the cleaning has started again, so that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additional user input for resuming the operation. .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청소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ny kind of recording device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is includes, and is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ler 180 of the cleaner.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내측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를 구비하고, 외측에 핸들을 구비한 청소기 본체; 및
연장관을 통해 상기 핸들과 연결되며, 상기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핸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변화량이 기준범위 이내인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suction force on the inside and a handle on the outside; And
A suction unit connected to the handle through an extension pipe and suctioning external dust by the suction force;
It is provided on the handle, th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while the suction motor is driven; A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stop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n response to a state that satisfies a condition that a change amount of the detected motion is within a reference ran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연속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핸들의 3축 방향의 속도 변화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3축 방향의 속도 변화량이 상기 기준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n the basis of the signal continuously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a speed change amount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speed change amount in the 3-axis direction satisfies the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ange. Vacuum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핸들의 움직임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재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ovement change of the handle is sens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the suction motor is restar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 후 상기 정해진 시간 동안은 상기 센싱부의 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핸들의 움직임 변화를 감지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3,
The activation state of the sensing unit is maintained for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The sensing unit,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in the activated st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 후 상기 정해진 시간 동안은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a power-on state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 후 일정 시간 내에 핸들의 움직임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본체를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f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not detected within a certain time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switched of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를 재구동하기 위한 상기 핸들의 최소변화량은, 상기 흡입 모터를 구동중단하기 위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의 최소변화량보다 적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inimum change amount of the handle for re-driving the suction motor is less than the minimum change amount in a stat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for stopping the suction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3축 가속도 센서, IMU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 IMU sensor, and a 3-axis gyro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시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모드 및 구동속도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흡입 모터의 재구동시, 상기 저장된 구동모드 및 구동속도로 상기 흡입 모터가 재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the driving mode and driving speed of the suction motor are stored in a memory, and when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s restarted, it is controlled to restart the suction motor with the stored driving mode and driving speed. Vacuum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부족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충전량 부족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 중단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핸들의 움직임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흡입 모터를 구동속도를 감소시킨 절약모드로 재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detach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Detecting a state of insufficient charge of the battery,
If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detect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in the state of insufficient charge,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motor is restarted to a saving mode in which the driving speed is redu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와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notification that satisfies the above condition and stops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청소기의 전원 온 상태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흡입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핸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움직임의 변화량이 기준범위 이내인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가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흡입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동작방법.
Driving the suction motor to generate suction power in a power-on state of the cleane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while the suction motor is driving;
Monitoring whether a state that satisfies a condition in which the detected change amount of motion is within a reference ran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nd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while maintaining the power-on state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핸들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핸들의 3축 방향의 속도 변화량을 감지하여 상기 기준범위 이내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And determining whether a condition within the reference range is satisfied by sensing a speed change amount in the 3-axis direction of the handle based on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nsor provided in the handle. Wa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중단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핸들의 움직임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재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f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handl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motor, the method of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starting the suction motor.
KR1020180115224A 2018-09-27 2018-09-27 Cleaner a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bandoned KR202000357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224A KR20200035735A (en) 2018-09-27 2018-09-27 Cleaner a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224A KR20200035735A (en) 2018-09-27 2018-09-27 Cleaner a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35A true KR20200035735A (en) 2020-04-06

Family

ID=7028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224A Abandoned KR20200035735A (en) 2018-09-27 2018-09-27 Cleaner a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573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6020A1 (en) * 2023-03-09 2024-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lea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5015843A1 (en) * 2023-07-20 2025-01-23 云鲸智能(深圳)有限公司 Passive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5538A1 (en) 2012-02-10 2013-08-15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US20170209014A1 (en) 2016-01-22 2017-07-27 Dyson Technology Limited Domestic appliance and part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5538A1 (en) 2012-02-10 2013-08-15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US20170209014A1 (en) 2016-01-22 2017-07-27 Dyson Technology Limited Domestic appliance and part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6020A1 (en) * 2023-03-09 2024-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Wireless clea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5015843A1 (en) * 2023-07-20 2025-01-23 云鲸智能(深圳)有限公司 Passive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91616U (en) Move ground and clean machine people with floor type detects
US11284756B2 (en) Window cleaning robot
US11944248B2 (en) Surface cleaning device with automated control
KR102321278B1 (en)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78881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101842463B1 (en) Vacuum cleaner and handle for a cleaner
KR20150139111A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JP6924624B2 (en) Vacuum cleaner with communication function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it
JP2013180204A (en) Clea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267236A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and charging device used for it
KR102021861B1 (en) Vacuum cleaner and handle for a cleaner
JP2008155041A (en) Charger for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20200035735A (en) Cleaner a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294203A (en) Robot cleaner and robot system
JP2011229728A (en) Vacuum cleaner
KR102318295B1 (en)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45564B1 (en)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5044772A1 (en) Transmission device,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robot system
WO2022008868A1 (en) Vacuum cleaner
US10213075B2 (en) Vacuum cleaner
KR102385755B1 (en) Dust sensor modu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4502051A (en) Robot cleaner
KR102521941B1 (en) Cleaner a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21044886U (en) Transmission device, automatic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robot system
EP4400020A1 (en) Position arrival switch assembly and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