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201A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5201A KR20200035201A KR1020190103577A KR20190103577A KR20200035201A KR 20200035201 A KR20200035201 A KR 20200035201A KR 1020190103577 A KR1020190103577 A KR 1020190103577A KR 20190103577 A KR20190103577 A KR 20190103577A KR 20200035201 A KR20200035201 A KR 202000352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movable member
- width direction
- housing
- br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777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8—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e.g. pivoting, camming or translating parallel to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해결 수단) 가동 부재 (40) 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 (46D-1) 가 형성되어 있고, 금속 부재 (50) 는, 하우징 (10) 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의 압연면이 피이동 규제부 (46D-1) 에 대향하여 그 피이동 규제부 (46D-1) 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 (51) 를 갖고,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1) 는, 피이동 규제부 (46D-1) 및 이동 규제부 (51) 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의 수용부 (15A) 를 갖고, 그 수용부 (15A) 는, 피이동 규제부 (46D-1) 의 이동이 규제를 받는 피규제 방향으로 하우징 (10) 을 관통하는 관통 공간 및 하우징 밖에서 피규제 방향에서 상기 관통 공간에 연통하는 공간의 적어도 일방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도 2 는, 도 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가동 부재를 상방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는, 도 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부터 제 1 단자, 제 2 단자 및 금구를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B) 는, 제 1 단자 단체 (單體) 의 사시도, (C) 는, 제 2 단자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5(A) 는, 도 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B) 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6 은, 도 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금구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도 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의 삽입 직전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斷面),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9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를 삽입이 완료한 상태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의 발출 직전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고, 평형 도체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는, 도 1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은, 도 1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가동 부재를 상방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A) 는, 도 1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부터 단자, 제 1 금구, 제 2 금구 및 제 3 금구를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B) 는, 제 1 금구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15(A) 는, 도 1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고, (B) 는, (A) 의 제 1 금구의 돌기부 근방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6 은, 도 1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 은, 도 12(A), (B)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금구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의 삽입 직전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를 삽입이 완료한 상태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 은,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와의 접속 동작이 완료한 상태에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A) 는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고, 평형 도체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A) 는, 도 2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부터 단자 및 금구를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B) 는, 단자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 는, 도 21 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금구의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금형이 떼어내어진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0, 110, 210 : 하우징
15A, 115A, 215A : 수용구멍부 (수용부)
17A, 117A, 217A : 받이부
20 : 제 1 단자 (금속 부재)
21 : 제 1 접촉 아암부
21A : 제 1 접촉부
21B : 후단
30 : 제 2 단자 (금속 부재)
31 : 제 2 접촉 아암부
31A : 제 2 접촉부
31B : 후단
32 : 피유지 아암부
40 : 가동 부재
45A, 143A : 걸림부
45A-1 : 안내면
45A-2, 143A-1 : 걸림면
46, 145, 245 : 회동 기부
46D : 회동 축부
46D-1 : 대경부 (피이동 규제부)
46D-2 : 소경부
46F : 홈부
50 : 금구 (금속 부재)
51 : 이동 규제부
120, 220 : 단자 (금속 부재)
145A, 245A : 제 1 축부 (회동 축부)
145B, 245B : 제 2 축부 (회동 축부)
146B : 삽입 통과 허용부
150 : 제 1 금구 (금속 부재)
151B : 제 1 협폭 아암부 (제 1 금구측 규제부)
151B-1 : 돌기부
160 : 제 2 금구 (금속 부재)
161C : 제 2 금구측 규제부
223B : 협폭 아암부 (단자측 규제부)
260 : 제 2 금구 (금속 부재)
261C : 금구측 규제부
FA, FB, FC : 평형 도체
FA3-1, FB3-1 : 피걸림부
M1, M4, M7 : 상측 금형
M2, M5, M8 : 하측 금형
M3, M6, M9 : 후방 금형
Claims (17)
-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평형 도체가 전후 방향에서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평형 도체의 폭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함과 함께 전후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평형 도체를 전방을 향해서 삽입 가능하게 개방된 공간으로서 받이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인 가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는, 평형 도체와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를 갖고 있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금속 부재는, 압연 금속판제이고 그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그 금속 부재의 일부가 전후 방향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그 피이동 규제부보다 크게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그 노출 부분은, 그 노출 부분의 압연면이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향하여 그 피이동 규제부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 및 상기 이동 규제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그 피이동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 및 그 이동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의 수용부를 갖고 있고, 그 수용부는, 상기 이동 규제부에 의해 상기 피이동 규제부의 이동이 규제를 받는 피규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 공간 및 하우징 밖에서 피규제 방향에서 상기 관통 공간에 연통하는 공간의 적어도 일방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가동 부재는,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부분에 회동 기부 (基部) 를 갖고, 그 회동 기부에 회동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이동 규제부는, 상기 회동 축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의 이동 규제부는, 그 이동 규제부의 압연면이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회동 축부의 둘레면을 따른 형상을 이루어 그 둘레면에 접하고, 상기 회동 축부의 회동을 안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회동 축부는, 그 회동 축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부에, 원호상의 만곡면을 갖는 대경부 (大徑部) 를 갖고 있음과 함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타부 (他部) 에, 상기 대경부보다 소경인 원호상의 만곡면을 갖는 소경부 (小徑部) 를 갖고 있고,
상기 금속 부재의 이동 규제부는, 상기 대경부의 만곡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방향, 커넥터 폭 방향 또는 커넥터 두께 방향 중 어느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의 이동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일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 내벽면끼리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띠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 이동 규제부의 연장 방향에서의 그 이동 규제부의 양단에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평형 도체의 발출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부를 갖고 있고,
그 걸림부는, 상기 가동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를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을 후부 (後部) 에 갖고 있음과 함께, 평형 도체의 삽입 후에 상기 평형 도체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한 걸림면을 전부 (前部) 에 갖고 있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가동 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를 갖고, 그 접촉 아암부는, 그 후단부 (後端部) 에 형성된 접촉부에서 평형 도체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회동 기부가 상기 접촉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회동 기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의 후단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단자의 후단은,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홈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의 접촉 아암부인 제 2 접촉 아암부의 후단은, 제 1 단자의 접촉 아암부인 제 1 접촉 아암부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 1 접촉 아암부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상기 접촉 아암부를 따라 전후 방향에서 그 접촉 아암부의 후단을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하우징에 유지되는 피유지 아암부를 갖고 있고,
그 피유지 아암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홈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그 홈부에 대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피유지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접촉 아암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벽부가, 상기 홈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상기 접촉 아암부를 따라 전후 방향에서 그 접촉 아암부의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하우징에 유지되는 피유지 아암부를 갖고 있고,
그 피유지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그 접촉부에 대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피유지 아암부에 대하여 상기 접촉 아암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벽부가,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가동 부재는,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부분에 회동 기부를 갖고, 그 회동 기부에 회동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는, 상기 복수의 단자와 함께, 복수의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커넥터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금구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 1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제 1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1 축부를 갖고,
상기 제 1 금구의 이동 규제부인 제 1 금구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1 축부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구는, 상기 제 1 금구에 더하여,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외에 위치하는 제 2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상기 제 1 축부에 더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제 2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2 축부를 갖고,
상기 제 2 금구의 이동 규제부인 제 2 금구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2 축부에 대하여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기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1 축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1 금구의 제 1 금구측 규제부의 삽입 통과를 허용하는 삽입 통과 허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금구측 규제부는, 상기 삽입 통과 허용부에 삽입 통과되어 있음과 함께 그 자유단부가 그 삽입 통과 허용부 외에 위치하고 있고, 그 자유단부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돌기부에서 회동 기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 가동 부재는,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부분에 회동 기부를 갖고, 그 회동 기부에 회동 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커넥터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1 축부를 갖고,
상기 단자의 이동 규제부인 단자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1 축부에 대하여 일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는, 상기 복수의 단자에 더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 외에 위치하는 복수의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회동 축부는, 상기 제 1 축부에 더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금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로서의 제 2 축부를 갖고,
상기 금구의 이동 규제부인 금구측 규제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제 2 축부에 대하여 타방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평형 도체가 전후 방향에서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평형 도체의 폭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평형 도체를 전방을 향해서 삽입 가능하게 개방된 공간으로서 받이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평형 도체와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인 가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압연 금속판제의 복수의 금속 부재를, 그 금속 부재의 압연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금형에 배치하고, 상기 금속 부재의 일부를 상기 금형에 의해 유지함과 함께 그 금속 부재의 타부를 그 금형 내에 노출시키고,
상기 금형 내에 용융한 전기 절연 재료를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켜, 상기 금속 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그 금속 부재의 타부를 상기 하우징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고, 그 금속 부재의 노출 부분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가동 부재의 일부에 상기 이동 규제부에 의한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이동 규제부를 상기 이동 규제부의 압연면에 접면시킨 상태로 형성하고,
상기 금형을 떼어낸 후,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피이동 규제부를 상기 금속 부재의 상기 이동 규제부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가동 부재를 가동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78906 | 2018-09-25 | ||
JP2018178906A JP7164374B2 (ja) | 2018-09-25 | 2018-09-25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5201A true KR20200035201A (ko) | 2020-04-02 |
KR102629099B1 KR102629099B1 (ko) | 2024-01-24 |
Family
ID=6806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3577A Active KR102629099B1 (ko) | 2018-09-25 | 2019-08-23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868374B2 (ko) |
EP (1) | EP3629422A1 (ko) |
JP (1) | JP7164374B2 (ko) |
KR (1) | KR102629099B1 (ko) |
CN (1) | CN110943332B (ko) |
TW (1) | TWI80163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64374B2 (ja) * | 2018-09-25 | 2022-11-0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
JP7152380B2 (ja) * | 2019-10-10 | 2022-10-12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WO2021101447A1 (en) | 2019-11-22 | 2021-05-27 | Amphenol Fci Asia Pte. Ltd. | Ffc connector with anti-overstress features |
JP2022040584A (ja) * | 2020-08-31 | 2022-03-1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7386147B2 (ja) * | 2020-11-06 | 2023-11-24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US11444400B2 (en) * | 2020-12-21 | 2022-09-13 | Dell Products L.P. |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embedded interconnect |
CN114678709A (zh) * | 2020-12-24 | 2022-06-28 | 山一电机株式会社 | 连接器以及连接器套件 |
JP7565249B2 (ja) | 2021-05-26 | 2024-10-10 | 日本端子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7554165B2 (ja) * | 2021-07-30 | 2024-09-19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59261U (ko) | 1971-11-05 | 1973-07-27 | ||
JP2008269984A (ja) * | 2007-04-20 | 2008-11-06 | Molex Inc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US20120171890A1 (en) * | 2010-08-02 | 2012-07-05 | Dai-Ichi Seiko Co., Ltd. | Electric connector |
KR101250658B1 (ko) * | 2010-04-08 | 2013-04-03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커넥터 |
JP2016110902A (ja) * | 2014-12-09 | 2016-06-20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2016171029A (ja) * | 2015-03-13 | 2016-09-2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US20170062962A1 (en) * | 2015-08-24 | 2017-03-02 | Molex, Llc | Connector |
KR101727363B1 (ko) * | 2013-07-04 | 2017-04-14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30784A (ja) * | 1998-05-08 | 2000-01-2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 電気コネクタ |
JP4607348B2 (ja) * | 2001-02-07 | 2011-01-05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03297465A (ja) * | 2002-03-26 | 2003-10-17 | Molex Inc | Fpc用コネクタ |
TWM288981U (en) * | 2005-06-28 | 2006-03-21 | Compal Electronics Inc | Connector |
US7179118B1 (en) * | 2006-03-15 | 2007-02-20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
US7887351B2 (en) * | 2008-10-30 | 2011-02-15 |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
JP4859261B1 (ja) | 2010-10-20 | 2012-01-2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基板用コネクタ |
JP5896959B2 (ja) * | 2013-06-14 | 2016-03-3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
JP6282565B2 (ja) * | 2014-09-22 | 2018-02-21 | 京セラ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6761311B2 (ja) * | 2016-09-13 | 2020-09-2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7164374B2 (ja) * | 2018-09-25 | 2022-11-0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
-
2018
- 2018-09-25 JP JP2018178906A patent/JP7164374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8-05 TW TW108127707A patent/TWI801639B/zh active
- 2019-08-23 KR KR1020190103577A patent/KR102629099B1/ko active Active
- 2019-09-19 US US16/576,655 patent/US10868374B2/en active Active
- 2019-09-24 EP EP19199310.4A patent/EP3629422A1/en active Pending
- 2019-09-24 CN CN201910910147.7A patent/CN11094333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59261U (ko) | 1971-11-05 | 1973-07-27 | ||
JP2008269984A (ja) * | 2007-04-20 | 2008-11-06 | Molex Inc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KR101250658B1 (ko) * | 2010-04-08 | 2013-04-03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커넥터 |
US20120171890A1 (en) * | 2010-08-02 | 2012-07-05 | Dai-Ichi Seiko Co., Ltd. | Electric connector |
KR101727363B1 (ko) * | 2013-07-04 | 2017-04-14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JP2016110902A (ja) * | 2014-12-09 | 2016-06-20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US20170331206A1 (en) * | 2014-12-09 | 2017-11-16 | Kyocera Corporation | Cable connector |
JP2016171029A (ja) * | 2015-03-13 | 2016-09-2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US20170062962A1 (en) * | 2015-08-24 | 2017-03-02 | Molex, Llc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099148A1 (en) | 2020-03-26 |
TW202030932A (zh) | 2020-08-16 |
KR102629099B1 (ko) | 2024-01-24 |
CN110943332A (zh) | 2020-03-31 |
TWI801639B (zh) | 2023-05-11 |
CN110943332B (zh) | 2023-04-07 |
US10868374B2 (en) | 2020-12-15 |
EP3629422A1 (en) | 2020-04-01 |
JP2020053140A (ja) | 2020-04-02 |
JP7164374B2 (ja) | 2022-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35201A (ko)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 |
TWI446632B (zh) | 板用連接器及其製造方法 | |
EP1411598B1 (en) | A connector assembly, connector, connector assembl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them | |
JP4834147B2 (ja) | 施錠機構を備えた電子コネクタ | |
EP1923964A2 (en) | 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on method therefor | |
EP0259897B1 (en) | Electrical junction system | |
EP1962390B1 (en) |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 |
EP1882286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14165027A (ja) | 倍力機構付きコネクタ | |
JP6998752B2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 |
CN101785149B (zh) | 端子支承结构 | |
JP7177995B2 (ja) | 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JP7461857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13120647A (ja) | ホルダおよび該ホルダとコネクタとの組立体 | |
KR102468460B1 (ko) | 단자 및 그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 |
KR102243096B1 (ko)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
KR102246510B1 (ko) | 전기 커넥터 | |
KR102431886B1 (ko)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
JP2020092045A (ja)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 |
KR102246512B1 (ko) | 전기 커넥터 | |
JP7604411B2 (ja) | Fpc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 |
JP2024169728A (ja) | コネクタ | |
CN117916959A (zh) | 层叠连接器 | |
KR20210042807A (ko)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
JP2020145080A (ja)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