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27405A -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405A
KR20200027405A KR1020190070966A KR20190070966A KR20200027405A KR 20200027405 A KR20200027405 A KR 20200027405A KR 1020190070966 A KR1020190070966 A KR 1020190070966A KR 20190070966 A KR20190070966 A KR 20190070966A KR 20200027405 A KR20200027405 A KR 2020002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body plate
grass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택
Original Assignee
김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택 filed Critical 김용택
Publication of KR2020002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40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취 작업 시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감겨있는 풀을 제거할 수 있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축(2)을 지지하는 홀더(1)와 상기 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동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예취날(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예취날의 상면과 45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칼날부(20); 및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축(2)을 지지하는 홀더(1)와 상기 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동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예취날(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예취날의 상면과 45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칼날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축(2)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풀이나 이물질이 예취기에 감김을 미리 방지함과 동시에 이미 감긴 풀이나 이물질을 절삭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grasses and other materials from winding around the grass eliminator}
본 발명은,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예취기로 풀을 벨 때 예취기 날과 동력지지파이프에 풀이나 나무 줄기, 넝쿨 혹은 비닐이나 노끈 등의 이물질 (이하, 통칭하여 '풀이나 이물질' 이라 함) 이 감기는 것을 미리 방지함과 동시에 감긴 풀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초기의 일반적 구성을 살펴보면, 길게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외축과 내축이 구비되고 내축의 다른쪽 단부에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된 회전칼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칼을 보호하는 커버가 모터박스에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외축의 다른쪽 단부에 손잡이 및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별도의 밧데리와 연결토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모터를 동작시키면 회전칼이 회전되면서 풀을 베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예초기에서는 풀을 벨 때, 베어진 풀이나 넝쿨, 또는 버려진 비닐이나 노끈 등의 '풀이나 이물질'이 회전칼의 내측에서 모터축에 감겨드는 현상이 발생하여, 회전칼의 회전에 방해를 주고 모터에 부하가 걸려서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1996-0015986호 (예초기의 풀감김 방지장치) 와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회전칼의 회전에 따라 풀을 벨 때 풀이 모터 회전축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예초기의 풀감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길게 형성된 축의 단부에 모터가 설치되고 이 모터의 모터축에 회전칼이 부착되어 상기 모터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칼이 회전되어 풀을 베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에 상기 회전칼의 안쪽으로 보조칼이 더 설치됨으로써 회전칼의 안쪽으로 풀이 말려드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인바, 회전칼의 회전시 회전칼의 안쪽에서 보조칼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감겨드는 풀을 다시 베어줌으로써 풀이 감겨들지 않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예초기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예초기의 요부분리 사시도이며, 도 1c는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예초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길게 축(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1)의 한쪽 끝부분에 손잡이(2)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쪽 끝에는 모터(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4)는 모터축(5)이 일단으로 인출되어 있으며, 이 모터축(5)에는 회전칼(6)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칼(6)은 모터(4)에 설치되는 커버(7)에 의해 윗쪽이 감싸진다.
상기 손잡이(2)에는 스위치(8)가 설치되어서 상기 모터(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2)에 별도의 밧데리(9)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칼(6)과 커버(7)의 사이에는 상기 모터축(5)에 보조칼(10)이 더 설치되어 있는데, 이 보조칼(10)은 양단이 절곡되어 있으며, 동일방향 또는 대칭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예초기의 사용시에는 별도의 밧데리(9)를 상기 손잡이(2)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이 상태에서 스위치(8)를 누르면 모터(4)가 동작되면서 회전칼(6) 및 보조칼(10)이 동시에 회전하고, 이 상태에서 풀을 베면 회전칼(6)에 의해 풀이 베어지고 베어진 풀이 회전칼의 안쪽으로 감겨들거나 접근하는 것은 보조칼(10)에 의해 짧게 절단처리되어 모터축에 풀이 감겨들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종래기술은 풀을 벨 때 풀이 모터축에 감겨드는 것을 방지하여 예초기의 원활한 동작을 유도하고 예초기의 고장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예초기를 사용하여 풀을 베게 되면, 베어진 풀이나 넝쿨이 사방으로 흩날리게 되고, 또한 주위에 버려진 폐비닐이나 단단한 플라스틱 노끈과 같은 여러가지 이물질들이 상기 회전칼이나 보조칼을 통과하지 않고 바로 예초기의 모터축(5)과 보조칼날(10) 사이에 순간적으로 몰리면서 순식간에 이물질이 감기게 되면 상기 종래기술의 보조칼날(10)도 별수없게 된다.
즉, 기존의 예취기의 감김방지구는, 예취기파이프와 예취기의 날 사이의 감김방지용 날의 안쪽은 그대로 풀이나 이물질이 감겨지게 되어 있어, 예취 시 예취기의 날 회전을 바로 바로 멈추게 한다.
이런 현상은 일반적으로 풀이 우거지고 넝쿨이 있는 보통의 대부분의 환경에서 매우 자주 있어, 작업 시 몇 걸음 지나지 않아 예취기의 날이 멈추곤 하여 작업을 어렵게 하거나 거의 불가능케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1996-0015986호 (예초기의 풀감김 방지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예취 작업 시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감겨있는 풀을 제거할 수 있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예취기 날의 풀 감김 방지와 감김과 감긴 풀의 제거를 위해 예초기 날이 회전하면, 본 발명의 예취기용 감김방지 및 제거날의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날은 파이프와 예취기의 날 사이의 바깥의 풀의 감김을 방지하고,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날의 안쪽으로는, 감겨진 풀을 낮게 부착된 경사진 날이 감긴 풀을 절삭하여 바깥으로 경사지게 각도를 둔 날로 윗부분에 감긴 풀 등을 비스듬히 베어 배출함으로써,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같이 감긴 풀을 날카로운 날들이 베어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는, 예취기의 회전하는 예취기 동력용 파이프 축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예취기 날이 있고, 그 예취기 날과 홀더 사이에 예취기용 감김방지 및 제거날이 고정 결합되고, 예취기 작동 시 예취기용 감김방지 및 제거날은 예취기 날과 같이 회전하며 예취기용 감김방지 및 제거날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날은 예취기 동력용 파이프와 예취기의 날 사이의 바깥의 풀의 감김을 방지하고, 회전으로 안쪽으로는 강화 고정판에 결합 된 감김 제거날이 감겨지는 풀을 낮게 부착된 경사진 날로 감긴 풀을 절삭하여 바깥으로 경사지게 각도를 둔 날로 날의 윗부분에 감긴 풀 등을 비스듬히 베어 배출하여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같이 감긴 풀을 날카로운 날들이 베어 제거하여 항상 원활히 예취기 날이 회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는,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축(2)을 지지하는 홀더(1)와 상기 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동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예취날(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예취날의 상면과 45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칼날부(20); 및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축(2)을 지지하는 홀더(1)와 상기 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동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예취날(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예취날의 상면과 45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칼날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축(2)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풀이나 이물질이 예취기에 감김을 미리 방지함과 동시에 이미 감긴 풀이나 이물질을 절삭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에서 상기 동력축에 삽입되는 체결홀을 구비하는 몸체판(1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칼날부와 상기 제2 칼날부는 상기 몸체판(10)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판(10)은, 상기 예취날과 마주하며 상기 체결홀이 관통형성된 제1 몸체판(11) 및 상기 홀더와 마주하며 상기 체결홀보다 큰 지름을 갖는 수용홀이 관통형성된 제2 몸체판(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판이 상기 제1 몸체판과 접합되어 상기 수용홀(14)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홈(15)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홀더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칼날부(20)는 상호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칼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칼날부(30)는 상호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칼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칼날부와 상기 제2 칼날부는 상호 교대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칼날부(20)는 상기 몸체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몸체판의 표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홀더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절삭면(21)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칼날부(30)는 상기 몸체판의 표면에 뉘어져 상기 표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2 절삭면(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절삭면과 상기 제2 절삭면은 상기 몸체판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제1 칼날부의 전방 측변과 상기 제2 칼날부의 전방 측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삭면(21)은 상기 체결홀의 중심축에 대해 제1 각도(θ1)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고, 상기 제2 절삭면(31)은 상기 체결홀의 중심축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직선에 대해 제2 각도(θ2)로 제2 몸체판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취 작업 시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감겨있는 풀을 제거할 수 있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예초기의 전체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예초기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예초기의 요부 단면도.
도 2a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가 장착된 예취기의 개략도.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가 장착된 예취기의 개략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4)는 예취기의 홀더(1)와 예취날(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는 동력축(2)을 지지하며, 예취날(3)은 홀더(1)의 하부에서 동력축(2)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풀감김 방지장치(4)와 예취날(3)은 동력축(2)에 나사(6)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취날(3)과 나사(6) 사이에는 와셔(5)가 개재될 수 있다.
예취기는 모터에서 얻는 동력으로 동력축(2)을 회전시키며, 동력축(2)에 결합된 예취날(3)은 회전하며 풀과 잡목 등을 베어서 제거할 수 있다. 풀감김 방지장치(4)는 홀더(1)와 예취날(3) 사이에서 동력축(2)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예취날(3)과 홀더(1) 사이에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감겨진 풀을 베어서 제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풀감김 방지장치(4)는 중앙에 동력축(2)에 삽입되는 체결홀(13)을 구비하는 몸체판(10) 및 몸체판(10)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예취날(3)의 상면과 각각 상이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제1 칼날부(20)와 제2 칼날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판(10)은 각각 링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제1 몸체판(11)과 제2 몸체판(12)을 포함하며, 제1 몸체판(11)과 제2 몸체판(12)이 상호 접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몸체판(11)과 제2 몸체판(12)은 비교적 얇은 강철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폿 용접과 같은 방법을 통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제1 몸체판(11)은 예취날(3)과 마주하며 중앙에 체결홀(13)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판(12)은 홀더(1)와 마주하며 체결홀(13)보다 큰 지름을 갖는 수용홀(14)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판(10)은 제2 몸체판(12)이 제1 몸체판(11)과 접합됨으로써 수용홀(14)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홈(15)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몸체판(11) 중 제2 몸체판(12)과 중첩되지 않는 체결홀(13) 주변의 일부분이 수용홀(14)의 일측을 막아서 수용홀(14)의 타측으로 노출되며, 이렇게 노출되는 부분은 수용홈(15)의 바닥면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판(10)은 홀더(1)와 마주하는 일면에 체결홀(13)의 둘레를 따라서 소정 깊이로 함몰된 구조를 갖는 수용홈(1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홈(15)의 깊이는 제2 몸체판(12)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수용홈(15)에는 홀더(1)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수용홈(15)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수용홈(15)과 홀더(1) 사이에는 틈을 두어 회전 시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예취기 파이프(7)와 연결되어 하나로 되어 있는 홀더(1)는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된 고정턱(8)으로 인해 풀감김 방지장치(4)의 제1 몸체판(11) 상면과 일정 간격 틈으로 이격해 있어, 같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예취날(3) 및 풀감김 방지장치(4)와의 사이로 마찰이 일어나지 않는다.
제1 칼날부(20)는 적어도 한 쌍이 제2 몸체판(12)의 가장자리에서 제2 몸체판(12)의 표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되며, 홀더(1)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절삭면(2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절삭면(21)은 몸체판(1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1 칼날부(20)의 전방 측변에 형성되며, 측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체결홀(13)의 중심축(X)에 대해 제1 각도(θ1)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칼날부(30)는 적어도 한 쌍이 제2 몸체판(12)의 표면에 뉘어져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되며, 제2 몸체판(12)의 표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2 절삭면(3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절삭면(31)은 몸체판(1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2 칼날부(30)의 전방 측변에 형성되며,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체결홀(13)의 중심축(X)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직선(Y)에 대해 제2 각도(θ2)로 제2 몸체판(12)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칼날부(20)는 회전하면서 예취날(3)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들어오는 풀 및 끈, 비닐 등을 베어서 제거함으로써 풀, 끈, 비닐 등과 같은 풀이나 이물질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풀과 넝쿨 등이 다양한 방향으로 우거진 환경에서는 제1 칼날부(20)에 의해 베어지지 못하고 말려들어오는 풀 등으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는 풀 등이 감기는 경우가 매우 빈번히 발생한다. 제2 칼날부(30)는 동력축(2)에 풀이 감겨서 끼더라도 정지해 있는 동력축(2) 가까이서 동력축 둘레를 따라서 낮게 배치된 경사진 제2 절삭면(31)을 통해 이를 절삭하여 경사진 방향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날(3)이 회전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력축(2)을 지지하는 홀더(1)의 하부가 몸체판(10)의 수용홈(15) 내에 배치됨으로써 동력축(2)이 노출되지 않아 풀이 감기는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칼날부(20)와 제2 칼날부(30)의 절삭을 통해서 풀이나 넝쿨 등의 감김을 예방하고, 경우에 따라서 감기는 풀 등을 즉각적으로 절삭하여 배출함으로써 어떤 환경에서도 풀이나 넝쿨이 끼여서 예취날(3)이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중 풀의 감김과 끼임으로 인해 중단 및 제거 등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계속적인 예취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예취 작업을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지속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제1 칼날부(20)의 높이가 기울어져 있는 예취기 파이프(7)와의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이 커 일반 다른 시중의 예취기날 풀감김 방지구와 마찬가지로 이 넓은 빈 공간 사이로 근처에 다가오는 이물질이나 끈, 풀, 비닐 등이 즉시 두껍게 감겨 풀감김 방지장치(4)와 예취날(3)을 압박해 예취날(3)의 회전을 멈출 수 있는데, 이 공간으로 다가와 동력축(2)에 즉시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어려우나, 본 발명은 이물질이나 끈, 풀 등이 감기는 즉시 예취날(3)과 고정결합되어 회전하는 풀감김 방지장치(4)의 제2 칼날부(30)의 제2 절삭면(31)으로 날을 누르며 감기는 예취기 파이프(7)와의 사이의 이물질들을 제2 절삭면(31)이 날의 상방향으로 깎아 절삭해내는 역할을 하여 이미 감겨있거나 감기는 순간과 동시에 절삭 제거하는 효과로 이물질이나 끈, 풀, 비닐 등이 감겨서 끼일 수 없고, 이물질이나 끈, 풀, 비닐 등이 두껍게 감겨 풀감김 방지장치(4)와 예취날(3)을 압박할 수 없으므로 계속적인 원활한 작업을 끊김 없이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무리하지 않고 저속 회전의 예취 작업이 가능해, 친환경 충전예취기 등으로의 작업도 수월해 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에서의, 직각으로 세워진 날은 예취기 동력용 파이프와 예취기의 날 사이의 풀의 직각으로 세워진 날 바깥으로 감김을 방지하고, 또한 바깥으로 각도를 두며 낮게 부착된 경사진 날은 안으로 예취기 동력용 파이프와 예취기의 날 사이의 감긴 풀 등을 절삭하여 비스듬히 베어 배출하여,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자주 감기는 풀이 감기는 순간 즉시 순간적으로 날카로운 날들이 베어 배출하게 작동하여, 회전하는 예취용 날이 끼이지 않게 방지하며, 풀이 우거지고 넝쿨이 있는 일반적인 대부분의 작업 시 풀이나 넝쿨의 감김을 예방하고, 감기는 동시에 회전하는 날들이 즉시 감긴 부분을 절삭 배출하여, 어떤 환경에서도 풀이나 넝쿨로 끼어서 예취기 날이 멈추는 것을 방지하며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예취기의 날이 항상 순조롭게 회전하게 하여 제 속도를 유지하게 하며 작업을 계속하게 할 수 있어, 작업 중 풀의 감김과 끼임으로 인한 멈추는 등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계속적인 예취작업을 능률적으로 지속할 수 있게 하여, 친환경 예취작업 충전예초기 등의 예취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더불어 이로 인한 작업능률에 따른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종래기술)
1 : 축 2 : 손잡이
4 : 모터 6 : 회전칼
7 : 커버 8 : 스위치
10 : 보조칼
(본 발명)
1... 홀더 2... 동력축
3... 예취날 4... 풀감김 방지장치
5... 와셔 6... 나사
7... 예취기 파이프 8... 고정턱
10... 몸체판 11... 제1 몸체판
12... 제2 몸체판 13... 체결홀
14... 수용홀 15... 수용홈
20... 제1 칼날부 21... 제1 절삭면
30... 제2 칼날부 31... 제2 절삭면

Claims (6)

  1.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축(2)을 지지하는 홀더(1)와 상기 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동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예취날(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예취날의 상면과 45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칼날부(20); 및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축(2)을 지지하는 홀더(1)와 상기 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동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예취날(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예취날의 상면과 45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칼날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축(2)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풀이나 이물질이 예취기에 감김을 미리 방지함과 동시에 이미 감긴 풀이나 이물질을 절삭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에서 상기 동력축에 삽입되는 체결홀을 구비하는 몸체판(1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칼날부와 상기 제2 칼날부는 상기 몸체판(10)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10)은, 상기 예취날과 마주하며 상기 체결홀이 관통형성된 제1 몸체판(11) 및 상기 홀더와 마주하며 상기 체결홀보다 큰 지름을 갖는 수용홀이 관통형성된 제2 몸체판(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판이 상기 제1 몸체판과 접합되어 상기 수용홀(14)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홈(15)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홀더의 하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칼날부(20)는 상호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칼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칼날부(30)는 상호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칼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칼날부와 상기 제2 칼날부는 상호 교대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칼날부(20)는 상기 몸체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몸체판의 표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홀더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절삭면(21)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칼날부(30)는 상기 몸체판의 표면에 뉘어져 상기 표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2 절삭면(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면과 상기 제2 절삭면은 상기 몸체판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상기 제1 칼날부의 전방 측변과 상기 제2 칼날부의 전방 측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삭면(21)은 상기 체결홀의 중심축에 대해 제1 각도(θ1)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고,
    상기 제2 절삭면(31)은 상기 체결홀의 중심축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직선에 대해 제2 각도(θ2)로 제2 몸체판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KR1020190070966A 2018-09-01 2019-06-14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Ceased KR20200027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04154 2018-09-01
KR1020180104154 2018-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405A true KR20200027405A (ko) 2020-03-12

Family

ID=6980297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966A Ceased KR20200027405A (ko) 2018-09-01 2019-06-14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KR1020190082912A Withdrawn KR20200027412A (ko) 2018-09-01 2019-07-09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KR1020190082909A Withdrawn KR20200027411A (ko) 2018-09-01 2019-07-09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912A Withdrawn KR20200027412A (ko) 2018-09-01 2019-07-09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KR1020190082909A Withdrawn KR20200027411A (ko) 2018-09-01 2019-07-09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000274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5374B1 (ko) * 2024-08-27 2025-04-16 박석민 하이브리드 모우어컨디셔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3793B (zh) * 2020-12-17 2022-06-24 深圳拓邦股份有限公司 一种割草机深草环境自适应方法及割草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986A (ko) 1994-10-31 1996-05-22 김광호 개방형 알카리 아연 2차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986A (ko) 1994-10-31 1996-05-22 김광호 개방형 알카리 아연 2차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5374B1 (ko) * 2024-08-27 2025-04-16 박석민 하이브리드 모우어컨디셔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411A (ko) 2020-03-12
KR20200027412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82030B2 (en) High-efficiency cutting system
US5313770A (en) Jam-proof rotary weed cutter
US4177561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4172322A (en) Rotary cutting assembly
CN201612030U (zh) 保护型割草机
US20160150725A1 (en) Anti-wind/anti-wrapping assembly for trimmers
KR20200027405A (ko)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US10470367B2 (en) Cutting web
JP5964471B1 (ja) ガイド機構、刈り機構、自律走行車及び自律走行車システム
US5239811A (en) Anti-wrap blades for line trimmer
KR20120094617A (ko) 베어진 풀을 쳐낼 수 있으면서 여러 가지 커터를 교체할 수 있는 예초기용 절단유닛
KR102134005B1 (ko)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US2708820A (en) Anti-tangle cutter for grass trimmers
KR20150105093A (ko) 예초기용 절단날 및 절단장치
GB1583521A (en) Rotary cutting assembly
JP2014147362A (ja) 草刈機及び草刈機用絡み防止具
KR101100239B1 (ko) 예초정리용 상부커버
CN206629455U (zh) 一种轻便式园林割草机
JPH0191709A (ja) コード式刈取装置のコード自動繰出し構造
KR20100011166A (ko) 예초기용 2중 칼날
KR200478522Y1 (ko) 수초 제거기
KR200186306Y1 (ko) 예취기
JP5830067B2 (ja) 携帯草刈機の刈刃用保護部材
JP3941952B2 (ja) 刈払機の切断物飛散防止構造
KR101518024B1 (ko) 예초기용 안전커버 및 이를 갖는 예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