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586A - Gate driv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Gate driv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2586A KR20200032586A KR1020180111809A KR20180111809A KR20200032586A KR 20200032586 A KR20200032586 A KR 20200032586A KR 1020180111809 A KR1020180111809 A KR 1020180111809A KR 20180111809 A KR20180111809 A KR 20180111809A KR 20200032586 A KR20200032586 A KR 202000325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ck
- gate
- sensing
- signal
- m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클럭과 제2클럭을 입력받는 입력부,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캔클럭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출력부, 및 제1클럭과 제2클럭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게이트드라이버,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 input unit receiving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a plurality of signal output units respectively outputting a plurality of scan clock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and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A gate driver including a counter for counting at least one of clock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실시예들은 게이트드라이버,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a gate driv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평판표시장치가 나타났다. 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demands for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are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plasma display devices (PDP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 Various types of flat panel display devices such as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e appeared.
최근에 상기의 평판 표시장치 중 박형화가 용이하며, 시야각, 명암비 등이 우수한 유기발광표시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인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구동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빛이 발광하여 영상을 표현한다. 하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장시간 발광하게 되면 열화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휘도가 높은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열화가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열화에 의해 잔상이 나타나게 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Recently, among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is easy to thin and has excellent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has been widely us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xpresses an image by emitting light by supplying a driving current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hich is a self-light emitting device. However, i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mits light for a long time, deterioration occurs. In particular, when displaying a still image with high luminance, deterioration may be more easily generat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ay have a residual image due to deterioration,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구동트랜지스터들은 공정편차로 인해 문턱전압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각 서브픽셀 별로 구동전류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구동전류의 차이가 발생하면 휘도가 균일하지 않게 되어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열화되면 계조전압보다 낮은 휘도로 발광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transistors that supply the driving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ay have a threshold voltage difference due to a process deviation, which may cause a difference in driving current for each subpixel. When a difference in driving current occurs, the luminance is not uniform, and thu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image quality. In addition, when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is deterior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emits light with a lower luminance than the gradation voltage.
이로 인해,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화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표시패널의 특성을 센싱하는 센싱모드와 센싱된 결과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데이터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perates in a sensing mode for sen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to preven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and a display mode for correcting a data signal in response to the sensed result and displaying an image using the corrected data signal can do.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센싱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구간들 사이에 블랭킹 구간이 설정되어 있고,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경우 블랭킹 구간에서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센싱시간이 매우 짧아 표시패널에 포함된 모든 서브픽셀에 대해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것은 곤란하여 특정의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서브픽셀들만 센싱하여야 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sen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in real time. In the display panel, a blanking section is set between display sections displaying an image, and when sensing in real time, the blanking section is performed. Therefore, since the sensing time is very short, it is difficult to sense in real time for all sub-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so only sub-pixels connected to a specific gate line should be sensed.
따라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실시간으로 센싱하기 위해서 표시패널의 복수의 게이트라인 중 특정의 게이트라인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ust be able to select a specific gate line among a plurality of gate lines of the display panel in order to sense in real time.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게이트드라이버,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can provide a gate driv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prevent the image quality from deteriorating.
또한,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게이트드라이버,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 gate driv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일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제1클럭과 제2클럭을 입력받는 입력부,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에 대응하는 스캔클럭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신호출력부, 및 제1클럭과 제2클럭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게이트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ne aspect,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 a signal output unit including an input unit receiving a first clock and a second clock, and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outputting a scan clock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respectively. It is to provide a gate driver including a counter for coun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다른 일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표시패널, 표시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며, 복수의 클럭신호을 출력하는 레벨쉬프터와, 상기 복수의 클럭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패널로 상기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신호출력회로를 포함하는 게이트드라이버,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드라이버 및 게이트드라이버와 데이터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컨트롤러를 포함하되, 레벨쉬프터는, 제1클럭과 제2클럭을 타이밍컨트롤러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 제1클럭과 제2클럭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캔클럭을 게이트신호출력회로로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제1클럭과 제2클럭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display panel, a level shifter that supplies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outputs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and a gate signal that receives the plurality of clock signals and supplies the gate signal to a display panel. It includes a gate driver including an output circuit, a data drive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a timing controller controlling the gate driver and data driver. The level shifter receives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from the timing controller. An input unit, an out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outputting a plurality of scan clock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a second clock to the gate signal output circuit, and a counter coun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It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다른 일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게이트라인에 제1클럭과 제2클럭에 대응하는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디스플레이모드, 라인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제1클럭과 제2클럭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게이트라인 중 센싱클럭을 전달받을 게이트라인을 선택하는 라인선택모드 및 라인선택모드에서 선택된 게이트라인에 제1클럭과 제2클럭에 대응하는 센싱클럭을 공급하는 센싱모드를 포함하여 구동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nother aspect,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at least one of a first mode and a second clock in response to a line selection signal, a display mode sequentially supplying gat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Supply the sensing clock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to the selected line in the line selection mode and the line selection mode to select the gate line to receive the sensing clock amo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in response to the counted number.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includes a sensing mo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화질을 개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image quality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게이트드라이버,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te driv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픽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a는 서브픽셀에서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3b는 서브픽셀에서 문턱전압을 센싱하는 것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3c는 서브픽셀에서 전자이동도를 센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드라이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와 게이트드라이버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레벨쉬프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8은 레벨쉬프터에 입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9는 게이트신호출력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ubpixel shown in FIG. 1.
3A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generating a driving current in a subpixel.
3B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sensing a threshold voltage in a subpixel.
3C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nsing electron mobility in a subpixel.
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1.
6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timing controller and a gate driver shown in FIG. 1.
7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evel shifter shown in FIG.
8 is a timing diagram showing waveforms of signals input / output to the level shifter.
9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gate signal output circui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different component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tervenes" may be,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데이터드라이버(120), 게이트드라이버(130), 타이밍컨트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organic light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L1,…,DLm)이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GL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L1,…,DLm)이 교차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픽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픽셀(101)은 유기발광다이오드(미도시)와,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픽셀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회로는 게이트라인(GL1,…,GLn)과 데이터라인(DL1,…,DLm)에 연결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구동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패널(110)에 배치되는 배선은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L1,…,DL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데이터드라이버(120)는 데이터신호를 복수의 데이터라인(DL1,…,DLm)에 인가할 수 있다. 데이터신호는 계조에 대응할 수 있고, 대응하는 계조에 따라 데이터신호의 전압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데이터전압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드라이버(120)는 센싱신호를 데이터라인(DL1,…,DLm)에 전달할 수 있다. 센싱신호는 서브픽셀의 특성값을 센싱한 신호일 수 있다. 센싱신호의 전압을 센싱전압이라고 칭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문턱전압보다 낮은 전압이면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빛을 발광하지 않게 된다. 센싱전압에 의해 전류가 유기발광다이오드에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센싱전압은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문턱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다. 데이터드라이버(120)는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The
여기서, 데이터드라이버(120)의 수는 한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크기, 해상도에 대응하여 두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드라이버(12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다.Here, although the number of
게이트드라이버(130)는 게이트신호를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에 인가할 수 있다. 게이트신호가 인가된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에 대응하는 서브픽셀(101)은 데이터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센싱제어신호를 서브픽셀(101)로 전달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버(130)에서 출력된 센싱제어신호를 전달받은 서브픽셀(101)은 데이터드라이버(120)에서 출력된 센싱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드라이버(130)의 수는 한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두 개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30)는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버(130)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 중 홀수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게이트드라이버(130)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 중 짝수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타이밍컨트롤러(140)는 데이터드라이버(120)와 게이트드라이버(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컨트롤러(140)는 센싱결과에 대응하는 센싱데이터,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를 데이터드라이버(120)로 전달할 수 있다. 타이밍컨트롤러(140)는 한 프레임 구간에 대응하여 센싱데이터, 영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센싱데이터, 영상데이터는 디지털신호일 수 있다. 타이밍컨트롤러(140)는 데이터신호를 보정하여 데이터드라이버(120)에 전달할 수 있다. 타이밍컨트롤러(140)의 동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또한, 타이밍컨트롤러(140)는 제1클럭과 제2클럭을 게이트드라이버(130)으로 전달하고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제1클럭과 제2클럭을 이용하여 게이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버(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이밍컨트롤러(140)은 데이터신호를 센싱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보정한 후 데이터드라이버(120)에 전달할 수 있다. 타이밍컨트롤러(140)는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픽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3a는 서브픽셀에서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3b는 서브픽셀에서 문턱전압을 센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또한, 도 3c는 서브픽셀에서 전압이동도를 센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ubpixel shown in FIG. 1, and FIG. 3A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driving current in the subpixel. 3B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nsing a threshold voltage in a subpixel. In addition, FIG. 3C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nsing voltage mobility in a subpixel.
도 2를 참조하면, 서브픽셀(101)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는 픽셀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회로는 제1트랜지스터(M1), 제2트랜지스터(M2), 제3트랜지스터(M3) 및 캐패시터(Cs)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ub-pixel 101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 pixel circuit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pixel circuit may include a first transistor M1, a second transistor M2, a third transistor M3, and a capacitor Cs.
제1트랜지스터(M1)는 픽셀고전위전압(EVDD)이 전달되는 제1전원라인(VL1)에 연결된 제1노드(N1)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제2노드(N2)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며 제3노드(N3)에 제2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는 제2노드(N2)에 전달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제1노드(N1)에서 제3노드(N3)로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의 제1전극은 드레인전극이고, 제2전극은 소스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transistor M1 has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node N1 connected to a first power line VL1 to which a pixel high potential voltage EVDD is transmitted, and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node N2.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The first transistor M1 may allow current to flow from the first node N1 to the third node N3 in response to the voltage transmitted to the second node N2.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may be a drain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source electr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제1노드(N1)에서 제3노드(N3)로 흐르는 전류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대응할 수 있다.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first node N1 to the third node N3 may correspond to
여기서, Id는 제1노드(N1)에서 제3노드(N3)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의미하고, k는 트랜지스터의 전자이동도를 의미하며, VGS는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의 전압차이를 의미하며, Vth는 제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을 의미한다. Here, Id is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from the first node (N1) to the third node (N3), k is the electron mobility of the transistor, V GS is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and Vth means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M1.
따라서, 전자이동도와 문턱전압의 편차에 따라 전류의 양이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전자이동도와 문턱전압의 편차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를 보정함으로써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amount of current varies according to the deviation of the electron mobility and the threshold voltage, the image quality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by correcting the data signal in response to the deviation of the electron mobility and the threshold voltage.
제2트랜지스터(M2)는 데이터라인(DL)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게이트라인(GL)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며 제2노드(N2)에 제2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트랜지스터(M2)는 게이트라인(GL)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제2노드(N2)에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압(Vdata)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의 제1전극은 드레인전극이고, 제2전극은 소스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transistor M2 may hav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Accordingly,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transmit the data voltage Vdata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to the second node N2 in response to the gat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gate line GL.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be a drain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source electr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제3트랜지스터(M3)는 제3노드(N3)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센싱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센싱라인(Sense)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며 제2전원라인(VL2)에 제2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는 센싱라인(Sense)에 전달되는 센싱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1초기화전압(VpreR) 또는 제2초기화전압(VpreS)을 전달하여 제3노드(N3)의 전압을 초기화할 수 있다. 제1초기화전압(VpreR)은 데이터라인(DL)에 데이터전압(Vdata)가 인가될 때 제3노드(N3)를 초기화하고 제2초기화전압(VpreS)은 데이터라인(DL)에 센싱전압(Vsense)가 인가될 때 제3노드(N3)를 초기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third transistor M3, a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a gate electrode is connected to a sensing line Sense transmitting a sensing control signal, and a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line VL2. You can. The third transistor M3 initializes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by transmitting the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VpreR or the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VpreS in response to the sens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sensing line Sense. You can. The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VpreR initializes the third node N3 when the data voltage Vdata is applied to the data line DL, and the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VpreS senses the sensing voltage Vsense to the data line DL. ) Is applied, the third node N3 may be initializ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3노드(N3)에 인가된 전압은 서브픽셀(101)의 특성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노드(N3)의 전압을 이용하여 서브픽셀(101)의 특성값을 파악하고 데이터신호를 보상할 수 있다. 서브픽셀(101)의 특성값은 제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 전자이동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열화정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트랜지스터(M3)의 제1전극은 드레인전극이고, 제2전극은 소스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node N3 may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캐패시터(Cs)는 제1노드(N1)와 제3노드(N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캐패시터(Cs)는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의 전압과 소스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e capacitor Cs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N1 and the third node N3. The capacitor Cs may maintain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and the voltage of the sourc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constant.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이 제3노드(N3)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이 픽셀저전위전압(EVSS)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픽셀저전위전압 (EVSS)은 접지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에서 캐소드전극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류의 양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적색, 녹색, 청색,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anod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and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pixel low potential voltage EVSS. Here, the pixel low potential voltage (EVSS) may be groun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y emit light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current when current flows from the anode electrode to the cathode electr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y emit any one of red, green, blue, and white color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 채용된 서브픽셀의 회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ircuit of the subpixel employ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또한, 픽셀회로에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20b)가 연결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20b)는 제2전원라인(VL2)에 연결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20b)는 제2전원라인(VL2)를 통해 제3노드(N3)의 전압을 전달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20b)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는 타이밍컨트롤러(140)로 공급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so, an analog
도 3a를 참조하여 픽셀회로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supplying the driving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 the pixel circu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제1스위치(RPRE)를 턴온시키고 센싱제어신호(Ssen)에 의해 제3트랜지스터(M3)를 턴온시켜 제3노드(N3)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스위치(RPRE)와 제3트랜지스터(M3)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게이트신호(GATE)에 의해 제2트랜지스터(M2)를 턴온되면, 데이터전압(Vdata)이 제2노드(N2)에 전달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은 제2노드(N2)와 제3노드(N3) 간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노드(N1)에서 제3노드(N3)로 구동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전류는 데이터전압(Vdata)에 대응하여 흐를 수 있다. The third node N3 may be initialized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 RPRE and turning on the third transistor M3 by the sensing control signal Ssen. Then, the first switch RPRE and the third transistor M3 may be turned off. When the second transistor M2 is turned on by the gate signal GATE, the data voltage V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node N2. The first transistor M1 may allow a driving current to flow from the first node N1 to the third node N3 in response to the voltage between the second node N2 and the third node N3. Therefore, the driving current may flow corresponding to the data voltage Vdata.
그리고, 도 3b를 이용하여 픽셀회로에서 문턱전압을 센싱하는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Then, the operation of sensing the threshold voltage in the pixel circuit may be described using FIG. 3B.
먼저, 데이터라인(DL)에 기설정된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게이트신호(GATE)가 전달되어 제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면, 제2노드(N2)로 데이터라인(DL)에 인가된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노드(N2)에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제1트랜지스터(M1)에 의해 제1노드(N1)에서 제3노드(N3)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3노드(N3)의 전압레벨이 높아지게 된다.First, the gate signal GATE is transmitted while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data line DL, so that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be turned on. When the second transistor M2 is turned on, a voltage applied to the data line DL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node N2. Then, in response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node N2, a current flows from the first node N1 to the third node N3 by the first transistor M1, so that the voltage level of the third node N3 This becomes higher.
그리고, 제2스위치(SPRE)가 턴온될 수 있다. 제2스위치(SPRE)가 턴온되면 제2전원라인(VL2)로 제2초기화전압(VpreS)이 전달될 수 있다. 제2스위치(SPRE)가 턴온된 후, 센싱제어신호라인(Sense)을 통해 센싱제어신호가 공급되면 제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된 후 제2스위치(SPRE)가 턴오프될 있다. 제2스위치(SPRE)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제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되면, 제3노드(N3)의 전압은 상승하게 되고 제3노드(N3)의 전압이 상승이 시작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제3스위치(SAM)을 턴온시키 수 있다. 제3스위치(SAM)가 턴온되면 제3노드(N3)의 전압이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20b)에 전달될 수 있다. 제3스위치(SAM)는 제3노드(N3)의 전압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 시점에서 턴온될 수 있다. 이때,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20b)에 의해 감지된 전압과 기설정된 전압을 비교하여 제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Then, the second switch SPRE may be turned on. When the second switch SPRE is turned on, the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VpreS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power line VL2. After the second switch SPRE is turned on, when the sensing control signal is supplied through the sensing control signal line Sense, the third transistor M3 may be turned on. After the third transistor M3 is turned on, the second switch SPRE may be turned off. When the third transistor M3 is turned on while the second switch SPRE is turned off,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rises and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starts to rise. When it has elapsed, the third switch SAM may be turned on. When the third switch SAM is turned on,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may be transmitted to the analog
상기와 같이 서브픽셀은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2전원라인(VL2)를 통해 제1초기화전압(VpreR)이 전달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driving current, the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Vpr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VL2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driving current.
그리고, 도 3c를 이용하여 픽셀회로에서 전압이동도를 센싱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 of sensing the voltage mobility in the pixel circuit may be described using FIG. 3C.
먼저, 데이터라인(DL)에 기설정된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게이트신호(GATE)가 전달되어 제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될 수 있다. 기설정된 전압은 센싱전압(Vsense)일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면, 제2노드(N2)로 데이터라인(DL)에 인가된 센싱전압(Vsense)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센싱제어신호(Ssen)에 의해 제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될 수 있다. 이때, 제2스위치(SPRE)가 턴온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와 제2스위치(SPRE)가 턴온되면 제3노드(N3)에 제2초기화전압(VpreS)가 전달될 수 있다. First, the gate signal GATE is transmitted while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data line DL, so that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be turned on. The preset voltage may be a sensing voltage (Vsense). When the second transistor M2 is turned on, the sensing voltage Vsense applied to the data line DL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node N2. In addition, the third transistor M3 may be turned on by the sensing control signal Ssen. At this time, the second switch SPRE may be turned on. When the third transistor M3 and the second switch SPRE are turned on, the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VpreS may be transmitted to the third node N3.
게이트신호(GATE)에 의해 제2트랜지스터(M2)가 턴오프되고 제2스위치(SPRE)이 턴오프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와 제2스위치(SPRE)가 턴오프가 되면 제2노드(N2)와 제3노드(N3)는 플로팅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트랜지스터(M1)은 제2노드(N2)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3트랜지스터(M3)를 통해 제2전원라인(VL2)로 센싱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제2전원라인(VL2)는 센싱전류로 인해 전압이 상승하게 되어 제3노드(N3)의 전압레벨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2노드(N2)는 제3노드(N3)와 캐패시터(Cs)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제2노드(N2)의 전압레벨 역시 상승하게 된다. 제3노드(N3)의 전압은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상승하게 되는데, 기울기가 전자이동도가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t1)의 시간이 경과한 후 제3스위치(SAM)이 턴온되어 전자이동도에 대한 정보가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20b)로 전달될 수 있다.The second transistor M2 may be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SPRE may be turned off by the gate signal GATE. When the second transistor M2 and the second switch SPRE are turned off, the second node N2 and the third node N3 may be floating. At this time, the first transistor M1 corresponds to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so that the sens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third transistor M3 to the second power line VL2. The voltage of the second power line VL2 is increased due to the sensing current, so that the voltage level of the third node N3 is increased.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node N2 is connected through the third node N3 and the capacitor Cs,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node N2 also increases.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rises with a constant slope, and the slope becomes electron mobility. Then, after the time of the predetermined time t1 has elapsed, the third switch SAM is turned on, and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 mobility may be transferred to the analog
도 4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도 4를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각 프레임 구간에서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은 제1프레임구간(1st frame)과 제2프레임(2nd fram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구간(1st frame)과 제2프레임(2nd frame)은 각각 블랭크 구간(blank) 구간과 디스플레이구간(Display)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구간(Display)에는 게이트신호가 출력되어 데이터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display an image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one frame in each frame section may be displayed. The plurality of frames may include a first frame section (1st frame) and a second frame (2nd frame). The first frame section (1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2nd frame) may each include a blank section (blank) section and a display section (Display). A gate signal is output to the display section to receive a data signal to display an image.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100)는 블랭크구간(blank)에서는 블랙데이터를 전달받아 영상이 표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구간(Display)에서는 데이터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블랭크구간(blank)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센싱모드가 블랭크구간(blank)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블랭크구간(blank)에서 센싱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센싱전압(Vsense)가 데이터라인으로 공급될 수 있다. 센싱전압(Vsense)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문턱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드라이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1.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드라이버(120)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20a)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20a)는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되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0b)는 제2전원라인(VL2)와 연결될 수 있다.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20a)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0b)는 각각 하나의 데이터라인(DL)과 제2전원라인(VL2)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5, the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20a)는 타이밍컨트롤러(140)으로부터 영상데이터(RGB)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20a)는 타이밍컨트롤러(140)으로부터 센싱데이터(Dsense)를 전달받을 수 있다.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20a)는 영상데이터(RGB)와 센싱데이터(Dsense)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 데이터전압을 생성하고 데이터라인(DL)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 digital-to-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20b)는 제2전원라인(VL2)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120b)는 제2전원라인(VL2)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센싱데이터(Dsense)를 생성할 수 있다. The analog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와 게이트드라이버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6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timing controller and a gate driver shown in FIG. 1.
도 6을 참조하면, 타이밍컨트롤러(140)는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 라인선택신호(Mute), 센싱모드신호(CSP)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컨트롤러(140)는 디스플레이모드, 라인선택모드, 센싱모드에 대응하여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을 다르게 공급할 수 있다. 다르게 공급되는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은 클럭의 파형이 다르게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클럭의 파형이 다르게 공급되는 것은 제1클럭(G-CLK) 및 제2클럭(M-CLK)클럭의 주기 및/또는 위상이 다른 것일 수 있다. 타이밍컨트롤러(140)는 별도의 출력단을 통해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을 디스플레이모드, 라인선택모드, 센싱모드에 대응하여 공급할 수 있고 하나의 출력단에서 디스플레이모드, 라인선택모드, 센싱모드에 대응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컨트롤러(140)는 디스플레이모드, 라인선택모드, 센싱모드에 대응하여 라인선택신호(Mute), 센싱모드신호(CSP)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타이밍컨트롤러(140)는 디스플레이모드에서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이 출력되고, 라인선택모드에서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 라인선택신호(Mute)가 출력되고 센싱모드에서는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 센싱모드신호(CSP)를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타이밍컨트롤러(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이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The
게이트드라이버(130)는 타이밍컨트롤러(140)로부터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 라인선택신호(Mute), 센싱모드신호(CSP)를 전달받을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버(130)는 복수의 게이트신호(GATE1,GATE2,…,GATEn-1,GATEn)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센싱클럭(SSCLK)을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버(130)는 디스플레이모드에서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을 전달받아 복수의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드라이버(130)는 복수의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에 대응하여 복수의 게이트 신호(GATE1,GATE2,…,GATEn-1,GATEn)를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버(130)는 라인선택신호(Mute)를 전달받으면 스캔클럭들(SSCLK1 내지 SSCLK6)을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제1클럭(G-CLK)의 상승엣지과 제2클럭(M-CLK)의 하강엣지를 카운팅한 카운팅정보를 획득하고 카운팅정보에 대응하여 복수의 게이트라인 중 하나의 게이트라인을 선택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센싱모드신호(CSP)를 입력받으면 센싱모드에 돌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선택된 게이트라인으로 센싱클럭(SSCLK)을 공급할 수 있다. The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제2클럭(M-CLK) 및 게이트신호출력회로(130b)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제2클럭(M-CLK)는 타이밍컨트롤러(140)로부터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을 전달받아 복수의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을 생성할 수 있다. 제2클럭(M-CLK)에서 생성하는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의 수는 6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클럭(M-CLK)에서 생성된 복수의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은 게이트신호 출력회로(130b)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110)이 UHD(Ultra high definition)의 해상도를 갖는 경우 2160개의 게이트라인을 포함할 수 있어 게이트신호 출력회로(130b)는 2160개의 게이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게이트신호 출력회로(130b)에서 출력되는 게이트신호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신호출력회로(130b)는 제2클럭(M-CLK)로부터 6개의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을 전달받아 2160개의 게이트라인으로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clock (M-CLK) may receive the first clock (G-CLK) and the second clock (M-CLK) from the
도 7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레벨쉬프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7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evel shifter shown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레벨쉬프터(130a)는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을 입력받는 입력부(131a),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에 대응하는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회로(1301 내지 1306)를 포함하는 출력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벨쉬프터(130a)는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133a)를 포함할 수 이다. 복수의 출력회로(1301 내지 1306)는 라인선택신호(Mute)를 전달받게 되면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카운터(133a)는 제1클럭(G-CLK)의 상승엣지 및/또는 제2클럭(M-CLK)의 하강엣지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133a)는 기설정된 수를 저장하고 카운터(133a)에서 카운팅한 수가 기설정된 수와 동일하면, 출력회로(1301 내지 1306) 중 기설정된 수에 대응하는 출력회로를 선택할 수 있다. The
카운터(133a)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레벨쉬프터(130a)는 선택될 출력회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하지만, 레벨쉬프터(130a)가 카운터(133a)를 사용함으로써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게 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When the
또한, 레벨쉬프터(130a)는 센싱모드신호(CSP)를 전달받게 되면, 복수의 출력회로(1301 내지 1306) 중 선택된 출력회로에서 센싱클럭이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도 8은 레벨쉬프터에 입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8 is a timing diagram showing waveforms of signals input / output to the level shifter.
도 8을 참조하면, 레벨쉬프터(130a)는 디스플레이모드(TD)에서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은 각각 일정한 주기를 갖는 펄스파이고 위상차이가 180도 차이가 있는 신호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을 디스플레이모드, 라인선택모드, 센싱모드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파형으로 공급될 수 있다. 레벨쉬프터(130a)는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을 전달받아 복수의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레벨쉬프터(130a)는 제1클럭(G-CLK)이 첫번째 상승엣지에 제1스캔클럭(SCCLK1)의 상승엣지가 대응되게 하고 제2클럭(M-CLK)이 첫번째 하강엣지에 제1스캔클럭(SCCLK1)의 하강엣지가 대응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스캔클럭(SCCLK2)은 제1클럭(G-CLK)이 두번째 상승엣지에 제2스캔클럭(SCCLK2)의 상승엣지가 대응되게하고 제2클럭(M-CLK)이 두번째 하강엣지에 제2스캔클럭(SCCLK2)의 하강엣지가 대응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 내지 제6스캔클럭(SSCLK3 내지 SSCLK6)도 생성하여 복수의 스캔클럭 (SSCLK1 내지 SSCLK6)이 순차적으로 발생되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라인선택모드(TLS)에서 레벨쉬프터(130a)는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 및 라인선택신호(Mute)를 전달받을 수 있다. 레벨쉬프터(130a)가 라인선택신호(Mute)를 전달받게 되면 제1클럭(G-CLK) 및 제2클럭(M-CLK)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을 생성하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레벨쉬프터(130a)는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을 카운팅할 수 있다. 레벨쉬프터(130a)는 카운터(133a)를 이용하여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레벨쉬프터(130a)는 카운터(133a)에서 카운팅한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출력회로(1301 내지 1306)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타이밍컨트롤러(140)는 라인선택모드(TLS)인 경우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의 수를 결정하여 공급할 수 있다. 카운터(133a)는 라인선택모드(TLS)에서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의 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한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출력회로(1301 내지 1306)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In the line selection mode TLS, the
즉, 타이밍컨트롤러(140)는 라인선택모드(TLS)에서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이 하나가 발생하도록 하면, 카운터(133a)가 카운팅한 수가 1이 되고 복수의 출력회로(1301 내지 1306) 중 두번째 출력회로(1322)가 선택된다. 그리고, 타이밍컨트롤러(140)는 라인선택모드(TLS)에서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이 세개가 발생하도록 하면, 카운터(133a)에서카운팅한 수가 3이 되고 복수의 출력회로(1301 내지 1306) 중 네번째 출력회로(1324)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카운터(133a)가 카운팅한 수가 6이 되면 복수의 출력회로(1301 내지 1306) 중 첫번째 출력회로(1321)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카운팅한 수에 대응하여 출력회로를 선택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카운터(133a)가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를 카운팅한 수가 3이된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을 한다. That is, when the first controller G-CLK and / or the second clock M-CLK occurs in the line selection mode TLS, the
그리고, 센싱모드(TS)에서 레벨쉬프터(130a)는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 및 센싱모드신호(CSP)를 전달받을 수 있다. 레벨쉬프터(130a)에서 전달받는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의 파형은 디스플레이모드(TD)에서 전달받는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의 파형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운터(133a)가 카운팅한 수가 3이 되면 레벨쉬프터(130a)는 센싱모드에서 네번째 출력회로(1324)가 활성화되어 네번째 출력회로(1324)을 통해 센싱클럭(SSCLK)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네번째 출력회로(1324)가 활성화되어 있고 센싱모드신호(CSP)가 입력된 후 첫번째 제1클럭(G-CLK)이 상승할 때 네번째 출력회로(1324)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승하고 첫번째 제2클럭(M-CLK)이 하강할 때 네번째 출력회로(1324)에 출력되는 신호가 하강함으로써 네번째 출력회로(1324)에서 센싱클럭(SSCLK)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두번째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이 입력될 때에도 네번째 출력회로(1324)이 활성화되어 있어 두번째 제1클럭(G-CLK)이 상승할 때 네번째 출력회로(1324)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다시 상승하고 두번째 제2클럭이 하강할 때 하강함으로써 센싱클럭(SSCLK)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센싱클럭(SSCLK)는 게이트신호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고 센싱모드(TS)에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서브픽셀의 제2트랜지스터(M2) 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 센싱모드(TS)에서 서브픽셀의 특성값을 센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nsing mode TS, the
도 9는 게이트신호출력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9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gate signal output circuit.
도 9를 참조하면, 게이트신호출력회로(130b)는 복수의 신호출력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신호출력회로 중 제4신호출력회로(131b)와 제5신호출력회로(132b)의 두개의 신호출력회로만을 도시하였다. Referring to FIG. 9, the gate
제4신호출력회로(131b)는 제4캐리신호(carry4)를 출력하는 제4캐리신호출력부(1311), 제4게이트신호(GATE4)를 출력하는 제4게이트신호출력부(1312), 제4센싱제어신호(Ssen4)를 출력하는 제4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신호출력회로(131b)는 제4신호처리부(1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urth
제5신호출력회로(132b)는 제5캐리신호(carry5)를 출력하는 제5캐리신호출력부(1321), 제5게이트신호(GATE5)를 출력하는 제5게이트신호출력부(1322), 제5센싱제어신호(Ssen5)를 출력하는 제5센싱제어신호출력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신호출력회로(132b)는 제5신호처리부(1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fth signal output circuit 132b includes a fifth carrier
여기서, 제4신호처리부(1314) 도시되지 않은 제3캐리신호출력부로부터 제3캐리신호(carry3)을 전달받고 제5캐리신호출력부(1321)은 도시되지 않은 제6신호처리부로 제5캐리신호(carry5)를 전달할 수 있다. 게이트신호출력회로(130b)는 디스플레이모드(TD)와 센싱모드(TS)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드(TD)와 센싱모드(TS)에 대응하여 제4게이트신호출력부(1312), 제5게이트신호출력부(1322)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게이트신호(GATE)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4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 및 제5센싱제어신호출력부(1323)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센싱제어신호(Ssen)을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fourth
먼저, 디스플레이모드(TD)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모드(TD)에서 제4캐리신호출력부(1311), 제4게이트신호출력부(1312) 및 제4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는 제4스캔클럭(SCCLK4)를 전달받고 제5캐리신호출력부(1321), 제5게이트신호출력부(1322) 및 제5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1323)는 제5스캔클럭(SCCLK5)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4신호처리부(1314)와 제5신호처리부(1324)는 충전신호(LSP)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충전신호(LSP)는 타이밍컨트롤러(140)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rst, the operation in the display mode TD will be described. In the display mode TD, the fourth carrier
제4신호처리부(1314)는 충전신호(LSP)와 제3캐리신호(carry3)을 전달받으면 제4캐리신호출력부(1311)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충전신호(LSP)에 의해 제4게이트신호출력부(1312) 및 제4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를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5신호처리부(1324)는 충전신호(LSP)와 제4캐리신호(carry4)를 전달받으면 제5캐리신호출력부(1321)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충전신호(LSP)에 의해 제5게이트신호출력부(1322) 및 제5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1323)가 활성화될 수 있다. When the fourth
또한, 제4신호처리부(1314)와 제5신호처리부(1324)에 충전신호(LSP)가 전달된 상태에서 제4신호처리부(1314)에 제3캐리신호(carry3)가 전달되면 제4캐리신호출력부(1311), 제4게이트신호출력부(1312) 및 제4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가 활성화되어 제4캐리신호(carry4), 제4게이트신호(GATE4) 및 제4센싱제어신호(Ssen4)가 출력될 수 있고 제5신호처리부(1324)에 제4캐리신호(carry4)가 전달되면 제5캐리신호출력부(1321), 제5게이트신호출력부(1322) 및 제5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1323)가 활성화되어 제5캐리신호(carry5), 제5게이트신호(GATE5), 제5센싱제어신호(Ssen5)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hird carry signal (carry3) is transmitted to the fourth
게이트신호(GATE4,GATE5)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제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될 수 있고 센싱제어신호(Ssen4,Ssen5)에 의해 제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될 수 있다. 여기서, 제4신호처리부(1314)는 도시되지 않은 이전 신호출력회로로부터 캐리신호(carry3)를 전달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5캐리신호출력부(1321)은 도시되지 않은 다음 신호출력회로로 캐리신호(carry5)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transistor M2 shown in FIG. 2 may be turned on by the gate signals GATE4 and GATE5, and the third transistor M3 may be turned on by the sensing control signals Ssen4 and Ssen5. Here, the fourth
그리고, 센싱모드(TS)에서 동작을 설명한다. 센싱모드(TS)에서 제4캐리신호출력부(1311), 제4게이트신호출력부(1312) 및 제4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는 센싱클럭(SSCLK)를 전달받고 제5캐리신호출력부(1321), 제5게이트신호출력부(1322) 및 제5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1323)는 센싱클럭(SSCLK) 및 제5스캔클럭(SCCLK5)를 전달받지 않는다. 또한, 제4캐리신호출력부(1311)와 제5캐리신호출력부(1321)는 활성화되지 않아 제4캐리신호(carry4)와 제5캐리신호(carry5)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Then, the operation in the sensing mode (TS) will be described. In the sensing mode TS, the fourth carrier
그리고, 제4신호처리부(1314)와 제5신호처리부(1324)는 충전신호(LSP)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4신호처리부(1314)는 충전신호(LSP)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제4게이트신호출력부(1312)가 센싱클럭(SSCLK)을 전달받으면 제4게이트신호출력부(1312)는 센싱클럭(SSCLK)에 대응하는 게이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urth
여기서, 게이트신호출력부(1312,1322) 및 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1323)에서 출력되는 게이트신호(GATE4,GATE5)와 센싱제어신호(Ssen4,Ssen5)는 스캔클럭(SCCLK4,SCCLK5)과 동일한 주기와 위상을 갖는 GATE1,GATE2,…,GATEn-1,GATEn호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의해 게이트신호출력부(1312,1322)와 센싱제어신호출력부(1313,1323)에서 각각 게이트신호(GATE4,GATE5)와 센싱제어신호(Ssen4,Ssen5)의 주파수와 위상을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gate signals (GATE4, GATE5) and the sensing control signals (Ssen4, Ssen5) output from the gate signal output units (1312, 1322) and the sensing control signal output units (1313, 1323) are associated with scan clocks (SCCLK4, SCCLK5). GATE1, GATE2,… with the same period and phase , GATEn-1, GAT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requencies of the gate signals GATE4, GATE5 and the sensing control signals Ssen4, Ssen5, respectively, in the gat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게이트라인(GL1,…,GLn)에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에 대응하는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디스플레이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S100). 디스플레이모드에서 도 1에 도시된 타이밍컨트롤러(140)가 제1클럭(G-CLK), 제2클럭(M-CLK), 영상신호(RGB)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드에서 데이터드라이버(120)는 타이밍컨트롤러(140)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영상신호(RGB)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를 데이터라인(DL1,…,DLm)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을 공급받아 게이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드에서 게이트신호가 공급되면 데이터라인(DL1,…,DLm)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가 서브픽셀(101)에 공급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버(130)는 레벨쉬프터(130a)를 포함할 수 있고 타이밍컨트롤러(140)에서 전달받은 신호들의 전압을 레벨쉬프터(130a)에서 소정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게이트신호(GATEs)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gat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G-CLK) and the second clock (M-CLK) are sequential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 GLn. The display mode supplied by may be performed (S100). In the display mode, the
게이트드라이버(130)는 게이트신호출력회로(130b)를 포함할 수 있고 레벨쉬프터(130a)에서 출력되는 스캔클럭(SCCLK1 내지 SCCLK6)를 전달받아 게이트신호(GATEs)를 생성하여 게이트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드는 디스플레이구간과 블랭크구간으로 구분되는 한 프레임 구간 중 디스플레이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그리고, 라인선택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S110). 라인선택모드에서 복수의 게이트라인 중 센싱클럭(SSCLK)에 대응하는 게이트신호(GATEs)가 전달되는 게이트라인(GL1,…,GLn)을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싱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라인선택모드에서 레벨쉬프터(130a)는 라인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게이트라인 중 센싱클럭(SSCLK)을 전달받을 게이트라인을 선택하는 센싱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이 짧게 설정될 수 있음으로써 한 프레임 구간 중 블랭크구간에서 이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싱모드를 수행하는 서브픽셀은 표시패널의 일부의 서브픽셀일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센싱클럭을 전달받을 게이트라인에 대응하여 라인선택모드에서 전달될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의 클럭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컨트롤러는 결정된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의 수에 대응하여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타이밍 컨트롤러는 1 또는 6개의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이 라인선택모드에서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클럭(G-CLK) 및/또는 제2클럭(M-CLK)의 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n, a line selection mode may be performed (S110). In the line selection mode, gate lines GL1, ..., and GLn to which gate signals GATEs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clock SSCLK are transmitted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Therefore, the sensing time can be shortened. In the line selection mode, the
따라서, 센싱모드를 수행하기 전에 센싱모드에서 센싱제어신호를 공급받을 서브픽셀을 선택할 필요가 있고 라인선택모드에서 센싱제어신호가 공급될 게이트라인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게이트라인을 선택하기 위해서 카운터에서 제1클럭과 제2클럭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수에 대응하여 게이트라인을 선택할 수 있다. 게이트라인의 선택은 레벨쉬프터의 출력단을 선택한 후 복수의 게이트출력회로부 중 일부의 게이트출력회로부들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Therefore, before performing the sensing mode, it is necessary to select a subpixel to be supplied with the sensing control signal in the sensing mode, and in the line selection mode, the gate line to which the sensing control signal is supplied can be selected. In order to select the gate line, at least one of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may be counted at the counter and the gate lin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unted number. Selecting the gate line selects the output stage of the level shifter and then activates some of the gate output circuits among the plurality of gate output circuits.
그리고, 센싱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S120). 센싱모드는 서브픽셀의 특성값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모드에서는 라인선택모드에서 선택된 게이트라인에 제1클럭(G-CLK)과 제2클럭(M-CLK)에 대응하는 센싱클럭(SSCLK)을 공급할 수 있다. 센싱모드에서는 센싱클럭(SSCLK)에 대응하는 게이트신호가 게이트라인을 통해 서브픽셀의 제2트랜지스터(M2)에 전달될 수 있다. 센싱모드에서는 데이터라인으로 센싱데이터에 대응하는 센싱전압이 전달될 수 있다. Then, a sensing mode may be performed (S120). In the sensing mode, a characteristic value of a subpixel can be sensed. In the sensing mode, the sensing clock SSCLK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G-CLK and the second clock M-CLK may be supplied to the gate line selected in the line selection mode. In the sensing mode, a gat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clock SSCLK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istor M2 of the subpixel through the gate line. In the sensing mode, a sens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data line.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bine combinations in a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uch as separation, substitution and change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유기발광표시장치
101: 서브픽셀
110: 표시패널
120: 게이트드라이버
130: 데이터드라이버
140: 타이밍컨트롤러10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1: subpixel
110: display panel
120: gate driver
130: data driver
140: timing controller
Claims (12)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에 대응하는 스캔클럭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게이트드라이버.
An input unit that receives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An out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respectively outputting scan clock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And
A gate driver including a counter for coun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디스플레이모드, 라인선택모드 및 센싱모드에 대응하여 동작하되,
상기 라인선택모드에서 상기 카운터가 기설정된 수를 카운팅한 후 카운팅된 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회로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센싱모드에서 상기 라인선택모드에서 선택된 출력회로로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에 대응하는 센싱클럭을 출력하는 게이트드라이버.
According to claim 1,
I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display mode, line selection mode and sensing mode.
In the line selection mode, the counter counts a preset number and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in correspondence to the counted number. In the sensing mode, the first clock is selected as the output circuit selected in the line selection mode. A gate driver that outputs a sensing clock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lock.
상기 복수의 출력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드에서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스캔클럭을 출력하는 게이트드라이버.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are gate drivers that output the plurality of scan clocks in response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in the display mode.
상기 복수의 출력단은 각각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신호출력회로와 연결되는 게이트드라이버.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is a gate driver connected to a gate signal output circuit that outputs a gate signal.
상기 표시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며, 복수의 클럭신호을 출력하는 레벨쉬프터와, 상기 복수의 클럭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표시패널로 상기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신호출력회로를 포함하는 게이트드라이버;
상기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드라이버; 및
상기 게이트드라이버와 상기 데이터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쉬프터는,
제1클럭과 제2클럭을 상기 타이밍컨트롤러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캔클럭을 상기 게이트신호출력회로로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Display panel;
A gate driver including a level shifter that supplies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outputs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and a gate signal output circuit that receives the plurality of clock signals and supplies the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 data driver supplying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It includes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gate driver and the data driver,
The level shifter,
An input unit receiving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from the timing controller;
An out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outputting a plurality of scan clock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to the gate signal output circuit; And
And a counter for coun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상기 레벨쉬프터는 디스플레이모드, 라인선택모드 및 센싱모드에 대응하여 동작하되,
상기 라인선택모드에서 상기 카운터가 기설정된 수를 카운팅한 후 카운팅된 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신호출력부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센싱모드에서 상기 라인선택모드에서 선택된 신호출력단으로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에 대응하여 센싱클럭을 출력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level shifter operates in response to a display mode, a line selection mode and a sensing mode,
In the line selection mode, after the counter counts a preset number, one of the plurality of signal output unit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ounted number, and the first clock is selected from the sensing mode to the signal output terminal selected in the line selection m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utputting a sensing clock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lock.
상기 복수의 출력단은 디스플레이모드에서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스캔클럭을 출력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output stages in the display m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the plurality of scan clock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상기 게이트신호출력회로는 캐리신호 및 센싱제어신호를 더 출력하되, 상기 복수의 스캔클럭을 전달받아 상기 게이트신호, 상기 캐리신호, 및 상기 센싱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gate signal output circuit further outputs a carry signal and a sensing control signal, but receives the plurality of scan clocks and outputs the gate signal, the carry signal, and the sensing control signal.
상기 게이트신호출력회로는 각각 상기 게이트신호, 상기 캐리신호 및 상기 센싱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는 상기 캐리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gate signal output circuit includes a plurality of stages respectively outputting the gate signal, the carry signal, and the sensing control signal, wherein the plurality of stages sequentially operate by the carry signal.
상기 표시패널은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픽셀은 상기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라인과, 상기 서브픽셀에 고전위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원라인과, 상기 서브픽셀에 초기화전압을 공급하는 초기화전압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서브픽셀은 상기 센싱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전압라인을 통해 상기 서브픽셀의 특성값을 센싱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sub-pixels,
The subpixel includes a data line supplying the data signal, a gate line supplying the gate signal, a first power line supplying a high potential voltage to the subpixel, and an initialization supplying an initialization voltage to the subpixel. Connected to the voltage line,
The sub-pixel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 sensing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sub-pixel through the initialization voltage line in the sensing mode.
라인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 중 센싱클럭을 전달받을 게이트라인을 선택하는 라인선택모드; 및
상기 라인선택모드에서 선택된 상기 게이트라인에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에 대응하는 상기 센싱클럭을 공급하는 센싱모드를 포함하여 구동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 display mode for sequentially supplying gat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A line selection mode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in response to the line selection signal and selecting a gate line to receive a sensing clock amo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in correspondence to the counted number; And
And a sensing mode for supplying the sensing clock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to the gate line selected in the line selection mode.
상기 라인선택모드에서 상기 제1클럭과 상기 제2클럭의 수는 상기 센싱클럭을 전달받을 게이트라인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The method of claim 12,
A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number of the first clock and the second clock in the line selection mode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a gate line to receive the sensing cloc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1809A KR102628948B1 (en) | 2018-09-18 | 2018-09-18 | Gate driv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1809A KR102628948B1 (en) | 2018-09-18 | 2018-09-18 | Gate driv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2586A true KR20200032586A (en) | 2020-03-26 |
KR102628948B1 KR102628948B1 (en) | 2024-01-24 |
Family
ID=6995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1809A Active KR102628948B1 (en) | 2018-09-18 | 2018-09-18 | Gate driv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894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315445B2 (en) | 2023-02-27 | 2025-05-2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including a signal line connected to driving circuits of different columns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9220A (en) * | 2013-11-21 | 2015-06-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he Method for Detecting of Driving Transistor Charac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KR20150141285A (en) * | 2014-06-09 | 2015-12-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Gate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KR20160037302A (en) * | 2014-09-26 | 2016-04-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170064142A (en) * | 2015-11-30 | 2017-06-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mage driving method, and sensing method |
KR20170064174A (en) * | 2015-11-30 | 2017-06-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Gate driving method, sensing driving method, gate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20170081034A (en) * | 2015-12-31 | 2017-07-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Gate driving method, sensing driving method, gate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20180036855A (en) * | 2016-09-30 | 2018-04-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ource driver ic, operating method of the source driver ic, and driving metho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2018
- 2018-09-18 KR KR1020180111809A patent/KR1026289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9220A (en) * | 2013-11-21 | 2015-06-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he Method for Detecting of Driving Transistor Charac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KR20150141285A (en) * | 2014-06-09 | 2015-12-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Gate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KR20160037302A (en) * | 2014-09-26 | 2016-04-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170064142A (en) * | 2015-11-30 | 2017-06-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mage driving method, and sensing method |
KR20170064174A (en) * | 2015-11-30 | 2017-06-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Gate driving method, sensing driving method, gate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20170081034A (en) * | 2015-12-31 | 2017-07-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Gate driving method, sensing driving method, gate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20180036855A (en) * | 2016-09-30 | 2018-04-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ource driver ic, operating method of the source driver ic, and driving metho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315445B2 (en) | 2023-02-27 | 2025-05-2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including a signal line connected to driving circuits of different colum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8948B1 (en) | 2024-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11008B1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8077126B2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9105213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US10115343B2 (en) | Sub-pixel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137521B1 (en) | Pixel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8487843B2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598385B1 (en) | Timing controll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9197791B2 (en) | Display device, driv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WO2018119747A1 (en) | Oled pixel compensation circuit, and oled display device | |
US20160189657A1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a mux to vary voltage levels of a switching circuit used to drive a display panel | |
US10210811B2 (en) |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715269B1 (en) | Gate driv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103594053B (en) | Organic LE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170074620A (en) | Sub-pixel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70122432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 |
US8736597B2 (en) | Pixel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20200013331A1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 |
KR102641997B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 |
KR20120053688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US11545078B2 (en) | Display device with gate driver capable of providing high resolution and reducing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 |
US9324273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KR20120000434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628948B1 (en) | Gate driv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052644B1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1995408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7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