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412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9412A KR20200019412A KR1020180094908A KR20180094908A KR20200019412A KR 20200019412 A KR20200019412 A KR 20200019412A KR 1020180094908 A KR1020180094908 A KR 1020180094908A KR 20180094908 A KR20180094908 A KR 20180094908A KR 20200019412 A KR20200019412 A KR 202000194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case
- mobile terminal
- unit
- pres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후 결합 방식의 물리 버튼을 갖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 버튼의 변형 또는 파손을 최소화 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관을 형성하고 개구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는 버튼,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거동에 의해 가압되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키 및 상기 버튼과 돔 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돔 키를 가압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가압면이 노출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면의 이면 외곽에 돌출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걸리는 제1 후크를 형성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physical button of the post-bonding method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physical button that can occur during the coupling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to improve the user's click feeling,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nd openings, A button coupled to the case through an opening, a dome key provided in the case to be 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button to generate an input signal, and provid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dome key to be moved by pressing the button so that the dome And a transmission member for urging a key, wherein the button is provided with a pressuriza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pressing surface is exposed, an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rear surface of the pressing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resilient portion forming a first hook to be caught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입력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button that is input by being physically pressed.
이동 단말기에는 가압됨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물리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물리 버튼은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 입력이 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클릭감을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터치 버튼 등과 다른 효과를 갖는다.The mobile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physical button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s it is pressed. The physical button has an effect different from that of the touch button in that the user generates a click feeling that the user presses the button to determine whether an input has been made.
따라서 물리 버튼에 있어서 클릭감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Therefore, click feeling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physical buttons.
또한 최근 이동 단말기는 방수 기능을 갖도록 구현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술한 물리 버튼은 태생적으로 방수에 취약한 구조를 가진다.In recent years, the mobile terminal is often implemented to have a waterproof function. The above-described physical button has a structure that is inherently vulnerable to waterproofing.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방수 영역의 외측에 물리 버튼을 후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recently, there has been a case of adopting a method of post-coupling a physical button on the outside of the waterproof area.
이러한 후 결합 방식은 방수 구조에 있어서는 유리할 수도 있으나 결합 과정에서 물리 버튼의 변형 또는 파손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This post coupling method may be advantageous in a waterproof structure, but may cause deformation or breakage of a physical button during the coupling process.
또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물리 버튼 구조를 갖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경험하는 클릭감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click feeling may be degraded in the process of having a physical button structure for satisfying such a condi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후 결합 방식의 물리 버튼을 갖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 버튼의 변형 또는 파손을 최소화 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a physical button that may occur during the coupling process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physical button of the coupling method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user's click feeling.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고 개구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는 버튼,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거동에 의해 가압되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키 및 상기 버튼과 돔 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돔 키를 가압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가압면이 노출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면의 이면 외곽에 돌출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걸리는 제1 후크를 형성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another object, a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d forming an opening, a button coupled to the case through the opening, is provided in the case is pressed by the behavior of the button A dome key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nd a transmission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dome key to move by pressing the button to press the dome key, wherein the button has a pressing surfac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Pressing, And an elastic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surface of the pressing surface and an elastic portion provi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forming a first hook that is caught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 후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or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econd hook protru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언더컷 영역은 0.1mm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케이스 내측면과 0.18mm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cut area protrudes 0.1mm, the elastic por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verlapp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0.18m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는 외측 및 내측 방향 모퉁이에 챔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art provide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chamfer in the outer and inner corner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전달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마련하는 삽입면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삽입면과 상기 버튼의 이면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rame is provided inside the case further includes a frame including an insertion surface for provid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transmission member of the button is inserted, the insertion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butt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spaced space facing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의 이면은, 상기 전달부재로부터 제1 거리 내에 있는 내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외측 영역보다 상기 전달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제2 거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includes an inner region within a first distance from the transfer member and an outer region provided outside the inner region, wherein the inner region is larger than the outer region. It provide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a second distanc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ransfer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거리는 2mm이고, 상기 제2 거리는 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tance is 2mm, the second distance provide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0.2m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의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은 경사면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of the pressing unit is provided with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clined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는 바(bar)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unit provide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 (bar) sha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는 강성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연성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장부에 이중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art includes a rigid material, the elastic part includes a soft material, and the elastic part provide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ble injection molded in the extension. .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물리 버튼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physical butt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물리 버튼의 이중 사출되는 특정 부재의 박리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eeling of the specific member that is double-injected of the physical butt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물리 버튼의 구비에도 불구하고 방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implemented despite the physical button.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Should be.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C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M1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M2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B and 1C are conceptual views of one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AA ′ direction of FIG. 1C.
4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M1 of FIG. 3.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gion M2 of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limited,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and substitute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a slate PC ,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watches, glass glasses, head mounted displays, and the like.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digital signages, and the like,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It's easy for a technician to know.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1A to 1C, FIG.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B and 1C are conceptual views of one exampl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1B and 1C, the disclosed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body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referring to the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In some cases, an electronic component may be mounted o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when the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s illustrated in FIGS. 1B and 1C, the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se configurat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These configurations may be excluded or replaced as needed or disposed on other sides. For example,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wo or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ouch sensor is formed of a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disposed between the window 151A and the display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or directly patter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dow 151A. May be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or provided inside the display.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As such, the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A sound hole for emitting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The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of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shooting mode or a video call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Content input by the first and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of the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rear input unit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rear input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a new type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when the touch screen or the rear input unit described above replaces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The second camera 121B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In this case,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121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rranged along at least one line.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at. Such a camera may be referred to as an 'array camera'. When the second camera 121B is configured as an array camera, the plurality of lenses may be used to capture an image, and to obtain an image of better quality.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The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cond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antenna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formed in the case. For example, an antenna that forms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fer to FIG. 1A)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from the terminal body. Alternatively, the antenna may be formed in a film type and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A) for supplying power to the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rawing, the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An accessory may be added to th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버튼(200)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버튼(200)은 물리적으로 가압되어 이동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돔 키를 눌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버튼(200)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사이드 버튼, 전면 버튼 또는 후면 버튼 등이 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버튼은 기능에 따라 전원 버튼, 음량 버튼, 홈 버튼, 지문 버튼 등이 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버튼(200)은 상술한 제2 조작유닛(123b, 도 1C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The
버튼(200)은 바(Bar)형 또는 원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버튼(200)이 바형으로 구비되는 경우는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원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 또는 배면에 구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The
본 발명의 도면은 버튼(200)이 바형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원판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태든 가능하다.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도 3은 도 1C의 A-A' 방향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 of FIG. 1C.
케이스(310)는 버튼(200)이 구비되기 위한 개구부(311)를 가진다. 개구부(311)는 버튼(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310)는 전술한 프론트 케이스, 미들 케이스 또는 리어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두 부재를 포괄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The
버튼(200)은 케이스(310)의 개구부(311)에 위치한다.The
버튼(200)은 케이스(310)의 외측면(3101)보다 일정 깊이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케이스(310)의 외측면(3101)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버튼(200)은 두께방향 내측으로 가압되어 입력 될 수 있다.The
버튼(200)의 가압 방향 내측에는 돔 키(410)가 구비될 수 있다. 돔 키(410)는 버튼(200)의 가압에 따라 압축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하고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되어 전기 신호의 발생이 차단된다. 이때 발생하는 전기 신호는 사용자 입력 신호로서 취급할 수 있다.The
버튼(200)은 케이스(310) 내에 구비된 프레임(320)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돔 키(410)는 프레임(320) 내측에 실장되어 버튼(200)과 마주한다.The
버튼(200)은 가압부(210), 연장부(220) 및 탄성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부(210)는 버튼(200)의 두께 방향 최외곽 영역을 형성한다. 가압부(210)의 가압면(211)은 개구부(3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가압부(2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직접적으로 받는 영역이다.The
전달부재(240)는 가압부(210)의 가압면 이면(2102) 중앙에 위치하여 버튼(200)이 가압되면 이동하여 돔 키(410)를 누르는 역할을 한다. 전달부재(240)는 버튼(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버튼(200)과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연장부(220)는 가압부(210)의 가압면 이면(2102)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탄성부(230)가 결합되는 상대물을 제공한다. 연장부(220)는 두께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The
탄성부(230)는 케이스(310)에 걸려 버튼(200)이 개구부(311)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탄성부(230)와 결합하는 연장부(220)는 케이스(310)의 개구부(311) 둘레 경계에 걸쳐질 수 있도록 외측에 구비되어야 한다.The
연장부(220)와 탄성부(230)는 복수로 구비되어 개구부(311)로 버튼(200)이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탄성부(230)는 연장부(220)의 외주면 둘레 및 돌출 방향 일 단 면에 한해서만 결합하고 가압면 이면(2102)에는 최소의 영역에 대해 구비될 수 있다.The
전달부재(240)는 프레임(320)의 삽입홀(32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방수리브(241)는 전달부재(24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전달부재(240)를 프레임(320)에 고정시키고 프레임(320) 삽입홀(321)을 막음으로써 프레임(320) 내부의 방수를 구현한다.The
방수 신뢰도의 향상을 위해, 상술한 케이스(310) 및 프레임(320)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waterproof reliability, the
상술한 방수리브(24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방수리브(241)는 탄성 물질을 포함한다. 방수리브(241)는 전달부재(240)에 이중 사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방수 성능을 위해 버튼(200)은 케이스(310) 개구부(311)를 통해 외측에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레임(320)에 전달부재(240)가 결합함으로써 프레임(320) 내부는 방수 성능이 만족한 상태이므로, 버튼(200)은 프레임(320) 외부에서 결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돔 키(410)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 방수 성능 구현에 바람직하다.The
탄성부(230)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 후크(231)를 포함하여 개구부(311) 주변의 케이스 경계 배면(3102)에 걸린다. 버튼(200)이 케이스(310)의 개구부(311) 외측에서 끼워질 때는 압축 변형되고, 완전히 끼워진 다음에는 복원되어 버튼(200)이 다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탄성부(230)는 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가압부(210) 및 연장부(220)는 충분한 클릭감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와 같은 이유로 연장부(220)와 탄성부(230)는 서로 다른 물질로 구비되고, 탄성부(230)는 연장부(220)에 이중 사출 형성되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e same reason, the
도 4는 도 3의 M1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M1 of FIG. 3.
탄성부(230)는 버튼(200)이 케이스(310)의 개구부(311) 외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케이스(310)에 걸리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연장부(220)와 탄성부(230)의 결합력 유지가 중요하다. 연장부(220)와 탄성부(230)의 결합력이 약한 경우 연장부(220)가 탄성부(230)로부터 박리되어 케이스(310) 외부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연장부(220)와 탄성부(230)의 결합력 유지를 위해, 연장부(220)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 후크(221)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220)의 제2 후크(221)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후크(221)는 연장부(220)와 탄성부(230)가 두께 방향에 대해 서로 벌어지는 힘을 받을 때 이를 방해하기 위해 폭 방향에 대해 접합면을 가진다.In order to maintai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연장부(220)의 제2 후크(221)와 탄성부(230)의 제1 후크(23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후크(231)가 갈고리 형상을 가지므로 제2 후크(221)도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탄성부(230)의 두께를 비교적 일정하게 함으로써 연장부(220)와 탄성부(23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The
연장부(220) 및 가압부(210)가 금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연장부(220)의 제2 후크(221)부터 가압면 이면(212)까지는 언더컷(Undercut) 영역을 형성하므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추가 금형 파트(part)를 구비해야 할 것이다.When the
제2 후크(221)의 두께 T1은 약 0.1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과도하게 두꺼운 경우 강성의 제2 후크(221)케이스에 걸려 파손될 위험이 있고 과도하게 얇은 경우 연장부(220)와 탄성부(230)의 결합력 향상이라는 기존 취지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The thickness T1 of the
연장부(220)의 내측 방향 일단으로부터 탄성부(230)의 내측 방향 일단까지의 거리 T2는 0.3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성부(230)의 사출 형성시 충분한 사출 게이트 자리 및 유로를 확보하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T2 from one end of the
탄성부(230)의 폭 방향 외측 및 두께 방향 내측 경계 모퉁이는 챔퍼(232)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챔퍼(232) 없이 버튼(200)이 그대로 케이스(310) 개구부(311)내로 삽입되는 경우 면대면이 마주보며 맞닿아 버튼(200)의 삽입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챔퍼(232)는 버튼(200)과 케이스(310)가 면대선으로 맞닿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widthwise outer side and the thicknesswise inner boundary corners of the
탄성부(230)의 제1 후크(231)는 폭 방향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 버튼(200)의 결합이 쉽지 않고 너무 얇은 경우 결합된 버튼(200)이 다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한 제1 후크(231)의 두께 T3은 약 0.18mm 가 바람직하다.When the thickness of the
도 5는 도 3의 M2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gion M2 of FIG. 3.
가압부(21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곳으로서 가압되어 전달부재(240)를 가압한다. 전달부재(240)가 가압부(210)의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 가압부(210)의 폭 방향 외측을 가압하면 가압부(210)가 벤딩(Bending)할뿐 전달부재(240)가 눌러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버튼(200)의 클릭감을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압부(210)의 폭 방향 외측 영역을 가압하더라도 전달부재(240)가 눌러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가압부(21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강성이 증가하여 가압부의 외측을 누르더라도 벤딩이 최소화 되고 두께 방향으로 가압되어 전달부재(240)가 눌려질 가능성이 크다. 다만, 가압부(210)는 눌러지는 스트로크(Stroke)를 위한 최소한의 이격공간(421)이 필요하다. 즉, 프레임(320)의 삽입홀(321)을 형성하는 삽입면(322)과 버튼(200)의 가압면 이면(212)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공간(421)을 마련한다.As the thickness of the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21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클릭감이 향상되므로 이를 고려한 가압면 이면(212)의 형상 설계가 필요하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s the thickness of the
버튼(200)의 이면, 즉 가압면 이면(212) 중 전달부재(240)로부터 폭 방향에 대해 제1 거리 내에 있는 영역을 내측 영역(2121), 내측 영역(2121)의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을 외측 영역(2122)이라고 했을 때, 내측 영역(2121)은 외측 영역(2122)보다 전달부재(240)의 두께 방향 중 내측 방향으로 제2 거리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An area within the width direction outside of the
이는 내측 영역(2121)은 스트로크를 위한 최소 영역만 남기고 가압부(210)를 두껍게 구성해야 클릭감이 상승하므로 돌출 형상을 가지는 반면, 외측 영역(2122)은 가압부(210)의 폭 방향 외측 가압에 의해 벤딩될 때 가압부(210)가 프레임(320)과 간섭하지 않기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This means that the
이때 상기 제1 거리는 약 2mm, 제2 거리는 약 0.2mm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distance is preferably about 2 mm, and the second distance is about 0.2 mm.
가압면 이면(212)의 내측 영역(2121) 및 외측 영역(2122)은 경사면(2123)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경사면(2123)으로 구비되는 이유는 가압부(210)가 프레임(320)과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두꺼운 영역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취지를 위한 이상적인 경사면(2123)은 가압부(210)가 최대 벤딩됐을 때의 경사면(2123)과 프레임(320)의 삽입면(322)이 평행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Th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단말기
200: 버튼
210: 가압부
211: 가압면
212: 가압면 이면
220: 연장부
230: 탄성부
231: 후크
232: 챔퍼
240: 전달부재
241: 방수리브
310: 케이스
3101: 케이스 외측면
3102: 케이스 경계 배면
311: 개구부
320: 프레임
321: 삽입홀
322: 삽입면
410: 돔 키
421: 이격공간100: mobile terminal 200: button
210: pressing portion 211: pressing surface
212: pressing surface 220: extension part
230: elastic portion 231: hook
232: chamfer 240: transmission member
241: waterproof rib 310: case
3101: case outer side 3102: case boundary back
311: opening 320: frame
321: insertion hole 322: insertion surface
410: Dome Key 421: Space
Claims (10)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는 버튼;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거동에 의해 가압되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돔 키; 및
상기 버튼과 돔 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돔 키를 가압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가압면이 노출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면의 이면 외곽에 돌출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걸리는 제1 후크를 형성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d forming an opening;
A button coupled to the case through the opening;
A dome key provided in the case and pressed by the button to generate an input signal; And
A transmission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utton and the dome key to move by pressing the button to press the dome key;
The button is
A pressing unit to expose a pressing surface through the opening;
An extension part protruding outside the back surface of the pressing surface; And
And a resilient portion provid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forming a first hook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상기 연장부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 후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 second hook protru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상기 언더컷 영역은 0.1mm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케이스 내측면과 0.18mm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2,
The undercut region protrudes 0.1 mm, and the elastic portion overlaps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0.18 mm.
상기 탄성부는 외측 및 내측 방향 모퉁이에 챔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lastic portion forms a chamfer at outer and inner corners.
상기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전달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마련하는 삽입면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삽입면과 상기 버튼의 이면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further includes a frame including an insertion surface provided inside the case to provide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transmission member of the button is inserted,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button to form a space facing each other.
상기 버튼의 이면은,
상기 전달부재로부터 제1 거리 내에 있는 내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외측 영역보다 상기 전달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제2 거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5,
The back side of the button,
An inner region within a first distance from the transfer member; And
An outer region provided outside the inner region,
And the inner region protrudes a second distance in an insertion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from the outer region.
상기 제1 거리는 2mm이고,
상기 제2 거리는 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distance is 2 mm,
The second distance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0.2mm.
상기 가압부의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은 경사면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6,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of the pr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surface.
상기 가압부는 바(bar)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unit has a bar shape.
상기 연장부는 강성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연성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장부에 이중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portion comprises a rigid material, the elastic portion includes a flexible material,
The elastic unit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ble injection molded in the extens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908A KR20200019412A (en) | 2018-08-14 | 2018-08-14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908A KR20200019412A (en) | 2018-08-14 | 2018-08-14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9412A true KR20200019412A (en) | 2020-02-24 |
Family
ID=6963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4908A Withdrawn KR20200019412A (en) | 2018-08-14 | 2018-08-14 |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1941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72911B2 (en) | 2020-07-09 | 2024-04-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assembly |
-
2018
- 2018-08-14 KR KR1020180094908A patent/KR20200019412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72911B2 (en) | 2020-07-09 | 2024-04-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5651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759950B1 (en) | Mobile terminal | |
KR102206242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60003499A (en) | Proximity illumination sensor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101612862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80138009A (en) | Electronic device | |
KR102406843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23481A (en) | Mobile terminal | |
KR20190127161A (en) | Mobile terminal | |
KR102541182B1 (en) | display device | |
KR20180039903A (en) | Electronic device | |
KR20200019412A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21147A (en) | Mobile terminal | |
KR20190037967A (en) | Mobile terminal | |
KR102179824B1 (en) | Mobile terminal | |
KR102192820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50106209A (en) | Mobile terminal | |
KR101587178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62592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92942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80067858A (en) | Mobile terminal | |
KR20180085262A (en) | Mobile terminal | |
KR102415668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607974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78431A (en) |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