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040A - 익스텐션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익스텐션 틸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1040A KR20200021040A KR1020180103856A KR20180103856A KR20200021040A KR 20200021040 A KR20200021040 A KR 20200021040A KR 1020180103856 A KR1020180103856 A KR 1020180103856A KR 20180103856 A KR20180103856 A KR 20180103856A KR 20200021040 A KR20200021040 A KR 202000210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pper
- ratchet
- moving object
- hinge pin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transvers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따라서, 이동물은 인출 시 단계적으로 인출되므로 시트쿠션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여러 사람에게 시트쿠션의 길이를 맞출 수 있다. 그리고 고정물로 복귀 시 복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익스텐션 틸팅 장치가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프레임에 배치되어 익스텐션부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익스텐션부가 익스텐션 틸팅 장치에 의해 시트 프레임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2의 시트 프레임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익스텐션 틸팅 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의 분해도.
도 7은 도 6의 래칫 구동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
도 9는 도 5를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익스텐션 틸팅 장치 작동 상태도.
11: 고정물 40: 익스텐션 틸팅 장치
51: 이동물 60: 틸팅모듈
61: 연결링크 611: 유격 브라켓
611a: 유격홀 612: 결합블록
613: 연결바 62: 틸팅 하우징
62a: 배치공간 621: 베이스 링크
622: 커넥터 링크 623: 제1 지지대
624: 제2 지지대 623a, 624a: 지지몸체
623b, 624b: 날개편 625a: 제1 하단 힌지핀
625b: 제1 상단 힌지핀 626a: 제2 하단 힌지핀
626b: 제2 상단 힌지핀
7: 래칫 구동부 71: 구동 하우징
711: 하우징 몸체 711a: 슬라이드 공간
711b: 스토퍼 공간 711c: 몸체 접속홀
711d: 접촉부 712: 하우징 힌지
713: 접촉돌기 72: 래칫몸체
721: 래칫바 722a: 제1 스토퍼 걸림턱
722b: 제2 스토퍼 걸림턱 723: 래칫
73: 스토퍼 731: 스토퍼 몸체
731a: 스토퍼 접속홀 732: 걸림이
733: 걸림턱 73a: 스토퍼 힌지핀
74: 복귀 탄성부재 741: 일단
742: 타단 75: 스토퍼 탄성부재
751: 탄성링 752: 몸체 접속부
753: 스토퍼 접속부 8: 베이스 브라켓
8a: 설치공간 81: 결합부
82: 받침부 83: 브라켓 몸체
Claims (9)
- 고정물에 배치된 이동물을 단계적으로 인출시키고 인출된 이동물을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물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물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물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틸팅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이동물 인출 시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물이 상기 고정물에서 단계적으로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상기 이동물이 인출 최종 단계에 도달하면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이동물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배치공간을 갖는 틸팅 하우징 및
상기 배치공간에 위치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연결되어 있고 상단이 상기 연결링크와 연결된 래칫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래칫 구동부는 상기 이동물 인출 시 그 길이가 단계적으로 길어지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이동물과 상기 틸팅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물과 상기 틸팅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틸팅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고 유격홀을 가지는 유격 브라켓,
상기 고정물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물과 연결된 결합블록 및
상기 결합블록과 상기 유격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바
를 포함하며,
상기 유격홀은 상기 유격 브라켓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익스텐션 틸팅 장치. - 제4항에서,
상기 틸팅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배치된 베이스 링크,
제1 하단 힌지핀으로 상기 베이스 링크 일측에 연결된 제1 지지대,
제2 하단 힌지핀으로 상기 베이스 링크 타측에 연결된 제2 지지대 및
제1 상단 힌지핀으로 상기 제1 지지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격홀을 관통하는 제2 상단 힌지핀으로 상기 제2 지지대와 연결된 커넥터 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래칫 구동부의 하단은 상기 제2 하단 힌지핀과 연결되어 있고 상단은 상기 제1 상단 힌지핀과 연결되어 있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래칫 구동부는,
슬라이드 공간과 스토퍼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단 힌지핀과 연결된 구동 하우징,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상단 힌지핀과 연결된 래칫몸체,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래칫몸체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구동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대에 탄성력을 가하는 복귀 탄성부재 및
상기 래칫몸체의 래칫에 상기 스토퍼가 접하도록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토퍼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 제6항에서,
상기 구동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 공간과 상기 스토퍼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단 힌지핀이 관통하는 하우징 힌지
를 포함하며,
상기 복귀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하단 힌지핀에 결합되어 일단은 상기 베이스 링크에 걸려 있으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 제7항에서,
상기 래칫몸체는,
상단이 상기 제1 상단 힌지핀과 연결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위치하여 일면이 상기 스토퍼와 접하는 래칫바,
상기 래칫바 일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제1 스토퍼 걸림턱, 제2 스토퍼 걸림턱 및
상기 제1 스토퍼 걸림턱과 상기 제2 스토퍼 걸림턱 사이에 복수 형성된 래칫
를 포함하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 제8항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구동 하우징에 스토퍼 힌지핀으로 연결된 스토퍼 몸체,
상기 스토퍼 몸체 상단에서 상기 래칫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래칫에 걸릴 수 있는 걸림이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단에서 상기 래칫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스토퍼 걸림턱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
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 몸체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걸림이는 상기 래칫몸체 직선이동으로 상기 복수의 래칫에 단계적으로 걸리는
익스텐션 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5225 | 2018-08-16 | ||
KR20180095225 | 2018-08-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1040A true KR20200021040A (ko) | 2020-02-27 |
KR102125981B1 KR102125981B1 (ko) | 2020-06-25 |
Family
ID=6964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3856A Active KR102125981B1 (ko) | 2018-08-16 | 2018-08-31 | 익스텐션 틸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59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9028A (ko) | 2020-12-04 | 2022-06-13 | 하승훈 | 비말차단에 유용한 마스크 밀착 실리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7273U (ko) | 1996-12-28 | 1998-09-25 | 양재신 | 전방 길이가 조절되는 자동차의 시트 쿠션 |
KR101298550B1 (ko) * | 2012-10-24 | 2013-08-22 | 우성테크(주) |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
KR101686751B1 (ko) * | 2015-09-25 | 2016-12-14 | 주식회사다스 | 시트 쿠션의 파워 익스텐션 장치 |
KR20180060402A (ko) | 2016-11-29 | 2018-06-07 | 주식회사다스 | 시트의 쿠션부 틸트 익스텐션 장치 |
-
2018
- 2018-08-31 KR KR1020180103856A patent/KR10212598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7273U (ko) | 1996-12-28 | 1998-09-25 | 양재신 | 전방 길이가 조절되는 자동차의 시트 쿠션 |
KR101298550B1 (ko) * | 2012-10-24 | 2013-08-22 | 우성테크(주) |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
KR101686751B1 (ko) * | 2015-09-25 | 2016-12-14 | 주식회사다스 | 시트 쿠션의 파워 익스텐션 장치 |
KR20180060402A (ko) | 2016-11-29 | 2018-06-07 | 주식회사다스 | 시트의 쿠션부 틸트 익스텐션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9028A (ko) | 2020-12-04 | 2022-06-13 | 하승훈 | 비말차단에 유용한 마스크 밀착 실리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5981B1 (ko) | 2020-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90012B2 (en) | Foldable cover supported on a bearing | |
US7229118B2 (en) | Slouch rear seat system | |
KR101439187B1 (ko) | 차량좌석용 헤드 레스트 | |
JP2000139602A (ja) | ロッキング装置のロック機構 | |
KR102125978B1 (ko) |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 |
KR20200021040A (ko) | 익스텐션 틸팅 장치 | |
JP5512985B2 (ja) | 椅子 | |
JP3359862B2 (ja) | ロッキング装置 | |
US7600879B1 (en) | Motor vehicle with a rear seat viewing system | |
JP2003079481A (ja) | 椅 子 | |
JP3354780B2 (ja) | リヤ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構造 | |
KR20090099185A (ko) | 자동차 시트 허리지지대 | |
JP3406130B2 (ja) | 自動車のリア・シートに使用されるシート・バック | |
US11752905B2 (en) | Device for providing fatigue-reducing position of vehicle seat | |
KR102522891B1 (ko) | 시트용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 |
KR20200011158A (ko) |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 |
JP3103767B2 (ja) | 椅子の肘掛け構造 | |
US11986101B2 (en) | Lumbar support device for an item of seating furniture and seating furniture with a lumbar support device | |
JP3427880B2 (ja) | 車両用シート装置 | |
JP5429795B2 (ja) |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JP2001197958A (ja) | アームレスト付き車両用シート | |
US12030408B2 (en) | Device for unlocking seat of vehicle | |
JP4474598B2 (ja) | 定点復帰メモリー機構付き自動車用スライドシート | |
JP2025006870A (ja) | シートロック構造及びシートロック構造を備えた作業機 | |
JPH0221303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07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