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30997A -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997A
KR20200030997A KR1020180115475A KR20180115475A KR20200030997A KR 20200030997 A KR20200030997 A KR 20200030997A KR 1020180115475 A KR1020180115475 A KR 1020180115475A KR 20180115475 A KR20180115475 A KR 20180115475A KR 20200030997 A KR20200030997 A KR 2020003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horizontal
horizontal boom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245B1 (ko
KR102194245B9 (ko
Inventor
류수경
Original Assignee
류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수경 filed Critical 류수경
Publication of KR2020003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45B1/ko
Publication of KR10219424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45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7/00Placing, renewing, working, cleaning, or taking-up the ballast,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Devices therefor; Packing sleepers
    • E01B27/06Renewing or cleaning the ballast in situ,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 E01B27/10Renewing or cleaning the ballast in situ,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without taking-up track
    • E01B27/105Renewing or cleaning the ballast in situ,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without taking-up track the track having been lif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0Track-lifting or-lining devices or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4Way of locomotion or support
    • E01B2203/141Way of locomotion or support on the track to be tr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상 교체 시에 차량이 노면에서 일정높이를 유지하면서 전진될 수 있도록 임시로 지지하기 위해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로서, 지지력이 상실된 레일에 진입하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의 하부에 결합되고, 차체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제1 가이드홈(110)이 형성되는 수평부재(100); 상기 수평부재(100)의 제1 가이드홈(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를 따라 제2 가이드홈(210)이 형성되며, 차체의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제1 수직부재(220)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수평붐대(200); 상기 제1 수평붐대(200)의 제2 가이드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체의 타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제2 수직부재(310)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2 수평붐대(300); 상기 제1 수직부재(220) 및 상기 제2 수직부재(310)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노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한 쌍의 무한궤도부(400); 및 상기 제1 수평붐대(200)와 상기 제2 수평붐대(300)를 서로 반대되게 밀고 당기는 한 쌍의 직선구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Vehicle lifting device provided on special train for replacing gravel ballast to concrete ballast}
본 발명은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상 교체 시에 차량이 노면에서 일정높이를 유지하면서 전진될 수 있도록 임시로 지지하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로의 레일에는 일반적으로 자갈이 깔려있다. 철도 분야에서 이것을 도상(道床, ballast)이라고 한다.
도상은 레일, 침목을 경유하여 전달된 하중을 넓게 분포시켜 노반에 전달하는 기능, 온도변화에 의한 레일 신축으로 나타날 수 있는 침목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 차량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 빗물 배수 기능, 잡초 방지 기능 등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부고속철 일부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철로 구간이 자갈도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갈도상은 저렴하고, 보수가 용이하며, 열차 운행시 레일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지반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 반면에, 자갈이 깨지고 마모되어 미립자화되는 경우 도상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이에 따른 열차운행의 안전성이 감소되며, 노후화된 자갈을 주기적으로 새로 보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자갈도상의 단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자갈도상을 반영구적인 콘크리트도상으로 교체시키는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18-0055185호(2018.02.12. 우선권 주장 출원)의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은 자갈도상을 콘크리트 도상으로 효율적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차체와 차체 리프팅부, 레일캐쳐부 및 호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 차체 리프팅부는 차체의 전반부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무한궤도부와 이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차체의 높이를 레일의 높이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차체 리프팅부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종래와 다른 새로운 구조의 차체 리프팅 장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5231호(2003.11.12.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자갈도상 궤도에서 콘크리트도상 궤도로의 교체 공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5141호(2017.02.10.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철도 선로 운행 중 도상 개량 공법)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지력이 상실된 레일에 진입하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의 하중을 좌우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고, 붐대가 받는 굽힘하중이 분산될 수 있으며, 차체와 철로 간의 각도 차이를 원할하게 수용할 수 있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는, 지지력이 상실된 레일에 진입하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의 하부에 결합되고, 차체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제1 가이드홈(110)이 형성되는 수평부재(100); 상기 수평부재(100)의 제1 가이드홈(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를 따라 제2 가이드홈(210)이 형성되며, 차체의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제1 수직부재(220)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수평붐대(200); 상기 제1 수평붐대(200)의 제2 가이드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체의 타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제2 수직부재(310)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2 수평붐대(300); 상기 제1 수직부재(220) 및 상기 제2 수직부재(310)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노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한 쌍의 무한궤도부(400); 및 상기 제1 수평붐대(200)와 상기 제2 수평붐대(300)를 서로 반대되게 밀고 당기는 한 쌍의 직선구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100), 상기 제1 수평붐대(200) 및 상기 제2 수평붐대(300)는, 서로 대등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차체의 타측과 인접한 제1 가이드홈(110)의 타단부에는, 제2 수평붐대(300)에 밀착되도록 지지리브(11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100)는, 회전판(600)을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에 따르면, 지지력을 상실한 레일 위를 진행하는 차체가 무한궤도부에 의해 임시 지지됨으로써, 차체가 전후좌우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체가 일정높이로 유지됨으로써, 도상 교체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평부재, 제1 수평붐대 및 제2 수평붐대가 상호 중첩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됨으로써, 차체의 하중을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부재, 제1 수평붐대 및 제2 수평붐대를 서로 대등한 길이로 구성하여 중첩된 구간의 길이가 최대가 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제1 가이드홈의 타단부에 돌출된 지지리브가 제2 수평붐대에 밀착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차체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부재가 회전판을 매개로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철로의 곡선구간 시 발생하는 차체와 철로 간의 각도 차이가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차체 리프팅 장치의 슬라이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차체 리프팅 장치에 포함된 한 쌍의 무한궤도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2의 차체 리프팅 장치의 동작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
도 7은 도 2의 차체 리프팅 장치의 설계적 의의를 대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차체 리프팅 장치의 슬라이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차체 리프팅 장치에 포함된 한 쌍의 무한궤도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차체 리프팅 장치(10)가 설치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은 자갈도상이 제거된 자리에 진입하여 새로운 콘크리트 골재(자갈)를 투입하는 특수 철도차량으로서, 차체(1), 레일캐쳐부(20), 컨베이어부(30)와 호퍼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캐쳐부(20)는 차체(1)의 중반부에 결합되어 레일(R)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레일(R)의 두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레일(R)의 두부 하측면과 구름접촉되는 한 쌍의 테이퍼롤러를 구비한다.
컨베이어부(30)는 차체(1)의 후반부 상측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골재를 공급받아 전방으로 이송하는 구성이다.
호퍼부(40)는 상하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컨베이어부(30)의 전방에서 콘크리트 골재를 전달받아 자갈도상이 제거된 노면의 공백영역(A)으로 배출하도록 차체(1)의 후반부에 결합된다. 호퍼부(40)의 하부에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여닫히는 별도의 게이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호퍼부(40)의 후방에는 배출되어 쌓여있는 콘크리트 골재를 평평하게 밀어주기 위해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는 스크레이퍼(51)와, 집게 동작에 의해 콘크리트 골재를 골라주고 다져주는 타이탬퍼(52)를 구비하는 골재 정리부(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구성들은 지지력이 상실된 레일(R)을 임시로 잡은 상태에서, 자갈도상이 제거된 노면의 공백영역(A)으로 콘크리트 골재를 연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서, 이때의 레일(R)은 침목에만 조립되어 허공에 떠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50톤 내외의 차체(1)가 그대로 레일(R)에 진입하게 되면, 지지력이 없는 레일(R)이 아래로 쳐질 수밖에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체(1)의 전반부를 지지하는 차체 리프팅부(10)가 설치된다. 즉, 차체 리프팅부(10)는 도상 교체를 위한 특수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을 작업 지반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유지하여 전진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차체 리프팅 장치(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체 리프팅 장치(10)는 수평부재(100), 제1 수평붐대(200), 제2 수평붐대(300), 한 쌍의 무한궤도부(400) 및 한 쌍의 직선구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부재(100)는 지지력이 상실된 레일에 진입하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의 하부에 결합되고, 차체(1)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제1 가이드홈(110, 도 4 참조)이 형성된다.
수평부재(100)의 길이는 차체(1)의 전체 구간 중, 내입된 구간의 폭(L)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수평부재(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무한궤도부(400)가 차체(1)에 밀착됐을 때, 차체(1)의 양측으로 나오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되는 무한궤도부(400)가 곡선을 이루는 철로구간을 진행할 시, 차체(1)와 철로 간의 각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차체(1)의 회전 조향에 의한 각도 변화가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회전판(600)을 매개로 하여 수평부재(100)가 차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판(600)은 상판(610)과 하판(620)으로 구성된다. 상판(610)은 차체(1)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판(620)은 수평부재(100)가 결합되며, 상판(610)과 하판(620)은 베어링(미도시)을 통해 노면에 수직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제1 수평붐대(200)는 수평부재(100)의 제1 가이드홈(110, 도 4 참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를 따라 제2 가이드홈(210)이 형성되며, 차체(1)의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제1 수직부재(220)가 수직으로 결합된다.
제2 수평붐대(300)는 제1 수평붐대(200)의 제2 가이드홈(210, 도 4 참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체(1)의 타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제2 수직부재(310)가 수직으로 결합된다.
제1 수직부재(220)와 제2 수직부재(310)는 내부가 빈 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후술되는 무한궤도부(400)의 수직방향 가이드 역할을 한다.
한 쌍의 무한궤도부(400)는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부재(220) 및 제2 수직부재(310)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노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구성이다.
한 쌍의 무한궤도부(400)는 상기 제1 수직부재(220) 및 제2 수직부재(310)의 내부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승강부재(410)와, 한 쌍의 승강부재(410)의 하단부에 구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캐터필러(420)와, 일단부는 상기 제1 수직부재(220) 및 제2 수직부재(31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승강부재(4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한 쌍의 승강구동부(43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승강구동부(430)에 두 쌍의 유압실린더를 각각 병렬로 설치하였고, 승강구동부(430)의 구동에 의해 하강된 한 쌍의 캐터필러(420)는 노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르면서 차체(1)의 높이가 레일(R)의 높이와 대등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 쌍의 직선구동부(5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붐대(200)와 제2 수평붐대(300)를 서로 반대되게 밀고 당기기 위한 유압실린더 구성으로서, 제1 직선구동부(510)와 제2 직선구동부(520)로 구분된다.
제1 직선구동부(510)는 일단부가 수평부재(100)의 하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 수직부재(220)에 결합되어 제1 수평붐대(200)를 차체(1)의 폭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구성이다.
제2 직선구동부(520)는 일단부가 수평부재(100)의 하면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수직부재(310)에 결합되어 제2 수평붐대(300)를 차체(1)의 폭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직선구동부(500)는 수평부재(100)의 하면에 결합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수평부재(100)의 다른 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랙-피니언, 볼스크류-LM가이드, 리니어모터 등 다양한 직선구동수단으로 얼마든지 대체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체 리프팅 장치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차체 리프팅 장치의 동작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이고, 도 7은 도 2의 차체 리프팅 장치의 설계적 의의를 대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이 공사구간 즉, 자갈도상이 제거된 레일(R)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자갈도상이 제거되지 않은 일반 레일을 반드시 거쳐와야 한다. 차체(1)가 자갈도상이 제거되지 않은 일반 레일을 주행할 때, 무한궤도부(400)와 레일이 서로 간섭될 여지가 없도록 하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비작업시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직선구동부(500)와 한 쌍의 승강구동부(430)가 모두 축소구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무한궤도부(400)는 노면 및 레일(R)에서 이격되어 고속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상 교체를 위한 작업 주행시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직선구동부(500)가 신장구동되면서 제1 수평붐대(200)와 제2 수평붐대(300)가 한 쌍의 무한궤도부(400)와 함께 차체(1)의 양측으로 전개된다.
한 쌍의 무한궤도부(400)가 레일(R)의 양 옆까지 전개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구동부(500)의 구동은 정지되고, 무한궤도부(400)의 승강구동부(430)가 신장구동되면서 한 쌍의 캐터필러(420)가 자갈도상이 제거된 노면 상에 놓여지게 된다.
이처럼, 무한궤도부(400)가 차체(1)의 전반부를 지지하면, 차체(1)가 일정높이를 유지하면서 차체(1)의 전후 수평이 맞춰지게 되고, 레일캐쳐부(20)가 레일(R)을 잡아 가고정시키면, 차체(1)가 서행하면서 콘크리트 골재를 투입할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 주행시, 한 쌍의 무한궤도부(400)가 레일(R)에 놓인 선두바퀴를 대신하여 차체(1)를 지지하는 보조바퀴 역할을 하며, 차체(1)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차체의 전후 수평을 유지하면서 허공에 떠있는 레일(R)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본 발명은 지지력을 상실한 레일(R) 위를 진행하는 차체(1)가 무한궤도부(400)에 의해 임시로 지지됨으로써, 차체(1)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상 교체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100), 제1 수평붐대(200) 및 제2 수평붐대(300)가 상호 중첩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됨으로써, 차체(1)의 하중을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양측에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독립적으로 무한궤도부(400')가 설치되면, 차체(1)를 지지하는 전후 및 좌우 균형이 맞지 않으면서 차체(1)가 불안정한 상태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각각의 수평부재(100')에 제1 수평붐대(200')와 제2 수평붐대(300')가 개별적으로 삽입된 상태로는 차체(1)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하중에 의해 굽힘력을 받는 각 수평붐대의 양단 두 지점만 수평부재(100')의 내부면에 각각 집중적으로 지지되면서 부재의 굽힘 변형량 및 변형각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과 같이 수평부재(100), 제1 수평붐대(200) 및 제2 수평붐대(300)를 상호 중첩되게 구성하면, 도 4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붐대가 신장됐을 때, 제1 수평붐대(200)의 일지점과 제2 수평붐대(300)의 일지점이 수평부재(100)의 내부면에 지지되는 상태가 되고, 서로 중첩된 구간(C)이 수평부재(100)에 분산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일지점이 아닌 일부구간이 부재의 굽힘 변형량 및 변형각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이때, 중첩된 일부구간의 길이가 길수록 굽힘 변형량 및 변형각은 작아지므로, 도 4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100), 제1 수평붐대(200) 및 제2 수평붐대(300)를 서로 대등한 길이로 구성하여 중첩된 구간(C)의 길이가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지지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수평붐대(200)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110)의 내부 폭이 제2 수평붐대(300)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210)의 내부 폭보다 넓기 때문에, 도 4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붐대가 확장됐을 때,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제2 수평붐대(300)와 수평부재(100) 사이에 간극(t)이 생기게 된다. 이 지점이 서로 밀착되지 않으면 부재의 굽힘 변형이 크게 발생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100)에서 차체(1)의 타측과 인접한 제1 가이드홈(110)의 타단부에는, 제2 수평붐대(300)에 밀착되도록 지지리브(111)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는, 지지력을 상실한 레일 위를 진행하는 차체가 무한궤도부에 의해 임시 지지됨으로써, 차체가 전후좌우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체가 일정높이로 유지됨으로써, 도상 교체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평부재, 제1 수평붐대 및 제2 수평붐대가 상호 중첩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됨으로써, 차체의 하중을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부재, 제1 수평붐대 및 제2 수평붐대를 서로 대등한 길이로 구성하여 중첩된 구간의 길이가 최대가 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제1 가이드홈의 타단부에 돌출된 지지리브가 제2 수평붐대에 밀착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차체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부재가 회전판을 매개로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철로의 곡선구간 시 발생하는 차체와 철로 간의 각도 차이가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수평부재
200 : 제1 수평붐대
300 : 제2 수평붐대
400 : 한 쌍의 무한궤도부
500 : 직선구동부

Claims (4)

  1. 지지력이 상실된 레일에 진입하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의 하부에 결합되고, 차체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제1 가이드홈(110)이 형성되는 수평부재(100);
    상기 수평부재(100)의 제1 가이드홈(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를 따라 제2 가이드홈(210)이 형성되며, 차체의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제1 수직부재(220)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수평붐대(200);
    상기 제1 수평붐대(200)의 제2 가이드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체의 타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제2 수직부재(310)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2 수평붐대(300);
    상기 제1 수직부재(220) 및 상기 제2 수직부재(310)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노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한 쌍의 무한궤도부(400); 및
    상기 제1 수평붐대(200)와 상기 제2 수평붐대(300)를 서로 반대되게 밀고 당기는 한 쌍의 직선구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100), 상기 제1 수평붐대(200) 및 상기 제2 수평붐대(300)는, 서로 대등한 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차체의 타측과 인접한 제1 가이드홈(110)의 타단부에는, 제2 수평붐대(300)에 밀착되도록 지지리브(11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100)는, 회전판(600)을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
KR1020180115475A 2018-09-13 2018-09-28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 Active KR102194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341 2018-09-13
KR20180109341 2018-09-13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97A true KR20200030997A (ko) 2020-03-23
KR102194245B1 KR102194245B1 (ko) 2020-12-23
KR102194245B9 KR102194245B9 (ko) 2022-05-23

Family

ID=69998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475A Active KR102194245B1 (ko) 2018-09-13 2018-09-28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2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393A (ko) 2021-07-21 2023-01-30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리프팅 지지부재
KR20240015970A (ko) 2022-07-28 2024-02-06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고정 잭 인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43070A (ko) 2023-09-21 2025-03-28 오토아이티(주) 철도 공사 차량의 운행 안전 보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231B1 (ko) 2001-02-15 2003-11-12 주식회사 태명실업 자갈도상 궤도에서 콘크리트도상 궤도로의 교체 공법
JP2007050859A (ja) * 2005-08-19 2007-03-01 Aichi Corp 軌陸作業車
KR200439827Y1 (ko) * 2007-01-09 2008-05-07 이순자 행거용 티형 접속구
KR101705141B1 (ko) 2015-06-29 2017-02-10 서울메트로 철도 선로 운행 중 도상 개량 공법
KR20180051952A (ko) * 2016-11-09 2018-05-17 한상천 철도 선로 자갈보수 차량 및 이를 이용한 자갈 궤도 유지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231B1 (ko) 2001-02-15 2003-11-12 주식회사 태명실업 자갈도상 궤도에서 콘크리트도상 궤도로의 교체 공법
JP2007050859A (ja) * 2005-08-19 2007-03-01 Aichi Corp 軌陸作業車
KR200439827Y1 (ko) * 2007-01-09 2008-05-07 이순자 행거용 티형 접속구
KR101705141B1 (ko) 2015-06-29 2017-02-10 서울메트로 철도 선로 운행 중 도상 개량 공법
KR20180051952A (ko) * 2016-11-09 2018-05-17 한상천 철도 선로 자갈보수 차량 및 이를 이용한 자갈 궤도 유지보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393A (ko) 2021-07-21 2023-01-30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리프팅 지지부재
KR20240015970A (ko) 2022-07-28 2024-02-06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고정 잭 인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245B1 (ko) 2020-12-23
KR102194245B9 (ko) 202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3238B2 (en) A tamping machine
US20070199472A1 (en) Gantry crane for transporting track panels
AU654383B2 (en) A method for renewing a track and a machine arrangement
CN102720101B (zh) 线路捣固稳定车及道岔稳定方法
AU690679B2 (en) Transport vehicle for track sections
CA1206809A (en) Track tamping, leveling and lining operating unit
CZ122993A3 (en) Track reconstruction of laying machine
KR20200030997A (ko)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
JP2002021006A (ja) 軌道更換装置
CA2090396A1 (en) Tamping machine with a two-sleeper tamping unit
CA1206808A (en) Train for laying a new railroad track
HU177489B (en) Moving apparatus for continuous changing respectively improving track consists of rails and sleepers
KR102197762B1 (ko)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
SK590288A3 (en) Continually traveling machine for building of track
CA2114398C (en) Machine arrangement for tamping a track
US5778794A (en) Machine for laying a railroad track having multiple-part carrier frame connected by a disengageable joint
RU2428337C2 (ru) Ремонтная подвижная единица
AU2004200309B2 (en) A machine for the treatment of a track
JPH1082005A (ja) 軌框の道床材料を掘り出すための軌道施工機械
JPH0649503U (ja) 連続的に移動可能な道床突き固め機械
CN109989304B (zh) 单轨内导向式道岔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KR101774510B1 (ko) 철도공사용 호이스트 연결장치
DE4142914A1 (de) Biegeweiche
CN101120140B (zh) 用于铁路轨道的u形跨件
CN213013713U (zh) 一种平移式道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2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2052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