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31284A -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284A
KR20200031284A KR1020180110114A KR20180110114A KR20200031284A KR 20200031284 A KR20200031284 A KR 20200031284A KR 1020180110114 A KR1020180110114 A KR 1020180110114A KR 20180110114 A KR20180110114 A KR 20180110114A KR 20200031284 A KR20200031284 A KR 2020003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ock key
key
issuing
custo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형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조진형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형, 김영환 filed Critical 조진형
Priority to KR102018011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284A/ko
Publication of KR2020003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28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 단말기에 내장된 블루투스, NFC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숙박 시설의 도어록 키를 발급하고, 일정 기간 후에 발급된 도어록 키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어, 관리자와 고객이 직접 만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객이 예약된 객실을 원하는 시간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ISSUING SYSTEM OF DOOR-LOCK KEY AND ISSU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숙박 시설 등에서 고객에게 도어록 키를 발급하여 관리자가 고객에게 직접 도어록 키를 전달하지 않더라도 고객이 예약된 객실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펜션이나 콘도, 또는 모텔 등과 같은 숙박 시설을 고객이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고객은 숙박 시설의 프런트에서 관리자나 직원을 통해 체크인(check in)을 통해 숙박하고자 하는 객실의 도어록 키를 받는다. 그리고 고객은 객실에서 퇴실할 때, 체크아웃(check out)을 통해 관리자나 직원에게 도어록 키를 반납한다. 이 과정에서, 프런트에 관리자나 직원이 부재중인 경우에 고객은 체크인을 하지 못하여 개개실의 도어록 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관리자나 직원은 항시 프런트에 상시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형 호텔이나 콘도 등과 같이, 여러 직원이 근무하는 경우에는 여러 직원이 교대로 프런트에 대기할 수 있지만, 펜션이나 작은 모텔 등과 같이, 한 두 명의 관리자가 관리하는 경우에는, 상시 프런트에 대기하는 것이 쉽지 않다.
더욱이, 최근 카드 형태의 전자식 도어록 키를 이용하는 경우, 고객이 도어록 키를 분실하는 경우나 체크아웃할 때, 반납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관리자는 객실의 보안을 위해 도어록의 키 셋팅을 다시 셋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성수기나 주말과 같이, 고객이 프런트에 몰리면 그로 인해 대기하는 고객이 발생하는 등과 같이, 효율적으로 프런트의 운영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객이 휴대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도어록 키를 발급하기 위한 종래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8082호(이하, 종래기술)가 있다. 종래기술은, 대형 호텔과 같은 숙박 시설에 별도의 서버를 두고, 서버와 객실의 도어록 사이에 실시간 통신을 통해 고객에게 도어록 키를 발급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종래기술은, 서버와 도어록 간의 실시간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존의 숙박 시설에 해당 통신 시설을 구축하는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어, 높은 구축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8082호 (2018.01.2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거나 서버와 도어록 간의 통신 시설을 구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객에게 도어록 키를 발급할 수 있는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발급 시스템은, 도어락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접속되며, 상기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숙박 시설 관리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숙박 시설 관리부로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락 키에 대한 발급 요청이 있을 때, 상기 발급 요청된 도어락이 설치된 객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기로 해당 도어락에 대한 도어락 키를 발급하는 도어락 키 발급부; 및 상기 숙박 시설 관리부 및 도어락 키 발급부가 각각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고객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 발급되는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와 도어락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락 키에는 상기 도어락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고유 번호 또는 시리얼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와 도어락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고, 상기 도어락 키에는 상기 도어락의 RFID를 위한 시리얼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가 상시 서버에 등록한 적립금을 관리하는 적립금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립금 관리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도어록 키 발급을 요청이 있을 때, 상기 등록된 적립금 중 적어도 일부가 차감될 수 있다.
상기 적립금 관리부에 등록된 적립금은, 상기 서버에 연계된 계좌에 입금된 금액 또는 카드 결제된 금액일 수 있다.
상기 도어록 키는 사용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발급 방법은, 도어락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객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락 키에 대한 발급 요청이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발급 요청된 도어락이 설치된 객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기로 해당 도어락에 대한 도어락 키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 발급되는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와 도어락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락 키에는 상기 도어락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고유 번호 또는 시리얼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와 도어락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고, 상기 도어락 키에는 상기 도어락의 RFID를 위한 시리얼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록 키의 발급 요청이 있으면, 상기 관리자가 적립한 적립금에 대한 차감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립금의 차감이 이루어지는 단계에서, 차감되는 적립금은 적립된 금액 중 적어도 일부가 차감될 수 있다.
상기 도어록 키는 사용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에 내장된 블루투스 기능을 활용하여 숙박 시설의 도어록 키를 발급하고, 일정 기간 후에 발급된 도어록 키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어, 관리자와 고객이 직접 만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객이 예약된 객실을 원하는 시간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숙박 시설에 서버나 통신 시설을 구축하지 않더라도 고객에게 도어록 키를 발급할 수 있어 서버나 통신 시설의 구축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온라인상에서 서버에 접속을 통해 적립한 금액으로, 일회성으로 도어록 키 발급을 위한 비용을 처리할 수 있어, 관리자는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객은 예약된 객실을 이용하면서 별도의 키를 사용하지 않고, 고객이 휴대한 스마트폰 등의 고객 단말기를 도어록 키로 이용할 수 있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의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의 도어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키 발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면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의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의 도어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100)은, 서버(110), 관리자 이동단말기(120), 관리자 단말기(130), 고객 단말기(140) 및 도어록(150)을 포함한다.
서버(110)는,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접속할 수 있고, 관리자가 관리자 이동단말기(120) 또는 관리자 단말기(130)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10)는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10)에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숙박 시설의 객실 및 해당 객실에 설치된 도어록(15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서버(11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하고, 적립금을 입금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40)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고객 단말기(140)에 도어록 키를 발급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110)에서 고객 단말기(140)로 전송하는 정보는, 고객이 예약한 객실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객실의 도어록 키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고객이 예약한 객실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 이동단말기(120)나 관리자 단말기(130)에서 서버(110)로 전송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10)는, 관리자 이동단말기(120) 또는 관리자 단말기(130)가 접속되어 해당 관리자의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숙박 시설 관리부(111), 관리자가 입금한 적립금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적립금 관리부(113),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고객 단말기로 도어락 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도어락 키 발급부(115),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숙박 시설 관리부(111), 적립금 관리부(113) 및 도어락 키 발급부(115)는, 각각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서로 정보에 대한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자 이동단말기(120)는, 관리자가 휴대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노트북 등일 수 있으며, 관리자가 관리자 이동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서버(110)에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관리자 이동단말기(120)에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30)는 관리자가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이며, 개인용 PC 등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30)는 관리자 이동단말기(120)와 마찬가지로,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서버(110)로부터 전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서버(11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렇게 관리자 이동단말기(120)나 관리자 단말기(130)를 통해 서버(110)에 접속하여 관리자는 서버(110)에 회원 등록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러한 회원 등록과정에서 자신이 관리하는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를 서버(110)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서버(110)를 통해 서버(110)에 연계된 은행계좌 등으로 적립금을 입금하고, 입금된 적립금에 대한 정보를 서버(110)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40)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고,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고객 단말기(14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고객 단말기(140)는 서버(1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어록(150)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도어록(150)을 열 수 있는 도어록 키에 대한 정보를 실행할 수 있다.
도어록(150)은, 객실의 도어록(150)에 설치되며,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153)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도어록 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도어록 키가 정상적인 도어록 키 정보인지 확인하여, 도어록(150)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록(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153)와 함께, 도어록(15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개폐장치(151)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된 도어록 키의 정보가 정상적인지 확인하기 위한 도어록 제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록 제어부(155)는 개폐장치(151)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록 제어부(155)에서 확인하는 도어록 키의 정보는, 개인 단말기에서 전송된 도어록 키의 정보가 도어록(150)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전송된 도어록 키의 작동 기간이 설정된 기간 내의 것인지 확인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고객 단말기(1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서버(110)에서 전송된 도어록 키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도어록(150)으로 전송하는데, 이때, 도어록 키에 대한 정보와 도어록 키의 작동 기간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도어록(1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어록(150)은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153)가 고객 단말기(140)에서 전송된 암호화된 도어록 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암호화된 도어록 키에 대한 정보를 복호화하여, 수신된 도어록(150)의 정보가 자신의 도어록(150)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복호화된 정보에 포함된 기간이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렇게 두 개의 정보가 맞는 경우에만 도어록 제어부(155)는 도어록(150)의 개폐장치(151)를 작동시켜 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록 제어부(155)에는 시각(time)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어록 제어부(155)에 포함된 시각정보는 년, 월, 일, 시, 분 및 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153)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은 암호화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153)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고유 시리얼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고유 시리얼 번호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맥주소(mac adress)일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시리얼 번호는 각 객실에 설치된 도어록(150)마다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키 발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키 발급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관리자는 관리자 이동단말기(120)나 관리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도어록 키 발급을 관리하고 도어록 키를 발급하는 서버(110)에 특정 프로그램이나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리자 단말기(130)에서 서버(110)에 접속한 것에 대해 설명한다.
관리자 단말기(130)에서 서버(110)에 최초 접속을 하면, 회원 가입을 하고, 관리자가 관리하는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를 서버(110)에 업로드 한다(S101). 이때,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는 숙박 시설에서 관리되는 객실의 호수나 명칭, 각 객실의 도어록(150)에 대한 정보 및 객실에 대한 부가정보이다. 이때, 객실의 도어록(150)에 대한 정보는 객실별 도어록(150)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이거나 객실의 도어록(150)이 블루투스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블루투스 고유 번호 또는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또는 객실의 도어록(150)에 대한 정보는 도어록(150)이 NFC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도어록(150)의 RFID를 위한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서버(110)에서 관리하는 계좌로 적립금을 입금한다(S102). 이때, 서버(110)에서 관리하는 계좌로 입금하는 적립금은 하나의 객실에 대해 1회 도어록 키를 발급할 때를 기준 단위로 하여 적립금이 산정되어 입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적립금 입금 단계는, 관리자가 서버(110)에 접속한 상태에서, 카드 결제나 페이 등의 다양한 결제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렇게 적립금이 해당 계좌로 입금되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서버(110)에 접속하여 입금된 금액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숙박 시설에 대해 객실을 예약하면, 해당 객실에 대해 도어록 키를 발급하기 위해 관리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서버(110)에 접속한 다음, 해당 객실에 대한 도어록 키 발급을 요청한다(S103). 이때, 본 단계에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객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정보와 고객이 예약한(또는, 관리자가 지정한) 객실에 대한 정보를 서버(110)에 업로드 한다. 여기서, 고객의 정보는 고객이 휴대한 고객 단말기(140)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고객의 전화번호, 고객의 이메일 주소, 고객의 메신저 아이디 또는 고객의 SNS 아이디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객실에 대한 정보는 객실의 호수나 이름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객실에 대한 정보는, 숙박 시설에서 관리되는 객실의 호수나 명칭, 각 객실의 도어록(150)에 대한 정보 및 객실에 대한 부가정보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때, 객실의 도어록(150)에 대한 정보는 도어록(150)의 식별자이거나 객실의 도어록(150)이 블루투스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블루투스 고유 번호 또는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또는 객실의 도어록(150)에 대한 정보는 도어록(150)이 NFC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도어록(150)의 RFID을 위한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이처럼 객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본 단계에서 업로드 하는 것은, 관리자가 단계 S101에서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 하지 않은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단계 S101에서 객실에 대한 정보가 누락되거나 잘못된 정보를 수정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서버(110)에 도어록 키에 대한 발급 요청이 이루어지면, 서버(110)는 해당 관리자가 적립한 적립금에서 도어록 키 발급에 대한 적립금을 차감한다(S104). 이때, 차감되는 적립금은 적립된 금액 중 도어록 키 발급이 1회 이루어진 것에 대해 차감이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본 단계에서, 서버(110)는 관리자 단말기(130)로 적립금에 대해 추가로 입금을 요청할 수 있는데, 이는 적립된 금액이 1회 도어록 키 발급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130)에서 서버(110)로 다수의 도어록 키 발급을 일시에 요청한 경우, 이에 대한 적립금이 부족한 경우에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립금에 대한 차감이 완료되면, 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40)로, 도어락 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105). 이때, 고객 단말기(140)에 서버(110)에서 전송된 도어락 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앱(APP)이 설치된 경우에는, 고객 단말기(140)는 전송된 도어락 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어락 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예약한 객실의 도어락을 자유롭게 개폐 구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고객 단말기(140)에 서버(110)에서 전송된 도어락 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40)로 앱을 설치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를 발송한다. 이때, 고객 단말기(140)로 전송되는 인터넷 주소는, 고객 단말기(140)의 SMS, MMS, 이메일, 메신저 또는 S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고객은 고객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해당 인터넷 주소로 접속하여 해당 앱을 고객 단말기(14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기(140)에 해당 앱이 사전에 설치가 되어 있는 경우에도, 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40)의 SMS, MMS, 이메일, 메신저 또는 SNS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도어락 키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이렇게 고객은 고객 단말기(140)에 전송된 도어락 키에 대한 정보가 앱을 통해 전송된 것을 확인하면, 고객은 해당 앱을 실행시켜 도어락 키를 고객 단말기(140)에 저장한다(S106). 그리고 저장된 도어락 키를 이용하여 해당 객실의 도어락을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140)에 저장된 도어락 키는 일정 기간 동안만 이용할 수 있는 시한부이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해당 도어락 키는 사용 불능으로 설정될 수 있다(S107). 도어락 키의 사용 불능은, 도어락 키가 해당 앱에서 삭제되거나, 또는 삭제되지 않더라도 기간 만료에 의해 도어락 키를 구동시키더라도 연계된 도어락이 개폐되도록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객이 해당 객실에 대해 예약 취소하는 경우 해당 앱은 고객 단말기(140)로 기발행된 도어록 키를 삭제 제어하거나 디스에이블(disable) 식별자를 추가시킨다. 도어록 제어부는 디스에이블 식별자가 추가된 도어록 키가 수신되더라도 객실 도어록이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110: 서버
111: 숙박 시설 관리부
113: 적립금 관리부
115: 도어락 키 발급부
117: 통신부
120: 관리자 이동단말기
130: 관리자 단말기
140: 고객 단말기
150: 도어록
151: 개폐장치
153: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
155: 도어록 제어부

Claims (8)

  1. 도어락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접속되며, 상기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숙박 시설 관리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숙박 시설 관리부로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락 키에 대한 발급 요청이 있을 때, 상기 발급 요청된 도어락이 설치된 객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기로 해당 도어락에 대한 도어락 키를 발급하는 도어락 키 발급부; 및
    상기 숙박 시설 관리부 및 도어락 키 발급부가 각각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고객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 발급되는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하는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와 도어락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락 키에는 상기 도어락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고유 번호 또는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와 도어락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고,
    상기 도어락 키에는 상기 도어락의 RFID를 위한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가 상시 서버에 등록한 적립금을 관리하는 적립금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립금 관리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도어록 키 발급을 요청이 있을 때, 상기 등록된 적립금 중 적어도 일부가 차감되는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키는 사용 기간이 설정된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6. 도어락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숙박 시설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객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락 키에 대한 발급 요청이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발급 요청된 도어락이 설치된 객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기로 해당 도어락에 대한 도어락 키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 발급되는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폐하는 도어록 키 발급 방법.
  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와 도어락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락 키에는 상기 도어락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고유 번호 또는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도어록 키 발급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키는 상기 고객 단말기와 도어락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고,
    상기 도어락 키에는 상기 도어락의 RFID를 위한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도어록 키 발급 방법.
KR1020180110114A 2018-09-14 2018-09-14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 Ceased KR20200031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114A KR20200031284A (ko) 2018-09-14 2018-09-14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114A KR20200031284A (ko) 2018-09-14 2018-09-14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284A true KR20200031284A (ko) 2020-03-24

Family

ID=7000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114A Ceased KR20200031284A (ko) 2018-09-14 2018-09-14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2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824A (ko) * 2021-11-15 2023-05-2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큐알코드 기반 유니버셜 도어키 운용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082A (ko) 2016-07-15 2018-01-24 주식회사 유디아이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 시설의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082A (ko) 2016-07-15 2018-01-24 주식회사 유디아이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 시설의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824A (ko) * 2021-11-15 2023-05-2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큐알코드 기반 유니버셜 도어키 운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09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acquiring credentials from a portable user device in unlocking door lock systems
US11610447B2 (en) Encoder multiplexer for digital key integration
WO2017128922A1 (zh) 一种门锁的网络控制方法、装置、服务器及pms
US20150179012A1 (en) Room access control system
EP32703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key for door lock at lodging facilities using smart phone
KR101690010B1 (ko) 도어락을 개폐제어하는 임차인용 키관리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기,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JP2003515688A (ja) 電子キー・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電子キー情報を管理する方法
CN107038490B (zh) 基于第三方互联网平台的自助式订房系统及其工作方法
WO2016155127A1 (zh) 房间控制方法和装置
CN113808312B (zh) 一种无前台酒店管理方法及系统
JP2022532979A (ja) キーセーフおよびキーアクセスシステム
KR20210113849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무인 숙박 업체 체크인 관리 시스템
EP2889812A1 (en) Room access control system
JP2007034941A (ja) 携帯情報端末管理システム
KR20200031284A (ko) 도어록 키 발급 시스템 및 그 발급 방법
JP2025004144A (ja) 施設貸出システム及び施設貸出方法
KR20040082598A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건설 노무자 정보 관리시스템 및 그방법
KR20130082678A (ko) 회의실 예약 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200703497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315499B1 (ko) 도어락에 저장된 인증코드를 이용한 숙박시설의 객실관리시스템
KR20200071591A (ko) 원격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753746B1 (ko) 생체인식을 이용한 호텔 예약 및 결제 방법
KR20180085705A (ko) 관계형 금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2102349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0443916A (zh) 一种运用时空多维匹配技术的智能锁禁控制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